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095A -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095A
KR20240030095A KR1020220108695A KR20220108695A KR20240030095A KR 20240030095 A KR20240030095 A KR 20240030095A KR 1020220108695 A KR1020220108695 A KR 1020220108695A KR 20220108695 A KR20220108695 A KR 20220108695A KR 20240030095 A KR20240030095 A KR 20240030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probe
fluid
prob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웅
민병훈
문웅진
Original Assignee
이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095A/ko
Publication of KR2024003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4Handpiece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suction as well as irrigation, either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58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by means of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신체 조직으로 유체를 배출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석션하는 프로브 유닛, 신체 조직으로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체를 펌핑하는 펌핑 유닛, 상기 프로브 유닛과 상기 펌핑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프로브 유닛이 결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파지부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의 하측에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펌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 조립체를 포함하며, 유체 공급 장치로부터 식염수 등 유체가 약한 압력으로 공급되더라도 펌핑 유닛이 식염수 등 유체를 펌핑하여 프로브 유닛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Medical fluid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절경 치료는 관절에 약 1cm 미만의 작은 절개 구멍을 2~4개 내고 작은 카메라와 수술용 기구를 삽입하여 카메라를 통해 관절 안을 살펴보면서 수술을 하는 방법으로, 반월상 연골판 손상, 슬관절 인대 손상, 관절 연골 손상 등 많은 병변에서 고려될 수 있으며, 점차 관절경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만큼 슬관절의 여러 질환에 관하여 적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인체 내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위하여 복부 등을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홀 크기의 절개부위만으로도 수술하는 기술로서 카메라가 부착된 복강경을 뱃속으로 넣어 수술을 하는 복강경 수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술 과정에서 신체 조직에 식염수를 배출하거나 혈액, 조직 또는 뼈 등을 석션하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기구(핸드피스)에는 식염수 배출에 필요한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치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 낮은 압력으로 식염수가 공급되는 경우, 의료용 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압력이 낮아서 식염수가 신체 조직으로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식염수 등 유체를 신체 조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는, 신체 조직으로 유체를 배출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석션하는 프로브 유닛, 신체 조직으로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체를 펌핑하는 펌핑 유닛, 상기 프로브 유닛과 상기 펌핑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프로브 유닛이 결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파지부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의 하측에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펌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 유닛은 신체 조직을 가열하여 응고(coagulation) 또는 소작(ablation)하며, 상기 몸체 조립체는,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전원선, 상기 프로브 유닛과 연결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프로브 유닛과 연결되고, 외부의 유체를 상기 펌핑 유닛으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브 유닛을 통하여 잔여물이 석션되게 하는 제1 개폐 부재, 상기 펌핑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펌핑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 공급하는 제2 개폐 부재, 및 상기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핑 유닛은, 상기 제2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는 모터 부재, 상기 모터 부재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공급되는 유체를 펌핑하여 상기 제어 유닛으로 공급하는 임펠러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2 개폐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임펠러 부재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 유닛이 상기 제어 유닛에 탈착될 수 있게 하는 탈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에서 상기 프로브 유닛이 삽입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브라켓 부재, 상기 제어 유닛의 조작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끝부분이 상기 브라켓 부재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되, 외력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끝부분이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펌핑 유닛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브 유닛은, 신체 조직으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신체 조직과 접촉되도록 끝부분이 절곡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부재, 비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브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로브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절연 부재 및 상기 절연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조립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절연 부재를 이동시키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는 유체 공급 장치로부터 식염수 등 유체가 약한 압력으로 공급되더라도 펌핑 유닛이 식염수 등 유체를 펌핑하여 프로브 유닛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신체 조직을 향하여 식염수 등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는 펌핑 유닛이 몸체 조립체의 제2 수용부에 설치됨으로서 파지부의 크기가 증가될 필요가 없으므로 파지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펌핑 유닛과 제어 유닛이 몸체 조립체의 내부에 적절하게 분산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영역에 부품들이 고밀도로 집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조립 작업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석션, 식염수 배출 및 응고 또는 소작 기능을 하나의 기구에서 제공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켜서 의료행위에 따른 환자 및 사용자의 부담, 기기 교체에 따른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몸체 조립체를 제거한 것을 C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몸체 조립체를 제거한 것을 D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펌핑 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제어 유닛과 프로브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프로브 유닛과 탈착 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탈착 유닛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프로브 부재와 절연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B-B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시스템은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 본체 장치(200), 유체 공급 장치(300) 및 석션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는 석션, 유체 공급, 응고 또는 소작 기능을 모두 가진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응고 또는 소작 기능은 필수적인 기능은 아닐 수 있고 생략한 채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료기기 시스템에서는 본체 장치(200)가 생략될 수 있고,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서는 후술할 구성들 중 제어 유닛(140) 중 조작 부재(143) 등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는 신체 조직으로 식염수와 같은 유체를 배출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석션하며, 신체 조직을 가열하여 응고 또는 소작한다.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 장치(200)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의료기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즉, 본체 장치(200)는 유체 공급 장치(300)와 석션 장치(400)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유체 공급 장치(300)와 석션 장치(400)는 각각 개별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 장치(200)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여,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가 신체 조직을 응고(coagulation) 또는 소작(ablation)하도록 할 수 있다.
유체 공급 장치(300)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와 연결되고,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로 식염수 등 유체를 공급한다. 식염수 등 유체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를 통하여 신체 조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석션 장치(400)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어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를 통해 혈액, 조직 또는 뼈 등과 같은 잔여물을 석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몸체 조립체를 제거한 것을 C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몸체 조립체를 제거한 것을 D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는 프로브 유닛(120), 펌핑 유닛(130), 제어 유닛(140) 및 몸체 조립체(110)를 포함한다.
프로브 유닛(120)은 신체 조직으로 유체를 배출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석션하며, 신체 조직을 가열하여 응고 또는 소작한다. 여기서 유체는 일례로 식염수일 수 있고, 잔여물은 일례로 혈액, 조직 또는 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브 유닛(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펌핑 유닛(130)은 신체 조직으로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체를 펌핑한다. 펌핑 유닛(130)은 후술할 몸체 조립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유체 공급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펌핑 유닛(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 유닛(140)은 상기 프로브 유닛(120)과 상기 펌핑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수술 과정에서 제어 유닛(140)을 조작하여 응고 또는 소작, 석션 및 식염수 등 유체 배출 등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몸체 조립체(110)는 펌핑 유닛(130)과 제어 유닛(140)을 수용하고, 일측에 프로브 유닛(1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조립체(110)는 두 개의 부재로 각각 제조된 이후에 서로 결합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의 조립 과정이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조립체(110)는 일례로 파지부(113),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13)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파지부(113)의 형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파지부(113)의 외면에 고무가 코팅되거나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파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는 상기 파지부(113)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113)의 상측에 형성된다. 제1 수용부(111)는 상기 제어 유닛(1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프로브 유닛(120)이 결합된다.
제어 유닛(140)의 일부분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111)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부(111)의 후단(파지부와 인접한 부분)에 제어 유닛(140)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에 후술할 프로브 유닛(120)의 일부분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수용부(112)는 상기 파지부(113)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113)의 하측에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펌핑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제2 수용부(112)는 파지부(113)에 대해 대략 90도 정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펌핑 유닛(130)이 파지부(113)에 배치되는 경우, 파지부(113)의 크기가 증가되어 사용자가 파지부(113)를 파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펌핑 유닛(130)이 제1 수용부(111)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수용부(111) 내부에 위치되는 제어 유닛(140)과 함께 설치되면서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1 수용부(111)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면서 수술에 불편함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서는 펌핑 유닛(130)이 파지부(113)에 배치되지 않고, 별도의 제2 수용부(112)에 배치되어 파지부(113)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수용부(112)는 유체 공급 장치(300), 본체 장치(200) 및 석션 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 조립체(110)는 일례로 전원선(114), 배출관(115) 및 공급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선(114)은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가 인가된다. 전원선(114)은 의료기기 시스템의 본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선(114)은 제2 수용부(112)를 관통하여 제어 유닛(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유닛(140)은 본체 장치(20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서 프로브 유닛(120)을 동작시키고, 본체 장치(200)의 제어를 받아서 또는 별도의 개별 제어를 통해 펌핑 유닛(1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배출관(115)은 상기 프로브 유닛(120)과 연결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석션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관(115)은 의료기기 시스템의 석션 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115)은 제2 수용부(112)를 관통하여 제어 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다. 제어 유닛(140)은 프로브 유닛(120)과 몸체 조립체(110)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통되고, 프로브 유닛(120)을 통하여 석션되는 잔여물은 제어 유닛(140)을 지나서 배출관(115)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석션 장치(4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원선(114)은 연결링(118)에 의해 일부분이 배출관(115)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2 수용부(112)에는 제1 관통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H1)은 눈사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관(115)과 전원선(114)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관통홀(H1)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선(114)과 배출관(115)이 몸체 조립체(110)의 내부에 깔끔하게 배치될 수 있고,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공급관(116)은 상기 프로브 유닛(120)과 연결되고, 외부의 유체를 상기 펌핑 유닛(130)으로 공급한다. 전술한 제2 수용부(112)에는 제2 관통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관(116)은 제2 관통홀(H2)에 배치되고, 공급관(116)은 제2 관통홀(H2)에 의해 몸체 조립체(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공급관(116)은 의료기기 시스템의 유체 공급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공급관(116)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는 일례로 식염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신체 조직에 식염수 등 유체를 배출하기를 원하는 경우, 제어 유닛(140)을 조작하면, 상기 펌핑 유닛(130)과 유체 공급 장치(300)가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유체 공급 장치(300)는 항상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유닛(140)을 조작하면, 상기 펌핑 유닛(130)이 동작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유체 공급 장치(300)에서 공급되는 식염수 등 유체는 펌핑 유닛(130)에 의해 펌핑되어 제어 유닛(140)을 지나서 프로브 유닛(120)을 통해 신체 조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제어 유닛(140)은 일례로 제1 개폐 부재(141), 제2 개폐 부재(142) 및 조작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 부재(141)는 상기 배출관(115)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브 유닛(120)을 통하여 잔여물이 석션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개폐 부재(141)는 프로브 유닛(120)과 배출관(115)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개폐 부재(141)를 누르면, 제1 개폐 부재(141)는 석션 장치(400)로 동작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프로브 유닛(120)과 배출관(115)이 연통되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프로브 유닛(120)을 통하여 잔여물이 석션되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석션 장치(4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개폐 부재(141)가 석션 장치(400)로 동작 신호를 전송하지는 않고, 석션 장치(400)는 본체 장치(200) 또는 자체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항상 동작되어 배출관(115)이 음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개폐 부재(141)를 누르면, 제1 개폐 부재(141)는 프로브 유닛(120)과 배출관(115)을 연통시켜서 잔여물의 석션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142)는 상기 펌핑 유닛(130)에 연결되어 펌핑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펌핑 유닛(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브 유닛(120)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한 제2 개폐 부재(142)는 일례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실린더(K1)와, 상기 실린더(K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K2)와, 상기 밸브(K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K3)과, 상기 밸브(K2)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K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누름부(K4)는 전기 신호의 전달을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개폐 부재(142)는 기계적인 개폐와 전기적인 스위칭(또는 차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부(K4)를 누르면, 유체 공급 장치(300)와 펌핑 유닛(130)으로 동작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밸브(K2)가 실린더(K1) 내부를 개방하면서 펌핑 유닛(130)에서 펌핑된 식염수 등 유체가 실린더(K1) 내부를 지나서 프로브 유닛(120)을 통하여 신체 조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개폐 부재(142)가 유체 공급 장치(300)로 동작 신호를 전송하지는 않고, 유체 공급 장치(300)는 본체 장치(200) 또는 자체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항상 동작되어 유체가 공급관(116)을 통하여 펌핑 유닛(130)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개폐 부재(142)를 누르면, 제2 개폐 부재(142)는 펌핑 유닛(130)을 동작시키고 프로브 유닛(120)과 펌핑 유닛(130)을 연통시켜서, 프로브 유닛(120)을 통해 식염수 등 유체를 신체 조직으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개폐 부재(141)도 제2 개폐 부재(142)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142)와 제1 개폐 부재(141)의 내부 구성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닛(140)은 제1 개폐 부재(141)와 제2 개폐 부재(142) 각각의 내부 공간의 일부분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144)는 후술할 프로브 유닛(120)과 연결되어 석션에 사용되는 통로와 식염수 등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연통부(144)에는 후술한 탈착 유닛(150)이 설치될 수 있다.
조작 부재(143)는 상기 전원선(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브 유닛(120)으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조작 부재(143)는 전기 신호의 전달을 제어하는 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전원선(11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는 유체 공급 장치(300)로부터 식염수 등 유체가 약한 압력으로 공급되더라도 펌핑 유닛(130)이 식염수 등 유체를 펌핑하여 프로브 유닛(120)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신체 조직을 향하여 식염수 등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서는 펌핑 유닛(130)이 몸체 조립체(110)의 제2 수용부(112)에 설치됨으로서 파지부(113)의 크기가 증가될 필요가 없으므로 파지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펌핑 유닛(130)과 제어 유닛(140)이 몸체 조립체(110)의 내부에 적절하게 분산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영역에 부품들이 고밀도로 집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조립 작업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석션, 식염수 등 유체 배출 및 응고 또는 소작 기능을 하나의 기구에서 제공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켜서 의료행위에 따른 환자 및 사용자의 부담, 기기 교체에 따른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의 각 유닛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펌핑 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펌핑 유닛(1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펌핑 유닛(130)은 일례로, 하우징 부재(131), 모터 부재(132), 임펠러 부재(133), 수밀 부재(134) 및 이송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131)는 상기 제2 수용부(112)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116)과 연결되며, 일측이 개구된다. 이를 위한 하우징 부재(131)는 제2 수용부(112)보다는 다소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모터 부재(132)는 상기 하우징 부재(131)의 개구된 부분(131a)에 결합된다. 모터 부재(132)는 일례로 회전 모터일 수 있고,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132c)은 하우징 부재(13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 부재(132)는 제2 개폐 부재(142)와 제1 케이블(L1)에 의해 연결되어 동작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개폐 부재(142)를 조작하면, 모터 부재(132)가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부재(132)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의 본체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임펠러 부재(133)는 상기 모터 부재(132)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131)에 공급되는 유체를 펌핑하여 상기 제어 유닛(140)으로 공급한다. 임펠러 부재(133)는 일례로 원판(133a)과, 복수의 블레이드(133b)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33b)는 에어포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원판(133a)의 중심에 위치되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이 원판(133a)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펠러 부재(133)의 회전 방향은 블레이드(133b)에서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유체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 부재(133)가 회전하면, 상기와 같은 형상의 블레이드(133b)에 의해 많은 량의 유체가 신속하게 펌핑될 수 있다.
수밀 부재(134)는 상기 하우징 부재(131)의 개구된 부분(131a)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 부재(132)와 상기 임펠러 부재(133) 사이에 위치된다. 수밀 부재(134)는 모터 부재(132)의 회전축(132c)이 관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132c)과 수밀 부재(134) 사이의 수밀을 위하여 씰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밀 부재(134)는 다른 구성으로 수밀이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다.
이송 부재(135)는 상기 하우징 부재(131)와 상기 제2 개폐 부재(142)를 연결하며, 상기 임펠러 부재(133)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상기 제어 유닛(140)으로 이송한다. 이송 부재(135)의 일부분은 오리피스 형상(135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이송 부재(135)를 통과하면서 이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고성능의 모터 부재(132)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체가 프로브 유닛(120)으로 더욱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펌핑 유닛(130)은 유체 공급 장치(300, 도 1 참조)로부터 낮은 압력으로 식염수 등 유체가 공급되더라도 식염수 등 유체를 펌핑하여 프로브 유닛(120)으로 빠르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식염수 등 유체를 필요로 하는 순간에 식염수 등 유체를 신체 조직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핑 유닛(130)은 배터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36)는 모터 부재(132)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배터리(136)는 일례로 2차 전지 또는 1차 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136)는 몸체 조립체(110)의 파지부(113)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술한 몸체 조립체(110)의 내부에는 격벽(117)이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136)는 격벽(117)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격벽(117)을 기준으로 배터리(136)의 반대측에는 전술한 전원선(114)과 배출관(115)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6)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의 본체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거나, 몸체 조립체(110)에 충전 포트(미도시)를 형성하고 충전 케이블이 충전 포트에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고, 모터 부재(132)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몸체 조립체(110)에 무선 충전 수신 코일(미도시)을 배치하고, 몸체 조립체(11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미도시)에 무선 충전 송신 코일(미도시)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몸체 조립체(110)를 거치대(미도시)에 올려 놓기만 하면, 배터리(136)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모터 부재(132)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은 제1 전극(132a)과 제2 전극(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32a)은 제1 케이블(L1)에 의하여 제2 개폐 부재(14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132b)은 제2 케이블(L2)에 의하여 배터리(136)와 연결되고, 제2 케이블(L2)은 배터리(136)와 제2 개폐 부재(142)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개폐 부재(142)가 조작되면, 배터리(136)와 모터 부재(132)가 통전되어 모터 부재(132)가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로 되돌아가서, 제1 케이블(L1)과 제2 케이블(L2)은 배터리(136)와 모터 부재(132)를 통과하는 구간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핑 유닛(130)의 조립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고, 제1 케이블(L1)과 제2 케이블(L2)이 몸체 조립체(110)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으므로 몸체 조립체(110)를 소형화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도 8은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제어 유닛과 프로브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프로브 유닛과 탈착 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탈착 유닛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탈착 유닛(15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는 탈착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 유닛(150)은 상기 프로브 유닛(120)을 상기 제어 유닛(140)에 탈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탈착 유닛(150)은 제어 유닛(140)의 연통부(144)에 설치될 수 있고, 연통부(144)의 끝부분은 후술할 프로브 유닛(12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 유닛(150)은 일례로, 브라켓 부재(151), 탄성 부재(152) 및 가압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부재(151)는 상기 제어 유닛(140)에서 상기 프로브 유닛(120)이 삽입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프로브 유닛(120)이 제어 유닛(140)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프로브 유닛(120)이 브라켓 부재(151)를 관통되도록 위치된다.
이를 위한 브라켓 부재(151)는 일례로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브라켓 부재(151)의 일측에 후술할 탄성 부재(152)가 결합되고, 브라켓 부재(151)를 기준으로 탄성 부재(152)의 반대측에 후술할 가압 부재(154)가 밀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연통부(144)의 끝부분의 일부는 브라켓 부재(151)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2)는 상기 제어 유닛(140)의 조작 부재(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끝부분이 상기 브라켓 부재(151)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즉, 프로브 유닛(120)이 제어 유닛(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152)는 끝부분이 상기 프로브 유닛(120)의 일부분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탄성 부재(152)의 끝부분의 일부는 링 형상의 브라켓 부재(15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 부재(151)는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제조될 수 있고, 탄성 부재(152)의 끝부분은 브라켓 부재(151)를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1)와 브라켓 부재(151)는 리벳 또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프로브 유닛(120)에서 몸체 조립체(110)에 삽입되는 끝부분에는 탄성 부재(152)와 대응되는 크기로 인입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2)은 프로브 유닛(120)의 둘레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 부재(152)의 끝부분이 삽입홈(122)에 삽입되었다가, 삽입홈(122)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연통부(144)에서 탄성 부재(152)의 끝부분과 인접한 부분(144a)은 탄성 부재(152)가 출입 가능한 크기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신호 전달 부재(153)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152)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어 유닛(140)에 연결된다. 신호 전달 부재(153)는 일례로 탄성 와이어일 수 있으며, 탄성 부재(152)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여러 번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전달 부재(15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서 탄성 부재(152)의 위치나 형상 변형과 상관없이 탄성 부재(152)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신호를 탄성 부재(152)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 유닛(120)이 제어 유닛(140)과 결합되는 경우, 탄성 부재(152)와 프로브 유닛(120)이 접촉되고, 신호 전달 부재(153)는 탄성 부재(152)를 통해 상기 프로브 유닛(120)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가압 부재(154)는 상기 브라켓 부재(151)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부재(152)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151)에 밀착되도록 위치된다. 가압 부재(154)의 일측은 몸체 조립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54)의 타측에는 결합 돌기(154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4a)는 몸체 조립체(110)의 제1 수용부(111)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유닛(120)이 제어 유닛(14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152)의 끝부분이 프로브 유닛(120)의 삽입홈(122, 도 9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브 유닛(10)은 제어 유닛(140)과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유닛(120)이 제어 유닛(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 부재(154)를 누르면, 브라켓 부재(151)는 탄성 부재(152)측으로 이동되고, 탄성 부재(152)의 끝부분은 프로브 유닛(120)의 삽입홈(122, 도 9 참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프로브 유닛(120)은 제어 유닛(130)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1은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프로브 부재와 절연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에서 B-B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브 유닛(12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브 유닛(120)은 일례로, 프로브 부재(121), 절연 부재(123) 및 돌출 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부재(121)는 신체 조직을 지혈, 즉 신체 조직을 전기로 가열하여 응고(coagulation) 또는 소작(ablation)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프로브 부재(121)는 베이스부(121a)와 접촉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21a)는 신체 조직으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공(121c)이 형성된다. 접촉부(121b)는 상기 베이스부(121a)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신체 조직과 접촉되도록 끝부분이 절곡된다. 베이스부(121a)의 중공(121c)은 식염수의 배출 통로와 잔여물의 석션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브 부재(121)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텅스텐 또는 텅스텐 합금,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합금,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브 부재(121)가 신체 조직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유닛(140)의 조작 부재(143)를 조작하는 경우, 프로브 부재(121)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신체 조직을 응고 또는 소작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부재(121)에서 전술한 탈착 유닛(150)에 위치한 단부의 직경은 제어 유닛(140)의 연통부(144)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통부(144)에서 프로브 부재(121)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수밀을 방지하는 씰링(145)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브 부재(121)와 제어 유닛(140)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프로브 유닛(120)과 제어 유닛(140) 사이의 수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절연 부재(123)는 비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브 부재(121)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로브 부재(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절연 부재(123)의 내경은 프로브 부재(121)의 외경과 유사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 부재(123)와 프로브 부재(121) 사이에 간격(T)이 발생될 수 있고, 전술한 프로브 부재(121)에 포함된 베이스부(121a)의 중공(121c) 뿐만 아니라, 절연 부재(123)와 프로브 부재(121) 사이의 간격(T)을 통해서도 식염수의 배출 및 잔여물의 석션이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접촉부(121b)는 와이어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약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될 경우 신체 조직 등을 통해 전기 신호가 외부로 흘러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접촉부(121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는 절연 부재(123)를 통해 접촉부(121b)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123)의 소재는 일례로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와 같은 기계적 강도가 높은 세라믹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절연 부재(123) 내면에 절연층을 도포하여 더욱 완벽한 절연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123)의 끝부분에는 복수의 석션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 유닛(140)을 조작하여 석션을 실시하는 경우, 신체 조직 주변의 혈액, 조직 또는 뼈 등이 석션홀(124)을 통하여 석션될 수 있으므로, 석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석션홀(124)의 위치 및 개수는 프로브 유닛(120)의 설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돌출 부재(125)는 상기 절연 부재(123)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 조립체(110)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절연 부재(123)를 이동시킨다. 전술한 몸체 조립체(110)는 제1 수용부(111)로부터 돌출 부재(125)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11a,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유닛(120)은 제어 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분은 몸체 조립체(110)와도 결합될 수 있다. 프로브 유닛(120)과 몸체 조립체(110)가 결합되는 경우, 돌출 부재(125)의 내부는 결합부(111a, 도 5 참조)를 감싸도록 배치되면서 결합부(111a, 도 5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브 유닛(120)이 제어 유닛(140)과 몸체 조립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돌출 부재(125)를 당기는 경우, 절연 부재(123)가 몸체 조립체(110) 쪽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면서, 프로브 부재(121)의 접촉부(121b)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21a)는 절연 부재(123)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접촉부(121b)는 절연 부재(12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돌출 부재(125)를 미는 경우, 절연 부재(123)가 몸체 조립체(110)로부터 멀어지면서 접촉부(121b)가 절연 부재(12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수술 과정에서 신체 조직을 연마하거나 절단하는 경우, 출혈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에는 지혈을 위하여 절삭을 수행한 쉐이버 기구를 수술 부위에서 빼고 지혈을 위한 전기 소작 기구를 삽입하는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이에 수술 기구를 넣고 빼는 등 번거롭고 수술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와 툴 교체에 따른 감염 위험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100)는 프로브 유닛(120)을 수술 부위에 넣은 상태에서 신체 조직을 지혈(응고 또는 소작)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석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혈액, 조직, 뼈 조각 등이 석션되도록 함으로서 수술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수술 기구의 교체를 최소화하여 수술 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고,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110: 몸체 조립체 111: 제1 수용부
112: 제2 수용부 113: 파지부
114: 전원선 115: 배출관
116: 공급관 120: 프로브 유닛
121: 프로브 부재 121a: 베이스부
121b: 접촉부 121c: 중공
122: 삽입홈 123: 절연 부재
130: 펌핑 유닛 131: 하우징 부재
132: 모터 부재 133: 임펠러 부재
134: 수밀 부재 135: 이송 부재
140: 제어 유닛 141: 제1 개폐 부재
142: 제2 개폐 부재 143: 조작 부재
150: 탈착 유닛 151: 브라켓 부재
152: 탄성 부재 153: 신호 전달 부재
154: 가압 부재

Claims (5)

  1. 신체 조직으로 유체를 배출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석션하는 프로브 유닛;
    신체 조직으로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체를 펌핑하는 펌핑 유닛;
    상기 프로브 유닛과 상기 펌핑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프로브 유닛이 결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파지부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의 하측에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펌핑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 조립체;
    를 포함하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은 신체 조직을 가열하여 응고(coagulation) 또는 소작(ablation)하며,
    상기 몸체 조립체는,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전원선, 상기 프로브 유닛과 연결되고 신체 조직에 잔류하는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프로브 유닛과 연결되고, 외부의 유체를 상기 펌핑 유닛으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브 유닛을 통하여 잔여물이 석션되게 하는 제1 개폐 부재, 상기 펌핑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펌핑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 공급하는 제2 개폐 부재, 및 상기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유닛은, 상기 제2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는 모터 부재, 상기 모터 부재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공급되는 유체를 펌핑하여 상기 제어 유닛으로 공급하는 임펠러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2 개폐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임펠러 부재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이 상기 제어 유닛에 탈착될 수 있게 하는 탈착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에서 상기 프로브 유닛이 삽입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브라켓 부재, 상기 제어 유닛의 조작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끝부분이 상기 브라켓 부재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되, 외력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끝부분이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유닛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KR1020220108695A 2022-08-29 2022-08-29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KR20240030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695A KR20240030095A (ko) 2022-08-29 2022-08-29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695A KR20240030095A (ko) 2022-08-29 2022-08-29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095A true KR20240030095A (ko) 2024-03-07

Family

ID=9027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695A KR20240030095A (ko) 2022-08-29 2022-08-29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0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715B1 (en) Device for converting a mechanical cutting device to an electrosurgical cutting device
EP1478294B1 (en)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device for rf cauterization
US20220160425A1 (en) Combination electrosurgical and mechanical resection device
JP5567602B2 (ja) 外科用器具とともに使用可能なハンドピースを有する外科用器具装置
EP1532928B1 (en) Pistol grip electrosurgical pencil with manual aspirator/irrigator
EP1853187B1 (en) Surgical blade assembly
JP2020534950A (ja) 電極との生理食塩水接触の改善
US20020173776A1 (en) Surgical instrument
EP1503679B1 (en) A working tool for accurate lateral resection of biological tissue
JP2017500958A (ja) 生体組織内へrfおよび/またはマイクロ波エネルギーを供給する電気外科機器
US10835308B2 (en) Tube, tube unit, and suction/fluid supply unit
US11446080B2 (en) Surgical device and methods
US9033974B2 (en) Multi-functional surgical cautery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9152602B (zh) 送液器具、处置器具单元和处置系统
US20140276813A1 (en) Suction electrocautery device having controlled irrigation and rotating auger
KR20240030095A (ko) 의료용 유체 처리 장치
US20160346029A1 (en) Electrocautery device
KR20230106463A (ko) 유량조절형 흡인세척장치
US20210015540A1 (en) Electrocautery Device
WO2022250191A1 (ko) 의료용 절제기구
JP2004216180A (ja) 超音波切開凝固装置
WO2022182476A9 (en) Surgical instruments, systems, and methods incorporating ultrasonic, electrosurgical, and fluid delivery functionality
GB2406057A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JP2004081873A (ja) 超音波切開凝固装置
WO2018031011A1 (en) Electrocauter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