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869A -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869A
KR20240028869A KR1020220107165A KR20220107165A KR20240028869A KR 20240028869 A KR20240028869 A KR 20240028869A KR 1020220107165 A KR1020220107165 A KR 1020220107165A KR 20220107165 A KR20220107165 A KR 20220107165A KR 20240028869 A KR20240028869 A KR 20240028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rver
pharmacist
consultation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팜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팜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팜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2010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869A/ko
Publication of KR20240028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환자에게 적합한 주치약사를 연결하여 복약 상담/지도를 원격으로 수행하기 위한,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PATEINTS AND THEIR ATTENDING PHARMACISTS}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은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기본적인 통화 및 메시지 전송 이외에 실시간 영상 통화, 영상 및 음악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 및 응용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병원 진료 서비스는 환자가 직접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내방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고, 진료 상담 및 처방전을 발급 받아 이를 약국에 전달하고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댁내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의료기관측 단말과 접속함으로써, 의료기관의 담당 의사와 원격으로 상담 및 진료를 수행하는 서비스 방식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환자와 의사 간의 원격 진료 방식은 원격지에 있는 의사가 이동통신망 및 네트워크 망을 통해 환자와 영상 및 음성 통해 진료를 수행하는 것이나, 원격 진료 서비스 이후, 투약이 필요한 경우 환자에게 처방전을 전달하고, 환자는 약국으로 해당 처방전을 약국으로 제공하여 조제를 의뢰해야 하나 이에 대해 별다른 방도가 없으므로, 종래에는 단순히 의사로부터 질병에 대한 상담을 받고, 환자는 약국에 직접 방문하여 다시 약사를 통해 약국에서 판매하는 약을 제공받을 수 밖에 없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에게 적합한 주치약사를 연결하여 복약 상담/지도를 원격으로 수행하기 위한,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은 환자에게 적합한 주치약사를 연결하여 복약 상담/지도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 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가 연결된 주치약사에게 처방전을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가 연결된 주치약사에게 온라인-상담을 신청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가 연결된 주치약사에게 오프라인-상담을 신청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치약사가 환자에게 사후복약 방법을 지도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치약사가 연결된 환자 전체 또는 특정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disclosure)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단계, 부품, 요소 및/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이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능력이 구비된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시스템" 및 "장치"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 전자 장치, 약사의 제2 전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환자 또는 보호자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로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 기타 컴퓨팅 장치, 태블릿,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기타 모바일 장치, 기타 웨어러블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 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란, 사설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 서버, 웹 서버, 파일 서버, 슈퍼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임의의 유형 또는 유형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은 주치약국이 아닌, 약사와 사용자 간의 연결 관계를 형성한다. 사용자-약국이 맺어지는 것보다 사용자-약사간 맺어짐이 더욱 bonding이 강하고, 주치약사 제도가 유의미한 환경은 다수의 약사가 있는 대형약국이 아닌, 1-2명의 약사가 근무하는 동네 약국의 환경이며, 약사 브랜딩에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선택 명령으로 입력된, 해당 주치약사의 활동 옵션 등을 포함한 약사 조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수신한 약사 조건 정보를 저장한다. 약사 조건 정보가 저장된 약사는 등록 주치 약사로 취급된다.
제1 전자 장치는 서버로 주치약사 추천 요청을 전송한다.
서버는 추천 약사 조건 정보를 포함한 추천 약사 조건 리스트를 추천 요청을 전송한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추천 약사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추천 받길 원하는 약사가 갖는 조건 정보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추천 약사 조건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추천 약사 조건 정보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건 리스트 내 약사 조건은 사용자 측면의 조건, 및/또는 약사 측면의 조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추천 약사 조건 리스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주치약사 추천 조건을 생성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추천 약사 조건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약사 조건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선택 명령으로 입력된, 해당 사용자의 주치약사 추천 조건을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수신한 추천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해 추천할 주치약사를 선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사용자 측면의 조건에 기초하여 주치약사를 선별 및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는, 사용자가 최근 특정 기간동안 n회 이상 처방전을 전송한 약국의 약사를 추천하거나, 집에서의 주치약사1과 직장 주변에서의 주치약사2를 구분하여 추천하거나,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병에 관한 약국이 있는 경우 해당 약국을 주치약사로 추천하거나, 선호하는 주치약사의 성별을 선택하여 주치약사를 추천하거나, 주치약사의 정보제공 빈도와 내용 및 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선택하여 추치약사를 추천하거나, 가족을 사용자 그룹에 등록할 경우 대표 사용자의 주치약사를 우선 추천하거나, 및 이들의 2이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주치약사를 선별 및 추천할 수도 있다.
주치약사 1, 2를 구분하여 주치약사를 선별 및 추천하는 것은 주치약사를 2명이상 선택한 사용자의 정보(처방전 및 상담 내역 등)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사용자의 주치약사 모두에게 공유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서버는 약사 측면의 조건에 기초하여 주치약사를 선별 및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는, 약사가 주치약사로서 본인을 주치약사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 특정 질병에 대한 처방에 대해 전문성을 가지는 경우 특정 질병 처방에 관한 조건 설정하는 것, 단골환자에게 그룹 알림톡을 보내어 특정 만성질환이나 건강 및 의약품 등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주치약사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것, 특정 단골환자 조건을 설정하여 알림톡을 일괄 전송하거나 특정 단골환자만을 선택하여 알림톡을 전송하는 주치약사 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것, 사후복약지도를 유선으로 실시하는지 알림톡 등으로 실시하는 지를 설정하는 것, 복약지도 외에 상담에 응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 및 이들의 2이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주치약사를 선별 및 추천할 수도 있다.
상기 주치약사의 조건의 설정하는 것은, 특정 지역(주소지)에 소재한 환자에 대해서만 주치약사로서의 역할을 하겠다고 설정, 본인이 담당할 수 있는 환자의 수 설정, 추가 가족 사용자 등록에 대한 허용 여부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약지도 외에 상담에 응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상담 방식(온라인/오프라인)과 상담가능내용(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건강 식품, 일반 건강 및 질환에 관한 상담 등)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버는 최종 주치약사 추천 리스트를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최종 주치약사 추천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주치약사에 대해 연결 신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는 주치약사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주치약사의 제2 전자 장치에게 연결 승인 요청을 전송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연결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승인을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상기 승인을 수신하면, 연결 관계를 저장한다. 서버는 연결 알림을 연결된 사용자의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연결 완료를 확인하도록 상기 연결 알림을 제공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가 연결된 주치약사에게 처방전을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받은 환자의 처방전을 촬영하여 처방전 이미지를 포착하고, 상기 처방전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도 2에서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해 이미 연결된 주치약사의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할지 여부에 대해 제1 전자 장치에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확인 요청에 대해 승인을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관련된 환자의 처방전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서버는 상기 환자의 처방전 이미지를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제2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에 이미 저장된 상담 내역, 기존 접수 처방전 내역에서 처방전 이미지의 환자의 상담 내역, 처방전 내역을 조회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이번에 새롭게 수신한 환자의 처방전 이미지를 기초로 환자의 처방전을 접수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접수 확인을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처방전 접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제2 전자 장치의 주치약사 사이의 연결 관계에 연관시켜 저장한다.
제2 전자 장치는 처방 조제 완료를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주치약사의 제2 전자 장치는 접수된 처방전에 따라 처방 조제 동작을 수행하고 처방 조제 내용을 포함한 처방 조제 완료를 행성할 수도 있다.
서버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처방 조제 완료를 수신하면 처방 조제 완료 알림을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처방 조제 완료 알림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서버는 처방전 접수 결과 알림을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처방전 접수 결과 알림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가 연결된 주치약사에게 온라인-상담을 신청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복약 상담 신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상담 신청은 온라인 상담 신청을 나타낸다.
서버는 신청을 수신하면 신청한 제1 전자 장치로 상담 방식, 상담 내용 정보를 선택 입력 가능한 선택지를 전송한다. 상기 선택지는 온라인 상담 신청에 대응한 선택지이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지 상에 입력된 사용자의 상담 방식, 상담 내용을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사용자의 입력된 상담 방식, 상담 내용을 제2 전자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의 입력된 상담 방식, 상담 내용을 저장한다.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상담 방식, 상담 내용에 대한 답변을 입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답변은 수신된 상담 방식, 상담 내용 확인에 따라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답변은 전화와 같은 유선 상담 결과를 기록하여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입력된 상담 답변을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입력된 상담 답변을 저장한다.
서버는 상담 답변을 제1 전자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는 상담 답변을 저장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상담 답변을 제공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가 연결된 주치약사에게 오프라인-상담을 신청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복약 상담 신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디 복약 상담 신청은 오프라인 신청을 나타낸다.
서버는 신청을 수신하면 신청한 제1 전자 장치로 상담 방식, 상담 내용 정보, 상담 희망 일시를 선택 입력 가능한 선택지를 전송한다. 상기 선택지는 오프라인 상담 신청에 대응한 선택지이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지 상에 입력된 사용자의 상담 방식/상담 내용, 상담 희망 일시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사용자의 입력된 상담 방식, 상담 내용, 상담 희망 일시를 제2 전자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의 입력된 상담 방식, 상담 내용, 상담 희망 일시를 저장한다.
제2 전자 장치는 주치약사의 상담 가능 일시를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상담 가능 일시는 사용자의 상담 방식, 상담 내용에 대한 답변에 기초할 수도 있다.
서버는 상담 가능 일시를 제1 전자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는 상기 상담 가능 일시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해당 상담일시에 대한 방문 승인을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방문 승인을 제2 전자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는 방문 승인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상담 결과를 입력한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상담 결과는 전술한, 유선으로 진행된 상담 결과에 대응한다.
서버는 상담 결과를 환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서버는 상담 결과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상담 결과를 제공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치약사가 환자에게 사후복약 방법을 지도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주치약사의 사후 복약 지도를 입력한다. 상기 사후 복약 지도는 선택된 시간(즉, 복약 시간)에 제2 전자 장치에서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제1 전자 장치에 알림을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복약 이벤트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사후 복약 지도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상기 사후 복약 지도를 저장한다.
서버는 주치약사가 설정한, 사후 복약 지도 내 복약 시간 마다 제2 전자 장치로 알람 명령을 전송하거나, 및/또는 제1 전자 장치로 셀프 확인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사후 복약 지도 알림 메시지에 대한 셀프확인 결과를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셀프확인 결과는 복용 여부, 부작용 유무, 부작용 내용, 문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서버는 셀프확인 결과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주치약사가 환자에게 유선 연락하여 사후복약지도를 진행하도록 알람을 발생한다.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알람의 발생 또는 셀프확인 결과의 수신에 의해 주치약사가 유선 연락하여 진행된 사후복약 지도 결과를 입력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는 사후복약지도 결과를 제1 전자 장치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상기 사후복약지도 결과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사후복약지도 결과를 제공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치약사가 연결된 환자 전체 또는 특정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는 대상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은 즉시 전송 또는 예약 전송일 수도 있다.
상기 대상 정보는 의약품, 건강 등, 의약 관련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전송 내역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 정보를 포함한 정보 알림을 제1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정보 알림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대상 정보 관련 상담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담 요청 이후 도 3, 도 4의 온/오프라인 상담 요청 동작과 유사한 동작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서버는 관련 상담 요청을 수신 시에 제2 전자 장치에 상담 요청 알림을 전송한다.
제2 전자 장치는 상담 요청의 수신에 의해 주치약사가 유선 연락하여 진행된 상담 결과를 입력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상담 결과를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는 상기 상담 결과를 제1 전자 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상담 결과를 제공한다.
상기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환자와 같은 사용자, 주치약사는 시기에 따라 아래의 이득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을 가질 수도 있다.
환자는 의료기관 방문 이전에, 1) 환자 본인의 상태에 비추어 어떤 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을 방문해야 할지 사전 상담해서 결정할 수 있는 것, 2) 환자 본인의 상태에 비추어 어떤 진료과목(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외과, 정형외과, 피부과, 안과 등)을 선택하여 진료를 받아야 할지 사전 상담해서 결정할 수 있는 것, 3) 환자 본인의 상태에 비추어 외지 의료기관(예를 들어 제주도에서 서울, 경기, 부산 등 대도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전문병원 등)을 방문하는 것이 좋을지 현지(예를 들어 제주도내)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좋을지 상담할 수 있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이득을 가진다.
환자는 의료기관 방문 이후에, 1) 평소 복용중인 의약품, 건강기능성식품, 건강 식품 등과 연관하여 처방받은 의약품에 대한 상세한 복약지도를 받는 것, 2) 신체에 특이사항 발생시 의약품 부작용에 의한 것인지 상담받을 수 있는 것, 다른 상처나 질환이 발생하였을 경우 처방받은 의약품의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좋을지 상담받을 수 있는 것, 복용중 특정 의약품, 건강기능성식품, 건강 식품의 추가 복용에 대해 상담받을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사후복약 지도를 받을 수 있는 것, 3) 의료기관을 재방문해야 할지 상담받을 수 있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이득을 가진다.
환자는 의료기관 방문과 관련 없이 평상시에 1) 건강에 관한 다양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것, 2) 건강기능성식품이나 건강식품 등에 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것, 3) 염려되는 질환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것, 4) 가족과 관련된 상담도 가능한 것, 5) 언제든지 자세한 상담을 신청할 수 있는 주치약사가 있다는 신뢰와 안정을 얻을 수 있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이득을 가진다.
또한, 주치약사는, 1) 단골환자가 어느 의료기관을 방문하든 모든 처방전을 전송받아 조제할 수 있는 것, 2) 심각한 병용 금지 약물이 있을 경우 처방전 변경이 필요한지 검토가 가능한 것과 같이, 이미 복용중인 의약품과의 병용 복용에 대한 정확한 상담이 가능한 것, 3) 단골환자가 평소 상담도 하고 처방전도 지속적으로 전송하였기 때문에 특정 한가지 질환에 대한 상담 뿐 아니라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하였던 이력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상담과 복약지도를 할 수 있는 것, 4) 체계적인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복약지도나 사후복약지도 및 상담에 필요한 환자이력 관리를 할 수 있는 것, 5) 단순 조제 수준을 벗어나 환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환자를 케어하는 의료인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이득을 가진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본 출원의 구성요소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가 수신한 약사 조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제2 전자 장치에 의해 해당 주치약사의 활동 옵션 등을 포함한 약사 조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서버로 주치약사 추천 요청을 전송하며,
    서버에 의해, 추천 약사 조건 정보를 포함한 추천 약사 조건 리스트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추천 약사 조건 리스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주치약사 추천 조건을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 의해, 수신한 추천 조건에 기초하여 약사 조건 정보가 저장된 등록 주치약사 중에서 해당 사용자에 대해 추천할 주치약사를 선별하고, 최종 주치약사 추천 리스트를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받은 환자의 처방전을 촬영하여 처방전 이미지를 포착하고, 상기 처방전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에 의해,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해 이미 연결된 주치약사의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할지 여부에 대해 제1 전자 장치에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확인 요청에 대해 승인을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관련된 환자의 처방전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의 처방전 이미지를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제2 전자 장치에 의해, 제2 전자 장치에 이미 저장된 상담 내역, 기존 접수 처방전 내역에서 처방전 이미지의 환자의 상담 내역, 처방전 내역을 조회하고, 이번에 새롭게 수신한 환자의 처방전 이미지를 기초로 환자의 처방전을 접수하여 접수 확인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 의해, 처방전 접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제2 전자 장치의 주치약사 사이의 연결 관계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복약 상담 신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신청을 수신하면 신청한 제1 전자 장치로 상담 방식, 상담 내용 정보를 선택 입력 가능한 선택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지 상에 입력된 사용자의 상담 방식, 상담 내용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된 상담 방식, 상담 내용을 제2 전자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담 방식, 상담 내용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여, 입력된 상담 답변을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 의해 상담 답변을 제1 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상담 답변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KR1020220107165A 2022-08-25 2022-08-25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8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65A KR20240028869A (ko) 2022-08-25 2022-08-25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65A KR20240028869A (ko) 2022-08-25 2022-08-25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869A true KR20240028869A (ko) 2024-03-05

Family

ID=9029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165A KR20240028869A (ko) 2022-08-25 2022-08-25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8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29639A1 (en) Patient-centric health reco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US20150310176A1 (en) Healthcare event response and communication center
Adusumalli et al. Effect of passive choice and active choice interventions in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to cardiologists on statin prescribing: a clus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Katz Long-term opioid treatment of nonmalignant pain: a believer loses his faith
US2020031243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ed pharmaceutical accuracy and understanding
JP202106816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US11101044B2 (en) Uber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KR101192330B1 (ko) 원격 환자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97308A1 (en) Referral and record sharing systems and methods
KR20240028869A (ko) 환자와 주치약사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553305B2 (en) Dynamic setup configurator for an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US2018005296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of promoting patient compliance with one or more recommended treatments or screening regimens
US20140100877A1 (en) Healthcare facility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JP674341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WO2023199767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80247027A1 (en) Patient education and monitoring
US86943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rescription advertising
US20130110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uthorization, compliance, and adherence of drug prescriptions and treatments
JP6705364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医療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21358A1 (en) Wellness system
US20180247028A1 (en) Patient education and monitoring
JP20210684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247026A1 (en) Patient education and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