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682A -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682A
KR20240030682A KR1020220110034A KR20220110034A KR20240030682A KR 20240030682 A KR20240030682 A KR 20240030682A KR 1020220110034 A KR1020220110034 A KR 1020220110034A KR 20220110034 A KR20220110034 A KR 20220110034A KR 20240030682 A KR20240030682 A KR 20240030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mage
user
identified
display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정재원
최낙원
윤수연
이재능
임지혜
조철용
황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682A/ko
Priority to PCT/KR2023/007358 priority patent/WO2024048914A1/ko
Publication of KR20240030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13Diffusing screen revealing the real holobject, e.g. container filed with gel to reveal the 3D holobject
    • G03H2001/2215Plane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4Reflector;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reflector)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하고,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FOR OBTAINING HOLOGRAPHIC RESOUR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반사체에 상을 맺히게 하는 방식으로 홀로그램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홀로그램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편화된 것은 아니며, 그에 따라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reflector)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객체가 배치되도록 상기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에서 상기 제거된 객체를 추가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재업데이트하고, 상기 재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거리가 감소하면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켜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반사체를 통해 반사 가능한 상기 출력 이미지의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상기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두 손을 식별하고, 상기 두 손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회전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휘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테두리에 포커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를 깜박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제스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 크기, 휘도, 해상도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그리고, 육면체로 구현되고, 내부가 투시 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육면체 중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육면체 중 상부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반사체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영역 및 상기 객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경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배경 영역은 검은색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객체가 배치되도록 상기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에서 상기 제거된 객체를 추가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재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거리가 감소하면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켜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반사체를 통해 반사 가능한 상기 출력 이미지의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상기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두 손을 식별하고, 상기 두 손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회전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휘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테두리에 포커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를 깜박이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제스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 크기, 휘도, 해상도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영역 및 상기 객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경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배경 영역은 검은색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식별 여부에 따른 출력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리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쳐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의 스케일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가 하나인 경우의 객체의 스케일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에 기초하여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 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하고,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reflector)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반사시켜 홀로그램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센서(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복수의 반사체(ref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사체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는 삼각형 형태의 반사체 4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반사체는 역피라미드 형태가 아닌 다각뿔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사체는 삼각뿔 형태로 배치되는 삼각형 형태의 반사체 3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하나의 반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원뿔 형태의 반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반사체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사체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키고 나머지를 굴절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반사체 중 하나를 통해 반사된 광을 통해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며, 동시에 복수의 반사체 중 하나의 뒷부분의 배경을 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반사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된 형태를 주요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복수의 반사체의 배치에 대하여는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센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0)는 모션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며, 모션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다.
센서(120)가 복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적외선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일렬로 배치되며, 반사파의 유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대략적인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센서(120)는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하며, 카메라, 마이크 등을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식별할 수도 있다. 또는, 센서(120)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120)가 카메라 및 마이크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는, 센서(120)는 초음파 센서, 뎁스 맵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존재 또는 사용자의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또는, 센서(120)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도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휘도를 식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 센서(120), 메모리(미도시),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130)라는 표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의 고주파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신경망 모델을 통해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얼마든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복수의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하나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복수의 객체 중 선명도가 가장 높은 객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가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된 삼각형 형태의 반사체 4개인 경우, 식별된 객체를 4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객체가 배치되도록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30)는 4개의 객체가 각각 4개의 반사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이미지는 일종의 홀로그래픽 리소스일 수 있다. 즉, 출력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홀로그램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력하는 홀로그래픽 리소스일 수 있다.
출력 이미지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영역 및 객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경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배경 영역이 검은색인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경 영역은 다른 색상일 수도 있고, 방향성이 없는 형태의 배경 이미지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이미지가 복수의 반사체를 통해 반사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 중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배치된 제1 반사체로부터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반사체를 식별하고, 제2 반사체에 대응되는 객체를 제거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객체를 제거 후, 제거된 객체의 영역을 배경과 동일한 색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2 반사체에 대응되는 객체가 제거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제1 반사체를 통해 반사되는 객체 및 제2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객체를 볼 수 있으며, 제1 반사체를 통해 반사되는 객체와 제2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객체는 서로 대칭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반사체가 반투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반사체에 대응되는 객체가 제거되면, 사용자는 제1 반사체를 통해 반사되는 객체만을 보게 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30)가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가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기 전 사용자가 식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 및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객체의 형태 및 사용자의 위치가 동일하다면, 전자의 경우에 획득된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와 후자의 경우에 획득된 출력 이미지는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지 않으면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에서 제거된 객체를 추가하여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재업데이트하고, 재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접근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된 경우에만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만 제거했던 객체를 다시 추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향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라보는 경우에만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거리가 증가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거리가 감소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켜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반사체를 통해 반사 가능한 출력 이미지의 영역을 식별하고,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식별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제스쳐로 인해 객체의 일부가 반사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두 손을 식별하고, 두 손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회전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휘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휘도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휘도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근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휘도를 높이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식별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휘도를 낮출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테두리에 포커스를 추가하거나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를 깜박이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가 식별되면, 제스쳐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 크기, 휘도, 해상도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육면체로 구현되고, 내부가 투시 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육면체 중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육면체 중 상부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이미지를 출력하고, 복수의 반사체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인공 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130)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 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 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 지능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 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 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 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센서(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35), 하우징(140), 통신 인터페이스(150),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마이크(170), 스피커(180), 카메라(1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135)는 프로세서(130) 등이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기 또는 자기 형태로 저장하는 하드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3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RAM, ROM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5)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3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인스트럭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30)의 동작을 지시하는 부호 단위로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기계어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메모리(135)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30)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이 인스트럭션 집합체(instruction set)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135)에는 문자, 수, 영상 등을 나타낼 수 있는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의 정보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5)에는 영상 처리 모델, 홀로그래픽 리소스 생성 모델, 객체 식별 모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5)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해 인스트럭션, 인스트럭션 집합체 또는 데이터에 대한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육면체로 구현되고, 내부가 투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40)은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40)은 반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40)은 육면체가 아닌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나머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 크기, 휘도, 해상도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HDMI, DP, 썬더볼트,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또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170)는 사운드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170)는 프로세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화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7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170)가 복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식별할 수도 있다.
마이크(170)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운드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70)는 사운드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운드를 수집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스피커(180)는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90)는 특정 시점에서의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나, 연속적으로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존재, 사용자의 제스쳐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90)는 디스플레이(100)의 전후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190)는 렌즈, 셔터, 조리개, 고체 촬상 소자, AFE(Analog Front End), TG(Timing Generator)를 포함한다. 셔터는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카메라(190)로 들어오는 시간을 조절하고, 조리개는 빛이 들어오는 개구부의 크기를 기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렌즈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고체 촬상 소자는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광전하로 축적되면, 광전하에 의한 상을 전기 신호로 출력한다. TG는 고체 촬상 소자의 픽셀 데이터를 리드아웃 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며, AFE는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화한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존재 또는 사용자의 제스쳐 등에 기초하여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4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별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3 내지 도 14의 개별적인 실시 예는 얼마든지 조합된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좌측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의 중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의 우측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의 좌측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육면체로 구현된 하우징(140)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1)은 하우징(14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반사체(110-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1)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도 3의 좌측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이 복수의 반사체(110-2) 중 좌측에 배치된 반사체에 대응되는 위치의 토끼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에서 반사체를 통해 토끼 객체를 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도 3의 중간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최대 너비(a)의 1/3의 크기(a/3)로 토끼 객체(310)를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토끼 객체(310)의 크기가 a/3보다 크면 토끼 객체(310)의 전체 영역 중 일부가 반사체를 통해 반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우측에 대하여는 도 12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하고,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이미지로부터 토끼 객체를 식별하고, 토끼 객체를 배경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4개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4개의 토끼 객체를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30)는 토끼 객체의 크기를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3으로 스케일링하여 제1 토끼 객체를 획득하고, 제1 토끼 객체를 90도 회전하여 제2 토끼 객체를 획득하고, 제2 토끼 객체를 90도 회전하여 제3 토끼 객체를 획득하고, 제3 토끼 객체를 90도 회전하여 제4 토끼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내지 제4 토끼 객체를 도 4의 우측과 같이 복수의 반사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객체의 윗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4개의 테두리 중 객체와 가장 가까운 테두리를 향하도록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우측 도면에서 아래쪽 토끼 객체의 머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4개의 테두리 중 아래쪽 테두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의 우측 도면에서 아래쪽 토끼 객체는 대응되는 반사체를 통해 토끼 객체의 머리가 윗쪽을 향하는 형태로 반사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 이미지에서 객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인 배경 영역을 검은색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전체가 검은색인 출력 이미지에 복수의 객체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배경 영역의 테두리 부분을 블러 처리하여 홀로그래픽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방향성이 없는 배경인 경우, 배경 영역을 검은색으로 대체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식별 여부에 따른 출력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4개의 반사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객체가 배치되도록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반사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토끼 객체가 배치되도록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사용자가 식별된 하측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상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510)를 제거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510)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하측 방향에 배치된 반사체가 반투명하기 때문에 하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 및 상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510)가 겹쳐 보이게 된다. 이때, 하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 및 상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510)는 좌우 대칭이고, 하측 방향에 배치된 반사체 및 상측 방향에 배치된 반사체 간의 거리 차로 인해 하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 및 상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510)의 크기도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인성이 매우 낮아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측 방향에 배치된 토끼 객체(510)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객체를 제거 후, 제거된 객체의 영역을 배경과 동일한 색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배경이 검은색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130)는 객체를 제거 후, 제거된 객체의 영역을 검은색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거리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610 위치에 있다가 620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620 위치에 있다가 610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620 위치에 있다가 610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610 위치에 있다가 620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객체의 타입에 기초하여 거리에 따른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객체가 홍보용 목적의 객체라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객체를 볼 수 있도록 거리가 증가할수록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객체가 홍보용 목적의 객체가 아니라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의 관심이 없는 것으로 식별하고, 거리가 증가할수록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높이고,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쳐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우측을 향하는 스와이프 제스쳐가 식별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스와이프 제스쳐가 식별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제거 또는 다른 객체로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그랩 후 상하좌우 중 하나로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제스쳐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그랩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두 손을 식별하고, 두 손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회전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두 손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식별하고,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얼마든지 다양한 사용자 제스쳐로부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만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전체를 사용자 제스쳐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복수의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가장 크기가 큰 객체(1010)를 식별하고,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식별된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이미지로부터 2개의 토끼 객체(1110, 1120)가 식별되면, 4개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2개의 토끼 객체(1110, 1120)가 포함된 이미지를 4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출력 이미지는 8개의 토끼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테두리에 포커스를 추가하거나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를 깜박이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가 식별되면, 제스쳐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 크기, 휘도, 해상도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토끼 객체(1110, 1120) 중 좌측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좌측의 토끼 객체(1110)를 깜박이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좌측의 토끼 객체(1110)가 지정된 상태임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상하좌우 중 하나로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객체의 위치를 제스쳐의 디오 방향으로 이동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의 스케일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가 45도여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높이가 320의 길이와 같은 경우, 객체의 가로:세로가 1:1이 되도록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가 60도여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높이가 1220의 길이와 같은 경우, 객체의 가로:세로가 2:1이 되도록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체가 하나인 경우의 객체의 스케일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측에서만 홀로그램 이미지를 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가 45도인 경우, 객체의 가로:세로가 1:1이 되도록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가 60도인 경우, 객체의 가로:세로가 2:1이 되도록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일링을 위한 객체의 가로, 세로의 비율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로 길이, 가로 길이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로 길이:세로 길이는 B:A이고, 그에 따라 스케일링을 위한 객체의 가로:세로는 A:B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한다(S1510).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한다(S1520). 그리고,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530). 그리고, 사용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한다(S1540). 그리고,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550).
여기서, 획득하는 단계(S1520)는 복수의 반사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객체가 배치되도록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제어 방법은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지 않으면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에서 제거된 객체를 추가하여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재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재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식별된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거리가 증가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거리가 감소하면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켜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복수의 반사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반사체를 통해 반사 가능한 출력 이미지의 영역을 식별하고,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식별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사용자의 두 손을 식별하고, 두 손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회전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휘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휘도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식별하는 단계(S151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복수의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식별하는 단계(S1510)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를 식별하고, 획득하는 단계(S1520)는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530)는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테두리에 포커스를 추가하거나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를 깜박이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업데이트하는 단계(S1540)는 사용자의 제스쳐가 식별되면, 제스쳐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 크기, 휘도, 해상도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획득하는 단계(S1520)는 복수의 반사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반사체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이미지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영역 및 객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경 영역을 포함하며, 배경 영역은 검은색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존재 또는 사용자의 제스쳐 등에 기초하여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센서 130 : 프로세서
135 : 메모리 140 : 하우징
150 : 통신 인터페이스 16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70 : 마이크 180 : 스피커
190 : 카메라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reflector)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객체가 배치되도록 상기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에서 상기 제거된 객체를 추가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재업데이트하고, 상기 재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고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거리가 감소하면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고 해상도를 감소시켜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반사체를 통해 반사 가능한 상기 출력 이미지의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스와이프 제스쳐 또는 상기 그랩 후 이동하는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두 손을 식별하고,
    상기 두 손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를 회전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휘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의 휘도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객체가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테두리에 포커스를 추가하거나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를 깜박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가 식별되면, 상기 제스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객체의 위치, 크기, 휘도, 해상도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스케일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육면체로 구현되고, 내부가 투시 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육면체 중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육면체 중 상부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체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영역 및 상기 객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경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배경 영역은,
    검은색인, 디스플레이 장치.
  18.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역피라미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를 복수개 포함하는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반사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객체가 배치되도록 상기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상기 출력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에서 상기 제거된 객체를 추가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재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업데이트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110034A 2022-08-31 2022-08-31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0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34A KR20240030682A (ko) 2022-08-31 2022-08-31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07358 WO2024048914A1 (ko) 2022-08-31 2023-05-30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34A KR20240030682A (ko) 2022-08-31 2022-08-31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682A true KR20240030682A (ko) 2024-03-07

Family

ID=9009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034A KR20240030682A (ko) 2022-08-31 2022-08-31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0682A (ko)
WO (1) WO20240489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38B1 (ko) * 2009-01-13 2009-11-12 주식회사 에이스엠이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광고 시스템
KR100929162B1 (ko) * 2009-04-20 2009-12-0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제스쳐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9736440B2 (en) * 2015-05-26 2017-08-15 Chunghwa Picture Tubes, Ltd. Holographic projection device capable of forming a holographic image without misalignment
KR102002383B1 (ko) * 2017-08-04 2019-07-23 ㈜아이센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34515B1 (ko) * 2019-10-15 2021-03-3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니지 컨텐츠 표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14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6879B2 (ja) 仮想画像生成システムにおけるテキストをより効率的に表示するための技法
US11049231B2 (en) Face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WI549505B (zh) 用於擴展現實顯示的基於理解力和意圖的內容
JP7382972B2 (ja) 頭部装着型画像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ための入力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60343173A1 (en) Acousto-optical display for augmented reality
US10740959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virtual light adjustments to image data
WO2018214431A1 (zh) 通过虚拟现实设备呈现场景的方法、设备及虚拟现实设备
US20180190019A1 (en)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visibility
US20220157083A1 (en) Gesture tracking system
KR2021006247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93402A1 (en) Wearable device with in-eye display capability
KR20220013396A (ko) 컴퓨터 생성 현실 텍스트의 렌더링
KR2021004175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0682A (ko) 홀로그래픽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69492A1 (en) Display apparatus for obtaining holographic resour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25372A (ko) 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7808A (ko)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자세로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9499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75825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2009982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745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94803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screen in posture optimized for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13032B1 (ko) 사용자의 시야 영역에 매칭되는 뎁스맵을 바탕으로 양안 렌더링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40016843A (ko) Ar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32542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