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594A -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594A
KR20240031594A KR1020220110462A KR20220110462A KR20240031594A KR 20240031594 A KR20240031594 A KR 20240031594A KR 1020220110462 A KR1020220110462 A KR 1020220110462A KR 20220110462 A KR20220110462 A KR 20220110462A KR 20240031594 A KR20240031594 A KR 20240031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b
bind
integrated content
bindable
sli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준
진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to KR102022011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594A/ko
Priority to PCT/KR2022/017606 priority patent/WO2023085792A1/ko
Publication of KR2024003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객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각각을 소정 단위로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각각의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부와,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부에서 바인드 객체에 부여된 퍼머링크를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이메일 연결부를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EGRATED CONTENTS}
본 발명은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바인드(bind)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이메일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소모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유/무선 네트워크(인터넷) 및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및 창작 활동을 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content)를 이용하고 있다.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는 동영상(영화, 드라마 등), 소설, 음악 등과 같이 사용자가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문화 상품들뿐 아니라 특정 프로그램이나 다수의 컨텐츠가 해당될 수 있으며, 현재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자체 제작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 및 블로그(blog)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웹 사이트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UCC란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의미하며, 일반 사용자들이 상업적 목적이 아닌 개인적 목적으로 제작하여 게시하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를 가리킬 수 있다. UCC의 대표적인 예로는 게시판의 글, 댓글, 블로그 사진(포스트), 동영상, 그림(작화), 음악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생산하여 네트워크 상에 게시하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 사용자에 의해 생산되는 다수의 컨텐츠들은 높은 문화 파급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단순한 네트워크 사용자들만의 볼거리 역할에 그치고 있다. 인터넷의 사용자들이 활발한 개인 미디어 활동으로 말미암아 과거에는 컨텐츠 사업자들이 생산하는 컨텐츠를 인터넷 사용자들이 단순히 이용하는데 그쳤으나, 현재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주체가 되어 컨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미디어)산업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컨텐츠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문화 산업에서 장르간 차이가 없어지는 컨버전스(Convergence)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컨텐츠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블로그)내에서만 활용되거나, 단순 게시물로서 그 생명력을 마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확보하여, 높은 품질의 통합 컨텐츠 및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통해, 사용자 창작의 통합 컨텐츠를 통한 수익 창출 모델 및 긍정적인 컨텐츠의 재창작을 유도할 수 있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또 는 방법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9977 (2017.04.12)호는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가진 사업자에게 개별적으로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들 간의 콘텐츠를 통합하고 공유함으로써 복합 콘텐츠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9816 (2006.07.06)호는 유무선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무선을 통합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유무선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바인드(bind)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이메일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소모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객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각각을 소정 단위로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각각의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부와,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부에서 바인드 객체에 부여된 퍼머링크를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이메일 연결부를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바인드 객체, 바인더블 객체, 슬라이싱 객체 및 그랩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이메일 계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키워드별로 각 폴더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지정된 날짜별로 각 폴더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는, 슬라이싱 단위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슬라이싱 단위로 상기 그랩 객체를 슬라이싱 하는 슬라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의 선택, 시스템의 설정, 또는 시스템의 학습결과에 따라 슬라이싱 단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는, 상기 그랩객체의 출처가 클라우드 내부인 경우 내부 링크를 부여하고, 상기 그랩객체의 출처가 클라우드 외부인 경우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그랩객체 및 상기 슬라이싱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객체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각각을 소정 단위로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싱 객체 생성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각각의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와,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와,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생성단계,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생성단계에서 바인드 객체에 부여된 퍼머링크를 외부의 이메일 계정과 연결시키는 이메일 연결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인드 객체 생성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관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입력된 정보와 관련된 바인더블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바인더블 객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바인더블 객체 중 사용자가 통합하고자 하는 바인더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싱 객체 생성단계는, 슬라이싱 단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슬라이싱 단위로 상기 그랩 객체를 슬라이싱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싱 단위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 시스템의 설정, 또는 시스템의 학습결과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방법은, 상기 그랩객체 및 상기 슬라이싱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바인드(bind)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이메일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소모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이메일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이메일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 사용자 단말(102) 및 클라우드(1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의 수신, 슬라이싱 객체 생성, 바인더블 객체의 생성, 바인드 객체의 생성, 및 통합컨텐츠를 생성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랩(grab)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상의 컨텐츠를 가져오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고, 슬라이싱(slicing)은 하나의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세부 단위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바인드(bind)는 그랩(grab)을 통해 가져온 컨텐츠로 구성되는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된 슬라이싱 객체를 통합하여 하나로 묶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싱(slicing) 및 바인드(bind)를 통해 개별 컨텐츠에 포함된 여러가지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는 클라우드(103) 내외부로부터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그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그랩객체를 소정 단위로 슬라이싱하여 슬라이싱 객체를 형성하고, 상기 그랩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내부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며,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여 퍼머링크(perma-link)를 통해 외부의 다른 사용자 단말(102)에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는 인터넷 상의 다양한 종류의 무수히 많은 컨텐츠들을 가져와서(그랩) 사용자의 기호, 니즈 또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싱 및 바인드하여 바인드 객체로 통합하여 통합 컨텐츠로 관리할 수 있으며, 퍼머링크를 통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자간 주고받거나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와 연결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2)을 통해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에 그랩 객체의 수신, 바인더블 객체의 생성 또는 바인드 객체의 생성 등의 요청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을 통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2)에서 사용자 계정을 통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에 그랩 또는 바인드의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103)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cloud strage server)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상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는 클라우드(103)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클라우드(103)상에서 각종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요청받은 바인드 객체의 생성을 클라우드(103)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103)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103)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 바인드 객체 및 통합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200)는, 그랩객체 수신부(210),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220), 메타데이터 생성부(230),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 통합 컨텐츠 처리부(260), 제어부(270) 및 이메일 연결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랩객체 수신부(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객체 수신부(210)는 이미지, 영상, 웹페이지 등의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그랩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가져오기(그랩) 요청에 따라서 가져온 해당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수신부(210)는 클라우드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그랩 객체를 수신하고,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수신한 그랩 객체는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랩 객체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클라우드 내부 또는 외부의 특정 컨텐츠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에 대한 그랩 요청에 따라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에 대한 그랩 요청이 수신되면 그랩 객체 수신부(210)는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그랩객체 수신부에 수신되는 파일은 동영상, 음성, 문서, 압축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그랩 객체 수신부(21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퍼머링크(Perma-Link, PL)를 통해 통합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퍼머링크가 부여된 바인드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에서 생성된 바인드 객체로 구성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퍼머링크를 통해 제공한 경우에, 다른 사용자가 해당 퍼머링크를 통해 해당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해당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하여 해당 바인드 객체에 대해 그랩 요청을 하면, 그랩 객체 수신부(210)는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는 사용자간 퍼머링크를 통해 공유되는 통합 컨텐츠를 그랩 객체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컨텐츠의 추가 또는 제거의 임의 편집을 수행하여 다른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22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각각을 소정단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220)는 그랩된 객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바인딩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그랩 객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로 슬라이싱 할수 있다. 상기 슬라이싱의 단위는 그랩 객체의 파일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객체가 동영상 파일인 경우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는 동영상 파일을 1초 단위 혹은 기타 시간단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그랩객체가 3분짜리 동영상인 경우 이를 1초 단위로 슬라이싱 하면 180개의 슬라이싱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그랩 객체가 문서파일인 경우, 단락별로 슬라이싱 할 수 있다. 그랩객체가 음성파일인 경우, 음성파일내의 목소리 변화 단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그랩객체가 PDF 파일인 경우 페이지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이처럼,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에서 슬라이싱 단위는 그랩객체의 파일 형태 및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싱 단위 선택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컨텐츠 처리장치와 사용자의 상호 리액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시스템의 설정, 또는 시스템의 학습결과에 따라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부(230)는, 상기 그랩객체 및 상기 슬라이싱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속성정보'라고도 불리우며,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콘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데이터이다. 여기에는 콘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쉬운 예로, 영화를 보려고 DVD 타이틀을 구매하였을 때 포장에 붙어있는 제목, 상영시간, 등급, 제작사, 감독, 줄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서술적(descriptive) 메타데이터와 의미적(semantic) 메타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술적 메타데이터는 정보의 내용과는 관계가 없으나 그 정보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표현하는 것이며, 의미적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자체의 내용적인 측면을 서술한 것이다. DVD 타이틀을 예로 들면, 기술적 메타데이터는 제작사, 감독, 상영시간 등이 될 것이고, 의미적 메타데이터는 제목, 줄거리, 등급 등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메타데이터 생성부(230)는 슬라이싱된 슬라이싱 객체에 대해 각각 메타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객체가 3분짜리 동영상 파일이고 이를 1초 단위로 슬라이싱 한 경우, 상기 슬라이싱된 180개의 슬라이싱 객체 각각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에는 각 슬라이싱 객체에 등장하는 인물, 동작, 배경, 색깔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랩 객체가 음성 파일이고 이를 음성파일내 목소리 변화에 따라 슬라이싱 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싱 객체 내의 목소리 정보, 사용단어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슬라이싱 객체 뿐만이 아니라 그랩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도 형성할 수 있다. 그랩 객체는 슬라이싱 객체의 집합이므로 그랩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슬라이싱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포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각각의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그랩 객체 수신부(210)를 통해 그랩 객체가 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됨과 동시에 해당 그랩 객체의 출처를 검출하여 내부 링크 태그(Internal-Link, IL) 또는 외부 링크 태그(External-Link, EL)를 결정하고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싱 객체가 생성될 때, 상기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하여 슬라이싱 객체 각각에 내부 링트 태그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형태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는 사용자간 공유되는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인드 객체를 사용자가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에서도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할 수 있어 저작권의 문제가 없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컨텐츠에 대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그랩 객체의 출처가 클라우드 내부인 경우 해당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는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출처가 클라우드 외부인 경우 해당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특정 컨텐츠의 출처가 클라우드의 외부로 결정된 경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해당 그랩 객체에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특정 컨텐츠의 출처가 클라우드의 내부로 결정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계정에서 특정 컨텐츠를 그랩 요청한 경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수신된 그랩 객체에 대해 내부 또는 외부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드 가능한 객체인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에 출처를 표시하고 비로소 바인드가 가능한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경우 바인드 객체는 항상 클라우드 내부에서 그랩되기 때문에 해당 바인드 객체에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외부 링크 태그가 부여된 그랩 객체를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리그랩하는 경우 리그랩 객체에 대하여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그랩(regrab)은 클라우드의 외부나 내부에서 그랩(grab)되어진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 다시 그랩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클라우드 외부에서 그랩되어 클라우드의 내부의 특정 사용자 계정에 그랩 객체로서 수신된 특정 컨텐츠를 리그랩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해 기존에 부여된 외부 링크 태그와 함께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클라우드 내부에서 그랩한 특정 컨텐츠에 대해 외부 링크 태그 이외에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클라우드 내부의 그랩 객체를 리그랩하는 경우 해당 그랩 객체에 대해서 해당 컨텐츠의 클라우드 외부의 원 출처로 연결되는 외부 링크 태그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내부의 그랩 출처로 연결되는 내부 링크 태그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는,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진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는 바인드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인드 객체는 다양한 컨텐츠들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로 묶인 컨텐츠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는 바인드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는 그랩 객체 수신부(210)가 특정 퍼머링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특정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해당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통합 컨텐츠에서 특정 바인더블 객체를 추가하거나 제외하여 새로운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는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바인드 객체에 대해서 바인드를 해제하는 언바인드(unbind)를 수행하거나 해제된 바인드를 다시 바인드하는 리바인드(rebind)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조합하기 위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특정 바인드 객체를 언바인드하여 특정 바인더블 객체를 제거하거나 또는 추가하고, 리바인드하여 재구성된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부(260)는,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머링크(permanent link)는 인터넷상 블로그나 게시판 등에 올려진 컨텐츠에 어느 경우에나 연결될 수 있는 절대적인 위치의 불변 주소에 해당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 컨텐츠 처리부(260)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바인드 객체에 통합 컨텐츠 처리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어디에서든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개의 퍼머링크를 부여하여 하나의 통합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부(260)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기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퍼머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컨텐츠 처리부(260)는 문자메시지, E-mail 또는 기타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계되어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인 퍼머링크를 부여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간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퍼머링크를 통해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인드 객체를 수신하여 그랩할 수 있고, 이경우, 본 실시형태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는 그랩 객체 수신부(210)를 통해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는 이 과정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를 통해 해당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후,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는 수신된 그랩 객체에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를 통해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로 생성하고,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를 통해 해당 바인더블 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새로운 바인드 객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경우에 있어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수 있고, 해당 통합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순서에 따라 이를 열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다시 재정렬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하고,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게 하여 인터넷 상의 무수한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 및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어부(270)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고, 그랩 객체 수신부(210),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220), 메타데이터 생성부(230),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 및 통합 컨텐츠 처리부(260)간 제어 및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이메일 연결부(280)는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부(260)에서 바인드 객체에 부여된 퍼머링크를 이메일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부(280)는 외부의 이메일 계정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200)에서는 그랩 및 바인딩 처리된 컨텐츠를 이메일을 통해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이메일 연결부(28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부(280)에 연결되는 이메일 계정이란 이메일 이용자를 관리하기 위해서 마련된 개별 계정으로서 사용자 식별기호(User ID)와 유사하다. 상기 이메일 계정은 다음, 구글,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이메일 계정 뿐만 아니라 개별도메인을 통해 제공되는 이메일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메일 연결부(280)는 이메일 계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타버스와도 연결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메일뿐만 아니라 정보교환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웹서비스에서 자료전달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200)는 상기 이메일 연결부(280)를 통해 이메일 계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이메일을 통해 발송한 이후에도 상기 컨텐츠의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컨텐츠의 수정은 이메일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메일을 송신한 후에 보낸 자료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시 새로운 버젼의 자료를 송부할 필요가 없이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 의해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면 이메일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 업데이트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발신자 및 수신자는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 의해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슬라이싱 및 그랩하여 추가적인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200)에서 상기 이메일 연결부(280)를 통해 전달되는 통합 컨텐츠는 하나의 퍼머링크일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200)가 클라우드 상에서 구현되어 있고 퍼머링크를 통해 웹주소를 보내기 때문에 자료의 용량에 제한이 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200)는 커뮤니케이션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커뮤니케이션부(290)는 그랩객체 수신부(210),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220),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 바인드 객체 생성부(25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인드 객체, 바인더블 객체, 슬라이싱 객체 및 그랩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는 각각의 객체의 수정이나 편집, 객체에 대한 코멘트 삽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부(290)는 상기 각각의 객체에 대해서 이메일 송신자 및 수신자들이 코멘트를 할 수 있는 코멘트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코멘트창을 제공함으로써, 각 컨텐츠별로 의견수렴 및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이메일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를 통해 전송된 이메일 화면을 나타낸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송부하고자 하는 자료를 첨부파일의 형태가 아니라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생성된 링크로 전달할 수 있다. 이메일 수신자 및 송신자는 상기 링크를 클릭하여 클라우드에 저장된 통합 컨텐츠 내용에 접근할 수 있다.
도 3의 (b)는 링크를 통해 접근한 통합 컨텐츠 형태의 일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개의 문서(301, 302)가 바인드된 하나의 바인드객체(300)가 통합 컨텐츠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이메일 송신자 및 수신자는,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상기 바인드 객체(300)를 슬라이싱 하여 슬라이싱 객체를 생성하고 다른 슬라이싱 객체와 결합하거나 상기 슬라이싱 객체를 수정하여 새로운 바인드 객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문서(301, 302)는 각각 여러개의 바인드 객체가 결합된 바인드 오브 바인드(bind of bind)일 수 있다.
도 3의 (c)는 상기 바인드 오브 바인드(bind of bind)인 문서(300) 중 하나의 문서(302)를 슬라이싱한 형태이다. 슬라이싱된 문서가 PDF 형태인 경우, 상기 문서는 페이지별로 슬라이싱될 수 있으며, 이메일 수신자 및 송신자는 상기 슬라이싱된 페이지를 편집하여 새로운 바인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이메일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이메일 연결부(480)는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에서 상기 이메일 연결부(480)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키워드별로 분류하는 복수의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폴더에는 키워드를 지정하고, 이메일 수신시 이메일 제목에 해당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이메일은 해당하는 폴더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불특정 다수로부터 다량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학회에서 논문투고를 이메일로 받을 때, 학회에서 지정된 논문의 주제를 이메일 제목에 기재하면 해당 주제의 논문은 해당 폴더로 저장되어 추가적인 분류작업이 필요 없다. 이렇게 저장된 내용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언제든지 업데이트 및 수정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메일 송부로 인해 자료를 누락하거나 자료가 혼재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4의 (b)에서 상기 이메일 연결부(480)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지정된 날짜별로 분류하는 복수의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폴더에는 이메일 수신 날짜를 기간으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메일 수신시 수신날짜 및 시간은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수신 메일을 분류하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방법(500)은, 그랩객체 수신 단계(510), 슬라이싱 객체 생성 단계(520), 메타데이터 생성 단계(530),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 통합 컨텐츠 처리단계(560) 및 이메일 연결단계(5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랩객체 수신 단계(51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객체 수신 단계(510)에서는 이미지, 영상, 웹페이지 등의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그랩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가져오기(그랩) 요청에 따라서 가져온 해당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수신 단계(510)에는 클라우드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그랩 객체를 수신하고,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수신한 그랩 객체는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랩 객체 수신단계(510)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클라우드 내부 또는 외부의 특정 컨텐츠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에 대한 그랩 요청에 따라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에 대한 그랩 요청이 수신되면 그랩 객체 수신단계에서는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그랩객체 수신부에 수신되는 파일은 동영상, 음성, 문서, 압축파일, 이메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그랩 객체 수신단계(510)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퍼머링크(Perma-Link, PL)를 통해 통합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퍼머링크가 부여된 바인드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에서 생성된 바인드 객체로 구성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퍼머링크를 통해 제공한 경우에, 다른 사용자가 해당 퍼머링크를 통해 해당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해당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하여 해당 바인드 객체에 대해 그랩 요청을 하면, 그랩 객체 수신 단계(510)에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500)은 사용자간 퍼머링크를 통해 공유되는 통합 컨텐츠를 그랩 객체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컨텐츠의 추가 또는 제거의 임의 편집을 수행하여 다른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슬라이싱 객체 생성 단계(520)에서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각각을 소정단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싱 객체 생성 단계(520)에서는 그랩된 객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바인딩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그랩 객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로 슬라이싱 할수 있다. 상기 슬라이싱의 단위는 그랩 객체의 파일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객체가 동영상 파일인 경우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는 동영상 파일을 1초 단위 혹은 기타 시간단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그랩객체가 3분짜리 동영상인 경우 이를 1초 단위로 슬라이싱 하면 180개의 슬라이싱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그랩 객체가 문서파일인 경우, 단락별로 슬라이싱 할 수 있다. 그랩객체가 PPT 파일인 경우, 페이지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그랩객체가 음성파일인 경우, 음성파일내의 목소리 변화 단위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그랩객체가 이메일인 경우, 이메일 내의 텍스트 및 첨부파일을 각각 슬라이싱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메일 내에서 첨부파일의 위치나 순서등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메일의 첨부파일에 압축화일이 있으면 이는 바인드 오브 바인드로 인식될 수 있다.
이처럼,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에서 슬라이싱 단위는 그랩객체의 파일 형태 및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싱 단위 선택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컨텐츠 처리장치와 사용자의 상호 리액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시스템의 설정, 또는 시스템의 학습결과에 따라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단계(530)에서는, 상기 그랩객체 및 상기 슬라이싱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속성정보'라고도 불리우며,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콘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데이터이다. 여기에는 콘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쉬운 예로, 영화를 보려고 DVD 타이틀을 구매하였을 때 포장에 붙어있는 제목, 상영시간, 등급, 제작사, 감독, 줄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서술적(descriptive) 메타데이터와 의미적(semantic) 메타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술적 메타데이터는 정보의 내용과는 관계가 없으나 그 정보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표현하는 것이며, 의미적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자체의 내용적인 측면을 서술한 것이다. DVD 타이틀을 예로 들면, 기술적 메타데이터는 제작사, 감독, 상영시간 등이 될 것이고, 의미적 메타데이터는 제목, 줄거리, 등급 등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메타데이터 생성단계서는 슬라이싱된 슬라이싱 객체에 대해 각각 메타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객체가 3분짜리 동영상 파일이고 이를 1초 단위로 슬라이싱 한 경우, 상기 슬라이싱된 180개의 슬라이싱 객체 각각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에는 각 슬라이싱 객체에 등장하는 인물, 동작, 배경, 색깔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랩 객체가 음성 파일이고 이를 음성파일내 목소리 변화에 따라 슬라이싱 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싱 객체 내의 목소리 정보, 사용단어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슬라이싱 객체 뿐만이 아니라 그랩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도 형성할 수 있다. 그랩 객체는 슬라이싱 객체의 집합이므로 그랩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슬라이싱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포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각각의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는 그랩 객체 수신 단계(510)를 통해 그랩 객체가 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됨과 동시에 해당 그랩 객체의 출처를 검출하여 내부 링크 태그(Internal-Link, IL) 또는 외부 링크 태그(External-Link, EL)를 결정하고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싱 객체가 생성될 때, 상기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하여 슬라이싱 객체 각각에 내부 링크 태그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형태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500)에서는 사용자간 공유되는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인드 객체를 사용자가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에서도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할 수 있어 저작권의 문제가 없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컨텐츠에 대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그랩 객체의 출처가 클라우드 내부인 경우 해당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는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출처가 클라우드 외부인 경우 해당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특정 컨텐츠의 출처가 클라우드의 외부로 결정된 경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해당 그랩 객체에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특정 컨텐츠의 출처가 클라우드의 내부로 결정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계정에서 특정 컨텐츠를 그랩 요청한 경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240)는 수신된 그랩 객체에 대해 내부 또는 외부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드 가능한 객체인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바인더블 객체 생성단계(540)에서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에 출처를 표시하고 비로소 바인드가 가능한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경우 바인드 객체는 항상 클라우드 내부에서 그랩되기 때문에 해당 바인드 객체에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외부 링크 태그가 부여된 그랩 객체를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리그랩하는 경우 리그랩 객체에 대하여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그랩(regrab)은 클라우드의 외부나 내부에서 그랩(grab)되어진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 다시 그랩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클라우드 외부에서 그랩되어 클라우드의 내부의 특정 사용자 계정에 그랩 객체로서 수신된 특정 컨텐츠를 리그랩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해 기존에 부여된 외부 링크 태그와 함께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클라우드 내부에서 그랩한 특정 컨텐츠에 대해 외부 링크 태그 이외에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에서는 클라우드 내부의 그랩 객체를 리그랩하는 경우 해당 그랩 객체에 대해서 해당 컨텐츠의 클라우드 외부의 원 출처로 연결되는 외부 링크 태그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내부의 그랩 출처로 연결되는 내부 링크 태그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에서는,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진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는 바인드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인드 객체는 다양한 컨텐츠들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로 묶인 컨텐츠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에서는 바인드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에서는 그랩 객체 수신 단계(510)에서 특정 퍼머링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특정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해당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에서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통합 컨텐츠에서 특정 바인더블 객체를 추가하거나 제외하여 새로운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에서는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바인드 객체에 대해서 바인드를 해제하는 언바인드(unbind)를 수행하거나 해제된 바인드를 다시 바인드하는 리바인드(rebind)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에서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조합하기 위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특정 바인드 객체를 언바인드하여 특정 바인더블 객체를 제거하거나 또는 추가하고, 리바인드하여 재구성된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드 객체 생성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관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입력된 정보와 관련된 바인더블 객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바인더블 객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바인더블 객체 중 사용자가 통합하고자 하는 바인더블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통합컨텐츠 처리 장치에서 바인더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바인더블 객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직접 바인더블 객체를 클릭이나 드래그하여 선택할 수도 있으나, 메타데이터의 특정정보를 입력함으로서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수도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 단계(560)에서는,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머링크(permanent link)는 인터넷상 블로그나 게시판 등에 올려진 컨텐츠에 어느 경우에나 연결될 수 있는 절대적인 위치의 불변 주소에 해당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 컨텐츠 처리 단계(560)에서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바인드 객체에 통합 컨텐츠 처리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어디에서든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개의 퍼머링크를 부여하여 하나의 통합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 단계(560)에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기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퍼머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컨텐츠 처리 단계(560)에서는 문자메시지, E-mail 또는 기타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계되어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인 퍼머링크를 부여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간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퍼머링크를 통해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인드 객체를 수신하여 그랩할 수 있고, 이경우, 본 실시형태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500)에서는 그랩 객체 수신 단계(510)를 통해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500)에서는 이 과정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를 통해 해당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후,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500)에서는 수신된 그랩 객체에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540)를 통해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로 생성하고,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550)를 통해 해당 바인더블 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새로운 바인드 객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경우에 있어서,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500)에서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수 있고, 해당 통합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순서에 따라 이를 열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다시 재정렬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500)에서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하고,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게 하여 인터넷 상의 무수한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 및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메일 연결단계(580)는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단계(560)에서 바인드 객체에 부여된 퍼머링크를 이메일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단계(580)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를 외부의 이메일 계정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방법(500)에서는 그랩 및 바인딩 처리된 컨텐츠를 이메일 계정을 통해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이메일 연결단계(58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메일 연결단계(580)에서 연결되는 이메일 계정이란 이메일 이용자를 관리하기 위해서 마련된 개별 계정으로서 사용자 식별기호(User ID)와 유사하다. 상기 이메일 계정은 다음, 구글,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이메일 계정 뿐만 아니라 개별도메인을 통해 제공되는 이메일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메일 연결단계(580)에서는 이메일 계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타버스와도 연결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메일뿐만 아니라 정보교환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웹서비스에서 자료전달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방법(500)에서는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가 이메일 계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이메일을 통해 발송한 이후에도 상기 컨텐츠의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컨텐츠의 수정은 이메일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메일을 송신한 후에 보낸 자료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시 새로운 버젼의 자료를 송부할 필요가 없이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 의해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면 이메일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 업데이트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발신자 및 수신자는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에 의해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슬라이싱 및 그랩하여 추가적인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방법(500)에서 상기 이메일 연결단계(580)를 통해 전달되는 통합 컨텐츠는 하나의 퍼머링크일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가 클라우드 상에서 구현되어 있고 퍼머링크를 통해 웹주소를 보내기 때문에 자료의 용량에 제한이 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단계(500)는 커뮤니케이션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커뮤니케이션 단계는 그랩객체 수신단계(510), 슬라이싱 객체 생성단계(520), 바인더블 객체 생성단계(540), 바인드 객체 생성단계(550)에서 각각 형성된 바인드 객체, 바인더블 객체, 슬라이싱 객체 및 그랩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는 각각의 객체에 대한 수정이나 편집, 각 객체에 다한 코멘트 삽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단계에서는 상기 각각의 객체에 대해서 이메일 송신자 및 수신자들이 코멘트를 할 수 있는 코멘트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코멘트창을 제공함으로써, 각 컨텐츠별로 의견수렴 및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바인더블 객체 생성방법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210 : 그랩객체 수신부 220 :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
230 : 메타데이터 생성부 240 :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
250 : 바인드 객체 생성부 260 : 통합 컨텐츠 처리부
270 : 제어부 280 : 이메일 연결부
290 : 커뮤니케이션부

Claims (11)

  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객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각각을 소정 단위로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각각의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부;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부에서 바인드 객체에 부여된 퍼머링크를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이메일 연결부
    를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장치는,
    상기 바인드 객체, 바인더블 객체, 슬라이싱 객체 및 그랩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이메일 계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폴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키워드별로 각 폴더에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연결부는,
    상기 외부의 이메일 계정에서 수신되는 이메일을 지정된 날짜별로 각 폴더에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싱 객체 생성부는,
    슬라이싱 단위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슬라이싱 단위로 상기 그랩 객체를 슬라이싱 하는 슬라이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의 선택, 시스템의 설정, 또는 시스템의 학습결과에 따라 슬라이싱 단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는,
    상기 그랩객체의 출처가 클라우드 내부인 경우 내부 링크를 부여하고, 상기 그랩객체의 출처가 클라우드 외부인 경우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1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객체 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각각을 소정 단위로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싱 객체 생성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및 슬라이싱 객체에 각각의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 단계;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 단계;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생성단계;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생성단계에서 바인드 객체에 부여된 퍼머링크를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이메일 연결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연결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이메일 계정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KR1020220110462A 2021-11-12 2022-09-01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40031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462A KR20240031594A (ko) 2022-09-01 2022-09-01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PCT/KR2022/017606 WO2023085792A1 (ko) 2021-11-12 2022-11-10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462A KR20240031594A (ko) 2022-09-01 2022-09-01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594A true KR20240031594A (ko) 2024-03-08

Family

ID=9023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462A KR20240031594A (ko) 2021-11-12 2022-09-01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5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7237B2 (en) Gathering and contributing content across diverse sources
US10033799B2 (en) Semantically representing a target entity using a semantic object
US102482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 domain service component interaction
US11038973B2 (en) Contact event feeds and activity updates
US75842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offers and requests in a network
US83807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argeted sharing and early curation of information
US83123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bpage creation and updating
CN107025539B (zh) 用于形成社交联网在线社区的系统和方法
US7970793B2 (en) Generating, and updating calendar events from non-calendar sources
US201400132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ustomized user interface for publishing into a feed
US20070130509A1 (en) Custom publication rendering method and system
US115995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US9614933B2 (en) Method and system of cloud-computing based content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platform with content blocks
US86313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itelets using information assets
CN101981570A (zh) 用于与内容对象集成、关联和交互的开放式架构
US10007729B1 (en) Collaboratively finding, organizing and/or accessing information
CN107665237B (zh) 数据结构分类装置、非结构化数据的发布订阅系统及方法
US9996623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carrying out a search for information available over a network
US20110087764A1 (en) Engine for generating and managing communications concerning on-line collaboration among a plurality of users in consideration with a computerized application
KR20240031594A (ko)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JP6327613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
Jett et al. Enhancing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by supporting and analyzing participation in Flickr
KR20230069683A (ko)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JPWO2005006191A1 (ja) 複数種類の情報を登録する装置および方法
WO2023085792A1 (ko)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