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667A -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667A
KR20240031667A KR1020220110650A KR20220110650A KR20240031667A KR 20240031667 A KR20240031667 A KR 20240031667A KR 1020220110650 A KR1020220110650 A KR 1020220110650A KR 20220110650 A KR20220110650 A KR 20220110650A KR 20240031667 A KR20240031667 A KR 2024003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contactor
series
charging resis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규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to KR102022011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667A/ko
Publication of KR2024003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32Control or regulation of multiple-unit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를 전 차량에 통합 구성함으로써 설치 레이아웃 간소화 및 중량 최소화와 함께 전체 동력 효율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제어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MOUNTAIN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를 전 차량에 통합 구성함으로써 설치 레이아웃 간소화 및 중량 최소화와 함께 전체 동력 효율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제어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 전원공급장치는 전동차 추진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추진제어장치 그리고 추진 모터를 제외한 보조장치로, 예를 들어 에어컨, 히터, 컴프레서, 전등 및, 제어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로 이루어진다. 추진제어장치는 가선에 접촉된 판토그래프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DC-DC 컨버터와 인버터를 통해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추진 모터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조전원장치는 판토그래프를 통해 인가되는 고압의 직류전원을 인버터를 통해 저전압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원을 트랜스포머를 통해 정현파 전원으로 파형 정형한 후, 이 정현파 교류 전원 대부분을 에어컨, 히터, 컴프레셔 등에 공급하고, 나머지 일부를 변환하여 전등, 제어장치 및 기타 장치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산악열차는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편성 구성 차량을 추진제어장치가 취부된 M 차량으로 구성하고 있고, 보조 장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장치가 1개 이상의 차량에 취부되어 있다. 복수의 보조전원장치는 임의의 보조전원장치가 고장/이상동작 중일 경우 정상 동작 중인 보조전원장치(들)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므로 요구되는 용량이 증가하며, 특히 산악열차의 경우 전장품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중/대형 철도차량에 비해 제약이 많아 추진제어장치 및 보조전원장치를 각각 철도 차량에 효율적으로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규의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05173호 '산악 철도용 궤도 구조'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추진제어장치인 제1 제어장치와, 보조전원장치인 제2 제어장치를 전 차량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운영시 동력 효율 개선 및 냉각기 공유 등에 따른 전체 중량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산악열차 통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차량에 취부되는 외함 내에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차량 저부의 설치 레이아웃 간소화를 도모하도록 하는 산악열차 통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가 입력단을 공유하지 않음으로써 양 구성이 서로 분리/독립 구성되어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산악열차 통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제2 제어장치의 출력단 측에 연장급전접촉기를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제2 제어장치 동작 정지시에도 보조장치의 원활한 동작을 도모하도록 하는 산악열차 통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은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의 개별 입력단에 대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개별 차량에 대한 추진력을 생성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로, 각 차량에 설치되는 제1 제어장치; 및 보조장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각 차량에 설치되는 제2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는 각 차량에 취부되는 외함 내에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은 상기 전원부와 제1 제어장치 사이의 직류 고속도 차단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장치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측 반대단에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1 접촉기; 및 상기 충전저항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는 제2 접촉기;를 포함하는 제1 전자접촉기; 상기 제1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기와 병렬 연결되는 제1 충전저항; 상기 제2 접촉기 및 제1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1 필터 리액터; 상기 제1 필터 리액터와 직렬 연결되는 제1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필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주파수 변환 후 모터에 공급하는 추진용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에서의 상기 제2 제어장치는 고정 전압 고정 주파수 제어 인버터 구성인 정지형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에서의 상기 제2 제어장치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측 반대단에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3 접촉기; 및 상기 충전저항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는 제4 접촉기;를 포함하는 제2 전자접촉기; 상기 제3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4 접촉기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충전저항; 상기 제5 접촉기 및 제2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2 필터 리액터; 및 상기 제2 필터 리액터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정지형 인버터부와 병렬 연결되는 제2 필터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은 상기 제2 제어장치들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각 차량에 설치되는 제2 제어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동작시, 정상 상태의 제어장치(들)로부터 이상 상태의 제어장치(들)로 전원을 제공하는 연장급전접촉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추진제어장치인 제1 제어장치와, 보조전원장치인 제2 제어장치를 전 차량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운영시 동력 효율 개선 및 냉각기 공유 등에 따른 전체 중량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차량에 취부되는 외함 내에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차량 저부의 설치 레이아웃 간소화를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가 입력단을 공유하지 않음으로써 양 구성이 서로 분리/독립 구성되어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제2 제어장치의 출력단 측에 연장급전접촉기를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제2 제어장치 동작 정지시에도 보조장치의 원활한 동작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3은 산악열차의 3량 1편성 시 도 1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배치에 대한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3은 산악열차의 3량 1편성 시 도 1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배치에 대한 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산악열차는 일 예로 3량 1편성(Mc1-M-Mc2)으로, 3개의 구동대차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종래의 M 차량이란 운전실은 없으나 견인력을 발생시키며 객실로 사용되는 중간전동차를, Mc 차량이란 운전실과 견인력을 얻고 열차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판토그래프를 가진 제어전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를 전 차량에 통합 구성함으로써 설치 레이아웃 간소화 및 중량 최소화와 함께 전체 동력 효율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제어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1)은 전원부(10), 제1 제어장치(30), 제2 제어장치(50)와, 연장급전접촉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는 산악열차를 구성하는 전 차량에 각각 탑재되며, 효율적인 배치를 위하여 차량 별 취부되는 외함에 함께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제1 제어장치(30)란 '추진제어장치'를, 제2 제어장치(50)란 '보조전원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전원부(10)는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의 입력단에 대한 가선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어장치들(30,50)에 대한 개별 입력단으로 전압을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는 입력단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상호 분리 및 독립 구성되어 일 구성이 다른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부(10)를 통한 가선 전압은 직류고속도 차단기(High Speed Circuit Breaker; 310)를 통하여 제1 제어장치들(30) 측으로 인가될 수 있다. 직류고속도 차단기(310)는 직류회로에 단락전류 또는 역전류 등 이상전류가 발생할 경우 개극 이상전류가 최대치에 도달하기 전, 소정 범위의 전류치로 제한하여 차단하는 구성이다.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1 제어장치(30)는 직류고속도 차단기(310)를 온(On) 제어함으로써 전원부(10)로부터 전압을 입력받는다.
제1 제어장치(30)는 각 차량에 대한 추진력을 생성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장치(30)는 각 차량에 개별 배치되며, 예를 들어 3량 1편성(Mc1-M-Mc2)으로 3개의 구동대차로 이루어지는 산악열차의 경우 3개의 차량에 모두 개별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진 동력 시스템이 각 차량 별 분리 배치되기 때문에 기존 대비 더욱 낮은 동력을 통하여 차량 운행이 가능하여 운행 효율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어장치(30)는 직류고속도 차단기(310), 전자접촉기(320), 충전저항(330), 필터 리액터(340), 필터 커패시터(350)와, 추진용 인버터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고속도 차단기(3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며, 제1 제어장치(30)와 전원부(10) 사이에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접촉기(320)는 제1 접촉기(321)와 제2 접촉기(323)의 한 쌍의 구성이 서로 직렬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1 접촉기(321)는 직류고속도 차단기(310)를 통하여 가선 전압이 인가되면 후술할 필터 커패시터(350)가 급속도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부(10)와 연결되는 측 반대단에 충전저항(330)이 연결되는 스위치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2 접촉기(323)는 필터 커패시터(350)의 충전 완료 시 충전저항(330)을 분리하는 일종의 스위치 구성으로, 충전저항(320)과 병렬 연결된다.
충전저항(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부(10) 측으로부터 전원 인가 시 과도 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제1 접촉기(321) 및 필터 리액터(340)와 직렬 연결되고, 제2 접촉기(323)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충전저항(330)의 후단 측에는 직류 전압을 평활하는 필터 리액터(340)와 필터 커패시터(350)가 연결된다. 즉, 필터 리액터(340)와 필터 커패시터(350)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 리액터(340)는 제2 접촉기(323) 및 충전저항(330)과 직렬 연결되고 필터 커패시터(350)는 후술할 추진용 인버터부(36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리액터(340)와 필터 커패시터(350)는 상호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추진용 인버터부(360)는 전원부(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주파수 변환 후 모터(미도시)에 공급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정지식 모터 속도 제어 장치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제어 인버터 구성일 수 있다. 추진용 인버터부는 전압형 인버터일 수도 전류형 인버터일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전압형 인버터는 예를 들어 PWM 제어 인터버로, 주파수와 전압 제어를 양 방향으로 하는 VVVF 제어이고, 3상 유도 전동기를 구동한다. 이러한 추진용 인버터부(360)는 예를 들어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과 같은 제어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필터 커패시터(35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장치(50)는 추진용 인버터부(360)에 의하여 운전되는 견인전동기(미도시), 회생 에너지를 소비시키는 저항(미도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제어장치(3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제1 접촉기(321) 스위치 온(On)을 통하여 전원부(1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은 컨버터(미도시)에 의하여 리플을 가지는 직류로 변환된다. 그 후, 충전저항(330)을 통하여 필터 리액터(340)와 필터 커패시터(350)에 직류전압을 형성한다. 그 후 직류전압이 상승하여 설정값에 도달하면 제2 접촉기(323)가 스위치 온되어 필터 리액터(340)와 필터 커패시터(350)에 인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나서 추진용 인버터부(360)에 의하여 전압과 주파수가 변화되어 교류 전원을 전동기 측에 제공한다.
제2 제어장치(50)는 조명장치, 제어회로, 냉난방장치 등 보조장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전자접촉기(510), 충전저항(520), 필터 리액터(530), 필터 커패시터(540)와, 정지형 인버터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장치(50)의 구성들 510 내지 540은 전술한 제1 제어장치(30)의 구성들 320 내지 350과 실질적으로 동일/유사한 구성으로, 실질적으로 동일/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구성의 명확한 구별을 위하여 제1 제어장치(30)의 구성들을 '제1'의 구성으로, 제2 제어장치(50)의 구성들을 '제2'의 구성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자접촉기(320)은 '제1 전자접촉기'로, 전자접촉기(510)은 '제2 전자접촉기'로 지칭한다. 또한, 제2 전자접촉기(510)의 하위 구성들을 제3 접촉기(511) 및 제4 접촉기(513)로 지칭한다.
정지형 인버터부(550)는 고정 전압 고정 주파수(Constant Voltage Constnat Frequency) 제어 인버터 구성으로, 제1 제어장치(30)와 함께 각 차량 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지형 인버터부(510)는 전원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교류 상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차량 내 조명장치 등 교류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정지형 인버터부(550)는 제2 필터 커패시터(54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차량 별 정지형 인버터부(550)가 구성되어, 임의의 차량에 배치된 정지형 인버터부(550) 고장/이상동작 시 후술할 연장급전기(70)를 통하여 정상 정지형 인버터부(550)로부터 이상동작 인버터부(55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장치(50)를 각 차량에 모두 개별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기존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동력으로 차량 운영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산악열차가 3량 1편성(Mc1-M-Mc2)으로 3개의 구동대차로 구성된 경우, 비상 시 2개의 차량에 배치된 제2 제어장치(50)를 통하여 나머지 차량에 대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부담을 덜 수 있는 것에 이점이 있다.
또한, 중전철과 경전철 대비 차량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산악열차의 경우, 그 저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할 수밖에 없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외함 내에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를 통합 수납함으로써 활용 공간효율 향상 및 전체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장치(30)와 제2 제어장치(50)가 외함 내에 함께 배치됨으로써, 특히 추진용 인버터부(360)와 정지형 인버터부(550)에서 발생하는 열 제거를 위한 냉각기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이점 역시 발생한다.
연장급전접촉기(70)는 각 제2 제어장치(50)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각 차량에 설치되는 제2 제어장치들(50) 중 임의의 제2 제어장치(50) 동작 정지 시, 동작 중인 제2 제어장치(들)(50)로부터 정지된 제2 제어장치(50) 측으로 전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장급전접촉기(70)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제2 제어장치(50)의 고장정보가 종합제어장치(미도시)와 연계되며, 연장급전 스위치의 접점 신호가 종합제어장치 측에 입력되면, 상기 종합제어장치가 연장급전접촉기(70)를 여자하여 정상 동작 중인 제2 제어장치(50)와 이상 동작하는 제2 제어장치(50) 간 보조전원라인이 연결되어 연장급전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1 :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10 : 전원부
30 : 제1 제어장치
310 : 직류고속도 차단기
320 : 제1 전자접촉기
321 : 제1 접촉기 323 : 제2 접촉기
330 : 제1 충전저항
340 : 제1 필터 리액터
350 : 제1 필터 커패시터
360 : 추진용 인버터부
50 : 제2 제어장치
510 : 제2 전자접촉기
511 : 제3 접촉기 513 : 제4 접촉기
520 : 제2 충전저항
530 : 제2 필터 리액터
540 : 제2 필터 커패시터
550 : 정지형 인버터부
70 : 연장급전접촉기

Claims (5)

  1.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의 개별 입력단에 대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개별 차량에 대한 추진력을 생성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로, 각 차량에 설치되는 제1 제어장치; 및
    보조장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각 차량에 설치되는 제2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장치와 제2 제어장치는
    각 차량에 취부되는 외함 내에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제1 제어장치 사이의 직류 고속도 차단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장치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측 반대단에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1 접촉기; 및 상기 충전저항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는 제2 접촉기;를 포함하는 제1 전자접촉기;
    상기 제1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기와 병렬 연결되는 제1 충전저항;
    상기 제2 접촉기 및 제1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1 필터 리액터;
    상기 제1 필터 리액터와 직렬 연결되는 제1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필터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주파수 변환 후 모터에 공급하는 추진용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장치는
    고정 전압 고정 주파수 제어 인버터 구성인 정지형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장치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측 반대단에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3 접촉기; 및 상기 충전저항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는 제4 접촉기;를 포함하는 제2 전자접촉기;
    상기 제3 접촉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4 접촉기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충전저항;
    상기 제5 접촉기 및 제2 충전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제2 필터 리액터; 및
    상기 제2 필터 리액터와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정지형 인버터부와 병렬 연결되는 제2 필터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장치들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각 차량에 설치되는 제2 제어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상동작시, 정상 상태의 제어장치(들)로부터 이상 상태의 제어장치(들)로 전원을 제공하는 연장급전접촉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KR1020220110650A 2022-09-01 2022-09-01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KR20240031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50A KR20240031667A (ko) 2022-09-01 2022-09-01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50A KR20240031667A (ko) 2022-09-01 2022-09-01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667A true KR20240031667A (ko) 2024-03-08

Family

ID=9023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650A KR20240031667A (ko) 2022-09-01 2022-09-01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6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173A (ko) 2014-07-03 2016-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 철도용 궤도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173A (ko) 2014-07-03 2016-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 철도용 궤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842B2 (en)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tor car
JP5558022B2 (ja) 電気車の蓄電制御装置及び蓄電制御方法
CA2740979C (en) Propulsio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JP5918788B2 (ja) 鉄道車両用駆動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編成列車
CN105431325B (zh) 电力转换设备、紧急行驶系统及铁路车辆
Kondo Recent energy saving technologies on railway traction systems
EP2695763B1 (en) Traction power converter for multisystem rail vehicle
CN108297701B (zh) 电动车辆的电驱动系统
KR101957469B1 (ko) 다권선 고주파 변압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CN110834550A (zh) 车辆交流电传动系统
CN107791851A (zh) 用于主电容器放电的备用电力供应
CN104648169A (zh) 一种电力机车列车供电装置
EP1356981A2 (en) Power supply device for railway carriages and/or drive units
CN102639354A (zh) 推进控制装置
CN104108319B (zh) 电力机车控制装置和电力机车控制方法
CN110023132B (zh) 用于有轨车辆的电网络、有轨车辆和用于运行电网络的方法
JP5777669B2 (ja) 電気車用制御装置
WO2014170931A1 (ja) 電気機関車制御装置および電気機関車制御方法
JP2015035864A (ja) 編成列車および編成列車を構成する車両の増加方法
KR20240031667A (ko) 산악열차용 통합제어시스템
CN111332122B (zh) 采用分布式小功率电源模块的供电系统
Sugahara et al. Traction inverter systems with SiC power modules for railway vehicles
CN212579672U (zh) 一种轨道车辆的供电系统及轨道车辆
Weschta Power converters with IGBTs for the new light rail vehicle for the City of Frankfurt
CN114056105A (zh) 轨道车辆牵引传动系统及轨道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