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216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216A
KR20240030216A KR1020220108954A KR20220108954A KR20240030216A KR 20240030216 A KR20240030216 A KR 20240030216A KR 1020220108954 A KR1020220108954 A KR 1020220108954A KR 20220108954 A KR20220108954 A KR 20220108954A KR 20240030216 A KR20240030216 A KR 20240030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mode
display
batter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216A/ko
Priority to US18/224,661 priority patent/US20240066988A1/en
Publication of KR2024003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9Remaining operating distance or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2Driving mod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7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vehicle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디스플레이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주행 상황에 맞는 주행모드를 제안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킷(CIRCUIT)은 차량이 출발하여 코스를 주행한 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회로 형태를 도로를 의미하고, 서킷의 목적에 따른 특정 규격을 갖는다.
서킷은 차량 간 레이스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차량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일반인들도 이용 가능한 서킷이 늘어나면서, 레이스나 성능 평가 이외에 단순 취미 활동의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서킷은 일반 도로와 달리 속도 제한이 없어 차량의 속도를 최대로 낼 수 있다. 다만, 차량의 속도를 최대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출력이 최대가 되는 주행모드메뉴를 직접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발명은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모드 제안 또는 주행 후 배터리 잔량과 같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은, 디스플레이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정보가 서킷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서킷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상기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서버로부터 받은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후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서킷에 대한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또는 일반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킷의 직선 구간에서만 상기 제1주행모드가 활성화 되는 제2주행모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주행모드 및 상기 제2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목적지가 서킷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서킷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상기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후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하는 것은,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서킷에 대한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또는 일반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상기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킷의 직선 구간에서만 상기 제1주행모드가 활성화 되는 제2주행모드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1주행모드 및 상기 제2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모드 제안 또는 주행 후 배터리 잔량과 같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서킷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서킷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킷은 운전자가 자동차 경주를 하기 위한 트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동일한 서킷을 주행한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코스에 따라 주행 루트가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서킷 정보는 서킷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서킷을 주행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은 차량(1)과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2의 차량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2를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내연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내연기관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400)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외부로부터 화석 연료와 전기 에너지를 모두 공급받을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과 서버(200)는 네트워크로 상호간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을 포함한다.
서버(200)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며, 처리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중앙 서버(미도시) 및 서킷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미도시) 및 서킷 서버(미도시)는 상호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중앙 서버와 서킷 서버는 동일하거나 별개로 마련된 서버일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서킷 서버로 서킷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서 서킷 서버로부터 서킷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서킷 정보는 예를 들어, 서킷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서킷을 주행하기 위한 복수의 코스 각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킷 정보는 서킷 코스, 코너링 곡률, APEX, 경사도, 코스의 길이, 사고 정보 등 서킷의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차량(1)의 서킷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서킷 정보를 차량(1)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는 차량(1)과 타차량의 차량 위치 공유 요청에 따라 차량(1)의 위치를 타차량에 송신하고 타차량의 위치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는 차량(1)과 타차량이 위치 공유 중에 어느 한 차량이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중앙 서버는 제1주행모드 선택 신호를 다른 차량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과 타차량이 위치 공유 중에 타차량에서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중앙 서버는 차량(1)에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에서 제1주행모드를 선택하였음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행모드란 후술할 바와 같이 차량(1)의 출력을 최대로 낼 수 있는 주행모드를 의미한다.
서킷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서킷을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킷 서버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서킷 서버가 복수의 서킷을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킷 서버는 서킷 정보를 중앙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킷 서버는 중앙 서버의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서킷 정보를 중앙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은 그 내부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박스(120), 센터페시아(130), 스티어링 휠(140) 및 계기판(15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2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기어 레버(1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박스에는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장치나 오디오 장치(133)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기능이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이얼 조작부(111)와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2), 오디오 장치(133)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에 내장되거나, 후술할 컨트롤러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기어박스(120)에 설치된 입력장치(110)의 버튼들이나 다이얼 조작부(111)를 통해 공조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센터페시아(130)에는 내비게이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페시아에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내비게이션 장치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의 입력부는 디스플레이(340)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 장치의 입력부는 기어박스(12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네비게이션 장치는 윈드쉴드에 주행경로 등을 포함하는 경로안내정보를 표시해주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함께 차량에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폰처럼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기능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네비게이션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에 내장된 것일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에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계기판(150)은 차량 상태, 차량 주행과 관련된 정보,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하는 계기판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디스플레이(340)는 차량 주행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 주행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340) 조작을 통하여, 차량 주행모드 메뉴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주행모드를 선택해야 하며, 배터리 충전량이 부족하여 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충전소를 직접 검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는 차량 주행모드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차량(1)이 충전이 필요한 경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시각적 표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주행모드 선택을 쉽게 하도록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제공하는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통신부(310), 센서(320), 컨트롤러(330), 디스플레이(340) 및 입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310)는 컨트롤러(330)와 외부 서버(20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 및/또는 사용자 단말(미도시) 등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무선으로는 Wi-Fi(Wireless Fidelity), 불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통신 등 각종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통신부(31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차량(1)이 서킷 주행을 하기 위한 서킷 정보 및 차량(1)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에 관한 정보인 충전소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200)로 차량(1)의 주행모드 선택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구 상공에 위치한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310)는 이에 필요한 회로 기판 및/또는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320)는 차량(1) 주변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차량(1) 주변의 상황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거나,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32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차량의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후방 카메라, 차량의 측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측방 카메라, 차량 전방의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자차량의 위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GPS장치,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가속도 센서, 관성 센서, 차량의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배터리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서(320)에 포함된 GPS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1)의 현재 위치 정보를 외부 서버(200) 및/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센서(320)에 포함된 배터리 센서는 차량(1)의 현재 남아있는 배터리 용량, 전압 신호, 전류 신호 및/또는 온도 신호를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332)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31)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30)는 차량(1)의 통신부(310), 센서(320), 디스플레이(340) 및 입력부(350)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컨트롤러(330)와 연결되거나, 하드 와이어(hard wire)를 통하여 컨트롤러(330)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은,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거나, 전력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331)는 차량(1)의 위치 정보에 기반해서 차량(1)의 주변의 3차원 네비게이션 지도의 데이터를 메모리(33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의 위치는 예를 들어 센서(320), 예컨대 GPS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다른 위치 인식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지도의 데이터는 차량의 근접 주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이동 객체(차량)가 어떻게 이동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의 근접 주변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뷰 포지션 주변의 미리 규정된 범위 내의 주변을 나타내는 지도 섹션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31)는 운전자가 입력부(350)를 통해 조작하면, 상기 조작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도착하고자 하는 지역을 입력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 가장 빠른 경로를 안내 받을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 대한 지도 정보 및 각종 정보를 안내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331)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서킷 정보 및 센서(320)로부터 수신한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331)는 차량(1)이 정보 제공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이 서킷 주변으로 진입하는 경우, 서킷 주행을 하기 위함으로 볼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331)는 주행모드 선택 제안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조건은 차량(1)의 목적지가 서킷으로 설정되거나, 차량(1)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제1주행모드를 선택하거나, 차량(1)의 위치와 서킷의 위치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정보 제공 조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이 최대출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행모드는 차량(1)이 최대 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주행모드를 의미한다.
프로세서(331)는 차량(1)이 정보 제공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1)는 센서(320)로부터 획득한 차량(1)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이 제1주행모드에 따른 주행이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량이 70% 이상인 경우에 제1주행모드 선택이 가능하다고 결정하며, 배터리의 충전량이 70% 미만인 경우에 제1주행모드 선택이 불가능하다 결정한다.
제1주행모드에 따른 주행이 가능한 경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량이 부족하여 제1주행모드에 따른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에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이 서킷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는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위한 메뉴를 찾지 않아도 되며,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소를 바로 찾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31)는 센서(320)로부터 획득한 배터리 정보 및 서버(200)로부터 받은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로부터 서킷 A에 코너링 7개 7.3km, 메인 직선 6개 13.6km, 오르막 4개 3.4km, 내리막 6개 8.8km와 같은 서킷 세부 정보를 받아 서킷 세부 정보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서킷 정보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계산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1)는 입력부(350)를 통해 획득한 서킷에 대한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후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세션은 운전자가 서킷을 주행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프로세서(331)는 서킷 정보 및 세션 정보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1)는 차량(1) 주행모드에 따른 배터리 잔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참고하여 서킷 주행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31)는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서킷의 직선 구간에서만 제1주행모드가 활성화 되는 제2주행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주행모드는 직선 구간에서만 차량(1)의 출력을 최대로 주행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배터리 온도를 관리하여 직선 구간에서 더 효율적으로 차량(1)의 최대 출력을 낼 수 있게 하는 주행모드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소모되는 배터리 전력량을 줄이고 배터리 충전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1)는 제1주행모드 및 제2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메모리(332)는 네비게이션에 관한 지도 정보 및 각종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통신부(310)에서 받은 정보 중 필요한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되며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메모리(332)는 서킷 정보 및 3차원 네비게이션 지도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2)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331)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메모리(332)와 프로세서(331)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33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32)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1)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322)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대시 보드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30)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340)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디스플레이(340)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하여, 전방 카메라에 획득한 영상을 배경으로 표시하고, 표시된 배경영상에 주행경로와 관련된 정보들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오버레이 방식으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340)는 자체 발광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별도의 발광원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4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동작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한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패널이 검출한 접촉 좌표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는 터치 패널을 통하여 검출하는 사용자의 터치 좌표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 명령의 좌표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350)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입력부(350)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명령을 수신 받고 컨트롤러(330)에게 그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운전자는 컨트롤러(330)에 직접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하여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350)는 사용자의 명령을 직접 받을 수 있도록 터치 패널이 포함된 터치스크린 또는 음성 인식에 필요한 마이크 및 음성 수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50)는 터치 패널(touch panel)에 인가되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조작을 기초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조작은 터치 수단, 일례로 손가락, 손 또는 터치 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는 터치 수단을 감지한 경우 화면이 표시되는 모든 영역에서 터치 조작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저항식 터치스크린 방식, 정전 용량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광학식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음성으로 컨트롤러(330)를 조작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행 중에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음성으로 차량(1)을 조작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운행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컨트롤러(330)는 차량(1)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제1주행모드 주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 가능한 경우에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내지 도7를 참조하면, 차량(1)의 목적지가 서킷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1)의 위치와 서킷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또는 차량(1)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컨트롤러(330)는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 가능한지 결정할 수 있고, 가능한 경우에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된 화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별도로 새로운 영역에 팝업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1)의 목적지가 서킷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1)의 위치와 서킷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또는 차량(1)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컨트롤러(330)는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 가능한지 결정할 수 있고, 불가능한 경우에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충전량이 적어 제1주행모드로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에 컨트롤러(330)는 충전소 검색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서버(200)로부터 받은 서킷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서킷에 대한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모드에 따른 배터리 잔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디스플레이(340)에 표시된 차량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을 참고하여 주행모드 선택 또는 충전소 검색을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는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 주행 계획에 따라 제1주행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1주행모드 선택 메뉴를 찾을 필요 없이 제1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주행 계획에 따라 배터리 충전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바로 충전소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차량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차량(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차량(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1)은 배터리 상태 측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0). 배터리 상태 측정 조건은 차량(1)이 제1주행모드를 선택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1)의 목적지가 서킷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1)의 위치와 서킷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또는 차량(1)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배터리 상태 측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 상태 측정을 한다(S1100). 센서(320)는 배터리 정보 용량, 전압 신호, 전류 신호 및 온도 신호를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보를 컨트롤러(33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330)는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0). 컨트롤러(330)는 센서(320)로부터 획득된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이 70% 이상인 경우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고 판단하며 배터리 잔량이 70% 미만인 경우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할 없다고 판단한다.
컨트롤러(330)에서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 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S1300).
컨트롤러(330)에서 차량(1)이 제1주행모드로 주행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할 수 있다(S1400).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차량: 1
서버: 200
통신부: 310
센서: 320
컨트롤러: 330
프로세서: 331
메모리: 332
디스플레이: 340
입력부: 350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정보가 서킷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서킷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상기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서버로부터 받은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후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서킷에 대한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하는 차량.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또는 일반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킷의 직선 구간에서만 상기 제1주행모드가 활성화 되는 제2주행모드 생성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주행모드 및 상기 제2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11.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가 서킷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서킷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위치 공유 중인 타차량이 상기 제1주행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후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충전량을 계산하는 것은,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서킷에 대한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또는 일반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후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킷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킷의 직선 구간에서만 상기 제1주행모드가 활성화 되는 제2주행모드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행모드 및 상기 제2주행모드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220108954A 2022-08-30 2022-08-30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0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954A KR20240030216A (ko) 2022-08-30 2022-08-30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8/224,661 US20240066988A1 (en) 2022-08-30 2023-07-21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954A KR20240030216A (ko) 2022-08-30 2022-08-30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216A true KR20240030216A (ko) 2024-03-07

Family

ID=9000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954A KR20240030216A (ko) 2022-08-30 2022-08-30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66988A1 (ko)
KR (1) KR2024003021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6988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748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KR10248041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정밀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US8872675B2 (en) Vehicular travel guidance device, vehicular travel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855842B2 (en) Vehicular charging facility guidance device, vehicular charging facility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7369938B2 (en) Navigation system having means for determining a route with optimized consumption
EP3597468A1 (en) Autonomous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7430007A (zh) 基于自动‑手动驾驶偏好比例的路线选择
CN111406008A (zh) 用于辅助车辆的驾驶的装置和方法
CN107249953A (zh) 用于自主车辆的自主操纵通知
US20180239971A1 (en) Image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5679071A (zh) 终端、与终端通信的车辆及控制车辆的方法
WO2020232315A1 (en) Energy efficient path planning of autonomous electric vehicle
JP5795386B2 (ja)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US11698267B2 (en) Vehicle navigation device
US20230298227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11935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rastructure information on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KR2024003021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474337B2 (en) Vehicular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WO2014049705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サーバ装置
WO2023044794A1 (zh) 导航方法及相关装置
CN114802217B (zh) 确定泊车模式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辆
US20240068821A1 (en) Drive route generation device, drive route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202530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of vehicles
CN114821511B (zh) 杆体检测方法、装置、车辆、存储介质及芯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