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556A -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 Google Patents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556A
KR20240030556A KR1020220109753A KR20220109753A KR20240030556A KR 20240030556 A KR20240030556 A KR 20240030556A KR 1020220109753 A KR1020220109753 A KR 1020220109753A KR 20220109753 A KR20220109753 A KR 20220109753A KR 20240030556 A KR20240030556 A KR 2024003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ressure roller
pipe
pai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우
이재열
정명수
이은비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0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556A/ko
Publication of KR2024003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Abstract

본 발명의 가압 모듈은, 배관들의 접합을 위해서 섬유강화 매트를 가압하는 가압 모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구동 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1 가압 롤러; 및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2 가압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PRESSING MODULE AND PIPE JOINING ROBOT}
본 발명은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유체나 분체의 이동을 위한 밀폐된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관은 지하에 매설되기도 하며 플랜트나 액상 및 분말 제품의 생산을 위한 공장 또는 건물 및 시설에 다양하게 설치된다.
특히,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제작된 배관은 화학 저장 탱크, 배관 시스템, 장치 및 기타 유형의 산업 공정 장비를 구성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내화학성 및 내식성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섬유 강화 배관은 금속재 배관보다 유지보수가 쉽고 제품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며 열경화성 수지와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제품이 시장에 다양하게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 강화 배관의 접합시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관의 설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질식, 가스 중독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배관의 직경이 큰 경우 작업대 설치로 인한 배관 내부에 과도한 하중 부과와 이에 따른 부대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며, 안전 관리자의 업무 부담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6240호에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가압 롤러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서 배관의 단차에 대응하지 못하고 매트의 함침을 유도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6240호
본 발명은 기존 단일 롤러 형태의 한 쌍의 가압 롤러를 구비하는 가압 모듈을 개선하여, 원주방향 홈부와 길이방향 홈부를 가진 복수의 소형롤러에 스프링과 가변 공압 실린더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배관에 접착된 섬유강화 매트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압 모듈은, 배관들의 접합을 위해서 섬유강화 매트를 가압하는 가압 모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구동 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1 가압 롤러; 및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2 가압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 롤러는 상기 복수의 소형롤러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1 스프링이 장착되어 제1 지지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판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한 쌍의 제1 공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 롤러는 상기 복수의 소형롤러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2 스프링이 장착되어 제2 지지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판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한 쌍의 제2 공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 롤러와 상기 제2 가압 롤러는 표면에 테프론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생성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서 덕트로 연결되어 배관 내면으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는 히터 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 접합 로봇은 상기한 가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에 의하면, 기존 단일 롤러 형태의 한 쌍의 가압 롤러를 구비하는 가압 모듈을 개선하여, 원주방향 홈부와 길이방향 홈부를 가진 복수의 소형롤러에 스프링과 가변 공압 실린더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배관에 접착된 섬유강화 매트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접합 로봇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접합 로봇이 배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압 모듈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6은 제1 가압 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가압 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티 도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퍼티 도포 모듈을 나타내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접착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접착 모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접착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접합 로봇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접합 로봇이 배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접합 로봇(1000)은, 센터 프레임(100), 복수의 다단 실린더(200), 매트 접착 모듈(400), 퍼티 도포 모듈(500), 및 가압 모듈(600)을 포함한다.
센터 프레임(100)은 길게 이어진 막대로 이루어지며 배관 접합 로봇(1000)의 중앙에 배치된다. 센터 프레임(100)에는 센서 유닛(120)이 설치되는데, 센서 유닛(120)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관의 내경을 측정하는 센서와 공정 감시를 위한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100)에는 공기, 수지, 유체 등의 유입을 위한 복수의 튜빙 연결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센터 프레임의 일측에는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100)에는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센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로터리 유닛(130)이 설치된다. 로터리 유닛(130)은 배관 접합 로봇(1000)의 회전시에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한다. 센터 프레임(100)에는 배관 접합 로봇(1000)의 회전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관성측정 센서가 설치되며, 관성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로터리 유닛(13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유성 기어 감속기를 통해서 회전하여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100)에는 구동모듈들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단 실린더(200)가 연결 설치된다. 하나의 구동모듈은 2개의 다단 실린더(200)에 의하여 지지되며, 센터 프레임(100)에는 6개의 다단 실린더(20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다단 실린더(200)는 유압에 의하여 신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3단으로 신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단 실린더는 2단 또는 4단으로 신축될 수도 있다.
매트 접착 모듈(400)을 지지하는 다단 실린더(200)와 퍼티 도포 모듈(500)을 지지하는 다단 실린더(200)는 120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압 모듈(600)을 지지하는 다단 실린더(200)는 매트 접착 모듈(400) 및 퍼티 도포 모듈(500)을 지지하는 다단 실린더(200)와 120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단 실린더(200)의 길이는 유압에 의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센터 프레임(100)에는 다단 실린더(200)의 신축을 제어하는 서브 제어모듈(310)이 설치되며, 서브 제어모듈(310)은 다단 실린더(200)에 공급되는 작동유체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센서를 이용하여 다단 실린더(20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배관 접합 로봇(1000)이 배관(10)에 투입되면 다단 실린더(200)가 센서에서 측정한 관경에 맞게 확장된다. 이때, 각각의 다단 실린더(200)는 동일한 속도와 길이로 확장되며 압력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을 통해서 다단 실린더(200)는 적절한 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
배관(10)은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배관 접합 로봇(1000)이 내부에 투입되어 두 배관(10)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매트 접착 모듈(400)은 섬유강화 매트(fiber reinforced mat, 20)를 두 배관(10)의 연결부 내주면에 약 3회 적층되도록 접착할 수 있다.
퍼티 도포 모듈(500)은 두 배관(10)의 연결 부위 홈에 퍼티(putty)를 도포하여 메울 수 있다.
가압 모듈(600)은 부착된 섬유강화 매트(20)를 눌러서 배관(10)에의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압 모듈(6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압 모듈(600)은 지지프레임(610)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구동 휠(710),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1 가압 롤러(730), 및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2 가압 롤러(74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모듈(600)은 한 쌍의 다단 실린더(200)가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610)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610)의 양측 하부에는 한 쌍의 구동 휠(710)이 장착되어 배관(10) 내면에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 각 구동 휠(710)에는 주행모터와 조향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 접합 로봇(1000)은 조향모터에 의하여 배관의 원주방향, 길이방향, 나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0)에서 각 구동 휠(71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휠(720)이 장착될 수 있다. 두 쌍의 가이드 휠(720)은 외면에 가이드 휠(7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보조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휠(720)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관 접합 로봇(10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롤러(730)는 하나의 롤러가 아니라 다수의 소형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 롤러(730)는 상대적으로 긴 2개의 소형롤러와 상대적으로 짧은 1개의 소형롤러가 하나의 행을 구성하고 그러한 소형롤러들이 3행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압 롤러(730)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 롤러(730)는 다수의 소형롤러가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고 외주면에 각각 길이방향 홈들이 형성됨으로써, 배관(10)에 접착된 섬유강화 매트(20)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 롤러(740)도 다수의 소형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압 롤러(740)는 상대적으로 긴 2개의 소형롤러와 상대적으로 짧은 1개의 소형롤러가 하나의 행을 구성하고 그러한 소형롤러들이 3행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가압 롤러(740)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압 롤러(740)는 다수의 소형롤러가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고 외주면에 각각 원주방향 홈들이 형성됨으로써, 배관(10)에 접착된 섬유강화 매트(20)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롤러(730)는 복수의 소형롤러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1 스프링(732)이 장착되어 제1 지지판(738)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지지판(738)은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6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소형롤러의 양단부와 제1 지지판(738)의 하면 사이에는 각각 제1 스프링(732)이 장착되어, 각 소형롤러의 가압력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판(738)은 양단부에 지지프레임(610)에 결합된 한 쌍의 제1 공압 실린더(734)가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공압 실린더(734)는 한 쌍의 제1 롤러 힌지(736)에 의해 제1 지지판(738)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한 쌍의 제1 공압 실린더(734)의 스트로크가 서로 다르거나 복수의 소형롤러들에 가해지는 반력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경우에도, 제1 지지판(738)이 기울어지는 것이 허용되어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 롤러(740)는 복수의 소형롤러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2 스프링(742)이 장착되어 제2 지지판(748)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판(748)은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6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소형롤러의 양단부와 제2 지지판(748)의 하면 사이에는 각각 제2 스프링(742)이 장착되어, 각 소형롤러의 가압력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판(748)은 양단부에 지지프레임(610)에 결합된 한 쌍의 제2 공압 실린더(744)가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공압 실린더(744)는 한 쌍의 제2 롤러 힌지(746)에 의해 제2 지지판(748)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한 쌍의 제2 공압 실린더(744)의 스트로크가 서로 다르거나 복수의 소형롤러들에 가해지는 반력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경우에도, 제2 지지판(748)이 기울어지는 것이 허용되어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 모듈에 의하면, 한 쌍의 가압 롤러가 복수의 소형롤러로 구성되되, 각 소형롤러가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판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지지판이 한 쌍의 공압 실린더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배관에 접착된 매트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강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압 모듈(600)은 지지프레임(610)에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생성하는 히터(620)와, 히터에서 덕트(622)로 연결되어 배관(10) 내면으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는 히터 후드(6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620)는 전열선 또는 전열패드와 송풍팬으로 구성되어 에어 덕트(622)를 통해 연결된 히터 후드(624)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히터 후드(624)는 에어 덕트(622)에 연결되고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 후드(624)를 통해 뜨거운 공기를 배관 내면에 접착된 섬유강화 매트로 직접 분사할 수 있다. 그래서, 매트 접착 모듈(400)에 의해 매트에 분사된 접착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액이 고온의 공기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티 도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퍼티 도포 모듈(500)은 퍼티 탱크(510), 퍼티 공급관(520), 퍼티 노즐(530), 퍼티 포켓(540), 스크레이퍼(550), 이송유닛(560), 구동 휠(710), 가이드 휠(720), 복수의 가압 롤러(730, 740)를 포함할 수 있다.
퍼티 도포 모듈(500)은 두 배관(10) 연결부 홈에 퍼티를 도포하고 가압 롤러로 가압하며 히터로 가열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접착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매트 접착 모듈(400)은 복수의 구동 휠(710), 섬유강화 매트(20)가 권취된 보빈(480), 섬유강화 매트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러(420, 430), 섬유강화 매트를 향하여 접착 수지 및 경화제 혼합액을 분사하는 분사장치, 및 혼합액이 분사된 섬유강화 매트를 배관(10) 내부에 대해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 롤러(443, 445)를 포함한다.
매트 접착 모듈(400)은 한 쌍의 다단 실린더(200)가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405)을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405)에는 내부에 복수의 이송 롤러(420, 430)가 구비되는 자동 적층 케이스(410)가 장착될 수 있다.
매트 접착 모듈(400)은 링크 어셈블리(320)를 통해서 서브 제어모듈(310)과 연결되며, 링크 어셈블리(320)의 내부에는 각종 전선과 공급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32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휠(710)은 지지 프레임(405)의 양측에 한 쌍이 장착되어 배관(10) 내면에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다. 각 구동 휠(710)에는 주행모터와 조향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 접합 로봇(1000)은 조향모터에 의하여 배관의 원주방향, 길이방향, 나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05)에서 각 구동 휠(71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휠(720)이 장착될 수 있다. 두 쌍의 가이드 휠(720)은 외면에 가이드 휠(7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보조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휠(720)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관 접합 로봇(10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빈(480)은 자동 적층 케이스(410)에 결합된 한 쌍의 브라켓(48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빈(480)에는 섬유강화 매트(20)가 권취되어 자동 적층 케이스(410) 내부로 권출될 수 있다.
섬유강화 매트(20)는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서피스 매트(surface mat)와 촙 스트랜드 매트(chopped strand mat)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섬유강화 매트(20)는 서피스 매트와 촙 스트랜드 매트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이프, 스티치 등에 의하여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촙 스트랜드 매트가 배관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출된다. 이와 같이, 섬유강화 매트(20)가 서피스 매트와 촙 스트랜드 매트를 포함하면, 더욱 견고하게 배관(10)을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이송 롤러(420, 430)는 자동 적층 케이스(410) 내부에 설치되어 보빈(480)에서 권출된 섬유강화 매트(20)를 배관(10)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분사장치는 섬유강화 매트(20)를 향하여 접착 수지 및 경화제의 혼합액을 분사한다. 분사장치는 섬유강화 매트(20)의 외측 표면과 내측 표면을 향해 혼합액을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가압 롤러(443, 445)는 혼합액이 분사된 섬유강화 매트(20)를 배관(10) 내부에 대해 눌러서 접착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가압 롤러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롤러들이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1 가압 롤러(443)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롤러들이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2 가압 롤러(445)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 접착 모듈(400)은 섬유강화 매트(20)를 두 배관(10)의 접합부 내주면에 약 3회 적층되도록 접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배관 20: 섬유강화 매트
1000: 배관 접합 로봇
100: 센터 프레임 120: 센서 유닛
130: 로터리 유닛 140: 거리 측정 센서
150: 튜빙 연결부재
200: 다단 실린더
310: 서브 제어모듈 320: 링크 어셈블리
400: 매트 접착 모듈 405: 지지 프레임
410: 자동 적층 케이스 411: 가이드 롤러
414: 솔레노이드 밸브 415: 에어 액추에이터
416: 혼합액 탱크
420: 제1 이송 롤러 421: 제1 이송 모터
422: 모터 드라이브 423: 제1 이송 풀리
425: 공압 피팅 427: 제1 공압 실린더
430: 제2 이송 롤러 431: 제2 이송 모터
433: 제2 이송 풀리 437: 제2 공압 실린더
440: 혼합액 후드 441: 함침 롤러
443: 제1 가압 롤러 445: 제2 가압 롤러
446: 스프링 447: 공압 실린더
448: 롤러 힌지
450: 히터 455: 히터 후드
460: 믹싱 챔버 462: 온오프 스위치
465: 분사 노즐 부재 466: 혼합액 투입구
467: 공압 실린더 468: 가이드휠
470: 제어기 커버 471: 피딩 스위치
472: 전원 커넥터 475: 모터 드라이브 커버
480: 보빈 485: 브라켓
486: 탈착 핀
490: 커터 491: 커팅 베이스
492: 커팅 가이드 495: 매트 가이드
496: 근접 센서
500: 퍼티 도포 모듈 505: 지지프레임
510: 퍼티 탱크 520: 퍼티 공급관
530: 퍼티 노즐 540: 퍼티 포켓
542: 틸트 베이스 546: 보조 바퀴
550: 스크레이퍼 552: 전면 스크레이퍼
554: 후면 스크레이퍼 555: 홈부
560: 이송유닛 562: 회전유닛
564: 공압 실린더 565: 공압 실린더 가이드
570: 홈 트래킹 카메라 572: LED
580: 히터 582: 에어 덕트
584: 히터 후드
600: 가압 모듈 610: 지지프레임
620: 히터 622: 에어 덕트
624: 히터 후드
710: 구동 휠 720: 가이드 휠
730: 제1 가압 롤러 732: 제1 스프링
734: 제1 공압 실린더 736: 제1 롤러 힌지
738: 제1 지지판
740: 제2 가압 롤러 742: 제2 스프링
744: 제2 공압 실린더 746: 제2 롤러 힌지
748: 제2 지지판

Claims (8)

  1. 배관들의 접합을 위해서 섬유강화 매트를 가압하는 가압 모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구동 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1 가압 롤러; 및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소형롤러가 행과 열을 이루어 배열되는 제2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롤러는
    상기 복수의 소형롤러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1 스프링이 장착되어 제1 지지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한 쌍의 제1 공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롤러는
    상기 복수의 소형롤러 각각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2 스프링이 장착되어 제2 지지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한 쌍의 제2 공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롤러와 상기 제2 가압 롤러는 표면에 테프론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생성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서 덕트로 연결되어 배관 내면으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는 히터 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압 모듈을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KR1020220109753A 2022-08-31 2022-08-31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KR20240030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53A KR20240030556A (ko) 2022-08-31 2022-08-31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53A KR20240030556A (ko) 2022-08-31 2022-08-31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556A true KR20240030556A (ko) 2024-03-07

Family

ID=9027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753A KR20240030556A (ko) 2022-08-31 2022-08-31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5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240A (ko) 2020-10-07 2022-04-1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240A (ko) 2020-10-07 2022-04-1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486B1 (ko) 강화매트 접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US20160018045A1 (en) Modular robotic assembly
KR102443178B1 (ko)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US2010021280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reinforcing a pipe using fiber bundles
WO1997022763A9 (en) Curing of filament wound columns using a radiant heater
US20090248190A1 (en) Portable modular manufacturing system
JPS63318392A (ja) 端部で連結された金属パイ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2847651B (zh) 金属表面处理装置及金属表面处理方法
CN109847242A (zh) 一种多功能消防救援机器人
KR102147216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배관 이음부 접합 공정 자동 적층 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30556A (ko)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KR102452487B1 (ko) 퍼티 도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CN207042726U (zh) 一种大规格管材表面喷涂装置
KR20240030554A (ko) 섬유매트 접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KR20240030557A (ko) 수지 경화제 혼합액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매트 접착 모듈
KR102443167B1 (ko) 배관 접합 로봇
KR100948392B1 (ko)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KR20240030555A (ko) 퍼티 도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KR20240030558A (ko) 배관 내부 투입 장치
KR100922573B1 (ko) 원단 연결기
KR20200069189A (ko) 태양전지 패널의 세정 장비 차량
CN201304644Y (zh) 龙门式工具装配台车
CN219785223U (zh) 混凝土养护装置
KR101981940B1 (ko) 철근 보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보관 방법
EP2536977B1 (en) Use of a catalytic heater for drying and/or c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