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755A - Shoes care device - Google Patents

Shoes car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755A
KR20240031755A KR1020220110942A KR20220110942A KR20240031755A KR 20240031755 A KR20240031755 A KR 20240031755A KR 1020220110942 A KR1020220110942 A KR 1020220110942A KR 20220110942 A KR20220110942 A KR 20220110942A KR 20240031755 A KR20240031755 A KR 2024003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liding rail
shoe
shoe car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민
김창규
반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755A/en
Priority to PCT/KR2023/009539 priority patent/WO2024048967A1/en
Publication of KR2024003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7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5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glass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0Rotary show cases or cabinets
    • A47F3/11Rotary show cases or cabinets having mechanica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A47F3/145Closable display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47F5/0087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movable around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47F5/0093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movable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2Rotary display stands
    • A47F5/025Rotary display stands having mechanical drive, e.g.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본체, 이동체, 송풍부, 브라켓 및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체가 상대적으로 뒤쪽에 있을 때 신발 관리기 내부의 수용공간이 닫히고, 이동체가 상대적으로 앞쪽에 있을 때 수용공간이 열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의 공기를 제어할 수 있고, 투명창을 통하여 여러 방향에서 신발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어 신발의 전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브라켓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딩레일에 의하여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moving body, a blower, a bracket, and a sliding rail. When the moving object is relatively in the back, the accommodating space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is closed, and when the moving object is relatively in the front, the accommodating space is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controlled, the shoes can be completely exposed from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so the shoes can be displayed effectively, and the moving object can be displayed by the slider and sliding rail of the bracket. Movement occurs smoothly.

Description

신발 관리기{SHOES CARE DEVICE}Shoe care device {SHOES CARE DEVICE}

본 발명은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납된 신발의 관리 및 전시가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manag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e manager in which shoes stored therein are managed and displayed.

신발을 알맞게 보관해야만 신발의 모양이 망가지지 않고 신발을 오래 신을 수 있다. 신발을 겹겹이 쌓아두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정리 및 보관을 위하여 신발장이 사용된다.Only by storing your shoes properly can you wear them for a long time without damaging their shape. If you stack your shoes in layers, their shape may change. Generally, shoe cabinets are used to organize and store shoes.

최근에는 취미 또는 재테크의 일환으로 인기있는 브랜드의 신발을 수집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고, 신발을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슈 케이스(shoe case)가 개시된다.Recently, people have been collecting shoes from popular brands as a hobby or as a means of investment, and shoe cases have been introduced to store and display shoes.

미국공개특허 제2018-0127150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는 "모듈화된 저장 컨테이너(modular storage container)"를 개시하며, 상기 모듈화된 저장 컨테이너는 하우징, 도어 패널, 팬, 광원을 포함한다.U.S. Patent Publication No. 2018-01271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discloses a “modular storage container,” which includes a housing, a door panel, a fan, and a light source. Includes.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하우징은 전면에 개구를 갖는 직육면체 박스 형태를 형성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도어 패널은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housing form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ing on the front side. The housing ha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The door panel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is made transparent or translucent.

상기 선행문헌 1에서 팬은 하우징의 후면 패널에 설치된다. 팬이 회전하면, 수용공간의 공기는 외기로 환기된다. 외기와 수용공간의 공기 흐름을 위하여 하우징에 에어 덕트가 형성된다. 광원은 상부 패널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을 조명한다.In the preceding document 1, the fan is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housing. When the fan rotates,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is ventilated to the outside air. An air duct is formed in the housing for air flow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receiving space.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nel and illuminates the receiving space.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컨테이너 내부 공기가 외기로 환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컨테이너 내부의 환경(온도 및 습도)이 컨테이너 외부의 환경(온도 및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즉,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since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is ventilated to the outside air, the possibility that the environme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container i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temperature and humidity) outside the container increases. In other words,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container.

예컨대,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컨테이너 내부 공기가 단순히 외기로 환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장마철과 같이 외기의 습도가 높은 경우, 수용공간의 습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컨테이너에 수납된 신발의 색깔 및 형태를 변화시키고, 신발이 높은 온도 및 습도에서 번식하기 쉬운 곰팡이 및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ceding document 1,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is simply ventilated to the outside air, so when the humidity of the outside air is high, such as during the rainy season, the 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high. This air changes the color and shape of shoes stored in the container and can cause shoes to be contaminated by mold and bacteria that tend to grow in high temperatures and humidity.

이처럼, 상기 선행문헌 1에서는 컨테이너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술에 대하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신발의 변형 내지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As such, in that Prior Literature 1 does not consider technology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container at an optimal state, there is a risk that the shoes may be deformed or contaminated during the user's use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도어 패널을 통하여만 컨테이너 내부를 볼 수 있고, 컨테이너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는 컨테이너 내부를 볼 수 없으므로, 신발의 전시효과를 높이는 데에 큰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inside of the container can be seen only through the door panel,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cannot be seen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ontainer, so there is a significant limitation in enhancing the display effect of shoes.

신발을 상업적인 용도로 전시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4367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쇼케이스(Show case having transmissive display)"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쇼케이스는 쇼케이스 본체,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 턴테이블, 터치패널,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garding technology for displaying shoes for commercial purpose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3-003436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2') discloses "Show case having transmissive display", The resulting showcase includes a showcase body, transparent display means, turntable, touch panel, and LED.

상기 쇼케이스 본체는 내부에 신발 등 상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은 쇼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품은 턴테이블에 안착되고,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쇼케이스 본체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LED는 쇼케이스 본체 내부에서 상품을 조명한다. The showcase main body forms a space inside where products such as shoes can be stored. The transparent display means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howcase body. The product is placed on the turntable and rotates inside the showcase body by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LED illuminates products inside the showcase body.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2는, 쇼케이스 내부 온도 및/또는 습도를 제어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신발이 쇼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신발의 변형 내지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However, since the prior art document 2 does not consider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inside the show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hoes may be deformed or contaminated while they are stored inside the showcase.

또한, 상기 선행문헌 2에 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만 쇼케이스 내부를 볼 수 있고, 쇼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는 쇼케이스 내부를 볼 수 없으므로, 신발의 전시효과를 높이는 데에 큰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the inside of the showcase can be seen only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means, and the inside of the showcase cannot be seen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howcase, so there is a significant limitation in enhancing the display effect of shoes.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9653호(이하, '선행문헌 3'이라 함)는 "위생처리용 신발장(The shoes cabinet for the sanitization)"을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장은 본체, 원적외선 방사부, 순환팬, 공기순환통로, 위생필터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096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3’) discloses “The shoes cabinet for the sanitization,” which includes a main body, a far-infrared ray emitting unit, It consists of a circulation fan, air circulation passage, sanitary filter unit, etc.

상기 선행문헌 3은, 신발을 보관하는 동안 원적외선과 필터에 의해서 신발에 대해 제습, 살균 및 탈취를 행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The prior art document 3 describes that shoes can be dehumidified, sterilized, and deodorized using far-infrared rays and filters while the shoes are stored.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3에 의하면 신발의 전시가 이루어질 수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ceding document 3, the shoes cannot be displayed.

이상과 같이, 내부에 신발을 수용하는 종래의 장치들의 경우, 신발의 관리 및 신발의 전시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 devices that accommodate shoes inside have limitations in managing and displaying shoes.

이에 따라, 신발 관리기의 개발에 있어서, 신발 관리기의 내부 공간(이하 '수용공간'으로 지칭)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신발의 전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 수용공간을 용이하게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는지,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 신발의 수납 및 인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수용공간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Accordingly, in the development of a shoe management devic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effect of shoes can be maximized while maintaining the environment of the shoe management device's internal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eiving space') constant, and whether the receiving space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storage and retrieval of shoes can be carried out effectively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open, and whether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hoe care machine can be guaranteed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open to the maximum.

아울러, 신발 관리기들을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최하단 신발 관리기의 구조적 강성이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는지,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전기적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지, 신발의 전시효과에 더해 신발 관리기에 의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 한정된 공간에서 내부 구성들의 배치가 적합하게 이루어졌는지, 사용편의성이 우수한지 등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점들을 두루 고려한 신발 관리기의 개발이 요구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shoe care device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lowest shoe care devic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hether electrical stability can be effectively guaranteed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o the display effect of the shoes, the interior effect of the shoe care device is maximize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possible to do so, whether the internal components are properly arranged in a limited space, and whether the convenience of use is excellent, and the development of a shoe care device that takes all of these points into consideration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공기를 제어하여 신발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최대한 여러 방향에서 신발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전시가 우수하게 이루어지며, 수용공간의 개폐를 위한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manage shoes by controlling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where shoes are accommodated,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excellent display of shoes by allowing shoes to be fully exposed from as many directions as possible. The aim is to provide a shoe manager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smooth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본체를 상대로 이동체가 이동할 때 서로 상대이동하는 구성간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하거나 경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슬라이딩레일에 의하여 이동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a shoe care device that minimizes or reduces friction that may occur between components tha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when a moving object moves relative to the main body, and in which stabl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is achieved by a sliding rail. is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슬라이딩레일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라이딩레일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that can prevent the sliding rail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and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penetrating the sliding rai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을 신발 관리기에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하여,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투명창이 본체를 상대로 최대한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신발 관리기의 안정적인 구조가 유지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maintain a stable structure of the shoe manager even when the transparent window, which is composed of the front, left side, and right side, is moved as far forward as possi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in order to insert and withdraw shoes from the shoe manager. The goal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that can be used.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기는, 본체, 이동체, 송풍부, 브라켓 및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includes a main body, a moving body, a blower, a bracket, and a sliding rail.

상기 본체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후측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중간바디 및 상기 중간바디의 상측에서 앞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includes a lower body, a middle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iddle body.

상기 이동체는 베이스 및 투명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bile body includes a base and a transparent window.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 위치한다.The bas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상기 투명창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고정결합된다.The transparent window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상기 이동체는 상기 본체와 함께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The mobile body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shoes ar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상기 이동체가 상기 본체를 상대로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공간이 개폐된다.As the moving object moves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main body, the receiving space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송풍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blow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s configured to circulate air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바디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은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상기 신발 관리기에서 상기 브라켓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The bracket has a slider. The shoe care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brackets.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그 적어도 일부가 전후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신발 관리기에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rail has a constant cross-sec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slider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The sliding rail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The shoe care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sliding rails.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딩레일 사이에는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복수 개의 볼이 개재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all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er and the sliding rail to reduce friction.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방지되도록, 서로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lider and the sliding rail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in directions other than forward and backward.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각각 2개로 구비되고 상기 신발 관리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이격되어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are each provided in two pieces and may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oe manager.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바디의 전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The bracket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측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may be completely shielded by the base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하부바디의 전후방향 길이의 0.9배 이상이고 1배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sliding rail may be 0.9 times or more and 1 times or less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lower body.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downwardly concave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to accommodate 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상기 슬라이딩홈은 제1 슬라이딩홈 및 제2 슬라이딩홈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sliding groov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liding groove and a second sliding groove.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은 상기 하부바디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다.The first sliding groove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to the rear.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다.The second sliding groove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The bracket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fixed to the lower body.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앞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The sliding rail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and move to protrude in front of the first sliding groove.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제1 슬라이딩레일 및 제2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liding rail may include a first sliding rail and a second sliding rail.

상기 제1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브라켓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rail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상기 제2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제1 슬라이딩레일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rail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rail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상기 투명창은, 제1 창, 제2 창 및 제3 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may include a first window, a second window, and a third window.

상기 제1 창은 상기 신발 관리기의 앞면을 이루고, 상기 제2 창은 상기 신발 관리기의 좌측면을 이루고, 상기 제3 창은 상기 신발 관리기의 우측면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window may form a front side of the shoe manager, the second window may form a left side of the shoe manager, and the third window may form a right side of the shoe manager.

상기 이동체는 로워가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bile body may include a lower guard.

상기 로워가드는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이루며, 앞쪽, 왼쪽 및 오른쪽에서 상기 하부바디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 guard forms an edge of the base a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lower body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상기 이동체는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object may include a turntable.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연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urntable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about a vertical rotation axis.

상기 투명창은 제1 핀부 및 제2 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may include a first fin portion and a second fin portion.

상기 제1 핀부는 상기 제2 창의 뒤쪽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fin portion may extend integrally from the back to the top of the second window.

상기 제2 핀부는 상기 제3 창의 뒤쪽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fin portion may integrally extend upward from the rear of the third window.

상기 상부바디는 제1 삽입홈, 제1 스토퍼, 제2 삽입홈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body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a first stopper, a second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stopper.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제1 핀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first pin portion is inserted and moves.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삽입홈의 앞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핀부의 전방이동을 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stopp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to prevent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pin portion.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제2 핀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second pin portion is inserted and moves.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삽입홈의 앞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핀부의 전방이동을 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stopp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o prevent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pin portion.

상기 투명창은 제3 핀부 및 제4 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may include a third fin portion and a fourth fin portion.

상기 제3 핀부는 상기 제2 창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일체로 연장된다.The third fin portion integrally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window.

상기 제4 핀부는 상기 제3 창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일체로 연장된다.The fourth fin portion integrally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third window.

상기 중간바디는 제3 삽입홈 및 제4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termediate body may include a third insertion groove and a fourth insertion groove.

상기 제3 삽입홈은, 상기 제3 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중간바디의 앞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thir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to allow the third pin portion to be inserted.

상기 제4 삽입홈은, 상기 제4 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중간바디의 앞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fourth inser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to allow the fourth pin portion to be inserted.

상기 본체는, 조명, 흡입구, 토출구, 공기유로 및 가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lighting, an intake port, an outlet port, an air flow path, and a heating unit.

상기 조명은,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조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ing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to illuminate the receiving space.

상기 흡입구는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상기 토출구는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상부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과 간섭되지 않게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r flow path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and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intake port and the discharge por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ighting.

상기 공기유로에 상기 송풍부가 배치된다.The blowing unit is disposed in the air passage.

상기 가열부는 상기 공기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air passage to heat the air pass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본체, 이동체, 송풍부, 브라켓 및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체가 상대적으로 뒤쪽에 있을 때 신발 관리기 내부의 수용공간이 닫히고, 이동체가 상대적으로 앞쪽에 있을 때 수용공간이 열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의 공기를 제어할 수 있고, 투명창을 통하여 여러 방향에서 신발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어 신발의 전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브라켓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딩레일에 의하여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moving body, a blower, a bracket, and a sliding rail. When the moving object is relatively in the back, the accommodating space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is closed, and when the moving object is relatively in the front, the accommodating space is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controlled, the shoes can be completely exposed from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so the shoes can be displayed effectively, and the moving object can be displayed by the slider and sliding rail of the bracket. Movement occurs smooth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슬라이더와 슬라이딩레일 사이에는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복수 개의 볼이 개재될 수 있고, 슬라이더와 슬라이딩레일은,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방지되도록, 서로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와 슬라이딩레일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여 본체로부터 이동체를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고, 슬라이딩레일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진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ll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er and the sliding rail to reduce friction, and the slider and the sliding rail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t can be done to get cau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slider and the sliding rail can be reduced to easily open or close the moving object from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rail move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ensure stabl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브라켓은 하부바디의 전단에 인접하여 결합되고 슬라이딩레일은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상측에서 볼 때 베이스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를 상대로 이동체가 이동시 이동체의 충분한 이동거리를 확보하면서 슬라이딩레일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라이딩레일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is coupl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and the sliding rail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so that it is completely shielded by the base when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iding rail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while securing a sufficient moving distance for the moving object when it moves relative to the main body, an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penetrating the sliding rail.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제1 핀부, 제2 핀부, 제1 삽입홈, 제1 스토퍼, 제2 삽입홈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체가 본체를 상대로 최대한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신발 관리기의 안정적인 구조가 유지될 수 있고, 이동체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in portion, a second pin portion, a first insertion groove, a first stopper, a second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le structure of the shoe care devic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moving object is moved as far forward as possi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object can be opened and closed smoothly.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신발 관리기의 수용공간에 신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신발 관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b의 신발 관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2a의 A-A'에서 상부바디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부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수용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슬라이딩레일과 브라켓이 결합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하부바디에 브라켓 및 슬라이딩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슬라이딩레일이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이동체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하부바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본체를 상대로 이동체가 앞쪽으로 이동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슬라이딩레일과 슬라이더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슬라이딩레일과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hoes are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hoe manager of FIG. 1A.
Figure 2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oe care device of Figure 1b in use.
Figure 2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oe care device of Figure 1b in use.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upper body along line A-A' of FIG. 2A.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of the upper body viewed from below.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iving space in an open state 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sliding rail and a bracket are combined in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and a sliding rail coupled to the lower body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ing rail moving in Figure 8a.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body of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bottom.
Figure 10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body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object moves forward relative to the main body in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iding rail and a slider combined in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iding rail and a bracket combined in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관리기(1)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anager (1).

관리기(1)는 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해당 물품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해당 물품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agement device 1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article while the article is accommodated therein, and may also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article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물품은 신발, 지갑, 가방, 인형, 장난감, 프라모델, 액세서리, 기념품, 기타 소장품 등과 같은 물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기(1)는 신발, 지갑, 가방, 인형, 장난감, 프라모델, 액세서리, 기념품, 기타 소장품 등과 같은 여러 물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articl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rticles such as shoes, wallets, bags, dolls, toys, plastic models, accessories, souvenirs, and other collectibles. That is, the manager 1 may manage one or more of various items such as shoes, wallets, bags, dolls, toys, plastic models, accessories, souvenirs, and other collectibles.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신발은 지갑, 가방, 인형, 장난감, 프라모델, 액세서리, 기념품, 기타 소장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The sho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with any one or more of wallets, bags, dolls, toys, plastic models, accessories, souvenirs, and other collectib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1)를 설명함에 있어서 신발을 관리의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관리기(1)를 신발 관리기(1)로 설명한다.In explaining the managemen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es will be described as the object of management, and accordingly, the management device 1 will be described as the shoe management device 1.

신발이 먼지, 물, 열 및/또는 햇볕 등에 직접 노출되면, 신발의 섬유 재질이 시간이 지날수록 손상될 수 있고, 신발의 색깔 및 형태가 변할 수 있다. If shoes are directly exposed to dust, water, heat and/or sunlight, the fibers of the shoes may become damaged over time and the color and shape of the shoes may change.

신발이 원래의 상태(예컨대, 구입할 당시의 신발의 상태 또는 깨끗한 신발의 상태)로 오래 보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신발이 빛에 많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너무 차갑거나 뜨겁지 않은 곳에서 보관되어야 한다. 또한 온도 및 습도가 알맞게 유지되는 곳에 신발을 보관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keep shoes in their original state (e.g., the state of shoes at the time of purchase or the state of clean shoes) for a long time, shoes should not be exposed to much light and should be stored in a place that is not too cold or hot. Additionally, shoes need to be stored in a place wher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aintained appropriately.

가죽이나 스웨드 재질의 신발은 변색이나 곰팡이가 잘 생기므로, 온도 및 습도가 알맞게 유지되는 환경에서 보관해야 한다. 살충제 및 방향제를 고형화한 좀약은 특유한 화학적인 냄새가 나서 신발과 함께 보관하게 되면 냄새가 스며들어 매우 제거하기 어렵다. Shoes made of leather or suede are prone to discoloration and mold, so they should be stored in an environment wher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aintained appropriately. Mothballs made of solidified pesticides and air fresheners have a unique chemical smell, so if they are stored with shoes, the smell will seep in and be very difficult to remove.

또한, 신발을 겹겹이 쌓아두면 가해진 하중에 의해 신발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Additionally, if shoes are stacked in layers, the shape of the shoes may be deformed due to the applied loa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취미 또는 재테크의 일환으로 인기있는 브랜드의 신발을 수집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신발의 관리 뿐만 아니라 신발의 전시가 사용자의 중요한 니즈로 자리잡고 있다.Meanwhile, as mentioned above, recently, the number of users who collect shoes of popular brands as a hobby or as part of financial investment has been increasing, and shoe management as well as shoe display have become important needs of users.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각 신발에 요구되는 환경(예컨대, 소정 범위의 온도, 습도 등)을 형성 및 조정하고, 신발을 효과적으로 전시하며,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Considering these points, the shoe manag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fely stores shoes, forms and adjusts the environment required for each shoe (e.g., temperature, humidity, etc.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stores shoes safely. This is done to effectively display and increase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X),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third direction (Z)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ch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제1 방향(X)과 제2 방향(Y) 각각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X)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to-back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eft-r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방향(X)은 앞쪽 방향, 제2 방향(Y)은 왼쪽 방향, 제3 방향(Z)은 위쪽 방향으로 각각 이해될 수 있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 is the lef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Z) is the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It can be understood.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는 신발 관리기(1)의 내부 공간(이하 '수용공간(10)'으로 지칭)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는 도 1a의 신발 관리기(1)의 수용공간(10)에 신발(S)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shows the internal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eiving space 10') of the shoe care device 1 in a closed state.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hoes S are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10 of the shoe manager 1 of FIG. 1A.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본체(100) 및 이동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moving body 200.

본체(100)와 이동체(200)는 함께, 신발(S)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을 형성한다. 본체(100)와 이동체(200)는 서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체(200)는 본체(100)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and the mobile body 200 together form a receiving space 10 that accommodates the shoes S. The main body 100 and the mobile body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enable relative movement. The mobile body 2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o enabl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a 도시된 신발 관리기(1)는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이동체(200)는 본체(100)를 상대로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형되며, 수용공간(10)이 열릴 수 있다.The shoe manager 1 shown in FIG. 1A may be changed to the shoe manager 1 shown in FIG. 5 . That is, the mobile body 200 can slide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in the first direction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는 다시 도 1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이동체(200)는 본체(100)를 상대로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형되며, 수용공간(10)이 닫힐 수 있다.The shoe manager 1 shown in FIG. 5 can be changed again to be like the shoe manager 1 shown in FIG. 1A. That is, the mobile body 200 can slid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X)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the shoe manager 1 is transform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and the receiving space 10 is closed. You can.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동체(200)는 본체(100)를 상대로 제1 방향(X) 또는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As such,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20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You can travel round and round.

수용공간(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0)은 외기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S)이 수용공간(10)에 수용되고 수용공간(10)이 폐쇄되면, 신발(S)은 외기의 먼지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When the receiving space 10 is closed, the receiving space 10 can be sealed from the outside air. Therefore, when the shoes (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0) and the receiving space (10) is closed, the shoes (S) can be blocked from contact with dust and moisture in the outside ai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체(100)를 상대로 한 이동체(200)의 이동은, 수동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자동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자의경우 사용자가 이동체(200)의 일부를 잡고 이동시킬 수 있고, 후자의 경우 별도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이동체(2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ment of the mobile body 200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may be per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at is, in the former case, the user can hold a part of the moving object 200 and move it, and in the latter case, the moving object 200 can be moved by a separate actuator.

본체(100)는 수용공간(10)의 상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form the upper and rear surfaces of the receiving space 10.

이동체(200)는 수용공간(10)의 전면, 하면 및 양쪽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mobile body 200 may form the front,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 .

수용공간(10)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수용공간(10)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eceiving space 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However, the accommodation space 10 of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have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본체(100)와 이동체(200)는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의 외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체(100)와 이동체(200)가 서로 결합되고 수용공간(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and the moving body 200 may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hoe care device 1. The exterior of the shoe care device 1 may have a hexahedral shape. That is, when the main body 100 and the moving body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receiving space 10 is closed, the outer shape of the shoe care device 1 may be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However,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have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본체(100)는 상부바디(130), 중간바디(120) 및 하부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n upper body 130, a middle body 120, and a lower body 110.

상부바디(130)는 수용공간(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부바디(130)는 수용공간(10)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부바디(130)는 신발 관리기(1)의 가장 위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상부바디(130)의 상면은 대체로 수평면을 따라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발 관리기(1)가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신발 관리기(1)는 다른 하나의 신발 관리기(1)의 상부바디(130)의 상면에 놓일 수 있으며, 서로 적층될 수 있다.The upper body 13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upper body 130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upper body 130 may form the uppermost part of the shoe manager (1).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0 may form a flat surface along a generally horizontal plane. When a plurality of shoe managers 1 are provided, one shoe manager 1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0 of the other shoe manager 1 and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하부바디(110)는 수용공간(10) 아래에 위치한다. 하부바디(110)는 신발 관리기(1)의 가장 아래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하부바디(110)는 신발 관리기(1)가 바닥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ower body 110 is located below the receiving space 10. The lower body 110 may form the lowermost part of the shoe care device 1. The lower body 110 may form the bottom portion of the shoe manager 1.

중간바디(120)는 수용공간(10)의 뒤에 위치한다. 중간바디(120)는 수용공간(10)의 후면을 형성한다. 중간바디(120)는 수용공간(10)의 뒤쪽에서 상부바디(130)와 하부바디(110)를 연결할 수 있다. 중간바디(120)는 신발 관리기(1)의 뒤쪽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body 120 is located behind the receiving space 10. The intermediate body 120 forms the rear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middle body 120 may connect the upper body 130 and the lower body 110 at the rear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intermediate body 120 may form the rear wall of the shoe care device 1.

본체(100)가 상부바디(130), 중간바디(120) 및 하부바디(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본체(100)는 측면도상 대체로 'ㄷ'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Since the main body 100 includes the upper body 130, the middle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10, the main body 100 can generally form a 'ㄷ' shape in the side view.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200)는 본체(100)를 상대로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체(200)는 베이스(220), 투명창(210) 및 턴테이블(230)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body 200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The mobile body 200 may include a base 220, a transparent window 210, and a turntable 230.

베이스(220)는 하부바디(110)에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220)는 이동체(200)의 바닥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베이스(220)는 하부바디(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220)의 저면은 하부바디(110)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base 2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to be slideable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base 220 may form the bottom portion of the mobile body 200. Base 22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lower body 110. The bottom of the base 2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top of the lower body 110.

투명창(210)은 베이스(220)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투명창(210)은 수용공간(10)의 전면과 양쪽 측면(왼쪽 면 및 오른쪽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창(21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have a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220.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form the front and both sides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수용공간(10) 내부의 빛과 외부의 빛은 투명창(210)을 통과할 수 있다. 투명창(210)은 변색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후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210)은 내후성 및 내긁힘성이 우수한 아크릴(PMMA)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Light inside and outside the receiving space 10 may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210.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strong weather resistance to prevent discoloration, etc.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made of acrylic (PMMA) material with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투명창(210)은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선이 수용공간(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창(210)은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ultraviolet)은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짧은 10~397nm에 해당하는 전자기파로서, 화학 작용이 강하고 햇빛에 타거나 변색의 원인이 되는 빛이다. The transparent window 210 can block light rays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10 . As an example,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configured to block ultraviolet rays. Ultraviolet (ultraviolet) is an electromagnetic wave with a wavelength of 10 to 397 nm, which is shorter than visible light. It has a strong chemical effect and is a light that causes burning or discoloration in sunlight.

일 예로, 투명창(2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자외선 차단필름(ultraviolet-proof film)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투명창(2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자외선 차단제를 도막 처리(UV coating)할 수 있다. For example, an ultraviolet-proof film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Alternatively, a UV blocker may be applied to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투명창(210)은 제1 창(211), 제2 창(212) 및 제3 창(213)을 포함한다. 제1 창(211)은 수용공간(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창(212)은 수용공간(10)의 왼족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창(213)은 수용공간(10)의 오른쪽 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window 210 includes a first window 211, a second window 212, and a third window 213. The first window 211 may form the front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second window 212 may form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third window 213 may form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

신발(S)이 수용공간(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명창(210)을 통해 신발(S)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 관리기(1)는 신발(S)을 보관 및 관리하면서 동시에 신발(S)을 전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With the shoes (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0), the user can view the shoes (S)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210). Accordingly, the shoe manager 1 can be used as a device that can display the shoes (S) while storing and managing the shoes (S).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0)가 상대적으로 가장 뒤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용공간(10)은 외기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10)은 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200)는 제1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는 닫힌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accommodation space 10 can be sealed from external air when the mobile body 200 is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At this time, the receiving space 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At this time, the moving body 200 can be said to be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hoe care machine 1 can be said to be in a closed stat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수용공간(10)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창(211)의 상부는 상부바디(130)의 전면으로부터 제1 방향(X) 앞쪽으로 이격되어 간격(이하 '제1 간격'으로 지칭)을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accommodation space 10 may be opened while the mobile body 2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X). 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first window 211 may be spaced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upper body 130 in the first direction (X) to form a g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gap').

제2 창(212)은 중간바디(120)의 왼쪽 측면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간격(이하 '제2 간격'으로 지칭)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창(213)은 중간바디(120)의 오른쪽 측면로부터 제1 방향(X) 앞쪽으로 이격되어 간격(이하 '제3 간격'으로 지칭)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window 2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eft side of the intermediate body 120 in the first direction (X) to form a g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gap'). The third window 213 may be spaced forward from the right side of the intermediate body 120 in the first direction (X) to form a g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gap').

이동체(200)가 제1 방향(X)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즉, 이동체(200)가 상대적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체(200)는 제2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는 열린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body 200 has moved as far as possible in the first direction (1) can be said to be in an open state.

사용자는 신발(S)을 제1 간격을 통해 수용공간(10)에 넣거나 수용공간(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간격 및 제3 간격을 통해 수용공간(10)으로 접근할 수 있다. The user can put the shoes (S) into the receiving space (10) or withdraw them from the receiving space (10) through the first gap. The user can access the receiving space 10 through the second gap and the third gap.

턴테이블(230)은 신발(S)이 놓이는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230)의 상면은 원형을 형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230)은 베이스(220)와 함께 수용공간(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urntable 230 may form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shoes (S) are placed.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30 may have a circular shape. The turntable 230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0 together with the base 220.

턴테이블(230)은 베이스(220)에 수직방향의 축, 즉, 제3 방향(Z)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turntable 2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220 about a vertical axis, that is, an axis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Z).

턴테이블(230)의 회전을 위하여 이동체(200)에는 모터(29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290)는 베이스(220)에 결합될 수 있다. 턴테이블(230)은 모터(29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모터(290)와 회전동력은 감속기를 거쳐 턴테이블(230)에 전달될 수 있다. 모터(29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양방향으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To rotate the turntable 230, the moving body 200 may be equipped with a motor 290. Motor 290 may be coupled to base 220. The turntable 230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290. The motor 290 and rotational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turntable 230 through a reducer. The motor 290 may rotate in one direction or reciprocate in both directions.

턴테이블(230)이 구비됨으로써 수용공간(10)에서 신발(S)이 회전할 수 있으며 신발(S)의 전시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turntable 230, the shoes (S) can rotate in the receiving space (10) and the display effect of the shoes (S) can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하부바디(110)의 중앙 상부에는 오목한 하부바디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홈(119)은 하부바디(110)의 전방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와 이동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290)는 하부바디홈(119)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ave lower body groove 119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110. The lower body groove 119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body 110. When the main body 100 and the moving body 200 are coupled, the motor 290 may be placed in the lower body groove 119.

신발 관리기(1)는 작동버튼(610) 및 제어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버튼(610)은 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버튼(610)은 상부바디(1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버튼(610)을 조작하면, 턴테이블(230)이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턴테이블(2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600)에 턴테이블(230)의 회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The shoe manager 1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610 and a control unit 600. The operation button 61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100. As an example, the operation button 6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upper body 130.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turntable 230 can rotate or stop. The user can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turntable 230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user can input the rotation time of the turntable 230 in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턴테이블(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수용공간(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신발(S)의 어느 한 부분(heel top, lining, tong 등)을 잡고 신발(S)을 턴테이블(230) 상면에 놓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턴테이블(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610 to rotate the turntable 230 at a certain angle. With the receiving space 10 open, the user can hold any part of the shoe (S) (heel top, lining, tong, etc.) and place the shoe (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30). Afterwards,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610 to rotate the turntable 230 at a certain angle.

일 예로,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신발(S)의 전후방향이 제1 방향(X)과 일치하도록 턴테이블(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신발(S)의 전후방향이 제1 방향(X)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턴테이블(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user may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610 to rotate the turntable 230 at a certain angle so that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 coincides with the first direction (X). Alternatively, the user may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610 to rotate the turntable 230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X).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S)의 어느 한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신발(S)을 턴테이블(230) 상면에 올려놓더라도, 신발(S)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놓이도록(전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user places the shoe (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30) while holding any part of the shoe (S), the shoe (S) can be placed (displayed)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본체(100)에는, 이동체(200)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10)이 폐쇄되면, 제어부(600)는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턴테이블(2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body 200. When the accommodation space 10 is closed, the control unit 600 can rotate the turntable 230 by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베이스(220)에 하중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하중센서는 턴테이블(230)에 놓인 신발(S)의 하중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에 하중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턴테이블(230)의 회전속도가 세팅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600)에 하중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턴테이블(230)의 회전속도를 입력할 수 있다. A load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base 220. The load sensor can automatically measure the load of the shoe (S) placed on the turntable (23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urntable 230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60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load sensor. Alternatively, the user may inpu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urntable 23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load sensor 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신발 관리기(1)에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는 턴테이블(230)에 놓인 신발(S)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카메라의 촬영이미지를 통해 신발(S)의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The shoe manager 1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not shown). The camera can automatically photograph the shoes (S) placed on the turntable (230). The control unit 600 can recognize the shape, size, and/or type of the shoe (S) through the captured image of the camera.

신발(S)의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른 턴테이블(230)의 회전속도가 제어부(600)에 세팅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600)에 신발(S)의 형태, 크기 및 종류에 따른 턴테이블(230)의 회전속도를 입력할 수 있다. The rotation speed of the turntable 230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or type of the shoe (S)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600. Alternatively, the user may input the rotation speed of the turntable 230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 type of the shoe (S) in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신발 관리기(1)는 작동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센서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턴테이블(230)은 작동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The shoe care machine 1 may be equipped with an operation sensor. The operation sensor can detect the user's approach. The turntable 230 can rotate or stop by a detection signal from an operation sensor.

도 2a는 도 1b의 신발 관리기(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는 수용공간(10) 내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FIG. 2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oe care device 1 of FIG. 1B in a state of use. Figure 2a shows the air flow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

도 2b는 도 1b의 신발 관리기(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수용공간(10) 내의 신발(S)을 조명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2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oe care device 1 of FIG. 1B in a state of use. FIG. 2B shows a state in which shoes S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 are illumin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1 조명(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410)은 상부바디(13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light 410. The first light 4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body 130.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410)은 수용공간(10)을 조명할 수 있다. 제1 조명(410)은 광원(4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B, the first lighting 410 may illuminate the receiving space 10. The first illumination 410 includes a light source 411.

광원(411)은 신발(S)이 놓이는 턴테이블(230)의 상면에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광원(411)의 빛은 턴테이블(230) 상면에 놓인 신발(S)을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제1 조명(410)이 켜지면, 광원(411)의 빛에 의해 수용공간(10)에 수납된 신발(S)의 이미지가 변화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411 may intensively radiate light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30 on which the shoes S are placed.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411 can intensively illuminate the shoes S placed on the top of the turntable 230. When the first light 410 is turned on, the image of the shoes S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10 may change due to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411.

사용자가 작동버튼(610)을 조작하면, 광원(411)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600)에 광원(411)의 작동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광원(411)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light source 411 can be turned on or off. The user can input the operation time of the light source 411 in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user can adjust the operation time of the light source 411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button 610.

또는, 광원(411)은 작동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작동센서의 신호에 의해 광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ight source 411 may be turned on or off by a detection signal from an oper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600 can turn the light source on and off by a signal from an operating sensor.

또는, 광원(411)은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수용공간(10)이 폐쇄되면, 제어부(600)는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광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ight source 411 may be turned on or off by a detection signal from a detection sensor. When the receiving space 10 is closed, the control unit 600 can turn the light source on and off by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또는, 제어부(600)에 하중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광원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이 세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600)에 하중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광원(411)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을 입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load sensor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600. The user can input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light source 411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load sensor in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또는, 제어부(600)에 신발(S)의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른 광원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이 세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600)에 신발(S)의 형태, 크기 및 종류에 따른 광원(411)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을 입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or type of the shoe (S)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600. The user can input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light source 411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 type of the shoe (S) in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광원(411)은 빛의 색이 변화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광원(411)은 RGBW(Red Green Blue White)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600)는 R(Red) LED, G(Green) LED, B(Blue) LED 및 W(White)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가 RGBW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면, 수용공간(10)에 수납된 신발(S)의 미감 및 색감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600)에 RGBW LED에 인가되는 전류의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411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color of ligh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411 may be made of a Red Green Blue White (RGBW) LED.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current applied to the R (Red) LED, G (Green) LED, B (Blue) LED, and W (White) LED. When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current applied to the RGBW LED, the aesthetics and color of the shoes S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10 can vary. The user can input a pattern of current applied to the RGBW LED 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2a의 A-A'에서 상부바디(130)를 바라본 도면이다.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body 130 along line A-A' of FIG. 2A.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부바디(130)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pper body 130 viewed from below.

본체(100)는 공기유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0)는 흡입구(310) 및 토출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n air passage 300.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n inlet 310 and an outlet 320.

공기유로(300)는 상부바디(130)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로(300)는 상부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flow path 300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130. The air passage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130.

공기유로(300)는 흡입구(310)와 토출구(320)를 연결한다. 흡입구(310)는 공기유로(300)의 입구를 이루고, 토출구(320)는 공기유로(30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The air flow path 300 connects the intake port 310 and the discharge port 320. The intake port 310 may form an inlet of the air flow path 300, and the discharge port 320 may form an outlet of the air flow path 300.

흡입구(310)는 상부바디(13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320)는 상부바디(13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take port 31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30. The discharge port 3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30.

수용공간(10)의 공기는 흡입구(310)를 통해 공기유로(300)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유로(300)의 공기는 토출구(320)를 통해 수용공간(10)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송풍부(330)가 강제 송풍한 공기는 수용공간(10)과 공기유로(300)를 순환할 수 있다.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 may be sucked into the air passage 300 through the intake port 310. The air in the air passage 300 may be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0. Therefore, the air forcibly blown by the blower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circulate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0 and the air passage 300.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는 상부바디(130)에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lowing unit 330 and a heating unit 340. The blowing unit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body 130.

송풍부(330)는 수용공간(10)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blower 330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

송풍부(330)는 상부바디(130)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부(330)는 공기유로(300)에 배치되고, 공기유로(300)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blowing unit 330 may be located in the upper body 130. The blower 330 is disposed in the air passage 300 and can generate a flow of air in the air passage 300.

가열부(340)는 수용공간(10)의 공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40)는 본체(100)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340)는 공기유로(300)에 배치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340 may be configured to heat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 directly or indirectly. The heating unit 340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100. The heating unit 340 may be disposed in the air passage 300.

본체(100)는 제1 조명(410) 및 제2 조명(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조명(410)은 상부바디(130)의 저면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0)을 조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조명(420)은 제1 조명(410)의 뒤에서 상부바디(130)의 저면에 형성되어 중간바디(120)를 조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first light 410 and a second light 420. The first lighting 41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30 to illuminate the receiving space 10. The second light 4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30 behind the first light 410 to illuminate the middle body 120.

가열부(340)는 공기유로(300)를 이동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가열부(340)는 열선(3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ing unit 340 can transfer heat energy to air moving in the air passage 300. The heating unit 340 may include a heating wire 341.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에 의해 수용공간(10)의 온도 및/또는 습도가 제어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10 may be controlled by the blowing unit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사용자가 작동버튼(610)을 조작하면, 송풍부(330)가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송풍부(3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에 송풍부(330)의 회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송풍부(330)의 작동에 의하여 수용공간(10)의 공기는 순환할 수 있고, 수용공간(10)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blower 330 may rotate or stop. The user can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330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user can input the rotation time of the blower 330 in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By operating the blower 330,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 can circulate, and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 can be maintained in an overall uniform state.

사용자가 작동버튼(610)을 조작하면, 가열부(340)가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조작하여 가열부(34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610)을 통해 제어부에 가열부(340)의 작동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가열부(34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는, 사용되는 신발(S)의 특성에 맞게 선택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heating unit 340 can be turned on or off. The user can adjust the operation time of the heating unit 340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user can input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340 in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610. The temperature of the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340 may be selected or adjust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es (S) being used.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의 작동은 소정의 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의 작동과 정지가 각각 소정의 시간을 가지며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간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하여질 수 있고,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정하여질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may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dditionally, the operation and stop of the blower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may be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se times can be set by the user, or can be set automatically by the progra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10)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각 신발(S)의 특성에 맞는 최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10 can be maintained at an optimal stat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oe 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디스플레이하는 신발 전시효과와 신발의 변형 내지 오염을 차단하는 신발 관리효과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Therefore,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achieve a shoe display effect of displaying shoes and a shoe management effect of preventing deformation or contamination of shoes.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수용공간(10)이 폐쇄되면, 제어부는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를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The blowing unit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can be turned on or off by a detection signal from a detection sensor. When the receiving space 10 is closed, the control unit can turn on and off the blower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by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또는, 제어부에 하중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이 세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통해 제어부에 하중센서의 측정값에 따른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을 입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blower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load sensor. The user can input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blower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load sensor in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또는, 제어부에 신발의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른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이 세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통해 제어부에 신발의 형태, 크기 및 종류에 따른 송풍부(330) 및 가열부(340)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을 입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blower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or type of the shoe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The user can input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ype of the blower 330 and the heating unit 340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 type of the shoe in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의 소재, 하중,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라 수용공간(10)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신발의 변형 내지 오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10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terial, load, shape, size and/or type of the shoe,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r deformation of the shoe. Contamination can be completely prevented.

본체(100)의 하부바디(110)는 신발 관리기(1)의 저면을 이룬다. 하부바디(110)는 이동체(20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body 110 of the main body 100 forms the bottom of the shoe care device 1. The lower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body 200.

본체(100)의 중간바디(120)는 하부바디(110)의 후측에서 위쪽으로 연장되고 신발 관리기(1)의 배면을 이룬다. 중간바디(120)의 내측면은 수용공간(10)의 배면을 이룰 수 있다.The middle body 120 of the main body 100 extends upward from the rear of the lower body 110 and forms the back of the shoe care device 1.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120 may form the back of the receiving space 10.

본체(100)의 상부바디(130)는 중간바디(120)의 상측에서 앞쪽으로 연장되고 신발 관리기(1)의 상면을 이룬다. 상부바디(130)의 내측면은 수용공간(10)의 상면을 이룰 수 있다. 상부바디(130)는 이동체(200)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body 130 of the main body 100 extends fo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iddle body 120 and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care device 1.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3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upper body 13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body 200.

본체(100)는, 제2 방향(Y)과 직교하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be symmetrical about the reference surface RP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Y.

이동체(200)는, 본체(100)와 함께 수용공간(10)을 형성한다. 이동체(20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위치는 제1 위치보다 앞쪽의 위치이다. 이동체(200)는 본체(100)를 상대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mobile body 200 forms the accommodation space 10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The mobile body 2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ahead of the first position. The mobile body 2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

이동체(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수용공간(10)이 닫히고,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수용공간(10)이 열린다.When the mobile body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10 is closed, and when the mobile body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10 is open.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신발 관리기(1)의 수용공간(10)은 상측, 좌측 및 우측에서 열린다. When the mobile body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receiving space 10 of the shoe care device 1 is open on the top, left, and right sides.

이동체(200)가 본체(100)를 상대로 전후로 이동할 때, 이동체(200)는 하부바디(110) 및 상부바디(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When the mobile body 200 moves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the mobile body 200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30.

이동체(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200)는 상측의 좌우 양쪽 및 하측의 좌우 양쪽이 본체(1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200)는 상측의 좌우 양쪽 및 하측의 좌우 양쪽이 본체(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When the mobile body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mobile body 200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ide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ide. When the mobile body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mobile body 200 may be suppor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ide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ide by the main body 100.

이동체(200)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object 200 may be symmetrical about the reference surface R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명창(21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투명창(210)을 이루는 각 부분이 고정수단(예컨대, 브라켓, 클립, 볼트, 접착제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투명창(210)은 제조시부터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210)을 이루는 모든 부분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210)을 이루는 모든 부분은 동일한 물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formed as one piece. That is, each part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is not connected or fixed to each other by fixing means (e.g., brackets, clips, bolts, adhesives, etc.), and the transparent window 210 is a single body from the time of manufacture. It can be done. All parts forming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ll parts forming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made to have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투명창(210)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투명창(210)의 상당 부분 또는 투명창(210)의 모든 부분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or all portions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transparent.

투명창(210)은 서로 구분되는 면을 이루는 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210)을 이루는 판들은 서로 연결된다. 투명창(210)을 이루는 판들은 각각의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투명창(210)에서 판들이 연결되는 부분은, 절곡된 형태를 이루거나, 곡면을 이루거나,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of plates forming distinct surfaces. The plates forming the transparent window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ates forming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each corner. The portion where the plates are connected in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have a bent shape, a curved surface, or a flat surface.

투명창(210)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made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투명창(210)은 제1 창(211), 제2 창(212) 및 제3 창(213)을 포함한다. 제1 창(211), 제2 창(212) 및 제3 창(213)은 각가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제1 창(211), 제2 창(212) 및 제3 창(213)은 각각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창(211), 제2 창(212) 및 제3 창(213)은 각각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창(211), 제2 창(212) 및 제3 창(213) 각각은 상하 높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210 includes a first window 211, a second window 212, and a third window 213. The first window 211,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third window 213 are each transparent. The first window 211,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third window 213 may each have a flat plate shape. The first window 211,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third window 213 may each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first window 211,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third window 213 may each have the same or similar upper and lower heights.

제1 창(211)은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루고, 제2 창(212)은 신발 관리기(1)의 좌측면을 이루고, 제3 창(213)은 신발 관리기(1)의 우측면을 이룬다. 제2 창(212)은 제1 창(211)의 왼쪽 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되고, 제3 창(213)은 제1 창(211)의 오른쪽 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다.The first window 211 forms the front of the shoe manager (1), the second window 212 forms the left side of the shoe manager (1), and the third window 213 forms the right side of the shoe manager (1). achieve The second window 212 extends rear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first window 211, and the third window 213 extends rear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first window 211.

제1 창(211)은 투명창(210)의 앞면을 이루고, 제2 창(212)은 투명창(210)의 좌측면을 이루고, 제3 창(213)은 투명창(210)의 우측면을 이룬다. 제1 창(211)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창(212)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제3 창(213)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window 211 forms the front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the second window 212 forms the left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and the third window 213 forms the right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achiev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irst window 211 may form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window 212 may form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hird window 213 may form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제1 창(211)의 내측면은 수용공간(10)의 전면을 이룬다. 제2 창(212)의 내측면은 수용공간(10)의 좌측면을 이룬다. 제3 창(213)의 내측면은 수용공간(10)의 우측면을 이룬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indow 211 forms the front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window 212 forms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forms the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

투명창(210)이 제1 창(211), 제2 창(212) 및 제3 창(213)을 포함함으로써, 투명창(210)은, 평면도상, 대체로 ㄷ 모양(또는 ⊂ 모양, 또는 Π 모양, 또는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transparent window 210 includes the first window 211,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third window 213, the transparent window 210 has a generally ㄷ shape (or ⊂ shape, or Π) in plan view. It can be made up of a shape, or ┏┓ shape).

투명창(210)은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창(212)과 제3 창(213)은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symmetrical about the reference surface RP.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third window 213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RP.

신발 관리기(1)에서, 상부바디(130)와 제1 창(211)의 사이, 중간바디(120)와 제2 창(212)의 사이, 및 중간바디(120)와 제3 창(213) 사이가 개폐될 수 있다.In the shoe manager (1), between the upper body 130 and the first window 211, between the middle body 120 and the second window 212, and between the middle body 120 and the third window 213 The gap can be opened and closed.

제2 창(212)의 하측과 제3 창(213)의 하측이 하부바디(110)에 지지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lower side of the third window 213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body 110.

제2 창(212)의 상측과 제3 창(213)의 상측이 상부바디(130)에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upper side of the third window 213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body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투명창(2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창(210)은 신발 관리기(1)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당 부분의 면적을 형성할수 있다. 제1 창(211)의 면적은 수용공간(10)의 전면의 면적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창(212)의 면적은 수용공간(10)의 좌측면의 면적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창(213)의 면적은 수용공간(10)의 우측면의 면적과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be formed integrally. And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form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oe care device 1. The area of the first window 211 may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fron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 The area of the second window 212 may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 The area of the third window 213 may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창(210)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수용공간(10)에 수용되는 신발(S)이 앞쪽, 왼쪽 및 오른쪽에서 모두 가려지지 않고 잘 보일 수 있으며, 신발(S)의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can be maximized, and the shoes 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0 can be clearly seen without being obscured from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shoes 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The display effect of (S)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달리, 투명창(210)이 신발 관리기(1)의 전면에만 형성되는 경우 신발 관리기(1)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신발(S)이 보여지지 않으며 신발의 전시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없다.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parent window 210 is formed only on the front side of the shoe manager 1, the shoes S are not visible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hoe manager 1 and the display effect of the shoes is fully exhibited. It can't be.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창(211)과 제2 창(212)이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또한 제1 창(211)과 제3 창(213)이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제1 창(211)과 제2 창(212)의 사이의 경계(또한 제1 창(211)과 제3 창(213)의 사이의 경계)가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되며 이러한 경계는 수용공간(10) 내부의 신발을 시각적으로 가릴 수 있으며 신발의 전시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계에 틈이 발생할 수 있고 틈을 통하여 이물질이 수용공간(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irst window 211 and the second window 212 are not integrated (and if the first window 211 and the third window 213 are not integrated),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window 211 and the second window 212 (als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window 211 and the third window 213) is visible to the user, and this boundary is the receiving space 10 ) It may visually obscure the shoes inside, the display effect of the shoes may be reduc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may be reduced. Additionally, gaps may occur at these boundaries and foreign substances may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0 through the gaps.

베이스(220)는 투명창(210)의 하측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이동체(200)의 하부를 이룰 수 있다. 베이스(220)의 전체적인 형태는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도상 베이스(220)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2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to form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body 200. The overall shape of the base 220 may be flat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lan view, the base 220 may have a square shape.

베이스(220)는 그 상측에 신발(S)이 놓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220)의 상면은 대체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22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hoe (S) is placed on its upper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20 may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베이스(220)는 하부바디(110)의 상측에 위치한다. 베이스(220)의 상면이 하부바디(110)의 상측에 위치한다. 베이스(220)는 하부바디(1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Base 2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lower body 110.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10. The base 220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턴테이블(230)은 베이스(220)의 상측에서 연직의 회전축(턴테이블의 중심축과 일치)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턴테이블(23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턴테이블(230)을 상부면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turntable 2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220 about a vertical rotation axis (coincident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urntable). The turntable 230 has a circular plate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30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베이스(220)의 상면은 턴테이블(230)의 상면과 높이가 상응하거나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20 may correspond or be made to coincide in heigh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30.

본체(100)를 상대로 투명창(210) 및 베이스(220)가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부바디(130)와 제1 창(21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신발을 베이스(220) 위에 안착시킬 수 있고, 또는 베이스(220)에서 신발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중간바디(120)와 제2 창(212)의 사이, 또는 중간바디(120)와 제3 창(21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는 신발 또는 베이스(220)의 위쪽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하부바디(110), 중간바디(120) 및 상부바디(130)의 각 내측면으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다.With the transparent window 210 and the base 220 moving forward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the shoe can be placed on the base 22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body 130 and the first window 211. , Alternatively, the shoes can be withdrawn from the base 220.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user can access the upper space of the shoe or base 22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iddle body 120 and the second window 212, or between the middle body 120 and the third window 213. You can. Also, at this time,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inner surfaces of the lower body 110, middle body 120, and upper body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 관리기(1)에서 신발의 인출 및 인입이 편리하고, 신발의 위치조정이 편리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to withdraw and insert shoes into the shoe manager 1, an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ho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동체(200)는 턴테이블(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용공간(10)에서 공기의 순환과 신발의 회전이 함께 이루어져 신발의 관리 효과 및 신발의 전시 효과가 모두 우수한 신발 관리기(1)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200 includes a turntable 2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1) in which air circulation and shoe rotation occur together in the receiving space (10), thereby providing excellent shoe care and shoe display effects.

이동체(200)는 로워가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로워가드(240)는 베이스(220)의 테두리의 외측에 고정결합된다. 로워가드(240)는 베이스(220)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고정결합된다.The mobile body 200 may include a lower guard 240. The lower guard 24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edge of the base 220. The lower guard 240 is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220.

로워가드(240)는, 평면도상, 대체로 ㄷ 모양(또는 ⊂ 모양, 또는 Π 모양, 또는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도상, 로워가드(240)의 모양은 투명창(210)의 모양에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guard 240 may be generally formed in a U shape (or ⊂ shape, or Π shape, or ┏┓ shape) in plan view. In plan view, the shape of the lower guard 24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로워가드(240)는 하부바디(110)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 guard 240 may be located outside the lower body 1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수용공간(1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iving space 10 in an open state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투명창(210)은 제1 핀부(212a) 및 제2 핀부(21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include a first fin portion 212a and a second fin portion 213a (see FIG. 4).

제1 핀부(212a)는 제2 창(212)의 뒤쪽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1 핀부(212a)는 제2 창(212)의 뒤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fin portion 212a extends upward from the rear of the second window 212. The first fin portion 212a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ear top of the second window 212.

제1 핀부(212a)는 납작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창(212)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1 핀부(212a)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in portion 212a has a flat plate shape. The first fin portion 212a,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second window 212, may be transparent.

제1 핀부(212a)의 내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핀부(212a)의 외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제1 핀부(212a)의 내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핀부(212a)의 외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제2 핀부(213a)는 제3 창(213)의 뒤쪽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2 핀부(213a)는 제3 창(213)의 뒤쪽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fin portion 213a extends upward from the rear of the third window 213. The second fin portion 213a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ear top of the third window 213.

제2 핀부(213a)는 납작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 창(213)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2 핀부(213a)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in portion 213a has a flat plate shape. The second fin portion 213a,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third window 213, may be transparent.

제2 핀부(213a)의 내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핀부(213a)의 외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제2 핀부(213a)의 내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핀부(213a)의 외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상부바디(130)는 제1 삽입홈(131), 제1 스토퍼(132), 제2 삽입홈(133) 및 제2 스토퍼(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3b 참조)The upper body 130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131, a first stopper 132, a second insertion groove 133, and a second stopper 134. (See Figure 3b)

제1 삽입홈(131)은, 제1 핀부(212a)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좁은 틈 또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삽입홈(131)은 상부바디(130)의 저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is formed in the form of a narrow gap or slit so that the first pin portion 212a can be inserted and move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is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30.

제1 스토퍼(132)는, 제1 삽입홈(131)의 앞에 구비되어 제1 핀부(212a)의 전방이동을 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핀부(212a)의 전단은 제1 스토퍼(132)의 후단에 닿게 된다.The first stopper 13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to prevent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pin portion 212a. When the moving body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n portion 212a touches the rear end of the first stopper 132.

제2 삽입홈(133)은, 제2 핀부(213a)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좁은 틈 또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삽입홈(133)은 상부바디(130)의 저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3 is formed in the form of a narrow gap or slit so that the second pin portion 213a can be inserted and move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3 is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30.

제2 스토퍼(134)는, 제2 삽입홈(133)의 앞에 구비되어 제2 핀부(213a)의 전방이동을 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핀부(213a)의 전단은 제2 스토퍼(134)의 후단에 닿게 된다.The second stopper 134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3 to preven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pin portion 213a. When the moving body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in portion 213a touches the rear end of the second stopper 134.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본체(100)를 상대로 이동체(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1 핀부(212a)는 제1 삽입홈(131)을 따라 전후로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제2 핀부(213a)는 제2 삽입홈(133)을 따라 전후로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body 200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the first pin portion 212a stably slides back and forth along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and the second pin portion 213a can stably slide back and forth along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3.

그리고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스토퍼(132)에 의하여 제1 핀부(212a)는 제1 삽입홈(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이동이 저지되고, 제2 스토퍼(134)에 의하여 제2 핀부(213a)는 제2 삽입홈(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이동이 저지되며, 이동체(200)의 상측이 본체(1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다.And when the moving object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pin portion 212a is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whil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by the first stopper 132, and the second stopper ( 134), the second pin portion 213a is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whil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3, and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body 200 is s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투명창(210)의 하측은 베이스(220) 및 로워가드(240)를 통하여 본체(100)의 하부바디(110)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200)는 상측의 좌우 양쪽 및 이동체(200)의 하측의 좌우 양쪽이 본체(1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본체(100)를 상대로 이동체(200)가 최대한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수용공간(10)은 상측, 좌측 및 우측에서 열리고, 이렇게 열리는 공간을 통하여 수용공간(10)에 신발을 인입하거나 수용공간(10)으로부터 신발을 인출할 수 있고, 이때, 제2 창(212) 및 제3 창(213)은 각각 상측 및 하측이 본체(100)에 의해 지지되며, 본체(100)와 이동체(20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210 is exposed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base 220 and the lower guard 240 a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 is supported on the lower body 110. And when the mobile body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body 200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body 200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Therefore, with the mobile body 200 moving as far forward as possi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the receiving space 10 is opened from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and shoes can be entered into the receiving space 10 through this open space. Shoes can be withdrawn from (10), and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window 212 and the third window 213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mobile body 200 A stable bond between the liver is maintained.

투명창(210)은 제3 핀부(212b) 및 제4 핀부(2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The transparent window 210 may include a third fin portion 212b and a fourth fin portion 213b (see FIG. 4).

제3 핀부(212b)는 제2 창(212)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다. The third fin portion 212b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window 212.

제3 핀부(212b)는 제2 창(212)의 후단에서 뒤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third fin portion 212b is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window 212.

제3 핀부(212b)는 납작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창(212)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3 핀부(212b)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pin portion 212b has a flat plate shape. The third fin portion 212b,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second window 212, may be transparent.

제3 핀부(212b)의 내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3 핀부(212b)의 외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제3 핀부(212b)의 내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핀부(212b)의 외측면은 제2 창(212)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212.

제3 핀부(212b)의 내측면은 제1 핀부(212a)의 내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제3 핀부(212b)의 외측면은 제1 핀부(212a)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It can be achieved.

제3 핀부(212b)의 두께는 제1 핀부(212a)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핀부(212a)의 두께 및 제3 핀부(212b)의 두께 각각은 제2 창(212)의 두께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n portion 212a and the third fin portion 212b may each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window 212 .

제4 핀부(213b)는 제3 창(213)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다. The fourth fin portion 213b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third window 213.

제4 핀부(213b)는 제3 창(213)의 후단에서 뒤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fourth fin portion 213b is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third window 213.

제4 핀부(213b)는 납작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 창(213)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4 핀부(213b)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urth fin portion 213b has a flat plate shape. The fourth fin portion 213b,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third window 213, may be transparent.

제4 핀부(213b)의 내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제4 핀부(213b)의 외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be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제4 핀부(213b)의 내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핀부(213b)의 외측면은 제3 창(213)의 내측면과 단차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be stepp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indow 213.

제4 핀부(213b)의 내측면은 제2 핀부(213a)의 내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제4 핀부(213b)의 외측면은 제2 핀부(213a)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It can be achieved.

제4 핀부(213b)의 두께는 제2 핀부(213a)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핀부(213a)의 두께 및 제4 핀부(213b)의 두께 각각은 제3 창(213)의 두께보다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n portion 213a and the fourth fin portion 213b may each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ird window 213.

중간바디(120)는 제3 삽입홈(121) 및 제4 삽입홈(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삽입홈(121)은, 제3 핀부(212b)가 삽입되도록 좁은 틈 또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 삽입홈(121)은 중간바디(120)의 앞면에서 제3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4 삽입홈(122)은 제4 핀부(213b)가 삽입되도록 좁은 틈 또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4 삽입홈(122)은 중간바디(120)의 앞면에서 제3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3 삽입홈(121)은 중간바디(120)의 어느 한쪽 테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4 삽입홈(122)은 제3 삽입홈(121)의 반대쪽에서 중간바디(120)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 수 있다.(도 5 참조)The intermediate body 120 may include a third insertion groove 121 and a fourth insertion groove 122. The third insertion groove 1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narrow gap or slit to allow the third pin portion 212b to be inserted. The third insertion groove 121 is formed along a third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120. The fourth insertion groove 1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narrow gap or slit to allow the fourth pin portion 213b to be inserted. The fourth insertion groove 122 is formed along the third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120. The third insertion groove 121 is formed adjacent to one edge of the middle body 120, and the fourth insertion groove 122 is form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middle body 1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insertion groove 121. It can be formed (see Figure 5).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동체(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3 핀부(212b)는 제3 삽입홈(121)에 삽입되고 제4 핀부(213b)는 제4 삽입홈(122)에 삽입되며, 이동체(200)와 본체(10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고, 수용공간(10)의 밀폐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body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third pin portion 212b is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121 and the fourth pin portion 213b is inserted into the fourth insertion groove 122. It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body 200 and the main body 100, and a stable connection is achieved, and the receiving space 10 is effectively sealed.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과 브라켓(260)이 결합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bracket 260 are combined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하부바디(110)에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이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of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b is a sliding view in Figure 8a.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rail 25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이동체(200)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body 200 of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botto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260 and a sliding rail 250.

브라켓(260)은 하부바디(1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브라켓(260)은, 다양한 고정수단(볼트, 리벳, 클램프 등)에 의해 하부바디(110)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고정방식(걸림, 용접 등)에 의해 하부바디(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bracket 260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The bracket 260 may be fixed to the lower body 110 by various fixing means (bolts, rivets, clamps, etc.), or may be fixed to the lower body 110 by various fixing methods (hooking, welding, etc.). You can.

브라켓(260)은 슬라이더(261)를 구비한다. 슬라이더(261)는 브라켓(26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개로 이루어진 후 브라켓(260)에 고정될 수 있다.The bracket 260 is provided with a slider 261. The slider 26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26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then fixed to the bracket 260.

슬라이더(261)는 슬라이딩레일(250)과 서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lider 261 is coupled to the sliding rail 250 so that it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슬라이더(261)는 본체(100)의 하부바디(11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레일(250)은 이동체(200)의 베이스(22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이며,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간의 상대이동방향은 본체(100)와 이동체(200)의 상대이동 방향과 일치한다.The slider 261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liding rail 250 is fixedly coupled to the base 220 of the moving body 200.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between 250) coincides with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mobile body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은,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레일(250)과 슬라이더(261)는 각각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상대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도 6a 참조)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lide rail.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slider 2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in the form of a rail and can be coupled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ure 6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은, LM 가이드(LM Guide) 또는 선형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레일(250)은 LM 가이드 또는 선형 액추에이터의 레일을 이루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261)는 LM 가이드 또는 선형액추에이터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또는 캐리지 또는 슬라이더)를 이룰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may be in the form of an LM guide or a linear actuator. That is, the sliding rail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ail of an LM guide or a linear actuator, and the slider 2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of an LM guide or linear actuator. A block (or carriage or slider) can be formed.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간의 원활한 상대이동을 위하여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사이에는 볼(253) 및 리테이너(254)가 개재될 수 있다. For smooth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a ball 253 and a retainer 254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신발 관리기(1)에서 브라켓(260)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one or more brackets 260 may be provided.

슬라이딩레일(250)은 그 적어도 일부가 전후방향을 따라 단면(cross section)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더(26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슬라이딩레일(250)은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제1 방향(X)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261)에 결합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rail 250 has a constant cross sec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slider 261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That is, the sliding rail 250 is coupled to the slider 261 to enable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first direction (X) relative to the slider 261.

슬라이딩레일(250)은 베이스(220)의 저면에 결합된다.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liding rail 25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220. The shoe care machine (1)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sliding rails (250).

베이스(220)의 저면에는 슬라이딩레일(250)과의 결합을 위한 레일결합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결합부(225)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 rail coupling portion 22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220 for coupling with the sliding rail 250. The rail coupling portion 225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X).

레일결합부(225)의 개수 및 위치는 슬라이딩레일(250)의 개수 및 위치에 상응하게 이루어진다.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rail coupling portions 225 correspond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sliding rails 250.

슬라이딩레일(250)은 다양한 고정수단(볼트, 리벳, 클램프 등)에 의해 베이스(220)(레일결합부(225))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고정방식(걸림, 용접 등)에 의해 베이스(220)(레일결합부(225))에 고정될 수 있다.The sliding rail 250 can be fixed to the base 220 (rail joint 225) by various fixing means (bolts, rivets, clamps, etc.), or by various fixing methods (hooking, welding, etc.). It can be fixed to (220) (rail coupling portion 225).

일 실시예에서 볼트(255)에 의하여 슬라이딩레일(250)이 베이스(2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볼트(255)는 슬라이딩레일(250)의 관통홀(252)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레일(250)에 체결되고, 아울러 레일결합부(225)의 체결홀(225a)에 삽입되어 레일결합부(225)에 고정될 수 있다. 볼트(25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슬라이딩레일(250) 및 레일결합부(225)의 길이방향(제1 방향(X))을 따라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liding rail 25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220 by a bolt 255. The bolt 255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52 of the sliding rail 250 and is fastened to the sliding rail 250, and is also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5a of the rail joint 225 to secure the rail joint 225. can be fixed to A plurality of bolts 255 may be provided and coupled to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rail coupling portion 225 while being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X)).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사이에는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복수 개의 볼(253)이 개재될 수 있다. 볼(253)은 구 형태로 이루어진다. 볼(253)은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시킨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lls 25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to reduce friction. The ball 253 has a spherical shape. The balls 253 are formed to prevent or reduce direct contact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볼(253)은 리테이너(25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리테이너(254)에는, 각각의 볼(253)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각각의 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러한 리테이너(254)의 각 구멍들에 각 볼(253)들이 수용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Ball 253 may be supported by retainer 254. In the retainer 254, each hole having a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each ball 25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ball 253 is received and supported in each hole of the retainer 254. It can be.

리테이너(254)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된다. The retainer 254 is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X).

제1 방향(X)에서, 리테이너(254)의 길이는 슬라이딩레일(25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슬라이더(26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retainer 254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ing rail 250 a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er 261.

제1 방향(X)에서, 리테이너(254)의 길이와 슬라이더(261)의 길이의 합은 슬라이딩레일(25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direction (X),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retainer 254 and the length of the slider 26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ing rail 250.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간에 상대이동이 이루어질 때, 리테이너(254)는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이동할 수 있고 슬라이딩레일(250)을 상대로 이동할 수 있다.When relative movement is made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retainer 254 can move relative to the slider 261 and can move relative to the sliding rail 250. there is.

볼(253)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볼(253)은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간에 상대이동방향(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re are a plurality of balls 253, and the plurality of balls 253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It can be.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간에 상대이동이 이루어질 때, 볼(253)은 슬라이더(261)와 구름접촉하며 또한 슬라이딩레일(250)과 구름접촉한다. When relative movement occurs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the ball 253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slider 261 and also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sliding rail 2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은,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즉, 슬라이딩레일(250)은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제2 방향(Y)과 평행한 방향 및 제3 방향(Z)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sliding rail 250 moves relative to the slider 261 o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mov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Y) an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Z). can be made to prevent mov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더(261) 및 슬라이딩레일(250)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볼(253)에 의해 제2 방향(Y)과 평행한 방향 및 제3 방향(Z)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이동 못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도 6a 참조)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are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Y) and in the third direction by the ball 253 interposed therebetween. It can be made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Z) (see Figure 6a).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은,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방지되도록, 서로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in directions other than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더(261) 및 슬라이딩레일(250)은 모두 제1 방향(X)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되, 슬라이더(261)는 제1 걸림부(26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슬라이딩레일(250)은 제2 걸림부(2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7 참조)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both have a constant cross s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lider 261 has a first catch. It may include a portion 261a, and the sliding rail 250 may include a second locking portion 251 (see FIG. 7).

제1 걸림부(261a)와 제2 걸림부(251)는, 슬라이딩레일(250)이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제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서로 걸리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locking portion 261a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1 are configured to catch each other when the sliding rail 250 mov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Y) with respect to the slider 261.

제1 걸림부(261a)와 제2 걸림부(251)는, 슬라이딩레일(250)이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제3 방향(Z)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서로 걸리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locking portion 261a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1 are configured to catch each other when the sliding rail 250 mov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Z) with respect to the slider 26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은 제1 걸림턱(256) 및 제2 걸림턱(2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걸림턱(256)은 슬라이딩레일(25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걸림턱(257)은 슬라이딩레일(25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256)과 제2 걸림턱(257)은 슬라이딩레일(250)의 길이방향에서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rail 250 may include a first locking protrusion 256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257.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7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rail 25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6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7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iding rail 2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걸림턱(256)이 슬라이딩레일(250)의 앞쪽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 걸림턱(257)이 슬라이딩레일(250)의 뒤쪽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56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7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rear end of the sliding rail 250.

슬라이딩레일(250)의 내측에 슬라이더(261)가 결합되고, 아울러, 슬라이딩레일(250)의 내측에서 리테이너(254)가 각각의 볼(253)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레일(250)과 슬라이더(26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The slider 261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retainer 254 supports each ball 253 on the inside of the sliding rail 250, so that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slider 261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see FIGS. 6A and 6B).

슬라이딩레일(250)이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최대한 뒤쪽에 위치할 때(제1 위치, 닫힌 상태), 슬라이더(261)의 전단 및 리테이너(254)의 전단은 제1 걸림턱(256)의 내측에 닫거나 이와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sliding rail 250 is positioned as far back as possible against the slider 261 (first position, closed state), the front end of the slider 261 and the front end of the retainer 254 are inside the first locking jaw 256. It can be located close to or close to it.

슬라이딩레일(250)이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최대한 앞쪽에 위치할 때(제2 위치, 열린 상태), 슬라이더(261)의 후단 및 리테이너(254)의 후단은 제2 걸림턱(257)의 내측에 닫거나 이와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sliding rail 250 is positioned as far forward as possible against the slider 261 (second position, open state), the rear end of the slider 261 and the rear end of the retainer 254 are inside the second locking jaw 257. It can be located close to or close to it.

제1 걸림턱(256)과 제2 걸림턱(257)은, 슬라이딩레일(250)이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제1 방향(X)을 따라 왕복이동할 때, 슬라이딩레일(250), 볼(253), 리테이너(254) 및 슬라이더(261)의 결합을 유지시키고, 소정의 스트로크로 이동하도록 범위를 제한한다.The first locking step 256 and the second locking step 257, when the sliding rail 250 reciprocates along the first direction (X) relative to the slider 261,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ball 253 ), the combination of the retainer 254 and the slider 261 is maintained, and the range of movement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tro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은 각각 2개로 구비되고 신발 관리기(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이격되어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2개의 브라켓(260)이 신발 관리기(1)의 중심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2개의 슬라이딩레일(250)이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manag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brackets (260) and two sliding rails (250) are each provided, and may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oe manager (1). . That is, the two brackets 260 may be symmetrical around a reference surface (RP) that vertically crosses the center of the shoe care device 1, and the two sliding rails 250 may be symmetrical around the reference surface (RP). It can be formed in a symmetrical for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브라켓(260)의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에 의하여 본체(100)를 상대로 한 이동체(200)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200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is stable and stable by the slider 261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Smooth movement takes pl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여, 사용자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본체(100)로부터 이동체(200)를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고, 슬라이딩레일(250)이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더(261)를 상대로 이동하여 이동체(200)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진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slider 261 and the sliding rail 250 is reduc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moving object 200 from the main body 100 with relatively small force. It can be closed, and the sliding rail 250 moves relative to the slider 261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to ensure stabl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200.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하부바디(110)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본체(100)를 상대로 이동체(200)가 앞쪽으로 이동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body 110 of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200 moves forward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브라켓(260)은 하부바디(110)의 전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260)의 전단은 하부바디(110)의 전단과 일치하도록 브라켓(260)이 하부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26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10. The bracket 26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bracket 260 matches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은 상측에서 볼 때 베이스(22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may be completely shielded by the base 220 when viewed from above.

즉, 상측에서 볼 때, 제1 위치에서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이 베이스(22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짐은 물론, 제2 위치에서도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이 베이스(22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viewed from above, not only are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completely covered by the base 220 at the first position, but also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are visible from the base at the second position. It can be completely obscured by (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레일(250)의 길이(RD)는 하부바디(110)의 길이(BD)와 동일하거나 약간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RD) of the sliding rail (250) is equal to or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BD) of the lower body (110). It can be d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의 전후방향 길이(RD)는, 하부바디(110)의 전후방향 길이(BD)의 0.9배 이상이고 1배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to-back length (RD) of the sliding rail 250 is 0.9 times or more and 1 times or less the front-to-back length (BD) of the lower body 110. You can.

그리고 브라켓(260) 및 슬라이더(261)의 전후방향 길이는 슬라이딩레일(25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작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브라켓(260) 및 슬라이더(261)의 길이는 슬라이딩레일(250)의 길이의 1/2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브라켓(260) 및 슬라이더(261)의 길이는 슬라이딩레일(250)의 길이의 1/3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브라켓(260) 및 슬라이더(261)의 길이는 슬라이딩레일(250)의 길이의 1/4 ~ 1/2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front-to-rear length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er 261 is smaller than the front-to-rear length of the sliding rail 25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er 261 may be less than 1/2 of the length of the sliding rail 25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er 261 may be less than 1/3 of the length of the sliding rail 25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er 261 may range from 1/4 to 1/2 of the length of the sliding rail 250.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브라켓(260) 및 슬라이더(261)의 길이는, 이동체(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하부바디(110)와 베이스(220)가 서로 중첩되는 길이와 같거나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er 261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length at which the lower body 110 and the base 220 overlap each other when the moving body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It can be the same or shorter.

하부바디(110)의 상측에는 슬라이딩홈(111)이 형성된다.A sliding groov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10.

슬라이딩홈(111)은 하부바디(110)의 상측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방향(X)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슬라이딩홈(111)은 하부바디(110)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홈(111)은 하부바디(110)의 후단에 인접한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하부바디(110)의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cave groov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10 and is long along the first direction (X). The sliding groove 111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10 to the rear. The sliding groove 111 may be formed up to a point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body 110, or may be formed up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body 110.

슬라이딩홈(111)에 브라켓(260)이 수용되어 하부바디(110)에 고정된다.The bracket 260 is accommodated in the sliding groove 111 and fixed to the lower body 110.

또한 슬라이딩홈(111)에 슬라이딩레일(250)이 수용된다.Additionally, the sliding rail 250 is accommodated in the sliding groove 111.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이 복수 개로 구비될 때, 슬라이딩홈(111)이 복수개로 구비됨은 물론이다.When a plurality of brackets 260 and sliding rails 250 are provid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plurality of sliding grooves 111 are provided.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 각각이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룰 때, 슬라이딩홈(111) 또한 기준면(RP)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When each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is symmetrical about the reference surface RP, the sliding groove 111 can also be symmetrical about the reference surface RP.

슬라이딩홈(111)은 제1 슬라이딩홈(111a) 및 제2 슬라이딩홈(1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sliding groove 11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liding groove 111a and a second sliding groove 111b.

제1 슬라이딩홈(111a)은 하부바디(110)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다. 제1 슬라이딩홈(111a)은 제1 방향(X)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10 to the rear.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may have a constant cross-s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X).

브라켓(260)은 제1 슬라이딩홈(111a)에 수용되어 제1 슬라이딩홈(111a)의 저면 바닥에 고정되면서 하부바디(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bracket 26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and fixed to the lower body 110.

제2 슬라이딩홈(111b)은 제1 슬라이딩홈(111a)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다. 제2 슬라이딩홈(111b)은 제1 방향(X)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groove (111b)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The second sliding groove 111b may have a constant cross-s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X).

제2 슬라이딩홈(111b)은 하부바디(110)의 후단과 인접한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하부바디(110)의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groove 111b may be formed up to a point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body 110, or may be formed up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body 110.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슬라이딩홈(111b)의 길이는 제1 슬라이딩홈(111a)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second sliding groove (111b)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슬라이딩홈(111a)의 길이는 하부바디(110)의 길이의 1/2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슬라이딩홈(111a)의 길이는 하부바디(110)의 길이의 1/3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슬라이딩홈(111a)의 길이는 하부바디(110)의 길이의 1/4 ~ 1/2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may be less than 1/2 of the length of the lower body (11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may be less than 1/3 of the length of the lower body 11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X), the length of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may be in the range of 1/4 to 1/2 of the length of the lower body 110.

제1 위치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은 제1 슬라이딩홈(111a)과 제2 슬라이딩홈(111b)에 수용된다.In the first position, the sliding rail 2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111b).

제2 위치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제1 슬라이딩홈(111a)의 앞으로 돌출된다.In the second position, the sliding rail 25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protrudes in front of the first sliding groove (111a).

이동체(200)의 로워가드(240)는 베이스(220)의 테두리를 이루며, 앞쪽, 왼쪽 및 오른쪽에서 하부바디(1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로워가드(240)는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서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을 차폐하며 아울러 슬라이딩홈(111)을 차폐한다.The lower guard 240 of the mobile body 200 forms a border of the base 220 and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body 110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ly, the lower guard 240 shields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at the front of the shoe care device 1, and also shields the sliding groove 11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본체(100)를 상대로 이동체(200)가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시, 이동체(200)가 충분히 긴 거리로 이동할 수 있어 수용공간(10)의 개방이 용이하고, 브라켓(260)의 슬라이더(261)와 슬라이딩레일(25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되며,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브라켓(260) 및 슬라이딩레일(250)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ing body 200 moves along the first direction (X) relative to the main body 100, the moving body 200 moves a sufficiently long distance. This makes it easy to open the receiving space (10), maintains a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slider (261) of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and allows the bracket (260) and sliding rail (250)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penetrating into the bracket 260 and the sliding rail 25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과 슬라이더(261)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slider 261 combined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과 브라켓(260)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1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liding rail 250 and the bracket 260 combined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은 다단 레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슬라이딩레일(25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250)은 2단레일, 3단레일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rail 250 may be in the form of a multi-stage rail. That is,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rail 250 can be varied. The sliding rail 250 may be in the form of a two-stage rail, a three-stage rail, et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슬라이딩레일(250)은 제1 슬라이딩레일(250a) 및 제2 슬라이딩레일(25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rail 250 may include a first sliding rail 250a and a second sliding rail 250b.

제1 슬라이딩레일(250a)은 브라켓(26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rail 250a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260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제2 슬라이딩레일(250b)은 제1 슬라이딩레일(250a)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rail 250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rail 250a so as to move back and forth.

제1 슬라이딩레일(250a)은 브라켓(260)을 상대로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 방향(X) 이외의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sliding rail 250a is coupled to the bracket 260 to enable reciprocating movement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but is configured not to move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first direction (X).

제2 슬라이딩레일(250b)은 제1 슬라이딩레일(250a)을 상대로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 방향(X) 이외의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sliding rail (250b)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rail (250a) to be able to reciprocat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but is configured not to move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first direction (X).

브라켓(260)과 제1 슬라이딩레일(250a)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브라켓(260)과 제1 슬라이딩레일(250a)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볼(253)이 개재될 수 있다.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bracket 260 and the first sliding rail 250a, one or more balls 25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racket 260 and the first sliding rail 250a.

제1 슬라이딩레일(250a)과 제2 슬라이딩레일(250b)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레일(250a)과 제2 슬라이딩레일(250b)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볼(253)이 개재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first sliding rail (250a) and the second sliding rail (250b), one or more balls 25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liding rail (250a) and the second sliding rail (250b). there is.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y the invention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transformed.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rather by the technical idea stated in the claims.

1 : 신발 관리기 10 : 수용공간
100 : 본체 110 : 하부바디
111: 슬라이딩홈 111a : 제1 슬라이딩홈
111b : 제2 슬라이딩홈 119 : 하부바디홈
120 : 중간바디 130 : 상부바디
200 : 이동체 210 : 투명창
211 : 제1 창 212 : 제2 창
212a : 제1 핀부 212b : 제3 핀부
213 : 제3 창 213a : 제2 핀부
213b : 제4 핀부
220 : 베이스 230 : 턴테이블
240 : 로워가드 250 : 슬라이딩레일
250a : 제1 슬라이딩레일 250b : 제2 슬라이딩레일
260 : 브라켓 261 : 슬라이더
290 : 모터
300 : 공기유로 310 : 흡입구
320 : 토출구 330 : 송풍부
340 : 가열부 410 : 제1 조명
420 : 제2 조명 600 : 제어부
610 : 작동버튼
RP : 기준면 S : 신발
X : 제1 방향 Y : 제2 방향
Z : 제3 방향
1: shoe manager 10: accommodation space
100: main body 110: lower body
111: sliding groove 111a: first sliding groove
111b: second sliding groove 119: lower body groove
120: middle body 130: upper body
200: moving object 210: transparent window
211: first window 212: second window
212a: first pin portion 212b: third pin portion
213: third window 213a: second pin portion
213b: fourth pin portion
220: Base 230: Turntable
240: Lower guard 250: Sliding rail
250a: first sliding rail 250b: second sliding rail
260: Bracket 261: Slider
290: motor
300: air flow path 310: intake port
320: discharge port 330: blowing unit
340: heating unit 410: first light
420: second light 600: control unit
610: operation button
RP: Reference plane S: Shoe
X: first direction Y: second direction
Z: third direction

Claims (14)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후측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중간바디 및 상기 중간바디의 상측에서 앞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바디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이동체로서, 상기 본체와 함께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이동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 송풍부;
상기 하부바디에 결합되고, 슬라이더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 및
적어도 일부가 전후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 main body including a lower body, a middle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iddle body;
A movable body including a base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a transparent window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the movable body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shoes together with the main body;
a blow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circulate air in the receiving space;
One or more brackets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provided with a slider;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has a constant cross-sec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is movably coupled to the slider back and forth, and includes one or more sliding rail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딩레일 사이에는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복수 개의 볼이 개재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plurality of balls are interposed between the slider and the sliding rail to reduce friction,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방지되도록, 서로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lider and the sliding rail are configured to engage each other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in directions other than forward and backward.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각각 2개로 구비되고 상기 신발 관리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이격되어 대칭되게 구비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are each provided in two pieces and are symmetrically spac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oe manager.
Shoe care mach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바디의 전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측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에 의해 차폐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bracket is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are shielded by the base when viewed from above,
Shoe care mach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하부바디의 전후방향 길이의 0.9배 이상이고 1배 이하인,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sliding rail is 0.9 times or more and 1 time or less than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lower body,
Shoe care mach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4,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a downwardly concave sliding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bracket and the sliding rail.
Shoe care mach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하부바디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제1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슬라이딩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앞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하는,
신발 관리기.
In clause 7,
The sliding groove is,
a first slid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to the rear; and
It is divided into a second sliding groov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The bracket is receiv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fixed to the lower body,
The sliding rail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and moves to protrude in front of the first sliding groove.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브라켓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레일;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레일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liding rail is,
A first sliding rail movably coupled to the bracket back and forth; and
Comprising a second sliding rail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rail back and forth,
Shoe care machin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앞면을 이루는 제1 창, 좌측면을 이루는 제2 창 및 우측면을 이루는 제3 창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이루며, 앞쪽, 왼쪽 및 오른쪽에서 상기 하부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는 로워가드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transparent window is
It includes a first window forming the front side, a second window forming the left side, and a third window forming the right side,
The moving object is,
It forms a border of the base and includes a lower guard located outside the lower body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hoe care machin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연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moving object is,
Comprising a turntabl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about a vertical rotation axis,
Shoe care machin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앞면을 이루는 제1 창;
좌측면을 이루는 제2 창;
우측면을 이루는 제3 창;
상기 제2 창의 뒤쪽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1 핀부; 및
상기 제3 창의 뒤쪽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2 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제1 핀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삽입홈;
상기 제1 삽입홈의 앞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핀부의 전방이동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
상기 제2 핀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의 앞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핀부의 전방이동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transparent window is
A first window forming the front side;
a second window forming the left side;
a third window forming the right side;
a first fin portion integrally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second window; and
It includes a second fin portion integrally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third window,
The upper body is,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first pin portion is inserted and moved;
a first stopper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to prevent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pin portion;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second pin portion is inserted and moved; and
Comprising a second stopper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o prevent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pin portion,
Shoe care machin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상기 제2 창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3 핀부; 및
상기 제3 창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4 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바디는,
상기 제3 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중간바디의 앞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3 삽입홈; 및
상기 제4 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중간바디의 앞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4 삽입홈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2,
The transparent window is
a third fin portion integrally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window; and
It includes a fourth fin portion integrally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third window,
The middle body is,
a third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so that the third pin portion is inserted; and
Comprising a fourth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so that the fourth pin portion is inserted,
Shoe care machin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조명하는 조명;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상부바디의 저면에 형성되는 토출구;
상기 상부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명과 간섭되지 않게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송풍부가 배치되는 공기유로; 및
상기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main body is,
Lighting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to illuminate the receiving space;
an intake por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an air passage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connecting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ighting, and in which the blower unit is disposed; and
Including a heating unit disposed in the air passage,
Shoe care machine.

KR1020220110942A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KR2024003175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42A KR20240031755A (en)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PCT/KR2023/009539 WO2024048967A1 (en) 2022-09-01 2023-07-06 Shoe c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42A KR20240031755A (en)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755A true KR20240031755A (en) 2024-03-08

Family

ID=9009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42A KR20240031755A (en)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1755A (en)
WO (1) WO2024048967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15Y1 (en) * 2006-12-07 2008-01-11 원민식 A drying box for shoes used in a car
KR101091716B1 (en) * 2009-03-17 2011-12-08 (주)인서울 3way viewing type display case
KR20130034367A (en) * 2011-09-28 2013-04-05 조홍래 Show case having transmissive display
KR101260063B1 (en) * 2012-08-31 2013-04-30 (주) 인슈텍 Portable sterilization deodorant and drying for shoes
KR20180072890A (en) * 2016-12-21 2018-07-02 (주)성일이노텍 Open type shoe ster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67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498B1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JP5517890B2 (en) Showcase and lighting module
KR20240031755A (en) Shoes care device
KR20160102875A (en) Showcase
TWM621916U (en) Product discharge structure of vending machine
JP3954425B2 (en) Dehumidification unit and kitchen furniture
JP2006308194A (en) Refrigerating showcase
KR20240031757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714A (en) Show case
CN210700992U (en) Automatic drying equipment of floor
KR20230093160A (en) Shoes care device
TW202327492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700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697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699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696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701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703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694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695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92698A (en) Shoes care device
JP6955966B2 (en) Goods loading / unloading device
KR20230092702A (en) Shoes care device
KR20240074511A (en) Show case
KR20230092719A (en) Shoes car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