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406A -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406A
KR20240032406A KR1020220111343A KR20220111343A KR20240032406A KR 20240032406 A KR20240032406 A KR 20240032406A KR 1020220111343 A KR1020220111343 A KR 1020220111343A KR 20220111343 A KR20220111343 A KR 20220111343A KR 20240032406 A KR20240032406 A KR 2024003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dy
valve
spool
hydraulic chamb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씨
Priority to KR102022011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406A/ko
Publication of KR2024003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압력 증감을 위한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압챔버가 형성된 실린더 본체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가감하여 상기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숏스트로크 모드 또는 롱스트로크 모드로 설정하는 미들밸브와 오토 BPM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는, 피스톤이 결합되며 유체가 저장되는 유압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유압챔버와 통하며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고압유로와 저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밸브는, 실린더 본체의 유압챔버에 통하는 제1저압유로 또는 제1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1스풀이 포함되고, 상기 오토 BPM 밸브는, 실린더 본체의 유압챔버에 통하는 제2저압유로 또는 제2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2스풀을 포함하며, 유압챔버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제3유로와, 실린더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3유로를 개폐시키는 모드선택밸브 A; 유압챔버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제4유로와,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4유로를 개폐시키는 모드선택밸브 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Hydraulic breaker with automatic or manual stroke distance switching function and stroke distance switching control method of hydraulic break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하고자 하는 암반의 강도에 따라 롱스트로크 또는 쇼트 스트로크로 구분하여 스트로크를 자동 전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롱스트로크 또는 쇼트 스트로크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여 암반의 강도에 따라 스트로크 동작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2단 스트로크 전환 기능을 구비한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브레이커(Hydraulic Breaker)는 굴삭기(Excavator), 로더(Loader) 등의 건설장비(Construction Equipment)에 장착하여 콘크리트나 암반 등의 파쇄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파쇄공구인 치즐을 실린더의 유압력으로 피스톤을 상·하강하면서 타격하는 타격력에 의해 콘크리트 및 암반을 파쇄시킨다.
이러한 유압브레이커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실린더의 전방에는 대상물을 파쇄할 때 사용하는 치즐이 부착된다. 실린더의 작동으로 피스톤이 왕복 이동되면 치즐이 타격되고 대상물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대상물이 쪼개지거나 부서진다.
유압실린더의 후단부에는 가스실이 구비되고, 유압실린더의 표면 일측에는 피스톤의 작동에 필요한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가 마련되며, 유체제어부와 인접한 유압실린더의 표면에 유압오일을 일시 저장하여 운동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가 형성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4071호 "유압 브레이커 제어를 위한 스트로크 밸브(선행특허 1)"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 특허1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압력 증감을 위한 복수의 유로이 형성되는 실린더 본체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제어를 위한 스트로크 밸브로서, 유압 브레이커의 유로과 연결되고, 각 유로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가감하여 상기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8987호 "자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선행특허 2)"가 개시된 바 있다.
선행 특허 2를 살펴보면, 유압 브레이커는 실린더 압력변환실과 실린더 상실 사이에 치즐이 피파쇄물을 뚫고 들어간 파쇄깊이를 감지하는 파쇄깊이 감지부, 및 두 개의 수압면들을 구비하고 파쇄깊이 감지부에 의해 일측 수압면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작동유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어 제1실린더 전환실 및 제2실린더 전환실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행정거리 전환밸브를 포함한다.
파쇄깊이 감지부는, 파쇄 작업 시 피파쇄물의 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피스톤 상부 대단경의 상면 위치에 따라 실린더 상실의 고압 작동유가 선택적으로 두 개의 수압면을 구비한 위치감지밸브의 일측 수압면에 공급되어 위치감지밸브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전환됨에 따라, 상시 제2유로와 상기 행정거리 전환밸브(이하 '오토 BPM 밸브')의 수압면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위치가 결정되는 오토 BPM 밸브에 의해 자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실린더 제어실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작업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작업환경(암질의 상태)에 따라 수시로 롱스트로크와 숏스트로크가 불규칙하게 반복하게 되어 오히려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며, 작업자에 따라 심한 작업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시로 반복되는 불규칙한 작동 현상은 유압 브레이커의 구성품에 무리를 주어 고장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98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환경 즉, 암질의 상태에 맞춰 작업자가 유압 브레이커의 작동방식을 행정거리에 따라 숏스트로크 또는 롱스트로크로 고정시켜 선택할 수 있어 작업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고, 잦은 행정거리 변동을 방지함으로써 유압 브레이커의 부하를 절감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압력 증감을 위한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압챔버가 형성된 실린더 본체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가감하여 상기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숏스트로크 모드 또는 롱스트로크 모드로 설정하는 미들밸브와 오토 BPM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는, 피스톤이 결합되며 유체가 저장되는 유압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유압챔버와 통하며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고압유로와 저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밸브는, 실린더 본체의 유압챔버에 통하는 제1저압유로 또는 제1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1스풀이 포함되고, 상기 오토 BPM 밸브는, 실린더 본체의 유압챔버에 통하는 제2저압유로 또는 제2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2스풀을 포함하며, 유압챔버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제3유로와, 실린더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3유로를 개폐시키는 모드전환밸브 A; 유압챔버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제4유로와,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4유로를 개폐시키는 모드전환밸브 B;를 포함하는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의 모드전환 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는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숏스트로크 모드일 경우, 미들밸브는 제1스풀이 하강하여 제1고압유로를 차단시킨 상태이고, 오토 BPM 밸브는 제2스풀이 상승하여 제2저압유로를 개방하여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도록 하며, 모드선택밸브 A는, 제3유로를 개방시키고, 모드선택밸브 B는 제4유로를 차단하여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며, 일정 체적으로 저장되되 유체의 일부는 제3유로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피스톤의 1단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모드전환 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는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롱스트로크 모드일 경우, 미들밸브는 제1스풀이 하강하여 제1고압유로를 차단시킨 상태이고, 오토 BPM 밸브는 제2스풀이 상승하여 제2저압유로를 개방하여 저압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도록 하며, 모드전환밸브 A는 제3유로를 차단시키고, 모드전환밸브 B는 제4유로를 차단시켜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어 일정 체적으로 저장되어 피스톤의 2단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질의 상태에 맞춰 작업자가 유압 브레이커의 작동방식을 행정거리에 따라 숏스트로크 또는 롱스트로크로 고정시켜 선택할 수 있어 작업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고, 잦은 행정거리 변동을 방지함으로써 유압 브레이커의 부하를 절감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숏스트로크 모드일때 피스톤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미들밸브, 오토 BPM밸브, 모드선택밸브 A, 모드선택밸브 B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롱스트로크 모드일때 피스톤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미들밸브, 오토 BPM밸브, 모드선택밸브 A, 모드선택밸브 B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숏스트로크 모드일 때 피스톤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숏스트로크 모드일때 피스톤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미들밸브, 오토 BPM밸브, 모드선택밸브 A, 모드선택밸브 B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롱스트로크 모드일때 피스톤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미들밸브, 오토 BPM밸브, 모드선택밸브 A, 모드선택밸브 B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오토 BPM 기능을 설정할 경우 미들밸브, 오토 BPM밸브, 모드선택밸브 A, 모드선택밸브 B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는,
피스톤(120)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압력 증감을 위한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압챔버(140)가 형성된 실린더 본체(100)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가감하여 상기 피스톤(120)의 행정거리를 숏스트로크 모드 또는 롱스트로크 모드로 설정하는 미들밸브(V1)와 오토 BPM 밸브(V2)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챔버(140)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3유로(L3)와, 실린더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제3유로(L3)를 개폐시키는 모드선택밸브 A(300);
상기 유압챔버(140)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4유로(L4)와, 실린더 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제4유로(L4)를 개폐시키는 모드선택밸브 B(400);를 포함한다.
실린더 본체(100)는 피스톤(120)이 결합되며 유체가 저장되는 유압챔버(140)가 형성되고, 상기 유압챔버(140)와 통하며 실린더 본체(100)에 형성되는 고압유로와 저압유로가 형성된다.
실린더 본체(100)에는 프론트 헤드(110)가 결합되며, 프론트 헤드(320)의 내부에 치즐(200)이 결합되어 일단이 피스톤(120)에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미들밸브(V1)는 실린더 본체(100)의 유압챔버(140)에 통하는 제1저압유로(LL1) 또는 제1고압유로(HL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1스풀(S1)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오토 BPM 밸브(V2)는 실린더 본체(100)의 유압챔버(140)에 통하는 제2저압유로(LL2) 또는 제2고압유로(HL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2스풀(S2)을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2스풀(S2)이 상승상태가 되어 오토 BPM 밸브(V2)는 항상 'ON'상태로 유지된다.
모드선택밸브 A(300)는 실린더 본체(100)의 홀에 나사 결합되는 제3스풀(310)과, 제3스풀(310)의 상단에 체결되어 실린더 본체(100)에 밀착되는 헤드(320)로 구성되며, 제3스풀(310)의 하단이 제3유로(L3)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써 개폐작동을 하게 된다.
모드선택밸브 B(400)는 실린더 본체(100)의 홀에 나사 결합되는 제4스풀(410)과, 제4스풀(410)의 상단에 체결되어 실린더 본체(100)에 밀착되는 헤드(420)로 구성되며, 제4스풀(410)의 하단이 제4유로(L4)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써 개폐작동을 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숏스트로크 모드일 경우, 미들밸브(V1)는 제1스풀(S1)이 하강하여 제1고압유로(HL1)를 차단시킨 상태가 된다.
오토 BPM 밸브(V2)는 제2스풀(S2)이 상승하여 제2저압유로(LL2)를 개방하여 유체가 실린더 본체(100) 내의 유압챔버(140)에 공급되도록 한다.
모드선택밸브 A(300)의 제3스풀(310)을 회전시켜 상승토록 하여 제3유로(L3)를 개방시킨다.
모드선택밸브 B(400)의 제4스풀(410)을 회전시켜 하강토록 하여 제4유로(L4)를 차단한다.
따라서 유체가 실린더 본체(100) 내의 유압챔버(140)에 공급되며, 일정 체적으로 저장되되 유체의 일부는 제3유로(L3)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피스톤(120)의 1단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롱스트로크 모드일 경우, 미들밸브(V1)는 제1스풀(S1)이 하강하여 제1고압유로(HL1)를 차단시킨 상태이다.
오토 BPM 밸브(V2)는 제2스풀(S2)이 상승하여 제2저압유로(LL2)를 개방하여 저압 유체가 실린더 본체(100) 내의 유압챔버(140)에 공급되도록 한다.
모드선택밸브 A(300)의 제3스풀(310)이 하강하여 제3유로(L3)를 차단시킨다.
모드선택밸브 B(400)의 제4스풀(410)이 하강하여 제4유로(L4)를 차단시킨다.
따라서 유체가 실린더 본체(100) 내의 유압챔버(140)에 공급되어 일정 체적으로 저장되어 피스톤(120)의 2단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오토 BPM 기능을 설정할 경우, 미들밸브(V1)는, 제1스풀(S1)이 하강하여 제1고압유로(HL1)를 차단하고, 제1저압유로(LL1)를 개방하여 저압 유체가 유압챔버(140)에 공급되어 피스톤(120)의 1단 또는 2단 행정거리가 설정된다.
오토 BPM 밸브(V2)는, 제2스풀(S2)이 하강하여 제2저압유로(LL2)를 차단하고, 제2고압유로(HL2)를 개방하여 고압 유체가 상기 유압챔버(140)에 공급되어 피스톤의 1단 또는 2단 행정거리가 설정된다.
모드선택밸브 A(300)의 제3스풀(310)이 하강하여 제3유로(L3)를 차단시킨다.
모드선택밸브 B(400)의 제4스풀(410)이 하강하여 제4유로(L4)를 차단시킨다.
따라서 모드선택밸브 A(300), 모드선택밸브 B(400)는 차단 상태가 되므로 미들밸브(V1)와 오토 BPM 밸브(V2)의 기능에 의해 유체가 실린더 본체(100) 내의 유압챔버(140)에 공급되어 일정 체적으로 저장되어 피스톤(120)의 1단 행정거리 또는 2단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으로 수시로 변동되면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선택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모드선택 모드선택밸브 A 모드선택밸브 B
자동(AUTO BPM) OFF ON
short 스트록크 ON OFF
Long 스트록크 OFF OFF
오토 BPM밸브는 항상 'ON'상태이고, 필요에 따라 모드선택 밸브 A,B를 선택적으로 온, 오프 설정함으로써 숏 스트로크 모드와 롱 스트로크 모드를 수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오토 BPM 기능이 항상 자동으로 유지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 모드, 숏 스트로크 모드, 롱 스트로크 모드를 선택 가능함으로써 잦은 행정거리 변도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타격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실린더 본체 110 : 프론트 헤드
140 : 유압챔버 200 : 치즐
V1 : 미들밸브 V2 : 오토 BPM밸브
300 : 모드선택밸브 A 310 : 제2스풀
400 ; 모드선택밸브 B 410 : 제4스풀
HL1 : 제1고압유로 HL2 : 제2고압유로
LL1 : 제1저압유로 LL2 ; 제2저압유로
L3 ; 제3유로 L4 ; 제4유로

Claims (4)

  1.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압력 증감을 위한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압챔버가 형성된 실린더 본체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의 압력을 선택적으로 가감하여 상기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숏스트로크 모드 또는 롱스트로크 모드로 설정하는 미들밸브와 오토 BPM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는,
    피스톤이 결합되며 유체가 저장되는 유압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유압챔버와 통하며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고압유로와 저압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밸브는, 실린더 본체의 유압챔버에 통하는 제1저압유로 또는 제1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1스풀이 포함되고,
    상기 오토 BPM 밸브는,
    실린더 본체의 유압챔버에 통하는 제2저압유로 또는 제2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승 또는 하강작동되는 제2스풀을 포함하며,
    유압챔버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제3유로와, 실린더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3유로를 개폐시키는 모드선택밸브 A;
    유압챔버에 통하도록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는 제4유로와,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4유로를 개폐시키는 모드선택밸브 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밸브 A는, 실린더 본체의 홀에 나사 결합되는 제3스풀과, 제3스풀의 상단에 체결되어 실린더 본체에 밀착되는 헤드로 구성되며, 제3스풀의 하단이 제3유로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써 개폐작동을 하는 것이고,
    상기 모드선택밸브 B는, 실린더 본체의 홀에 나사 결합되는 제4스풀과, 제4스풀의 상단에 체결되어 실린더 본체에 밀착되는 헤드로 구성되며, 제4스풀의 하단이 제4유로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써 개폐작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모드전환 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는 행정거리 전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숏스트로크 모드일 경우,
    미들밸브는 제1스풀이 하강하여 제1고압유로를 차단시킨 상태이고, 오토 BPM 밸브는 제2스풀이 상승하여 제2저압유로를 개방하여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도록 하며,
    모드선택밸브 A는, 제3유로를 개방시키고,
    모드선택밸브 B는 제4유로를 차단하여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며, 일정 체적으로 저장되되 유체의 일부는 제3유로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피스톤의 1단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는 행정거리 전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롱스트로크 모드일 경우,
    미들밸브는 제1스풀이 하강하여 제1고압유로를 차단시킨 상태이고, 오토 BPM 밸브는 제2스풀이 상승하여 제2저압유로를 개방하여 저압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도록 하며,
    모드선택밸브 A는 제3유로를 차단시키고,
    모드선택밸브 B는 제4유로를 차단시켜 유체가 실린더 본체 내의 유압챔버에 공급되어 일정 체적으로 저장되어 피스톤의 2단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체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KR1020220111343A 2022-09-02 2022-09-02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KR20240032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43A KR20240032406A (ko) 2022-09-02 2022-09-02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43A KR20240032406A (ko) 2022-09-02 2022-09-02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406A true KR20240032406A (ko) 2024-03-12

Family

ID=9030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43A KR20240032406A (ko) 2022-09-02 2022-09-02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4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87B1 (ko) 2009-11-30 2012-04-25 주식회사 에버다임 자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87B1 (ko) 2009-11-30 2012-04-25 주식회사 에버다임 자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899B1 (ko) 2단 자동 행정을 갖는 유압 브레이커
KR100966740B1 (ko) 투 스트로크 밸브가 장착된 유압브레이커
KR102027231B1 (ko) 유압브레이커의 가스실 체적가변장치
EP2655753B1 (en) Pressure protection valve for hydraulic tool and method of diabling a hydraulic tool
JP7210452B2 (ja) 液圧式打撃装置
JP3378029B2 (ja) 油圧ブレーカ
KR100985931B1 (ko) 공타 방지를 위한 유압브레이커
KR20090041823A (ko) 유압브레이커의 자동타격조정장치
KR100510966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장치
KR20240032406A (ko) 자동 또는 수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및 이를 이용하는 유압 브레이커의 행정거리 모드전환 제어방법
KR101907432B1 (ko) 유압 타격 장치
JP4488694B2 (ja) 液圧式打撃装置
KR101778256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안전밸브
KR20100075290A (ko) 유압장치의 홀딩밸브
KR100524671B1 (ko) 브레이커
US6152013A (en) Hydraulically actuated breaker with lost-motion prevention device
KR101149834B1 (ko) 공타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US20160221171A1 (en) Hydraulic hammer having dual valve acceleration control system
KR101327392B1 (ko) 해머 상승 장치
KR100592545B1 (ko) 굴삭기의 붐하강 속도제어장치
JP4064868B2 (ja) 油圧ブレーカ
KR100569198B1 (ko) 유압타격장치
CN110439455B (zh) 一种凿岩设备的工作装置
KR101763000B1 (ko) 건설 기계의 폐회로 유압 시스템
KR102299173B1 (ko) 유압식 2단 스트로크 유압브레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