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525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525A
KR20240031525A KR1020220109477A KR20220109477A KR20240031525A KR 20240031525 A KR20240031525 A KR 20240031525A KR 1020220109477 A KR1020220109477 A KR 1020220109477A KR 20220109477 A KR20220109477 A KR 20220109477A KR 20240031525 A KR20240031525 A KR 20240031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lling material
backplate
flexible displa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욱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525A/ko
Publication of KR2024003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가 개시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는 제1 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홈 패턴들을 구비하며, 상기 홈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1 기재; 및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메쉬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2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성이 효과적으로 유지되고, 단차 시인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고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재료의 종류, 발광 방식, 발광 구조, 구동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었고, 발전 속도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 상황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표시패널의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erble) 디스플레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티브이,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패널의 후면에 패널의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호 부품이 구비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의 후면 보호 부품의 평탄도와 회복 상태는 디스플레이의 화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보호 부품으로 평탄도가 높은 유리가 적용되었으나 롤링 반경의 축소에 따라 유연하면서도 강성 보강이 가능한 부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패널이 후편에 부착되는 보호 부품, 즉 지지체의 경우, 다수의 알루미늄 바아(bar)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패널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를 가지는데, 이의 경우 알루미늄 바아 사이 간격으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화면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바아들 사이에 탄성 복원이 우수한 연성의 레진을 채우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 또한 강성소재와 연성소재가 주기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소재간 표면장력, 밀도차에 의한 표면단차 발생을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17-0014055(발명의 명칭: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 또는 롤링이 자우로우면서도 강성을 더욱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단차가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백플레이트의 패턴이 표시패널에 시인되는 것을 더욱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는 제1 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홈 패턴들을 구비하며, 상기 홈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1 기재; 및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메쉬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2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재는 탄성복원 가능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는 메탈 소재이고, 상기 메탈 소재는 스테인레스, 비정질 메탈, 압연강판, 알루미늄 판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소재이고, 상기 충진소재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그 두께가 0.1 내지 0.5T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패턴들은 가로 0.5 내지 20mm이고, 세로 0.05 내지 0.5mm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 패턴들은 바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 패턴들은 그 폭이 1 내지 10mm이고, 홈 사이사이 간격은 0.5 내지 2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는 그 두께가 10 내지 200um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는 메탈 소재 또는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가 메탈 소재인 경우 그 메탈 소재는 압연 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진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실리콘(Si), 아이오노머(Iono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진소재는 120 내지 180의 녹는점 및 75 내지 85 Shore A 경도를 갖는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진소재는 50MPa 이하의 초기 모듈러스 및 1.5kg/inch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 및 제2 충진소재를 각각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 중 상기 제2 면에 대응되는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제1 면 및 제2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를 각각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를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챔버 내에서 상기 제1 기재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3 기재를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시키는 제3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a) 상기 제3 기재의 상부면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3 기재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1 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 충진소재를 각각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제1 면 및 제2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를 각각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를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실리콘(Si), 아이오노머(Iono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소자를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플레이트는, 제1 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홈 패턴들을 구비하며, 상기 홈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1 기재; 및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메쉬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2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재는 탄성복원 가능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딩 또는 롤링이 자유로우면서도 강성을 더욱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단차가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100)는 제1 기재(110) 및 제2 기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재(110)는 홈 패턴(111)들을 구비하고, 홈 패턴(111)들이 충진소재(130)로 충진되어 구비될 수 있다.
홈 패턴(111)들은 제1 기재(110)의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패턴(111)들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홈 패턴(111)들은 그 폭이 1 내지 10mm이고, 홈 사이사이 간격은 0.5 내지 2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재(120)는 개구 패턴(121)들을 구비하는 메쉬타입으로 구비되며, 제1 기재(110)의 제1 면(110a)의 반대면인 제2 면(110b)에 배치되며, 개구 패턴(121)들이 충진소재(130)로 충진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개구 패턴(121)들 각각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개구 패턴(121)들은 가로 0.5 내지 20mm이고, 세로 0.05 내지 0.5mm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재(110) 및 제2 기재(120)는 메탈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탈 소재는 스테인레스, 비정질 메탈, 압연강판, 알루미늄 판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기재(110) 및 제2 기재(120) 각각은 그 두께가 0.1 내지 0.5T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진소재(130)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소재(13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실리콘(Si), 아이오노머(Iono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충진소재(130)는 120 내지 180의 녹는점 및 75 내지 85 Shore A 경도를 갖는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충진소재(130)는 50MPa 이하의 초기 모듈러스 및 1.5kg/inch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과 함께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에 있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재(110)의 제1 면(110a)에 홈 패턴(11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재(110)의 제1 면(110a)에 홈 패턴(111)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홈 패턴(111)들은 습식 또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홈 패턴(111)들의 형상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홈 패턴(111)들은 사각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기재(110)는 그 두께가 0.1 내지 0.5T일 수 있고, 홈 패턴(111)들은 그 폭이 1 내지 10mm이고 홈 사이사이 간격은 0.5 내지 2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계에 있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재(120)의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 패턴(121)들을 형성하여, 제2 기재(120)는 메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기재(120)에 개구 패턴(121)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구 패턴(121)들은 습식 또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개구 패턴(121)들의 형상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구 패턴(121)들은 타원형 또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기재(120)는 그 두께가 0.1 내지 0.5T일 수 있고, 개구 패턴(121)들은 가로 0.5 내지 20mm이고 세로 0.05 내지 0.5mm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재(110) 및 제2 기재(120)는 메탈 소재일 수 있고, 메탈 소재는 스테인레스, 비정질 메탈, 압연강판, 알루미늄 판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소재일 수 있다.
제3 단계에 있어서, 챔버 내에서 제1 기재(110), 제2 기재(120) 및 플레이트 형태의 충진소재(130)를 적층 배치시킨 후 열 및 압력을 가해 충진소재(130)를 홈 패턴(111)들 및 개구 패턴(121)들에 충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 및 제2 충진소재를 각각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 중 상기 제2 면에 대응되는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제1 면 및 제2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를 각각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단계에 있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재(110)의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의 전체 면적을 덮도록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131) 및 제2 충진소재(132)를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충진소재(131)는 제1 기재(110)의 제1 면(110a) 상에 배치되고, 제2 충진소재(132)는 제1 기재(110)의 제2 면(11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b)단계에 있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재(120)가 제1 기재(110)의 제2 면(110b) 상에 배치되는 충진소재(130), 예를 들어, 제2 충진소재(132)를 덮도록 제2 충진소재(1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에 배치된 제1 지그(10)의 표면 상에 제1 충진소재(131), 제1 기재(110), 제2 충진소재(132), 제2 기재(12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제2 충진소재(132) 상에 제2 지그(20)를 적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그(10) 및 제2 지그(20)는 제1 기재(11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c)단계에 있어서, 제1 기재(110)의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방향으로 가해지는 열 및 압력은 제1 충진소재(131) 및 제2 충진소재(132)가 용융되면서 홈 패턴(111)들 및 개구 패턴(121)들 내부로 충진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열은 챔버 내부의 온도로서 부여될 수 있고, 압력은 상기 제1 지그(10) 및 제2 지그(20)를 통해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제1 충진소재(131) 및 제2 충진소재(132)가 용융되는 온도로 설정하여 제1 충진소재(131) 및 제2 충진소재(132)가 융융되도록 하고, 제1 충진소재(131) 및 제2 충진소재(132)가 용융되면서 제1 지그(10) 및 제2 지그(20)를 통해 제1 기재(110)의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진소재(131) 및 제2 충진소재(132)가 각각 홈 패턴(111)들 및 개구 패턴(121)으로 충진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200)는 제1 기재(210) 및 제2 기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재(220)이 제1 기재(210)의 제1 면(210a)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 및 제2 단계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를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단계 및 b)단계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에 배치된 제1 지그(10)의 표면 상에 제2 기재(220), 제1 충진소재(231) 및 제1 기재(210)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1 기재(210)의 제1 면(210a)은 제1 충진소재(231)를 통해 덮히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도 2c에 도시된 제2 충진소재(230)를 생략하여, 제1 충진소재(231)를 제1 기재(210)와 제2 기재(220) 사이에 배치시킨 후, 제1 기재(210)의 제1 면(210a)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제1 충진소재(231)가 용융되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패턴(211)들 및 개구 패턴(221)들로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충진소재(231)로만 홈 패턴(211)들 및 개구 패턴(221)들을 충진시키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홈 패턴(211)들 및 개구 패턴(221)들을 충진시키는 과정은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의 c)단계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공정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1 기재(210)을 구성하는 제1 기재(210)가 개구패턴이 아닌 홈 패턴을 형성하며, 제2 기재(220)을 구성하는 제2 기재(220)는 단차 시인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메쉬타입으로 구비되므로, 폴딩 또는 롤링이 자유로우면서도 제1 기재(210) 및 제2 기재(220)가 조합된 구성에 의해 강성을 더욱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단차가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300)는 제1 기재(310), 제2 기재(320) 및 제3 기재(3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재(310) 및 제2 기재(320)에는 충진재(330)가 충진될 수 있다.
제1 기재(310) 및 제2 기재(3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100)의 제1 기재(110) 및 제2 기재(1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기재(340)는 제1 기재(310) 및 제2 기재(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복원 가능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기재(340)는 탄성복원 가능한 재질 및 두께로 구비될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재(340)는 메탈 소재 또는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기재(340)는 그 두께가 10 내지 200um을 갖도록 구비되는 메탈 소재 또는 고분자 수지 플레이트일 수 있다.
고분자 수지 플레이트인 경우, 그 고분자 수지 플레이트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실리콘(Si), 아이오노머(Iono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제3 기재(340)가 메탈 소재인 경우 그 메탈 소재는 탄성 향상을 위해 압연 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는 제3 기재(340)를 제1 기재(310)의 개구 패턴(321)들이 형성된 제1 면(310a)의 반대면인 제2 면(310b) 상에 배치하여 제1 기재(310)의 개구 패턴(321)들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챔버 내에서 상기 제1 기재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3 기재를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시키는 제3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 및 제2 단계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1 단계 및 제2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단계에 있어서, 제3 기재(340)는 탄성복원 가능한 재질 및 두께로 구비될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재(340)는 메탈 소재 또는 고분자 수지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기재(340)는 그 두께가 10 내지 200um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4 단계는, a) 상기 제3 기재의 상부면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3 기재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1 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 충진소재를 각각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제1 면 및 제2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를 각각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단계 및 b)단계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에 배치된 제1 지그(10)의 표면 상에 제1 충진소재(331), 제1 기재(310), 제3 기재(340), 제2 충진소재(332) 및 제2 기재(320)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1 기재(310)의 제1 면(310a)은 제1 충진소재(331)를 통해 덮히도록 배치한다.
c)단계에 있어서, 제1 기재(310)의 제1 면(310a) 및 제2 면(310b)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제1 충진소재(331) 및 제2 충진소재(332)가 용융되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패턴(321)들 및 홈 패턴(311)들로 제1 충진소재(331) 및 제2 충진소재(332)가 충진되는 과정은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의 c)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400)는 제1 기재(410), 제2 기재(420) 및 제3 기재(4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재(410) 및 제2 기재(420)에 충진재(430)가 충진되고, 제2 기재(420)가 제1 기재(410)의 제1 면(410a)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30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백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챔버 내에서 상기 제1 기재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3 기재를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시키는 제3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 및 제2 단계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1 단계 및 제2 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제4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를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단계 및 b)단계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에 배치된 제1 지그(10)의 표면 상에 제2 기재(420), 제1 충진소재(431), 제1 기재(410) 및 제3 기재(440)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1 기재(410)의 제1 면(410a)은 제1 충진소재(431)를 통해 덮히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도 6a에 도시된 제2 충진소재(332)를 생략하여, 제1 충진소재(431)를 제1 기재(410)와 제2 기재(420) 사이에 배치시킨 후, 제1 기재(410)의 제1 면(410a)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제1 충진소재(431)가 용융되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패턴(411)들 및 개구 패턴(421)들로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충진소재(431)로만 홈 패턴(411)들 및 개구 패턴(421)들을 충진시키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홈 패턴(411)들 및 개구 패턴(421)들을 충진시키는 과정은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의 c)단계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공정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3 기재(340, 440)를 더 구비하므로 단차 시인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제1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백플레이트(1100) 및 표시패널(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1100)로는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100) 또는 도 3에 도시된 백플레이트(200)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패널(1200)은 백플레이트(1100) 상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1210) 및 플렉시블 기판(1210) 상에 형성되는 표시소자(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1210)은 백플레이트(1100)와 함께 유연하게 폴딩 또는 롤링될 수 있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소자(1220)는 플렉시블 기판(1210) 상에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갖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소자(1220)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1200)은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하여 백플레이트(1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백플레이트(2100) 및 표시패널(2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2100)로는 도 5에 도시된 백플레이트(300) 또는 도 7에 도시된 백플레이트(400)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패널(2200)은 백플레이트(2100) 상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2210) 및 플렉시블 기판(2210) 상에 형성되는 표시소자(2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200)은 도 9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패널(12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백플레이트의 패턴이 표시패널에 시인되는 것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제1 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홈 패턴들을 구비하며, 상기 홈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1 기재; 및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메쉬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2 기재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재는 탄성복원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는 메탈 소재이고,
    상기 메탈 소재는 스테인레스, 비정질 메탈, 압연강판, 알루미늄 판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소재이고,
    상기 충진소재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각각은 그 두께가 0.1 내지 0.5T로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패턴들은 가로 0.5 내지 20mm이고, 세로 0.05 내지 0.5mm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패턴들은 바 형상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패턴들은 그 폭이 1 내지 10mm이고, 홈 사이사이 간격은 0.5 내지 2mm가 되도록 형성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는 그 두께가 10 내지 200um을 갖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는 메탈 소재 또는 고분자 수지 소재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가 메탈 소재인 경우 그 메탈 소재는 압연 가공되어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실리콘(Si), 아이오노머(Iono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수지 소재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소재는 120 내지 180의 녹는점 및 75 내지 85 Shore A 경도를 갖는 고분자 수지 소재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소재는 50MPa 이하의 초기 모듈러스 및 1.5kg/inch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고분자 수지 소재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14.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 및 제2 충진소재를 각각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 중 상기 제2 면에 대응되는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제1 면 및 제2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를 각각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를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
  17. 제1 면에 홈 패턴들이 형성된 제1 기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전체 면적에 걸쳐 개구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챔버 내에서 상기 제1 기재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3 기재를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시키는 제3 단계; 및
    챔버 내에서 상기 홈 패턴들 및 상기 개구패턴들에 충진소재를 충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a) 상기 제3 기재의 상부면 및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3 기재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1 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 충진소재를 각각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제1 면 및 제2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를 각각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a)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충진소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충진소재 상에 상기 제2 기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재의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충진소재를 상기 홈 패턴 및 상기 개구패턴 내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소재 및 상기 제2 충진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실리콘(Si), 아이오노머(Ionom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수지 소재인,
    플레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제조방법.
  21.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소자를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기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플레이트는,
    제1 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홈 패턴들을 구비하며, 상기 홈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1 기재; 및
    개구 패턴들을 구비하는 메쉬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 패턴들이 충진소재로 충진되어 구비되는 제2 기재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재는 탄성복원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109477A 2022-08-30 2022-08-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31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77A KR20240031525A (ko) 2022-08-30 2022-08-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77A KR20240031525A (ko) 2022-08-30 2022-08-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525A true KR20240031525A (ko) 2024-03-08

Family

ID=9023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477A KR20240031525A (ko) 2022-08-30 2022-08-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5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2378B (zh) 可折叠显示装置及其背板
JP2020076959A (ja) カバープレ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折り畳み可能な表示装置
KR1023621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6340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CN102916033A (zh) 显示装置和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JP6522304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13837A (zh) 液晶显示装置
KR2020006380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20210217995A1 (en) Flexible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panel
TW200712567A (en) Structured optical film with interspersed pyramidal structures
TWI480650B (zh) 軟性顯示器及其製作方法
KR20150010036A (ko) 윈도우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CN110649070A (zh) 柔性衬底、柔性显示面板及柔性衬底的制作方法
KR102086098B1 (ko) 표시 장치
US20220293870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11402550B2 (en) Flexible polarizing cover plate having hard coating with ink-filled groov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7056834B2 (ja) フレキシブル表示パネ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101933159B1 (ko)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US7710030B2 (en) Double sided AMOLED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230103765A (ko)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4302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기판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1528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20100103599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279065B1 (ko) 투명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31525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