KR20240033339A -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 Google Patents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339A
KR20240033339A KR1020220111853A KR20220111853A KR20240033339A KR 20240033339 A KR20240033339 A KR 20240033339A KR 1020220111853 A KR1020220111853 A KR 1020220111853A KR 20220111853 A KR20220111853 A KR 20220111853A KR 20240033339 A KR20240033339 A KR 20240033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urine
shell
waterproof shee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엽
여광수
임만배
박정인
이상흔
황세철
장수빈
남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2011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339A/ko
Publication of KR2024003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소아 등을 포함한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 과정에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는 기저귀 내측에 소변 채취용 패드를 탈부착하여 그 패드 내에 고여진 소변을 주사기로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채취가 용이함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한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소변을 흡수하도록 펄프재로 마련되어 직사각 시트 형태로 구비되는 흡수부재(10); 상기 흡수부재(10)의 외면 전체에 감싸지게 하여 펄프재로 된 흡수부재(10)의 형태를 잡아줌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티슈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내피(20);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양측면에 연장된 상부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감싸지게 하는 개방형방수시트(30);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흡수통과형내피(20)의 상부측에 상호간 이격거리(S)가 확보된 상태로 양단부(31,32)가 위치되게 하겨,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해 개방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한 개방부(35)를 포함한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면 전체를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외피(40);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Urine collection pad for urinalysis}
본 발명은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소아 등을 포함한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 과정에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는 기저귀 내측에 소변 채취용 패드를 탈부착하여 그 패드 내에 고여진 소변을 주사기로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채취가 용이함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한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신생아 또는 평균 24개월 정도의 유아들 뿐만 아니라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등과 같은 사용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자의 소변기관 및 대변기관을 감싸면서 허리에 고정하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소변은 신장에서 혈액을 거른 뒤 나오는 노폐물로서 여러 대사산물이 포함되어 있다. 소변을 검사함으로써 요로계의 이상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내분비/대사 질환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또한 소변은 다른 검체에 비하여 비침습적으로 환자에게 부담이 가지 않게 채집할 수 있어서 요검사는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저귀 사용자의 의료진단(소변검사)을 위한 소변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통상 플라스틱 컵이나 소변채집봉투 등과 같은 용기를 사용하여 화장실 등에서 별도로 받아야 하는데,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소아에게서 용기로 소변을 받는 일은 본인 뿐 아니라 보호자에게도 힘든 일일뿐 아니라, 용기나 소변채집봉투 등에 소변채취시 소변이 사용자에게 묻게 되고, 주변에 튐이 발생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6-009313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소아 등을 포함한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 과정에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는 기저귀 내측에 소변 채취용 패드를 탈부착하여 그 패드 내에 고여진 소변을 주사기로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채취가 용이함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한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변을 흡수하도록 펄프재로 마련되어 직사각 시트 형태로 구비되는 흡수부재(10); 상기 흡수부재(10)의 외면 전체에 감싸지게 하여 펄프재로 된 흡수부재(10)의 형태를 잡아줌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티슈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내피(20);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양측면에 연장된 상부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감싸지게 하는 개방형방수시트(30);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흡수통과형내피(20)의 상부측에 상호간 이격거리(S)가 확보된 상태로 양단부(31,32)가 위치되게 하겨,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해 개방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한 개방부(35)를 포함한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면 전체를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외피(40);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35) 반대편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의 외면에 접착시트(5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기저귀(2) 내면에 부착 사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는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부에 수용된 흡수부재(10), 흡수통과형내피(20) 및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부이탈을 방지토록 압착마감부(42)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재(10)가 직사각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는 직사각 형태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측장폭길이(L1)는 170∼190㎜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마감부(42)를 포함한 외측장폭길이(L2)는 220∼240㎜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최소단폭치길이(W1)는 75∼85㎜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확장최대치단폭길이(W2)는 80∼9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 개방부(35)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 상에 10∼13㎜의 직경으로 된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1)의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직경으로 내경이 되고, 상기 내경 보다 2.5∼3.5㎜ 확장된 외경이 되며, 0.8∼1.5㎜의 두께로 된 링형간격유지패드(65)를 더 구비하되, 상기 링형간격유지패드(65)는 항균물질이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소변을 흡수하도록 펄프재로 마련되어 직사각 시트 형태로 구비되는 흡수부재(10)가 마련되고, 상기 흡수부재(10)의 외면 전체에 감싸지게 하여 펄프재의 형태를 잡아줌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티슈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내피(20)가 마련되며,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양측면에 연장된 상부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감싸지게 하는 개방형방수시트(30)를 마련하되,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흡수통과형내피(20)의 상부측에 상호간 이격거리(S)가 확보된 상태로 양단부(31,32)가 위치되게 하겨,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해 개방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한 개방부(35)를 포함한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면 전체를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외피(40)가 마련되며,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는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부에 수용된 흡수부재(10), 흡수통과형내피(20) 및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부이탈을 방지토록 압착마감부(42)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35) 반대편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의 외면에 접착시트(52)가 구비되어 완성된 소변 채취용 패드(A)를 사용자의 기저귀(2) 내면에 부착 사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소변 채취용 패드(A)가 부착된 기저귀(2) 사용자의 소변이 흡수통과형외피(40),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35), 흡수통과형내피(20)를 순차적으로 거쳐 개방형방수시트(30)의 방수성에 의해 흡수부재(10) 내에 고이게 되면, 주사기(5)의 유입노즐(6) 단부를 흡수부재(10) 내에 꽂아 고여진 소변을 채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소아 등을 포함한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 과정에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는 기저귀 내측에 소변 채취용 패드를 탈부착하여 그 패드 내에 고여진 소변을 주사기로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채취가 용이함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상태 예시도
도 3은 도 1의 가-가' 단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소아 등을 포함한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 과정에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는 기저귀 내측에 소변 채취용 패드를 탈부착하여 그 패드 내에 고여진 소변을 주사기로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채취가 용이함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한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흡수부재(10)와, 흡수통과형내피(20)와, 개방형방수시트(30) 및 흡수통과형외피(40)를 포함하여 소변 채취용 패드(A)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흡수부재(10)가 소변 채취용 패드(A)의 중심부에 구비된다.
상기 흡수부재(10)는 사용자의 소변(Urine)을 흡수하여 고이게 하기 위한 부재로서, 소변을 흡수하도록 펄프재 만으로 마련되게 하며, 이때 기저귀(5)에 부착되는 패드 형태로 사용용이토록 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직사각 시트 형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흡수부재(10)의 외면 전체에 감싸지게 하여 펄프재로 된 흡수부재(10)의 형태를 잡아주기 위한 흡수통과형내피(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는 소변이 통과되는 티슈(Tissue) 재질로 형성되게 하여 흡수부재(1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양측면에 연장된 상부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감싸지게 하는 개방형방수시트(30)가 구비된다.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흡수통과형내피(20)의 상부측에 상호간 이격거리(S)가 확보된 상태로 양단부(31,32)가 위치되게 하겨,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해 개방부(35)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개방부(35)를 통해 흡수부재(10) 측으로 유입되는 소변이 개방부(35)만을 통해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유입된 소변은 개방형방수시트(30)의 “
Figure pat00001
”형태 구조로 인해 개방형방수시트(30)의 내부에 위치된 흡수부재(10) 내에 고이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방수성을 가지는 PE필름 등으로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한 개방부를 포함한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면 전체를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외피(40)가 구비된다.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는 소변이 통과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외면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착용감과 위생감을 위해 인체무해한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흡수부재(10)와, 흡수통과형내피(20)와, 개방형방수시트(30) 및 흡수통과형외피(40)의 구성으로 소변 채취용 패드(A)가 완성되며, 이러한 소변 채취용 패드(A)를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기저귀(5) 내면에 부착토록 하기 위해 도 1의 (b)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 반대편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의 외면에 접착시트(5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기저귀(2) 내면에 부착 사용되도록 하며, 상기 접착시트(52)의 외면보호를 위해 접착시트(52)의 외면에 보호이형시트(54)가 구비되어 사용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소변 채취용 패드(A)의 디테일한 완성을 위해 도 1의 (a)에서와 같이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는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부에 수용된 흡수부재(10), 흡수통과형내피(20) 및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부이탈을 방지토록 압착마감부(42)가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10)가 직사각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는 직사각 형태로 구성되며, 더욱 상세한 구조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기저귀(5) 내면에 부착사용이 용이토록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측장폭길이(L1)는 170∼190㎜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마감부(42)를 포함한 외측장폭길이(L2)는 220∼240㎜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최소단폭치길이(W1)는 75∼85㎜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확장최대치단폭길이(W2)는 80∼90㎜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 개방부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 상에 10∼13㎜의 직경으로 된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1)의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직경으로 내경이 되고, 상기 내경 보다 2.5∼3.5㎜ 확장된 외경이 되며, 0.8∼1.5㎜의 두께로 된 링형간격유지패드(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링형간격유지패드(65)에 의해 흡수통과형외피(40)와 흡수통과형내피(20)가 밀착되지 않게 하며, 이로 인해 소변의 통과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링형간격유지패드(65)는 항균물질이 포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변 채취용 패드(A) 내에 균의 억제를 도모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링형간격유지패드(65)에 도포 또는 내재되는 항균물질은 통상의 항균물질이 사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소변 채취용 패드(A)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술된 내용에서와 같이 소변을 흡수하도록 펄프재로 마련되어 직사각 시트 형태로 구비되는 흡수부재(10)가 마련되고, 상기 흡수부재(10)의 외면 전체에 감싸지게 하여 펄프재의 형태를 잡아줌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티슈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내피(20)가 마련되며,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양측면에 연장된 상부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감싸지게 하는 개방형방수시트(30)를 마련하되,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흡수통과형내피(20)의 상부측에 상호간 이격거리(S)가 확보된 상태로 양단부(31,32)가 위치되게 하겨,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한 개방부를 포함한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면 전체를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외피(40)가 마련되며,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는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부에 수용된 흡수부재(10), 흡수통과형내피(20) 및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부이탈을 방지토록 압착마감부(42)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 반대편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의 외면에 접착시트(52)가 구비되어 완성된 소변 채취용 패드(A)를 사용자의 기저귀(2) 내면에 부착 사용되도록 마련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소변 채취용 패드(A)가 부착된 기저귀(2) 사용자의 소변이 도 5에서와 같이 흡수통과형외피(40),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 흡수통과형내피(20)를 순차적으로 거쳐 개방형방수시트(30)의 방수성에 의해 흡수부재(10) 내에 고이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주사기(5)의 유입노즐(6) 단부를 흡수부재(10) 내에 꽂아 고여진 소변을 채취하도록 하며, 상기 주사기(5)에 채취된 소변은 보관용기(미도시됨) 내에 주입하여 보관토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에 의하면 중증환자, 치매환자,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소아 등을 포함한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 과정에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는 기저귀 내측에 소변 채취용 패드를 탈부착하여 그 패드 내에 고여진 소변을 주사기로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저귀 사용자의 소변채취가 용이함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펄프부재 20 : 흡수통과형내피
30 : 개방형방수시트 40 : 흡수통과형외피

Claims (5)

  1. 소변을 흡수하도록 펄프재로 마련되어 직사각 시트 형태로 구비되는 흡수부재(10);
    상기 흡수부재(10)의 외면 전체에 감싸지게 하여 펄프재로 된 흡수부재(10)의 형태를 잡아줌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티슈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내피(20);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양측면에 연장된 상부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감싸지게 하는 개방형방수시트(30);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흡수통과형내피(20)의 상부측에 상호간 이격거리(S)가 확보된 상태로 양단부(31,32)가 위치되게 하겨,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해 개방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한 개방부(35)를 포함한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면 전체를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외피(40);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35) 반대편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의 외면에 접착시트(5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기저귀(2) 내면에 부착 사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는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부에 수용된 흡수부재(10), 흡수통과형내피(20) 및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부이탈을 방지토록 압착마감부(42)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재(10)가 직사각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는 직사각 형태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측장폭길이(L1)는 170∼190㎜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마감부(42)를 포함한 외측장폭길이(L2)는 220∼240㎜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최소단폭치길이(W1)는 75∼85㎜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확장최대치단폭길이(W2)는 80∼9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 개방부(35)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 상에 10∼13㎜의 직경으로 된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1)의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직경으로 내경이 되고, 상기 내경 보다 2.5∼3.5㎜ 확장된 외경이 되며, 0.8∼1.5㎜의 두께로 된 링형간격유지패드(65)를 더 구비하되, 상기 링형간격유지패드(65)는 항균물질이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5. 소변을 흡수하도록 펄프재로 마련되어 직사각 시트 형태로 구비되는 흡수부재(10)가 마련되고,
    상기 흡수부재(10)의 외면 전체에 감싸지게 하여 펄프재의 형태를 잡아줌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티슈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내피(20)가 마련되며,
    상기 흡수통과형내피(20)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양측면에 연장된 상부면 일부에 밀착되면서 감싸지게 하는 개방형방수시트(30)를 마련하되,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는 흡수통과형내피(20)의 상부측에 상호간 이격거리(S)가 확보된 상태로 양단부(31,32)가 위치되게 하겨,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해 개방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거리(S)에 의한 개방부(35)를 포함한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면 전체를 감싸지게 함과 아울러, 소변이 통과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수통과형외피(40)가 마련되며,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는 상기 흡수통과형외피(40)의 내부에 수용된 흡수부재(10), 흡수통과형내피(20) 및 개방형방수시트(30)의 외부이탈을 방지토록 압착마감부(42)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35) 반대편측에 위치되는 흡수통과형외피(40)의 외면에 접착시트(52)가 구비되어 완성된 소변 채취용 패드(A)를 사용자의 기저귀(2) 내면에 부착 사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소변 채취용 패드(A)가 부착된 기저귀(2) 사용자의 소변이 흡수통과형외피(40), 개방형방수시트(30)의 개방부(35), 흡수통과형내피(20)를 순차적으로 거쳐 개방형방수시트(30)의 방수성에 의해 흡수부재(10) 내에 고이게 되면, 주사기(5)의 유입노즐(6) 단부를 흡수부재(10) 내에 꽂아 고여진 소변을 채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KR1020220111853A 2022-09-05 2022-09-05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KR20240033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53A KR20240033339A (ko) 2022-09-05 2022-09-05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53A KR20240033339A (ko) 2022-09-05 2022-09-05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339A true KR20240033339A (ko) 2024-03-12

Family

ID=9030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853A KR20240033339A (ko) 2022-09-05 2022-09-05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3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39A (ko) 2015-01-28 2016-08-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소변 채집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39A (ko) 2015-01-28 2016-08-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소변 채집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8955B (zh) 人用排泄物收集器
CA2974944C (en) Urine collection device for dependent patients
RU2584648C2 (ru) Приемник каловых масс человека
KR101237882B1 (ko) 인체용 대변 수집기
JP2004321460A (ja) 使い捨ておむつ
EP2642957B1 (en) Urine shield
JP2000504987A (ja) 再使用可能なおむつ
JP2001276107A (ja) 男性用排尿レシーバー
JP2009056285A (ja) 排泄物回収具
US20070197984A1 (en) Fecal disposal device
JP4099325B2 (ja) 男性用吸収性物品
KR20240033339A (ko) 소변검사를 위한 소변 채취용 패드 및 그 패드를 이용한 소변채취방법
JP6493905B2 (ja) 排尿用具
KR102036438B1 (ko) 남성용 기저귀
KR102595733B1 (ko) 와상 환자용 팬티
JP3220650U (ja) 小便吸収用パック
JPS5911010Y2 (ja) 排尿用処理袋
KR101287859B1 (ko) 요검사용 보조기구
CN108576977B (zh) 一种术后防护裤
KR20100003962U (ko) 용변 주머니 탈부착용 팬티
CN210872490U (zh) 医用g型女性尿垫
JP2013039262A (ja) 男性失禁者用尿取りパッド
JP2003521281A (ja) 便利な剥離シートを有する便捕集器
KR102224345B1 (ko) 환자용 배변기
KR20090033132A (ko) 환자전용 기저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