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396A -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 Google Patents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396A
KR20240030396A KR1020220109380A KR20220109380A KR20240030396A KR 20240030396 A KR20240030396 A KR 20240030396A KR 1020220109380 A KR1020220109380 A KR 1020220109380A KR 20220109380 A KR20220109380 A KR 20220109380A KR 20240030396 A KR20240030396 A KR 2024003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cent
interdental
cap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선미
강시묵
김인호
문병점
Original Assignee
오스템파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파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파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396A/ko
Publication of KR2024003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를 밀폐하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치약을 사용하지 않는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에 향을 입혀 마치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 브러쉬 캡은, 양 단부가 개구된 관형의 브러쉬 수용부와, 브러쉬 수용부의 상단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된 발향체 수납부 및 발향체 수납부의 수납실에 수납되는 고형의 발향체를 포함하며, 발향체 수납부는 측벽과 상부 덮개, 그리고 하부 칸막이에 의해 수납실이 구획되고, 브러쉬 수용부와 발향체 수납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하부 칸막이에 향 발산공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발향체의 향이 향 발산공을 통해 브러쉬 수용부로 퍼져 치간 칫솔의 브러쉬에 향을 입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Brush cap and Interdental brush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브러쉬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간 칫솔의 브러쉬를 밀폐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간 칫솔은 브러쉬를 치간(齒間) 에 넣었다가 빼는 동작으로 치간을 깨끗이 하는 구강 용품으로서, 손잡이 끝에 치아와 치아 사이를 닦기 위한 작은 브러쉬가 부착된 구성을 지닌다.
치간 칫솔을 사용하여 일반 칫솔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의 음식찌꺼기나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스케일링 등 치과치료 후의 소독이나 흡연 후 치석 예방이 가능하고, 특히 치열교정장치와 같은 치아보조물의 세정에도 사용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치간 칫솔 사용 시 대부분은 치약을 사용하지 않고 물로만 세척하여 사용함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으로 브러쉬에서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사용 후 청량감이나 상쾌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치간 칫솔을 사용하여 구상 세정 시 세정 위치에 따라 브러쉬가 달린 와이어를 세정에 적절한 각도로 구부려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부분의 사용자가 손으로 브러쉬를 직접 쥐고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5283호 (공고일 2016.08.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에 향을 입혀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마치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브러쉬를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고도 세정에 적절한 각도로 구부릴 수 있게 하여 위생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에 향을 입혀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마치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을 포함하는 치간 칫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를 덮는 브러쉬 캡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캡은, 양 단부가 개구된 관형의 브러쉬 수용부와, 상기 브러쉬 수용부의 상단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된 발향체 수납부 및 상기 발향체 수납부의 수납실에 수납되는 고형의 발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향체 수납부는 측벽과 상부 덮개, 그리고 하부 칸막이에 의해 상기 수납실이 구획되고, 상기 발향체의 향이 상기 브러쉬 수용부로 퍼질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 수용부와 발향체 수납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상기 하부 칸막이에 향 발산공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에 향을 입혀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마치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바람직하게, 상기 발향체 수납부의 상기 상부 덮개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덮개를 분리하여 수납실에 상기 발향체를 채우거나 발향체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칸막이에 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향 발산공을 통한 수분 침투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향 발산공은 아래로 갈수록 공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실을 향하는 측벽의 면(내측 면) 및 상기 상부 덮개의 면(하면) 또는 상기 측벽의 면과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상기 발향체와 간섭을 일으켜 미세한 향료 가루 발생을 유도하는 가루발생유도돌기가 등 또는 부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수납실을 향하는 측벽의 면(내측 면) 및 상기 상부 덮개의 면(하면) 또는 상기 측벽의 면과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 중 어느 한 면이 거친 표면을 갖는 가루발생유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 수용부와 발향체 수납부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상기 브러쉬 수용부의 측면부에 둘레 방향으로 상기 브러쉬부 각도 조절을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측면각도 조절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각도 조절구멍은 치간 칫솔의 브러쉬 연결팁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브러쉬부의 평균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일측 단부에 브러쉬 연결팁이 일체로 구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브러쉬 연결팁에 연결되는 브러쉬부, 그리고 상기 브러쉬부를 밀폐하는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브러쉬 캡을 포함하는 치간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 브러쉬 캡에 의하면, 발향체 수납부에 수납된 고형의 발향체에서 발산되는 향이 향 발산공을 통해 브러쉬 수용부로 퍼짐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치간 칫솔의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며, 마치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쉬 수용부의 측면부에 둘레 방향으로 브러쉬부 각도 조절을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측면각도 조절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측면각도 조절구멍을 이용하여 브러쉬를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고도 세정에 적절한 각도로 구부릴 수 있으며, 브러쉬에 묻은 물기 및 이물질도 상기 측면각도 조절구멍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간 칫솔의 보다 위생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 브러쉬 캡을 정면에서 본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러쉬 캡의 결합 상태 정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브러쉬 캡이 치간 칫솔에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발향체 수납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러쉬 캡이 치간 칫솔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브러쉬 캡에 적용되는 발향체 수납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7은 브러쉬 캡에 적용되는 발향체 수납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8은 브러쉬 캡에 적용되는 브러쉬 수용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브러쉬 수용부에 형성되는 측면각도 조절구멍을 이용하여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측면각도 조절구멍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 브러쉬 캡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 브러쉬 캡을 정면에서 본 분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러쉬 캡의 결합 상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브러쉬 캡이 치간 칫솔에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발향체 수납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 브러쉬 캡(1)은 치간 칫솔(Inter dental brush, 2)의 브러쉬부(20)를 덮어 외부 환경에 노출됨에 따른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 단부가 개구된 관형의 브러쉬 수용부(10)와, 상기 브러쉬 수용부(10)의 상단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향체 수납부(12)를 포함한다.
관형의 브러쉬 수용부(10)는 그 내측에 치간 칫솔(Inter dental brush, 2)의 브러쉬부(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수용공간(부호 생략)이 제공되며, 발향체 수납부(12)는 용기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고형의 발향체(14)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실(120)이 형성된다. 이때 발향체 수납부(12)는 억지끼움방식 또는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상기 브러쉬 수용부(10)의 상단 개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러쉬 수용부(10)와 발향체 수납부(12) 발향체 수납부(12)는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향체 수납부(12)의 상기 수납실(120)에 고형의 발향체(14)가 수납된다. 여기서 발향체 수납부(12)는 단면 모양이 원형 또는 각형인 측벽(121)과 측벽(121)을 덮는 상부 덮개(122), 그리고 하부 칸막이(124)에 의해 수납실(120)을 구획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발향체(14)는 원료인 향료 분말을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소결시켜 작은 구슬(Bead) 모양 또는 펠릿(Pellet) 형상으로 성형한 것일 수 있다. 향료 분말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상쾌한 향을 발산하는 천연감미료인 자일리톨이나 다양한 종류의 민트(페퍼민트, 스피어민트, 애플민트, 보울스민트 등)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호 결합된 브러쉬 수용부(10)와 발향체 수납부(12)는 발향체 수납부(12)의 바닥을 구성하는 상기 하부 칸막이(124)에 의해 공간적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브러쉬 수용부(10)와 발향체 수납부(12)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상기 하부 칸막이(124)에는 향 발산공(125)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발향체 수납부(12)의 발향체(14)의 향은 향 발산공(125)을 통해 상기 브러쉬 수용부(10)로 퍼질 수 있다.
발향체 수납부(12)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덮개(122)는 따로 떼어낼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덮개(122)를 떼어내어 수납실(120)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수납실(120)에 발향체(14)를 채우거나 발향체(14)를 교체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향의 발향체(14)로 교체함으로써 향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
하부 칸막이(124)에 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향 발산공(125)은 도 4의 요부 확대도의 도시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공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태(D1>D2)로 구성될 수 있다.
향 발산공(125)을 도 4와 같이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하면, 발향체 수납부(12)에서 브러쉬 수용부(10) 방향으로 향 발산을 유도하면서도 상기 브러쉬 수용부(10) 측에서 봤을 때 구멍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브러쉬 수용부(10)에서 발향체 수납부(12) 방향으로의 수분 침투가 억제 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러쉬 캡이 치간 칫솔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브러쉬 캡(1)이 치간 칫솔(2)의 브러쉬부(20)를 덮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위아래로 흔들면, 발향체(14)에서 발산된 향 또는 미세한 발향체(14) 가루가 상기 향 발산공(125)을 통해 브러쉬 수납부에 고르게 퍼져 치간 칫솔(2)의 브러쉬부(20)에 향을 입히게 된다.
이로 인해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치간 칫솔(2)의 불쾌한 냄새가 발향체(14)의 향에 의해 중화되어 제거되는 효과(탈취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며, 발향체(14) 특유의 향을 브러쉬부(20)가 머금게 됨으로써, 치약을 사용하지 않고 물로만 세척하더라도 마치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브러쉬 캡에 적용되는 발향체 수납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로서, 수납실(120)을 향하는 발향체 수납부(12) 측벽(121)의 면(내측 면)과 상기 상부 덮개(122)의 면(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브러쉬 캡을 위아래로 흔들 때 발향체(14)와 간섭을 일으켜 미세한 향료 가루 발생을 유도하는 가루발생유도돌기(127)가 등 또는 부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브러쉬 캡(1)이 치간 칫솔(2)의 브러쉬부(20)를 덮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위아래로 흔들면, 발향체(14) 간 상호 충돌뿐 아니라 발향체(14)와 가루발생유도돌기(127) 간 충돌로 인해 더욱 많은 양의 미세 향료 가루가 발생하고 향 발산공(125)을 통해 브러쉬 수용부(10)에 고르게 퍼짐으로써 치간 칫솔(2) 사용 시 청량감과 상쾌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브러쉬 캡에 적용되는 발향체 수납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로서, 전술한 도 6의 다른 실시 예의 가루발생유도돌기(127) 대신 수납실(120)을 향하는 발향체 수납부(12) 측벽(121)의 면(내측 면)과 상기 상부 덮개(122)의 면(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가루발생유도면(129)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 예 역시, 브러쉬 캡이 치간 칫솔(2)의 브러쉬부(20)를 덮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위아래로 흔들면, 발향체(14) 간 상호 충돌뿐 아니라 발향체(14)가 면이 거친 상기 가루발생유도면(129)에 부딪치면서 많은 양의 미세 향료 가루가 발생하고, 발생된 미세 향료 가루가 향 발산공(125)을 통해 브러쉬 수납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브러쉬 캡에 적용되는 브러쉬 수용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브러쉬 수용부(10)에 형성되는 측면각도 조절구멍을 이용하여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참고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9의 사용 상태도에서는 브러쉬 수용부(10)의 직경을 치간 칫솔(2)에 비해 다소 과장되게 표현 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캡(1)의 상기 브러쉬 수용부(10)의 측면부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치간 칫솔(2)의 브러쉬부(20) 각도 조절을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의 직경(D3)은 치간 칫솔(2)의 브러쉬 연결팁(22)의 직경(D4)보다는 크고 상기 브러쉬부(20)의 평균 직경(D5)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도면에는,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이 상기 브러쉬 수용부(10)의 둘레 방향에 걸쳐 6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예를 도시하였으나 구멍의 개수가 6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멍 사이의 간격 역시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한 것이므로 도시된 등간격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의하면, 도 9의 사용 상태도와 같이 복수의 측면각도 조절구멍(100) 중 하나의 구멍을 통해 브러쉬부(20)를 브러쉬 수용부(10) 내측으로 진입시키고, 나머지 여러 구멍 중 하나를 선택해 브러쉬부(20)를 통과시킨 뒤 치간 칫솔(2)의 손잡이부(24)을 위로 들어 올리거나 아래로 밀어 내려 브러쉬부(20)의 구부림 각도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에 브러쉬부(20)를 얼마만큼 밀어 넣은 상태에서 구부리느냐에 따라 구부러지는 위치도 조정이 가능하므로, 손 대지 않고도 브러쉬부(20)의 각도를 구강 내 세정 위치에 따라 세정에 적절한 각도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으며, 치간 칫솔(2) 사용 후 상기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을 이용하여 브러쉬에 잔류하는 수분 및 이물질 제거도 가능하다.
여기서, 브러쉬 탈수 및 이물질 제거는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에 브러쉬부(20)를 삽입한 후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에 대해 상기 브러쉬부(20)를 길이방향으로 수 차례 왕복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0의 예시와 같이 상기 측면각도 조절구멍(100)의 주면을 계단식으로 구성하면 탈수 및 이물질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치간 칫솔 사용 시 대부분은 치약을 사용하지 않고 물로만 세척하여 사용함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으로 브러쉬에서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사용 후 청량감이나 상쾌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치간 칫솔을 사용하여 구치부 세정 시 구강 내 세정 위치에 따라 브러쉬가 달린 와이어를 세정에 적절한 각도로 구부려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부분의 사용자가 손으로 브러쉬를 직접 쥐고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위생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 브러쉬 캡에 의하면, 발향체 수납부에 수납된 고형의 발향체에서 발산되는 향이 향 발산공을 통해 브러쉬 수용부로 퍼져 브러쉬부에 향을 입힘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치간 칫솔의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탈취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며, 마치 치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청량감과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쉬 수용부의 측면부에 둘레 방향으로 브러쉬부 각도 조절을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측면각도 조절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측면각도 조절구멍을 이용하여 브러쉬를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고도 세정에 적절한 각도로 구부릴 수 있으며, 브러쉬에 묻은 물기 및 이물질도 상기 측면각도 조절구멍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치간 칫솔의 보다 위생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치간 칫솔 브러쉬 캡
2 : 치간 칫솔
10 : 브러쉬 수용부
12 : 발향체 수납부
14 : 발향체
20 : 브러쉬부
100 : 측면각도 조절구멍
121 : 브러쉬 캡의 측벽
122 : 브러쉬 캡의 상부 덮개
124 : 브러취 캡의 칸막이
125 : 향 발산공
127 : 가루발생유도돌기
129 : 가루발생유도면

Claims (9)

  1. 치간 칫솔의 브러쉬부를 덮는 브러쉬 캡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캡은,
    양 단부가 개구된 관형의 브러쉬 수용부;
    상기 브러쉬 수용부의 상단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된 발향체 수납부; 및
    상기 발향체 수납부의 수납실에 수납되는 고형의 발향체;를 포함하며,
    상기 발향체 수납부는 측벽과 상부 덮개, 그리고 하부 칸막이에 의해 상기 수납실이 구획되고,
    상기 발향체의 향이 상기 브러쉬 수용부로 퍼질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 수용부와 발향체 수납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상기 하부 칸막이에 향 발산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체 수납부의 상기 상부 덮개를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덮개를 분리하여 수납실에 상기 발향체를 채우거나 발향체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칸막이에 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향 발산공을 통한 수분 침투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향 발산공은 아래로 갈수록 공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을 향하는 측벽의 면(내측 면) 및 상기 상부 덮개의 면(하면) 또는 상기 측벽의 면과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상기 발향체와 간섭을 일으켜 미세한 향료 가루 발생을 유도하는 가루발생유도돌기가 등 또는 부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을 향하는 측벽의 면(내측 면) 및 상기 상부 덮개의 면(하면) 또는 상기 측벽의 면과 상기 상부 덮개의 하면 중 어느 한 면이 거친 표면을 갖는 가루발생유도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용부와 발향체 수납부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용부의 측면부에 둘레 방향으로 상기 브러쉬부 각도 조절을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측면각도 조절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각도 조절구멍은 치간 칫솔의 브러쉬 연결팁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브러쉬부의 평균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 브러쉬 캡.
  9. 일측 단부에 브러쉬 연결팁이 일체로 구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브러쉬 연결팁에 연결되는 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부를 밀폐하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브러쉬 캡;을 포함하는 치간 칫솔.
KR1020220109380A 2022-08-30 2022-08-30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KR20240030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80A KR20240030396A (ko) 2022-08-30 2022-08-30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80A KR20240030396A (ko) 2022-08-30 2022-08-30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396A true KR20240030396A (ko) 2024-03-07

Family

ID=9027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380A KR20240030396A (ko) 2022-08-30 2022-08-30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3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83B1 (ko) 2015-07-23 2016-08-08 이상근 휴대용 치간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83B1 (ko) 2015-07-23 2016-08-08 이상근 휴대용 치간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7629A (en) Assembly for the disinfecting of toothbrush
KR200465554Y1 (ko) 휴대용 치간 칫솔
US4612223A (en) Reversible fragrance emitting unit
JP6361991B2 (ja) 携帯用歯間ブラシ
KR20180035744A (ko) Led 전동칫솔
KR20240030396A (ko) 치간 칫솔 브러쉬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WO2016067123A1 (en) Tooth whitening system
US9629449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10143297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KR100980071B1 (ko) 휴대용 칫솔살균기
KR101645923B1 (ko) 세척용 솔이 구비된 칫솔
JP2016032526A (ja) ブラシケース
KR101585415B1 (ko) 구강세척장치
JP3165939U (ja) 虫歯予防及び口臭リフレッシュの機能を有するデンタルフロス棒
KR20090058653A (ko) 살균탈취제가 수납 가능한 좌변기 덮개
JP2016526938A (ja) 携帯用歯間ブラシ
Monje et al. Practical applications
CN111345915A (zh) 能收纳与组装牙间刷的洁牙装置
KR20180007978A (ko) 버튼식 치간치솔이 구비된 칫솔
CN216165848U (zh) 一种自带气味的刷头及牙刷
KR20110046761A (ko) 흡착판을 구비한 치간 칫솔
KR200272612Y1 (ko) 향기발산 칫솔
KR20090009112A (ko) 다기능 칫솔
KR200249444Y1 (ko) 이쑤시개가 형성된 향기발산 치실
US8992107B2 (en) Oral cavity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