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692A - Motor - Google Patents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692A
KR20240028692A KR1020220106737A KR20220106737A KR20240028692A KR 20240028692 A KR20240028692 A KR 20240028692A KR 1020220106737 A KR1020220106737 A KR 1020220106737A KR 20220106737 A KR20220106737 A KR 20220106737A KR 20240028692 A KR20240028692 A KR 2024002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us bar
disposed
m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692A/en
Publication of KR2024002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6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 및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바디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는 단차 구조와 이탈방지 구조를 이용하여 버스바의 진위치도를 확보하면서도 상기 홀에 대한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plate portion in which a hole is formed and a side wall portion protruding axially from the plate; A sta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ro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tator; A shaft coupled to the rotor; and a bus bar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tator, wherein the bus bar includes a bus bar body and a terminal disposed on the bus bar body, and the bus bar body includes a body and a stator protruding from the body toward the plate portion. 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med,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protrusion,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contacts the plate part, and the second protrusion starts a motor disposed inside the hole. Accordingly, the motor can improve sealing performance of the hole while securing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by using a step structure and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Description

모터{MOTOR}motor{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 motor.

모터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최근 모터의 용도가 확대되면서 모터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전장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조향 시스템, 제동 시스템 및 의장 시스템 등에 적용되는 모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A motor is a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by using the force a conductor receives in a magnetic field. Recently, as the uses of motors have expanded, the role of motor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as the electrification of automobiles progresses rapidly, the demand for motors applied to steering systems, braking systems, and design system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상기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커버, 샤프트(shaft),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로터(rotor), 상기 로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stator), 상기 스테이터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베어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tor includes a housing, a cover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housing, a shaft, a rotor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 stator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rotor, and a stator disposed on top of the stator. It may include a bus bar and a bearing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여기서,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 및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할 수 있다. Here, the bus bar may include a bus bar body and a terminal disposed on the bus bar body. Additionally, the terminal may penetrate the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이때, 상기 관통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홀로 인해 상기 모터 내부에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hol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for the penetration. However, external foreign substances may enter the motor due to the hole.

그에 따라, 상기 홀에 패킹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이물질의 내부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압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홀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caused by internal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y arranging the packing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in a fitting manner. At this time, the packing may be placed in the hole by being press-f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그러나,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기 터미널의 관통 방향과 상기 패킹의 삽입 방향이 서로 반대되고, 그로 인해 상기 패킹의 압입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터미널은 상기 관통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However, the penetr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acking are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hole, and as a result, the terminal is push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enetration direction by the load generated when the packing is pressed in.

즉, 상기 패킹의 결합에 의한 하중은 상기 터미널을 통해 버스바의 진위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load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acking affects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through the terminal.

또한, 상기 패킹에 의한 비용 및 공정 추가로 인해 모터의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motor is reduced due to the additional costs and processes caused by the packing.

이에, 상기 홀을 밀폐시키면서도 상기 버스바의 진위치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모터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ly improved motor that can secure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while sealing the hole.

실시예는 버스바에 형성된 단차 구조를 통해 버스바의 진위치도를 확보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 motor that secures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through a step structure formed on the bus bar.

실시예는 버스바에 형성된 이탈방지 구조를 통해 버스바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 motor that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holes while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bus bar through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med on the bus bar.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 및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바디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task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plate portion in which a hole is formed and a side wall portion protruding axially from the plate; A sta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ro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tator; A shaft coupled to the rotor; and a bus bar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tator, wherein the bus bar includes a bus bar body and a terminal disposed on the bus bar body, and the bus bar body includes a body and a stator protruding from the body toward the plate portion. 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med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protrusion, the first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part,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achieved by a motor disposed inside the hole. .

바람직하게,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홀을 형성하는 내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는 상기 홈에 결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ate part includes a first groove formed concavely on an inner surface forming the hole, and a hook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protrusion can be coupled to the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홈은 상기 내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nner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부를 성형하여 형성된 제3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홀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 홈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us bar body includes a third protrusion formed by molding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third protrusion may be disposed in a second groove disposed around the hole.

바람직하게,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는 상기 바디에 접촉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ator includes a stator core, an insulator disposed on the stator core, and a coil wound around the insulator, and a portion of the insulat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바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이 냉각됨에 따라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홀을 밀폐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bus ba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s the housing cools, the second protrusion can seal the hole.

실시예는 버스바에 형성된 단차 구조를 통해 하우징 내에서 버스바가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상기 단차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바의 진위치도를 확보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bus bar may be positioned at a preset position within the housing through a step structure formed on the bus bar. That is, the embodiment can secure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by using the step structure.

실시예는 단차 구조를 구현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통해 버스바의 진위치도 확보와 함께 터미널이 배치되는 하우징의 홀을 밀폐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하우징의 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통해 상기 홀을 밀폐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열간 압입 방식으로 상기 버스바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를 통한 실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can be secured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hat implement a stepped structure, and the hole of the housing where the terminal is placed can be sealed. In detail, the hole of the housing can be sealed through a second protrusion disposed in a fitting manner. Furthermore, by arranging the bus bar inside the housing using a hot press method, sealing performance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 can be further improved.

실시예는 이탈방지 구조를 이용하여 버스바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홀에 대한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탈방지 구조는 끼워맞춤 방식을 통한 상기 하우징의 홀과 상기 제2 돌출부의 결합, 열간 압입 방식을 통한 상기 하우징의 홀과 상기 제2 돌출부의 결합, 후크를 이용한 걸림 구조 및 열 융착을 이용한 걸림 구조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mbodiment uses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bus bar and improve sealing performance for the hole. For example,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includes coupling of the hole of the hous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through a fitting method, coupling of the hole of the hous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through a hot pressing method, a locking structure using a hook, and heat fusion.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use of a hanging structure, etc. Here, the housing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and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through description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과 버스바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과 버스바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과 버스바의 배치 관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 along line AA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 along line BB in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bar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lan view showing a bus bar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side view showing a bus bar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housing and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housing and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housing and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or replaced between embodim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refers not only to cases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o one This also includes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described above is formed or plac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top (above) or bottom (bottom)", it may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과 버스바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과 버스바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 along line A-A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 along line B-B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motor,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bar of the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bus bar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top view,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bus bar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housing and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ure 10 is the housing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bus bars.

도 2에 도시된 X 방향은 반경 방향 또는 제1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축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방향이라 함은 샤프트(60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도면 부호 'C'는 회전 중심(축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축 중심(C)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은 원주 방향이라 불릴 수 있다. The X direction shown in FIG. 2 may mean a radial direction or a first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may mean an axial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dditionally,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adial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ere, the axial direction may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600. Additionally, reference numeral 'C' shown in FIG. 2 may mean the center of rotation (center of axis). And, the direction along a circle with a radial radius based on the axis center (C) may be calle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커버(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300),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400), 상기 스테이터(3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500), 상기 로터(400)와 결합하는 샤프트(600), 및 샤프트(60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베어링(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이라 함은 상기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 중심(C)을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외측이라 함은 상기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0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 cover 200 disposed in the opening, a stator 30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he rotor 400 disposed inside the stator 300, the bus bar 5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ator 300, the shaft 600 coupled to the rotor 4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600 It may include a bearing 700 disposed in. Here, the inside may mean a direction disposed toward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motor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outside may mea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ide.

상기 하우징(100)과 커버(200)는 상기 모터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과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에는 스테이터(300), 로터(400), 버스바(500), 샤프트(6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and cover 200 may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motor. Additionally, a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200 by combining the housing 100 and the cover 20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a stator 300, a rotor 400, a bus bar 500, a shaft 600, etc.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하우징(100)은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내부에 스테이터(300), 로터(4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motor. Additionally, the housing 100 can accommodate a stator 300, a rotor 400, etc. therein.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하우징(100)은 고온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housing 10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그에 따라, 상기 모터는 열간 압입 방식으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스테이터(300)와 버스바(500)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간 압입 방식이란 상기 하우징(100)의 가열 및 냉각을 통한 사이즈 변경 과정에서 스테이터(300) 등을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하우징(100)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하우징(100)을 팽창시켜 하우징(100)의 사이즈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30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냉각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이 본래 상태로 돌아오면서 하우징(100)의 사이즈가 감소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스테이터(300)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스테이터(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tor can place the stator 300 and the bus bar 500 inside the housing 100 by hot pressing. Here, the hot pressing method may mean a method of fixing the stator 300, etc. inside during the size change process through heating and cooling of the housing 100. In detail, the stator 300 is inserted while the housing 100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expand the housing 100 and temporarily increase the size of the housing 100. Then, by cooling the housing 100, the housing 10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size of the housing 100 decreases. Accordingly, the housing 100 is pressed against the inside of the stator 300, thereby fixing the stator 300 to the housing 10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홀(111)이 형성된 플레이트부(110)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110)와 측벽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plate portion 110 in which a hole 111 is formed and a side wall portion 120 protruding from the plate in the axial direction. Here, the plate portion 110 and the side wall portion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버스바(5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면(112) 및 상기 제1 면(112)의 반대면인 제2 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ate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ccordingly, the plate portion 110 has a first surface 112 disposed to face the bus bar 500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surface 113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12. may include.

상기 홀(111)은 상기 제1 면(112)에서 제2 면(113)까지 축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상기 홀(111)을 형성하는 내부면(111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le 1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112 to the second surface 113. Accordingly, the plate portion 110 may include an inner surface 111a forming the hole 111.

상기 홀(111)이 상기 플레이트부(110)를 관통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홀(111)의 내부에는 상기 버스바(500)의 제2 돌출부(513)가 배치될 수 있다.As the hole 111 is formed to penetrate the plate portion 110, the second protrusion 513 of the bus bar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le 111.

즉, 상기 홀(111)은 제2 돌출부(513)를 위해 형성되며, 제1 홀이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홀과 구분되게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샤프트(600)가 배치되는 제2 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홀(116) 또한 축 방향으로 관통되게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hole 111 is formed for the second protrusion 513 and may be called a first hole. At this time, separately from the first hole, the plate portion 110 may include a second hole 116 where the shaft 600 is disposed. Here, the second hole 116 may also b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110 to penetrate in the axial direction.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내부면(111a)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ate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groove 114 conca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1a.

그리고, 상기 제1 홈(114)에는 상기 버스바(500)의 후크(514)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홈(114)에는 상기 홀(111)과 제2 돌출부(51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모터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제1 홈(114) 내부에 쌓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홈(114)은 이물질의 유입 방지 구조로 이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ook 514 of the bus bar 500 may be placed in the first groove 114. In addition,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first groove 114 through a gap between the hole 111 and the second protrusion 513 may accumulate inside the first groove 114 without flowing into the motor. That is, the first groove 114 can be used as a structur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여기서, 상기 제1 홈(114)은 상기 내부면(111a)에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 the first grooves 114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be spaced apart on the inner surface 111a as an exampl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예컨데, 상기 제1 홈(114)은 상기 내부면(11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홈(114)은 상기 내부면(11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경우, 상기 홀(111)과 제2 돌출부(51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제1 홈(114)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홈(114)보다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홈(114)은 밀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groove 114 may be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nner surface 111a. When the first groove 114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surface 111a,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ole 111 and the second protrusion 513 are formed in the first groove 114. You can be guided by: Accordingly, the first groove 114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can further improve sealing performance than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114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상기 제2 면(113)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홈(115)은 상기 홀(11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홈(115)의 반경 방향으로의 사이즈는 상기 홀(111)의 반경 방향으로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plate portion 1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roove 115 concavely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3. Here, the second groove 115 may be disposed around the hole 111. Accordingly, the radial size of the second groove 115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adial size of the hole 111.

그리고, 상기 제2 홈(115)에는 이탈방지 구조로 제공되는 상기 버스바(500)의 제3 돌출부(515)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protrusion 515 of the bus bar 500, which is provided as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115.

상기 측벽부(120)는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20)의 내부에는 스테이터(300)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간 압입 방식에 의해 상기 측벽부(120)는 스테이터 코어(31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ide wall portion 120 may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plate portion 110. Additionally, a stator 300 or the like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portion 120, and the side wall portion 120 may support the stator core 310 by the hot pressing method.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베어링(700)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켓부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 포켓부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는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pocket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earing 700. Here, the pocket portion may be formed by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may be called a housing pocket portion. Also, the pocket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110.

상기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를 덮도록 하우징(100)의 개구면, 즉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ver 200 may be placed 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at is, o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to cover the opening of the housing 100.

그리고, 커버(200)는 베어링(700)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200)의 포켓부는 커버 포켓부라 불릴 수 있으며, 상기 커버(2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ver 200 may include a pocket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earing 700. Here, the pocket part of the cover 200 may be called a cover pocket part, and may be formed through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ver 20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 스테이터 코어(310)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320) 및 인슐레이터(320)에 권선되는 코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tator 300 may include a stator core 310, an insulator 320 disposed on the stator core 310, and a coil 330 wound on the insulator 320.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330)이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코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A coil 330 forming a rotating magnetic field may be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310. Here, the stator core 310 may be formed as a single core or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plit cores.

또한,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tator core 310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hin steel plat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tator core 310 may be formed as a single piece.

또한,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는 원통 형상의 요크(미도시) 및 상기 요크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투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ator core 310 may include a cylindrical yoke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teeth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yoke in the radial direction.

복수 개의 상기 투스는 상기 요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투스 사이에는 상기 코일(330)이 권선되는 공간인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eth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yoke. Accordingly, a slot, which is a space where the coil 330 is wound, may be formed between the teeth.

한편, 상기 스테이터(300)의 투스는 상기 로터(400)와 에어 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갭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투스와 마그넷(420)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Meanwhile, the teeth of the stator 300 may be arranged to have an air gap with the rotor 400. Here, the air gap may be the distance between the tooth and the magnet 420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인슐레이터(32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30)을 절연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인슐레이터(32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sulator 320 insulates the stator core 310 and the coil 330. Accordingly, the insulator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ator core 310 and the coil 330.

따라서, 상기 코일(330)은 상기 인슐레이터(320)가 배치된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에 권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il 330 may be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310 on which the insulator 320 is disposed.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320)는 상기 버스바(500)와 접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버스바(5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 상기 버스바(50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nsulator 320 can support the bus bar 500 by being placed in contact with the bus bar 500 .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bus bar 500 located at a preset position can be maintain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슐레이터(320)는 인슐레이터 바디(321), 내측 가이드(322) 및 외측 가이드(32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insulator 320 may include an insulator body 321, an inner guide 322, and an outer guide 323.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321)에는 코일(330)이 권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321)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투스와 결합할 수 있다. A coil 330 may be wound around the insulator body 321. Additionally, the insulator body 321 may be coupled to the tooth of the stator core 310.

상기 내측 가이드(322)와 외측 가이드(323)는 인슐레이터 바디(321)에 감긴 코일(3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코일(330)의 권선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ner guide 322 and the outer guide 323 prevent the coil 330 wound around the insulator body 321 from being separated and serve to guide the winding position of the coil 330.

상기 내측 가이드(322)는 인슐레이터 바디(321)를 중심으로 내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가이드(322)의 상부측 단부는 상기 버스바(500)의 버스바 바디(510)와 접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내측 가이드(322)는 상기 버스바(50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inner guide 322 is disposed inside the insulator body 321 as the center. Here, the upper end of the inner guide 322 may contact the bus bar body 510 of the bus bar 500. Accordingly, the inner guide 322 can support the bus bar 500.

상기 외측 가이드(323)는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321)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The outer guide 323 is disposed outside of the insulator body 321.

상기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이때, 상기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rotor 400 rotates through electrical interaction with the stator 300. At this time, the rotor 40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stator 300.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로터(400)는 로터 코어(410), 및 상기 로터 코어(4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400)는 로터 코어(410)의 표면에 마그넷(420)이 부착되는 SPM(Surface Permanent Magnet)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 the rotor 400 may include a rotor core 410 and a plurality of magnets 420 disposed outside the rotor core 410. Here, the rotor 400 may be formed as a Surface Permanent Magnet (SPM) type in which a magnet 42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otor core 4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로터(400)는 상기 로터 코어(410)와 마그넷(420)을 보호하는 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캔은 상기 마그넷(420)이 결합된 로터 코어(41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otor 400 may further include a can that protects the rotor core 410 and the magnet 420. At this time, the can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rotor core 410 to which the magnet 420 is coupled.

상기 로터 코어(4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rotor core 410 may be implemented as a stack of a plurality of thin steel pl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ylinder.

그리고, 상기 로터 코어(4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 코어(410)의 중심에는 샤프트(600)가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otor core 4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ere, a hole into which the shaft 600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or core 410.

상기 마그넷(420)은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회전 자계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상기 코일(330)과 마그넷(420)의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400)가 회전하고, 상기 로터(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샤프트(60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로터(400)의 마그넷(420)은 드라이브 마그넷이라 불릴 수 있다. The magnet 420 forms a rotating magnetic field with the coil 330 of the stator 300. Accordingly, the rotor 400 rotates due to the electrical interaction between the coil 330 and the magnet 420, and the shaft 60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400, thereby genera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do. Here, the magnet 420 of the rotor 400 may be called a drive magnet.

상기 마그넷(420)은 로터 코어(4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magnets 42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core 4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버스바(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us bar 50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stator 300, as shown in FIG. 2.

그리고, 상기 버스바(500)는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us bar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330 of the stator 3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500)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스테이터(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터(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bus bar 5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ator 300 in the axial direction and may be supported by the insulator 320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500)는 버스바 바디(510)와 버스바 바디(5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 바디(510)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5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to 8 , the bus bar 500 may include a bus bar body 510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520 disposed on the bus bar body 510. Here, the bus bar body 5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terminal 5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 버스바 바디(510)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몰드물일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520)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 바디(510)를 사출하여 상기 버스바(5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520)은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상기 버스바 바디(510)에 배치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510 may be a mold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For example, the bus bar 500 may be formed by injecting the bus bar body 510 while the plurality of terminals 5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terminal 520 can be placed on the bus bar body 510 through an insert injection method.

그리고, 상기 버스바 바디(510)는 단차 구조 및 이탈방지 구조를 통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s bar body 510 can be fixed to the housing 100 at a preset position through a stepped structure and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상기 버스바 바디(510)는 바디(511), 상기 바디(511)에서 상기 플레이트부(11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512), 상기 제1 돌출부(512)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돌출부(513), 및 상기 제2 돌출부(513)에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5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511), 제1 돌출부(512), 제2 돌출부(513), 및 후크(51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us bar body 510 includes a body 511, a first protrusion 51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511 toward the plate portion 110, and a first protrusion 51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protrusion 512. It may include two protrusions 513, and a hook 514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protrusion 513. Here, the body 511, the first protrusion 512, the second protrusion 513, and the hook 514 may be formed as one body.

상기 바디(511)는 내주면(511a)과 외주면(511b)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주면(511a)의 반경(R1)은 상기 외주면(511b)의 반경(R2)보다 작다.The body 51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511a)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511b). At this time,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the radius R1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11a is smaller than the radius R2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11b.

그리고, 상기 바디(511)의 상부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단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511,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have a stepped structure.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512)와 제2 돌출부(5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512)와 제2 돌출부(513)를 이용하여 상기 단차 구조를 구현함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512)는 단차면(512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512 and a second protrusion 513. As the step structure is implemented using the first protrusion 512 and the second protrusion 513, the first protrusion 512 and the second protrusion 513 may be used to implement the step structure. The protrusion 512 may include a stepped surface 512a.

여기서, 상기 단차면(512a)은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제1 면(112)과 접촉하여 상기 버스바(500)의 진위치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버스바(5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부(110)를 향해 삽입되면, 상기 단차면(512a)은 상기 제1 면(112)과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버스바(500)는 상기 제1 면(112)과 접촉하는 상기 단차면(512a)을 통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면(512a)은 접촉면 또는 제1 돌출부(512)의 상면이라 불릴 수 있다. Here, the step surface 512a contacts the first surface 112 of the plate portion 110 to secure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500. For example, when the bus bar 500 is inserted toward the plate portion 110 from inside the housing 100, the stepped surface 512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112. Accordingly, the bus bar 500 is located at a preset position through the step surface 512a that contacts the first surface 112. Here, the step surface 512a may be called a contact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512.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단차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바(5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면(112)과 단차면(512a)의 접촉 및 버스바 바디(510)와 인슐레이터(320)의 접촉을 통해 상기 버스바(500)의 축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111)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513)를 통해 상기 버스바(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방향은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Also, the motor can prevent the bus bar 500 from moving by using the step structure. For example, axial flow of the bus bar 500 can be prevented through contact between the first surface 112 and the step surface 512a and contact between the bus bar body 510 and the insulator 320.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s bar 500 from flo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 513 inserted into the hole 111.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1 돌출부(512)는 상기 바디(511)의 상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512)는 단차면(512a)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과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512 may be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511. Additionally, the first protrusion 512 may contact the housing 100 through the step surface 512a.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512)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520)의 갯수에 대응하여 세 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ree first protrusions 512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5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이때, 상기 제1 돌출부(512)의 일부 영역은 상기 바디(511)와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터미널(520)의 배치에 대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some areas of the first protrusion 512 may not overlap with the body 511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regarding the arrangement of the terminal 520 can be improved.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출부(512) 중 어느 하나의 일부는 상기 내주면(511a)보다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세 개의 제1 돌출부(512) 중 가운데 배치되는 제1 돌출부(521)의 경우, 일부가 상기 내주면(511a)보다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por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12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tha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11a.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protrusion 521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three first protrusions 512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52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tha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11a.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출부(512) 중 다른 하나의 일부는 상기 외주면(511b)보다 중심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세 개의 제1 돌출부(512) 중 가운데 배치되는 제1 돌출부(521)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돌출부(512)의 경우, 일부가 외주면(511b)보다 중심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12 may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cent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11b.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protrusion 512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rotrusion 521 disposed in the center among the three first protrusions 5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512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cent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11b. It can be.

따라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돌출부(512)의 일부 영역은 상기 바디(511)와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하여 상기 터미널(520)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터미널(520)의 단부는 상기 바디(511)와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Accordingly, the motor can freely mov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520 by arranging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512 so as not to overlap the body 511 in the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end of the terminal 520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10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ody 511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2 돌출부(513)는 제1 돌출부(512)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부(513)는 제1 돌출부(512)의 모서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단차면(512a)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5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rotrusion 512 to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51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first protrusion 5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the stepped surface 512a.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부(513)는 상기 홀(111)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512)의 단차면(512a)은 상기 하우징(100)에 접촉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protrusion 513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111. Accordingly, the stepped surface 512a of the first protrusion 512 may contact the housing 100.

이때, 상기 제2 돌출부(513)의 축 방향 단부는 상기 제2 면(113)보다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513)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미널(520)의 단부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xial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may be disposed to protrude beyond the second surface 113. As shown in FIG. 3, the end of the terminal 520 disposed inside the second protrusion 51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상기 후크(514)는 제2 돌출부(513)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514)는 상기 제2 돌출부(513)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ook 51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protrusion 513. At this time, the hook 514 may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그리고, 상기 후크(514)는 상기 제1 홈(114)에 결합하여 상기 버스바(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크(514)는 상기 제1 홈(114)에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ok 514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roove 114 to prevent the bus bar 500 from being separated. Here, the hooks 514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s 114.

다만, 상기 제1 홈(114)이 상기 내부면(11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경우, 상기 후크(514) 또한 상기 제1 홈(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돌출부(5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irst groove 114 is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nner surface 111a, the hook 514 also has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groove 114. It can be formed along the perimeter.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과 버스바의 배치 관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housing and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 바디(510)는 제2 돌출부(513)의 일부를 성형하여 제3 돌출부(5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돌출부(515)는 상기 제2 홈(115)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버스바(5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bus bar body 510 may form a third protrusion 515 by molding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At this time, the third protrusion 515 is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115 to prevent the bus bar 5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상기 제3 돌출부(515)는 상기 제2 돌출부(513)의 상부측 단부의 모서리를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512)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출부(512)와 상기 제3 돌출부(515) 사이에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일부 영역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버스바 바디(5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hird protrusion 515 may be formed by molding a corner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and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protrusion 512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since a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1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512 and the third protrusion 515 in the axial direction, separation of the bus bar body 510 is prevented. can do.

예컨대, 상기 제2 돌출부(513)의 상부측 모서리 영역에 소정의 열을 국부적으로 인가함에 따라, 상기 제2 돌출부(513)의 일부가 흘러 제2 홈(115)에 채워짐으로써 상기 제3 돌출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돌출부(515)는 열융착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a predetermined amount of heat is locally applied to the upper corner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flows and fills the second groove 115, thereby forming the third protrusion ( 515) can be formed. That is, the third protrusion 515 may be formed by heat fusion molding.

여기서, 상기 제3 돌출부(515)는 열융착 방식에 따라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3 돌출부(515)는 상기 제2 돌출부(513)의 상부측 모서리 영역을 코킹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열융착 방식에 따라 형성된 제3 돌출부(515)가 코킹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돌출부(515)보다 실링 성능이 높다.Here, the third protrusion 515 is formed by heat fusion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hird protrusion 515 may be formed by caulking the upper corner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513. However, the third protrusion 515 formed by the heat fusion method has higher sealing performance than the third protrusion 515 formed by the caulking method.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520)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erminals 5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터미널(520)은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erminal 5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330 of the stator 300.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터미널(520)의 일부는 외부 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외부 커넥터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3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미널(520)의 일부는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terminal 520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or (not shown). Accordingly,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tator 300 through the external connector.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terminal 52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housing 100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샤프트(600)는 상기 베어링(700)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600)는 로터(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shaft 600 may be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by the bearing 700. Additionally, the shaft 600 may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400.

그리고, 상기 샤프트(600)는 상기 로터 코어(410)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압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600)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ft 600 may be coupled 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or core 410 by press-fitting. Here, the shaft 6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with a predetermined rigidity.

상기 베어링(700)은 샤프트(600)의 외주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샤프트(600)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 As the bearing 700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600, the shaft 600 can rotate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

또한, 상기 베어링(700)은 배치 위치에 따라 샤프트(60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베어링과 하부측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earing 700 may include a bearing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bearing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haft 600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position.

또한, 상기 베어링(700)은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하우징 베어링과 상기 커버(200)에 배치되는 커버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earing 700 may include a housing bearing disposed in the housing 100 and a cover bearing disposed in the cover 200.

그리고, 상기 베어링(700)은 외륜(미도시), 내륜(미도시) 및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되는 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earing 700 may include an outer ring (not shown), an inner ring (not shown), and a ball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종합해 보면, 상기 모터는 상기 버스바(500)의 제1 돌출부(512)와 제2 돌출부(513)에 의해 형성된 단차 구조를 통해 버스바(500)의 진위치도를 확보할 있다. In summary, the motor can secure the true position of the bus bar 500 through the step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 512 and the second protrusion 513 of the bus bar 500.

그리고, 상기 모터는 이탈방지 구조를 통해 상기 버스바(5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는 실링 성능을 고려한 이탈방지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상기 홀(111)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otor can prevent the bus bar 5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through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t this time, the motor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the hole 111 by provid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onsidering sealing performance.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 구조는 상기 홀(111)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돌출부(513)로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as a second protrusion 513 that is coupled to the hole 111 in a fitting manner.

또한, 상기 이탈방지 구조는 열간 압입 방식을 통한 상기 하우징(100)의 홀(111)과 상기 제2 돌출부(513)의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간 압입 방식에 의해 상기 제2 돌출부(513)는 내부면(111a)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2 돌출부(513)는 상기 제1 홀(111)을 밀폐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hole 111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protrusion 513 through a hot press fitting method.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protrusion 5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111a by the hot pressing method, the second protrusion 513 can seal the first hole 111.

또한, 상기 이탈방지 구조는 제1 홈(114)과 후크(514)의 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홈(114) 및 상기 제1 홈(114)에 배치되는 후크(514)에 의해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first groove 114 and the hook 514. At this tim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by the first groove 114 and the hook 514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114.

또한, 상기 이탈방지 구조는 열융착 성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제3 돌출부(515)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돌출부(515)는 상기 홀(111)의 주변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115)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111)에 대한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as a third protrusion 515 formed by heat fusion molding. At this time, the third protrusion 515 is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115 concavely formed around the hole 111 to improve sealing performance of the first hole 111.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The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vehicles or home applianc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하우징
110: 플레이트부 111: 홀
114: 제1 홈 115: 제2 홈
200: 커버
300: 스테이터
400: 로터
500: 버스바
510: 버스바 바디 511: 바디
512: 제1 돌출부 513: 제2 돌출부
514: 후크 515: 제3 돌출부
600: 샤프트
700: 베어링
100: housing
110: plate part 111: hole
114: 1st groove 115: 2nd groove
200: Cover
300: Stator
400: rotor
500: Bus bar
510: busbar body 511: body
512: first protrusion 513: second protrusion
514: hook 515: third protrusion
600: shaft
700: Bearing

Claims (13)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 및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바디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
A housing including a plate portion in which a hole is formed and a side wall portion protruding axially from the plate;
A sta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ro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tator;
A shaft coupled to the rotor; and
It includes a bus bar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tator,
The bus bar includes a bus bar body and a terminal disposed on the bus bar body,
The bus bar body includes a body,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toward the plate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protrusion,
The first protrusion contacts the plate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is a motor disposed inside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터미널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s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end of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홀을 형성하는 내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는 상기 홈에 결합하는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late portion includes a first groove concavely formed on an inner surface forming the hole,
A hook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내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3,
A motor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에서 제2 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상기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면에 접촉되는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ate por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hol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he first protrusion is a motor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홀의 둘레에 배치되는 모터.
According to clause 5,
The plate portion includes a second groove concavely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The second groove is a motor disposed around the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부를 성형하여 형성된 제3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2 홈에 배치되는 모터.
According to clause 6,
The bus bar body includes a third protrusion formed by molding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The third protrusion is a motor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열융착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모터.
In clause 7,
The third protrusion is a motor formed by heat fusion mol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In clause 7,
The third protrusion is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protrusion in the ax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게 상기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돌출부 중 하나의 일부는 상기 내주면보다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dy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re disposed on the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otor in which a portion of one of the first protrusions is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중 다른 하나의 일부는 상기 외주면보다 중심에서 멀게 배치되는 모터.
According to clause 10,
A motor in which another part of the first protrusion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cent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는 상기 바디에 접촉하는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ator includes a stator core, an insulator disposed on the stator core, and a coil wound around the insulator,
A portion of the insulator is a motor that contacts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이 냉각됨에 따라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홀을 밀폐시키는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us ba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second protrusion seals the hole as the housing cools.
KR1020220106737A 2022-08-25 2022-08-25 Motor KR202400286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37A KR20240028692A (en) 2022-08-25 2022-08-25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37A KR20240028692A (en) 2022-08-25 2022-08-25 Mo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692A true KR20240028692A (en) 2024-03-05

Family

ID=9029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37A KR20240028692A (en) 2022-08-25 2022-08-25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6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2565B2 (en) Electric motor rotor
US20200343781A1 (en) Bus bar and motor comprising same
US20210281139A1 (en) Motor
KR20240028692A (en) Motor
JP2010226841A (en) Rotary electric machine
EP3790170A1 (en) Rotating machine and insulator
JP7377797B2 (en) motor
JP2010213544A (en) Sta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1070104B2 (en) Stator of an electrical machine, an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2170306A (en) Mold stator structure of rotary electric machine
US20230047704A1 (en) Motor
JP200621182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rmature for dynamo-electric machine
KR20220067059A (en) Motor
US20230125238A1 (en) Motor
KR20220085295A (en) Motor
KR102625015B1 (en) Motor
KR20230083621A (en) Motor
JP3470673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CN220711196U (en) Rotor for axial flux motor, axial flux motor and high voltage fan
US20230378842A1 (en) Motor
KR20210129912A (en) Motor
KR20230100980A (en) Motor
WO2024111372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KR20230107927A (en) Rotor and motor having the same
JP2023150342A (en) Rotary electric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