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826A -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 Google Patents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826A
KR20240028826A KR1020220107065A KR20220107065A KR20240028826A KR 20240028826 A KR20240028826 A KR 20240028826A KR 1020220107065 A KR1020220107065 A KR 1020220107065A KR 20220107065 A KR20220107065 A KR 20220107065A KR 20240028826 A KR20240028826 A KR 20240028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angle
arm
club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22010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826A/en
Publication of KR2024002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82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골프 스윙연습기로서, 2개의 관성센서(IMU:Inertial Measurement Unit)를 활용하여, 손목부위에 설치되어 팔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1(110)과 클럽의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2(200)를 구비하되, 어깨의 회전각도별로 센서1(110)을 통하여 측정된 팔의 위치를 눈금으로 표시하고, 각 눈금별로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여 코킹과 언코킹의 위치를 표현함으로써 코킹과 언코킹의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이 구비된 스윙연습기가 개시된다. As a golf swing exerciser, it utilizes two inertial sensors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1 (110) installed on the wrist to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Sensor 1 (110) installed in a certain part of the club to measure the angle of the club. Equipped with sensor 2 (200), the position of the arm measured through sensor 1 (110) is displayed with a scale for each rotation angle of the shoulder, and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re measured for each scale to determine cocking and uncocking. A swing exerciser equipped with a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analyzing cocking and uncocking situations by expressing positions is disclosed.

Description

2개의 IMU센서를 이용한 스윙연습기{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Swing trainer using 2 IMU sensors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의 각도와 팔의 각도를 측정하여 코킹과 언코킹 상황을 분석하는 코킹-언코킹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골프 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exerciser that provides a cocking-uncocking analysis method for analyzing cocking and uncocking situations by measuring the angle of the golf club and the angle of the arm.

일반적으로, 골프(golf)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볼을 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를 말하는 것으로,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흰 볼을 지팡이 모양의 클럽으로 잇달아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의 많고 적음으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이다.In general, golf refers to a game in which a player hits a ball at rest on a course with a club and puts it into a designated hole, and competes for superiority based on the number of strokes taken up to that point. The white ball at rest on the course is hit one after another with a stick-shaped club. It is a game in which superiority is competed by hitting the ball into a designated hole and determining the number of strokes required up to that point.

클럽을 이용하는 골프의 스윙은 땅 위에 정지해 있는 볼을 치는 데에는 어떠한 방법을 써도 좋으나, 거리와 방향을 올바르게 정하기 위해서는 클럽을 일정한 궤도에 따라 스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므로, 스윙의 기본적인 원칙은 거의 정석화되어 있다. In the golf swing using a club, any method can be used to hit the ball at rest on the ground, but it is most effective to swing the club along a certain trajectory to determine the correct distance and direction, so the basic principles of swing are almost established. there is.

이에 따라, 스윙을 연습하기 위해서, 스윙연습기가 많이 개발되었다.Accordingly, many swing trainers have been developed to practice swinging.

그 중에, 하기 특허문헌1은 골퍼의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허문헌1은 일정한 궤적을 가지도록 자세를 교정하여 반복 연습할 수 있어 올바른 스윙자세를 숙지하는데 도움을 준다.Among them, Patent Document 1 below is a device that can correct a golfer's swing posture. Patent Document 1 helps you learn the correct swing posture by correcting your posture to have a certain trajectory and allowing repeated practice.

그런데 스윙 자세 중 특히 백스윙에서 손목이 꺾이는 코킹(cocking)은 클럽의 가속도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요소로서, 코킹의 시작을 필요이상으로 빨리하거나 반대로 늦게 하게 되면 클럽샤프트가 오버스윙 되거나 임팩트가 부정확해질 확률이 높아지며, 언코킹(uncocking)은 임팩트 가까운 위치에서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cocking, which involves bending the wrist in the swing posture, especially in the backsw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the club's acceleration. If you start cocking too early or late than necessary, there is a chance that the club shaft will overswing or the impact will be inaccurate. It is desirable that uncocking occurs at a location close to impact.

이에 올바른 훈련과 스윙의 개선을 위해서는 코킹-언코킹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종래의 스윙 연습기는 코킹(cocking) 연습을 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골퍼들이 경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에 어려움이 있었다.Accordingly, information on cocking-uncocking positions is required for correct training and swing improvement. However, conventional swing exercisers not only have the inconvenience of making it difficult to practice cocking, but are also not economically accessible to many golfers. It was difficult to find a way.

따라서 사용자의 팔의 각도와 클럽 각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코킹-언코킹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코킹연습을 경제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economically and easily practice cocking by analyzing the user's cocking-uncocking situation by analyzing the user's arm angle and club angl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5287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99528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9121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45912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4521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87452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70954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3-0070954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팔의 각도와 클럽 각도를 분리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코킹-언코킹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코킹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facilitate cocking practice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separates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and analyzing the user's cocking-uncocking situation through this.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코킹-언코킹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alysis chart that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analyzes the user's caulking-uncaulking state.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problems that this application seeks to solv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팔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손목근방에 설치되는 센서1(110)과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클럽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센서2(130)를 활용하여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되, 어깨의 회전각도별로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여 코킹과 언코킹의 위치를 표현하여 코킹과 언코킹의 상황을 분석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sensor 1 (110) installed near the wrist to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sensor 2 (130) installed in a certain part of the club to measure the angle of the club.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cocking and uncocking by measur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for each shoulder rotation angle to express the positions of cocking and uncocking.

또한 상기 센서1(110)와 상기 센서2(130)는 관성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적용하여 센서1로는 팔의 각도를 측정하고 센서2로는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며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의 차이각도를 측정하고 센서1를 통해 팔의 위치를 확인하며 팔의 위치에 따른 팔의각도와 클럽각도와 차이각도를 동시에 표시한다.In addition, Sensor 1 (110) and Sensor 2 (130) apply an inertial sensor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with Sensor 1 and the angle of the club with Sensor 2, and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club. Measures the difference angle of the angle, confirms the arm position through sensor 1, and displays the arm angle, club angle, and difference angle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코킹-언코킹분석 시스템은 코킹과 언코킹의 상태를 보여주는 분석차트를 제공하며, 상기 분석차트(300)에는 원이 도시되되, 상기 원의 원호에서 하단의 일점을 원점(310)이라 할 때, 상기 원점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이격된 지점까지의 각도에는 팔의위치각도에 대응되도록 표현하는데 이때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원의 원주에 동일각도로 이격되도록 눈금(350)을 표시하며, 상기 원호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상기 눈금의 부근에 팔의 각도(120)와 클럽각도(140)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aulking-uncaulking analysis system provides an analysis chart showing the states of caulking and uncaulking. A circle is shown in the analysis chart 300, and a point at the bottom of the arc of the circle is referred to as the origin 310. At this time, the angle from the origin to a point spaced apart along the arc is express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gle of the arm. At this time, a scale 350 is displayed so that it is spaced at the same angle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based on the origin, and the The arm angle (120) and club angle (140) are marked near the scale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rc.

또한 상기 눈금(350)은 일정각도마다 원주에 근접하여 반경방향으로 표시되며 상기 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의 원점(310)에 표시된 눈금을 원점눈금(311) 이라하고, 상기 원점눈금에서 1번째 좌측눈금의 +1눈금(321)이라 하며 2번째 좌측눈금을 +2눈금(322), 3번째 좌측눈금을 +3눈금(323), 4번째 좌측눈금을 +4눈금(324), 5번째 좌측눈금을 +5눈금(325), 6번째 좌측눈금을 +6눈금(326) 이라하며, 상기 원점눈금에서 1번째 우측눈금의 -1눈금(331)이라 하며 2번째 우측눈금을 -2눈금(332), 3번째 우측눈금을 -3눈금(333), 4번째 우측눈금을 -4눈금(334), 5번째 우측눈금을 -5눈금(335) 하고, 사용자의 어드레스시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는 원점눈금 부근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scale 350 is displayed in the radial direction close to the circumference at a certain angle, and when the circle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scale displayed at the origin 310 at the bottom is called the origin scale 311, and the first scale from the origin scale is called the origin scale 311. The left scale is called +1 division (321), the 2nd left division is +2 divisions (322), the 3rd left division is +3 divisions (323), the 4th left division is +4 divisions (324), and the 5th left division is called +1 division (321). The scale is called +5 scale (325), the 6th left scale is called +6 scale (326), the 1st right scale from the origin scale is called -1 scale (331), and the 2nd right scale is called -2 scale (332). ), the 3rd right scale is -3 scale (333), the 4th right scale is -4 scale (334), the 5th right scale is -5 scale (335), and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t the user's address is displayed near the origin scale.

또한 상기 일정각도는 30도이고 상기 +1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3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2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6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3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9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4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2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5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5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6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8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1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3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2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6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3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9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4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12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5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15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된다.In addition, the constant angle is 30 degrees, the +1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3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2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6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3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60 degrees to the left of the origin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9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4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2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5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5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6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18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1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3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2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3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It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60 degrees, the -3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9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4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2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The 5th scale is displayed 15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이때 상기 각 눈금에는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되 어드레스일 때 원점눈금(311)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30도에 있으면 +1눈금(321)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60도에 있으면 +2눈금(322)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90도에 있으면 +3눈금(323)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re indicated on each of the above scales. When address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re indicated near the origin scale (311). If the position of the arm is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1 scale (321) position. If the arm position is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2 scale (322) position. The angle of the arm is displayed, and if the arm position is 9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3 scale (323) position.

나아가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20도에 있으면 +4눈금(324)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50도에 있으면 +5눈금(325)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80도에 있으면 +6눈금(326)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한다.Furthermore, if the arm position is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4 scale (324), and the arm position is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If it is in degrees,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5 scale (325) position, and if the arm position is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is displayed near the +6 scale (326) position. Displays the angle and angle of the club.

또한 백스윙(341)에는 상기 원의 안쪽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하고, 다운스윙시(342)에는 상기 원의 바깥쪽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한다.Additionally, during the backswing (341),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on the inside of the circle, and during the downswing (342),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circle.

또한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30도에 있으면 -1눈금(331)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60도에 있으면 -2눈금(332)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90도에 있으면 -3눈금(333)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20도에 있으면 -4눈금(334)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50도에 있으면 -5눈금(335)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arm position is at 3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the follow swing,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1 scale (331) position, If the arm position is at 6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a follow 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2 scale (332), and if the arm position is 9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a follow swing, it is -3.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re displayed near the position of the scale (333), If the arm position is 12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a follow 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4 scale (334), and if the arm position is 15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a follow swing, it is -5.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scale (335).

또한 상기 센서1(110)와 상기 센서2(130)는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되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In addition, sensor 1 (110) and sensor 2 (130)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ly.

또한 상기 센서1은 오른손 골퍼인 경우에는 왼팔에, 왼손골퍼에게는 오른쪽 팔에 장착하되 팔의 팔목부의 회전에 방해를 하지 않는 하박부 위치에 장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서2는 클럽의 그립부(132)나 샤프트(134) 또는 샤프트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sensor 1 is mounted on the left arm for right-handed golfers and on the right arm for left-handed golfers, but is formed to be mounted at a lower arm loc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wrist of the arm, and sensor 2 is mounted on the grip portion 132 of the club. It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shaft 134 or inside the shaft.

또한 상기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에는 상기 센서1 및 센서2의 신호를 처리하고 분석하고 필요한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510)와 클럽의 종류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520),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팔의위치와 팔의각도와 클럽의각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30)와, 상기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로부터 코킹되는 팔의위치인 코킹위치와 언코킹되는 팔의 위치인 언코킹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540)와,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55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includes a control unit 510 that processes and analyzes signals from sensor 1 and sensor 2 and processes necessary commands, an input unit 520 that selects the type of club,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 memory unit 530 that stores the arm position, arm angle, and club angle, and a cocking position, which is the arm position that is cocked from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and an uncocked position, which is the arm position that is uncocked. It includes an arithmetic unit 540 that calculates and an interface unit 550 for linking with a smartphone.

또한 상기 각 눈금의 부근에는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와 함께 클럽헤드의 속도를 함께 표시한다.Additionally, the club head speed along with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each scale.

또한 상기 메모리부(530)에는 상기 클럽사용자가 상기 클럽을 i회 (i=1,2,3,...,n-1,n, 여기서 n 은 자연수로서 i의 마지막 횟수를 의미함) 스윙한 후 각 스윙별 팔의위치, 팔의각도, 클럽각도가 저장되며, 각 회수별로 팔의위치에 따른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상기 분석차트(300)에 표시하되, 상기 팔의 각도를 도시한 팔링크부(125)와 클럽각도를 도시한 클럽링크부(145)를 이용하여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도시한다.Additionally, in the memory unit 530, the club user swings the club i times (i=1,2,3,...,n-1,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means the last number of i). After that, the arm position, arm angle, and club angle for each swing are stored, and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for each number of times are displayed on the analysis chart 300, and the arm angle is shown.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shown using one arm link unit 125 and the club link unit 145 showing the club angle.

또한 상기 팔링크부(125)에는 상기 팔링크부의 일단부인 제11점(124)와 상기 팔링크부의 타단부인 제12점(126)이 추가되며, 상기 클럽링크부(145)에는 상기 클럽링크부의 일단부인 제21점(144)와 상기 클럽링크부의 타단부인 제22점(146)이 추가되고, 상기 팔링크부와 상기 클럽링크부는 상기 분석차트(300)에 도시되되, 상기 분석차트에 도시될 때는 팔링크부의 제12점(126)과 상기 클럽링크부의 제21점(144)를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겹쳐 표시한다.In addition, an 11th point 124, which is one end of the arm link part, and a 12th point 126,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arm link part, are added to the arm link part 125, and the club link part 145 is added to the club link part. A 21st point 144, which is one end, and a 22nd point 146,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club link part, are added, and the arm link part and the club link part are shown in the analysis chart 300, and are shown in the analysis chart. At this time, the 12th point 126 of the arm link part and the 21st point 144 of the club link part are displayed close to each other or overlapping each other.

또한 상기 클럽사용자가 클럽을 i회 (i=1,2,3,...,n-1,n) 스윙한 후 획득한 각 스윙별 팔의각도 및 클럽각도에서 상기 연산부(500)를 통해 상기 팔의각도와 상기 클럽각도의 사이각(Q, 127)을 연산하고, 상기 각 스윙별로 팔의위치에 따른 사이각과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메모리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for each swing obtained after the club user swings the club i times (i=1, 2, 3,...,n-1,n) are processed through the calculation unit 500. The included angle (Q, 127) between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is calculated, and the included angle, arm angle, and club angle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for each swing are stored in memory.

또한 상기 클럽사용자가 백스윙시 상기 사이각이 90도가 되는 시점의 팔의 위치의 각도를 코킹시작각도라 하고 상기 코킹시작각도(cocking start angle)에서 탑위치에서의 팔의 위치 각도까지는 코킹구간(cocking section)이라 하며, 상기 클럽사용자가 다운스윙시 상기 사이각이 90도 이하로 될 때의 팔의 위치의 각도를 언코킹각도(uncocking angle)라 칭하고, 상기 분석차트(300)에는 상기 코킹시작각도와 상기 코킹구간과 상기 언코킹각도를 도시한다.In addition, the angle of the arm position at the time when the included angle becomes 90 degrees when the club user makes a backswing is called the cocking start angle, and the cocking section from the cocking start angle to the arm position angle at the top position is called the cocking start angle. section), and the angle of the arm position when the included angle becomes 90 degrees or less during the club user's downswing is called the uncocking angle, and the cocking start angle is shown in the analysis chart 300. and the caulking section and the uncaulking angle are shown.

또한 상기 분석차트에는 상기 클럽의 헤드속도(360, head speed)를 도시하되 상기 클럽의 헤드속도는 언코킹각도와 연관되도록 상기 분석차트의 원호의 바깥쪽에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chart shows the head speed (360) of the club, and the head speed of the club is shown outside the arc of the analysis chart so as to be related to the uncocking angle.

또한 상기 분석차트에는 상기 클럽의 헤드속도(head speed)를 도시하되 상기 원의 바깥쪽에 원호형태의 속도원호(361)로 도시되고 백스윙시 코킹구간은 원의 안쪽에 원호형태의 코킹원호(362)로 도시되며, 다운스윙시 언코킹구간은 원의 바깥쪽에 원호형태의 언코킹원호(363)로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chart shows the head speed of the club, with a speed arc 361 in the form of an arc on the outside of the circle, and the cocking section during the backswing is a cocking arc 362 in the shape of an arc on the inside of the circle. It is shown as, and the uncocking section during downswing is characterized by being shown as an uncocking arc 363 in the form of an arc on the outside of the circle.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팔의 각도와 클럽 각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코킹-언코킹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코킹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윙연습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ffect of providing a swing exerciser that can facilitate cocking practice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is expected by analyzing the user's cocking-uncocking situation by analyz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club angle.

또한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팔의 위치에 따른 팔의 각도의 클럽각도 및 코킹시작각도, 코킹구간, 언코킹각도와 헤드속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분석차트를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코킹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윙연습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analysis chart is provided that allows you to check at a glance the club angle, cocking start angle, cocking section, uncocking angle, and head speed of the arm angle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facilitating efficient cocking practice. The effect of providing a swing exerciser that can help you do this is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에 따른 분석차트(300)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차트에 백스윙과 다운스윙 및 팔로우스윙시 팔의 위치별 눈금(35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팔의 위치에 따른 팔링크부(125) 및 클럽의 위치에 따른 클럽링크부(145)와 그 차이각(Q, 127)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센서1(110)과 센서2(130)를 각 부착할 때 좌표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팔링크부(125)에 부착된 센서1(110)과 클럽링크부(145)에 부착된 센서2(130)가 코킹되는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가 적용된 연습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팔링크부(125)와 클럽링크부(145)의 각도 및 클럽 헤드의 원호속도(361)가 분석차트(300)에 도시된 도면이다.
도8은 분석차트(300)에 코킹원호(362)와 언코킹원호(363)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및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nalysis chart 300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cale 350 for each arm position during the backswing, downswing, and follow swing on the analysis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rm link portion 12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m and the club link portion 14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lub and the difference angle (Q, 127).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ordinate system when sensor 1 (110) and sensor 2 (130) are respectively attached.
Figure 5 is a side view of sensor 1 (110) attached to the arm link part 125 and sensor 2 (130) attached to the club link part 145 being cocke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ercise machine to which a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angle of the arm link portion 125 and the club link portion 145 and the arc speed 361 of the club head on an analysis chart 300.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caulking arc 362 and the uncaulking arc 363 on the analysis chart 300.
Figure 9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asurement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Additionally,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In the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Addition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1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킹-언코킹분석 시스템은, 골프 클럽의 각도와 팔의 각도를 측정하여 분석차트(300)를 제공함으로써 코킹과 언코킹의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ngle of the golf club and the angle of the arm and provides an analysis chart 300 to express the state of cocking and uncocking at a glance. It is characterized by

도 2는 분석차트의 기본형태를 보여준다. 상기 분석차트(300)에는 원이 도시되되, 상기 원의 원호에서 하단의 일점을 원점(310)이라 할 때, 상기 원점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이격된 지점까지의 각도에는 팔의 위치각도에 대응되도록 표현하는데 이때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원의 원주에 동일각도로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눈금(350)이 표시되며, 이때 백스윙시에는 분석차트(300) 원호의 내부에, 다운스윙 및 팔로우스윙 시에는 분석차트 원호의 외부에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각 눈금(350)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2 shows the basic form of an analysis chart. A circle is shown in the analysis chart 300, and when a point at the bottom of the arc of the circle is referred to as the origin 310, the angle from the origin to a point spaced apart along the arc is set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gle of the arm.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cales 350 are displayed so that they are spaced at the same angle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based on the origin. At this time, during the backswing, the analysis chart 300 is displayed inside the arc, and during the downswing and follow swing, the analysis chart 350 is displayed. It is desirable to display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on each scale 350 outside the chart arc.

경우에 따라 다운스윙시 원호의 내부 백스윙시 원호의 외부에 도시될 수 있다. In some cases, it may be shown inside the arc during the downswing and outside the arc during the backswing.

여기서 상기 눈금(350)은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각도마다 원주에 근접하여 반경방향으로 표시되며 상기 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의 원점(310)에 표시된 눈금을 원점눈금(311)이라하고, 상기 원점눈금에서 1번째 좌측눈금의 +1눈금(321)이라 하며 2번째 좌측눈금을 +2눈금(322), 3번째 좌측눈금을 +3눈금(323), 4번째 좌측눈금을 +4눈금(324), 5번째 좌측눈금을 +5눈금(325), 6번째 좌측눈금을 +6눈금(326) 이라하며, 상기 원점눈금에서 1번째 우측눈금의 -1눈금(331)이라 하며 2번째 우측눈금을 -2눈금(332), 3번째 우측눈금을 -3눈금(333), 4번째 우측눈금을 -4눈금(334), 5번째 우측눈금을 -5눈금(335) 하고, 사용자의 어드레스시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는 원점눈금 부근에 표시한다.Here, as shown in Figure 2, the scale 350 is displayed in the radial direction close to the circumference at a certain angle, and when the circle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scale displayed at the origin 310 at the bottom is called the origin scale 311. , In the origin scale, the 1st left scale is called +1 scale (321), the 2nd left scale is +2 scale (322), the 3rd left scale is +3 scale (323), and the 4th left scale is +4 scale. (324), the 5th left scale is called +5 scale (325), the 6th left scale is called +6 scale (326), and the -1 scale of the 1st right scale in the origin scale is called -1 scale (331), and the 2nd right scale is called The scale is -2 scale (332), the 3rd right scale is -3 scale (333), the 4th right scale is -4 scale (334), the 5th right scale is -5 scale (335), and at the user's address,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re indicated near the origin scale.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는 30도인 경우 상기 +1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3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2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6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3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9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4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2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5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5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6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8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1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3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2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6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3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9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4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12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5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15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된다.Here, when the constant angle is 30 degrees, the +1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30 degrees to the left of the origin scale, the +2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6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3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60 degrees to the left of the origin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9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4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2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5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5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6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18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1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3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2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3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It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60 degrees, the -3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9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4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2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The 5th scale is displayed 15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이때 상기 각 눈금에는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되 어드레스일 때 원점눈금(311)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30도에 있으면 +1눈금(321)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60도에 있으면 +2눈금(322)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90도에 있으면 +3눈금(323)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re displayed on each of the above scales. When address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re displayed near the origin scale (311). If the position of the arm is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1 scale (321) position. If the arm position is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re displayed near the +2 scale (322) position. The angle of the arm is displayed, and if the arm position is 9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3 scale (323) position.

나아가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20도에 있으면 +4눈금(324)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50도에 있으면 +5눈금(325)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80도에 있으면 +6눈금(326)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한다.Furthermore, if the arm position is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4 scale (324), and the arm position is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If it is in degrees,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5 scale (325) position, and if the arm position is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is displayed near the +6 scale (326) position. Displays the angle and angle of the club.

또한 백스윙(341)에는 상기 원의 안쪽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하고, 다운스윙시(342)에는 상기 원의 바깥쪽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한다Additionally, during the backswing (341),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on the inside of the circle, and during the downswing (342),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circle.

또한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30도에 있으면 -1눈금(331)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60도에 있으면 -2눈금(332)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90도에 있으면 -3눈금(333)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20도에 있으면 -4눈금(334)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50도에 있으면 -5눈금(335)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한다In addition, if the arm position is 3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the follow swing,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1 scale (331) position, and if the arm position is 6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the follow swing -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2nd scale (332) position, and if the arm position is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follow swing,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3rd scale (333) position. If the arm position is 12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a follow sw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club are displayed near the -4 scale (334)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arm is 15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a follow swing. If so, mark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near the -5 scale (335) position.

그리고 도3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석차트(300) 원호의 안쪽 또는 바깥쪽의 눈금 부근에 팔의위치에 따른 팔의각도(120)와 클럽각도(140)를 표시하되, 상기 팔의각도를 도시한 팔 링크부(125)와 클럽각도를 도시한 클럽링크부(145)를 이용하여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도시한다.And, as shown in Figures 3 and 7, the arm angle 120 and the club angle 140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are displayed near the scale inside or outside the arc of the analysis chart 300.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shown using the arm link part 125 showing the angle and the club link part 145 showing the club angl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팔링크부(125)에는 상기 팔링크부의 일단부인 제11점(124)와 상기 팔링크부의 타단부인 제12점(126)이 추가되며, 상기 클럽링크부(145)에는 상기 클럽링크부의 일단부인 제21점(144)와 상기 클럽링크부의 타단부인 제22점(146)이 추가되고, 상기 팔링크부와 상기 클럽링크부는 상기 분석차트(300)에 도시되되, 상기 분석차트에 도시될 때는 팔링크부의 제12점(126)과 상기 클럽링크부의 제21점(144)를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겹쳐 표시한다.As shown in Figure 3, an 11th point 124, which is one end of the arm link part, and a 12th point 126,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arm link part, are added to the arm link part 125, and the club link part 145 A 21st point 144, which is one end of the club link part, and a 22nd point 146,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club link part, are added, and the arm link part and the club link part are shown in the analysis chart 300, When shown in the analysis chart, the 12th point 126 of the arm link portion and the 21st point 144 of the club link portion are displayed close to each other or overlapped with each other.

특히 도3은 코킹과 언코킹 위치와 팔의 회전속도 및 클럽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개념도이다. 본 도3은 설명을 위하여 2차원으로 2개의 링크를 모델로 사용하였으며, 골프 스윙에 대해 두 개의 링크로 모델링하는 것은 T.P. Jorgensen(The Physics of GOLF, 1999, Springer)의 방법을 참조하였다. 여기서 팔링크부(125)는 사람의 팔을, 클럽링크부(145)는 클럽을 나타낸다. 그리고 팔링크부의 제12점(126)과 상기 클럽링크부의 제21점(144)을 연결하는 힌지부분은 팔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measuring cocking and uncocking positions, arm rotation speed, and club rotation speed. Figure 3 uses two links as a two-dimensional model for explanation purposes, and modeling the golf swing with two links is done by T.P. The method of Jorgensen (The Physics of GOLF, 1999, Springer) was referred to. Here, the arm link unit 125 represents a person's arm, and the club link unit 145 represents a club. And the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12th point 126 of the arm link portion and the 21st point 144 of the club link portion is formed by the wrist.

본 발명의 도3에서 (a)는 백스윙의 초기 팔링크부(125)과 클럽링크부(145)과 일체로 움직이는 테이크어웨이(take away) 즉 팔과 클럽이 일체로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3에서의 (b)는 클럽링크부(145)의 운동이 팔링크부(125)과 분리되는 순간(t=k)을 보여주는데, 이 위치가 팔목의 운동이 개시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부분을 팔목이 잠김(cocking)이 시작되는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럽링크부(145)가 회전속도(

Figure pat00001
)를 발생시키며 이를 위하여 회전 에너지를 가하여야 한다. 한편 도3(c)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클럽링크부(145)에 장착된 센서2(130)에서 측정되는 각속도 값을
Figure pat00002
라고 하고, 센서1(110)에서 측정되는 각속도 값을
Figure pat00003
라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In Figure 3 (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takeaway in which the arm link part 125 and the club link part 145 move as one body in the initial backswing, that is, the arm and the club move as one body. (b) in Figure 3 shows the moment (t=k) at which the movement of the club link unit 145 is separated from the arm link unit 125, and this position can be viewed as the part where the movement of the wrist begins. This part can be seen as the point where cocking of the wrist begins. For this purpose, the club link unit 145 rotates at a speed (
Figure pat00001
), and for this purpose, rotational energy must be applied. Meanwhile, as shown in Figure 3(c), the angular velocity value measured by sensor 2 (130) mounted on the club link unit 145 is
Figure pat00002
and the angular velocity value measured by sensor 1 (110) is
Figure pat00003
If so,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is established.

Figure pat00004
...(1)
Figure pat00004
...(One)

Figure pat00005
.....(2)
Figure pat00005
.....(2)

즉 클럽링크부(145)에서의 회전속도 값은 팔링크부(125)과 클럽링크부(145)의 회전속도의 합(

Figure pat00006
) 으로 측정된다. That is, the rotational speed value in the club link unit 145 is the sum of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arm link unit 125 and the club link unit 145 (
Figure pat00006
) is measured.

위의 식(1)과 식(2)의 차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The difference between equation (1) and equation (2) above is as follows.

Figure pat00007
......(3)
Figure pat00007
......(3)

즉, 두 센서의 각속도의 측정값의 차이는 클럽링크부(145)의 각속도의 차이만큼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팔링크부(125)과 클럽링크부(145)가 일체로 움직여 클럽링크부(145)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는 팔링크부(125)과 클럽링크부(145)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의 차이는 없고, 이 때 두 센서에서 측정되는 각속도의 값은

Figure pat00008
으로 동일하며, 식(2)의 값은 '0'이 된다.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ular velocity measurements of the two sensors is equal to the difference i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club link unit 145.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arm link unit 125 and the club link unit 145 are moved as one and there is no movement of the club link unit 145,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arm link unit 125 and the club link unit 145 There is no, and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angular velocity measured by the two sensors is
Figure pat00008
is the same, and the value of equation (2) is '0'.

다운스윙 시 손목풀림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작점을 구할 수 있다. The starting point for wrist loosening during the downswing can be found in the same way as above.

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의 차이가 발생할 때 클럽링크부(145)(클럽)의 회전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rotation of the club link unit 145 (club) begins when a difference occurs in the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여기서 클럽링크부(145)의 운동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팔링크부(125)의 회전속도에 클럽링크부(145)의 회전속도가 더해져 두 센서 간의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Here, at the point where the movement of the club link unit 145 begins, the rotation speed of the club link unit 145 is added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arm link unit 125,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nsors begins to occur.

관성센서는 3차원상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므로 센서1과 센서2인 관성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통해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는 것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inertial sensor is a sensor that can measure angles in three dimensions, a detailed explanation of measur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through the inertial sensor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which is sensor 1 and sensor 2, will be omitted.

또한 도3 내지 도5와 같이 상기 센서1(110)와 상기 센서2(130)는 관성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적용하여 센서1(110)로는 팔의 각도를 측정하고 센서2(130)로는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며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의 사이각(Q, 127)을 측정하고 센서1(110)을 통해 팔의 위치를 확인하며 팔의 위치에 따른 팔의각도와 클럽각도와 사이각(Q, 127)을 동시에 표시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5, sensor 1 (110) and sensor 2 (130) apply an inertial sensor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with sensor 1 (110) and sensor 2 (130) ) measures the angle of the club and the angle (Q, 127) between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checks the position of the arm through sensor 1 (110), and measures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m. and included angle (Q, 127) are displayed simultaneously.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팔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손목근방에 설치되는 센서1(110)과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클럽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센서2(130)를 활용하여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되, 어깨의 회전각도별(팔의 위치별로)로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여 코킹과 언코킹의 위치를 표현하여 코킹과 언코킹의 상황을 분석하는 것이다.That is,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sensor 1 (110) installed near the wrist to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sensor 2 (130) installed in a certain part of the club to measure the angle of the club. Measure the angle of the club and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for each shoulder rotation angle (by arm position) to express the positions of cocking and uncocking to analyze the situation of cocking and uncocking.

이때 상기 센서1(110)와 상기 센서2(130)는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되, 도 6과 같이 유선으로 구현이 되거나, 무선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nsor 1 (110) and the sensor 2 (130)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may be implemented as wired as shown in FIG. 6, or may be connected wirelessly.

또한 상기 센서1은 오른손 골퍼인 경우에는 왼팔에, 왼손골퍼에게는 오른쪽 팔에 장착하되 팔의 팔목부의 회전에 방해를 하지 않는 하박부 위치에 장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서2는 클럽의 그립부(132)나 샤프트(134) 또는 샤프트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ensor 1 is mounted on the left arm for right-handed golfers and on the right arm for left-handed golfers, but is formed to be mounted at a lower arm loc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wrist of the arm, and sensor 2 is mounted on the grip portion 132 of the club. It can be installed on the shaft 134 or embedded within the shaft.

나아가 도4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두 센서의 좌표계를 보여주고 있다. 즉, 타겟방향을 y축, 어드레스 자세 시 골퍼의 앞쪽 방향을 x축으로 하고, 나머지 z축은 오른손 법칙에 의하여 선정한다. Furthermore, Figures 4 and 5 show coordinate systems of two sensors a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target direction is the y-axis, the golfer's front direction at the address posture is the x-axis, and the remaining z-axi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ight-hand rule.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1(110)은

Figure pat00009
축을 기준좌표계의 x축(
Figure pat00010
)과 일치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클럽의 그립끝단에 장착한 클럽 센서2(130)는 클럽센서의 y축(
Figure pat00011
)이 기준좌표계의 y축(
Figure pat00012
)과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ensor 1 (110) is
Figure pat00009
The axis is the x-axis of the reference coordinate system (
Figure pat00010
) was set to match. In addition, club sensor 2 (130) mounted on the grip end of the club is located on the y-axis of the club sensor (
Figure pat00011
) is the y-axis of the reference coordinate system (
Figure pat00012
) set to match.

본 발명에서 어드레스 자세를 하는 시점을 시작시간(

Figure pat00013
)으로 하고, 클럽의 x-z 평면이 기준좌표계의 x-z 평면과 일치하도록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ing time (
Figure pat00013
), and the xz plane of the club was made to coincide with the xz plane of the reference coordinate system.

이후 팔과 클럽의 상대 운동이 시작되는 시각(t=k)에 해당하는 팔의 오일러 각(

Figure pat00014
)과 클럽의 오일러 각(
Figure pat00015
)은 각도정보를 포함한다. 이 값을 이용하여 팔이 어느 위치에서 백스윙에서의 손목 잠김 시작위치와 다운스윙에서의 손목풀림 시작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Afterwards, the Euler angle of the arm (
Figure pat00014
) and the Euler angle of the club (
Figure pat00015
) includes angle information. Using this value, information on the wrist lock start position in the backswing and the wrist release start position in the downswing can be recognized at which arm position.

또한 도7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눈금의 부근에는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와 함께 클럽헤드의 속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ures 7 and 8, the speed of the club head along with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can be displayed near each scale.

여기서 클럽헤드의 속도를 구하는 기술은 여러문헌에 나와 있어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technology for calculating the speed of the club head is described in several documents,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8에 나타난 대로 상기 클럽사용자가 백스윙시 상기 도3에서 살핀 팔의각도와 클럽각도의 차이각도인 사이각(Q, 127)이 90도를 넘어갈 때의 팔위치의 각도를 코킹시작각도라 하고 상기 코킹시작각도(cocking start angle)에서 탑위치에서의 팔의 위치 각도까지는 코킹구간(cocking section)이라 하며, 상기 클럽사용자가 다운스윙시 상기 사이각이 90도 이상으로 될 때의 팔의 위치의 각도를 언코킹각도(uncocking angle)라 칭하고, 상기 분석차트(300)에는 상기 코킹시작각도와 상기 코킹구간과 상기 언코킹각도를 각 도시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8, when the club user backswings, the angle of the arm position when the angle (Q, 127), which is the difference angle between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observed in Figure 3, exceeds 90 degrees, is called the cocking start angle. And the distance from the cocking start angle to the arm position angle in the top position is called a cocking section, and the arm posi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 club users becomes 90 degrees or more when the club user downswings. The angle is called the uncocking angle, and the analysis chart 300 shows the caulking start angle, the caulking section, and the uncocking angle.

여기서 상기 90도는 사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Here, the 90 degrees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person.

또한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석차트에는 상기 클럽의 헤드속도(head speed)를 도시하되 상기 클럽의 헤드속도는 언코킹각도와 연관되도록 상기 분석차트의 원호의 바깥쪽에 속도원호(361)를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analysis chart shows the head speed of the club, and a speed arc 361 is shown outside the arc of the analysis chart so that the head speed of the club is related to the uncocking angle. It is characterized by:

이때 백스윙시 코킹구간은 원의 안쪽에 원호형태의 코킹원호(362)가 도시되며, 다운스윙시 언코킹구간은 원의 바깥쪽에 원호형태의 언코킹원호(363)가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킹시작각도와 코킹구간 및 언코킹각도는 도8과 같이 원호의 내 외부에 별도의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cking section during the backswing shows a cocking arc 362 in the shape of an arc on the inside of the circle, and in the uncocking section during the downswing, the uncocking circle 363 in the shape of an arc is shown on the outside of the circle. The caulking start angle, caulking section, and uncaulking angle can be expressed in separate colors inside and outside the arc, as shown in Figure 8.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에는 상기 센서1 및 센서2의 신호를 처리하고 분석하고 필요한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510)와 클럽의 종류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520),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팔의위치와 팔의각도와 클럽의각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30)와, 상기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로부터 코킹되는 팔의위치인 코킹위치와 언코킹되는 팔의 위치인 언코킹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540)와,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55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ure 9, the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includes a control unit 510 that processes and analyzes the signals from sensor 1 and sensor 2 and processes necessary commands, an input unit 520 that can select the type of club, and a user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the user, a memory unit 530 that stores the arm position, arm angle, and club angle, and a cocked position and an uncocked arm, which are the positions of the arm cocked from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It includes a calculation unit 540 that calculates the uncocked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 and an interface unit 550 for linking with a smartphone.

상기 메모리부(530)에는 상기 클럽사용자가 상기 클럽을 i회 (i=1,2,3,...,n-1,n) 스윙한 후 각 스윙별 팔의위치, 팔의각도, 클럽각도가 저장되며, 각 회수별로 팔의위치에 따른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상기 분석차트(300)에 표시하되, 상기 클럽사용자가 클럽을 i회 (i=1,2,3,...,n-1,n) 스윙한 후 획득한 각 스윙별 팔의각도 및 클럽각도에서 상기 연산부(540)를 통해 상기 팔의각도와 상기 클럽각도의 사이각(Q, 127)을 연산하고, 상기 각 스윙별로 팔의위치에 따른 사이각과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메모리부(5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mory unit 530 contains the arm position, arm angle, and club information for each swing after the club user swings the club i times (i=1,2,3,...,n-1,n). The angle is stored, and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for each number of times are displayed on the analysis chart 300, where the club user moves the club i times (i=1, 2, 3,... ,n-1,n) Calculate the angle (Q, 127) between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through the calculation unit 540 from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for each swing obtained after the swing, and It is characterized by storing the included angle, arm angle, and club angle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for each swing in the memory unit 530.

이처럼 본 발명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획득된 평균값과 표준편차 등을 수집하여 개별적으로 골프에서 중요한 일관성(consistency)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btained repeatedly can be collected and information on consistency, which is important in golf, can be individually provided on the screen.

또한 프로골프, 싱글플레이 등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제시하여 비교를 통하여 훈련의 동기를 제공하거나 목표를 제공하여 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골프들은 임팩트 부근에서 손목 풀림이 일어나고 골프 초보자들은 다운스윙시 일찍 손목 풀림이 발생하는 것을 실험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을 통하여 바람직한 스윙을 체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tandard data for professional golf, single play, etc. can be presented and compared to provide motivation or goals for training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In general, it can be found in experimental data that professional golfers loosen their wrists near impact and that golf beginners loosen their wrists early during the downsw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mbody a desirable swing through this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90 : 클럽 110 : 센서1
120 : 팔의각도 124 : 제11점
125 : 팔링크부 126 : 제12점
127 : 사이각 130 : 센서2
140 : 클럽의각도 144 : 제21점
145 : 클럽링크부 146 : 제22점
300 : 분석차트 310 : 원점
311 : 원점눈금 321 : +1눈금
322 : +2눈금 323 : +3눈금
324 : +4눈금 325 : +5눈금
326 : +6눈금 331 : -1눈금
332 : -2눈금 333 : -3눈금
334 : -4눈금 335 : -5눈금
341 : 백스윙 342 : 다운스윙
350 : 눈금 360 : 클럽헤드속도
361 : 속도원호 362 : 코킹원호
363 : 언코킹원호 510 : 제어부
520 : 입력부 530 : 메모리부
540 : 연산부 550 : 인터페이스부
90: Club 110: Sensor 1
120: Arm angle 124: 11th point
125: Pal link part 126: 12th point
127: Included angle 130: Sensor 2
140: Club angle 144: 21st point
145: Club link unit 146: 22nd point
300: Analysis chart 310: Origin
311: Origin scale 321: +1 scale
322: +2 division 323: +3 division
324: +4 division 325: +5 division
326: +6 divisions 331: -1 divisions
332: -2 divisions 333: -3 divisions
334: -4 division 335: -5 division
341: Back swing 342: Down swing
350: Scale 360: Club head speed
361: Speed arc 362: Caulking arc
363: Uncocking circle 510: Control unit
520: input unit 530: memory unit
540: calculation unit 550: interface unit

Claims (9)

팔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손목근방에 설치되는 센서1(110)과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클럽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센서2(130)를 활용하여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되
어깨의 회전각도별로 팔의 각도와 클럽(90)의 각도를 측정하여 코킹과 언코킹의 위치를 표현하여 코킹과 언코킹의 상황을 분석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using sensor 1 (110) installed near the wrist to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sensor 2 (130) installed in a certain part of the club to measure the angle of the club.
A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that analyzes the situation of cocking and uncocking by measur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90) for each shoulder rotation angle and expressing the positions of cocking and uncoc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110)와 상기 센서2(130)는 관성센서(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적용하여 센서1로는 팔의 각도를 측정하고 센서2로는 클럽의 각도를 측정하며 팔의 각도와 클럽의 각도의 차이각도를 측정하고 센서1를 통해 팔의 위치를 확인하며 팔의 위치에 따른 팔의각도와 클럽각도와 차이각도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1
The sensor 1 (110) and the sensor 2 (130) apply an inertial sensor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with sensor 1 and the angle of the club with sensor 2, and measure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that measures the difference angle, confirms the arm position through sensor 1,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arm angle, club angle, and difference angle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언코킹분석 시스템은 코킹과 언코킹의 상태를 보여주는 분석차트를 제공하며, 상기 분석차트(300)에는 원이 도시되되, 상기 원의 원호에서 하단의 일점을 원점(310)이라 할 때, 상기 원점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이격된 지점까지의 각도에는 팔의위치각도에 대응되도록 표현하고
이때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원의 원주에 동일각도로 이격되도록 눈금(350)을 표시하며, 상기 원호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상기 눈금의 부근에 팔의 각도(120)와 클럽각도(140)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2
The caulking-uncaulking analysis system provides an analysis chart showing the states of caulking and uncaulking. A circle is shown in the analysis chart 300, and when the point at the bottom of the arc of the circle is taken as the origin 310. , the angle from the origin to a point spaced apart along the arc is expressed to correspond to the arm position angle,
At this time, a scale 350 is displayed to be spaced at the same angle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based on the origin, and an arm angle 120 and a club angle 140 are displayed near the scale inside or outside the arc. A coking-uncoking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350)은 일정각도마다 원주에 근접하여 반경방향으로 표시되며 상기 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의 원점(310)에 표시된 눈금을 원점눈금(311) 이라하고,
상기 원점눈금에서 1번째 좌측눈금의 +1눈금(321)이라 하며 2번째 좌측눈금을 +2눈금(322), 3번째 좌측눈금을 +3눈금(323), 4번째 좌측눈금을 +4눈금(324), 5번째 좌측눈금을 +5눈금(325), 6번째 좌측눈금을 +6눈금(326) 이라하며,
상기 원점눈금에서 1번째 우측눈금의 -1눈금(331)이라 하며 2번째 우측눈금을 -2눈금(332), 3번째 우측눈금을 -3눈금(333), 4번째 우측눈금을 -4눈금(334), 5번째 우측눈금을 -5눈금(335) 하고,
사용자의 어드레스시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는 원점눈금 부근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3
The scale 350 is displayed in the radial direction close to the circumference at a certain angle, and when the circle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scale displayed at the origin 310 at the bottom is called the origin scale 311,
In the origin scale, the 1st left scale is called +1 scale (321), the 2nd left scale is +2 scale (322), the 3rd left scale is +3 scale (323), and the 4th left scale is +4 scale ( 324), the 5th left scale is called +5 scale (325), and the 6th left scale is called +6 scale (326).
In the origin scale, the 1st right scale is -1 scale (331), the 2nd right scale is -2 scale (332), the 3rd right scale is -3 scale (333), and the 4th right scale is -4 scale ( 334), the 5th right scale is -5 scale (335),
A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at the user's address near the origin sca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각도는 30도이고 상기 +1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3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2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6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3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9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4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2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5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5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6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좌측으로 18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1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3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2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6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3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9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4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12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5눈금은 원점눈금에서 우측으로 150도 이동한 위치에 표시되고,
상기 각 눈금에는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되
어드레스일 때 원점눈금(311)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30도에 있으면 +1눈금(321)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60도에 있으면 +2눈금(322)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90도에 있으면 +3눈금(323)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20도에 있으면 +4눈금(324)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50도에 있으면 +5눈금(325)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80도에 있으면 +6눈금(326)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4
The constant angle is 30 degrees, the +1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3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2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6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3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6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It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9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4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2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5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5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6 scale is displayed 180 degrees to the left from the origin scale,
The -1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3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the -2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6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3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9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It is displayed at the moved position, the -4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2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and the -5 scale is displayed at a position moved 150 degrees to the right from the origin scale,
Each scale above indicates the angle of the arm and the angle of the club.
When address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origin scale (311).
If the arm position is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1 scale (321).
If the arm position is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2 scale (322).
If the arm position is 90 degrees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3 scale (323).
If the arm position is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4 scale (324).
If the arm position is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5 scale (325).
A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that displays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near the +6 scale (326) position when the arm position is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backswing or downswing.
제5항에 있어서
백스윙(341)에는 상기 원의 안쪽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하고, 다운스윙시(342)에는 상기 원의 바깥쪽에 팔의각도와 클럽각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5
Cocking-uncocking analys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on the inside of the circle during the backswing (341), and displaying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on the outside of the circle during the downswing (342). system.
제5항에 있어서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30도에 있으면 -1눈금(331)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60도에 있으면 -2눈금(332)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90도에 있으면 -3눈금(333)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고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20도에 있으면 -4눈금(334)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며
팔로우 스윙시 팔의위치가 지면에 대해 150도에 있으면 -5눈금(335)위치 부근에 팔의각도와 클럽의 각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5
During the follow swing, if the arm position is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1 scale (331) position.
During the follow swing, if the arm position is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2 scale (332) position.
When the follow swing is performed, if the arm position is 90 degrees to the ground,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3 scale (333) position.
During the follow swing, if the arm position is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arm angle and club angle are displayed near the -4 scale (334) position.
A cocking-uncocking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arm angle and the club angle near the -5 scale (335) position when the arm position is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the follow sw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110)와 상기 센서2(130)는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되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2
The sensor 1 (110) and the sensor 2 (130)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ly. A caulking-uncaulking analysis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110)은 오른손 골퍼인 경우에는 왼팔에, 왼손골퍼에게는 오른쪽 팔에 장착하되 팔의 팔목부의 회전에 방해를 하지 않는 하박부 위치에 장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서2(130)는 클럽의 그립부나 샤프트 또는 샤프트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언코킹 분석시스템.







In paragraph 8
Sensor 1 (110) is mounted on the left arm for right-handed golfers and on the right arm for left-handed golfers, but is formed to be mounted at a lower arm loc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wrist of the arm, and sensor 2 (130) is mounted on the club. A caulking-uncaulking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grip portion, shaft, or inside the shaft.







KR1020220107065A 2022-08-25 2022-08-25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KR202400288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065A KR20240028826A (en) 2022-08-25 2022-08-25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065A KR20240028826A (en) 2022-08-25 2022-08-25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826A true KR20240028826A (en) 2024-03-05

Family

ID=9029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065A KR20240028826A (en) 2022-08-25 2022-08-25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826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21B1 (en) 2001-03-28 2008-12-16 램 리서치 코포레이션 Semiconductor device
KR100995287B1 (en) 2000-04-26 2010-11-2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세이키 세이사쿠쇼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amount of movement using granular speck pattern generated by reflecting laser beam
KR20130070954A (en) 2011-12-20 2013-06-28 메타빌드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rescue
KR101459121B1 (en) 2011-11-10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Hard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the hard coating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287B1 (en) 2000-04-26 2010-11-2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세이키 세이사쿠쇼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amount of movement using granular speck pattern generated by reflecting laser beam
KR100874521B1 (en) 2001-03-28 2008-12-16 램 리서치 코포레이션 Semiconductor device
KR101459121B1 (en) 2011-11-10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Hard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the hard coating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130070954A (en) 2011-12-20 2013-06-28 메타빌드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resc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4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thletic motion analysis and instruction
JP60950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sports motion using motion sensors of mobile devices
JP6095074B2 (en) How to provide dynamic and customized sports instruction that matches the movement of mobile devices
US8986129B2 (en) Golf device and method
US1047868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 sporting apparatus
TW201501752A (en) Motion analysis method and motion analysis device
US10354550B2 (en) Swing diagnosis apparatus, swing diagnosis system, swing diagno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W201500090A (en) Motion analysis method and motion analysis device
US20170348560A1 (en) Exercise analysis device, exercise analysis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exercise analysis system
JP6911298B2 (en) Golf club fitting equipment, methods and programs
US20180311530A1 (en) Wearable Body Monitors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nd and Predicting the Trajectory of an Object
US20140148265A1 (en)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weight shift
JP2004535266A (en) Exercise analyzer
JP6783646B2 (en) Selection support device, selection support system and selection support method
KR20240028826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ing 2-IMU Sensors
JP202110045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JP2012200540A (en) Swing analyzing system and swing analyzing apparatus
US20160236064A1 (en) Golf glove
JP6554158B2 (en) Swing analysis device
JP2018117670A (en) Motion analysis device, motion analysis method, program, and motion analysis system
US20150335946A1 (en) Tennis training system
WO2014123419A1 (en) Motion tracking method and device
JP2021058301A (en) Fitting device of golf club
JP202100037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7248353B1 (en) Hitting analysis system and hitting analysis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