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035A - 웨이퍼의 연삭 방법 - Google Patents

웨이퍼의 연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035A
KR20240031035A KR1020230099098A KR20230099098A KR20240031035A KR 20240031035 A KR20240031035 A KR 20240031035A KR 1020230099098 A KR1020230099098 A KR 1020230099098A KR 20230099098 A KR20230099098 A KR 20230099098A KR 20240031035 A KR20240031035 A KR 2024003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grinding
chuck table
annula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타카 구와나
신지 야마시타
데츠오 구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24003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0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rotary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2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thin, brittle parts, e.g. semiconductors, wa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과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웨이퍼를 균일한 두께로 연삭할 수 있는 웨이퍼의 연삭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척 테이블 (10) 의 원추상의 유지면 (11a) 에 유지되어 회전하는 웨이퍼 (W) 의 반경 부분에, 회전하는 환상 지석 (26b) 을 접촉시켜 웨이퍼 (W) 를 연삭하는 웨이퍼 (W) 의 연삭 방법은, 유지면 (11a) 에 웨이퍼 (W) 를 유지시키는 유지 공정과, 유지면 (11a) 에 유지된 웨이퍼 (W) 의 반경 부분에 환상 지석 (26b) 의 하면을 접촉시켜, 웨이퍼 (W) 의 중앙 부분 (Wa) 에 미미한 패임 (W1) 을 형성하면서 웨이퍼 (W) 의 외주 부분 (Wb) 을 미미하게 두껍게 연삭하는 제 1 연삭 공정과, 그 제 1 연삭 공정의 후, 웨이퍼 (W) 의 중심에 환상 지석 (26b) 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척 테이블 (10) 과 환상 지석 (26b) 의 경사를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웨이퍼 (W) 의 중앙 부분 (Wa) 이외를 연삭하는 제 2 연삭 공정을 거쳐 웨이퍼 (W) 를 연삭한다.

Description

웨이퍼의 연삭 방법{METHOD FOR GRINDING A WAFER}
본 발명은 척 테이블의 유지면에 유지된 웨이퍼를 환상 지석에 의해서 연삭하는 웨이퍼의 연삭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IC 나 LSI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위해서, 웨이퍼의 이면이 연삭되어 그 웨이퍼가 소정의 두께까지 박육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연삭 장치를 사용하여, 척 테이블에 유지된 웨이퍼의 반경 부분을 환상 지석의 하면에서 연삭하면,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삭된 웨이퍼의 중앙 부분에 미미한 패임이 형성된다. 이 패임은, 웨이퍼를 유지하는 척 테이블의 유지면이 원추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면의 중앙 부분에서 웨이퍼의 중앙 부분이 볼록상으로 되고, 이 볼록상으로 된 중앙 부분을 많이 연삭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3 에는, 척 테이블의 유지면의 중심, 요컨대, 원추의 정점을 제거하는 유지면 형성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면 웨이퍼의 중앙 부분이 지나치게 연삭되는 것에 의한 패임의 형성이 방지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145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1464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75472호
그러나, 특허문헌 3 에 있어서 제안된 유지면 형성 방법에 의하면, 척 테이블의 유지면의 형성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웨이퍼를 균일한 두께로 연삭할 수 있는 웨이퍼의 연삭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척 테이블의 원추상의 유지면에 유지되어 회전하는 웨이퍼의 반경 부분에, 회전하는 환상 지석을 접촉시켜 웨이퍼를 연삭하는 웨이퍼의 연삭 방법으로서, 그 유지면에 웨이퍼를 유지시키는 유지 공정과, 그 유지면에 유지된 웨이퍼의 반경 부분에 그 환상 지석의 하면을 접촉시켜, 웨이퍼의 중앙 부분에 미미한 패임을 형성하면서 웨이퍼의 외주 부분을 미미하게 두껍게 연삭하는 제 1 연삭 공정과, 그 제 1 연삭 공정의 후, 웨이퍼의 중심에 그 환상 지석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그 척 테이블과 그 환상 지석의 경사를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웨이퍼의 중앙 부분 이외를 연삭하는 제 2 연삭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의 중앙 부분에 미미한 패임을 형성하면서 그 웨이퍼의 외주 부분을 미미하게 두껍게 연삭하고, 제 2 연삭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의 중심에 환상 지석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척 테이블과 환상 지석의 경사를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웨이퍼의 중앙 부분 이외의 미미하게 두꺼운 외주 부분을 연삭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 2 연삭 공정에 있어서의 연삭에 의해서, 웨이퍼의 두께를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패임의 두께로 균일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웨이퍼의 중앙 부분에 패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척 테이블의 유지면의 정점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 그 유지면의 형성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웨이퍼를 균일한 두께로 연삭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웨이퍼의 연삭 장치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웨이퍼와 환상 지석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제 1 연삭 공정을 나타내는 도 2 의 화살표 A 에서 바라 본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제 2 연삭 공정을 나타내는 도 2 의 화살표 A 에서 바라 본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 방법의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 연삭된 웨이퍼의 종단면도, (b) 는 본 발명 방법의 제 2 연삭 공정에 있어서 연삭된 웨이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서 연삭된 웨이퍼의 직경 방향의 두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종래의 연삭 방법에 의해서 연삭된 웨이퍼의 직경 방향의 두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웨이퍼의 연삭 장치의 구성을 도 1 및 도 2 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을 각각 X 축 방향 (좌우 방향), Y 축 방향 (전후 방향), Z 축 방향 (상하 방향) 으로 한다.
[연삭 장치]
도 1 에 나타내는 연삭 장치 (1) 는, 피가공물인 원판상의 웨이퍼 (W) 를 연삭 가공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즉, 연삭 장치 (1) 는, 웨이퍼 (W) 를 유지하여 그 웨이퍼 (W) 의 축심 (CL1) (도 3 및 도 4 참조) 둘레로 회전하는 척 테이블 (10) 과, 그 척 테이블 (10) 에 흡인 유지된 웨이퍼 (W) 를 연삭 가공하는 연삭 유닛 (20) 과, 연삭 가공 중의 웨이퍼 (W) 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기 (30) 와, 연삭 유닛 (20) 을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대해서 수직 방향 (Z 축 방향) 으로 승강시키는 연삭 이송 수단 (40) 과, 연삭 유닛 (20) 의 환상 지석 (26b) 과 웨이퍼 (W) 의 접촉 영역 (연삭 영역) (R) (도 2 참조) 에 연삭수를 공급하는 노즐 (50) 과, 척 테이블 (10) 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사 조정 기구 (70) 와, 척 테이블 (10) 을 유지면 (11a) 에 대해서 수평 방향 (Y 축 방향) 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기구 (80) 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웨이퍼 (W) 는, 단결정의 실리콘 모재로 구성되어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고 있는 표면에는, 복수의 도시 생략된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디바이스는, 웨이퍼 (W) 의 표면에 첩착 (貼着) 된 보호 테이프 (T) 에 의해서 보호되어 있다. 그리고, 웨이퍼 (W) 는, 그 표면 (도 1 에 있어서는 하면) 이 보호 테이프 (T) 를 개재하여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흡인 유지되고, 이면 (도 1 에 있어서는 상면) 이 노즐 (50) 로부터 연삭수의 공급을 받으면서 연삭 유닛 (20) 의 연삭 지석 (26b) 에 의해서 연삭된다.
다음으로, 연삭 장치 (1) 의 주요한 구성 요소인 척 테이블 (10), 연삭 유닛 (20), 두께 측정기 (30), 연삭 이송 수단 (40), 노즐 (50), 경사 조정 기구 (70) 및 수평 이동 기구 (80) 의 구성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척 테이블)
척 테이블 (10) 은, 원판상의 부재로서, 원판상의 프레임체 (10A) 와, 그 프레임체 (10A) 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 (10a) 에 편입 장착된 포러스 부재 (11)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포러스 부재 (11) 는, 다공질의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면이 원판상의 웨이퍼 (W) 를 흡인 유지하는 유지면 (11a) 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척 테이블 (10) 은, 도시 생략된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서 축심 (CL1) 둘레로 도 2 의 화살표 방향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 구동된다. 즉, 척 테이블 (10) 은, 그 중심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회전축 (12) 을 구비하고 있고, 이 회전축 (12) 이 도시 생략된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서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척 테이블 (10) 의 포러스 부재 (11) 는, 진공 펌프 등의 도시 생략된 흡인원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삭 장치 (1) 는, Y 축 방향 (전후 방향) 으로 긴 직사각형 박스상의 베이스 (100) 를 구비하고 있고, 이 베이스 (100) 에 개구되는 Y 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부 (100a) 에는 척 테이블 (10) 이 면하고 있다. 그리고, 개구부 (100a) 의 척 테이블 (10) 의 주위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상의 커버 (101) 에 의해서 덮여 있고, 개구부 (100a) 의 커버 (101) 의 전후 (-Y 방향과 +Y 방향) 의 부분은, 커버 (101) 와 함께 이동하며 신축되는 주름 상자상의 신축 커버 (102, 103) 에 의해서 각각 덮여 있다. 따라서, 척 테이블 (10) 이 Y 축 상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개구부 (100a) 는 커버 (101) 와 신축 커버 (102, 103) 에 의해서 항상 닫혀져 있어, 개구부 (100a) 로부터 베이스 (100)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된다.
(연삭 유닛)
연삭 유닛 (20) 은, 홀더 (21) 에 고정된 스핀들 하우징 (22) 과, 그 스핀들 하우징 (22) 에 수용된 스핀들 모터 (23) 와, 그 스핀들 모터 (23) 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수직의 스핀들 (24) 과, 그 스핀들 (24) 의 하단에 장착된 원판상의 마운트 (25) 와, 그 마운트 (25) 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연삭 휠 (26) 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연삭 휠 (26) 은, 원판상의 기대 (26a) 와, 그 기대 (26a) 의 하면에 원환상으로 장착된 가공구인 복수의 환상 지석 (26b)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지석 (26b) 은, 웨이퍼 (W) 를 연삭하기 위한 직사각형 블록상의 가공구로서, 그 하면은, 웨이퍼 (W) 의 상면 (피연삭면) 에 접촉하는 연삭면을 구성하고 있다.
(두께 측정기)
두께 측정기 (30) 는, 척 테이블 (10) 에 유지된 연삭 가공 중의 웨이퍼 (W) 의 두께를 측정하는 하이트 게이지로서, 웨이퍼 (W) 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자 (31) 와 척 테이블 (10) 의 프레임체 (10A) 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자 (32)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1 접촉자 (31) 에 의해서 연삭 가공 중의 웨이퍼 (W) 의 상면 높이가 측정되지만, 이제 1 접촉자 (31) 에 의해서 측정되는 웨이퍼 (W) 의 상면 높이와 제 2 접촉자 (32) 에 의해서 측정되는 프레임체 (10A) 의 상면의 높이의 차에 의해서 웨이퍼 (W) 의 두께가 구해진다.
(연삭 이송 수단)
연삭 이송 수단 (40) 은, 연삭 유닛 (20) 을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대해서 수직의 방향 (Z 축 방향) 을 따라서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 (100) 의 상면의 +Y 축 방향 단부 (후단부) 상에 수직으로 세워 형성된 직사각형 박스상의 칼럼 (41) 의 -Y 축 방향 단면 (전면) 에 배치되어 있다. 이 연삭 이송 수단 (40) 은, 홀더 (21) 의 배면에 장착된 직사각형 플레이트상의 승강판 (42) 을, 홀더 (21) 및 그 홀더 (21) 에 유지된 스핀들 (24) 과 연삭 휠 (26) 과 함께 좌우 1 쌍의 가이드 레일 (43) 을 따라서 Z 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좌우 1 쌍의 가이드 레일 (43) 은, 칼럼 (41) 의 전면에 수직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 1 쌍의 가이드 레일 (43) 사이에는, 회전 가능한 볼 나사 (44) 가 Z 축 방향 (상하 방향) 을 따라서 수직으로 세워 형성되어 있고, 그 볼 나사 (44) 의 상단은, 구동원인 정역전 가능한 전동 모터 (45) 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동 모터 (45) 는, 칼럼 (41) 의 상면에 장착된 직사각형 플레이트상의 브래킷 (46) 을 개재하여 칼럼 (41) 에 세로로 놓여진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또, 볼 나사 (44) 의 하단은, 칼럼 (4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볼 나사 (44) 에는, 승강판 (42) 의 배면에 후방 (+Y 축 방향) 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도시 생략된 너트 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 (45) 를 기동시켜 볼 나사 (44) 를 정역전시키면, 이 볼 나사 (44) 에 나사 결합되는 도시 생략된 너트 부재가 장착된 승강판 (42) 이 1 쌍의 가이드 레일 (43) 을 따라서 연삭 유닛 (20) 과 함께 상하동하기 때문에, 연삭 유닛 (20) 이 승강하여 연삭 지석 (26b) 의 웨이퍼 (W) 에 대한 연삭량 (연삭 마진) 이 설정된다.
(노즐)
노즐 (50) 은, 연삭 가공 중의 연삭 지석 (26b) 과 웨이퍼 (W) 의 접촉부인 연삭 영역 (R) (도 2 참조) 을 향하여 순수 등의 연삭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연삭 가공 중에 웨이퍼 (W) 를 덮어 회전하는 연삭 지석 (26b) 의 내측으로부터 연삭수를 분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노즐 (50) 은, 연삭수를 웨이퍼 (W) 의 외주로부터 중심을 향한 직경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분출하는 역 L 자상으로 굴곡된 부재이다.
(경사 조정 기구)
경사 조정 기구 (70) 는, 척 테이블 (10) 의 경사를 조정하는 기구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테이블 (10) 의 플랜지 (13) 와 후술하는 슬라이더 (8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사 조정 기구 (7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액추에이터 (71) 와 1 개의 피벗 (72)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액추에이터 (71) 와 피벗 (72) 은,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피치 (120°피치) 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액추에이터 (71) 는, 도시 생략된 로드를 상하동시킴으로써, 척 테이블 (10) 을, 피벗 (72) 을 중심으로 하여 경동 (傾動) 시켜 그 유지면 (11a) 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조정한다. 또한, 각 액추에이터 (71) 에는, 환상 지석 (26b) 으로부터 웨이퍼 (W) 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 셀 등의 수직 하중 측정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평 이동 기구)
수평 이동 기구 (80) 는, 척 테이블 (10) 을 유지면 (11a) 에 대해서 수평 방향 (Y 축 방향) 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100) 의 내부에 수용된 직사각형 블록상의 내부 베이스 (81) 상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 이동 기구 (80) 는, 블록상의 슬라이더 (82) 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슬라이더 (82) 는, Y 축 방향 (전후 방향) 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 형성된 좌우 1 쌍의 가이드 레일 (83) 을 따라서 Y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따라서, 이 슬라이더 (82) 에 지지된 척 테이블 (10) 과 도시 생략된 회전 구동 기구는, 슬라이더 (82) 와 함께 Y 축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그리고, 내부 베이스 (81) 상의 좌우 1 쌍의 가이드 레일 (83) 사이에는, Y 축 방향 (전후 방향) 으로 연장되는 회전 가능한 볼 나사 (84)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그 볼 나사 (84) 의 Y 축 방향 일단 (도 1 의 좌단) 은, 구동원인 정역전 가능한 전동 모터 (85) 에 연결되어 있다. 또, 볼 나사 (84) 의 Y 축 방향 타단 (도 1 의 우단) 은, 내부 베이스 (81) 상에 세워 형성된 베어링 (86) 에 의해서 내부 베이스 (8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 나사 (84) 에는, 슬라이더 (82)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도시 생략된 너트 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 (85) 를 기동시켜 볼 나사 (84) 를 정역전시키면, 이 볼 나사 (84) 에 나사 결합되는 도시 생략된 너트 부재가 슬라이더 (82) 와 함께 볼 나사 (84) 를 따라서 Y 축 방향 (전후 방향) 으로 슬라이딩 하기 때문에, 이 슬라이더 (82) 와 함께 척 테이블 (10) 도 Y 축 방향을 따라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흡인 유지된 웨이퍼 (W) 도 Y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웨이퍼의 연삭 방법]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삭 장치 (1) 에 의한 본 발명에 관련된 웨이퍼 (W) 의 연삭 방법을 도 3 ∼ 도 5 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웨이퍼 (W) 의 연삭 가공에 앞서, 그 웨이퍼 (W) 를 유지하는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은, 셀프 그라인드에 의해서, 중심을 정점으로 하는 원추면, 즉,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 에는, 유지면 (11a) 의 원추 형상을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원추면의 경사는 육안으로는 시인할 수 없을 정도의 미미한 것이다.
본 발명 방법은, 1) 유지 공정과, 2) 제 1 연삭 공정과, 3) 제 2 연삭 공정을 거쳐 웨이퍼 (W) 를 연삭하는 방법이다. 이하, 이들 유지 공정과, 제 1 연삭 공정 및 제 2 연삭 공정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1) 유지 공정 :
유지 공정은, 연삭 가공해야 할 웨이퍼 (W) 를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유지시키는 공정으로서, 이 유지 공정에 있어서는, 웨이퍼 (W) 가 보호 테이프 (T) (도 1 참조) 를 아래로 하여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상에 재치 (載置) 된다. 그리고, 척 테이블 (10) 의 포러스 부재 (11) 가 진공 펌프 등의 도시 생략된 흡인원에 접속되고, 그 포러스 부재 (11) 가 진공화된다. 그러면, 포러스 부재 (11) 에 부압이 발생되고, 이 부압에 당겨져 웨이퍼 (W) 가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상에 흡인 유지된다.
2) 제 1 연삭 공정 :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수평 이동 기구 (80) 를 구동시켜 척 테이블 (10) 을 +Y 축 방향 (후방) 으로 이동시키고, 그 척 테이블 (10) 에 흡인 유지되어 있는 웨이퍼 (W) 를 연삭 유닛 (20) 의 연삭 휠 (26) 의 하방에 위치하게 한다. 즉, 전동 모터 (85) 가 기동되어 볼 나사 (84) 가 회전하면, 이 볼 나사 (84) 에 나사 결합되는 도시 생략된 너트 부재가 장착된 슬라이더 (82) 가 척 테이블 (10) 등과 함께 좌우 1 쌍의 가이드 레일 (83) 을 따라서 +Y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유지되어 있는 웨이퍼 (W) 가 연삭 유닛 (20) 의 연삭 휠 (26) 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 때, 환상 지석 (26b) 의 하면 (가공 면) 이 웨이퍼 (W) 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양자의 수평 위치 관계가 조정된다 (도 2 참조).
또, 도시 생략된 회전 구동 기구를 구동시켜 척 테이블 (10) 을 회전시키고, 그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유지되어 있는 웨이퍼 (W) 를 소정의 회전 속도 (예를 들어, 1,000 rpm) 로 회전시킴과 함께, 스핀들 모터 (23) 를 구동시켜 연삭 휠 (26) 을 회전시켜 둔다.
그리고, 이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테이블 (10) 의 축심 (CL1) 을 스핀들 (24) 의 수직의 축심 (CL2) 에 대해서 소정의 제 1 각도 α 만큼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에 유지된 웨이퍼 (W) 의 반경 부분에 환상 지석 (26b) 의 하면을 접촉시키고, 웨이퍼 (W) 의 두께 (두께 측정기 (30) 에 의해서 측정되는 두께) 가 소정의 두께로 될 때까지, 연삭 이송 수단 (40) 에 의해서 환상 지석 (26b) 을 -Z 축 방향 (유지면에 접근하는 방향) 으로 하강시킨다.
즉, 연삭 이송 수단 (40) 의 전동 모터 (45) 가 구동되어 볼 나사 (44) 가 회전하면, 이 볼 나사 (44) 에 나사 결합되는 도시 생략된 너트 부재가 형성된 승강판 (42) 이 연삭 휠 (26) 등과 함께 -Z 축 방향으로 하강한다. 그러면, 연삭 휠 (26) 의 환상 지석 (26b) 의 하면 (연삭면) 이 웨이퍼 (W) 의 상면 (이면) 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환상 지석 (26b) 의 하면이 웨이퍼 (W) 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삭 휠 (26) 을 더욱 -Z 축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하강시키면, 웨이퍼 (W) 의 상면이 환상 지석 (26b) 에 의해서 소정량만큼 연삭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웨이퍼 (W) 가 연삭되고 있는 동안에, 노즐 (50) 에서는 연삭수가 웨이퍼 (W) 의 외주로부터 중심을 향한 직경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분사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웨이퍼 (W) 가 환상 지석 (26b) 에 의해서 연삭된 결과,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W) 의 상면의 중앙 부분 (Wa) 에 두께 t1 의 미미한 패임 (W1) 이 형성되고, 이 패임 (W1) 이 형성된 중앙 부분 (Wa) 이외의 외주 부분 (Wb) 이 중앙 부분 (Wa) 의 두께 t1 보다 미미하게 두껍게 연삭된다. 여기에서, 웨이퍼 (W) 의 외주 단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를 t2 로 한다. 또한, 이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의 환상 지석 (26b) 에 의한 웨이퍼 (W) 의 가공 영역 (R) 은, 도 2 에 나타내는 원호상의 부분이 된다.
3) 제 2 연삭 공정 :
상기 제 1 연삭 공정의 후에 실시되는 제 2 연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W) 의 중심에 환상 지석 (26b) 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척 테이블 (10) 의 축심 (CL1) 을 스핀들 (24) (환상 지석 (26b)) 의 수직의 축심 (CL2) 에 대해서 제 2 각도 β 만큼 경사지게 하며, 또한, 연삭 이송 수단 (40) 에 의한 환상 지석 (26b) 의 하강 (유지면 (11a) 에 접근하는 방향의 이동) 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웨이퍼 (W) 의 패임 (W1) 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 부분 (Wa) 이외의 외주 부분 (Wb) 이 환상 지석 (26b) 에 의해서 연삭된다.
이상의 결과,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 연삭된 도 5(a) 에 나타내는 웨이퍼 (W) 의 외주 부분 (Wb) (도 5(a) 의 망선 부분) 이 제 2 연삭 공정에 의해서 연삭되어,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W) 전체의 두께가, 패임 (W1) 이 형성된 중앙 부분 (Wa) 의 두께 t1 에 동등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웨이퍼의 연삭 방법에 있어서는, 연삭 공정을 제 1 연삭 공정과 제 2 연삭 공정의 2 단계로 하고,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 (W) 의 중앙 부분 (Wa) 에 미미한 패임 (W1) 을 형성하면서, 그 웨이퍼 (W) 의 외주 부분 (Wb) 을 미미하게 두껍게 연삭하고, 제 2 연삭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 (W) 의 중심에 환상 지석 (26b) 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척 테이블 (10) 과 환상 지석 (26b) 의 경사를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웨이퍼 (W) 의 중앙 부분 (Wa) 이외의 미미하게 두꺼운 외주 부분 (Wb) 을 연삭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 2 연삭 공정에 있어서의 연삭에 의해서, 웨이퍼 (W) 의 두께를 제 1 연삭 공정에 있어서 웨이퍼 (W) 의 중앙 부분 (Wa) 에 형성된 패임 (W1) 의 두께 t1 로 균일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웨이퍼 (W) 의 중앙 부분 (Wa) 에 패임 (W1) 이 발생되지 않도록, 척 테이블 (10) 의 유지면 (11a) 의 정점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 그 유지면 (11a) 의 형성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웨이퍼 (W) 를 균일한 두께 t1 로 연삭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 방법에 의해서 연삭된 웨이퍼의 직경 방향의 두께 분포를 도 6(a) 에 나타내고, 종래의 연삭 방법에 의해서 연삭된 웨이퍼의 직경 방향의 두께 분포를 도 6(b) 에 나타내지만, 종래의 연삭 방법에 의해서 연삭된 웨이퍼에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패임이 발생되어 있는 것에 비해서, 본 발명 방법에 의해서 연삭된 웨이퍼에 있어서는,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패임이 발생되지 않고, 직경 방향의 두께는 거의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에 있어서, 가로축은 웨이퍼의 중심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 (중심을 0 으로 한다), 세로축은 웨이퍼의 두께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연삭 공정과 제 2 연삭 공정에 있어서, 척 테이블 (10) 의 축심 (CL1) 을 스핀들 (24) 의 축심 (CL2) 에 대해서 제 1 각도 α 와 제 2 각도 β 로 각각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환상 지석 (26b) 에 의해서 웨이퍼 (W) 를 연삭하도록 했지만, 반대로 스핀들 (24) 의 축심 (CL2) 을 척 테이블 (10) 의 축심 (CL1) 에 대해서 제 1 각도 α 와 제 2 각도 β 로 각각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환상 지석 (26b) 에 의해서 웨이퍼 (W) 를 연삭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의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연삭 장치,
10 : 척 테이블,
10A : 프레임체,
10a : 프레임체의 오목부
11 : 포러스 부재,
11a : 유지면,
12 : 회전축,
13 : 플랜지
20 : 절삭 유닛,
21 : 홀더,
22 : 스핀들 하우징
23 : 스핀들 모터,
24 : 스핀들,
25 : 마운트,
26 : 연삭 휠
26a : 기대,
26b : 환상 지석,
30 : 두께 측정기,
31 : 제 1 접촉자
32 : 제 2 접촉자,
40 : 연삭 이송 수단,
41 : 칼럼,
42 : 승강판
43 : 가이드 레일,
44 : 볼 나사,
45 : 전동 모터,
46 : 브래킷
50 : 노즐,
70 : 경사 조정 기구,
71 : 액추에이터,
72 : 피벗
80 : 수평 이동 기구,
81 : 내부 베이스,
82 : 슬라이더,
83 : 가이드 레일
84 : 볼 나사,
85 : 전동 모터,
86 : 베어링,
100 : 베이스
100a : 베이스의 개구부,
101 : 커버,
102, 103 : 신축 커버
CL1 : 척 테이블의 축심,
CL2 : 스핀들의 축심,
R : 연삭 영역
T : 보호 테이프,
t1 : 웨이퍼의 중앙 부분의 두께
t2 : 웨이퍼의 외주 부분의 최대 두께,
W : 웨이퍼,
W1 : 웨이퍼의 패임
Wa : 웨이퍼의 중앙 부분,
Wb : 웨이퍼의 외주 부분

Claims (2)

  1. 척 테이블의 원추상의 유지면에 유지되어 회전하는 웨이퍼의 반경 부분에, 회전하는 환상 지석을 접촉시켜 웨이퍼를 연삭하는 웨이퍼의 연삭 방법으로서,
    그 유지면에 웨이퍼를 유지시키는 유지 공정과,
    그 유지면에 유지된 웨이퍼의 반경 부분에 그 환상 지석의 하면을 접촉시켜, 웨이퍼의 중앙 부분에 미미한 패임을 형성하면서 웨이퍼의 외주 부분을 미미하게 두껍게 연삭하는 제 1 연삭 공정과,
    그 제 1 연삭 공정의 후, 웨이퍼의 중심에 그 환상 지석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그 척 테이블과 그 환상 지석의 경사를 상대적으로 변경하여, 웨이퍼의 중앙 부분 이외를 연삭하는 제 2 연삭 공정을 구비하는 웨이퍼의 연삭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제 1 연삭 공정은, 웨이퍼의 두께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두께로 될 때까지 그 연삭 지석을 그 유지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실시되고,
    그 제 2 연삭 공정은, 그 환상 지석의 그 유지면에 접근시키는 방향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회전하는 환상 지석으로 웨이퍼의 중앙 부분 이외를 연삭함으로써 실시되는, 웨이퍼의 연삭 방법.
KR1020230099098A 2022-08-29 2023-07-28 웨이퍼의 연삭 방법 KR20240031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35773 2022-08-29
JP2022135773A JP2024032221A (ja) 2022-08-29 2022-08-29 ウェーハの研削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035A true KR20240031035A (ko) 2024-03-07

Family

ID=9003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098A KR20240031035A (ko) 2022-08-29 2023-07-28 웨이퍼의 연삭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32221A (ko)
KR (1) KR20240031035A (ko)
CN (1) CN11762080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4573A (ja) 2017-01-17 2018-07-26 株式会社ディスコ 研削装置
JP2020175472A (ja) 2019-04-18 2020-10-29 株式会社ディスコ 保持面形成方法
JP2021146416A (ja) 2020-03-17 2021-09-27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ェーハの研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4573A (ja) 2017-01-17 2018-07-26 株式会社ディスコ 研削装置
JP2020175472A (ja) 2019-04-18 2020-10-29 株式会社ディスコ 保持面形成方法
JP2021146416A (ja) 2020-03-17 2021-09-27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ェーハの研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32221A (ja) 2024-03-12
CN117620804A (zh)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6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mfering wafer
TWI483302B (zh) Wafer grinding method
JP6336772B2 (ja) 研削研磨装置
CN109290876A (zh) 晶片的加工方法
KR20210039943A (ko) 판형 가공물의 연삭 방법
CN101811273A (zh) 工件加工方法和工件加工装置
JP6457275B2 (ja) 研削装置
US65371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D grinding a large-diameter workpiece to produce a mirror surface finish
JP2017047504A (ja) 加工装置
JP6045926B2 (ja) 研削研磨装置
JP4966069B2 (ja) 加工装置
TWI779164B (zh) 磨削裝置
KR20240031035A (ko) 웨이퍼의 연삭 방법
US20220339753A1 (en) Processing method
JP7451043B2 (ja) 被加工物の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JP7413103B2 (ja) ウェーハの研削方法
CN115246087A (zh) 磨削方法
JPH11309673A (ja) 平面加工装置のスピンドル傾斜角度調整機構
TW202408721A (zh) 晶圓的研削方法
JP2020199596A (ja) 研削方法
JP2016078132A (ja) 加工装置
US11980993B2 (en) Method of grinding workpiece
JP2024034111A (ja) 保持面の形成方法
US11878387B2 (en) As-sliced wafer processing method
CN117620851A (zh) 磨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