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225A -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 Google Patents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225A
KR20240027225A KR1020220105169A KR20220105169A KR20240027225A KR 20240027225 A KR20240027225 A KR 20240027225A KR 1020220105169 A KR1020220105169 A KR 1020220105169A KR 20220105169 A KR20220105169 A KR 20220105169A KR 20240027225 A KR20240027225 A KR 20240027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device
stopper
livestock
rear wall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태
Original Assignee
(주)동성코코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코코팬 filed Critical (주)동성코코팬
Priority to KR102022010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225A/en
Publication of KR2024002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22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돈사 등과 같은 축사의 내부를 환기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적절히 유입하는 축사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사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환기장치에서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 그리고 양쪽의 측면 벽체를 조립식으로 만든 환기장치 본체 및 끼움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상단 도어 및 하단 도어를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환기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 제작성 향상과 제작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풍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하단 도어를 채택함과 더불어 하단 도어의 개폐 각도를 규제할 수 있는 스톱퍼를 구비함으로써, 하단 도어의 개폐량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등 하단 도어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사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that appropriately introduces outside air to ventilate the interior of livestock buildings such as pig pens.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form of a ventilation device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inside of a livestock house, including a ventilation device body made by prefabricating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and both side walls, and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that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By implementing a ventilation devi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production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manufacturability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In addition, by adopting a lower door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wind volume control, the lower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Provided is a livestock ventila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of the lower door by providing a stopper that can regulate the angle, all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lower door to be appropriately set.

Description

축사용 환기장치{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Ventilation system for livestock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본 발명은 축사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돈사 등과 같은 축사의 내부를 환기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적절히 유입하는 축사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that appropriately introduces outside air to ventilate the interior of a livestock building such as a pig pen.

일반적으로 돈사 등과 같은 축사(畜舍)는 가축관리의 능률화와 더불어 자연의 기상(氣象)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기능을 위한 사육시설이다.In general, livestock barns such as pig pens are breeding facilities that serve the function of protecting livestock from natural weather as well as streamlining livestock management.

보통 축사는 위치, 방향, 통풍, 채광, 환기, 보온 등이 양호해야 하고, 사료주기나 청소 및 위생관리를 위해 적절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In general, livestock sheds must have good location, orientation, ventilation, lighting, ventilation, and insulation, and must be equipped with appropriate facilities for feeding, cleaning, and hygiene management.

이러한 축사는 구조상 외기(外氣)와 사내(舍內)와의 차단 정도에 따라 개방식과 밀폐식으로 구별되는데, 축사 내 환경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e livestock sheds are structurally divided into open and closed typ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solation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inside, and it is desirable to maintain constant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in the livestock shed.

하지만,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의 기후가 뚜렷한 특징을 갖는 지형으로서, 4계절의 기온 변화가 심하고 밤낮의 온도차가 많이 나타나므로 축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However, Korea is a landform with distinct climate characteristics of four seasons, including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ince the temperature changes in the four seasons are severe and there is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nside the barn. .

또한, 축사의 내부는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와 가스,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는 사육환경에 있어서도 그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매우 중요한 성장조건을 제공한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barn requires management not only for temperature but also for the breeding environment including humidity, gas, and fine dust, which provides very important growth conditions.

특히, 다양한 가축 중에서 돼지는 온도, 산소 등 기타 사육환경에 매우 민감한 사육종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육환경이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받으며, 돈사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오염원과 유해가스 등의 원활한 외부 배출 및 돈사 내 온도 유지, 산소 유지 등 적절한 환기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among various livestock species, pigs are a breed that is very sensitive to temperature, oxygen, and other rearing environments, so these rearing environmen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growth, and many pollutants and harmful gases generated inside the pig pen ar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Proper ventilation management, such as maintaining temperature and maintaining oxygen in the pig pen, is required.

이와 더불어, 돈사 내에서는 분뇨를 배설하기 때문에 악취가 많이 발생하고 습한 공기로 인해 각종 미생물이 서식하여 돈사에서 사육되는 돼지가 병사하거나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pigs raised in pig pens suffer from illness or disease due to the excretion of excrement in pig pens, which generates a lot of foul odor, and various microorganisms inhabit the pig pens due to the humid air.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현재 돈사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축사 내에는 적합한 사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온도와 습도, 가스, 미세먼지 등을 컨트롤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환기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various types of ventilation devices that can provide a suitable breeding environment and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gas, and fine dust are currently being used in most livestock sheds, including pig farms.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환기장치는 제작이 까다롭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내구성 및 기능성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However, most existing ventilation devices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have shortcomings in terms of durability and functionality.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104호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5104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1030호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1030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4239호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4239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05183호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05183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축사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환기장치에서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 그리고 양쪽의 측면 벽체를 조립식으로 만든 환기장치 본체 및 끼움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상단 도어 및 하단 도어를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환기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 제작성 향상과 제작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축사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with this in mind, and in a ventilation device that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inside of a livestock house,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and both side walls are prefabricated and installed as a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and fitting type.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we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that can improve manufacturability and reduce production costs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production. It ha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하단 도어를 채택함과 더불어 하단 도어의 개폐 각도를 규제할 수 있는 스톱퍼를 구비함으로써, 하단 도어의 개폐량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등 하단 도어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사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opt a lower door with a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wind volume and to provide a stopper that can regulate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lower doo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lower door can be appropriately set. The aim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that can improv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축사용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축사용 환기장치는 각각의 통풍구를 가지는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 양쪽의 측면 벽체 및 바닥체, 그리고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의 각 통풍구에 설치되는 상단 도어 및 하단 도어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본체를 포함한다. The livestock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body consisting of a front wall and a rear wall each having ventilation holes, side walls and a floor on both sides, and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installed in each ventilation hole of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do.

특히, 상기 축사용 환기장치의 전면 벽체, 후면 벽체 및 측면 벽체의 한쪽 측단부에는 걸림홀을 가지면서 본체 폭방향으로 체결되는 수체결판이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측단부에는 걸림돌기를 가지면서 본체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암체결홈이 형성되어, 전면 벽체, 후면 벽체 및 측면 벽체는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면서 서로 연접되는 수체결판의 걸림홀과 암체결홈의 걸림돌기 간의 체결을 통해 조립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환기장치 본체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In particular, a water fastening plat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wall, rear wall, and side wall of the livestock ventilation device and has a locking hole and is faste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while having a locking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 arm fastening groove is formed, and the front wall, rear wall, and side wall are arranged in a square frame and are assemb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rough fastening between the locking hole of the male fastening plate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arm fastening groove,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creating a ventilation system. It is characterized by its main body.

여기서, 상기 전면 벽체, 후면 벽체 및 측면 벽체의 한쪽 측단부에는 수체결판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위치규제용 돌기가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측단부에는 암체결홈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위치규제용 홈이 형성됨으로써, 수체결판과 암체결홈 간의 체결 시에 함께 결합되는 위치규제용 돌기와 위치규제용 홈에 의해 전면 벽체, 후면 벽체 및 측면 벽체는 견고한 사각틀 형태의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ere, one side end of the front wall, rear wall, and side wall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ter fastening plate, and a position regulating protrusion parallel thereto is form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rm fastening groove on the other side end, In addition, a position regulation groove is formed parallel to this, so that the front wall, rear wall, and side walls are assembled in a sturdy square frame due to the position regulation protrusion and position regulation groove that are combined together when fastening between the water fastening plate and the female fastening groove. can be maintained.

그리고, 상기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에는 통풍구 양측단 위치에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도어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도어 가이드판의 안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스톱퍼규제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도어의 측단부에는 스톱퍼규제용 돌기에 걸려지는 스톱퍼가 설치되어, 하단 도어는 각 스톱퍼규제용 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스톱퍼에 의해 개폐 각도가 조절되면서 이때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door guide plates extending toward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re formed at positions on both ends of the ventilation hole o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guide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stopper is installed on the side end of the lower door that is hung on the stopper regulation protrus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lower door can be adjusted by the stopper that is selectively hooked on each stopper regulation projection and the adjusted state can be maintained at this time. there is.

이때, 상기 스톱퍼는 "ㄷ"자 형상의 스톱퍼 몸체와, 상기 스톱퍼 몸체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스톱퍼규제용 돌기에 걸려지는 스톱퍼 돌기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opper may be made of an integrated "ㄷ" shaped stopper body and a stopper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topper body and is caught by a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단 도어와 하단 도어는 양측단의 힌지핀을 이용하여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에 형성되는 힌지홀에 결합되는 구조로 조립되어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upper door and the lower door are assembled in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formed i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using hinge pins at both ends,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hinge pin as a central axis. .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체는 전면 벽체, 후면 벽체 및 측면 벽체의 조립 시 전면 벽체, 후면 벽체 및 측면 벽체의 각 안쪽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바닥체 끼움홈에 4변이 결합되면서 함께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oor body is assembled together with four sides joined to floor fitting grooves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rear wall, and side wall when assembling the front wall, rear wall, and side wall. Do it a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축사용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축사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환기장치에서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 그리고 양쪽의 측면 벽체를 조립식으로 만든 환기장치 본체 및 끼움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상단 도어 및 하단 도어를 포함하는 새로운 환기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 제작성 향상과 제작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a new ventilation device that includes a ventilator main body made by prefabricating the front wall, rear wall, and both side walls in a ventilation device that introduces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livestock house, and an upper and lower door that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By applying ,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manufacturability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such as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production.

둘째, 풍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하단 도어를 채택하고, 이러한 하단 도어의 개폐 각도를 규제할 수 있는 스톱퍼를 채택함으로써, 하단 도어의 개폐량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등 하단 도어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adopting a lower door with an adjustable wind volume structure and a stopper that can regulate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lower door, th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of the lower door can be improved, such as set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lower door appropriately. There is an effect.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에서 벽체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enlarged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wall assembly structure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에서 벽체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와 단면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4 and 5 are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d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ll assembly structure in the livestock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사용 환기장치는 축사 내부의 환기(예컨대, 산소 공급 등)를 위해 축사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환기장치 본체(17)를 포함하며, 이때의 환기장치 본체(17)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전면과 후면을 통해 실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livestock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ivestock barn for ventilation (e.g., oxygen supply, etc.) inside the livestock barn, and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 the form of a square case. It includes, and in this case,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 for the inflow of external air, and at the same time, external air can be supplied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front and rear.

이러한 환기장치 본체(17)는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 양쪽의 측면 벽체(13a,13b), 그리고 바닥체(14)의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에는 각각의 통풍구(10)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각 통풍구(10)에는 위아래로 젖혀지면서 개폐 가능한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가 설치된다. This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the side walls 13a and 13b on both sides, and the floor 14. In this case, the front wall 11 ) and the rear wall 12, each ventilation hole 10 is formed, and each ventilation hole 10 formed in this way is installed with an upper door 15 and a lower door 16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flipping up and down.

즉, 상기 전면 벽체(11)의 통풍구(10)와 후면 벽체(12)의 통풍구(10)에는 한쌍을 이루는 상단 도어(15) 및 하단 도어(16)가 각각 설치된다. That is, a pair of upper doors 15 and lower doors 16 are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hole 10 of the front wall 11 and the ventilation hole 10 of the rear wall 12, respectively.

특히,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는 각각 개별 부품으로 제작된 후, 바닥체(14)와 함께 조립식으로 결합되면서 환기장치 본체(17)를 이루게 된다. In particular,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and 13b are each manufactured as individual parts and then assembled together with the floor 14 to form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do.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각각의 한쪽 측단부에는 위아래 배치되는 다수 개의 걸림홀(18)을 가지는 수체결판(19)이 형성되고, 각각의 다른 한쪽 측단부에는 위아래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걸림돌기(20)를 가지는 암체결홈(21)이 형성된다. For this purpose, a water fastening plate 19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18 arranged above and below is formed on one side end of each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and 13b. An arm fastening groove 21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20 arranged above and below is formed at each other side end.

이때의 수체결판(19)은 환기장치 본체(17)의 폭방향으로 진입하여 체결되고, 암체결홈(21)은 환기장치 본체(17)의 길이방향으로 진입하여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water fastening plate 19 enters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astened, and the female fastening groove 21 enters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astened.

일 예로서, 상기 전면 벽체(11)와 측면 벽체(13a)는 서로 90°를 이루면서 서로 간의 한쪽 측단부를 마주대하며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본체 길이방향을 향하는 전면 벽체(11)의 수체결판(19)과 측면 벽체(13a)의 암체결홈(21)이 서로 끼워지면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As an example, the front wall 11 and the side walls 13a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one side end at an angle of 90°, and in this state, the water fastening plate of the front wall 11 fac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9) and the arm fastening groove 21 of the side wall 13a can be fastened by fitting into each other.

이때, 상기 수체결판(19)과 암체결홈(21) 간의 체결 시 수체결판(19)에 있는 걸림홀(18)에 암체결홈(21)에 있는 쐐기형의 걸림돌기(20)가 끼워져 걸려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fastening between the male fastening plate 19 and the female fastening groove 21, a wedge-shaped locking protrusion 20 in the arm fastening groove 21 is attached to the locking hole 18 in the male fastening plate 19. It can be inserted and hung.

다른 예로서, 상기 후면 벽체(12)와 측면 벽체(13a)는 서로 90°를 이루면서 서로 간의 다른 한쪽 측단부를 마주대하며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본체 폭방향을 향하는 후면 벽체(12)의 암체결홈(21)과 측면 벽체(13a)의 수체결판(19)이 서로 끼워지면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 13a are arranged at an angle of 90° with the other side end facing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the arm of the rear wall 12 fac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is fastened. The groove 21 and the water fastening plate 19 of the side wall 13a can be fastened by fitting into each other.

이때에도 수체결판(19)과 암체결홈(21) 간의 체결 시 수체결판(19)에 있는 걸림홀(18)에 암체결홈(21)에 있는 쐐기형의 걸림돌기(20)가 끼워져 걸려질 수 있게 된다. Even at this time, when fastening between the male fastening plate 19 and the female fastening groove 21, the wedge-shaped locking protrusion 20 in the female fastening groove 2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8 in the male fastening plate 19. It can be caught.

이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는 사각틀 형태로 배치됨과 더불어 4곳의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연접되는 수체결판(19)의 걸림홀(18)과 암체결홈(21)의 걸림돌기(20) 간의 체결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결합되고, 결국 이러한 결합구조를 통해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 그리고 바닥체(14)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전면과 후면이 뚫려 있는 사각 케이스 형태의 환기장치 본체(17)를 이룰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are arranged in a square frame shape, and the locking holes 18 of the water fastening plate 1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four corners. ) and the locking protrusion 20 of the arm fastening groove 21 are assemb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ultimately, through this coupling structure,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In addition, the bottom body 14 can form a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 the form of a square case with an open top and openings at the front and rear.

여기서,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다른 한쪽 측단부, 즉 암체결홈(21)이 형성되어 있는 쪽의 측단부에는 측면쪽으로 뚫려 있는 공구삽입용 홀(30)이 형성되며, 이때의 공구삽입용 홀(30)은 벽체 간의 분해 시 걸림돌기(20)와 걸림홀(18) 간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걸림돌기(20)를 밀어낼 때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Here, a tool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end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and 13b, that is, the side end where the arm fastening groove 21 is formed. A hole 30 is formed, and the hole 30 for tool insertion is used when pushing the locking protrusion 20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20 and the locking hole 18 when disassembling the wall. It can be used for inserting tools.

또한, 상기 환기장치 본체(17)는 각 벽체 간의 조립상태를 한층 더 견고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수단으로 위치규제용 돌기(22)와 위치규제용 홈(23)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cludes a position regulation protrusion 22 and a position regulation groove 23 as a means of maintaining the assembly state between each wall more firmly.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한쪽 측단부에는 수체결판(19)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위치규제용 돌기(22)가 각각 형성된다. For this purpose, one side end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is provided with a position regulation protrusion 22 parallel to the water fastening plate 19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ter fastening plate 19. are form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한쪽 측단부에는 암체결홈(21)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위치규제용 홈(23)이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at one side end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and 13b, there is a position regulation groove 23 that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rm fastening groove 21 and is parallel thereto. Each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조립을 위해 수체결판(19)과 암체결홈(21)이 체결될 때, 이와 함께 위치규제용 돌기(22)와 위치규제용 홈(23)도 결합되고, 결국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는 수체결판(19)과 암체결홈(21), 그리고 위치규제용 돌기(22)와 위치규제용 홈(23)의 이중 체결구조에 의해 견고한 사각틀 형태의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male fastening plate 19 and the female fastening groove 21 are fastened for the assembly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and 13b, the position regulation function is also used. The protrusion 22 and the position regulation groove 23 are also combined, and eventually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are connected to the male fastening plate 19 and the female fastening groove 21. , and the double fastening structure of the position regulation protrusion 22 and the position regulation groove 23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of a sturdy square frame.

또한, 상기 환기장치 본체(17)는 외부 공기의 실내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cludes an upper door 15 and a lower door 16 as means for supplying outside air indoors.

상기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는 직사각형의 판체 형태로서, 전후면 벽체(11,12)에 있는 통풍구(10)에 위아래로 위치되면서 통풍구(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upper door 15 and the lower door 16 ar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and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vents 10 on the front and rear walls 11 and 12, and serve to open and close the vents 10.

이때의 상단 도어(15)는 공기의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위쪽으로 들려지거나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려지면서 통풍구(10)를 개폐하게 되고, 하단 도어(1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적절한 개폐 상태로 유지되면서 통풍구(10)를 개폐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door 15 is naturally lifted upward by the force of air or lowered by its own weight to open and close the ventilation hole 10, and the lower door 16 is maintained in an appropriate open and closed state by the user's operation. As a result, the ventilation hole 10 is opened and closed.

예를 들면, 상기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는 양측단의 힌지핀(27)을 이용하여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에 형성되는 힌지홀(28)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러한 상단 도어(15)는 상단측의 힌지핀(27)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그 하단부가 위아래로 젖혀질 수 있게 되고, 하단 도어(16)는 하단측의 힌지핀(27)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그 상단부가 위아래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upper door 15 and the lower door 16 are coupled to the hinge holes 28 formed in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using hinge pins 27 at both ends.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and the upper door 15 rotates around the hinge pin 27 on the upper side so that its lower part can be tilted up and down, and the lower door 16 has a hinge pin on the lower side ( 27) as the central axis, the upper end can be tilted up and down.

특히, 상기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의 경우, 환기장치 본체(17)의 조립 시 또는 조립 후 손쉽게 끼워넣어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upper door 15 and the lower door 16, they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erted and assembled during or after assembling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일 예로서,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 그리고 양편의 측면 벽체(13a,13b)와 바닥체(14)를 조립한 후,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홀(28) 내에 상단 도어(15)의 힌지핀(27)과 하단 도어(16)의 힌지핀(27)을 끼우게 되면, 별도의 체결작업 등의 수고없이도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As an example, after assembling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and 13b on both sides and the floor 14,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are formed. By inserting the hinge pin (27) of the upper door (15) and the hinge pin (27) of the lower door (16) into the existing hinge hole (28), the upper door (15) and The lower door 16 can be easily installed.

물론, 상기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는 어느 정도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도어를 살짝 구부리게 되면, 양쪽의 힌지핀(27)을 양쪽의 힌지홀(28)에 한쪽부터 차례대로 쉽게 끼울 수 있게 된다. Of course, the upper door 15 and the lower door 16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can be bent to a certain degree, so when the door is slightly bent, the hinge pins 27 on both sides are inserted into the hinge holes 28 on both sides. You can easily insert them in order.

또한, 상기 환기장치 본체(17)는 사각판 형태의 바닥체(14)를 포함하며, 이때의 바닥체(14)는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를 조립할 때,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각 안쪽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바닥체 끼움홈(29)에 4변의 가장자리 부분을 끼워서 결합시키는 구조로 쉽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cludes a square plate-shaped bottom body 14, where the bottom body 14 includes a front wall 11, a rear wall 12, and side walls 13a and 13b. When assembling, the edges of the four sides are inserted into the bottom fitting grooves (29)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 rear wall (12), and side walls (13a, 13b), making it easy to join. can be assembled.

특히, 상기 환기장치 본체(17)는 하단 도어(16)의 개폐량 조절 및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스톱퍼(16)와 이때의 스톱퍼(16)를 규제하는 스톱퍼규제용 돌기(25)를 포함하며, 이러한 스톱퍼(16)와 스톱퍼규제용 돌기(25)를 통해 하단 도어(16)의 개폐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때의 조절된 개폐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ncludes a stopper 16 as a means for controlling and maint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lower door 16 and a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25 that regulates the stopper 16 at this time, Through the stopper 16 and the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25,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lower door 16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the adjusted opening and closing amount can be stably maintained.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톱퍼(26)는 "ㄷ"자 형상의 스톱퍼 몸체(26a)와, 상기 스톱퍼 몸체(26b)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스톱퍼규제용 돌기(25)에 걸려지는 스톱퍼 돌기(26b)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For this purpose, the stopper 26 includes a "ㄷ" shaped stopper body 26a and a stopper protrusion 26b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topper body 26b and is caught by the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25. It is made in one piece.

이러한 스톱퍼(26)는 스톱퍼 몸체(26a)를 이용하여 하단 도어(16)의 측단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스톱퍼(26)의 스톱퍼 돌기(26b)는 도어 가이드판(24)을 향하면서 이때의 도어 가이드판(24)에 형성되는 스톱퍼규제용 돌기(25)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This stopper 26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side end of the lower door 16 using the stopper body 26a, and the stopper protrusion 26b of the stopper 26 installed in this way is connected to the door guide plate 24. As it moves towards, it can cause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25 formed on the door guide plate 24 at this time.

그리고, 상기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에는 통풍구 양측단 위치에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도어 가이드판(24)이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door guide plates 24 extending toward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ventilation hole on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respectively.

이러한 도어 가이드판(24)은 한쌍을 이루면서 통풍구(10)의 양옆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환기장치 본체(17)의 내부로부터 통풍구(10)를 통해 빠져나오는 공기, 즉 실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앞쪽 또는 뒤쪽을 향해 흐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se door guide plates 24 form a pair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ventilation hole 10, and in this state, the air coming out from the in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0, that is, is supplied to the indoor side. It serves to guide air to flow toward the front or back.

특히, 상기 도어 가이드판(24)의 안쪽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스톱퍼규제용 돌기(25), 예를 들면 수평으로 배치되는 일자형의 돌출막대 형태로 이루어진 스톱퍼규제용 돌기(25)가 형성되며, 이때의 스톱퍼규제용 돌기(25)에는 하단 도어(16)에 있는 스톱퍼(26)가 걸려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guide plate 24, a plurality of stopper regulation protrusions 25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 stopper regulation protrusion in the form of a straight protruding bar arranged horizontally. (25) is formed, and at this time, the stopper (26) on the lower door (16) can be caught on the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25).

이에 따라, 상기 하단 도어(16)는 스톱퍼(26)를 통해 도어 가이드판(24)에 있는 스톱퍼규제용 돌기(25)에 선택적으로 "딱","딱" 걸려지면서 그 개폐 각도가 조절됨과 더불어 이때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lower door 16 is selectively "clicked" or "clicked" on the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25 on the door guide plate 24 through the stopper 26, thereby adjusting its opening and closing angle. The adjusted state at this time can be maintain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환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사용 환기장치(100)는 환기장치 본체(17)의 각 벽체에 있는 상단의 플랜지 부분을 이용하여 천장(110)에 체결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축사용 환기장치(100)의 환기장치 본체 내부는 천장(110)에 뚫려 있는 공기 유입구(120)와 통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livestock ventil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as a fastening structure on the ceiling 110 using the upper flange portion of each wall of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and the shaft installed in this way The interior of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120 opened in the ceiling 110.

이 상태에서, 축사 내부에 있는 환풍기(미도시)를 가동하여 축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빼내게 되면, 이때의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천장(110)의 공기 유입구(120)→환기장치 본체(17)의 내부→통풍구(10)를 거쳐 축사 내부로 들어오게 되므로서, 축사 내부는 오염된 공기가 빠져나가고 산소가 풍부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면서 쾌적한 상태로 조성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ventilator (not shown) inside the barn is operated to exhaust 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barn to the outside, the air flow at this time causes the outside air to enter the air inlet 120 of the ceiling 110→ As the in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 enters the inside of the livestock house through the vent 10, the inside of the livestock house is created in a comfortable condition as polluted air escapes and fresh, oxygen-rich air from outside enters.

이때, 상기 상단 도어(15)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들리면서 저절로 적당한 개폐 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door 15 is naturally lifted by the force of the air flow and can automatically maintain an appropriat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예를 들면, 상기 상단 도어(15)는 유속이 강하면 많이 들리면서 개폐 각도가 커지게 되고, 유속이 약하면 조금 들리면서 개폐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flow speed is strong, the upper door 15 is lifted a lot and the opening/closing angle increases, and when the flow speed is weak, the top door 15 is lifted slightly and the opening/closing angle becomes small.

그리고, 상기 하단 도어(1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적절한 개폐 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lower door 16 can maintain an appropriat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through user manipulation.

예를 들면, 축사 내부의 온도, 습도, 오염도 등과 같은 축사 환경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임의로 상단 도어(15)의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하단 도어(16)를 손으로 잡고 위아래로 올리거나 내리면서 하단 도어(16)에 있는 스톱퍼(26)를 도어 가이드판(24)에 있는 다수 개의 스톱퍼규제용 돌기(25) 중 적당한 곳을 선택하여 걸게 되면, 하단 도어(16)의 조절된 개폐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operator can arbitraril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upper door 15 in consideration of the livestock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level inside the livestock barn. In this case, hold the lower door 16 by hand and raise it up or down. When lowering the stopper (26) on the lower door (16) by selecting an appropriate lo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topper regulation protrusions (25) on the door guide plate (24), the adjusted opening/closing angle of the lower door (16) is adjusted. can be maintained.

이렇게 하단 도어(16)의 개폐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되면, 축사용 환기장치(100)를 통해 축사 내부로 들어오는 외부 공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lower door 16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amount of external air entering the inside of the livestock house through the livestock ventilation device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면 벽체 및 후면 벽체, 양쪽의 측면 벽체, 바닥체를 조립식으로 만든 환기장치 본체는 물론 간단하게 끼울 수 있는 구조로 설치가 가능한 상단 도어 및 하단 도어를 포함하는 새로운 축사용 환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 제작성 향상과 더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스톱퍼의 걸림구조를 이용하여 하단 도어의 개폐 각도를 적절히 규제할 수 있는 등 하단 도어의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하단 도어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w livestock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ventilation system body made by prefabricating the front wall, rear wall, both side walls, and floor, as well as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that can be installed with a simple insertion structure By providing a devi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can be reduced, improving manufacturability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using the stopper's locking structure,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lower door can be properly regulated. It can improve th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of the door and at the same time extend the durability of the lower door.

10 : 통풍구 11 : 전면 벽체
12 : 후면 벽체 13a,13b : 측면 벽체
14 : 바닥체 15 : 상단 도어
16 : 하단 도어 17 : 환기장치 본체
18 : 걸림홀 19 : 수체결판
20 : 걸림돌기 21 : 암체결홈
22 : 위치규제용 돌기 23 : 위치규제용 홈
24 : 도어 가이드판 25 : 스톱퍼규제용 돌기
26 : 스톱퍼 27 : 힌지핀
28 : 힌지홀 29 : 바닥체 끼움홈
30 : 공구삽입용 홀
10: Ventilation hole 11: Front wall
12: Rear wall 13a, 13b: Side wall
14: bottom body 15: top door
16: Bottom door 17: Ventilator body
18: Holding hole 19: Water fastening plate
20: Locking protrusion 21: Arm fastening groove
22: Protrusion for position regulation 23: Groove for position regulation
24: Door guide plate 25: Stopper regulation projection
26: stopper 27: hinge pin
28: Hinge hole 29: Base insertion groove
30: Hole for tool insertion

Claims (6)

각각의 통풍구(10)를 가지는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 양쪽의 측면 벽체(13a,13b) 및 바닥체(14), 그리고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의 각 통풍구(10)에 설치되는 상단 도어(15) 및 하단 도어(16)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본체(17)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한쪽 측단부에는 걸림홀(18)을 가지면서 본체 폭방향으로 체결되는 수체결판(19)이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측단부에는 걸림돌기(20)를 가지면서 본체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암체결홈(21)이 형성되어,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는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면서 서로 연접되는 수체결판(19)의 걸림홀(18)과 암체결홈(21)의 걸림돌기(20) 간의 체결을 통해 조립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환기장치 본체(17)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환기장치.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each having a vent 10, the side walls 13a, 13b and the floor 14 on both sides, and each of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It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body (17) consisting of an upper door (15) and a lower door (16)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hole (10),
A water fastening plate 19 having a locking hole 18 and faste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on one side end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At one side end, an arm fastening groove 21 is formed that has a locking protrusion 20 and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have the shape of a squar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device main body 17 is formed by being assemb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rough fastening between the locking hole 18 of the water fastening plate 19 and the locking protrusion 20 of the arm fastening groove 21, which are arran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한쪽 측단부에는 수체결판(19)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위치규제용 돌기(22)가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측단부에는 암체결홈(21)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이와 나란한 위치규제용 홈(23)이 형성되어, 수체결판(19)과 암체결홈(21) 간의 체결 시에 함께 결합되는 위치규제용 돌기(22)와 위치규제용 홈(23)에 의해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는 견고한 사각틀 형태의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환기장치.
In claim 1,
At one side end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a position regulation protrusion 22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water fastening plate 19 and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therefrom. At the same time, a position regulation groove (23)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rm fastening groove (21)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rm fastening groove (21) at the other side end, so that the male fastening plate (19) and the female fastening groove (21) are fastened together.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can be maintained in a sturdy square frame assembly by the position regulation protrusion (22) and the position regulation groove (23) that are combined.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에는 통풍구 양측단 위치에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도어 가이드판(24)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도어 가이드판(24)의 안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스톱퍼규제용 돌기(25)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도어(16)의 측단부에는 스톱퍼규제용 돌기(25)에 걸려지는 스톱퍼(26)가 설치되어, 하단 도어(16)는 각 스톱퍼규제용 돌기(25)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스톱퍼(26)에 의해 개폐 각도가 조절되면서 이때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환기장치.
In claim 1,
On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a door guide plate 24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ventilation hole, extending toward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guide plate 24, the door guide plate 24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s 25 are formed, and a stopper 26 that is caught by the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s 25 is installed on the side end of the lower door 16, so that the lower door 16 has each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is adjusted by a stopper (26) that is selectively hung on the stopper regulating protrusion (25) and the adjusted state can be maintain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6)는 "ㄷ"자 형상의 스톱퍼 몸체(26a)와, 상기 스톱퍼 몸체(26b)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스톱퍼규제용 돌기(25)에 걸려지는 스톱퍼 돌기(26b)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환기장치.
In claim 3,
The stopper 26 is made of an integrated stopper body 26a in the shape of a "U" and a stopper protrusion 26b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topper body 26b and is caught by the stopper regulation protrusion 25.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 도어(15)와 하단 도어(16)는 양측단의 힌지핀(27)을 이용하여 전면 벽체(11)와 후면 벽체(12)에 형성되는 힌지홀(28)에 결합되는 구조로 조립되어 힌지핀(27)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환기장치.
In claim 1,
The upper door 15 and the lower door 16 are assembled in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28 formed in the front wall 11 and the rear wall 12 using hinge pins 27 at both ends.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pin (27) as the central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14)는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조립 시 전면 벽체(11), 후면 벽체(12) 및 측면 벽체(13a,13b)의 각 안쪽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바닥체 끼움홈(29)에 4변이 결합되면서 함께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환기장치.
In claim 1,
When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are assembled, the floor 14 is formed at each angle of the front wall 11, the rear wall 12, and the side walls 13a, 13b. A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sides are combined with the bottom fitting groove (29)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surface and assembled together.
KR1020220105169A 2022-08-23 2022-08-23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KR202400272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169A KR20240027225A (en) 2022-08-23 2022-08-23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169A KR20240027225A (en) 2022-08-23 2022-08-23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225A true KR20240027225A (en) 2024-03-04

Family

ID=9029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169A KR20240027225A (en) 2022-08-23 2022-08-23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22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104A (en) 2009-11-19 2011-05-25 (주)엘포에스 Filter cleaning apparatus of stable venti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41030A (en) 2015-05-27 2016-12-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KR20180044239A (en) 2018-03-10 2018-05-02 새빛건설 주식회사 Channel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ground
KR20220105183A (en) 2021-01-18 2022-07-27 박호인 Stable for pig farming with venti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104A (en) 2009-11-19 2011-05-25 (주)엘포에스 Filter cleaning apparatus of stable venti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41030A (en) 2015-05-27 2016-12-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KR20180044239A (en) 2018-03-10 2018-05-02 새빛건설 주식회사 Channel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ground
KR20220105183A (en) 2021-01-18 2022-07-27 박호인 Stable for pig farming with ventil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956B1 (en) Apparatus for stable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CN205756230U (en) A kind of closed ventilation breeding house
KR100886447B1 (en) The method of ventilation and system to be used a pigpen
KR102045666B1 (en) the incubator for piglet
JP3217822U (en) Honeycomb box ventilation insulation box
KR200441134Y1 (en) A ventilative and exhaust system of a barns
KR100980735B1 (en) A ventilative system of a pigpen
KR100973723B1 (en) A ventilative system of a pigpen
KR20240027225A (en) Ventilating system for livestock house
KR200443163Y1 (en) A ventilative and exhaust system of a barns
RU2315474C1 (en) Rabbit farm
KR01562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ntilation and degree in the henhouse
KR200333829Y1 (en) A ventilative system of a pig farm
KR200351889Y1 (en) A ventilative system of a pig farm
CN105766660A (en) Breeding house ventilation system with ecological air environment
KR20020012085A (en) Breeding cages for small animals
KR20180044239A (en) Channel ventilation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ground
KR200389987Y1 (en) a window for ventilation of cattle shed
KR200432848Y1 (en) Ventilator on Hog breeding
CN208908806U (en) The deodorization device of animal room
KR200441135Y1 (en) A ventilative and exhaust system of a barns
JPS6112503Y2 (en)
CN217608825U (en) House ventilation unit is bred to beasts and birds and breed house thereof
KR200211811Y1 (en) Breeding cages for small animals
JP3025377U (en) Livestock ventil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