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148A -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148A
KR20240031148A KR1020230114522A KR20230114522A KR20240031148A KR 20240031148 A KR20240031148 A KR 20240031148A KR 1020230114522 A KR1020230114522 A KR 1020230114522A KR 20230114522 A KR20230114522 A KR 20230114522A KR 20240031148 A KR20240031148 A KR 2024003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nformation
power
hom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강민정
임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29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49210A1/ko
Publication of KR2024003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가정 및 전력 업체와 전력 정보를 공유하면서 가정의 각 가전기기에 대한 특정 시간대의 전력 소모를 분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서버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동작 우선 순위를 설정하거나 상시적 또는, 비 상시적인 사용 여부에 따라 동작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서비스서버는 전력 소모를 줄이거나 분산할 수 있도록 대체 운전 가능한 기기를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각 가전제품에 대한 전력 사용량을 토대로 효율적인 전력 사용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 의해 동작되는 가전기기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 목적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 종류수도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상시적으로 사용하는 기기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기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시적으로 사용하는 기기의 경우 냉장고가 그 예로 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기기의 경우 공기청정기, 냉난방장치, TV, 세탁기, 청소기, 전열기기, 식기세척기 혹은, 의류관리기가 그 예로 될 수 있다.
최근 에너지 소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전력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을 관리하는 다양한 시스템 또는, 서비스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17557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49030호(선행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0686호(선행문헌 3)과 같이 가전기기가 사용하는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여 활용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의 경우 전력소비량에 따라 가변되는 요금정보에 대응하여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즉, 요금정보에 따라 운전설정을 변경하여 운전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2의 경우 전기제품에 대한 전력정보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제품의 소모전력량을 절약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상기 선행기술 3의 경우 온 피크 구간에서 운전될 경우 구동을 중단하거나 구동 방식을 변경하여 소비전력량을 줄일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3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들은 단일의 가전기기에 대하여만 전력 사용량을 이용한 제어를 수행할 뿐 여타 가전기기의 운전은 고려되지 않았다. 즉, 선행기술들은 모두 단일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만 수행할 뿐 다른 가전기기의 운전을 통합하여 제어하지는 않았다. 이로써, 상기 각 선행기술들은 특정 시간에 각 가전기기가 동시에 운전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력 소모를 피하여야 하는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전력 소모를 줄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가정에 구비된 각 가전기기의 경우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3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들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만 수행할 뿐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의 제어는 하지 않았다.
한편, 종래에는 전력 수급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특정 가전기기의 운전을 요구할 경우 해당 가전기기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제어만 이루어졌다. 즉, 종래에는 특정 가전기기의 운전이 요구될 경우 해당 가정에 구비된 여타의 가전기기가 전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특히, 해당 가정내에는 다양한 가전기기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어느 한 가전기기만 계속 사용된다. 이에 따라 오랜 기간 비사용에 따른 수명 단축 및 오랜 기간 많은 사용에 따른 수명 단축이 야기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17557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49030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0686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05345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77788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78155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 구비된 복수 가전기기의 운전시 특정 시점에서 사용되는 최대 부하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이 부족하거나 전력 사용량이 많은 제1시간대에 가전기기가 사용될 경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각 가전기기가 운전될 수 있도록 한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이 부족하거나 전력 사용량이 많은 제1시간대에 복수의 가전기기가 동시에 사용되도록 요청될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에 구비된 복수 가전기기에 대한 운전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기기를 추천함에 따라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가정 내에 구비된 둘 이상 복수의 가전기기들의 사용 패턴에 따라 운전 순서나 운전 시간이 달리 추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가정 내에 구비된 둘 이상 복수의 가전기기들이 상시적으로 동작되거나 또는, 선택 운전되는 것에 따라 운전 순서나 운전이 달리 추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가정 내에 구비된 둘 이상 복수의 가전기기들의 운전 상황이나 운전모드를 고려하여 어느 한 가전기기 대신 대체 운전이 가능한 다른 한 가전기기로의 운전이 추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가정 내의 가전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가정 내에 구비되는 둘 이상 복수의 가전기기의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받거나 상기 각 가전기기에 제어 신호를 온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각 가전기기의 운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온라인으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정보를 저장하며, 온라인으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전력 업체로부터 전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각 가전기기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운전되거나 운전이 예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제1시간대는 전력 업체로부터 직접 제공받거나 전력 업체로부터 취득한 전력 정보를 토대로 예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제1시간대에 운전되는 가전기기 또는, 여타 가전기기의 운전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각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요일별 또는, 시간별 사용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분류된 사용 패턴을 토대로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 이외의 가전기기들은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혹은, 사용을 정지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가전기기의 운전이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 전의 제2시간대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제1시간대 후에 제3시간대에 수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운전이 요청되는 가전기기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적은 대체 가능한 운전모드를 가지는 대체 가전기기를 확인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대체 가능한 가전기기는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모드와 유사 기능으로 분류된 운전모드를 가지는 가전기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각 가전기기들로부터 취득한 해당 가전기기들의 정보를 토대로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제1유형 및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유형으로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에 속한 둘 이상의 가전기기가 동시에 운전이 요청될 경우 미리 지정한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각 가전기기를 순차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유사 효과를 제공하면서 에너지 소모가 다른 운전모드별 가전기기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적은 대체 가능한 운전모드를 가지는 대체 가전기기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서비스서버에 저장되는 각 가전기기의 정보에는 운전모드별 전력 소모량에 대한 정보와, 시간별 또는, 요일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와, 상시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와, 대체 가능한 가전기기 및 그의 운전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가정에 구비된 둘 이상 복수의 가전기기의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운전되거나 운전이 예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전기기를 확인하는 제2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제2단계에서 확인된 제1가전기기 또는, 여타 가전기기의 운전을 추천하는 제3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1단계에서는 각 가전기기별 사용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1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3단계에서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 이외의 가전기기들은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혹은, 사용을 정지하도록 추천하는 제2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1단계에서는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제1유형 및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유형으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제3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3단계에서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제1유형의 가전기기는 정상 운전하고 제2유형의 가전기기는 절전 운전되거나 운전이 정지되도록 추천하는 제4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1단계에서는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유사 효과를 제공하면서 에너지 소모가 다른 운전모드별 가전기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5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3단계에서는 제1시간대에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적은 대체 가능한 운전모드를 가지는 대체 가전기기를 추천하는 제6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대한 다른 형태에 따르면, 가정에 구비된 가전기기로부터 해당 가전기기의 각 운전 모드별 전력 부하에 관련된 정보와 현재 운전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전력 부하량을 확인하고 시간대별 전력 부하량을 계산 또는, 예측하는 부하 계산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전력을 공급 또는, 판매하는 전력 업체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력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정보 제공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전력 업체에 제공되는 전력 정보는 각 가정에서 사용한 전력 부하량 또는, 각 가정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측한 전력 부하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정보 또는, 전력 업체로부터 제공받은 전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면서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제어부는 정보 취득부와 부하 계산부 및 정보 제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가전기기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정보 취득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별 분류 및 구역별 분류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제어부는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전력 업체로부터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제어부는 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에 가전기기의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해당 운전의 수행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제어부는 해당 가정의 현재 전력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부하량을 초과함으로 확인할 경우 해당 운전의 수행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제어부는 해당 가정의 현재 전력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부하량을 초과함으로 확인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 부하량이 요구되는 운전 모드를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제어부는 해당 가정의 현재 전력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부하량을 초과함으로 확인할 경우 대체 운전 가능한 운전 모드를 가지는 가전기기를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는 전력 업체로부터 현재의 전력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가정에 구비된 가전기기로부터 해당 가전기기의 각 운전 모드별 전력 부하에 관련된 정보와 현재 운전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정보 취득단계로 취득된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전력 부하량을 확인하고 시간대별 전력 부하량을 계산 또는, 예측하는 부하 계산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전력을 공급 또는, 판매하는 전력 업체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전력 업체에 각 가정에서 사용한 전력 부하량 또는, 각 가정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측한 전력 부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어느 한 가전기기에 대하여 사용자의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어단계는 정보 제공단계를 통해 전력 업체로부터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대의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공받은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대에 가전기기의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해당 운전의 수행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운전의 수행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은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대의 이전에 운전이 종료되도록 추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운전의 수행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은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대의 이후에 운전이 시작되도록 추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운전의 수행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은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대와 해당 운전의 최대 부하가 요구되는 시간대가 달리 이루어지도록 추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어단계는 해당 가정의 현재 전력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력 부하량을 초과함으로 확인할 경우 해당 운전의 시작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어단계는 해당 가정의 현재 전력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력 부하량을 초과함으로 확인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 부하량이 요구되는 운전 모드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어단계는 해당 가정에서 사용되는 현재의 전력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부하량을 초과함으로 확인될 경우 대체 운전 가능한 운전 모드를 가지는 가전기기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제어단계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가전기기의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의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점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요청된 가전기기의 운전이 수행되도록 추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정보 제공단계는 전력 업체로부터 현재의 전력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정보 제공단계에서 전력 업체에 제공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지역이나 권역 혹은, 영역별로 통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정보 제공단계에서 전력 업체에 제공하는 정보는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전력 부하량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전력 부하량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전력 업체와 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전력 업체에서는 실시간 전력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설정 범위의 전력 부하량 내에서 가전기기가 운전되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 해당 가정에 허용되는 최대 전력 부하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각 가전기기의 운전이 수행될 때 제1시간대에 전력 소모량이 증가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제1시간대에 복수의 가전기기가 동시에 운전되더라도 미리 지정한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각 가전기기가 순차 운전되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고 대체 가능한 대체 가전기기의 사용이 추천되기 때문에 제1시간대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서비스 방법 중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각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서비스 방법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각 가전기기의 운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서비스 방법 중 둘 이상 가전기가가 동시에 사용될 경우의 운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서비스 방법 중 제1시간대에 가전기기가 사용될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례의 설명에 앞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첨부된 도 1과 같이 전력 관리장치는 가정의 각 가전기기와 통신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 및 온라인에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과 협력하여 각종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은 사용자의 단말기(예컨대, 핸드폰이나 여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거나 홈네트워크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은 상기 서비스서버(100)와 연동되면서 해당 가정의 가전기기(10)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해당 가정의 가전기기(10)의 제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각 가전기기(1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가전기기(10)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은 서비스서버(100)와 통신하면서 미리 지정되거나 혹은, 선택된 복수의 가전기기(10)들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은 온라인 상의 서비스서버(100)에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해당 가정내의 무선 통신망(예컨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각 가전기기(10)로부터 직접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온라인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으로부터 통해 서비스를 요청받고, 상기 요청받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각 가정에 구비된 가전기기(10)들의 운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운전되거나 운전이 예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10)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1시간대는 전력 업체로부터 직접 제공받는 시간대이거나 전력 업체로부터 취득한 전력 정보를 토대로 예측된 시간대 또는, 여타의 방법으로 미리 규정된 시간대가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1시간대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가전기기(10)를 주로 사용되는 사용 패턴과는 달리 운전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각 가전기기(10)의 사용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요일별 또는, 시간별 사용 패턴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패턴은 시간이나 실내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한 분류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사용 패턴을 토대로 상기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1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전기기 이외의 가전기기들은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혹은, 사용을 정지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에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사용 패턴을 토대로 상기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10)를 확인하고, 상기 가전기기(10)의 운전이 상기 제1시간대 이전의 제2시간대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제1시간대 이후의 제3시간대에 수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가전기기(1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토대로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제1유형의 가전기기(10) 및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유형의 가전기기(10)로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1시간대에 상기 두 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한 유형에 속한 복수의 가전기기(10)가 동시에 운전될 경우에는 미리 지정한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운전할 수 있다.
즉, 제1시간대에 상기 두 유형에 속한 둘 이상의 가전기기(10)가 동시에 운전되면 동작 우선 순위가 높은 가전기기부터 우선적으로 동작하고 나머지 가전기기는 절전 모드로 운전되거나 또는, 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우선 순위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리 설정되거나 전력 소모량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가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저장되는 각 가전기기(10)의 정보에는 운전모드별 전력 소모량에 대한 정보와, 시간별 또는, 요일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와, 상시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와, 대체 가능한 가전기기 및 그의 운전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전술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서버(1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서비스서버(100)에는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정보 취득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취득부(11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가정에 구비된 가전기기(10)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취득부(110)가 해당 가정의 가전기기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당 가정의 가전기기(10)는 상기정보 취득부(110)에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정보 취득부(110)는 온라인을 통해 각 가전기기(1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에는 부하 계산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계산부(120)는 정보 취득부(110)에서 취득된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전력 부하량을 확인하고 시간대별 전력 부하량을 계산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부하 계산부(120)에서 계산 또는, 예측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이 각 가전기기(10)의 현재 운전 상태를 확인한 후 해당 가정의 전체 전력 부하량을 계산하고 앞으로의 전력 부하량을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100)의 부하 계산부(120)는 생략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이 계산 및 예측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에는 정보 제공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30)는 전력 업체의 서버(전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축된 서버)(400)에 접속되면서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혹은,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 제공부(130)는 후술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각 정보 중 전력 수요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전력 업체의 서버(400)에 제공한다. 상기 전력 수요 예측에 필요한 정보는 각 가정에서 사용한 전력 부하량 또는, 각 가정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측한 전력 부하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30)가 제공하는 정보는 각 사용자별(가정별)로 제공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분류별(구역별 또는, 시간대별 등)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30)는 상기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전력 공급 예비율, 시간대별 평균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구역별로 구분되어 제공받은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에는 제어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온라인으로 각 가전기기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각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요청받은 서비스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정보 취득부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가정에 구비된 가전기기(10)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취득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각 분류별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온라인으로 해당 가정의 각 가전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에 의한 각 가전기기(10)의 제어는 각 가전기기(10)의 각 운전모드별 운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정보 제공부(130)를 통해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전력 공급 예비율, 시간대별 평균 전력 사용량,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를 통해 상기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전력 공급 예비율, 시간대별 평균 전력 사용량,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력 업체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정의 가전기기(10)에 대한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에 특정 가전기기(10)의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해당 운전의 수행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운전의 수행 시간에 대한 조절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추천된 시간으로의 운전이 승인되면 제어부(140)는 해당 시간에 운전이 수행되도록 운전을 예약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각 가정별 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정의 가전기기(10)에 대한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가정의 현재 전력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범위의 전력 부하량에 도달될 경우 적어도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 모드나 운전의 시작 또는, 종료 시간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전술된 각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거나 혹은,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전력 관리장치의 서비스서버(100)를 이루는 정보 취득부(110)와, 부하 계산부(120)와, 정보 제공부(13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제공되는 프로그램(program)일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취득부(110)는 온라인으로 정해진 정보를 취득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서비스서버(100)의 어느 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하 계산부(120)는 시간대별 전력 부하량을 계산 또는, 예측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서비스서버(100)의 어느 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 제공부(130)는 온라인으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서비스서버(100)의 어느 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정보 취득부(110)와, 부하 계산부(120)와, 정보 제공부(130)는 서로 다른 서버로 제공되거나 단일의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에 제공되는 운영 프로그램(operating program)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가 서비스서버(100)의 전체 프로그램을 처리하고 제어하는 운영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취득부(110), 부하 계산부(120), 정보 제공부(130) 및 제어부(140)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40)가 상기 정보 취득부(110)나 부하 계산부(120) 및 정보 제공부(13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정보 취득부(110)나 부하 계산부(120), 정보 제공부(13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취득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정보는 각 가전기기(10)의 종류나 모델 정보, 각 가전기기(10)가 수행할 수 있는 운전 모드 정보, 각 운전 모드별 전력 부하 정보, 현재 운전 상태 정보, 사용자 정보, 전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별 분류나 구역별 분류 또는, 시간대별 분류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구역별 분류는 일정 범위의 지역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아파트 단지별, 행정 구역(시,군,구,동), 여타 지역별로 구역이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시간대별 분류는 시간대별로 사용되거나 사용될 해당 사용자별 또는, 구역별 전력 부하량의 정보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전력 공급 예비율, 시간대별 평균 전력 사용량, 최대 부하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 허용 최대 전력량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구역별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허용 최대 전력량은 해당 가정에 제공되는 변압기 혹은, 특정 구역별로 제공되는 변압기의 허용 부하량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업체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판매, 생산 또는, 중계하는 업체이고, 상기 서버(400)는 상기 전력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각 가정의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방법을 도 2 내지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순서도와 같이 전력 관리방법에는 서비스서버(100)가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서버(100)는 각 사용자의 가정에 구비된 가전기기(10)에 대한 각종 정보를 취득(S101)한다.
상기 사용자의 가정에 구비된 가전기기(10)에 대한 각종 정보는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가전기기(10)의 정보에는 해당 가전기기(10)의 종류나 모델명, 해당 가전기기(10)의 소비전력, 해당 가전기기(10)가 수행할 수 있는 각 운전 모드 및 각 운전 모드별 소비전력, 현재 운전 상태, 사용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서비스서버(100)가 온라인을 통해 각 가전기기(10)로부터 직접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가전기기(10)가 구비된 가정의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거나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취득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해당 가정에 가전기기(1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작업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해당 가전기기(10)의 구매시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취득한 가전기기(10)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S102)된다. 이때, 상기 가전기기(10)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각 사용자별 또는, 각 가정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서버(100)는 주기적이거나, 사용자의 요청 발생시 또는, 적어도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시 해당 가전기기(10)의 현재 수행하고 있는 운전 모드를 취득한다.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취득하는 정보는 정보 취득부(110)를 통해 서비스서버(100)로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서버(구체적으로는, 부하 계산부)(100)는 전력 부하량을 계산(S103)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즉,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전력 부하량을 확인하거나 각 가전기기(10)의 운전 모드 정보를 토대로 시간대별 전력 부하량 및 앞으로의 전력 부하량에 대한 변동을 계산 또는,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전력 부하량의 계산으로 해당 가정의 최대부하 예상시간이 계산 또는, 예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 또는, 예측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S104)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각 사용자별 전력 관련 정보(실시간 전력 부하량, 시간대별 전력 부하량 또는, 앞으로 사용될 전력 부하량)를 전력 업체의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업체의 서버(400)에 제공되는 각 사용자별 전력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지역이나 권역 혹은, 영역별로 통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아파트 단지별 또는, 변압기별로 실시간 전력 부하량과, 시간대별 전력 부하량 및 앞으로 사용될 전력 부하량이 통합되어 전력 업체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 개인 정보(각 가정별 정보)가 사용자의 동의없이 유출되어 사용됨을 방지하면서도 전력 업체는 충분히 유의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업체는 해당 구역의 전력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수요를 고려하여 시간대별로 적정량의 전기를 생산 또는,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전력 업체는 상기 예측한 전력 수요량을 이용하여 저렴한 요금대의 전력 사용 시간대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업체의 서버(400)에 제공하는 정보는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전력 부하량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전력 부하량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사용자별 가전기기(10)의 정보는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제1유형의 가전기기(10)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유형의 가전기기(1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10)의 구분에 의해 제1유형의 가전기기(10)가 제2유형의 가전기기(10)보다 우선하여 운전되거나 또는, 제1유형의 가전기기(10)를 고려하여 제2유형의 가전기기(10)가 운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전력 업체가 가지고 있는(또는, 계산) 전력 정보(전력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제공(S105)받는다.
상기 전력 정보는 최대 부하가 발생 또는,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전력이 부족 또는,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이하, “제1시간대”라 함)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정보에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전력 공급 예비율, 시간대별 평균 전력 사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전력 정보는 해당 가정이나, 해당 가정이 속한 지역, 권역 혹은, 영역별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동일 변압기를 사용하는 아파트 단지별 또는, 변압기별로 제1시간대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가전기기(10)의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각 가전기기(10)의 운전을 제어(S20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는 해당 가정의 가전기기(10)에 대한 운전 여부나 운전 모드를 제한하는 제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S200)를 각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의 일 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100)는 각 가정에서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10)의 각 운전 모드 중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운전의 수행 시간이 해당 가정의 최대 부하 예상시간대를 피하여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 3의 순서도와 같이 전력 소모가 큰 운전의 수행 시간을 확인(S201)하고, 상기 운전의 수행 시간이 최대부하 예상시간대에 속하는지 확인(S202)하여 최대부하 예상시간대를 피하도록 운전 시간을 조절하도록 제어(S203)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최대부하 예상시간대는 서비스서버(구체적으로, 부하 계산부)(100)가 각 가전기기(1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냉장고의 제상 운전이 수행될 주기가 도래하더라도 상기 제상 운전의 수행이 상기 최대부하 예상시간대를 피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 4와 같이 전력 소모가 큰 운전의 수행 시간이 최대부하 예상시간대에 속하더라도 허용 최대 전력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운전 시간을 조절(S205)할 수도 있다.
만일, 최대부하 예상시간대에 상기 운전이 수행되지 않는다면 상기 운전은 정해진 운전 모드에 따라 수행(S204)된다.
상기 제어(S200)의 다른 예에 따르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 요청이 발생되거나 상기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전력 업체의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제1시간대를 피하여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 5와 같이 전력 소모가 큰 운전의 수행 시간을 확인(S201)하고, 상기 확인된 운전의 수행 시간이 제1시간대에 속하는지 확인(S206)하여 제1시간대를 피하여 운전되도록 제어(S203)하는 것이다.
예컨대, 에어컨의 경우 상기 제1시간대의 이전에 최대 부하로 동작시켜 실내 온도를 미리 낮춤으로써 상기 제1시간대에는 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1시간대와 해당 운전의 최대 부하가 요구되는 시간이 달리 이루어지도록 운전 시작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S200)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 요청이 발생되거나 상기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조작부를 통해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해당 가정의 최대 전력 부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운전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대 전력 부하량은 미리 설정된 범위의 전력 부하량이거나 최근 해당 가정의 평균 전력 소비량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전력 부하량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7과 같이 운전이 요청된 가전기기(10)를 운전시 해당 가정의 최대 전력 부하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해당 가전기기(10)의 운전 모드 중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저전력 운전 모드로 변경하거나 추천(S209)할 수 있다.
상기 제어(S200)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 요청이 발생되거나 상기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조작부를 통해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여타 가전기기(10)의 정보를 고려하여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6과 같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10)의 운전 요청이 확인(S207)될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10)의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을 확인(S208)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최대 부하가 발생되는 시간 이전에 상기 운전이 요청된 가전기기(10)의 운전이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시간 이후에 상기 요청된 가전기기(10)의 운전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서비스서버(100)에 의한 각 가전기기(10)의 운전 제어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평소의 사용 패턴대로 가전기기(10)를 운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경우 사용자 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가전기기(10)의 운전을 제어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서비스서버(100)가 각 가전기기(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서버(100)는 각 가전기기(10)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가전기기(10)들의 정보를 토대로 사용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S231)한다.
상기 사용 패턴의 경우 각 가전기기(10)의 사용 정보를 토대로 분류한 후 저장될 수 있다. 즉, 가전기기(10)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별로 사용량이 많은 가전기기(또는, 가전기기와 운전모드)가 저장된다.
예컨대, 오전 10시대에는 로봇청소기가 주로 사용되고, 오후 2시대에는 식기세척기 및 에어컨이 주로 사용되며, 오후 3시대에는 워시타워(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주로 사용되고, 오후 7시에는 의류관리기(예컨대, LG 스타일러 등)가 주로 사용되는 사용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 패턴에는 각 가전기기의 운전 모드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 패턴은 요일별이나 실내 온도별로도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전력 업체로부터 전력 공급이 부족 또는, 최대 부하가 예상되는 제1시간대의 정보를 제공(S232)받는다. 상기 제1시간대는 계절별이나 일자별 또는, 전력 수급 여건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제1시간대의 정보가 취득되면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미리 분류된 사용 패턴을 토대로 상기 제1시간대에 많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전기기(10)를 확인(S233)한다.
만일, 상기 제1시간대에 운전되는 제1가전기기(10)가 확인되면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1시간대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각 가전기기(10)들의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제1가전기기(10) 또는, 여타의 가전기기(10)들을 미리 저장되어 있던 사용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운전되도록 추천(S234)한다.
일 예를 들면, 도 9의 순서도와 같이 제1시간대와 동일 시간대에 많이 사용되었던 제1가전기기(10) 이외의 가전기기(10)들은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사용을 정지하도록 추천(S234f)할 수 있다.
상기 추천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상기 추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추천받은 정보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추천받은 정보로 운전하기를 승인한다면 추천된 방식으로 제1가전기기(10)와 여타 가전기기(10)를 운전(S234a)한다. 그리고, 추천 동작을 수행함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S234b)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추천받은 정보로 운전하기를 승인하지 않는다면 각 가전기기(10)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제1가정기기와 동시 운전, 절전모드 비사용 등)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기능으로 운전을 수행(S234c)한다.
그리고, 상기 추천되지 않은 방식으로의 운전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으로 수행하였을 경우 발생된 전력요금을 확인하고, 이를 추천 기능 동작시 예상되는 전력요금을 비교(S234d)한 후 비교 결과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S234e)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추천 기능 사용시의 전력 절감 효과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를 들면, 도 10의 순서도와 같이 상기 제1시간대와 동일 시간대에 많이 사용되었던 제1가전기기(10)가 상기 제1시간대 이전의 시간대(제2시간대)에 미리 동작함을 추천(S234g)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시간대에는 제1가전기기(10)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을 정지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에어컨의 경우 제1시간대보다 30분 전(제2시간대)에 미리 설정 온도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운전된 후 제1시간대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거나 사용이 정지되도록 운전을 추천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추천받은 정보로 운전하기를 승인한다면 추천된 방식으로 제1가전기기(10)를 운전(S234h)한다. 그리고, 추천 동작을 수행함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S234b)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으나 상기 제1시간대에 전력 사용이 집중됨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1시간대에 많이 운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전기기(10)를 상기 제1시간대 이후의 제3시간대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3시간대에 제1가전기기(10)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점에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제1시간대에 많이 운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전기가(10)는 제2시간대에 수행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추천받은 정보로 운전하기를 승인하지 않는다면 제1시간대에 제1가전기기(10)를 운전(S234i)한다.
그리고, 상기 추천되지 않은 방식으로의 운전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으로 수행하였을 경우 발생된 전력요금을 확인하고, 이를 추천 기능 동작시 예상되는 전력요금을 비교(S234d)한 후 비교 결과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S234e)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추천 기능 사용시의 전력 절감 효과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확인된 제1가전기기(10) 이외의 여타 가전기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하기 어렵거나 사용을 정지하기가 어려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시간대에 많이 사용되는 제1가전기기(10)에는 상시적으로 동작되는 가전기기(예컨대, 냉장고)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상시적으로 동작되는 가전기기(10)는 운전 상황에 따라 제1시간대에 어느 한 가전기기(10)가 사용되더라도 동일 시간대에 절전 모드로 운전하거나 사용을 정지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각 가전기기(10)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동작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각 가전기기(10)로부터 취득한 해당 가전기기(10)들의 정보를 토대로 상시적으로 동작되는 제1유형의 가전기기(10) 및 비 상시적으로 동작되는 제2유형의 가전기기(10)로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시간대에 상기 두 유형에 속한 각 가전기기(10)가 동시에 운전되도록 요구될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미리 지정한 동작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동작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의 가전기기(10)가 우선적으로 운전(S244)되도록 한 후 다음 순위의 가전기기(10)가 순차적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11의 순서도와 같다.
상기 동작 우선 순위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또는, 각 가전기기(10)로부터 취득한 각 가전기기(10)의 각 시간대별 운전모드에 따라 서비스서버(100)가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제1유형의 가전기기(10)가 비 상시적으로 동작되는 제2유형의 가전기기(10)보다 더욱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형의 가전기기에 속하는 냉장고와 제2유형의 가전기기에 속하는 세탁기가 제1시간대에 동시에 운전될 경우 상기 냉장고가 우선 운전된 후 세탁기가 운전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어느 한 가전기기가 운전될 때 여타의 가전기기들은 절전 모드로 유지되거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S245)될 수 있다.
이렇듯, 전력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는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각 가전기기(10)가 순차적으로 운전되기 때문에 제1시간대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작 우선 순위에 따른 가전기기(10)의 운전은 상기 제1유형의 가전기기와 제2유형의 가전기기가 동시에 운전되지 않더라도 적용 가능하다. 즉, 적어도 어느 한 유형의 복수의 가전기기(10)가 제1시간대에 동시에 운전할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각 가전기기(10)의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가전기기(10)의 동작 우선 순위에 대한 결정은 제1시간대에 복수 가전기기(10)가 동시에 운전됨이 확인될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12의 순서도와 같이 서비스서버(100)는 제1시간대에 복수 가전기기(10)가 동시에 운전됨이 확인(S242)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으로 사용자에게 동작 우선 순위를 입력(결정)하도록 요청(S246)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방법에서 설명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시간대에 어느 한 의류의 빨래 및 건조가 종료되도록 원하였으나 제1시간대의 전력 분산을 위해 상기 의류의 빨래 및 건조가 제1시간대 이후에 종료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방법은 제1시간대의 전력 소모가 집중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도 제1시간대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방법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간대에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이 요청(S252)될 경우 상기 가전기기(10)의 운전을 대체할 수 있는 여타 가전기기(10)를 추천(S25)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 또는, 워시타워(세탁기 및 건조기)를 통해 제1시간대에 해당 워시타워를 이용하여 어느 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는 세탁 및 건조모드의 운전이 요청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어 있던 해당 가전기기(워시타워)를 대체할 수 있는 여타 가전기기(의류관리기) 및 운전모드(살균운전모드)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된 대체 가전기기(의류관리기) 및 운전모드(살균운전모드)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으로 추천(S254)하게 된다.
이로써, 제1시간대에 전력 소모량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체 가능한 가전기기(10) 및 운전모드는 서비스서버(100)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으로부터 제공받은 가전기기(10)의 정보를 토대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서비스서버(100)에 의해 유사 효과를 제공하면서 에너지 소모가 서로 다른 운전모드별 가전기기로 분류된 후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됨으로써 대체 가전기기의 필요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도 14에서와 같이 운전이 요청된 가전기기(10)에서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은 대체 운전이 가능한 저전력 운전모드가 존재한다면 해당 저전력 운전 모드를 추천(S253)한다. 상기 대체 가능한 저전력 운전 모드의 확인을 수행한 후 대체 가능한 저전력 운전모드가 없을 경우 상기 대체 가능한 가전기기의 확인 및 추천(S254)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방법은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방법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가 전력 업체로부터 제1시간대의 정보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 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은 대체 가전기기 또는, 대체 운전모드가 추천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각 실시예의 제어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 또는, 해당 가전기기(10)를 통해 해당 가정의 사용자에게 추천한 후 해당 사용자의 동의가 이루어질 경우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최초의 사용자 동의를 토대로 각 제어 상황시 서비스서버(100)가 자동으로 판단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수행하는 제어는 전력 업체의 순간적인 전력 부하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력 업체를 위한 제어이다.
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제어의 수행시 전력 업체가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이 더욱 높은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전력 업체는 정해진 구역별로 설정 기간이나 설정된 시간대에 미리 설정한 최대 부하량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인센티브(예컨대, 전력 요금의 할인 혹은, 마일리지 제공 등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추천한 운전과 비추천 운전으로 가전기기(10)가 사용되었을 경우의 전기 요금 차이 혹은, 환경 개선 기여도 등을 계산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가정과 전력 업체가 서로 전력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전력 관리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의 경우 전력 업체에서는 실시간 전력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설정 범위의 전력 부하량 내에서 가전기기(10)가 운전되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서 해당 가정에 사용되는 최대 전력 부하량을 줄일 수 있다. 즉, 해당 가정에서 허용되는 전력 부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제1시간대에 수행되는 가전기기(10)의 운전이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시간대에 전력 소모량이 증가되지 않고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10)가 운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제1시간대에 복수의 가전기기(10)가 동시에 운전되도록 요구될 경우 미리 지정한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각 가전기기를 순차 운전한다. 이에 따라 제1시간대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장치 및 전력 관리방법은, 제1시간대에 가정에 구비된 어느 한 가전기기(10)의 운전시 전력 소모가 적고 대체 가능한 여타 가전기기(10)의 사용이 추천된다. 이에 따라 제1시간대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전기기
100. 서비스 서버
110. 정보 취득부 120. 부하 계산부
130. 정보 제공부 140. 제어부
200. 데이터베이스
310.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400. 전력업체의 온라인 서버

Claims (15)

  1. 각 가전기기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각 가전기기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각 가전기기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서비스서버로 사용자가 요청 또는, 선택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각 가전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사용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전력 공급이 부족 또는, 최대 부하가 예상되는 제1시간대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시간대에 운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전기기 또는 여타 가전기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전기기를 상기 저장된 사용 패턴과는 달리 운전하도록 추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패턴은 시간이나 실내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한 분류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분류된 사용 패턴을 토대로 상기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전기기 이외의 가전기기들은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혹은, 사용을 정지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하는 전력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분류된 사용 패턴을 토대로 상기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이 상기 제1시간대 전의 제2시간대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제1시간대 후에 제3시간대에 수행되도록 안내하는 전력 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제1유형 및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유형으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전력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제1시간대에 상기 두 유형에 속한 둘 이상의 가전기기가 동시에 운전되도록 요구될 경우 미리 지정한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각 가전기기를 순차 운전하는 전력 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분류된 사용 패턴을 토대로 상기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가전기기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적은 대체 가능한 운전모드를 가지는 대체 가전기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하는 전력 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가능한 가전기기는
    상기 사용 패턴에 등록된 운전모드와 유사 기능으로 분류된 운전모드를 가지는 가전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에 저장되는 각 가전기기의 정보에는
    운전모드별 전력 소모량에 대한 정보와, 시간별 또는, 요일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와, 상시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와, 대체 가능한 가전기기 및 그의 운전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되는 전력 관리장치.
  10. 상기 각 가전기기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각 가전기기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각 가전기기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서비스서버로 사용자가 요청 또는, 선택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어느 한 가전기기의 운전이 요청될 경우 상기 가전기기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적은 대체 가능한 운전모드를 가지는 대체 가전기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유사 효과를 제공하면서 에너지 소모가 다른 운전모드별 가전기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전력 관리장치.
  12. 가정에 구비된 둘 이상 복수의 가전기기의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제1시간대에 운전되거나 운전이 예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전기기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시간대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2단계에서 확인된 제1가전기기 또는, 여타 가전기기의 운전을 추천하는 제3단계;가 포함되는 전력 관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는 각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각 가전기기별 사용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1과정이 더 포함되고,
    제3단계에서는 상기 제1과정에서 분류된 가전기기별 사용 패턴을 토대로 상기 제1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가전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전기기 이외의 가전기기들은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혹은, 사용을 정지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하는 제2과정이 더 포함되는 전력 관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상시적으로 사용되는 제1유형의 가전기기 및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유형의 가전기기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제3과정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제1시간대에 상기 두 유형에 속한 둘 이상의 가전기기가 동시에 운전될 경우에는 미리 지정한 동작 우선 순위에 따라 운전하는 제4과정이 더 포함되는 전력 관리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가전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유사 효과를 제공하면서 에너지 소모가 다른 운전모드별 가전기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5과정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운전모드별 가전기기로 분류된 정보를 토대로 제1시간대에 운전되거나 운전이 예상되는 가전기기의 확인시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작은 대체 가능한 운전모드를 가지는 대체 가전기기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하는 제6과정이 더 포함되는 전력 관리방법.
KR1020230114522A 2022-08-30 2023-08-30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 KR20240031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2915 WO2024049210A1 (ko) 2022-08-30 2023-08-30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26 2022-08-30
KR20220109426 2022-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148A true KR20240031148A (ko) 2024-03-07

Family

ID=9027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522A KR20240031148A (ko) 2022-08-30 2023-08-30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14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030A (ko) 2009-11-04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에너지관리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제품
KR20110117557A (ko)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10686A (ko)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50005345A (ko) 2013-07-05 2015-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50077788A (ko) 2013-12-30 2015-07-08 전자부품연구원 전력 소비 패턴에 기반한 가전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8155A (ko)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가전기기,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030A (ko) 2009-11-04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에너지관리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제품
KR20110117557A (ko)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10686A (ko)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50005345A (ko) 2013-07-05 2015-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50077788A (ko) 2013-12-30 2015-07-08 전자부품연구원 전력 소비 패턴에 기반한 가전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8155A (ko)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가전기기,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557B1 (ko) 에너지 소비 관리
CN102334139B (zh) 能量使用控制系统和方法
JP5710028B2 (ja) 能動負荷管理の使用を通じて配分可能な運転用予備力エネルギーキャパシティを推定及び供給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Zheng et al. A distributed demand response control strategy using Lyapunov optimization
Özkan A new real time home power management system
US20130218360A1 (en) Aggregate load management at a system level
KR20120042312A (ko) 전력 관리 장치, 그를 가지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1142753A (ja)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Frincu et al. Towards a scalable cloud enabled smart home automation architecture for demand response
Olawuyi et al. Real-time demand response algorithm for minimising industrial consumers electricity billing
WO2014185014A1 (ja) 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
Chen Demand response: An enabling technology to achieve energy efficiency in a smart grid
KR20240031148A (ko) 전력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방법
JP5852950B2 (ja) 電力需要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Adika et al. Autonomous appliance scheduling based on time of use probabilities and load clustering
WO2016185665A1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08007A (ko) 통합 유틸리티 제공 시스템 및 통합 유틸리티 제공 방법
Stille et al. Concept for a hierarchical load control for domestic appliances in smart grids
Floris et al. A quality of experience prediction model for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s
Sianaki et al. Versatile energy scheduler compatible with autonomous demand response for home energy management in smart grid: A system of systems approach
Song Efficient Transmission Algorithm in Smart Power Strips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Chen Argonne National Laboratory, Argonne, United States
Zhang et al. Optimal pricing approach based on expected utility maximization with partial information
AU2012230262B2 (en)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