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127A - Angle Valve - Google Patents

Angle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127A
KR20240030127A KR1020220108758A KR20220108758A KR20240030127A KR 20240030127 A KR20240030127 A KR 20240030127A KR 1020220108758 A KR1020220108758 A KR 1020220108758A KR 20220108758 A KR20220108758 A KR 20220108758A KR 20240030127 A KR20240030127 A KR 20240030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blocking
core
flui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영자
Original Assignee
안영자
키바테크 쑤저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자, 키바테크 쑤저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안영자
Priority to KR102022010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127A/en
Publication of KR2024003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1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locking or disconne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댑터부를 구성해 어댑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함에 따라, 유체 공급 자체를 차단하는 것 없이도 밸브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며, 기존 설비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앵글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valve, and more specifically, by configuring an adapter part, even if the body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adapter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external leakage of fluid is prevented by the blocking part, thereby preventing the fluid supply itself. This relates to an angle valve that allows maintenance of the valve without blocking it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facilities.

Description

앵글 밸브 {Angle Valve}Angle Valve

본 발명은 앵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댑터부를 구성해 어댑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함에 따라, 유체 공급 자체를 차단하는 것 없이도 밸브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며, 기존 설비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앵글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valve, and more specifically, by configuring an adapter part, even if the body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adapter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external leakage of fluid is prevented by the blocking part, thereby preventing the fluid supply itself. This relates to an angle valve that allows maintenance of the valve without blocking it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facilities.

밸브는 통로를 바꾸거나 여닫아,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방향을 바꾸는 장치를 말한다.A valve is a device that controls or changes the direction of fluid flow by changing or opening or closing a passage.

이러한 밸브는 크게, 유체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개폐되는 스톱 밸브(Stop Valve)와, 밸브 디스크가 유체의 통로를 수직으로 막아서 개폐하고 유체의 흐름이 일직선으로 유지되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와,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 밸브(Check Valve) 등으로 나뉜다.These valves are largely divided into a stop valve that opens and closes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a gate valve that opens and closes by blocking the fluid passage vertically with a valve disc, and the fluid flow is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 It is divided into check valves, which allow fluid to flow in one direction and prevent it from flo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스톱 밸브(Stop Valve)에는 일반적으로 공모양의 밸브 몸통을 가지며 입구와 출구의 중심선이 일직선 위에 있고 유체의 흐름이 S자 모양으로 되는 글로브 밸브(Globe Valve)와, 밸브 몸통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선이 직각이며 유체의 흐름 방향이 직각으로 변하는 앵글 밸브(Angle Valve)와, 밸브 몸통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선이 일직선 위에 있고, 밸브대의 축과 출구의 유로가 예각으로 되어 있는 Y형 밸브(Y-globe Valve)와, 유량을 조절하기 쉽게 밸브 디스크가 바늘 모양으로 되어 있는 니들 밸브(Needle Valve) 등이 포함된다.The stop valve includes a globe valve that generally has a ball-shaped valve body, the center line of the inlet and outlet is on a straight line, and the fluid flow is S-shaped, and the inlet and outlet of the valve body An angle valve whose center line is at a right angle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changes at a right angle, and a Y-type valve (Y) where the center line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valve body is on a straight line, and the axis of the valve seat and the flow path of the outlet are at an acute angle. -globe valve) and needle valve where the valve disc is shaped like a needle to make it easy to control the flow rate.

도 1은 종래의 앵글 밸브(9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2099호(2010.07.16.)에 개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angle valve 90,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72099 (July 16, 2010).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수돗물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는 땅 속에 묻힌 수도 계량기 보호통 내에 설치되며, 이러한 수도 계량기의 한쪽에는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앵글 밸브(90)가 설치된다.1, a water me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ap water used is installed in a water meter protection tank buried in the ground, and an angle valve 9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ap wat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is water meter.

상기 앵글 밸브(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911)와, 상기 유입부(911)와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9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913)와, 상기 유입부(911)의 중심선과 나란한 중심선을 가지면서 상기 유입부(911)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915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9153)이 형성된 연결부(915)를 포함하는 바디부(91)를 가진다.As shown in FIG. 1, the angle valve 90 has an inlet 911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is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inlet 911 so that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let 911 flows out. An outlet portion 913 and a center line parallel to the center line of the inlet portion 911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let portion 911, and a female thread 9151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male thread 915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has a body portion 91 including a formed connection portion 915.

또한, 종래의 앵글 밸브(90)는 손으로 돌릴 수 있는 형상을 가진 핸들부(931)와, 상기 핸들부(93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산(9151)과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산(9331)이 형성된 승하강부(933)와, 상기 승하강부(933)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9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출부(913)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크부(935)가 포함된 조정부(93)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ngle valve 90 includes a handle portion 931 having a shape that can be turned by hand, and a male threa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portion 931 and screwing into the female thread 9151. An elevation portion 933 formed with (9331), and a disk portion 935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ion portion 933 to prevent fluid flowing in from the inlet portion 911 from flowing into the outlet portion 913. )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unit 93.

그리고 종래의 앵글 밸브(90)에는 상기 연결부(915) 상에 안치되는 체결와셔(951)와, 상기 체결와셔(951) 위에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체결개스킷(953)과, 내주면에 상기 연결부(915)의 수나사산(9153)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산(9551)이 형성된 체결커버(955)를 포함하는 체결부(95)가 구성되었다.And the conventional angle valve 90 includes a fastening washer 951 placed on the connection part 915, a fastening gasket 953 formed on the fastening washer 951 to prevent water leakage, and the connection part ( The fastening part 95 is composed of a fastening cover 955 having a female thread 9551 that screws into the male thread 9153 of 915).

이러한 종래의 앵글 밸브(90)는 상기 핸들부(9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상기 승하강부(933)의 승하강을 통해, 상기 디스크부(935)가 상기 유입부(91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거나,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도록 제어된다.This conventional angle valve 90 rotates the handle part 931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raise and lower the raising and lowering part 933, so that the disk part 935 is separated from the inlet part 911. It is controlled to block incoming fluid or adjust the amount of incoming fluid.

하지만, 상기 연결부(915)의 암나사산(9151)과 상기 승하강부(933)의 수나사산(9331)이 수돗물 속에 잠겨 있으므로, 유입부(911)를 통하여 수돗물과 함께 유입되는 모래 등 이물질이 상기 암나사산(9151)과 상기 수나사산(9331) 사이에 끼여 상기 핸들부(931)를 돌리더라도 상기 조정부(9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디스크부(935)의 마모 등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고장이 빈번하였다.However, since the female thread 9151 of the connection portion 915 and the male thread 9331 of the elevating lowering portion 933 are submerged in tap wa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flowing in with tap water through the inlet portion 911 are immersed in the arm. Even if the handle part 931 is turned by being caught between the screw thread 9151 and the external screw thread 9331,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adjusting part 93 does not operate normally, or water leakage occurs due to wear of the disk part 935, etc. Breakdowns such as these occurred frequently.

이러한 고장이 발생했을 때, 종래의 앵글 밸브(90)에 의하면 유체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원수 관의 밸브를 잠가야 했는데, 이 경우 수리 작업 동안에 문제가 없는 다른 곳에까지 원수가 공급되지 않고 단수되는 문제가 있었다.When such a failure occur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ngle valve 90, the valve of the raw water pipe had to be closed to fundamentally block the inflow of fluid. In this case, raw water is not supplied to other areas where there is no problem during repair work, and There was a problem with water being cut off.

또한, 종래의 앵글 밸브(90)는 부분 수리가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단 앵글 밸브(90)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앵글 밸브(90)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angle valve 90 had a structure that made partial repair difficult, once a problem occurred in the angle valve 90, the entire angle valve 90 had to be replaced.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앵글 밸브(90)의 수리 등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지 않더라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부분 수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앵글 밸브(90) 전체 교체의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형식의 앵글 밸브(90)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industry, work can be performed even without blocking the supply of raw water during the repair of the angle valve 90, and partial repairs can also be easily performed, eliminating the problem of unnecessary complete replacement of the angle valve 90.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angle valve 90 that solves the problem.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2099호(2010.07.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72099 (2010.07.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어댑터부를 구성해 기존의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can be applied to existing equipment by constructing an adapter p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is easy to mainta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댑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prevents external leakage of fluid by the blocking portion even if the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수리, 교체 등의 작업을 진행할 때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지 않아도 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fluid by the blocking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thereby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does not need to block the supply of fluid when performing repairs, replacements, etc. It is d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가 어댑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차단방지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고,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uid from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when the body part is coupled to the adapter part, and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uid from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when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does th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부와 실린더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캔틸레버부를 포함하는 차단방지부를 구성해, 바디부와 어댑터부가 결합한 상태에서는 실린더부가 차단부를 가압해 차단부에 의한 유로 차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바디부와 어댑터부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실린더부가 더이상 차단부를 가압하지 못하여 탄성부에 의해 상승한 코어부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n anti-blocking portion including a cylinder portion and a cantilever por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ylinder portion, so that when the body portion and the adapter portion are combined, the cylinder portion presses the blocking portion, causing flow path blocking by the block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when the body part and the adapter part are separated, the cylinder part can no longer pressurize the blocking part, and an angle valve is provided so that the passage is closed by the core part raised by the elastic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댑터챔버와 연통되는 어댑터수용홀을 구성하고, 실린더부가 어댑터수용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린더부가 어댑터챔버 내에 위치한 코어부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configures an adapter receiving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dapter chamber and configures the cylinder portion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so that the cylinder portion can easily pressurize the core portion located in the adapter chamber.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댑터수용홀과 시트연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캔틸레버부를 구성해 코어부의 상승을 제한하는 실린더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configures a cantilever portion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and the seat communication hole so that the cylinder portion that limits the rise of the core portion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캔틸레버부의 높이를 시트부의 하면과 어댑터걸림턱의 상면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차단방지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in which the height of the cantilever part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apter stopper, so that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can be positioned more stab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부는 탄성부에 의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러한 코어부의 상승이 차단방지부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단방지부가 제거되면 곧바로 코어부에 의한 유로 폐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core part to receive a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elastic part, and to limit the rise of the core part by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so that when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is removed, the channel block by the core part occurs immediate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allows th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헤드 상에 수용홈을 구성해 탄성부의 타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has a receiving groove on the core hea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헤드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플랜지가, 지지소켓과 지지몸체 사이에 위치한 지지실링과의 접촉을 통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in which a core flange extending radially from a core head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through contact with a support seal located between a support socket and a support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된 코어샤프트를 구성하고, 지지몸체에 코어샤프트가 수용되는 구멍인 코어샤프트수용홀을 구성하여, 코어부의 승하강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configures a core shaft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and configures a core shaft receiving hole, which is a hole in the support body, for receiving the core shaft,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를 구성하되, 지지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커트를 포함시켜, 어댑터걸림홈에 안착되는 스커트에 의해 지지부를 어댑터부에 고정시키면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support body that supports the elastic portion, including a skirt that is formed in a shape that spreads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so that the support is connected to the adapter by the skirt that is seated in the adapter locking groove. An angle valve is provided that is fixed to the unit and allow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moves to be formed.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바디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기 어댑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를 가압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apter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body part forming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and preventing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even if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block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blocking portion and a blocking prevention portion formed in a shape that pressurizes the b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uid by the blocking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차단방지부는, 상기 차단부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차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 cylinder portion formed to contact the blocking portion to limit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차단방지부는,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가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캔틸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 cantilever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cylinder portion and restricts the cylinder portion from being pushed up by the block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부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어댑터챔버를 형성하면서 상기 바디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몸체와, 상기 어댑터몸체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챔버와 연통되는 어댑터수용홀과, 상기 어댑터수용홀 주변으로 걸림턱을 형성하는 어댑터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er part includes an adapter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while forming an adapter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and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adapter body to the other sid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adapter receiving hol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dapter chamber, and an adapter locking protrusion forming a locking protrusion around the adapter receiving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어댑터수용홀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어댑터걸림턱에 의해 상기 어댑터수용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par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and the cantilever part is formed to be prevented from passing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by the adapter stopping protrusion. Do it a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빈 공간인 제1챔버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된 제2챔버를 형성하는 유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챔버와 상기 유입부의 제2챔버를 구분 지으면서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시트연통홀이 형성된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시트연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includes a main body part forming a first chamber, which is an empty space inside which fluid can flow, and a main body part so that fluid flows into the main body part. An inlet part that is connected and forms a second chamber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hamber, and a seat communication hole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while distinguishing the first chamber of the main body from the second chamber of the inlet part. It includes the formed sheet portion, and the cantilever portion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차단부의 상승을 제한할 때, 상기 시트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tilever portion is formed to contact the seat portion when the cylinder portion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차단부의 상승을 제한할 때, 일측은 상기 시트부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어댑터걸림턱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tilever portion is formed so that when the cylinder portion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adapter stoppe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코어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단방지부가 상기 코어부를 가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core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nd an elastic force that presses the cor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presses the cor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elastic part and a support part supporting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코어부는, 상기 차단방지부에 의해 가압되는 코어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ortion includes a core head press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코어헤드는, 상기 탄성부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함입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head includes a receiving groove recessed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헤드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플랜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ortion includes a core flang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ore head, and in a state where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does not pressurize the blocking portion, the core flange prevents fluid from flowing through the core flan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of is block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코어부는, 코어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코어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코어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ortion includes a core shaft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댑터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코어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pport body fixed within the adapter part and guid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art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어댑터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어댑터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ody includes a skirt that secures the support part to the adapter part and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to the adapter part can pass.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커트는, 단부로 갈수록 지지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spreads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toward the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부는, 어댑터몸체의 내주면 상에 함입되어 상기 스커트를 수용하는 어댑터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e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dapter locking groove that is reces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and accommodates the ski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몸체 상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지지소켓과, 상기 지지소켓과 상기 지지몸체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지지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includes a support socket formed on the support body to prevent fluid leakage, and a support socket formed between the support socket and the support body to prevent fluid leakag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pport seal that prev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실링은, 상기 차단방지부에 의해 가압되는 코어헤드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플랜지와 접촉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eal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by contacting a core flang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ore head press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ith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어댑터부를 구성해 기존의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can be applied to existing equipment by forming an adapter part.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is easy to maintain.

본 발명은, 어댑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prevents external leakage of fluid by the blocking portion even if the bod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본 발명은,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수리, 교체 등의 작업을 진행할 때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지 않아도 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does not need to block the supply of fluid when performing repairs, replacements, etc. by preventing external leakage of fluid by the blocking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

본 발명은, 바디부가 어댑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차단방지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고, 바디부가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gle valve that prevents the movement of fluid from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when the body part is coupled to the adapter part,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fluid by the blocking part when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Derive the effects provided.

본 발명은, 실린더부와 실린더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캔틸레버부를 포함하는 차단방지부를 구성해, 바디부와 어댑터부가 결합한 상태에서는 실린더부가 차단부를 가압해 차단부에 의한 유로 차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바디부와 어댑터부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실린더부가 더이상 차단부를 가압하지 못하여 탄성부에 의해 상승한 코어부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n anti-blocking part including a cylinder part and a cantilever part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ylinder part, and when the body part and the adapter part are combined, the cylinder part presses the blocking part to prevent flow path blocking by the block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body part and the adapter part are separated, the cylinder part can no longer pressurize the blocking part, which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in which the passage is closed by the core part raised by the elastic part.

본 발명은, 어댑터챔버와 연통되는 어댑터수용홀을 구성하고, 실린더부가 어댑터수용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린더부가 어댑터챔버 내에 위치한 코어부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configures an adapter receiving ho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dapter chamber and configures the cylinder portion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allowing the cylinder portion to easily pressurize the core portion located in the adapter chamber. has

본 발명은, 어댑터수용홀과 시트연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캔틸레버부를 구성해 코어부의 상승을 제한하는 실린더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allows the cylinder part that limits the rise of the core part to be stably supported by constructing a cantilever part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and the seat communication hole.

본 발명은, 캔틸레버부의 높이를 시트부의 하면과 어댑터걸림턱의 상면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차단방지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allows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to be positioned more stably by configuring the height of the cantilever part to be the same a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apter stopper.

본 발명은, 코어부는 탄성부에 의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러한 코어부의 상승이 차단방지부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단방지부가 제거되면 곧바로 코어부에 의한 유로 폐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art receives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elastic part, and the rise of the core part is limit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so that when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is removed, the channel block by the core part can occur immediately.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valve.

본 발명은, 코어헤드 상에 수용홈을 구성해 탄성부의 타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allows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to be stably supported by forming a receiving groove on the core head.

본 발명은, 코어헤드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플랜지가, 지지소켓과 지지몸체 사이에 위치한 지지실링과의 접촉을 통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in which a core flange extending radially from a core head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through contact with a support seal located between a support socket and a support body.

본 발명은, 코어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된 코어샤프트를 구성하고, 지지몸체에 코어샤프트가 수용되는 구멍인 코어샤프트수용홀을 구성하여, 코어부의 승하강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guides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by forming a core shaft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and forming a core shaft receiving hole, which is a hole in the support body, for receiving the core shaft.

본 발명은, 탄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를 구성하되, 지지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커트를 포함시켜, 어댑터걸림홈에 안착되는 스커트에 의해 지지부를 어댑터부에 고정시키면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support body that supports the elastic portion, and includes a skirt that is formed in a shape that spreads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and the support portion is fixed to the adapter portion by the skirt that is seated in the adapter locking groove. , which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gle valve that allow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moves to be formed.

도 1은 종래의 앵글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에 따른 앵글 밸브에서 어댑터부로부터 바디부가 분리되기 이전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4에 따른 앵글 밸브에서 어댑터부로부터 바디부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b-b'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B 부분 확대도.
도 14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2에 따른 앵글 밸브에서 어댑터부로부터 바디부가 분리되기 이전의 사용 상태도.
도 17은 도 12에 따른 앵글 밸브에서 어댑터부로부터 바디부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용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c-c'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C 부분 확대도.
도 21은 도 19의 D 부분 확대도.
도 22는 도 1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E 부분 확대도.
도 24는 도 19의 앵글 밸브에서 연장부가 차단부를 가압할 때의 사용 상태도.
도 25는 도 19의 앵글 밸브에서 연장부가 차단부를 가압하지 않을 때의 사용 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d-d' 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G 부분 확대도.
도 29는 도 27의 앵글 밸브에서 조정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0은 도 27의 앵글 밸브에서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1은 도 27의 앵글 밸브에서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angle val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4.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4.
Figure 8 is a use state diagram before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in the angle valve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9 is a use state diagram when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in the angle valve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0.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0.
Figure 1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12.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12.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12.
Figure 16 is a use state diagram before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in the angle valve according to Figure 12.
Figure 17 is a usage state diagram when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in the angle valve according to Figure 12.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18.
Figure 2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19.
Figure 2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ure 19.
FIG. 2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9.
Figure 2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ure 22.
Figure 24 is a state diagram of the angle valve of Figure 19 used when the extension part presses the blocking part.
Figure 25 is a use state diagram when the extension part does not pressurize the blocking part of the angle valve of Figure 19.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ure 26.
Figure 2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G of Figure 27.
Figure 29 is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adjustment unit in the angle valve of Figure 27.
Figure 30 is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fluid is not blocked in the angle valve of Figure 27.
Figure 31 is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in the angle valve of Figure 27.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앵글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ngl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f there is a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Follow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로, 상기 앵글 밸브(1)는, 기존의 설비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유체의 공급 자체를 차단하지 않더라도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and the angle valve 1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equipment. , its feature is that it allows maintenance, etc. to be performed even without blocking the fluid supply itself.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앵글 밸브(1)는, 바디부(10), 조정부(20), 차단부(40), 어댑터부(60), 차단방지부(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angle valve 1 includes a body part 10, an adjustment part 20, a blocking part 40, an adapter part 60, and an anti-blocking part 70. .

상기 바디부(1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유체가 유입되면, 유입된 유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 is configured to form a chamber, which is a space in which fluid can move. Preferably, when fluid flows in vertical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introduced fluid is It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guides it so that it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바디부(10)는, 본체부(11), 유입부(13), 유출부(15), 연결부(17), 시트부(19)를 포함한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Referring to Figure 4, the body part 10 includes a main body part 11, an inlet part 13, an outlet part 15, a connection part 17, and a seat part. Includes (19).

상기 본체부(11)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빈 공간인 제1챔버(111)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11)의 하측에는 후술할 유입부(13)가 연결이 되어 유입부(13)의 제2챔버(131)가 상기 본체부(11)의 제1챔버(11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 측면에는 후술할 유출부(15)가 연결이 되어 유입부(13)로부터 들어온 유체의 방향을 90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의 상측에는 후술할 연결부(17)가 연결이 되어 연결부(17)의 제4챔버(171)가 상기 본체부(11)의 제1챔버(11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연결부(17)에 조정부(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조정부(20)에 의한 유체 유량 조절이 가능해 진다.The main body portion 11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first chamber 111, which is an empty space inside which fluid can flow. Preferably, an inlet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second chamber 131 of the inlet 13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111 of the main body 11. It can communicate, and an outlet part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1,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luid coming from the inlet part 13 can be changed by 90 degrees. In addition, a connection part 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fourth chamber 171 of the connection part 17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111 of the main body 11. , the control unit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17, thereby enabling control of the fluid flow rate by the control unit 20.

상기 유입부(13)는, 상기 본체부(11)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부(11)와 연결되며 상기 제1챔버(111)와 연통된 제2챔버(131)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유입부(13)의 내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이 될 수 있으며, 후술할 어댑터몸체(61)의 외주면 상에는 이와 상보적인 형상의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어댑터몸체(61)가 상기 유입부(13)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상기 유입부(13)를 상기 본체부(11)를 사이에 두고 후술할 연결부(17)와 나란하게 배치시키되, 후술할 유출부(15)와는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inflow part 13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 so that fluid flows into the main body 11 and forms a second chamber 131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hamber 111. . Referring to FIG. 4,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3, and a screw thread of a complementary shape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adapter body 6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portion 13. Preferably, the inlet portion 13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e main body portion 11 in between, and may be configur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outlet portion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유출부(15)는, 상기 본체부(1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부분으로,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빈 공간인 제3챔버(151)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제3챔버(151)가 상기 제1챔버(111)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입부(13)를 통해 들어온 유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말한다.The outlet portion 15 is a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main body portion 11, and a third chamber 151, which is an empty space for fluid to flow, is formed inside the third chamber 151. )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hamber 111, thereby moving the fluid entering through the inlet 1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연결부(17)는, 내부에 빈 공간인 제4챔버(171)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4챔버(171)는 상기 본체부(11)의 제1챔버(111)와 연통이 되며, 상기 제4챔버(171)를 통해 후술할 조정부(20)의 일 부분은 상기 제1챔버(111) 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연결부(17)의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산(17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7)의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산(1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의 암나사산(173)은 후술할 조정부(20)의 승하강결합수단(233) 상에 형성된 수나사산(2331)과 나사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7)의 수나사산(175)은 후술할 조정부(20)의 체결커버(275)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7 is configured to form a fourth chamber 171, which is an empty space inside, and the fourth chamber 17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hamber 111 of the main body 11, A portion of the adjustment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enter the first chamber 111 through the fourth chamber 171. Referring to FIG. 4, a female thread 173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7, and a male thread 175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7. The female thread 173 of the connecting portion 17 can be screwed to the male thread 2331 formed on the raising and lowering coupling means 233 of the adjusting portion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male thread of the connecting portion 17 ( 175) may be screwed together with the fastening cover 275 of the adjustment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시트부(19)는, 상기 본체부(11)의 제1챔버(111)와 상기 유입부(13)의 제2챔버(131)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의 제1챔버(111)와 상기 유입부(13)의 제2챔버(131)를 구분 지으면서, 상기 제1챔버(111)와 상기 제2챔버(131)를 연통시키는 시트연통홀(191)을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부(19)의 시트연통홀(191)은 후술할 조정부(20)의 디스크부(25)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부(19)의 하면은 후술할 차단방지부(70)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할 차단방지부(70)가 상기 시트부(19)의 하면에 접하기는 하지만, 차단방지부(70)에 의해 상기 시트연통홀(191)이 폐쇄되는 것은 아니다.The seat portion 19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hamber 111 of the main body 11 and the second chamber 131 of the inlet 13 and forms the first chamber 111 of the main body 11.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second chamber 131 while distinguishing the second chamber 131 of the inlet 13 from the first chamber 111. say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of the seat portion 19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isk portion 25 of the adjustment portion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9 can be opened and clos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Although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9,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s not clos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상기 조정부(20)는, 상기 바디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폐쇄해 유체가 상기 유출부(15) 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거나, 시트연통홀(19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출부(15) 측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조정부(20)는, 핸들부(21), 승하강부(23), 디스크부(25), 체결부(27)를 포함한다.The adjusting part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10, and closes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to prevent fluid from flowing toward the outlet 15, or closes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adjusts the flow rate of fluid flowing toward the outlet 15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The adjustment unit 20 includes a handle unit 21, a lifting unit 23, a disk unit 25, and a fastening unit 27.

상기 핸들부(21)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파지가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핸들부(21)는 상기 조정부(20) 중 상기 바디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는 부분이며, 상기 바디부(10)의 외측에 노출이 되는바, 앵글 밸브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21)를 돌려 유체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거나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21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easy to grip. The handle part 21 is a part of the adjustment part 20 that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 so the angle valve user can use the handle part ( By turning 21), you can easil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or block the movement of the fluid.

상기 승하강부(23)는, 상기 바디부(10)의 연결부(17)에 체결되어 승하강하는 구성으로, 상기 승하강부(23)의 일측은 상기 핸들부(21)와 연결이 되는바,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하강부(23)가 상승하고, 상기 핸들부(21)를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하강부(23)는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승하강부(23)의 타측에는 후술할 디스크부(25)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승하강부(23)는, 승하강스템(231), 승하강결합수단(233)을 포함한다.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3 is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by being fastened to the connection part 17 of the body unit 10. One side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3 is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21, so that the user When the handle unit 2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23 may be configured to rise, and when the handle unit 2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23 may be configured to descend. A disk unit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23. Referring to FIG. 4,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23 includes an elevating and lowering stem 231 and an elevating and lowering coupling means 233.

상기 승하강스템(231)은, 상기 승하강부(23) 중 상기 연결부(17)에서 상기 유입부(13)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상기 승하강스템(231)의 일측은 상기 핸들부(21)와 연결되면, 상기 승하강스템(231)의 타측은 후술할 디스크부(25)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스템(231)는 대략 원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and lowering stem 231 refers to a portion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part 23 that extends vertically from the connection part 17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part 13. When one sid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stem 231 is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21,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stem 231 may be connected to the disk portion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eferably, the raising and lowering stem 23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pillar shape.

상기 승하강결합수단(233)은, 상기 승하강스템(23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상기 연결부(17)의 암나사산(173)과 상보적인 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승하강결합수단(233)은 상기 연결부(17)의 암나사산(173)과 나사결합이 체결되는바, 상기 핸들부(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승하강결합수단(233)은 승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결합수단(233)의 승하강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승하강스템(231)이 승하강하게 된다.The elevating and lowering coupling means 233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elevating and lowering stem 231, and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male threads of a complementary shape to the female threads 173 of the connection portion 17 are formed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 Through this, the lifting and lowering coupling means 233 is screwed to the female thread 173 of the connection part 17.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1, the lifting and lowering coupling means 233 is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as a result, the raising and lowering stem 231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raising and lowering coupling means 233.

상기 디스크부(25)는, 상기 승하강스템(231)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부(19)의 시트연통홀(191)을 폐쇄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핸들부(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부(23)가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25)와 상기 시트부(19)가 밀착 접촉하게 되어 상기 디스크부(25)에 의해 상기 시트연통홀(191)이 막히게 되면 상기 제2챔버(131) 내에 위치한 유체는 상기 제1챔버(111) 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상기 핸들부(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부(23)가 상승하여 밀착 접촉하고 있던 상기 디스크부(25)와 상기 시트부(19)가 분리되면 상기 시트연통홀(191)이 개방되면서 상기 제2챔버(131) 내에 위치한 유체는 상기 제1챔버(111)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disk part 25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aising and lowering stem 231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close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of the seat part 19. By rotation of the handle unit 21,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23 is lowered and the disc unit 25 and the seat unit 19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the seat communication hole ( If 191) is blocked, the fluid located in the second chamber 131 cannot move toward the first chamber 111. On the contrary, when the elevating and lowering part 23 ris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21 and the disk part 25 and the seat part 19, which are in close contact, are separated,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s opened. As a result, the fluid located in the second chamber 131 can move to the first chamber 111.

상기 체결부(27)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승하강부(2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되 상기 승하강부(23)가 상기 바디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27)는 상기 바디부(10)의 연결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27)는, 체결와셔(271), 체결개스킷(273), 체결커버(275)를 포함한다.The fastening part 27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enables rotation of the elevating part 23, but the elevating part 23 is stably positio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0.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allows you to do this. For this purpose, the fastening portion 27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0 of the body portion 10. The fastening part 27 includes a fastening washer 271, a fastening gasket 273, and a fastening cover 275.

상기 체결와셔(271)는, 후술할 체결개스킷(273)을 위한 베이스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체결개스킷(273)은 상기 체결와셔(271) 상에 놓이게 된다.The fastening washer 271 forms a base for a fastening gasket 2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fastening gasket 2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laced on the fastening washer 271.

상기 체결개스킷(273)은, 상기 체결와셔(271) 상에 위치하여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The fastening gasket 273 is located on the fastening washer 271 to prevent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체결커버(275)는, 상기 체결개스킷(273)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커버(275)의 내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7)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산(175)과 나사 결합을 체결할 수 있다.The fastening cover 275 is formed in a shape that covers the fastening gasket 273,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cover 275, including an external thread 175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7 and Screw connection can be fastened.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해 차단부(40)에 관핸 설명하도록 하겠다.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4. Hereinafter, the blocking portion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5.

상기 차단부(40)는, 상기 바디부(10)가 후술할 어댑터부(6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바디부(10)가 후술할 어댑터부(6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후술할 차단방지부(7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고, 상기 바디부(10)가 후술할 어댑터부(6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4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차단부(40)는, 코어부(41), 탄성부(43), 지지부(45)를 포함한다.The blocking portion 4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body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the body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vement of fluid is not block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body portion 10 will be connected to the adapter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separated from (60),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40). Referring to FIG. 5, the blocking portion 40 includes a core portion 41, an elastic portion 43, and a support portion 45.

상기 코어부(41)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코어부(41는 후술할 탄성부(43)에 의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러한 상기 코어부(41)의 상승이 후술할 차단방지부(70)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단방지부(70)가 제거되면 곧바로 상기 코어부(41)에 의한 유로 폐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코어부(41)는, 코어헤드(411), 코어플랜지(413), 코어샤프트(415)를 포함한다.The core portion 41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The core portion 41 receives a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by the elastic portion 4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is upward movement of the core portion 41 occurs. By being configured to be limit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is removed, the channel can be immediately closed by the core part 41. The core part 41 is a core part. It includes a head 411, a core flange 413, and a core shaft 415.

상기 코어헤드(411)는, 후술할 차단방지부(70)의 실린더부(71)와 접촉하면서 실린더부(71)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코어헤드(411)는, 수용홈(4111)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4111)은, 탄성부(43)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어헤드(411)에 함입 형성된 홈을 말한다. 상기 코어헤드(411) 상에 상기 수용홈(4111)을 구성해 후술할 탄성부(43)의 타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re head 411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pressed by the cylinder portion 71 while contacting the cylinder portion 71 of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re head 411 includes a receiving groove 4111. The receiving groove 4111 refers to a groove formed in the core head 411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43. The receiving groove 4111 is formed on the core head 411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4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stably supported.

상기 코어플랜지(413)는, 상기 코어헤드(41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후술할 차단방지부(70)가 상기 차단부(40)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플랜지(413)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플랜지(413)는 후술할 지지소켓(453)과 지지몸체(451) 사이에 위치한 지지실링(455)과의 접촉을 통해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The core flange 413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core head 411, and is attached to the core flange 413 when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es not pressurize the blocking part 40. The movement of fluid may be blocked. That is, the core flange 413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through contact with the support seal 455 located between the support socket 453 and the support body 4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코어샤프트(415)는, 상기 코어부(4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코어플랜지(4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코어플랜지(413)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기 코어샤프트(415)를 구성하고, 후술할 지지몸체(451)에는 상기 코어샤프트(415)가 수용되는 구멍인 코어샤프트수용홀(4513)이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코어부(41)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core shaft 415 refers to a configuration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413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41. The core shaft 415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413, and the support body 4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with a core shaft receiving hole 4513, which is a hole in which the core shaft 415 is accommodated.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41 can be stably guided.

상기 탄성부(43)는, 탄성력에 의해 후술할 차단방지부(70)가 상기 코어부(41)를 가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41)를 가압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43)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3)는 탄성력에 의해 일측은 후술할 지지부(45)를 가압하고, 타측은 상기 코어헤드(411)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4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sses the core portion 4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esses the core portion 41 by elastic force. Preferably, the elastic portion 43 may be composed of a spring or the like. The elastic part 43 may be configured so that one side presses the support part 4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presses the core head 411 by elastic force.

상기 지지부(45)는, 상기 탄성부(43)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5)는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후술할 어댑터부(60) 내측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43)는 일측은 지지부(45)를 가압하고, 타측은 코어헤드(411)를 가압하고 있는바, 상기 탄성부(43)의 일측이 고정되지 못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헤드(411)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어댑터부(60) 내에 상기 지지부(45)가 고정된다.The support part 45 is configured to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43.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art 45 forms a fluid flow path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adapter par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43 presses the support part 45 and the other side presses the core head 411. If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43 is not fixed, the elastic force causes the elastic force to press the core head 411. Since the core head 411 cannot be pushed upward, the support portion 45 is fixed within the adapter portion 60.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지지부(45)는, 지지몸체(451), 지지소켓(453), 지지실링(45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upport portion 45 includes a support body 451, a support socket 453, and a support seal 455.

상기 지지몸체(451)는, 후술할 어댑터부(60) 내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43)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코어부(4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지몸체(451)는 후술할 어댑터부(60) 내에 고정되지만,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몸체(451)가 구성되었어도 상기 지지몸체(451)가 형성하는 유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몸체(451)는, 스커트(4511), 코어샤프트수용홀(4513)을 포함한다.The support body 451 is fixed within the adapter par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43 while guid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art 41. The support body 451 is fixed within the adapter par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because it forms a flow path, fluid can move through the flow path formed by the support body 451 even when the support body 451 is configured. . This support body 451 includes a skirt 4511 and a core shaft receiving hole 4513.

상기 스커트(4511)는, 상기 지지부(45)를 후술할 어댑터부(60)에 고정하면서 어댑터부(60)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커트(4511)는 그 단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몸체(451)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커트(4511)는 후술할 어댑터몸체(61)의 내주면 상에 함입된 어댑터걸림홈(67)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커트(4511)에 의해 상기 지지부(45)를 후술할 어댑터부(60)에 고정시키면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e skirt 4511 refers to a component that secures the support part 45 to the adapter par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to the adapter part 60 can pass. Preferably, the skirt 4511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spreads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451 toward its end. This skirt 4511 can be accommodated in the adapter locking groove 67 embedd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kirt 4511 fixes the support part 45 to the adapter par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moves.

상기 코어샤프트수용홀(4513)은, 상기 코어샤프트(415)를 수용해 상기 코어샤프트(415)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몸체(451) 상에 형성된 구멍을 말한다. 상기 코어샤프트수용홀(4513)은 상기 코어샤프트(415)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샤프트수용홀(4513)에 의해 상기 코어샤프트(415)가 가이드 되므로, 상기 탄성부(43)에 의해 상기 코어헤드(411)가 밀어 올려질 때 사전에 계획된 경로를 따라 코어부(41)가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The core shaft receiving hole 4513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ore shaft 415 and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shaft 415, and refers to a hole formed on the support body 451. The core shaft receiving hole 4513 may be form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re shaft 415. Since the core shaft 415 is guided by the core shaft receiving hole 4513, the elastic portion 43 ) When the core head 411 is pushed up, the core portion 41 can move stably along a pre-planned path.

상기 지지소켓(453)은, 상기 지지몸체(451) 상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소켓(453)은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지지소켓(453)은, 연결부(4531), 축경부(4533), 함입부(4535), 오링부(4537)를 포함한다.The support socket 453 is formed on the support body 451 to prevent fluid leakage. Preferably, the support socket 453 may be formed in a shape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 as shown in FIG. 5 to allow movement of fluid. The support socket 453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4531, It includes a reduced diameter portion (4533), an indented portion (4535), and an O-ring portion (4537).

상기 연결부(4531)는, 상기 지지몸체(451)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4531 is a part coupled to the support body 451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5.

상기 축경부(4533)는, 상기 지지부(45)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연결부(4531)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educed diameter portion 4533 is a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4531 to reduce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portion 45, and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5 .

상기 함입부(4535)는, 상기 지지소켓(453)의 외주면 상에 함입된 부분으로, 상기 축경부(4533)에 의해 형성되는 홈을 가리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상기 함입부(4535) 상에는 후술할 오링부(4537)가 안치된다.The recessed portion 4535 is a recessed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ocket 453 and refers to a groove formed by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4533. An O-ring portion 453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laced on the recessed portion 4535 created in this way.

상기 오링부(4537)는, 상기 함입부 상에 안치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링부(4537)는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O-ring portion 4537 is placed on the recessed portion to prevent fluid leakage. Preferably, the O-ring portion 4537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지지실링(455)은, 상기 지지소켓(453)과 상기 지지몸체(451)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지실링(455)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실링(455)은 상기 코어헤드(41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코어플랜지(413)와 밀착 접촉함으로써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The support seal 455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socket 453 and the support body 451 to prevent fluid leakage. The shape of the support seal 455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but may preferably be formed as the shape shown in FIG. 5. The support seal 455 can block the movement of fluid by making close contact with the core flange 413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ore head 411.

상기 어댑터부(60)는, 상기 바디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어댑터부(60)를 구성해 기존의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앵글 밸브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부(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바디부(10)가 상기 어댑터부(6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차단부(40)에 의해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는바, 작업자가 수리, 교체 등의 작업을 진행할 때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지 않아도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어댑터부(60)는, 어댑터몸체(61)와, 어댑터수용홀(63)과, 어댑터걸림턱(65)과, 어댑터걸림홈(67)을 포함한다.The adapter part 6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10. In this embodiment, the adapter part 60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ngle valve that can be applied to existing equipment. . Even if the body part 1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dapter part 60,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60, external leakage of fluid is prevented by the blocking part 40, so the operator can repair or replace it. Maintenanc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cutting off the fluid supply when performing work such as this. Referring to FIG. 5, the adapter portion 60 includes an adapter body 61, an adapter receiving hole 63, an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and an adapter locking groove 67.

상기 어댑터몸체(61)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어댑터챔버(611)를 형성하면서 상기 바디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어댑터몸체(61)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어댑터몸체(6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유입부(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어댑터몸체(61)를 상기 유입부(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The adapter body 61 refers to a componen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while forming an adapter chamber 611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Referring to FIG. 5, threads as shown in FIG. 5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and th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3. By being form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screw thread formed in , the adapter body 61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portion 13.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은, 상기 어댑터몸체(6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챔버(611)와 연통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실린더부(71)는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지만, 후술할 캔틸레버부(73)는 어댑터걸림턱(65)에 의해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is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ide of the adapter body 61 to the other 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adapter chamber 611. The cylinder portion 7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by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 but the cantilever portion 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by the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상기 어댑터걸림턱(65)은, 상기 어댑터수용홀(63) 주변으로 걸림턱을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어댑터걸림턱(65)의 하면은 상기 지지소켓(453)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어댑터걸림턱(65)의 내주면 프로파일은 상기 지지소켓(453) 중 상기 축경부(4533)의 내주면 프로파일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The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locking protrusion around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Referring to Figure 5, the lower surface of the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ocket 453. In order to reduce fluid resistance, the inner peripheral profile of the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may approximately match the inner peripheral profile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4533 of the support socket 453.

상기 어댑터걸림홈(67)은, 상기 어댑터몸체(61)의 내주면 상에 함입되어 상기 스커트(4511)를 수용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차단부(40)에 유로를 형성하는 스커트(4511)가 형성되는바, 상기 스커트(4511)가 수용되는 홈을 상기 어댑터몸체(61)의 내주면 상에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몸체(451)가 상기 어댑터몸체(6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adapter locking groove 67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reces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and accommodates the skirt 4511.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skirt 4511 forming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blocking portion 40, and a groove in which the skirt 4511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By forming this, the support body 451 can be stably fixed to the adapter body 61 while forming a fluid flow path.

상기 차단방지부(70)는, 상기 바디부(10)가 상기 어댑터부(6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4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40)를 가압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방지부(70)는, 실린더부(71), 캔틸레버부(73)를 포함한다.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uid from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40 when the body part 10 is coupled to the adapter part 60.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in a shape that presses.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includes a cylinder part 71 and a cantilever part 73.

상기 실린더부(71)는, 상기 차단부(40)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차단부(40)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실린더부(71)는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부(71)가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실린더부(71)가 상기 어댑터챔버(611) 내에 위치한 상기 코어부(41)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부(7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ylinder portion 71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to contact the blocking portion 40 to limit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40. The cylinder portion 71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The cylinder portion 71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so that the cylinder portion 71 can easily pressurize the core portion 41 located within the adapter chamber 611. do. The shape of the cylinder portion 71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but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3.

상기 캔틸레버부(73)는, 상기 실린더부(7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40)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71)가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어댑터부(60)가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부(71)가 상기 차단부(40)를 가압해 상기 차단부(40)에 의한 유로 차단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어댑터부(6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부(71)가 더이상 상기 차단부(40)를 가압하지 못하여 상기 탄성부(43)에 의해 상승한 상기 코어부(41)에 의해 유로가 폐쇄된다. 이러한 상기 캔틸레버부(73)는 상기 어댑터걸림턱(65)에 의해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수용홀(63)과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하지 못하는 상기 캔틸레버부(73)를 구성해 상기 코어부(41)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기 실린더부(7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캔틸레버부(7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부(7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방사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ntilever portion 73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cylinder portion 71 and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limits the cylinder portion 71 from being pushed up by the blocking portion 40.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10 and the adapter portion 60 are combined, the cylinder portion 71 presses the blocking portion 40, so that the flow path is not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40, and the body In a state where the part 10 and the adapter part 60 are separated, the cylinder part 71 can no longer press the blocking part 40, so that it is pressed against the core part 41 raised by the elastic part 43. The euro is closed by The cantilever portion 73 is formed so that it cannot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by the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The cylinder portion 71, which limits the rise of the core portion 41, is stably supported by configuring the cantilever portion 73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and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t is to make it possible. The cantilever portion 73 may be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 3, and a plurality of cantilever portions 73 may be formed in a radial form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ylinder portion 71.

일 실시예로, 상기 캔틸레버부(73)는 상기 실린더부(71)가 상기 차단부(40)의 상승을 제한할 때, 상기 시트부(19)의 하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캔틸레버부(7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71)가 상기 차단부(40)의 상승을 제한할 때, 일측은 상기 시트부(19)의 하면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어댑터걸림턱(65)의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캔틸레버부(73)의 높이를 상기 시트부(19)의 하면과 상기 어댑터걸림턱(65)의 상면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차단방지부(70)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 설정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antilever portion 73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9 when the cylinder portion 71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40.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cantilever portion 73 has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9 when the cylinder portion 71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40.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That is, the height of the cantilever portion 73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9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apter stopper 65, so that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is more stable. Make sure the location is set.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어댑터부(60) 중 상기 어댑터몸체(61)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몸체(61)의 하측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어댑터몸체(61)는 이에 상보적인 형상의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소켓(S)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되는바, 앵글 밸브(1)와 파이프(P) 간의 용이한 연결을 도모할 수 있다.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4. Referring to FIG. 7,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ead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of the adapter portion 60. . By forming a thread as shown in FIG. 7 on the lower side of the adapter body 61, the adapter body 61 can be screwed into a connection socket (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thread of a complementary shape. Easy connection between the bar and angle valve (1) and the pipe (P) can be achieved.

도 8은 도 4에 따른 앵글 밸브(1)에서 상기 어댑터부(60)로부터 상기 바디부(10)가 분리되기 이전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4에 따른 앵글 밸브(1)에서 상기 어댑터부(60)로부터 상기 바디부(10)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부(60)가 상기 바디부(10)에 결합되어 차단방지부(70)에 의해 차단부(40)의 상승이 방지되고 있는 경우, 유입부(13)로부터 들어온 유체(F)가 본체부(11)를 지나 유출부(15)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와 어댑터부(60)가 분리될 경우, 차단방지부(70)가 더이상 차단부(40)의 상승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43)에 의해 가압된 상기 코어부(41)가 상승하면서 상기 코어플랜지(413)가 상기 지지실링(455)과 밀착 접촉하게 됨에 따라 상기 유입부(13)로부터 들어온 유체(F)는 상기 본체부(11)로 흘러들 수 없게 된다.FIG. 8 shows a state diagram of the angle valve 1 according to FIG. 4 before the body part 10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60, and FIG. 9 shows the angle valve 1 according to FIG. 4.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when the body part 10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art 60 is shown. 8 and 9, as shown in FIG. 8, the adapter part 6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0 and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raises the blocking part 40. If this is prevented, the fluid F entering from the inlet 13 can pass through the main body 11 and flow to the outlet 15. However, as shown in FIG. 9, when the body portion 10 and the adapter portion 60 are separated,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no longer prevents the blocking portion 40 from rising, and the elastic portion ( As the core portion 41 pressurized by 43) rises and the core flange 413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eal 455, the fluid F entering from the inlet portion 13 flows into the main body portion. It cannot flow into (11).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차단부(40)와 다른 차단부(50)가 구성된 차이가 있다. 중복된 서술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며,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그에 관한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0. This embodiment is a blocking part (40) different from the blocking part 4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50)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composition.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 par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of identical parts are simplified or omitted.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는 바디부(10), 조정부(20), 차단부(50), 어댑터부(60), 차단방지부(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0 and 11, the angle valv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 an adjustment part 20, a blocking part 50, an adapter part 60, and an anti-blocking part ( 70).

상기 바디부(10)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도 어댑터부(60)가 구성되어 앵글 밸브(1)가 기존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body portion 10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and forms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In this embodiment, an adapter portion 60 is also configured to form an angle valve 1. It can be applied to existing facilities as well.

상기 조정부(20)는, 상기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조정부에 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As for the adjustment unit 20, the description of the adjustment unit in the embodiment of FIGS. 2 to 9 is applied as is.

도 12는 도 10의 b-b'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 부분 확대도로,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고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차단부(50)에 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0,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12.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2 and 13, the blocking portion 50 tha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9. Let me explain about this.

상기 차단부(50)는, 상기 바디부(10)가 어댑터부(6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어댑터부(60)와 접하면서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기능적인 측면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차단부(40)와 유사하지만,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차단부(40)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차단부(50)는 코어부(51)가 어댑터부(60)와 밀착 접촉함으로써, 유입부(13)로부터 본체부(11)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차이가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차단부(50)는 코어부(51), 탄성부(53), 지지부(55)를 포함한다.The blocking portion 5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ile contacting the adapter portion 60 even when the body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60. The functional aspect is similar to the blocking unit 40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but unlike the blocking unit 40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unit 50 of this embodiment has a core por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fluid flow from the inlet portion 13 to the main body portion 11 is blocked by (51)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adapter portion 60. Referring to FIG. 12, the blocking portion 50 includes a core portion 51, an elastic portion 53, and a support portion 55.

상기 코어부(51)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코어부(41)와 달리 본 실시예의 코어부(51)는 코어부(51)의 일부가 어댑터부(60)의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차단방지부(70)의 실린더부(71)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코어부(51)는, 코어헤드(511), 코어플랜지(513), 코어샤프트(515)를 포함한다.The core portion 51 is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Unlike the core portion 41 of the embodiment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the core portion 51 of this embodiment is a part of the core portion 51. I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of the adapter part 60,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length of the cylinder part 71 of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Referring to FIG. 12, the core portion 51 includes a core head 511, a core flange 513, and a core shaft 515.

상기 코어헤드(511)는, 상기 바디부(10)의 제1챔버(111)와 제2챔버(131)를 연통시키는 시트연통홀(191)이 형성된 시트부(19)에서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어헤드(511)가 탄성부(53)에 의해 밀어 올려져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해 상기 조정부(20)와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조정부(20)와 상기 코어헤드(511)를 접촉시키기 위한 별도의 연장부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실린더부(71)의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코어헤드(511)는, 헤드중심부(5111)와 헤드방사부(5113)를 포함한다.The core head 511 is formed in the seat part 19 with a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second chamber 131 of the body part 10. 191)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to pa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re head 511 is pushed up by the elastic part 53 and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adjustment unit 20, so that the adjustment unit 20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extension part for contacting the core head 511, and the length of the cylinder part 71 can be shortened.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core head 511 includes a head center portion 5111 and a head radiating portion 5113.

상기 헤드중심부(5111)는, 상기 코어헤드(511)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코어플랜지(513)로부터 상기 탄성부에 의한 가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헤드중심부(511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head center portion 5111 refers to a configurat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re head 511 and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513 in the pressing direction by the elastic portion. The shape of the head center portion 5111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but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pillar shape as shown in FIG. 11.

상기 헤드방사부(5113)는, 상기 헤드중심부(5111)를 기준으로 유로를 형성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헤드방사부(5113)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헤드방사부(51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The head radiating portion 511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radially while forming a flow path based on the head center portion 5111.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head radiating units 5113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 radiating units 5113 to form a fluid flow path.

상기 코어플랜지(513)는,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차단방지부(70)가 상기 코어헤드(51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플랜지(513)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플랜지(513)는 어댑터걸림턱(65)의 하면에 밀착 접촉함으로써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코어플랜지(513)는, 플랜지단턱부(5131), 플랜지실링부(5133), 플랜지받침부(5135)를 포함한다.The core flange 513 is formed so that it cannot pass through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and when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does not pressurize the core head 511, it is attached to the core flange 513. The movement of fluid may be blocked. Specifically, the core flange 513 prevents external leakage of fluid by making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adapter stopper 65. Referring to FIG. 13, the core flange 513 includes a flange step portion 5131, a flange sealing portion 5133, and a flange support portion 5135.

상기 플랜지단턱부(5131)는, 상기 어댑터부(60)와 접촉하는 부분에 단턱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플랜지단턱부(5131) 상에 어댑터걸림턱(65)의 하면과 밀착 접촉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후술할 플랜지실링부(5133)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flange step portion 5131 is configured to form a step 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dapter portion 6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adapter locking step 65 on the flange step portion 5131 to prevent fluid from flowing through the flange step portion 5131. This ensures that the flange sealing part 51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blocks movement, can be stably placed.

상기 플랜지실링부(5133)는, 상기 플랜지단턱부(5131)에 안치되며 상기 차단방지부(70)가 상기 코어헤드(51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어댑터부(60)와 밀착 접촉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실링부(5133)는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flange sealing part 5133 is placed on the flange step part 5131 and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53 in a state where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does not press the core head 511. This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by making close contact with the adapter part 60. Preferably, the flange sealing portion 5133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상기 플랜지받침부(5135)는, 상기 탄성부(53)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어플랜지(513)의 외경을 축소시킨 부분을 말한다. 상기 플랜지받침부(5135)의 외경은 탄성부(53)의 타측에 의해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탄성부(53)의 타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flange support portion 5135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e flange 513 is reduced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support portion 5135 is wrapped by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can be stably supported.

상기 코어샤프트(515)는, 상기 코어부(5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코어플랜지(513)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이를 통해 상기 코어부(51)의 승하강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코어샤프트(515) 주변을 감싸는 형상으로 탄성부(53)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re shaft 51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core flange 513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51. Through this,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51 can be guided, and the elastic portion 53 can be position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core shaft 515.

상기 탄성부(53)는, 탄성력에 의해 차단방지부(70)가 상기 코어부(51)를 가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51)를 가압하는 구성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5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sses the core portion 5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presses the core portion 51 by elastic force, and is preferably a spring or the like. can be formed.

상기 지지부(55)는, 상기 탄성부(53)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지지부(55)는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어댑터부(60)의 내측에 고정된다. 도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지지부(55)는, 지지링(551), 지지베이스(553)를 포함한다.The support portion 5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support part 55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adapter part 60 while forming a fluid flow path. Referring to FIG. 13, the support portion 55 includes a support ring 551 and a support base 553.

상기 지지링(551)은, 상기 탄성부(53)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어댑터부(60) 내에 고정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지링(551)은 어댑터부(60)의 내주면 상에 함입되어 상기 지지링(551)을 수용하는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 상에 안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링(551)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링(551)의 중간에 고리의 연결을 차단한 슬롯부(5511)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지지링(551)의 외경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링(551)을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 상에 넣을 경우 상기 지지링(551)의 외경을 축소시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위치 설정이 된 이후에는 상기 지지링(551)의 외경이 원래의 크기로 변화하여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The support ring 551 refers to a component fixed within the adapter portion 60 to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The support ring 551 may be embed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portion 60 and placed on the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that accommodates the support ring 551. This support ring 551 includes a slot portion 5511 that blocks the connection of the ring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ring 551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ing 551 changes due to external force. make it possible Therefore, when inserting the support ring 551 into the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ing 551 is reduced to facilitate insertion, and after positioning, the support ring 551 The outer diameter changes to its original size so that it is stably fixed on the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상기 지지베이스(553)는, 상기 지지링(551) 상에 안치되어 상기 코어부(51)와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지베이스(553)는 상기 코어부(51)의 승하강을 가이드 하면서 상기 탄성부(53)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도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지지베이스(553)는, 기초부(5531), 컬럼부(5533), 빔부(5535)를 포함한다.The support base 55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placed on the support ring 551 and coupled to the core portion 51. The support base 553 guides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51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Referring to FIG. 13, the support base 553 includes a base portion 5531, a column portion 5533, and a beam portion 5535.

상기 기초부(5531)는, 상기 지지링(551)과 접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기초부(553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5531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ing 551. The shape of the base portion 5531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but is preferably ring-shaped as shown in FIG. 13. It can be configured.

상기 컬럼부(5533)는, 상기 기초부(5531)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코어샤프트(515)를 수용하는 수용홀(55331)이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부(5533)는 상기 수용홀(55331) 내부에 코어샤프트(515)를 수용하여 코어부(51)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탄성부(53)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홀(55331)의 형상은 상기 코어샤프트(515)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53)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안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umn portion 553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5531 and has a receiving hole 55331 for receiving the core shaft 515. As shown in FIG. 13, the column portion 5533 accommodates the core shaft 515 inside the receiving hole 55331 to stably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51, and the elastic portion 53 Make sure it does not deviate from its correct position. To this end, the shape of the receiving hole 5533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ore shaft 515,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elastic portion 53. It can be.

상기 빔부(5535)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기초부(5531)와 상기 컬럼부(5533)를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빔부(5535)의 일단은 상기 기초부(5531)에 연결이 되고, 상기 빔부(5535)의 타단은 상기 컬럼부(5533)에 연결이 되는바, 이러한 상기 빔부(5535)에 의해 상기 기초부(5531)와 상기 컬럼부(5533)는 일체화 거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빔부(5535)에 의해 유체의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빔부(553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부(5533)를 중심으로 복수의 빔부(5535)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방사상 형태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am portion 553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base portion 5531 and the column portion 5533 while forming a flow path. One end of the beam portion 5535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5531, and the other end of the beam portion 5535 is connected to the column portion 5533. By this beam portion 5535, the base portion 5535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5531. (5531) and the column portion (5533) can be integrated. In order to prevent the fluid flow path from being blocked by the beam unit 5535, the beam unit 5535 has a plurality of beam units 5535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centered on the column unit 5533, as shown in FIG. It can be composed of a shape that extends into a shape.

상기 어댑터부(6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바디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말하며, 그 구성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러한 상기 어댑터부(60)는 어댑터몸체(61), 어댑터수용홀(63), 어댑터걸림턱(65),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을 포함한다.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부(50)에 스커트(4511)가 구성되지 않는바, 상기 스커트(4511)를 수용하기 위한 어댑터걸림홈(67) 대신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이 구성되는 차이가 있다.The adapter portion 60 refers to a component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that forms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and its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The adapter portion 60 includes an adapter body 61, an adapter receiving hole 63, an adapter locking protrusion 65, and an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is that in this embodiment, the skirt 4511 is not formed in the blocking portion 50, and instead of the adapter locking groove 67 for accommodating the skirt 4511,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상기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은, 탄성부(53)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링(551)을 고정하기 위하여, 어댑터몸체(61)의 내주면 상에 상기 지지링(551)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함입된 홈을 말한다. 외력을 가해 지지링(551)의 외경 크기 축소시키면서 지지링(551)을 어댑터몸체(61) 내부 공간으로 밀어 넣고,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 상에 지지링(551)이 위치 설정되었을 때 그 외경의 크기가 원래대로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지지링수용홈(69) 상에 상기 지지링(551)을 용이하게 안치시키고, 안치된 지지링(551)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The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support ring 551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in order to fix the support ring 551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It refers to a groove indented in a complementary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ing 551, the support ring 551 is push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dapter body 61, and the support ring 551 is positioned on the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By restoring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to its original state, the support ring 551 can be easily placed on the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69, and the placed support ring 551 can be stably fixed.

상기 차단방지부(70)는, 상기 바디부(10)가 상기 어댑터부(6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5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50)를 가압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차단방지부(70)는, 실린더부(71)와, 캔틸레버부(73)를 포함한다.The blocking prevention part 7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uid from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50 when the body part 10 is coupled to the adapter part 60.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presses, and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includes a cylinder portion 71 and a cantilever portion 73.

상기 실린더부(71)는, 상기 차단부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차단부(50)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실린더부(71)는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헤드(511)가 시트부(19)의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바,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비해 상기 실린더부(71)의 수직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71)의 수직 길이를 짧게 구성할 경우에는, 실린더부(71)의 안정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The cylinder portion 71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med to contact the blocking portion 50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blocking portion. The cylinder portion 71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In this embodiment, the core head 511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of the seat portion 19. As compared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9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length of the cylinder portion 71 can be configured to be shorter.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cylinder portion 71 is shortened, the stability of the cylinder portion 71 becomes higher.

상기 캔틸레버부(73)는, 상기 실린더부(7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50)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71)가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캔틸레버부(73)는 상기 어댑터걸림턱(65)에 의해 상기 어댑터수용홀(63)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부(73)는 상기 실린더부(71)가 상기 차단부(50)의 상승을 제한할 때, 상기 시트부(19)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71)가 상기 차단부(50)의 상승을 제한할 때, 일측은 상기 시트부(19)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어댑터걸림턱(65)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ntilever portion 73 extends from the cylinder portion 71 and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limits the cylinder portion 71 from being pushed up by the blocking portion 50. The cantilever portion 73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63 by the adapter stopping protrusion 65, and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n addition, the cantilever portion 73 is formed to contact the seat portion 19 when the cylinder portion 71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50, and as shown in FIG. 14, the When the cylinder portion 71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50, one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 19 and the other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adapter stopper 65.

도 15를 참고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어댑터몸체(61)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몸체(61)의 하측에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상기 어댑터몸체(61) 상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소켓(S)이 체결될 수 있어 상기 어댑터몸체(61)에 파이프(P)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5, 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s well,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61, and a screw thread as shown in FIG. 1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dapter body 61. When this is formed, a connection socket (S) having a thread of a complementary shape can be fastened to the adapter body (61),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pipe (P) to the adapter body (61).

도 16은 도 12에 따른 앵글 밸브(1)에서 어댑터부(60)로부터 바디부(10)가 분리되기 이전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17은 도 12에 따른 앵글 밸브(1)에서 어댑터부(60)로부터 바디부(10)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16 is a use state diagram before the body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60 in the angle valve 1 according to FIG. 12, and 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adapter portion 60 in the angle valve 1 according to FIG. 12. ) This is a state of use when the body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

도 16에서는 차단방지부(70)에 의해 탄성력에 의한 차단부(40)의 상승이 억제되고 있는바, 디스크부(25)에 의해 시트연통홀(191)이 폐쇄되지 않았다면, 유입부(13)로 들어온 유체(F)가 본체부(11)를 지나 유출부(15)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밸브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해 상기 바디부(10)를 어댑터부(6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차단방지부(70)가 제거되면서 차단부(50)가 탄성부(5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해 시트연통홀(191)을 폐쇄하게 되는바, 밸브 전단에서 유체 공급 자체를 차단하지 않았더라도 시트연통홀(191)이 막히게 되면서 유체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나타난다.In FIG. 16,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40 due to elastic force is suppress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If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s not closed by the disk portion 25, the inlet portion 13 The fluid (F) entering the body can pass through the main body 11 and move toward the outlet 15, and when the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60 for maintenance of the valve, etc., blocking is prevented. As the part 70 is removed, the blocking part 50 rise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53 and closes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Even if the fluid supply itself is not blocked at the front end of the valve,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s closed. As (191) is blocked, external leakage of fluid is prevented.

도 18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어댑터부(60)가 구성되어, 기존의 설비에도 적용가능한 앵글 밸브(1)가 제시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부(60) 없이 앵글 밸브(1)를 구성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을 위주로 살핀다.18 to 25 show an angle valv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17, an adapter unit 60 is configured and an angle valve 1 that can be applied to existing equipment is present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valve 1 is configured without an adapter unit 60. There is a difference. Below, we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c-c' 단면도로,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는, 바디부(10), 조정부(20), 연장부(30), 차단부(40)를 포함한다.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c-c' of Figure 18. Referring to Figures 18 and 19, the angle val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 includes a body portion 10, an adjustment portion 20, an extension portion 30, and a blocking portion 40.

상기 바디부(1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바디부(1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빈 공간인 제1챔버(111)를 형성하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부(11)와 연결되며 상기 제1챔버(111)와 연통된 제2챔버(131)를 형성하는 유입부(131)와, 상기 본체부(11)의 제1챔버(111)와 상기 유입부(13)의 제2챔버(131)를 구분 지으면서 상기 제1챔버(111)와 상기 제2챔버(131)를 연통시키는 시트연통홀(191)이 형성된 시트부(191)를 포함한다.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바디부(10)의 유입부(13) 상에는 걸림홈(133)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The body portion 1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The body portion 10 includes a body portion 11 forming a first chamber 111, which is an empty space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and a body portion 11 so that fluid flows into the body portion 11. An inlet 131 that is connected to and forms a second chamber 131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first chamber 111 of the main body 11 and the inlet 13 It includes a seat portion 191 formed with a seat communication hole 191 that divides the second chamber 131 and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second chamber 131. Contents not separately explained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However,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locking groove 133 is formed on the inlet 13 of the body 10.

상기 걸림홈(133)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13)의 내주면 상에 함입되어 지지몸체(451)에 형성된 스커트(4511)를 수용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어댑터부(60)가 구성되어 스커트(4511)가 어댑터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어댑터걸림홈(67)에 수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부(60)가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스커트(4511)를 수용하는 홈이 유입부(13)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The locking groove 13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reces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13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ccommodates the skirt 4511 formed on the support body 451. 2 to 8, the adapter part 60 is configured so that the skirt 4511 is accommodated in the adapter locking groove 67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part 60.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adapter part 60 ) is not configur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groove accommodating the skirt 4511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3.

상기 조정부(20)는, 상기 바디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언급한 조정부(20)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adjusting unit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e contents of the adjusting unit 20 mentioned when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8 above are as follows. This can be applied equally.

상기 연장부(30)는, 후술할 차단부(40)가 상기 조정부(2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포함되었던 차단방지부(70)가 생략되기 때문에, 차단부(40)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체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30)를 구성해 조정부(20)에 의한 가압력이 연장부(30)를 통해 차단부(40)로 전달되어 차단부(40)의 원하지 않는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조정부(20)가 연장부(30)를 통해 차단부(4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차단부(40)에 의한 유로의 차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정부(20)가 연장부(30)를 통해 차단부(4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단부(40)에 의해 유체의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3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부(20)로부터 상기 차단부(4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조정부(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40)로부터 상기 조정부(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타단이 상기 차단부(40)에 결합되고 일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extension part 30 refers to a structure formed so that the blocking par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ressed by the adjusting part 20.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70 includ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8 is omitted, an alternative means for preventing the blocking portion 40 from rising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part 30 is configur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from the adjustment part 20 is transmitted to the blocking part 40 through the extension part 30 to prevent the blocking part 40 from rising undesirably. . When the adjusting part 20 presses the blocking part 40 through the extension part 30, blocking of the flow path by the blocking part 40 can be prevented, and the adjusting part 20 is connected to the extending part 30. ), if the blocking unit 40 is not pressurized, the fluid flow path may be blocked by the blocking unit 40. Preferably, the extension portion 3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extension portion 30 extends from the adjustment portion 20 toward the blocking portion 40, with one end coupled to the adjustment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free end.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22 and 23, i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locking portion 40 toward the adjusting portion 20, with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locking portion 40 and one end forming a free end. It could be.

상기 차단부(40)는,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바디부(1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차단부(40)의 구성은 전반적으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나,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차단부(40)가 어댑터부(60) 내에 고정된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의 차단부(40)는 바디부(10)의 유입부(13) 내에 고정되는 차이가 있다. 상기 차단부(40)는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바디부(10)에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 하는 범위 내에서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기존의 앵글 밸브와 같이 디스크부(25)로 시트연통홀(191)을 막아 유체의 이동을 막고, 디스크부(25)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하면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유지 보수 등을 위해 상기 조정부(20)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차단부(4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한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차단부(40)는 코어부(41), 탄성부(43), 지지부(45)를 포함한다.The blocking portion 4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adjusting portion 20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0. The configuration of this blocking portion 40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to 8. However, while the blocking portion 40 in the embodiment of FIGS. 2 to 8 is fixed within the adapter portion 60, The difference is that the blocking portion 40 in this embodiment is fixed within the inlet portion 13 of the body portion 10. The blocking portion 40 does not block the movement of flui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adjusting portion 20 is raised and lowered whil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Through this, like a conventional angle valve,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s blocked with the disk part 25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uid, and the flow rate of the flui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raising and lowering of the disk part 25. When the adjusting unit 20 is removed for maintenance, etc.,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blocking unit 40. 19 to 21, the blocking portion 40 includes a core portion 41, an elastic portion 43, and a support portion 45.

상기 코어부(41)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코어부(41)는, 코어헤드(411), 코어플랜지(413), 코어샤프트(415)를 포함한다.The core portion 41 refers to a structure formed to enable raising and lowering. The core portion 41 includes a core head 411, a core flange 413, and a core shaft 415.

상기 코어헤드(411)는, 상기 연장부(30)를 통해 상기 조정부(20)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을 말하며, 탄성부(43)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함입 형성된 수용홈(4111)을 포함한다.The core head 411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pressed by the adjustment part 20 through the extension part 30, and includes a receiving groove 4111 recessed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43.

상기 코어플랜지(413)는, 상기 코어헤드(41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연장부(30)를 통해 상기 차단부(40)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플랜지(413)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다.The core flange 413 is configur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core head 411, and in a state where the adjusting part 20 does not pressurize the blocking part 40 through the extending part 30, the core flange 413 extends radially from the core head 411.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flange 413.

상기 코어샤프트(415)는, 상기 코어부(4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코어플랜지(4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코어샤프트(415) 주변에는 탄성부(43)가 상기 코어샤프트(415)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re shaft 415 refers to a configuration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413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41. An elastic portion 43 may be formed around the core shaft 415 to surround the core shaft 415 .

상기 탄성부(43)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코어부(41)를 가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41)를 가압하는 구성을 말한다.The elastic portion 4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sses the core portion 4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ing portion 20 presses the core portion 41 by elastic force.

상기 지지부(45)는, 상기 탄성부(43)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45)는, 지지몸체(451), 지지소켓(453), 지지실링(455)을 포함한다.The support portion 4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43. The support portion 45 includes a support body 451, a support socket 453, and a support seal 455.

상기 지지몸체(451)는, 상기 바디부(10) 내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43)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코어부(4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몸체(451)는 스커트(4511)와 코어샤프트수용홀(4513)을 포함한다.The support body 451 is fixed within the body portion 10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43 while guid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41. This support body 451 includes a skirt 4511 and a core shaft receiving hole 4513.

상기 스커트(4511)는, 상기 지지부(45)를 상기 바디부(10)에 고정하면서 상기 바디부(10)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스커트(4511)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몸체(451)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커트(4511)는 상기 바디부(10)의 걸림홈(133) 상에 안치될 수 있다.The skirt 4511 refers to a component that fixes the support part 45 to the body part 10 and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to the body part 10 can pass. The skirt 4511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spreads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451 toward the end. The skirt 4511 may be placed on the locking groove 133 of the body portion 10.

상기 코어샤프트수용홀(4513)은, 상기 코어부(41)의 승하강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코어부(41)의 승하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샤프트(415)를 수용하는 구멍을 말한다.The core shaft receiving hole 4513 refers to a hole accommodating the core shaft 415 extending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ore portion 41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41.

상기 지지소켓(453)은, 상기 지지몸체(451) 상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지소켓(453)은 상기 지지몸체(451)와 결합되는 부분인 연결부(4531)와, 상기 지지부(40)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연결부(4531)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는 부분인 축경부(4533)와, 상기 지지소켓(453)의 외주면 상에 함입된 부분인 함입부(4535)와, 상기 함입부(4535) 상에 안치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링부(453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socket 453 is formed on the support body 451 to prevent fluid leakage. The support socket 453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4531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body 451, and a reduced-diameter portion 4533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4531 to reduce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portion 40. ), a recessed portion 4535, which is a recessed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ocket 453, and an O-ring portion 4537 placed on the recessed portion 4535 to prevent fluid leakage. .

상기 지지실링(455)은, 상기 지지소켓(453)과 상기 지지몸체(451)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지실링(455)은 상기 연장부(30)를 통해 상기 조정부(20)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코어헤드(41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플랜지(413)와 접촉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한다.The support seal 455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socket 453 and the support body 451 to prevent fluid leakage. The support seal 455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by contacting the core flange 413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ore head 411 pressed by the adjustment part 20 through the extension part 30.

도 24는 도 19의 앵글 밸브(1)에서 연장부(30)가 차단부(40)를 가압할 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도 19의 앵글 밸브(1)에서 연장부(30)가 차단부(40)를 가압하지 않을 때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use state when the extension part 30 pressurizes the blocking part 40 in the angle valve 1 of FIG. 19, and FIG. 25 shows the extension part 1 in the angle valve 1 of FIG. 19. This is a state diagram when (30) does not pressurize the blocking unit (40).

도 24를 참고하면, 도 24에는 조정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부(30)가 차단부(40)의 상승을 막고 있는바, 차단부(40)가 유체의 유로를 폐쇄하지 못하고, 디스크부(25)에 의해 시트연통홀(191)이 폐쇄되지도 않아, 유입부(13) 측에서 흘러든 유체(F)가 본체부(11)를 통과해 유출부(15)로 흘러가는 것이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24, in FIG. 24, the extension portion 30 extending from the adjustment portion 20 prevents the blocking portion 40 from rising, so the blocking portion 40 cannot close the fluid flow path and the disk portion It is shown that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is not closed by (25), and the fluid F flowing from the inlet part 13 passes through the main body part 11 and flows to the outlet part 15. .

반면에, 도 25에는 조정부(20)가 바디부(10)로부터 분리되면서, 조정부(20)가 연장부(30)를 통해 차단부(40)를 가압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고, 이때 차단부(40)의 코어부(41)가 탄성부(43)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코어플랜지(413)와 지지실링(455)이 밀착 접촉하게 됨에 따라 유체의 유로가 폐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유체의 공급 자체를 차단하지 않고서도 조정부(20)를 분리해 유지 보수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FIG. 25, as the adjusting unit 20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0, the adjusting unit 20 is unable to press the blocking portion 40 through the extension portion 30. At this time, the blocking portion 40 It is shown that as the core portion 41 of ) is raised by the elastic portion 43, the core flange 413 and the support seal 455 come into close contact, thereby closing the fluid passage.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work, etc. by separating the adjustment unit 20 without blocking the supply of fluid itself.

도 26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 역시, 도 2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포함된 어댑터부(60)의 구성을 제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앵글 밸브(1)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부(50)의 형상이 전술한 도 10 내지 도 17의 실시예와 유사한 특징이 있는바,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른 본 실시예의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겠다.26 to 31 show an angle valv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embodiment also ex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adapter unit 60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FIGS. 2 to 17. It features an angle valve (1) that is easy to maintain.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locking portion 50 has features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FIGS. 10 to 17. Hereinafter, features of this embodiment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d-d' 단면도로, 도 26 및 도 2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앵글 밸브(1)는, 바디부(10), 조정부(20), 차단부(50)를 포함한다.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gle valv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7 is a cross-sectional view d-d' of Figure 26. When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6 and 27,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ngle valve 1 includes a body portion 10, an adjustment portion 20, and a blocking portion 50.

상기 바디부(1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디부(1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빈 공간인 제1챔버(111)를 형성하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부(11)와 연결되며 상기 제1챔버(111)와 연통된 제2챔버(131)를 형성하는 유입부(13)와, 상기 본체부(11)의 제1챔버(111)와 상기 유입부(13)의 제2챔버(131)를 구분 지으면서 상기 제1챔버(111)와 상기 제2챔버(131)를 연통시키는 시트연통홀(191)이 형성된 시트부(1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부(60)가 구성되지 않는바, 상기 유입부(13)의 내주면에는 지지부(55)의 지지링(551)이 안치될 수 있는 홈인 지지링수용홈(135)이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The body portion 10 is configured to form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and the body portion 10 forms a first chamber 111, which is an empty space within which fluid can flow. 11) and an inlet portion 13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 so that fluid flows into the main body 11 and forming a second chamber 131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hamber 111, A sheet communication that divides the first chamber 111 of the main body 11 and the second chamber 131 of the inlet 13 and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second chamber 131. It includes a sheet portion 19 in which a hole 191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adapter part 60 is not configured,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art 13 includes a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135, which is a groove in which the support ring 551 of the support part 55 can be placed. There is a characteristic.

상기 조정부(20)는, 상기 바디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8 내지 도 25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부(20)에 의한 가압력을 차단부(4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장부(30)가 구성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30)를 제외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부(20)에 관한 도 10 내지 도 17의 설명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unit 10 and controls the flow rate of flu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18 to 25,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an extension part 30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by the adjustment unit 20 to the blocking part 40, but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part 30 is used. There are features excluded. Therefore, the descriptions of FIGS. 10 to 17 regarding the adjustment unit 20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차단부(50)는,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바디부(1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50)는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바디부(10)에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 하는 범위 내에서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차단부(50)는, 코어부(51)와, 탄성부(53)와, 지지부(55)를 포함한다.The blocking portion 5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adjusting portion 20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0. Preferably, the blocking part 50 may be configured not to block the movement of flui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adjusting part 20 is raised and lowered while coupled to the body part 10. Referring to FIGS. 27 and 28 , the blocking portion 50 includes a core portion 51, an elastic portion 53, and a support portion 55.

상기 코어부(51)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도 10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포함된 차단부(50)와 유사하다.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코어부(51)는, 코어헤드(511), 코어플랜지(513), 코어샤프트(515)를 포함한다.The core portion 51 is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is similar to the blocking portion 50 includ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0 to 17. Referring to FIGS. 27 and 28 , the core portion 51 includes a core head 511, a core flange 513, and a core shaft 515.

상기 코어헤드(511)는,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코어헤드(511)는, 코어헤드(511)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코어플랜지(513)로부터 탄성부(53)에 의한 가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헤드중심부(5111)와, 상기 헤드중심부(5111)를 기준으로 유로를 형성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헤드방사부(5113)을 포함한다.The core head 511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The core head 51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re head 511 and is elastically released from the core flange 513. It includes a head center portion 5111 extending in the pressing direction by the portion 53, and a head radiating portion 5113 extending radially while forming a flow path based on the head center portion 5111.

상기 코어플랜지(513)는, 상기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코어헤드(51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플랜지(513)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상기 코어플랜지(513)는 플랜지단턱부(5131), 플랜지실링부(5133), 플랜지받침부(5135)를 포함한다.The core flange 513 is formed so that it cannot pass through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When the adjusting unit 20 does not pressurize the core head 511,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core flange 513. The core flange 513 includes a flange step portion 5131, a flange sealing portion 5133, and a flange support portion 5135.

상기 플랜지단턱부(5131)는, 상기 시트부(19)와 접촉하는 부분에 단턱을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플랜지단턱부(5131)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후술할 플랜지실링부(5133)가 안치될 수 있다.The flange step portion 5131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step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 19. A flange sealing portion 51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lac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lange step portion 5131.

상기 플랜지실링부(5133)는, 상기 플랜지단턱부(5131)에 안치되며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코어헤드(51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부(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트부(19)의 하면과 밀착 접촉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말한다.The flange sealing part 5133 is placed on the flange step part 5131, and the seat part ( 19)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by making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vice.

상기 플랜지받침부(5135)는, 상기 탄성부(53)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어플랜지(513)의 외경을 축소시킨 부분을 말한다.The flange support portion 5135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e flange 513 is reduced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상기 코어샤프트(515)는, 상기 코어부(5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코어플랜지(5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The core shaft 515 refers to a configuration extending from the core flange 513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ortion 51.

상기 탄성부(53)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정부(20)가 상기 코어부(51)를 가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51)를 가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코어샤프트(515) 주변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lastic portion 5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esses the core portion 5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ing portion 20 presses the core portion 51 by elastic force. The elastic portion 53 is formed to surround the core shaft 515.

상기 지지부(55)는, 상기 탄성부(53)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0 내지 도 17에서는 어댑터부(60)가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55)까 어댑터부(60)에 고정된 특징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55)가 유입부(13)에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지지부(55)는, 지지링(551), 지지베이스(553)를 포함한다.The support portion 5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10 to 17, the adapter part 60 is configured and fixed to the support part 55 to the adapter part 60, but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art 55 is fixed to the inlet part 13. There is a characteristic. Referring to FIGS. 27 and 28, the support portion 55 includes a support ring 551 and a support base 553.

상기 지지링(551)은, 상기 탄성부(53)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유입부(13) 내에 고정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지링(551)은 상기 유입부(13)의 내주면 상에 함입되어 상기 지지링(551)을 수용하는 지지링수용홈(135) 상에 안치된다. 상기 지지링(551)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경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도록 중간에 고리의 연결을 차단한 슬롯부(5511)를 포함한다.The support ring 551 refers to a component fixed within the inlet portion 13 to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The support ring 551 is embed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3 and is placed on the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135 that accommodates the support ring 551. The support ring 551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ncludes a slot portion 5511 in the middle that blocks the connection of the ring so that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can be changed.

상기 지지베이스(553)는, 상기 지지링(551) 상에 안치되어 상기 코어부(51)와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베이스(553)는 기초부(5531), 컬럼부(5533), 빔부(5535)를 포함한다.The support base 55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placed on the support ring 551 and coupled to the core portion 51. The support base 553 includes a base portion 5531, a column portion 5533, and a beam portion 5535.

상기 기초부(5531)는, 상기 지지링(551)과 접하는 구성으로, 이를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5531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ing 551, and although it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it may be configured in a ring shape as shown in FIGS. 27 and 28.

상기 컬럼부(5533)는, 상기 기초부(5531)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코어샤프트(515)를 수용하는 수용홀(55331)이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컬럼부(5533)는 상기 탄성부(53)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53)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The column portion 553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5531 and has a receiving hole 55331 formed to accommodate the core shaft 515. The column portion 5533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portion 53 to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3.

상기 빔부(5535)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기초부(5531)와 상기 컬럼부(5533)를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빔부(5535)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빔부(553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할 수 있다.The beam portion 553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base portion 5531 and the column portion 5533 while forming a flow path. There may be a plurality of beam units 5535, and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beam units 5535 may be constant.

도 29 내지 도 31은 도 27의 앵글 밸브(1)에 관한 사용 상태도로, 이하에서는 도 29 내지 도 31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Figures 29 to 31 are usage state diagrams for the angle valve 1 of Figure 27,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ures 29 to 31.

도 29는 도 27의 앵글 밸브(1)에서 조정부(2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 도 29를 참고하면, 코어헤드(511)가 시트연통홀(191)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별도의 연장부(30)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코어헤드(511)가 조정부(20)의 단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디스크부(25)가 시트부(19)의 시트연통홀(191)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유입부(13)로부터 유입된 유체(F)가 본체부(11) 측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Figure 29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adjustment unit 20 in the angle valve 1 of Figure 27. Referring to Figure 29, the core head 511 opens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Since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a separate extension part 30 is not required, and the disk part 25 is connected to the seat part 19 in a state where the core head 511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adjusting part 20. Since the communication hole 191 is closed, the fluid F flowing in from the inlet 13 cannot enter the main body 11.

도 30은 도 27의 앵글 밸브(1)에서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 도 30을 참고하면, 도 29와 달리, 도 30에서는 조정부(20)가 차단부(40)의 코어헤드(511)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승하여 시트연통홀(191)이 개방되고, 조정부(20)에 의해 가압된 차단부(50)가 시트연통홀(191)을 막지 못하게 됨으로써, 유입부(13)로 들어온 유체(F)가 본체부(11)를 지나 유출부(15)로 흘러가고 있다.Figure 30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fluid is not blocked in the angle valve 1 of Figure 27. Referring to Figure 30, unlike Figure 29, in Figure 30, the adjusting unit 20 is blocked by the blocking unit 40. As it rises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core head 511,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is opened, and the blocking part 50 pressed by the adjusting part 20 is prevented from blocking the sheet communication hole 191, so that the inlet part The fluid (F) entering (13) passes through the main body (11) and flows to the outlet (15).

도 31은 도 27의 앵글 밸브(1)에서 차단부(50)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 유지 보수 등을 위해 조정부(20)가 바디부(10)로부터 분리가 되면, 더이상 차단부(50)의 코어헤드(511)가 조정부(20)에 의한 상승 제한을 받지 않게 되므로, 탄성부(53)의 탄성력에 의해 코어헤드(511)가 상승하게 되고, 코어플랜지(513)에 안치된 플랜지실링부(5133)가 시트부(19)의 하면에 밀착 접촉하게 되면서 시트연통홀(191)을 폐쇄시키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부(20)가 분리되었음에도 유체의 유로가 차단되는바, 작업자는 유체 공급 자체를 차단하지 않고서도 유지 보수 등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Figure 3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50 in the angle valve 1 of Figure 27, and the adjusting part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0 for maintenance, etc. Then, since the core head 511 of the blocking unit 50 is no longer restricted from rising by the adjusting unit 20, the core head 511 rise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53, and the core flange ( The flange sealing portion 5133 placed in 513)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9, thereby closing the seat communication hole 191. Ultimat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flow path is blocked even though the adjustment unit 20 is separated, so the worker can perform work necessary for maintenance, etc., without blocking the fluid supply itself.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technology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xamples illustrat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bov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dditionall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as well.

1: 앵글 밸브
10: 바디부
11: 본체부
111: 제1챔버
13: 유입부
131: 제2챔버
133: 걸림홈
135: 지지링수용홈
15: 유출부
151: 제3챔버
17: 연결부
171: 제4챔버
173: 암나사산
175: 수나사산
19: 시트부
191: 시트연통홀
20: 조정부
21: 핸들부
23: 승하강부
231: 승하강스템
233: 승하강결합수단
25: 디스크부
27: 체결부
271: 체결와셔
273: 체결개스킷
275: 체결커버
30: 연장부
40: 제1차단부
41: 코어부
411: 코어헤드
4111: 수용홈
413: 코어플랜지
415: 코어샤프트
43: 탄성부
45: 지지부
451: 지지몸체
4511: 스커트
4513: 코어샤프트수용홀
453: 지지소켓
4531: 연결부
4533: 축경부
4535: 함입부
4537: 오링부
455: 지지실링
50: 제2차단부
51: 코어부
511: 코어헤드
5111: 헤드중심부
5113: 헤드방사부
513: 코어플랜지
5131: 플랜지단턱부
5133: 플랜지실링부
5135: 플랜지받침부
515: 코어샤프트
53: 탄성부
55: 지지부
551: 지지링
5511: 슬롯부
553: 지지베이스
5531: 기초부
5533: 컬럼부
55331: 수용홀
5535: 빔부
60: 어댑터부
61: 어댑터몸체
611: 어댑터챔버
613: 수나사산
63: 어댑터수용홀
65: 어댑터걸림턱
67: 어댑터걸림홈
69: 어댑터지지링수용홈
70: 차단방지부
71: 실린더부
73: 캔틸레버부
1: Angle valve
10: Body part
11: main body
111: First chamber
13: inlet
131: Second chamber
133: Locking groove
135: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15: outlet
151: Third chamber
17: Connection part
171: Chamber 4
173: Female thread
175: Male thread
19: Seat part
191: Seat communication hole
20: Control unit
21: handle part
23: Elevation and descent section
231: Raising and lowering stem
233: Raising and lowering combination means
25: Disk part
27: fastening part
271: fastening washer
273: Fastening gasket
275: Fastening cover
30: extension part
40: first blocking section
41: core part
411: Core head
4111: Acceptance home
413: Core flange
415: core shaft
43: elastic part
45: support part
451: Support body
4511: skirt
4513: Core shaft receiving hole
453: Support socket
4531: Connection
4533: Reduction part
4535: Indentation
4537: O-ring part
455: Support ceiling
50: second blocking unit
51: core part
511: core head
5111: Head center
5113: Head radiation department
513: Core flange
5131: Flange step
5133: Flange sealing part
5135: Flange support part
515: core shaft
53: elastic part
55: support
551: support ring
5511: Slot portion
553: Support base
5531: Foundation
5533: Column part
55331: Receiving hall
5535: Beambu
60: adapter part
61: Adapter body
611: Adapter chamber
613: Male thread
63: Adapter receiving hole
65: Adapter locking jaw
67: Adapter locking groove
69: Adapter support ring receiving groove
70: Blocking prevention unit
71: Cylinder part
73: Cantilever part

Claims (15)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바디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기 어댑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를 가압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n adapter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forming a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a blocking portion that prevents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bod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dapter portion;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nti-block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to press the b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movement of fluid from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adap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방지부는, 상기 차단부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차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 cylinder portion formed to contact the blocking portion to limit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방지부는,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가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캔틸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is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ntilever part that extends from the cylinder part and restricts the cylinder part from being pushed up by the block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어댑터챔버를 형성하면서 상기 바디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몸체와, 상기 어댑터몸체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챔버와 연통되는 어댑터수용홀과, 상기 어댑터수용홀 주변으로 걸림턱을 형성하는 어댑터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dapter part includes an adapter bod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while forming an adapter chamber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and an adapter receiving hole that is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ide of the adapter body to the other 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adapter chamber,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dapter locking protrusion forming a locking protrusion around the adapter receivi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어댑터수용홀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어댑터걸림턱에 의해 상기 어댑터수용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ylinder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tilever portion is formed by the adapter locking protrusion to prevent it from passing through the adapter receiving ho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빈 공간인 제1챔버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된 제2챔버를 형성하는 유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챔버와 상기 유입부의 제2챔버를 구분 지으면서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시트연통홀이 형성된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시트연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5,
The body part forms a main body part that forms a first chamber, which is an empty space inside which fluid can flow, and a second cha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mber so that fluid flows into the main body part. an inlet portion, and a seat portion formed with a seat communication hole that separates the first chamber of the main body portion from the second chamber of the inlet portion and communicates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tilever portion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seat communication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차단부의 상승을 제한할 때, 상기 시트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6,
The cantilever portion is formed to contact the seat portion when the cylinder portion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실린더부가 상기 차단부의 상승을 제한할 때, 일측은 상기 시트부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어댑터걸림턱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6,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tilever part is formed so that when the cylinder part limits the rise of the blocking part,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seat part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adapter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코어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단방지부가 상기 코어부를 가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core portion formed to enable raising and lowering, an elastic portion that presses the cor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presses the core portion by elastic force, and a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차단방지부에 의해 가압되는 코어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9,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part includes a core head press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헤드는, 상기 탄성부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함입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re head is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헤드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코어플랜지에 의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re portion includes a core flang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ore head, and the movement of fluid is blocked by the core flange when the blocking prevention portion does not pressurize the block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댑터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코어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어댑터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어댑터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9,
The support part includes a support body that is fixed within the adapter part and guides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ore part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The suppor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kirt that secures the support part to the adapter part and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to the adapter part can pas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어댑터몸체의 내주면 상에 함입되어 상기 스커트를 수용하는 어댑터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13,
The adapter part is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dapter locking groove that is reces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apter body and accommodates the skir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몸체 상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지지소켓과, 상기 지지소켓과 상기 지지몸체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지지실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실링은, 상기 차단방지부에 의해 가압되는 코어헤드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코어플랜지와 접촉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 밸브.
According to clause 13,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socket formed on the support body to prevent fluid leakage, and a support seal formed between the support socket and the support body to prevent fluid leakage,
The support seal is an angl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the movement of fluid by contacting a core flange formed radially extending from the core head pressed by the blocking prevention part.
KR1020220108758A 2022-08-29 2022-08-29 Angle Valve KR202400301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758A KR20240030127A (en) 2022-08-29 2022-08-29 Angle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758A KR20240030127A (en) 2022-08-29 2022-08-29 Angle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127A true KR20240030127A (en) 2024-03-07

Family

ID=9027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758A KR20240030127A (en) 2022-08-29 2022-08-29 Angle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12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99B1 (en) 2009-12-07 2010-07-22 엄영호 Angle valve for water me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99B1 (en) 2009-12-07 2010-07-22 엄영호 Angle valve for water m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043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for water supply
US20050051214A1 (en) Valve assembly for pressurized fluid vessel
KR20070012356A (en) Fluid controller
KR20240030127A (en) Angle Valve
KR20240030128A (en) Angle Valve
KR20240030130A (en) Angle Valve
KR20240030129A (en) Angle Valve
KR101551422B1 (en) Gas valve for preventing the reverse folw of water
US20160069470A1 (en) Hydraulic valve
KR200464589Y1 (e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having ball type angle valve
KR101280572B1 (en) Apparatus for water supply pipes
KR101663070B1 (en) Flow control valve and hot water distributor
US9631351B2 (en) Hydraulic valve adapter
JP2013029183A (en) Combination faucet
US3032272A (en) Swingable water fountain
KR20040080953A (en) pilot valves functioning relief and depressurization
US20210046498A1 (en) Sprinkler elbow connector with integral pressure regulator
KR20170099720A (en) Safety valve with spring
US996346A (en) Flushing-valve.
KR101138956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US506145A (en) James m
US1247643A (en) Float-valve.
KR102669059B1 (en) Vertical integrated water faucet
KR100951619B1 (en) Pressure maintenance valve
US1024961A (en) Fauc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