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491A - 유체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491A
KR20240028491A KR1020247003787A KR20247003787A KR20240028491A KR 20240028491 A KR20240028491 A KR 20240028491A KR 1020247003787 A KR1020247003787 A KR 1020247003787A KR 20247003787 A KR20247003787 A KR 20247003787A KR 20240028491 A KR20240028491 A KR 20240028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device
chamber
fluid drive
assembly
work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이얀 후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아오 케 메이 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아오 케 메이 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아오 케 메이 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2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7Cooling of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side the pump housing, e.g.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3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제1 로터 조립체(1), 제2 로터 조립체(3), 스테이터 조립체(2) 및 회로 기판 조립체(4)를 포함하는 유체 구동 장치로서, 제2 로터 조립체(3)는 제1 로터 조립체(1)에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테이터 조립체(2)는 회로 기판 조립체(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제1 캐비티(80)와 제2 캐비티(9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터 조립체(1)는 상기 제1 캐비티(80)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로터 조립체(3), 스테이터 조립체(2) 및 회로기판 조립체(4)는 상기 제2 캐비티(90)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캐비티(80)는 순환하는 작동 매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캐비티(90)는 작동 매체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캐비티(90)가 작동 매체를 수용할 때,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캐비티(90)에 위치한 작동 매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작동 매체는 회로 기판의 열을 발산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Description

유체 구동 장치
본 출원은 2021년 7월 19일에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에 제출된 "유체 구동 장치(FLUID DRIVE DEVICE)"라는 명칭의 중국특허출원 202110814680.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차량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의 윤활 시스템 및/또는 냉각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유체 구동 장치는 주로 차량의 윤활 시스템 및/또는 냉각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유체 구동 장치에는 작동 중에 열을 발생시키는 회로 기판 조립체가 포함되어 있다. 열이 어느 정도 축적되어 시간 내에 방출될 수 없으면, 회로 기판 조립체의 성능이 저하되어 유체 구동 장치의 수명이 단축된다.
본 출원의 목적은 회로 기판 조립체의 방열을 용이하게 하여 유체 구동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유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책이 제공된다.
유체 구동 장치는 제1 로터 조립체, 제2 로터 조립체, 스테이터 조립체 및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며, 제2 로터 조립체는 제1 로터 조립체에 토크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테이터 조립체는 회로 기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체 구동 장치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구비하며, 제1 로터 조립체는 제1 챔버에 위치되고, 스테이터 조립체와 회로 기판 조립체는 제2 챔버에 위치된다. 제1 챔버는 작동 매체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성되고, 제2 챔버는 작동 매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챔버가 작동 매체를 수용할 때, 회로 기판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챔버에 위치한 작동 매체와 접촉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에서, 유체 구동 장치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구비하며, 제1 로터 조립체는 제1 챔버 내에 위치되고, 스테이터 조립체 및 회로 기판 조립체는 제2 챔버에 위치된다. 제1 챔버는 작동 매체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성되고, 제2 챔버는 작동 매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챔버가 작동 매체를 수용할 때, 회로 기판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챔버에 위치한 작동 매체와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챔버의 작동 매체는 회로 기판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열과 열교환할 수 있으며, 이는 회로 기판 조립체의 방열을 촉진하고 유체 구동 장치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부 커버가 없는 도 1의 유체 구동 장치의 부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관점에서 바라본 도 1의 회로 기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도 1의 회로 기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유체 구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및 특정 실시예와 함께 본 출원을 추가로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 언급될 수 있는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방, 후방, 내부, 외부, 상부 및 하부와 같은 위치 용어는 그러한 구성을 기반으로 정의된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해당 도면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위치나 사용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와 기타 위치 용어는 제한적인 용어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하기 실시예의 유체 구동 장치는 차량 윤활 시스템 및/또는 차량 냉각 시스템의 작동 매체의 흐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 변속기 시스템 내의 윤활 시스템 및/또는 냉각 시스템의 작동 매체의 흐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구동 장치(100)는 제1 로터 조립체(1), 스테이터 조립체(2), 제2 로터 조립체(3) 및 회로 기판 조립체(4)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 조립체(4)는 스테이터 조립체(2)의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작동 환경에 따라 제1 로터 조립체(1)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유체 구동 장치(100)는 제1 챔버(80)와 제2 챔버(90)를 구비한다. 제1 로터 조립체(1)는 제1 챔버(80)에 배치되고, 스테이터 조립체(2), 제2 로터 조립체(3) 및 회로 기판 조립체(4)는 제2 챔버(90)에 배치된다. 스테이터 조립체(2)는 스테이터 코어(21), 절연 프레임(22) 및 권선(23)을 구비한다. 절연 프레임(22)은 스테이터 코어(21)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권선(23)은 절연 프레임(22) 둘레에 권선된다. 유체 구동 장치(100)의 작동 동안, 회로 기판 조립체(4)는 사전결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하도록 스테이터 조립체(2)의 권선(23)을 통과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변화하는 여기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스테이터 조립체(2)를 제어하고, 제2 로터 조립체(3)는 여기 자기장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제2 로터 조립체(3)는 제1 로터 조립체에 토크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로터 조립체(1)를 직간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로터 조립체(1)가 회전하면, 제1 로터 조립체(1) 사이의 유압 챔버(801)의 용적이 변화하여, 본 실시예에서 냉각유인 작동 매체가 유출 통로로 압출되어 유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테이터 코어(21)는 유체 구동 장치(100)의 높이 방향으로 제1 로터 조립체(1)와 회로 기판 조립체(4) 사이에 위치되며, 스테이터 코어(21)는 회로 기판 조립체(4)보다 스테이터 코어(21)에 더 가깝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적어도 일부는 유체 구동 장치(100)의 높이 방향으로 제1 로터 조립체(1)와 스테이터 코어(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회로 기판 조립체(4)는 스테이터 코어(21)보다 제1 로터 조립체(1)4)에 더 가깝다.
특히,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1 로터 조립체(1)는 제1 로터(11)와 제2 로터(12)를 구비한다. 제1 로터(11)는 복수의 내부 치형을 구비하고, 제2 로터(12)는 복수의 외부 치형을 구비한다. 제1 로터(11)의 내부 치형과 제2 로터(12)의 외부 치형 사이에는 유압 챔버(80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 챔버(801)는 제1 챔버(80)의 일부이기도 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로터(11)는 제2 로터(12)의 외주 외측에 슬리브형으로 배치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유체 구동 장치(100)는 유입 통로(13) 및 유출 통로(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작동 매체는 유입 통로(13)를 통해 유압 챔버(801)에 들어가서 유출 통로(미도시)를 통해 유압 챔버(801)에서 나갈 수 있다. 제1 로터(11)와 제2 로터(12) 사이에는 소정의 편심이 있으므로, 제2 로터(12)가 회전할 때 제2 로터(12)의 외부 치형의 일부가 제1 로터(11)의 내부 치형의 일부와 맞물림으로써, 제1 로터(11)가 회전 구동하게 된다. 제1 로터(11)와 제2 로터(12)가 1 회전하는 동안, 유압 챔버(801)의 내부 용적이 변화한다. 특히, 제1 로터 조립체(1)의 제1 로터(11)가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유압 챔버(801) 내의 용적은 점차 증가하여 부분 진공을 형성하게 되고, 작동 매체는 유입 통로(13)로부터 유압 챔버(801) 내로 흡입된다. 제1 로터(11)와 제2 로터(12)가 더 회전하면, 원래 작동 매체로 채워져 있던 유압 챔버(801)의 용적이 점차 감소하고, 작동 매체가 압착되어 유압 챔버(801)로 유입되는 작동 매체가 흐름을 위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유출 통로(미도시)로 가압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 구동 장치(100)는 제1 로터 조립체(1)의 일부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샤프트(5)를 더 구비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5)는 제1 로터(11)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5)의 일측이 제1 로터(11)와 연결되고, 샤프트(5)의 타측이 제2 로터 조립체(3)와 연결된다. 제2 로터 조립체(3)는 샤프트(5)를 통해 제2 로터(12)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제1 로터 조립체(1)의 회전을 구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체 구동 장치(100)는 모터 하우징(6), 상부 커버(7) 및 하부 커버(8)를 더 구비한다. 모터 하우징(6)의 적어도 일부는 유체 구동 장치(100)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커버(7)와 하부 커버(8) 사이에 위치된다. 모터 하우징(6)의 일측은 상부 커버(7)와 상대적으로 고정 연결되고, 모터 하우징(6)의 타측은 하부 커버(8)와 상대적으로 고정 연결된다. 모터 하우징(6)은 제1 수용 챔버(61)를 구비한다. 스테이터 조립체(2)는 제1 수용 챔버(61) 내에 위치되고, 제1 수용 챔버(61)는 제2 챔버(90)의 일부이다. 하부 커버(8)는 제2 수용 챔버(81)를 갖는다. 회로 기판 조립체(4)는 제2 수용 챔버(81)에 위치되고, 제2 수용 챔버(81)는 제2 챔버(90)의 일부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8)는 제2 수용 챔버(81)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회로 기판 조립체(4)는 제1 수용 챔버(61)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수용 챔버(61)는 전체의 제2 챔버(9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 커버(8)와 제1 수용 챔버(61)의 대향하는 주변 측벽들 사이의 접합부는 밀봉되어, 하부 커버(8)와 제1 수용 챔버(61)의 대향하는 주변 측벽들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제2 챔버(90)의 작동 매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더욱이, 유체 구동 장치는 축방향으로 더 콤팩트하며, 이는 유체 구동 장치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체 구동 장치(100)는 제1 밀봉 링(9)을 더 구비한다. 하부 커버(8)는 하부 커버(8)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홈(82)을 구비한다. 제1 밀봉 링(9)의 적어도 일부는 홈(82)에 위치된다. 제1 밀봉 링(9)의 일측은 홈(82)의 대응하는 바닥면에 접하고, 제1 밀봉 링(9)의 타측은 제1 수용 챔버(61)의 대응하는 주변 측벽에 접한다. 제2 챔버(90)가 작동 매체를 수용할 때, 이러한 배열은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의 누출을 감소시켜 유체 구동 장치의 오일 공급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이하에서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챔버(90)는 작동 매체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챔버(90)에 작동 매체가 수용되면,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챔버(90)에 위치된 작동 매체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챔버(90)의 작동 매체는 회로 기판 조립체(4)에 의해 생성된 열과 열교환할 수 있으며, 이는 회로 기판 조립체(4)의 방열을 촉진하고 유체 구동 장치(10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챔버(80)는 제2 챔버(90)와 연통된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제1 챔버(80)에 대응하는 벽면은 제1 로터 조립체(1)를 지지하는 바닥벽(802)을 구비한다. 유체 구동 장치(100)는 바닥벽(802)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통로(10)를 더 구비한다. 제1 통로(10)는 제1 챔버(80)를 제2 챔버(90)와 연통시킨다. 제1 챔버(80) 내의 작동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통로(10)를 통해 제2 챔버(90)로 유입되어 제2 챔버(90)에 위치된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어,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회로 기판 조립체(4)에 의해 발생된 열과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회로 기판 조립체(4)의 방열을 촉진하고 유체 구동 장치(10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테이터 조립체(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와 접촉할 수도 있어, 스테이터 조립체(2)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2 챔버(90)의 작동 매체와 열교환하며, 이는 스테이터 조립체(2)의 방열을 촉진하고 유체 구동 장치(10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체 구동 장치(100)는 샤프트(5)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된 제2 통로(20)를 더 구비한다.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제2 통로(20)를 통해 제2 챔버를 떠날 수 있다. 제2 통로(20)의 출구는 제1 통로(10)의 입구보다 유입 통로(13)에 더 가깝고, 제1 통로(10)의 입구에서의 작동 매체의 압력은 제2 통로(20)의 출구에서의 압력보다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통로(10)의 입구와 제2 통로(20)의 출구 사이에는 작동 매체의 압력차가 형성된다. 작동 매체가 높은 압력의 위치로부터 낮은 압력의 위치로 흐르는 원리에 따라서,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제2 통로(20)의 출구를 향해 흐를 수 있는데, 즉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제2 통로(20)를 통해 제2 챔버(90)에서 나올 수 있다. 스테이터 조립체(2)와 회로 기판 조립체(4)가 제2 챔버(90)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흐르는 작동 매체는 스테이터 조립체(2)와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열 중 적어도 일부를 빼앗을 수 있고, 이는 스테이터 조립체(2)와 회로 기판 조립체(4)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통로(20)는 유체 구동 장치(100)의 유출 통로와 연통된다. 즉,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유출 통로를 통해 유체 구동 장치의 외부로 직접 유입되고, 이는 제2 챔버(90) 내의 회로 기판 조립체 및/또는 스테이터 조립체의 방열을 용이하게 하고, 유체 구동 장치의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함으로써, 유체 구동 장치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작동 매체의 흐름 방향을 도시한다. 특히 작동 매체는 2가지 흐름 방향을 갖는다. 작동 매체의 흐름 방향을 더 잘 예시하기 위해, 도 1의 굵은 점선은 제1 흐름 방향이고, 굵은 실선은 제2 흐름 방향이다. 제1 흐름 방향에서, 작동 매체는 유입 통로(13)로부터 제1 로터 조립체(1) 사이의 용적 챔버로 유입된 다음, 유출 통로로부터 용적 챔버 외부로 흘러나온다. 제2 흐름 방향에서는 제1 로터 조립체(1) 사이의 용적 챔버로 유입되는 작동 매체의 일부는 제1 통로(10)로부터 제2 챔버(90)로 흐른 다음,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제2 통로(10)로부터 유출 통로로 흘러나온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매체의 유입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작동 매체의 유출 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여기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은 유체 구동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배열됨에 따라 정의되는 방향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매체의 유입 방향과 유출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챔버(80)는 제2 챔버(90)와 연통하여, 제2 챔버(90)에 수용된 작동 매체가 있고,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챔버(90)에 위치된 작동 매체와 접촉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매체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제2 챔버(90)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유입 통로와 유출 통로가 모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어, 작동 매체는 모터 하우징 상의 유입 통로로부터 제2 챔버(90)로 직접 유입되고, 모터 하우징 상의 유출 통로를 통해 제2 챔버(90)에서 직접 나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챔버(90)와 제1 챔버(80)는 서로 연통될 수도 있고 연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챔버(90)가 제1 챔버(80)와 연통되지 않는 경우에, 제2 챔버(90) 내의 회로 기판 조립체(4) 및/또는 스테이터 조립체(2)에 대한 열을 방출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고, 이는 유체 구동 장치의 출력 효율, 예를 들어 오일 펌핑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 조립체(4)는 베이스 기판(41)과, 베이스 기판(4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부품(42)을 구비한다. 전자 부품(42)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보호 필름으로 덮여져 있어, 전자 부품(42)이 작동 매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본원의 전자 부품(42)은 커패시터, 저항기, 인덕터,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 구동 장치(100)는 회로 기판 조립체(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 기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감지 유닛(44)을 더 구비한다. 온도 감지 유닛(44)은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와 접촉하여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구동 유닛(100)의 작동 상태는 작동 매체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 감지 유닛(44)은 서미스터, 온도 센서 또는 기타 온도 감지 요소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41)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411) 및 후면(412)을 구비한다. 유체 구동 장치(100)의 높이 방향에서, 전면(411)은 후면(412)보다 제1 로터 조립체(1)에 더 가깝다. 온도 감지 유닛(44)은 전면(411)에 지지된다. 전자 부품(42)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및 커패시터(421)와 같은 발열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발열하는 전자 부품은 후면(412)에 배열되어, 발열하는 전자 부품의 열이 온도의 감지 정확도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온도 감지 유닛(44)은 후면(412)에 지지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발열하는 전자 부품은 전면(411)에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 조립체(4)는 베이스 기판(41)에 지지되어 부착되는 접착부(43)를 더 구비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43)는 베이스 기판(41)의 후면(412)에 부착되고, 접착부(43)의 외부 윤곽은 폐쇄된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41)의 후면(412)에 배치된 모든 전자 부품은 접착부(43)로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되고, 접착부(43)로 둘러싸인 영역은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호 필름으로 채워진다. 보호 필름의 높이는 접착부(43)의 높이보다 낮거나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43)는 접착제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보호 필름은 접착제를 경화시켜 형성한다. 보호 필름으로 덮어야 하는 전자 부품(42) 주위에 접착부(43)를 설정하고, 보호 필름의 높이를 접착부(43)의 높이 이하로 배열함으로써, 접착부(43)는 접착제가 코팅이 필요한 영역에 배치될 때 회로 기판 조립체(4) 외부 또는 지정된 영역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제가 보호 필름으로 경화될 때 보호 필름의 두께를 확보하며, 전자 부품(42)이 작동 매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필름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는 베이스 기판(41)의 후면(412)의 외주 근방에 배열된 하나의 접착부(43)만을 구비한다. 후면(412)의 전자 부품(42)은 접착부(4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된다. 접착부(4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는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은 전자식 제어 기판 조립체의 대량 생산을 실현하고, 회로 기판 조립체의 공정 경로를 단순화하며, 회로 기판 조립체의 생산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유체 구동 장치의 생산 비용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의 후면(412) 상에는 2개 이상의 접착부(43)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착부(43)의 형상 및 크기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접착부(43)의 위치는 보호 필름으로 덮일 필요가 있는 전자 부품(42)의 위치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전면(411)에도 대응하는 접착 부분(43)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유체 구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이하에서 유체 구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챔버(90)는 작동 매체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챔버(90)에 작동 매체가 수용되면,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챔버(90)에 위치된 작동 매체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회로 기판 조립체(4)에 의해 생성된 열과 열교환할 수 있고, 이는 회로 기판 조립체(4)의 방열을 촉진하고 유체 구동 장치(10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챔버(80)는 제2 챔버(90)와 연통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5)는 샤프트(50의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된 제2 통로(20)를 더 구비한다. 유체 구동 장치(100)에는 유입 통로(13)가 제공되고, 제2 통로(20)는 유입 통로(13)와 연통된다. 유입 통로(13) 내의 작동 매체는 제2 챔버(90)로 유입되어 제2 통로(20)를 통해 제2 챔버(90)에 위치된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함으로써,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가 회로 기판 조립체(4)에 의해 발생된 열과 열교환할 수 있고, 이는 회로 기판 조립체(4)의 방열을 촉진하고 유체 구동 장치(10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챔버(80)에 대응하는 벽면은 제1 로터 조립체(1)를 지지하는 바닥벽(802)을 구비한다. 유체 구동 장치(100)는 바닥벽(802)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통로(10)를 더 구비하고, 제1 챔버(80)와 제2 챔버(90)를 연통시킨다. 제2 통로(20)의 입구에서의 작동 매체의 압력은 제1 통로(10)의 출구에서의 압력보다 크고,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제1 통로(10)를 통해 제2 챔버(90)에서 나갈 수 있다. 제2 통로(20)의 입구에서의 작동 매체의 압력이 제1 통로(10)의 출구에서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2 통로(20)의 입구와 제1 통로(10)의 출구 사이에서는 작동 매체의 압력차가 발생한다. 작동 매체가 높은 압력의 위치로부터 낮은 압력의 위치로 흐르는 원리에 따라서, 제2 챔버(90) 내의 작동 매체는 제1 통로(10)의 출구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스테이터 조립체(2)와 회로 기판 조립체(4)가 제2 챔버(90)에 배열되기 때문에, 흐르는 작동 매체는 스테이터 조립체(2)와 회로 기판 조립체(4)의 열 중 적어도 일부를 빼앗을 수 있고, 이는 스테이터 조립체(2)와 회로 기판 조립체(4)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 작동 매체는 제1 실시예와 다른 통로를 통해 제2 챔버(90)로 유입 및 유출된다. 본 실시예의 유체 구동 장치(100)의 다른 구조는 유체 구동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위의 실시예는 본 출원에 설명된 기술 방안을 제한하기보다는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한 변형이나 균등한 치환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적용되며, 그 모든 내용은 본 출원의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유체 구동 장치(fluid drive device)에 있어서,
    제1 로터 조립체, 제2 로터 조립체, 스테이터 조립체 및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로터 조립체는 상기 제1 로터 조립체에 토크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터 조립체는 상기 회전 기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터 조립체는 상기 제1 챔버에 위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조립체와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2 챔버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챔버는 작동 매체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챔버는 작동 매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챔버가 작동 매체를 수용할 때,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챔버에 위치된 작동 매체와 접촉하는,
    유체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터 조립체, 상기 스테이터 조립체 및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스테이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챔버 내의 작동 매체와 접촉하는,
    유체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에 대응하는 벽면은 상기 제1 로터 조립체를 지지하는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상기 바닥벽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와 연통시키는 제1 통로를 포함하는,
    유체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내의 작동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통로를 통해 상기 제2 챔버로 흐르고;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로터 조립체의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로터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는 샤프트의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된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작동 중에, 상기 제1 통로의 입구에서의 작동 매체의 압력은 상기 제2 통로의 출구에서의 압력보다 크고, 상기 작동 매체는 상기 제2 통로를 통해 상기 제2 챔버를 빠져나가는,
    유체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로터 조립체의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로터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는 샤프트의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된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구동 장치에는 유입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유입 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제2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작동 중에, 상기 제2 통로의 입구에서의 작동 매체의 압력은 상기 제1 통로의 출구에서의 압력보다 큰,
    유체 구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전자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부품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보호 필름으로 덮이는,
    유체 구동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전자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부품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보호 필름으로 덮이는,
    유체 구동 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전자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부품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보호 필름으로 덮이는,
    유체 구동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지지되어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외부 윤곽은 폐쇄된 형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으로 덮인 상기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 필름의 높이는 상기 접착부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한,
    유체 구동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지지되어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외부 윤곽은 폐쇄된 형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으로 덮인 상기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 필름의 높이는 상기 접착부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한,
    유체 구동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지지되어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외부 윤곽은 폐쇄된 형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으로 덮인 상기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 필름의 높이는 상기 접착부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한,
    유체 구동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유닛은 상기 제2 챔버의 작동 매체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챔버의 작동 매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유체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후면보다 상기 제1 로터 조립체에 더 가깝고; 상기 전자 부품은 발열 전자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유닛은 전면과 후면 중 하나에 지지되고, 상기 발열 전자 부품은 전면과 후면 중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유체 구동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모터 하우징,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체 구동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은 상기 상부 커버와 상대적으로 고정 연결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타측은 상기 하부 커버와 상대적으로 고정 연결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은 제1 수용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수용 챔버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 챔버는 상기 제2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제1 수용 챔버의 대향하는 주변 측벽은 서로에 대해 밀봉하는,
    유체 구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구동 장치는 제1 밀봉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부 커버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밀봉 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밀봉 링의 일측은 상기 홈의 대응하는 바닥면에 접하고, 상기 제1 밀봉 링의 타측은 상기 제1 수용 챔버의 대응하는 주변 측벽에 대해 접하는,
    유체 구동 장치.
KR1020247003787A 2021-07-19 2022-07-19 유체 구동 장치 KR20240028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814680.0 2021-07-19
CN202110814680.0A CN115638104A (zh) 2021-07-19 2021-07-19 流体驱动装置
PCT/CN2022/106407 WO2023001134A1 (zh) 2021-07-19 2022-07-19 流体驱动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491A true KR20240028491A (ko) 2024-03-05

Family

ID=8494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787A KR20240028491A (ko) 2021-07-19 2022-07-19 유체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75510A1 (ko)
KR (1) KR20240028491A (ko)
CN (1) CN115638104A (ko)
WO (1) WO20230011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8406B2 (ja) * 2012-06-15 2016-11-1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ポンプ装置
CN105375830B (zh) * 2015-12-16 2017-12-12 西北工业大学 一种自冷却式一体化燃油泵用高压无刷直流电机控制装置
US20190234404A1 (en) * 2016-09-30 2019-08-01 Nidec Tosok Corporation Pump device
CN109424539A (zh) * 2017-08-31 2019-03-05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子油泵
CN112112796A (zh) * 2019-06-19 2020-12-22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1134A1 (zh) 2023-01-26
EP4375510A1 (en) 2024-05-29
CN115638104A (zh)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987B1 (ko) 모터 일체형 내접 기어식 펌프 및 전자 기기
US10415590B2 (en) Electric coolant pump
JP6855845B2 (ja) モータ及び電動オイルポンプ
KR100699979B1 (ko) 모터 일체형 내접 치차식 펌프 및 전자 기기
JP5316917B2 (ja) 電動ポンプ
JP2017127183A (ja) 電動モータで駆動される液体ポンプ
WO2006010018A2 (en) Integrated liquid cooling device with immersed electronic components
JP4274230B2 (ja) ポンプ
JP2013113272A (ja) 電動ポンプ
JP644225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一体型ポンプ
JP2011254580A (ja) 回転電機の冷却構造
WO2018159480A1 (ja) 電動オイルポンプ
JP5252052B2 (ja) 油圧ユニット
KR20240028491A (ko) 유체 구동 장치
JP2005337095A (ja) 電動ポンプ
US20210396233A1 (en) Glanded pump with ring capacitor
JP2022148740A (ja) 電動流体ポンプ
TWI747065B (zh) 薄型泵浦
JP7186342B2 (ja) 電動ポンプ
WO2017154536A1 (ja) 電動ポンプ
EP4215750A1 (en) Electronic oil pump
US20240044279A1 (en) Power supply comprising a hydraulic machine exhibiting improved integration
JP2023100290A (ja) ポンプ装置
CN116600526A (zh) 流体驱动装置
JP2023097878A (ja) 電動流体ポン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