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444A -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 Google Patents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444A
KR20240032444A KR1020220111423A KR20220111423A KR20240032444A KR 20240032444 A KR20240032444 A KR 20240032444A KR 1020220111423 A KR1020220111423 A KR 1020220111423A KR 20220111423 A KR20220111423 A KR 20220111423A KR 20240032444 A KR20240032444 A KR 2024003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cart
holder
fixing
clause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to KR102022011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444A/en
Publication of KR2024003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68Additional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72Supports for specific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카트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안착부와 커버부재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휴대용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일측에 연장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The shopping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ket for storing articles; A hand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ket; A seating portion fixed to the handl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 cover member detachably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cover member and has a holder extending on one side for holding portable items.

Description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본 발명은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쇼핑 카트에 휴대용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쇼핑 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holder for portable item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pping cart that can easily install a holder for holding portable items in an existing shopping cart.

일반적으로 쇼핑 카트는 대형할인점 또는 쇼핑몰 등에서 소비자들이 구매한 물품을 담아서 계산대 또는 차량으로 옮기기 위해 사용된다.Shopping carts are generally used at large discount stores or shopping malls to carry items purchased by consumers to checkout counters or vehicles.

이와 같은 쇼핑 카트는 내부에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바스켓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바스켓의 후방 상부에 쇼핑 카트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스켓의 하부에는 적은 힘으로 쇼핑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Such a shopping cart has a basket formed inside to hold goods, a handle for pushing or pulling the shopping cart is formed at the rear upper part of this basket, and the shopping cart can be moved with little force at the lower part of the basket. Wheels are installed so that

최근 대형할인점이나 쇼핑센터는 단순히 쇼핑을 하는 공간에서 복합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매장에서 머무는 시간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매장 내에는 제품의 홍보 및 판촉을 위해서 다양한 코너들이 설치되어 있고, 특히 식료품의 경우 시식 또는 시음을 위한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Recently, large discou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have been transformed from simple shopping spac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Therefore, the time consumers spend in stores is increasing. In addition, various corners are installed within the store to promote and promote products,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roceries, there is a corner for sampling or sampling.

하지만 시식이나 시음을 마친 용기는 쇼핑 카트의 내부에 수납할 별도의 공간이 없어서 시식이나 시음을 마친 음식물 용기를 쇼핑 카트의 내부에 버리거나 매장의 후미진 곳에 투기하므로 위생환경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separate space to store the tasting or finished food containers inside the shopping car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od containers that have been sampled or tasted are thrown away inside the shopping cart or dumped in the back of the store, which harms the sanitary environment.

한편 매장의 내부가 매우 소란스럽기 때문에 휴대폰을 옷이나 가방에 넣어서 휴대할 경우 신호음을 식별할 수 없어 전화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because the inside of the store is very noisy, if you carry your cell phone in your clothes or bag, you will not be able to discern the ring tone, making it difficult to make a call.

아울러 휴대폰은 스마트폰의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쇼핑하는 동안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무선인터넷 망을 통해 조회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휴대폰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휴대폰을 손으로 파지한 채 쇼핑해야 하므로 쇼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frequency of smartphones increases, mobile phon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earch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you want to purchase while shopping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However, there is no separate space to store mobile phones, so mobile phones are not easy to 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hopping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you have to hold it while shopping.

특히, 휴대폰이나 음료컵과 같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는 상태에서는 쇼핑 카트를 한 손으로 운전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쇼핑 카트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전환이 곤란하기 때문에 주변 사람과의 충돌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you have no choice but to drive the shopping cart with one hand while holding an object such as a cell phone or beverage cup in your hand. In this case, not only is it difficul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hopping cart,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hange quickly, so you must be careful with people around you. There is a problem with a high risk of collision.

최근,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2-0106116과 같이 손잡이부에 휴대폰이나 음료컵과 같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거치대는 장착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요구됨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쇼핑 카트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shopping cart has been developed that has a holder on the handle for storing items such as mobile phones or beverage cups, such as in Publication Patent No. 10-2012-0106116. However, since this stand requires a separate structure for mount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existing shopping carts.

공개특허 10-2012-0106116Public patent 10-2012-01061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손잡이부의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거치부 설치를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나 지지구조물이 불필요한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holder for holding portable items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at of the handle, so that a separate bracket or support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holder is unnecessary. It provides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portable item holder.

또한,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휴대폰이 외부 충격에 의해 안착홈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that can prevent the mobile phone seated in the holder from falling out of the seating groove due to external shock.

또한, 손잡이에 거치부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유아시트부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구성하여 거치부에 거치되어 있는 뜨거운 음료컵과 같은 휴대용 물품을 유아가 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shopping cart is provided with a portable item holder that prevents children from touching portable items such as hot beverage cups mounted on the holder by restricting the use of the child seat section when the holder is installed on the handle. It is in

또한, 유아의 착석을 제한하기 위해 바스켓 후방 개구의 백커버에 조립되는 마감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백커버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limit the seating of infants, a shopping cart is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that can prevent the finishing cover assembled on the back cover of the rear opening of the baske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back cover due to external impac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안착부와 커버부재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휴대용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일측에 연장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ket for storing goods; A hand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ket; A seating portion fixed to the handl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 cover member detachably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is is achieved by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cover member and includes a holder for holding portable articles extending from one side.

여기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4결합부가 상면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 second coupling portion capable of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cover member, and the mounting portion has a third coupling portion capable of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and further includes a fixing plate formed on the top of the fourth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거치대는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1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거치대의 전면 개구 하단에는 휴대폰의 전면부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er preferably includes a first holder capable of supporting a mobile phone, and a locking protru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pening of the first holder.

또한, 상기 제1거치대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1안착홈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holder preferably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capable of supporting a horizontally placed mobile phone and a second seating groove capable of supporting a vertically placed mobile phone.

또한, 상기 제2안착홈의 상단에는 제2안착홈 내에 안착된 휴대폰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part that can fix the upper part of the mobile phone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은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또한,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제1안착홈의 중앙에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사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preferably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has a relatively low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first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제2안착홈의 판면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거치대는 음료컵을 지지할 수 있는 링형의 제2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er preferably includes a ring-shaped second holder capable of supporting a beverage cup.

또한, 상기 거치대는 복수의 쇼핑 카트가 중첩된 상태에서 인접 쇼핑 카트의 손잡이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향 경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er is preferably disposed at an upward angle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handle of an adjacent shopping cart when a plurality of shopping carts are overlapped.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격자 형태의 보강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보강살의 교차부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grid-shaped reinforcing bar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at inters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of the fixing plate.

또한, 상기 안착부는 경사 배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경사 방향 하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at an angle, and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in the inclined direction.

또한, 상기 바스켓은 복수의 쇼핑 카트가 중첩될 수 있도록 후단부가 개구되고, 판면에 다리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후단부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아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가 안착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아시트부에 유아가 착석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백커버의 다리통과홀을 폐쇄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ket has a back cover that is open at the rear end so that a plurality of shopping carts can overlap, a leg passage hole is formed in the plate surface,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rear end of the basket, and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cover that includes a child seat part and closes the leg passage hole of the back cover to restrict a child from sitting on the child seat part while the holder is assembled to the seating part.

또한, 상기 개폐커버는 백커버의 외측면에서 상기 다리통과홀을 마감한 상태로 백커버에 고정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preferably includes a finishing cover fixed to the back cover with the leg passage hole cl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또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마감커버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마감커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nishing cover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a second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nishing cover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It is desirable to include it.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백커버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ixing par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 cover.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백커버의 외측에서 백커버의 판면을 관통한 상태로 백커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art is preferably fixed to the back cover while penetrating the plate surface of the back cover from the outside of the back cover.

또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백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제2고정부와 맞물리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cover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locking member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art on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to prevent the second fixing part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고정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고정후크가 고정해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백커버에 고정된 상태의 제1고정후크를 고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art includes a pair of first fixing hoo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ocking member is a first fixing hook fixed to the back cover so that the first fixing hook does not move in the relea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in the fixed direction.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고정후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preferably includes a pair of second fixing hook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fixing hook a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또한, 상기 제2고정부의 상기 제2고정후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2고정후크와의 결합을 위한 제2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upport part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fixing hook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ok.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손잡이부의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거치부 설치를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나 지지구조물이 불필요한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 which a holder for holding portable items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ating part of the handle, so that a separate bracket or support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holder is unnecessary.

또한, 상기 거치부에 안착된 휴대폰이 외부 충격에 의해 안착홈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shopping cart is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that can prevent the mobile phone mounted on the holder from falling out of the seating groove due to external shock.

또한, 손잡이에 거치부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유아시트부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구성하여 거치부에 거치되어 있는 뜨거운 음료컵과 같은 휴대용 물품을 유아가 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shopping cart is provided with a portable item holder that can prevent children from touching portable items such as hot beverage cups mounted on the holder by restricting the use of the child seat section when the holder is installed on the handle. do.

또한, 유아의 착석을 제한하기 위해 바스켓 후방 개구의 백커버에 조립되는 마감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백커버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shopping cart is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that can prevent the finishing cover assembled on the back cover of the rear opening of the baske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back cover due to external impact in order to limit the seating of infants.

도 1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부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따른 거치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제1거치대에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제2거치대에 음료컵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따른 개폐커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ure 1;
Figures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shown in Figure 1;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verage cup is placed on the second holder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according to the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0;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0;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shopping carts equipped with portable article ho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verlapped.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explana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symbo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pping c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부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ure 1, and Figures 4 and 5 are diagrams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shown in Figure 1. This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는 바스켓(10), 손잡이(20), 안착부(30), 커버부재(40), 거치부(100) 및 개폐커버(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ket 10, a handle 20, a seating portion 30, a cover member 40, a holder 100, and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200. ) includes.

상기 바스켓(10)은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고 수납 및 반출을 위하여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쇼핑 카트의 보관시 길이방향으로 중첩(nesting)시켜서 보관할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갖는 동시에 후단부는 개방된다. 이러한 바스켓(10)의 후단부 개구는 상단부가 바스켓(10)의 후단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백커버(11)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백커버(11)의 내측면에는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유아시트부(12)가 설치되며, 상기 백커버(11)의 판면에는 유아의 다리가 통과할 수 있는 다리통과홀(11a)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유아시트부(12)는 일반적으로 상기 백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와, 양단부가 상기 백커버와 등받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basket 10 accommodates products inside and is open at the top for storage and removal, and has a shape whos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front to back so that it can be stored by nes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storing a shopping cart. At the same time, the rear end is open. The opening at the rear end of the basket 10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back cover 11, the upper end of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sket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allows the infant to A child seat portion 12 is installed for seating, and a leg passage hole 11a through which the child's legs can pass i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This child seat portion 12 may generally be composed of a backrest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ck cover, and a seat whose both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ck cover and the backrest, respectively. This is a technology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또한, 바스켓(10)의 하부에는 바스켓(10)을 지지하는 프레임(13)이 형성되고, 이 프레임(13)의 하부에 바퀴(14)가 설치된다. 여기서 바퀴(14)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가 쇼핑 카트를 임의의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직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rame 1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ket 10 to support the basket 10, and wheels 14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13. Here, at least some of the wheels 14 are preferably provided to rotate 360° around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shopping cart in any direction.

상기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쇼핑 카트를 밀거나 당기기 위해 바스켓(10)의 후단부를 횡단하여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20)는 복수의 쇼핑 카트를 중첩하였을 때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바스켓(10)의 후단부 상단 양측에는 손잡이(2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암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andle 20 is installed across the rear end of the basket 10 so that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shopping cart. The handle 20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a plurality of shopping carts are overlapped. For this purpose, arms for fixing the ends of the handle 20 may extend in an inclined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rear end of the basket 10.

상기 안착부(30)는 상면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0)의 중앙에 설치된다. 이러한 안착부(30)에는 전방에서 중첩된 쇼핑 카트의 키홈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잠금키와, 후방에서 중첩된 쇼핑 카트의 잠금키가 결합할 수 있는 키홈 및 키홈과 잠금키의 결합상태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 잠금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3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handle 20 so that an advertisement can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This seating portion 30 includes a lock key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keyway of the shopping cart overlapped from the front, a keyway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lock key of the shopping cart overlapped from the rear, and the combination state of the keyway and the lock key is locked or A locking mechanism that can be unlocked may be provided.

상기 안착부(30)의 상면에는 광고물(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는 안착홈(3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1)의 테두리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31)은 광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를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 배치된다. 상기 제1결합부(32)는 돌기 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을 위해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seating groove 31 that can accommodate advertisements (not shown) is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0,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32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31. The seating groove 3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us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advertise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r groov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such as a rail shape for sliding coupling.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손잡이(20)와 안착부(3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손잡이(20)가 샤프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30)가 손잡이(20)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drawing of this embodiment, the handle 20 and the seating portion 30 are shown as an example as being formed as one body,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handle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haft, and the seating portion is It is also possible that (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andle (20).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안착홈(31)에 안착된 광고물을 덮은 상태로 상기 안착홈(31) 내에 안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40)는 하부의 광고물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두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3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41)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40)가 광고물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커버부재(40)에 광고 이미지가 직접 인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cover member 40 is seated within the seating groove 31 while covering the advertisement placed in the seating groove 31. This cover member 4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dvertising material below can be visually observed, and the edge has a second coupling part 41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32. ) is formed.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member 4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advertisement, but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print the advertisement image directly on the cover member 40.

상기 거치부(100)는 상기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고정플레이트(110) 및 휴대용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거치대(120,130)를 포함한다. The mounting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110 that can be detachably assembl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cover member 40 and is mounte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to support portable items. It includes extended holders (120,130).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상기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는 상기 안착부(30)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커버부재(4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32)와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결합부(41)와 결합할 수 있는 제4결합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경량화를 위해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변형 방지 및 강성 확보를 위해 적어도 일면에 격자 형태의 보강살(113)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고정플레이트(110)의 상기 보강살(113)의 교차부위에는 배수용 관통홀(11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상기 안착부(30)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배치되므로, 판면의 경사 방향 하단부에도 배수용 관통홀(1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10)의 판면에 다수의 배수용 관통홀(114)을 형성함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나 음료수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plate 110 has a plate shape that can be placed between the seating part 30 and the cover member 40. A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30 is formed on the bottom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cover member 40 can be seated is recessed. A third coupling portion 111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rotrusion, and a fourth coupling portion 111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A coupling portion 112 is formed.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110 may have grid-shaped reinforcement bars 113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o prevent deformation and secure rigidity while minimizing the thickness for weight reduction. In this case, the reinforcement of the fixing plate 110 A through hole 114 for drainage may b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okes 113.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plate 110 is dispos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eating portion 30, it is desirable to form a through hole 114 for drainage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surface in the inclined direction. In this way, by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4 for drainage on th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0, it not only ensures that rainwater or beverages flowing inside are smoothly discharged, but also ensures ventilation, preventing moisture from accumulating inside. can be prevented.

상기 거치대는 복수의 쇼핑 카트가 중첩된 상태에서 인접 쇼핑 카트의 손잡이(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일측에서 상향 경사 배치되며,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제1거치대(120) 및 음료컵을 거치할 수 있는 제2거치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is disposed at an upward slope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handle 20 of an adjacent shopping cart when a plurality of shopping carts are overlapped, and is a first holder 120 capable of holding a mobile phone. And it may include a second holder 130 capable of holding a beverage cup.

여기서, 상기 거치대의 상향 경사 각도는 인접 쇼핑 카트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거치대(120)에 안착된 휴대폰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임의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는 경사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up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holder is set to an inclination angle that prevents the mobile phone mounted on the first holder 120 from arbitrarily moving forward or backward within a range that prevents interference with an adjacent shopping cart. desirable.

또한, 상기 제1거치대(120)는 고정플레이트(110)의 전방 일측에 배치되고, 제2거치대(1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전방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거치대(120)와 제2거치대(1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holder 120 may be placed on one front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and the second holder 130 may be plac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and the first holder 120 ) and the second holder 1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late 110.

상기 제1거치대(120)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1안착홈(121)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안착홈(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안착홈(122)은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상기 제1안착홈(121)의 중앙에서 세로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안착홈(121)의 전면 개구 하단에는 휴대폰의 전면부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123)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holder 120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121 capable of supporting a horizontally placed mobile phone and a second seating groove 122 capable of supporting a vertically placed mobile phone.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is preferably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for efficient use of space, an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pening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is the mobile phone. A locking protrusion 123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ront part can be formed.

상기 제1안착홈(121)과 제2안착홈(122)은 각각 휴대폰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과 하부로부터 전면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3개의 측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착홈(122)의 지지면은 상기 제1안착홈(121)의 지지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사각도를 갖도록 함몰된다. 즉, 상기 제2안착홈(122)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은 제2안착홈(122)의 상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가 되므로, 휴대폰의 무게중심 부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제2안착홈(122) 내에 지지된 휴대폰이 제2안착홈(122) 내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may be defined by a support surface capable of supporting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nd at least three sides protruding from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surface to the front, respectively. The support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is depressed to have a relatively low inclination angle compared to the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That is, the s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have a height that increases toward the top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bile phone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The mobile phone supported in the seating groove 122 can be prevented from easily leaving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상기 제1안착홈(121)은 지지면 중앙에 제2안착홈(122)이 함몰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의 배면에 그립톡이나 링홀더와 같은 액세서리가 부착된 경우에도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착홈(122)은 지지면 중앙에 개구부(124)가 형성됨에 따라 휴대폰 배면에 부착된 액세서리가 지지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홈(122)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면의 상단부의 높이를 상기 제1안착홈(121)의 지지면 상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안착홈(122)의 상단에는 휴대폰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제2안착홈(122)의 지지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결합을 위한 고정홀(125)을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홀(12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회동 또는 슬라이딩하면서 휴대폰을 고정하거나,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has a second seating groove 122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it can stably support the mobile phone even when accessories such as GripTok or ring holder ar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can prevent accessorie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from interfering with the support surface as an opening 12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in order to stably support a mobile phon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 fixing part (not shown) capable of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mobile phone can be placed on the top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is used for coupling the fixing part. Multiple fixing holes 125 can be formed. Here, the fixing par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xing the mobile phone with one end fixed to the fixing hole 125 and the other end rotating or sliding, or fixing the mobile phone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제2거치대(130)는 음료컵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거치대(120)의 일측에 배치되는 링형의 지지홈(131)을 포함하며, 상기 링형의 지지홈(131) 내주면에는 음료컵의 면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형의 지지홈(131)은 음료컵을 수평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holder 130 is for supporting a beverage cup and includes a ring-shaped support groove 13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120, and the ring-shaped support groove 131 has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cup.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32 may be disposed to prevent surface contact of the cup. The ring-shaped support groove 131 is preferably arranged to support the beverage cup in a horizontal state.

상기 개폐커버(200)는 상기 유아시트부(12)에 유아가 착석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백커버(11)의 다리통과홀(11a)을 폐쇄하는 것으로서, 상기 백커버(11)의 일측에서 다리통과홀(11a)을 마감하는 마감커버(210) 및 상기 백커버(11)의 타측에서 상기 마감커버(210)에 결합하여 상기 마감커버(210)를 고정하는 잠금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cover 200 closes the leg passage hole 11a of the back cover 11 to restrict an infant from sitting on the child seat portion 12,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ck cover 11. It may include a finishing cover 210 that closes the leg passage hole (11a) and a locking member 220 that is coupled to the finishing cover 210 on the other side of the back cover 11 and fixes the finishing cover 210. You can.

상기 마감커버(210)는 상기 백커버(11)의 외측면에서 다리통과홀(11a)을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211), 상기 마감플레이트(2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백커버(11)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212) 및 상기 마감플레이트(21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백커버(11)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213)를 포함한다.The finishing cover 210 includes a finishing plate 211 that closes the leg passage hole 1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inishing plate 211, and is fixed to the back cover 11. I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212 and a second fixing part 213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nishing plate 211 and fixed to the back cover 11.

상기 제1고정부(212)는 상기 백커버(11)의 상단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백커버(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마감커버(210)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fixing part 212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back cover 11 in a detachable form, and is a ring that can restric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nishing cover 210 while coupled to the back cover 11. It is made up of shapes.

상기 제2고정부(213)는 상기 백커버(11)의 외측에서 백커버(11)의 판면을 관통한 상태로 백커버(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백커버(11)에는 경량화를 위한 다수의 살빼기용 구멍(1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는 살빼기용 구멍(11b)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살빼기용 구멍(11b)의 좌,우측에 위치한 살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part 213 includes a pair of first fixing hooks 213a that are fixed to the back cover 11 while penetrating the plate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from the outside of the back cover 11. do. For example, a plurality of slimming holes 11b may be formed through the back cover 11 to reduce weight, and the pair of first fixing hooks 213a may be inserted into the slimming holes 11b. It can be fixed to the flesh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t loss hole (11b).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는 각각 캔틸레버형 막대 끝에 후크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살빼기용 구멍(11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살빼기용 구멍(11b)의 내벽면에 밀착하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살빼기용 구멍(11b)을 빠져나간 후 탄성복원되면서 백커버(1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fixing hooks 213a may each have a shape in which a hook is formed at the end of a cantilever-shaped rod, an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weight loss hole 11b, it adheres to the inner wall of the weight loss hole 11b and is elastic. After being deformed and passing through the weight loss hole (11b), it can be elastically restored and fixed to the back cover (11).

즉, 상기 마감커버(210)는 제1고정부(212)를 백커버(11)의 상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2고정부(213)를 백커버(11)의 살빼기용 구멍(11b)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백커버(11)의 외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쇼핑 카트를 중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백커버(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finishing cover 210 is coupl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212 to the top of the back cover 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213 to the slimming hole 11b of the back cover 11. Since it is supported and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ck cover 11 due to impac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the shopping cart.

또한, 상기 제2고정부(213)는, 상기 제1고정후크(213a)의 탄성변형 영역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제1고정후크(21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살빼기용 구멍(11b)의 상,하측 내벽면에 지지될 수 있는 한 쌍의 제2지지부(213b)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2지지부(213b)에는 후술할 잠금부재(220)의 제2고정후크(222)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213c)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고정부(213)는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가 살빼기용 구멍(11b)의 좌,우측 내벽에 지지되고, 한 쌍의 제2지지부(213b)가 살빼기용 구멍(11b)의 상,하측 내벽에 지지되므로, 백커버(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art 213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fixing hook 213a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area of the first fixing hook 213a and the weight loss hole (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second support parts 213b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s of 11b). A coupling protrusion 213c that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hook 222 of the locking memb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3b. That is, in the second fixing part 213, a pair of first fixing hooks 213a are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weight loss hole 11b,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parts 213b are supported on the weight loss hole 11b. Since it is support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s of (11b), movement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may be restricted while fixed to the back cover (11).

상기 잠금부재(220)는 상기 제2고정부(213)의 고정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백커버(11)의 내측에서 상기 제2고정부(213)와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후크(213a)를 고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221) 및 상기 제1고정후크(21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고정부(213)의 결합돌기(213c)와 맞물리는 한 쌍의 제2고정후크(222)를 포함한다.The locking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13 on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11 to prevent the fixed stat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3 from being released arbitrarily. A first support portion 221 is inserted between a pair of first fixing hooks 213a and supports the first fixing hook 213a in the fixing direction, and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fixing hook 213a and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fixing hooks 222 that engage with the engaging protrusions 213c of the pair of second fixing parts 213.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후크(222)는 각각 캔틸레버형 막대 끝에 후크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잠금부재(220)를 제2고정부(213)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2지지부(213b)와 접촉하여 탄성변형하였다가 제2지지부(213b)에 형성된 결합돌기(213c)와 맞물린 후 탄성복원되면서 제2고정부(213)에 대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pair of second fixing hooks 222 may each have a hook shape formed at the end of a cantilever-shaped rod, an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locking member 220 to the second fixing part 213, the second support part 213b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3b and is then elastically restored after engaging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213c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3b, thereby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213.

즉, 상기 마감커버(210)는 제1고정부(212)가 백커버(11)의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결합되고, 제2고정부(213)가 백커버(11)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잠금부재(220)에 의해 백커버(11)에 대한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구속되므로, 백커버(1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감커버(210)와 잠금부재(220)는 각각 무볼트 결합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 기존의 쇼핑 카트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inishing cover 210, the first fixing part 212 is coupl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ack cover 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213 is coupled in a direction penetrating the back cover 11. Since the assembl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ack cover 11 is firmly restrained by the locking member 220, arbitrary separation from the back cover 1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particular, since the finishing cover 210 and the locking member 220 are each coupled by a boltless coupling method, they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shopping cart without separate tools.

지금부터는 상술한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From now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portable article holder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따른 거치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제1거치대에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의 제2거치대에 음료컵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따른 개폐커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Among the attached drawings,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portable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is placed on a first holder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holder,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verage cup is placed in a second holder of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according to the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0,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0,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shopping carts equipped with portable article ho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verlapp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에 따른 거치부(100)는 고정플레이트(110)가 손잡이(20)에 고정된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의 사이에 조립될 수 있고, 제1거치대(120) 및 제2거치대(13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전단부에서 상향 경사 배치되어 사용자의 휴대폰 및 음료컵 등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두 손으로 손잡이(20)를 잡고 쇼핑 카트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6, the carrying part 100 according to the shopping cart equipped with the portable arti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part 30 and a cover member 40 in which a fixing plate 110 is fixed to the handle 20. It can be assembled between the first holder 120 and the second holder 130, so that the first holder 120 and the second holder 130 are disposed at an upward slope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110 to hold the user's mobile phone, beverage cup, etc., so that the two You can move the shopping cart stably by holding the handle 20 with your hand.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저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111)는 상기 안착부(30)의 제1결합부(32)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면에 형성된 제4결합부(112)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제2결합부(41)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third coupling portion 11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xing plate 1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 of the seating portion 30, The fourth coupling portion 11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 of the cover member 40.

따라서, 본 발명의 거치부(100)를 설치하기 위한 새로운 지지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가 마련된 일반적인 쇼핑 카트에 거치부(100)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a new support structure is not required to install the mounting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applied to a general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n existing seating portion 30 and a cover member 40. You can.

즉, 기존의 쇼핑 카트는 안착부(30)에 제1결합부(32)가 형성되고, 안착부(30)에 조립되는 커버부재(40)에 상기 제1결합부(32)와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41)가 형성되는데, 안착부(30)로부터 커버부재(40)를 분리한 다음,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 사이에 거치부(100)의 고정플레이트(110)를 배치하면서, 고정플레이트(110) 저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111)를 안착부(30)의 제1결합부(32)에 조립하고, 고정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4결합부(112)에 커버부재(40)의 제2결합부(41)를 조립함으로써,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 사이에 거치부(100)의 고정플레이트(110)를 조립할 수 있다. That is, the existing shopping cart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32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 can be coupled to the cover member 40 assembled to the seating portion 30. A second coupling portion 41 is formed. After separating the cover member 40 from the seating portion 30, a fixing plat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s plac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cover member 40 ( 110), the third coupling portion 11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xing plate 110 is assemb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 of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fourth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0 is assembled. By assembl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 of the cover member 40 to the coupling portion 112, the fixing plate 110 of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assembl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cover member 40. there is.

상기와 같이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 사이에 고정플레이트(11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고정플레이트(110) 전단부 일측에 배치된 제1거치대(120)에 휴대폰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고, 고정플레이트(110)의 전단부 타측에 배치된 제2거치대(130)에 음료컵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두 손으로 손잡이(20)를 잡고 쇼핑 카트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fixing plate 110 is fixed between the seating part 30 and the cover member 40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can be plac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the first holder 1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110. Since it can be mounted in any direction and the beverage cup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13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110,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20 with both hands to stabilize the shopping cart. It can be moved.

구체적으로, 도 8의 (a)와 같이 제1거치대(120)의 제1안착홈(121)에는 휴대폰(M)을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휴대폰(M)은 제1안착홈(121)의 지지면에 배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측면에 의해 안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1안착홈(121)의 전면 개구측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23)에 의해 휴대폰(M)의 전면부 하단이 지지되므로, 쇼핑 카트의 이동중 외부 충격에 의해 휴대폰(M)이 제1안착홈(121)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 8, the mobile phone M can be plac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of the first holder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mobile phone M can be stably maintained in its seating position by a plurality of sides with its back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and the front opening sid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Since the bottom of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M) is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23 formed at the bottom, the mobile phone (M) can be prevented from arbitrarily leaving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due to external shock while the shopping cart is moving. there is.

또한, 제1안착홈(121) 내에 휴대폰(M)이 가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폰(M) 배면에 마련된 액세서리가 제1안착홈(121)의 지지면 중앙으로부터 함몰된 제2안착홈(122) 내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휴대폰(M) 배면에 액세서리를 부착한 경우에도 휴대폰(M)의 거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mobile phone (M) is placed horizontally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the accessory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M) is a second seating groove ( 122), the mobile phone (M) can be held in a stable state even when accessories ar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M).

이어, 도 8의 (b)와 같이 제1거치대(120)의 제2안착홈(122)에는 휴대폰(M)을 세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다. 제2안착홈(122) 내에 수용된 휴대폰(M)은 제1안착홈(121)의 지지면에 배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측면에 의해 안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1안착홈(121)의 전면 개구측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23)에 의해 휴대폰(M)의 전면부 하단이 지지되므로, 쇼핑 카트의 이동중 외부 충격에 의해 휴대폰(M)이 제2안착홈(122)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b) of FIG. 8, the mobile phone M can be placed vertically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of the first holder 120. The mobile phone M accommod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can be stably maintained in its seating position by a plurality of sides with its back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Since the bottom of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M) is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2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pening side of (121), the mobile phone (M)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by external shock while the shopping cart is moving. Arbitrary departure can be prevented.

한편,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휴대폰(M)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휴대폰(M)에 비해 무게중심이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쇼핑 카트의 이동 중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움직일 수 있는데, 상기 제2안착홈(122)이 제1안착홈(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사각도로 형성되고, 제2안착홈(122)의 지지면 상단부가 제1안착홈(121)의 지지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므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휴대폰(M)이 제2안착홈(122) 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bile phone M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compared to the mobile phone M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easily moved by external shocks during movement of the shopping cart,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Since (122) is formed at a relatively low inclination angle compar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is plac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 the mobile phone M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stably supported with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아울러, 상기 제2안착홈(122)의 상단에는 제2안착홈(122)에 안착된 휴대폰(M)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착홈(122)의 지지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탈착을 위한 고정홀(125, 도 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워크의 경사각도가 크거나 바닥면 요철이 많은 경우 등, 제2안착홈(122) 내에 지지된 휴대폰(M)이 쉽게 이탈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2안착홈(122)의 고정홀(125)에 고정부를 설치하여 휴대폰(M)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xing part (not shown) capable of fixing the top of the mobile phone M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art (not shown). A fixing hole 125 (see FIG. 2) for detachment of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groove 122. Therefor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mobile phone (M) suppor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can easily come off, such as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oving walk is large or the floor has many irregularities,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is installed as necessary.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fixing part in the fixing hole 125 to fix the mobile phone (M) more stably.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치대(130)의 링형 지지홈(131)에는 음료컵(C)을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링형 지지홈(131)은 상향 경사배치되는 제2거치대(130) 상에서 음료컵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9, a beverage cup (C) can be placed in the ring-shaped support groove 131 of the second holder 130, and the ring-shaped support groove 131 is disposed at an upward ang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verage cup is placed horizontally to prevent it from tilting.

또한, 상기 링형 지지홈(13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1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형 지지홈(131) 내에 수용된 음료컵(C)이 지지홈(131) 내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32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shaped support groove 131, the beverage cup C accommodated in the ring-shaped support groove 13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stricted within the support groove 131.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개폐커버(200)는 도 6 및 도 10과 같이 바스켓(10)의 후단부 개구를 마감하는 백커버(11)에 조립되어 백커버(11)의 다리통과홀(11a)을 폐쇄함으로써 유아시트부(12)에 유아가 착석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아가 거치부(100)에 거치된 음료컵을 만져 화상을 입거나 음료를 쏟아 매장 바닥을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the back cover 11 that closes the rear end opening of the basket 10, as shown in FIGS. 6 and 10, to close the leg passage hole 11a of the back cover 11.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strict infants from sitting on the child seat portion 12, and this prevents infants from getting burned by touching the beverage cup mounted on the holder 100 or spilling beverages and contaminating the store floor. .

한편, 백커버(11)의 다리통과홀(11a)이 개폐커버(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는, 유아시트부(12)를 펼쳐 유아시트부(12) 내에 각종 쇼핑 물품이나 가방 등을 보관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leg passage hole (11a) of the back cover (11) is closed by the opening/closing cover (200), the child seat part (12) is unfolded to store various shopping items, bags, etc. in the child seat part (12). You can.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커버(210)는 고리형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212)가 백커버(11)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212)와 연결된 마감플레이트(211)가 상기 백커버(11)의 다리통과홀(11a)을 마감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211)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2고정부(213)가 백커버(11)의 다리통과홀(11a) 하부영역의 판면에 형성된 살빼기용 구멍(11b)에 체결됨에 따라, 백커버(11)의 외측면에 조립된다. As shown in FIGS. 10 to 12, the finishing cove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212 in a ring-shaped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21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 cover 11. The connected finishing plate 211 closes the leg passage hole 11a of the back cover 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213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nishing plate 211 is connected to the leg of the back cover 11. As it is fastened to the weight loss hole (11b) forme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lower area of the passage hole (11a), it is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또한, 백커버(11)의 내측면에 배치된 잠금부재(220)는 백커버(11)를 관통하여 체결된 제2고정부(213)에 결합되면서 제2고정부(213)의 결합상태를 고정함에 따라, 마감커버(210)의 제2고정부(213)가 백커버(1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22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13 fastened through the back cover 11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3. By fixing, the second fixing part 213 of the finishing cover 2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back cover 11.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1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고정부(213)는 서로 대칭이 되는 형태로 배치된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가 백커버(11)의 살빼기용 구멍(11b)으로 삽입되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였다가 상기 제1고정후크(213a)의 선단부 후크가 살빼기용 구멍(11b)을 빠져나가면서 탄성복원되어 백커버(11)에 대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어, 백커버(1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잠금부재(220)는 제1지지부(221)가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 사이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후크(213a)를 각각 고정방향으로 지지하므로, 상기 제2고정부(213)가 백커버(1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fixing part 213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has a pair of first fixing hooks 213a arranged in a symmetrical form to the back cover 11. As they are inserted into the weight loss hole 11b of the cover 11, they ar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hat approaches each other, and then the front end hook of the first fixing hook 213a is elastically restored as it passes through the weight loss hole 11b, thereby forming the back cover. (11) is concluded. Next, the locking member 22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has a first support portion 221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hooks 213a and Since (213a) is supported in each fixed direction, the second fixing part 21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back cover 11.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220)는 상기 제1지지부(221)가 제1고정후크(213a) 사이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2고정후크(222)가 상기 제2고정부(213)의 제2지지부(213b)에 마련된 결합돌기(213c)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213)에 대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locking member 220 is connected to a pair of second fixing hooks 222 with the first support part 221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xing hooks 213a. The second fixing part 213 is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13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213b.

즉, 상기 마감커버(210)의 제2고정부(213)는 백커버(11)의 외측면에서 백커버(11)에 고정되고, 상기 잠금부재(220)는 백커버(11)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2고정부(213)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2고정부(213)의 백커버(11)에 대한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구속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마감커버(210)가 백커버(1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fixing part 213 of the finishing cover 210 is fixed to the back cover 11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and the locking member 22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1. Since it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13 and at the same time firmly restrains the locking state of the second fixing part 213 to the back cover 11, the finishing cover 210 is damaged by external shock, etc. 11), it can effectively prevent arbitrary separation.

한편, 상기 제2지지부(213b)와 제2고정후크(222)는 각각 캔틸레버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 탄성복원 상태에서 제2지지부(213b)의 결합돌기(213c)와 제2고정후크(222)의 후크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213b)와 제2고정후크(222)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해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2지지부(213b)의 결합돌기(213c)와 제2고정후크(222)의 후크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상기 잠금부재(220)를 제2고정부(21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3b and the second fixing hook 222 each have a cantilever shap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3c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3b and the second fixing hook 222 are each in an elastically restored state. The hooks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as they engage with each other, and when either the second support part 213b or the second fixing hook 222 is pressed in the release direction,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of the second support part 213b ) and the second fixing hook 222 are disconnected, so the locking member 22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ing part 213.

예컨대, 상기 제2고정부(213)의 상기 제2고정후크(22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후크(222)와 결합돌기(213c)의 결합은 상기 개구의 내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끝이 뾰족한 일자 드라이버나 송곳과 같은 공구를 이용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된 제2고정후크(222)를 고정해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213b)의 결합돌기(213c)와 제2고정후크(222)의 후크를 분리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n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ok 222 of the second fixing part 213, and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fixing hook 222 and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is formed inside the opening. Can be placed in an area. Therefore, by pressing the second fixing hook 222 exposed through the opening in the release direction using a tool such as a sharp-tipped flat screwdriver or an awl,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3b and the second fixing hook 2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ook of the fixing hook 222 can be separated.

또한, 상기 제2지지부(213b)는 결합돌기(213c)를 사이에 두고 제2고정후크(222)와 이격되고, 상기 잠금부재(220)의 상기 결합돌기(213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213c)에는 상기 결합돌기(213c)를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끝이 뾰족한 일자 드라이버나 송곳과 같은 공구를 상기 개구를 통해 제2지지부(213b)와 제2고정후크(222) 사이공간으로 삽입한 다음 결합돌기(213c)의 경사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213b)의 결합돌기(213c)와 제2고정후크(222)의 후크를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3b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hook 222 with an engaging protrusion 213c therebetween, and an opening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of the locking member 220.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to move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in a separation direction. Therefore, a tool such as a flat screwdriver or an awl with a sharp e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support part 213b and the second fixing hook 222 through the opening, and t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is press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213c of the support portion 213b and the hook of the second fixing hook 222 can be separated.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쇼핑 카트의 손잡이(20)에 마련된 안착부(30)로부터 커버부재(40)와 광고물을 분리한 다음,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 사이에 거치부(100)를 조립할 수 있어 기존의 쇼핑 카트에 거치부(100)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카트에 설치된 거치부(10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안착부(30)와 커버부재(40) 사이에서 거치부(100)를 분리한 다음, 안착부(30)의 상면에 광고물과 커버부재(40)를 다시 조립하여 쇼핑 카트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member 40 and the advertisement ar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30 provided on the handle 20 of the existing shopping cart, and then between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cover member 40. Since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assembled,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shopping cart. In addition, if the mounting portion 100 installed on the shopping cart is unnecessary, separate the mounting portion 100 between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cover member 40, and then place the advertisement and cov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0. The shopping car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reassembling the member 40.

아울러, 상기 개폐커버(200)는 백커버(11)에 조립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백커버(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쇼핑 카트에 개폐커버(200)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백커버(11)로부터 제거하여 쇼핑 카트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00 effectively prevents arbitrary separation by external force while assembled on the back cover 11,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back cover 11 when necessary. Therefore, not only ca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00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shopping cart, but also the shopping car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removing it from the back cover 11 when necessary.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쇼핑 카트는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개가 중첩(nesting)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바스켓(10)은 후단 개구가 회동식 백커버(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후단 개구에 설치된 백커버(11)가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하여 바스켓(10)의 후단 개구를 폐쇄하고, 중첩시에는 후단 개구를 통해 진입하는 다른 쇼핑 카트의 바스켓(10)에 의해 밀려 상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3, a typical shopping cart has a structure in which multiple shopping carts can be nested to minimize storage space. For this purpose, the basket 10 is configured so that the rear end opening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otating back cover 11, and the back cover 11 installed at the rear end opening normally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to open the basket 10. The rear end opening is closed, and when overlapping, it is configured to be pushed by the basket 10 of another shopping cart entering through the rear end opening and to rotate upward.

여기서, 손잡이(20)의 안착부(30)에 조립된 거치부(100)의 제1거치대(120) 및 제2거치대(130)는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쇼핑 카트가 중첩된 상태에서 인접 쇼핑 카트의 손잡이(2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Here, the first holder 120 and the second holder 130 of the mounting portion 100 assembled to the seating portion 30 of the handle 20 are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a plurality of shopping carts overlap. In this state,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handle 20 of an adjacent shopping cart.

또한, 백커버(11)에 조립되는 개폐커버(200)는 백커버(11)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구조가 견고하게 구속됨에 따라, 쇼핑 카트의 중첩 과정에서 개폐커버(2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00 assembled on the back cover 11 is firmly restrained in the fixed structure while being fixed to the back cover 11, so the impact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200 during the overlapping process of the shopping cart is reduced. I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separated arbitrarily.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바스켓, 11:백커버, 11a:다리통과홀,
11b:살빼기용 구멍, 12:유아시트부, 13:프레임,
14:바퀴, 20:손잡이, 30:안착부, 31:안착홈,
32:제1결합부, 40:커버부재, 41:제2결합부,
100:거치부, 110:고정플레이트, 111:제3결합부,
112:제4결합부, 113:보강살, 114:관통홀,
120:제1거치대, 121:제1안착홈, 122:제2안착홈,
123:걸림턱, 124:개구부, 125:고정홀,
130:제2거치대, 131:지지홈, 132:지지돌기,
200:개폐커버, 210:마감커버, 211:마감플레이트,
212:제1고정부, 213:제2고정부, 213a:제1고정후크,
213b:제2지지부, 213c:결합돌기, 220:잠금부재,
221:제1지지부, 222:제2고정후크
10: Basket, 11: Back cover, 11a: Leg passage hole,
11b: Hole for weight loss, 12: Child seat part, 13: Frame,
14: Wheel, 20: Handle, 30: Seating part, 31: Seating groove,
32: first coupling portion, 40: cover member, 41: second coupling portion,
100: holder, 110: fixing plate, 111: third coupling part,
112: Fourth joint, 113: Reinforcement spoke, 114: Through hole,
120: first holder, 121: first seating groove, 122: second seating groove,
123: Locking jaw, 124: Opening, 125: Fixing hole,
130: second holder, 131: support groove, 132: support protrusion,
200: Opening/closing cover, 210: Finishing cover, 211: Closing plate,
212: first fixing part, 213: second fixing part, 213a: first fixing hook,
213b: second support portion, 213c: coupling protrusion, 220: locking member,
221: first support, 222: second fixed hook

Claims (21)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안착부와 커버부재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휴대용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일측에 연장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Baskets for storing items;
A hand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ket;
A seating portion fixed to the handl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 cover member detachably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cover member and includes a holder extending on one side for holding portable artic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3결합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제4결합부가 상면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
A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capable of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cover member,
The holding unit is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late having a third coupling portion capable of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and a fourth coupling portion capable of coupling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hopping c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1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거치대의 전면 개구 하단에는 휴대폰의 전면부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shopping cart is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first holder capable of supporting a mobile phone,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bottom of a front opening of the first holder to support a lower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1안착홈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는 쇼핑 카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3,
The first holder is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shopping cart portable article holder including a first seating groove capable of supporting a horizontally arranged mobile phone and a second seating groove capable of supporting a vertically arranged mobile phon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홈의 상단에는 제2안착홈 내에 안착된 휴대폰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4,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on the top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wherein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mobile phone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provid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은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4,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제1안착홈의 중앙에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사각도를 갖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6,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has a relatively low inclination angle compar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홈의 판면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7,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음료컵을 지지할 수 있는 링형의 제2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3,
The holder is a shopping cart equipp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cluding a ring-shaped second holder capable of supporting a beverage cup.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복수의 쇼핑 카트가 중첩된 상태에서 인접 쇼핑 카트의 손잡이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향 경사 배치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2,
A shopping cart including a portable article holder that is inclin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so that the hold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andle of an adjacent shopping cart when a plurality of shopping carts are overlapp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격자 형태의 보강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보강살의 교차부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2,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 which grid-shaped reinforcing bar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at inters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of the fixing pl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경사 배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경사 방향 하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2,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at an angl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in an inclined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복수의 쇼핑 카트가 중첩될 수 있도록 후단부가 개구되고, 판면에 다리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후단부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아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가 안착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아시트부에 유아가 착석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백커버의 다리통과홀을 폐쇄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basket has a rear end open so that a plurality of shopping carts can overlap, a leg passage hole i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a back cov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rear end of the basket, and a child seat installed inside the back cover. Contains wealth,
A shopping cart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closing cover that closes the leg passage hole of the back cover to restrict an infant from sitting on the child seat while the holder is assembled to the seating por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백커버의 외측면에서 상기 다리통과홀을 마감한 상태로 백커버에 고정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3,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s a shopping cart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cluding a finishing cover fixed to the back cover with the leg passage hole cl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마감커버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마감커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4,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nishing cover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a second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nishing cover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백커버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5,
The first fixing part is a shopping cart having a portable article holder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ck cov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백커버의 외측에서 백커버의 판면을 관통한 상태로 백커버에 고정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5,
The second fixing part is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fixed to the back cover while penetrating the plate surface of the back cover from the outside of the back cover.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백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제2고정부와 맞물리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7,
The opening/closing cover further includes a locking member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art on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to prevent the second fixing part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고정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고정후크가 고정해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백커버에 고정된 상태의 제1고정후크를 고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8,
The second fixing part includes a pair of first fixing hoo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first fixing hook fixed to the back cover in a fixe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fixing hook does not move in the release direction.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고정후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고정후크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19,
The locking memb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fixing hook and includes a pair of second fixing hook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상기 제2고정후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2고정후크와의 결합을 위한 제2지지부가 형성되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를 구비한 쇼핑 카트.
According to clause 20,
A shopping cart provided with a portable article holder in which a second support part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fixing hook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ok of the second fixing part.
KR1020220111423A 2022-09-02 2022-09-02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KR202400324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23A KR20240032444A (en) 2022-09-02 2022-09-02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23A KR20240032444A (en) 2022-09-02 2022-09-02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444A true KR20240032444A (en) 2024-03-12

Family

ID=9029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423A KR20240032444A (en) 2022-09-02 2022-09-02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44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116A (en) 2011-03-17 2012-09-26 주식회사 삼보 Cart for shopp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116A (en) 2011-03-17 2012-09-26 주식회사 삼보 Cart for shop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5346A (en) Collapsible cart assembly
US7494135B2 (en) Shopping vehicle
US6540240B2 (en) Collapsible compartment for a shopping cart
US7766347B2 (en) Seat assembly for a shopping cart
US20100072731A1 (en) Modular Stroller
US7384049B2 (en) Cupholder for a shopping cart
US20090014971A1 (en) Shopping cart base
US5810437A (en) Portable, collapsible child safety seat for use in a shopping cart
GB2259282A (en) A trolley with a foldable seat assembly.
US20070063462A1 (en) Seat assembly for a shopping cart
CN102653281B (en) Perambulator
US9637152B2 (en) Support shelf for a shopping cart and associated shopping assembly
JP5666831B2 (en) Shopping cart
US20140312585A1 (en)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US20130038042A1 (en) Portable Shopping Cart With Collapsible Basket and Seating for Multiple Children
US7410178B2 (en) Shopping cart handle
US3885806A (en) Nestable stroller
US20070063465A1 (en) Shopping cart basket
US2889151A (en) Folding baby seats for grocery carts
JP5833734B2 (en) Shopping cart
KR20240032444A (en) Shopping cart with portable item holder
JP2005225474A (en) Cart for placing of shopping basket
JP4150602B2 (en) Wheelbarrow
KR20120106116A (en) Cart for shopping
JP4586036B2 (en) Wheelb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