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984A - 로드 삽입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로드 삽입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984A
KR20240026984A KR1020247000018A KR20247000018A KR20240026984A KR 20240026984 A KR20240026984 A KR 20240026984A KR 1020247000018 A KR1020247000018 A KR 1020247000018A KR 20247000018 A KR20247000018 A KR 20247000018A KR 20240026984 A KR20240026984 A KR 20240026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implant
shuttle
mandrel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슈아 데이비드 호르바트
애나 루시아 보겔
레이첼 페이지 아노트
애리얼 에프라임 웨이츠
크리스토퍼 마크 파블로프
윌리엄 처칠 테일리아페로 버크
응둔구 무투리
크리스토퍼 알. 맥캐슬린
Original Assignee
제넨테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넨테크, 인크. filed Critical 제넨테크,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2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9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rosthes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의료용 임플란트를 유리체 내와 같이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 예시적인 구현에서, 임플란트 전달 장치는 세장형 본체, 캐뉼라, 맨드릴, 전방 셔틀, 디스펜스 버튼, 및 리프 스프링을 포함한다. 캐뉼라는 본체에 의해 운반되며 임플란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맨드릴은 캐뉼라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전방 셔틀은 맨드릴에 결합된다. 리프 스프링은 적어도 디스펜스 버튼과 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는 부분을 갖는다. 전달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여,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키고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하여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시켜 캐뉼라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임플란트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로드 삽입기 시스템 및 방법
참조에 의한 통합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공보 및 특허 출원은 각 개별 공보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개별적으로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것으로 표시된 것과 동일한 범위에서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본 개시는 생분해성 임플란트를 포함하여 치료 또는 활성 약제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눈과 같은 환자 내의 다양한 위치, 예를 들어 눈의 유리체 내로 도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눈 질환 치료의 가장 큰 어려움은 약물이나 치료제를 눈에 주입하고 필요한 기간 동안 이러한 약물이나 치료제를 눈에서 치료 효과가 있는 농도로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효과적인 안구 내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의 전신 투여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약물의 허용할 수 없는 부작용 발생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신 투여는 이상적인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 단순한 안구 점안 또는 도포는 눈물 작용에 의해 약물이 빠르게 씻겨 나가거나 눈에서 일반 순환계로 고갈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경우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다.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는 적절한 기간 동안 치료 수준의 약물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며칠,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원하는 제어된 양의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눈에 이식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 또는 임플란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이전에 많이 보고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4,853,224호에서는 안구 질환의 치료를 위해 눈의 전방 또는 후방에 삽입하기 위한 생체 적합성 임플란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5,164,188호는 눈의 상공막 공간 또는 안와에 관심 약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임플란트를 도입하여 안구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5,824,072; 5,476,511; 4,997,652; 4,959,217; 4,668,506; 및 4,144,317호를 참조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약물이 포함된 플러그나 압정을 눈의 공막에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예: 미국 특허 5,466,233호 참조).
망막내, 망막하, 맥락막내, 맥락막상, 공막내, 공막상, 결막하, 각막내 또는 각막상 공간을 포함하여 눈 유리체, 눈 전방 또는 후방 또는 눈의 다른 영역과 같은, 약물 전달 장치 또는 임플란트를 이식할 수 있는 눈의 다양한 부위가 존재한다. 원하는 이식 위치에 상관없이, 일반적인 이식 방법은 모두 비교적 침습적인 수술 절차가 필요하고, 눈에 과도한 외상을 입힐 위험이 있으며, 임플란트를 과도하게 다뤄야 한다. 예를 들어, 유리체에 삽입하는 일반적인 방법에서는, 공막을 통해 절개한 후, 겸자 또는 다른 유사한 수동 파지 장치를 사용하여, 유리체의 원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삽입하고 침착시킨다. 삽입이 완료되면, 겸자(또는 파지 장치)를 제거하고,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 대안적으로, 공막을 통해 절개하고, 절개 부위를 통해 투관침을 삽입한 다음, 투관침을 통해 임플란트를 전달할 수 있다. 각막 절개를 통해 안구 전실에 이식하는 등 다른 위치에 임플란트를 이식할 때도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전달 기술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임플란트를 광범위하게 다루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임플란트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많은 임플란트는 폴리머 기반이며 상대적으로 깨지기 쉽다. 임플란트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면, 임플란트가 식립된 후 전달되는 효과적인 치료 용량이 크게 변경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환자마다 재현 가능한 식립을 달성하기가 본질적으로 어렵다. 또한, 이러한 모든 기술은 봉합이 필요할 정도로 눈에 큰 절개나 천공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수술 환경에서 수행된다.
임플란트 전달 장치의 설계와 효과에는 여러 가지 고려 사항이 영향을 미친다. 첫째, 임플란트를 시술할 때마다 임플란트가 피험자에게 일관되게 전달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임플란트 치료에는 여러 번의 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임플란트 제공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눈과 다른 해부학적 구조에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보다 쉽고 편리하며 덜 침습적이고 외상이 적은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임플란트 전달을 위한 보다 제어된 수단에 대한 필요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혁신은 이러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고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양상에 따르면, 임플란트 전달 장치는 세장형 본체, 캐뉼라, 맨드릴, 전방 셔틀, 디스펜스 버튼 및 리프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본체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다. 캐뉼라는 본체에 의해 운반되며, 본체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되는 원위 부분을 갖는다. 캐뉼라는 그 안에 임플란트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맨드릴은 캐뉼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임플란트가 캐뉼라 내부에 유지되는 후퇴 위치에서, 맨드릴에 의해 임플란트가 캐뉼라에서 배출되는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전방 셔틀은 맨드릴에 결합되어 있으며,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펜스 버튼은 맨드릴이 후퇴 위치에 유지되는 연장 위치에서, 맨드릴이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하는 눌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펜스 버튼과 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다. 전달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킴으로써 작동하여,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키고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시켜 캐뉼라의 원위 부분에서 임플란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펜스 버튼은 세장형 본체의 상단 측면 표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동한다. 장치는 전방 셔틀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한 후방 셔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프 스프링은 전방 셔틀과 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고, 디스펜스 버튼과 접촉하는 중간 부분을 갖는다. 리프 스프링은 제1 핀에 의해 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핀에 의해 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펜스 버튼은 디스펜스 버튼이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 셔틀 상의 대응 캠 표면과 접촉하여 후방 셔틀을 원위로 구동하는 캠 표면을 포함하여, 리프 스프링, 전방 셔틀 및 맨드릴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더 압박한다. 후방 셔틀은 디스펜스 버튼 상의 대응 잠금 특징부와 결합하여 디스펜스 버튼을 눌린 위치에서 잠그는 잠금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셔틀과 후방 셔틀은 상호 중첩되는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세장형 본체 외부로부터 셔틀의 중첩되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잠금 핀을 더 포함하여,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전방 셔틀과 후방 셔틀이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캡이 본체에 부착될 때 본체의 원위 단부 및 캐뉼라의 원위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덮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캡은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본체에 잠기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후퇴 위치로부터, 슬라이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뉼라의 원위 팁을 덮는 원위 연장 위치로 이동 가능한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를 더 포함한다.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는 적어도 캐뉼라의 원위 팁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길이를 따라 캐뉼라의 바닥 부분을 덮을 수 있으며, 슬라이드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단 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되 평평한 물체가 도달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는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후퇴 위치에서 잠기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셔틀 및 리프 스프링은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지 않은 경우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에 도달하면 소프트 클릭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뉼라는 임플란트가 맨드릴에 의해 밀려날 때까지 캐뉼라 내에 임플란트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특징부를 구비한다. 유지 특징부는 캐뉼라에 로딩될 때 임플란트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캐뉼라 내의 컷아웃 섹션, 및 컷아웃 섹션으로 연장되어 캐뉼라의 대향 벽에 대해 임플란트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에 탄력을 가하는 가요성 암이다. 가요성 암은 캐뉼라의 일부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유지 허브에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뉼라의 컷아웃 섹션은 임플란트의 종방향 길이와 명목상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가요성 암은 임플란트 및 컷아웃 섹션의 종방향 길이와 명목상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 접촉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사전 로딩된 임플란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상에 따르면, 임플란트 전달 장치는 세장형 본체, 캐뉼라, 맨드릴, 전방 셔틀, 후방 셔틀, 디스펜스 버튼, 리프 스프링, 캡,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 및 잠금 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본체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종축을 갖는다. 캐뉼라는 본체에 의해 운반되며, 본체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되는 원위 부분을 갖는다. 캐뉼라는 그 안에 임플란트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맨드릴은 캐뉼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임플란트가 캐뉼라 내부에 유지되는 후퇴 위치에서, 맨드릴에 의해 임플란트가 캐뉼라에서 배출되는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전방 셔틀은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맨드릴에 결합된다. 전방 셔틀은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후방 셔틀은 전방 셔틀과 별도로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디스펜스 버튼은 세장형 본체의 상단 측면 표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리프 스프링은 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단부, 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단부, 및 디스펜스 버튼의 표면에 접촉하는 볼록한 중간 부분을 가지며, 버튼이 눌린 위치로 이동하면, 리프 스프링이 덜 구부러져 전방 셔틀을 후방 셔틀로부터 이격되게 압박한다. 디스펜스 버튼은 후방 셔틀 상의 대응 캠 표면과 접촉하여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 셔틀과 리프 스프링을 원위로 구동하는 캠 표면을 포함한다. 후방 셔틀은 디스펜스 버튼 상의 대응 잠금 특징부와 맞물려 디스펜스 버튼을 눌린 위치에 고정하는 잠금 특징부를 포함한다. 캡은 캡이 본체에 부착될 때 본체의 원위 단부와 캐뉼라의 원위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덮도록 구성된다.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는 후퇴 위치에서, 슬라이드가 캐뉼라의 원위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원위 연장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잠금 핀은 캡, 날카로운 물체 보호 슬라이드, 후방 셔틀 및 전방 셔틀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이러한 부품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달 장치는 사용자가 잠금 핀을 제거하고, 캡을 제거하고,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작동하여, 후방 셔틀을 원위로 이동시키고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켜,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로 압박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시켜 캐뉼라의 원위 부분에서 임플란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날카로운 물체 보호 슬라이드를 후퇴 위치에서 원위 연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셔틀, 후방 셔틀 및 리프 스프링은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지 않은 경우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에 도달하면 소프트 클릭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캐뉼라의 일부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유지 허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지 허브는 캐뉼라의 컷아웃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가요성 암을 구비하여 캐뉼라 내부의 임플란트를 캐뉼라의 대향 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압박하여, 임플란트가 맨드릴에 의해 밀려날 때까지 캐뉼라 내부의 임플란트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한다.
본 개시의 양상에 따르면,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은 임플란트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임플란트 전달 장치는 세장형 본체, 캐뉼라, 맨드릴, 전방 셔틀, 디스펜스 버튼, 리프 스프링, 캡 및 잠금 핀을 포함한다. 세장형 본체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갖는다. 캐뉼라는 본체에 의해 운반되며, 본체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되는 원위 부분을 가지며, 그 안에 임플란트를 운반한다. 맨드릴은 캐뉼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전방 셔틀은 맨드릴에 결합된다. 디스펜스 버튼은 세장형 본체에 위치한다. 리프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펜스 버튼과 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다. 캡은 본체의 원위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캡이 본체에 부착될 때 캐뉼라의 원위 부분을 덮는다. 잠금 핀은 캡과 전방 셔틀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이러한 부품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방법은 잠금 핀을 제거하고, 캡을 제거하고, 캐뉼라의 원위 팁을 환자에게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디스펜스 버튼이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하여,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켜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로 압박하고 맨드릴이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하여 캐뉼라의 원위 부분에서 임플란트를 배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날카로운 물체 보호 슬라이드를 후퇴 위치에서, 슬라이드가 캐뉼라의 원위 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원위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플란트는 유리체 내로 배출된다.
본 개시의 새로운 특징들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특징 및 장점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본 개시의 원리가 활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얻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구성 및 작동되는 임플란트 전달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인터록 핀과 캡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시도로서, 명확성을 위해 다양한 부품을 제거한 상태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원위 부분 근처에 위치한 다양한 부품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디스펜스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 장치의 일련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임플란트 유지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임플란트 유지 부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임플란트 유지 부품의 대안적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원위 단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고리 보호 및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가 후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원위 단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고리 보호 및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가 연장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 단면도로서, 고리 보호 및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가 후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 단면도로서, 고리 보호 및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가 연장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구성 및 작동되는 임플란트 전달 장치의 제2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장치의 부품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장치의 예시적인 잠금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로드 형상의 임플란트를 피하, 유리체 내, 근육 내, 관절 내, 혈관 내 또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로 전달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전달 장치는 세장형 본체, 캐뉼라, 맨드릴, 전방 셔틀, 디스펜스 버튼 및 리프 스프링을 포함한다. 캐뉼라는 본체에 의해 운반되며, 임플란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맨드릴은 캐뉼라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전방 셔틀은 맨드릴에 결합된다. 리프 스프링은 적어도 디스펜스 버튼과 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는 부분을 갖는다. 전달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여,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키고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시켜 캐뉼라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임플란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임플란트가 단일 장치에서 한 번에 하나씩 분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전달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된다. 장치(100)는 원위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임플란트 디스펜스 버튼(112)을 갖는 세장형 인클로저(110)를 포함한다. 인클로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클램셸(114) 및 우측 클램셸(116)로 형성될 수 있다. 캡(118)은 인클로저(1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인클로저(110)의 원위 단부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터록 핀 리테이너(120)는 캡(118)을 제자리에 잠그고, 이후에 설명될 추가적인 잠금 특징부를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전달 장치(100)는 인터록 핀 리테이너(120)와 캡(118)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어, 캐뉼라(122)와 캐뉼라 보호 및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124)가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호 슬라이드(124)는 작동을 위한 엄지 또는 손가락 그립(126)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인터록 핀(125)은 도 2에서 핀 리테이너(12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전달 장치(100)는 내부 부품을 볼 수 있도록 캡, 캐뉼라 보호 슬라이드 및 왼쪽 클램셸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100)가 조립될 때, 4개의 패스너(127)가 인클로저의 두 개의 반쪽부를 함께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디스펜스 버튼(112)은 장치(100)의 인클로저 내부에 존재하는 버튼 레버(128)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레버(128)의 근위 단부는 오른쪽 클램셸(116)과 대향 클램셸(도시되지 않음) 사이로 연장되는 핀(1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배열은 디스펜스 버튼(112)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눌린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압축 스프링(132)은 레버(128)와 인클로저 사이에 위치하여 버튼(112)을 연장 위치로 바이어스할 수 있다.
전방 셔틀(134) 및 후방 셔틀(1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인클로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각 셔틀은 인클로저의 각 절반부에 위치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슬롯(140)에 결합하기 위해 각 측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리브(138)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전방 셔틀(134) 및 후방 셔틀(136)이 인클로저 내에서 독립적으로 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방 셔틀(134)의 후면 섹션과 후방 셔틀(136)의 전면 섹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 조인트와 같이 중첩되는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인터록 핀(125)이 장치 인클로저와 전방 셔틀(134) 및 후방 셔틀(136)을 모두 통과할 수 있으므로, 핀(125)이 제거될 때까지 셔틀이 인클로저에 대해 제자리에 잠긴다.
전방 셔틀(134)과 후방 셔틀(136) 사이에 걸쳐 있는 리프 스프링(142)이 제공될 수 있다. 리프 스프링(142)의 각 단부는 셔틀 핀(144)에 의해 셔틀 중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도 5 참조). 리프 스프링(142)의 중심부는 버튼(112)의 바닥 표면이 리프 스프링(142)의 상단 표면과 접촉하도록 버튼(112)의 바닥 상의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 실시예에서, 도 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142)은 그 중간 섹션이 그 단부 섹션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다.
맨드릴(146)은 맨드릴 부싱(148)을 사용하여 전방 셔틀(134)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도 5 참조). 맨드릴(146)은 캐뉼라 마운트(150)에 의해 장치(100)의 인클로저 원위 단부에 단단히 부착된 캐뉼라(1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맨드릴(146)은 맨드릴(146)이 전방 셔틀(134)에 의해 원위로 구동될 때 임플란트(도 3에 도시되지 않음)를 캐뉼라(122)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임플란트 유지 허브(152)는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캐뉼라(122) 내에 임플란트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장치(100)의 특징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보여주기 위해 측면 단면도가 제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장치(100)의 특징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보여주기 위해 분해도가 제공된다. 도 5는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보호 슬라이드(124) 내에 매립되어 있는 보강 핀(153)을 더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원위 단부 근처에 위치한 부품의 세부 사항을 더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확대된 부분 투명 사시도가 제공된다. 도 6은 디스펜스 버튼 레버(128) 상에 위치한 경사진 표면(154)을 더 도시하는데, 이는 디스펜스 버튼(112)이 눌려질 때 후방 셔틀(136)의 근위 단부에 접촉하여 이를 전방/원위 방향으로 구동한다. 디텐트 노치(156)는 버튼(112)이 하향 스트로크의 단부에 도달할 때 후방 셔틀(136)의 근위 단부에 있는 대응 특징부(158)와 결합하기 위해 경사진 표면(154)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원위 단부 단면도가 제공되어, 장치(100)의 원위 단부 근처에 위치한 부품의 세부 사항을 더 자세히 보여준다.
이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임플란트 디스펜싱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버튼(112)이 눌리기 전 수직으로 연장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도 9는 버튼(112)이 눌린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며, 도 10은 버튼(112)이 (임플란트가 캐뉼라(122)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후) 완전히 눌린, 스트로크 종료 잠금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전방 셔틀(134)과 후방 셔틀(136)이 가장 근위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리프 스프링(142)은 관련 상태에 있다. 인터록 핀(125)(도 2에 도시됨)이 홀(160)에서 제거되면, 전방 셔틀(134) 및 후방 셔틀(136)은 장치 인클로저(116) 내에서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전방 셔틀(134)과 후방 셔틀(136)은 경사진 표면(154)에 맞닿는 후방 셔틀(136)의 후면 가장자리(158)에 의해 근위로(도 8 내지 도 10의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버튼(112)을 아래쪽으로 (장치 인클로저 안으로) 누르면, 경사진 표면(154)이 후방 셔틀(136)의 후면 가장자리(158)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후방 셔틀(136)을 전방(원위, 왼쪽)으로 압박한다. 동시에 버튼(112)의 바닥 표면이 리프 스프링(142)을 아래로 눌러, 이것을 평평하게 만든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압박되는 후방 셔틀(136)과 평평해지는 리프 스프링(142)의 조합으로 인해 전방 셔틀(134)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셔틀(134)은 후방 셔틀(136)보다 더 빠른 속도 및 더 큰 거리로 전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는 셔틀의 인터록 핀 홀 위치를 인클로저(116)의 홀(160) 위에서의 시작 위치와 비교하여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셔틀(134)은 후방 셔틀(136)의 적어도 4배 원위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셔틀(134)은 후방 셔틀(136)의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또는 적어도 6배 원위로 이동한다. 전방 셔틀(134)이 원위로 이동함에 따라, 맨드릴(146)을 캐뉼라(122) 내로 원위로 더 구동한다. 그러면 캐뉼라(122)에 위치한 임플란트가 원위 단부에서 환자의 표적 해부학적 구조 내로 구동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버튼(112)의 하향/내향 동작이 맨드릴(146)의 더 큰 스트로크로 확대될 수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튼(112)이 스트로크의 단부에 근접할 때, 경사진 표면(154)의 상단이 후방 셔틀(136) 상의 대응 특징부(158)에 접근한다. 버튼(112)을 더 아래로 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특징부(158)가 버튼 암(128) 상의 디텐트 노치(156)로 떨어지면서, 버튼(112)이 눌린 위치에 잠긴다. 이는 장치 사용자에게 버튼이 스트로크의 단부에 도달했음을 알리고, 임플란트가 캐뉼라(122)에서 배출되었음을 확인한다. 디텐트 노치(156) 및 대응 특징부(158)는 소프트 클릭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시각적 확인과 더불어, 임플란트 배출에 대한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보관 위치 및 유지 특징부가 도시되고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단일 사용 일회용 장치로서, 캐뉼라(122) 내에 사전 로딩된 임플란트(162)와 함께 의료진에게 제공된다. 캐뉼라 마운트(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뉼라(122)를 장치 인클로저의 원위 단부에 장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장치 기울기로 인해 임플란트(162)가 캐뉼라(122)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임플란트 유지 허브(152)가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 마운트(150)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임플란트 유지 허브(152)는 캐뉼라(122) 내에 임플란트(162)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위 연장 암(164)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암(164)의 원위 단부는 캐뉼라(122)에 형성된 창을 통과하여 임플란트(162)와 접촉한다. 암(164)은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암(164)이 임플란트(162) 상에 가벼운 하향/내향 힘을 유지하여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맨드릴(146)이 임플란트(162)를 원위로 밀면, 암(164)은 임플란트 및 맨드릴이 이것을 지나갈 수 있도록 약간 위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맨드릴(146)은 11 mm 스트로크 길이를 갖는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유지 허브(152')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제공된다. 임플란트 유지 허브(152')는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임플란트 유지 허브(152)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 및 작동될 수 있다. 맨드릴(146)을 원위로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방 셔틀 또는 다른 부품은 상향으로 연장되는 캠(166)이 제공될 수 있다. 캠(166)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위치에 있을 때, 캠은 암(164')에 힘을 가하지 않도록 유지 암(164')의 바닥 표면에 위치한 리세스(168) 내에 존재한다. 전방 셔틀이 임플란트(162)를 배출하기 위해 원위로 이동하면, 캠(166)은 암(164')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암(164')의 원위 팁이 임플란트(162)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위쪽으로 압박한다. 이러한 배열은 캐뉼라(122)를 통해 임플란트(162)를 디스펜싱할 때 마찰력을 낮추는 등의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 을 참조하면, 캐뉼라 보호 및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124)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이 제공된다. 슬라이드(124)의 근위 연장부(오른쪽)는 (도 7에서 가장 잘 보이는) 도브테일 구성으로 제공되어, 장치 인클로저(110)의 바닥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슬라이드(124)는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퇴 위치와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124)를 후퇴 위치 및 연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드(124) 상에 디텐트(170)가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124)를 이동시키기 위해 엄지 그립(126)이 제공될 수 있고, 특히 슬라이드(124)가 연장될 때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보강 로드(153)가 슬라이드(124)에 매립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캐뉼라(122)는 슬라이드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124)의 원위 표면 너머로 6.3 mm 연장된다. 슬라이드(124)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캐뉼라(122)는 장치(100) 위에서 볼 수 있지만, 보호 슬라이드(124)는 캐뉼라(122)가 사람 또는 물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드(124)의 원위 단부에 실리콘 오버몰딩 표면이 제공되어, 캐뉼라(122)를 환자에게 삽입할 때 깊이 게이지 또는 스톱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전달 장치(200)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된다. 장치(200)는 사전 로딩된 다수의 임플란트를 한 번에 하나씩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장치(200)는 2개의 임플란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르치는 개념은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장치를 만들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먼저 도 19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전달 장치(200)는 인클로저(210)가 제공될 수 있다(명확성을 위해 인클로저의 좌측만 도시됨). 임플란트 디스펜스 버튼(212)은 인클로저(210)의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버튼(212)은 아래쪽으로 눌려서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전 로딩된 임플란트를 갖는 캐뉼라(214)는 인클로저(210)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한 쌍의 잠금 플레이트(216 및 218)는 이격된 구성으로 인클로저(210) 내에 단단히 장착될 수 있다. 캔틸레버 셔틀(220)은 인클로저(210)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스위치 셔틀(222)은 핀(223)을 사용하여 디스펜스 버튼(212)에 단단히 고정되고, 이로부터 잠금 플레이트(216 및 218) 사이의 인클로저(210) 내로 아래쪽으로 연장된다(잠금 플레이트(218)는 도 20에 도시되지 않음). 한 쌍의 핀(224)이 스위치 셔틀(222)의 각 측면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각 잠금 플레이트(216)의 슬롯(226)과 결합된다. 한 쌍의 캔틸레버 로드 스프링(228)은 셔틀(220)에서 원위로 연장되어, 버튼(212)을 위쪽으로/외측으로 바이어스한다. 캔틸레버 로드 스프링(228)은 캔틸레버 트랩(230)을 사용하여 셔틀(220)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고, 그 대향 단부들은 스위치 셔틀(222)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버튼(212)은 캔틸레버 로드 스프링(228)의 스프링 편향에 대항하여 눌릴 수 있고, 스위치 셔틀(222) 및 캔틸레버 로드 스프링(228)을 통해 캔틸레버 셔틀(220)을 종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장치(200)의 사시도는 명확성을 위해 장치 인클로저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공되며, 장치(200)의 내부 부품을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장치(200)의 분해도가 제공된다. 도 22는, 셔틀(220)의 원위 단부에 단단히 부착되고 임플란트를 한 번에 하나씩 밀어내기 위해 캐뉼라(214) 내에 수용되는 맨드릴(231)을 더 나타낸다. 연장 블록(232)은 셔틀(220)에 부착되어 스티커(234)의 일부를 지지한다. 스티커(234)는 다양한 색상 및/또는 기호를 가지며, 이는 인클로저(210)의 창(236)을 통해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장치(200)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19 내지 도 22와 함께) 장치(2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잠금 플레이트(216)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200)는 슬롯(226)의 가장 원위 위치(238)에 있는 핀(224)(도 20)으로 시작된다. 버튼(212)과 핀(224)은 캔틸레버 로드(228)에 의해 위치(238)로 위쪽으로 바이어스된다. 위치(238)에서 슬롯(226)의 수직 특성으로 인해 버튼(212)이 전방/원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212)을 누르면, 핀(224)이 위치(240)로 이동하여, 버튼(212)의 잠금을 해제하고 앞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핀(224)이 위치(242)에 도달할 때까지 버튼(212)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러면 버튼(212)이 더 이상 전방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버튼(212)을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캔틸레버 셔틀(220)과 맨드릴(231)이 전방으로 구동된다. 이 위치에서, 맨드릴(231)의 원위 단부가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와 접촉한다(도시되지 않음). 버튼(212)이 해제되면, 캔틸레버 로드 스프링(228)이 버튼(212) 및 핀(224)을 위치(244)까지 위로 압박한다. 이 위치에서의 경사진 표면은 핀(224)이 위치(246)에 도달할 때까지 버튼(212), 셔틀(220) 및 맨드릴(231)을 더 전방으로 구동한다. 이 위치에서, 장치(200)는 제1 임플란트를 디스펜스하도록 프라이밍된다. 버튼(212)을 다시 누르면, 핀(224)이 경사진 표면(248)에 접촉하여, 버튼(212), 셔틀(220) 및 맨드릴(231)이 슬롯(226)의 위치(250)까지 전방으로 더 구동된다. 이 시점에서, 제1 임플란트가 디스펜스된다. 버튼(212)이 해제되면, 핀(224)은 위치(244 및 246)로 이동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252)로 이동한 다음 위치(254)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장치(200)는 제2 임플란트를 디스펜스하도록 프라이밍된다. 버튼(212)을 다시 누르면, 핀(224)이 경사진 표면(256)에 접촉하여, 버튼(212), 셔틀(220) 및 맨드릴(231)이 슬롯(226)의 위치(258)까지 전방으로 더 구동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제2 임플란트가 디스펜스된다. 버튼(212)를 다시 해제하면, 위치(260)로 위쪽으로 압박된다. 이 위치에서, 버튼(212)을 더 누르면 더 이상 종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슬롯(226)을 따라 각 단계에서, 셔틀(220)의 종방향 이동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티커(234)(도 22 참조)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시적인 방법으로만 제공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당업자에게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많은 변형, 변경 및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본 개시의 실시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수많은 다른 조합이 가능하며, 그러한 조합은 본 개시의 일부로 간주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임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특징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해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들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방법 및 구조와 그 균등물들이 이에 의해 포괄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에 "상에" 있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해당 특징 또는 요소는 다른 특징 또는 요소 상에 직접 있을 수도 있고 중간 특징 및/또는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대로, 어떤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 "상에 직접" 있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개입하는 특징 또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에 "연결", "부착" 또는 "결합"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다른 특징 또는 요소에 직접 연결,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개입하는 특징 또는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어떤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에 "직접 연결", "직접 부착" 또는 "직접 결합"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개입하는 특징 또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비록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거나 도시되었지만, 그렇게 설명되거나 도시된 특징 및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는 다른 특징에 "인접하여" 배치된 구조 또는 특징을 참조하는 것이 인접한 특징과 중첩되거나 아래에 있는 부분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인 "a", "an" 및 "the"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부품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부품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더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며 "/"로 축약될 수 있다.
"아래에", "밑에", "하부", "위에", "상부"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 이외에 사용 또는 작동 중인 디바이스의 다른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장치가 반전된 경우,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아래" 또는 "밑에"로 설명되는 요소는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위"로 배향되게 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의 배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배향(90도 회전 또는 다른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사용된 공간 상대적 설명자는 그에 따라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위쪽", "아래쪽", "수직", "수평" 등의 용어는 특별히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설명의 목적으로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다양한 특징/요소(단계를 포함함)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문맥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특징/요소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의 특징/요소를 다른 특징/요소와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1 특징/요소는 제2 특징/요소로 불릴 수 있으며, 유사하게,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2 특징/요소는 본 개시의 가르침에서 벗어나지 않고 제1 특징/요소로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이어지는 청구범위 전체에서,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방법 및 물품(예를 들어,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장치)에 다양한 부품이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하지만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또는 방법은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지만, 부품 및/또는 단계의 전부 또는 하위 집합은 대안적으로 배타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부품, 단계, 하위 부품 또는 하위 단계로 "구성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들에서 사용된 것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모든 숫자는, 해당 용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약" 또는 "대략"이라는 단어가 앞에 오는 것처럼 읽힐 수 있다. "약" 또는 "대략"이라는 문구는 크기 및/또는 위치를 설명할 때 설명된 값 및/또는 위치가 합리적인 예상 범위의 값 및/또는 위치 내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 값은 명시된 값(또는 값 범위)의 +/- 0.1%, 명시된 값(또는 값 범위)의 +/- 1%, 명시된 값(또는 값 범위)의 +/- 2%, 명시된 값(또는 값 범위)의 +/- 5%, 명시된 값(또는 값 범위)의 +/- 10% 등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명시된 모든 숫자 값은 문맥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해당 값에 가깝거나 대략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10"이라는 값이 개시되어 있다면, "약 10"도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수치 범위는 그 안에 포함되는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또한, 당업자에게 적절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 개시되는 경우, "값보다 크거나 같은" 값 및 값 사이의 가능한 범위도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X"라는 값이 개시되는 경우, "X보다 작거나 같은" 및 "X보다 크거나 같은"(예를 들어, X가 숫자 값인 경우)도 개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데이터는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 포인트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단부점과 시작점 및 범위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 포인트 "10" 및 특정 데이터 포인트 "15"가 개시되는 경우, 10과 15 사이뿐만 아니라 10과 15보다 크거나, 10과 15보다 크거나 같거나, 10과 15보다 작거나, 10과 15보다 작거나 같거나, 10과 15과 같은 것도 개시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두 개의 특정 단위 사이의 각 단위도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10과 15가 개시되면, 11, 12, 13, 14도 개시된다.
위에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임의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다양한 방법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종종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방법 단계가 완전히 건너뛸 수 있다.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 실시예의 선택적 특징들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주로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어떤 특징이 선택 사항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선택 사항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특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 및 예시들은 본 발명의 주제가 실행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되고 그로부터 파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조적 및 논리적 치환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단지 편의상 "발명"이라는 용어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언급될 수 있으며, 실제로 둘 이상이 개시된 경우 본 명세서의 범위를 임의적으로 단일 발명 또는 발명 개념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산된 임의의 배열이 제시된 특정 실시예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의 모든 적응 또는 변형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실시예들의 조합 및 여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은 위의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8)

  1. 임플란트 전달 장치로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갖는 세장형 본체(elongated body),
    본체에 의해 운반되고 본체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되는 원위 부분을 갖고, 임플란트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 캐뉼라,
    캐뉼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임플란트가 캐뉼라 내부에 유지되는 후퇴 위치로부터 맨드릴에 의해 임플란트가 캐뉼라에서 배출되는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맨드릴,
    맨드릴에 결합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방 셔틀,
    맨드릴이 후퇴 위치에 유지되는 연장 위치로부터 맨드릴이 원위 전진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눌린 위치로 이동 가능한 디스펜스 버튼, 및
    적어도 일부가 디스펜스 버튼과 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는 리프 스프링
    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고, 이에 의해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키고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시켜 캐뉼라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임플란트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펜스 버튼은 세장형 본체의 상단 측면 표면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반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방 셔틀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한 후방 셔틀을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은
    전방 셔틀과 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고,
    디스펜스 버튼과 접촉하는 중간 부분을 갖는 것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은
    제1 핀에 의해 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핀에 의해 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디스펜스 버튼은 캠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 표면은 후방 셔틀 상의 대응 캠 표면과 접촉하여 디스펜스 버튼이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 셔틀을 원위로 구동하고, 이에 의해 리프 스프링, 전방 셔틀 및 맨드릴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더 압박하는 것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후방 셔틀은 잠금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특징부는 디스펜스 버튼 상의 대응 잠금 특징부와 결합하여 디스펜스 버튼을 눌린 위치에서 잠그는 것인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전방 셔틀 및 후방 셔틀은 상호 중첩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장치는 잠금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핀은 이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전방 셔틀 및 후방 셔틀이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세장형 본체의 외부로부터 셔틀의 중첩되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이 캡이 본체에 부착될 때 본체의 원위 단부 및 캐뉼라의 원위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은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본체에 잠기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날카로운 물체 보호 슬라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카로운 물체 보호 슬라이드는 후퇴 위치로부터 이 슬라이드가 캐뉼라의 원위 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원위 연장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날카로운 물체 보호 슬라이드는
    적어도 캐뉼라의 원위 팁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길이를 따라 캐뉼라의 바닥 부분을 덮고,
    슬라이드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단 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지만 평평한 물체는 도달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는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후퇴 위치에 잠기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셔틀 및 리프 스프링은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지 않은 경우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에 도달할 때 소프트 클릭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캐뉼라는 임플란트가 맨드릴에 의해 밀려날 때까지 캐뉼라 내에 임플란트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특징부를 구비하는 것인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유지 특징부는
    캐뉼라에 로딩될 때 임플란트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캐뉼라 내의 컷아웃 섹션, 및
    컷아웃 섹션으로 연장되어 캐뉼라의 대향 벽에 대해 임플란트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에 탄력을 가하는 가요성 암(arm)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가요성 암은 캐뉼라의 일부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유지 허브에 장착되는 것인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캐뉼라의 컷아웃 섹션은 임플란트의 종방향 길이와 명목상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 것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가요성 암은 임플란트 및 컷아웃 섹션의 종방향 길이와 명목상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사전 로딩된 임플란트를 더 포함하는 장치.
  22. 임플란트 전달 장치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종축을 갖는 세장형 본체,
    본체에 의해 운반되고 본체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되는 원위 부분을 갖고, 임플란트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 캐뉼라,
    캐뉼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임플란트가 캐뉼라 내부에 유지되는 후퇴 위치로부터 맨드릴에 의해 임플란트가 캐뉼라에서 배출되는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맨드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맨드릴에 결합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원위로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방 셔틀,
    전방 셔틀과 별도로 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후방 셔틀,
    세장형 본체의 상단 측면 표면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반경 방향 안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디스펜스 버튼,
    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단부, 후방 셔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단부, 및 버튼이 눌린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리프 스프링이 덜 구부러지고 후방 셔틀로부터 이격되게 전방 셔틀을 압박하도록 디스펜스 버튼의 표면에 접촉하는 볼록한 중간 부분을 갖는 리프 스프링이며,
    상기 디스펜스 버튼은 캠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 표면은 후방 셔틀 상의 대응 캠 표면과 접촉하여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 셔틀과 리프 스프링을 원위로 구동하고,
    상기 후방 셔틀은 잠금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특징부는 디스펜스 버튼 상의 대응 잠금 특징부와 결합하여 디스펜스 버튼을 눌린 위치에서 잠그는 것인 리프 스프링,
    캡이 본체에 부착될 때 본체의 원위 단부 및 캐뉼라의 원위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덮도록 구성된 캡,
    후퇴 위치로부터 슬라이드가 캐뉼라의 원위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원위 연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 및
    캡,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 후방 셔틀 및 전방 셔틀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이러한 부품들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핀
    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잠금 핀을 제거하고 캡을 제거하고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하고, 이에 의해 후방 셔틀을 원위로 이동시키고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켜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시켜 캐뉼라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임플란트를 배출시키고, 날카로운 물건 보호 슬라이드를 후퇴 위치에서 원위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임플란트 전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셔틀, 제2 셔틀 및 리프 스프링은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지 않은 경우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디스펜스 버튼이 눌린 위치에 도달할 때 소프트 클릭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캐뉼라의 일부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유지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허브는 가요성 암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암은 캐뉼라의 컷아웃 섹션을 통해 연장되어 캐뉼라 내부의 임플란트를 캐뉼라의 대향 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압박하고 이에 의해 임플란트가 맨드릴에 의해 밀려 나올 때까지 캐뉼라 내부의 임플란트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인 장치.
  26.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임플란트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이며,
    상기 임플란트 전달 장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갖는 세장형 본체,
    본체에 의해 운반되고 본체의 원위 단부에서 연장되는 원위 부분을 갖고 내부에 임플란트를 운반하는 캐뉼라,
    캐뉼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맨드릴,
    맨드릴에 결합된 전방 셔틀,
    세장형 본체에 위치하는 디스펜스 버튼,
    적어도 일부가 디스펜스 버튼과 전방 셔틀 사이에 걸쳐 있는 리프 스프링,
    본체의 원위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캡이 본체에 부착될 때 캐뉼라의 원위 부분을 덮는 캡, 및
    캡 및 전방 셔틀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잠금 핀이 제거될 때까지 이러한 부품들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핀
    을 포함하는 것이 단계,
    잠금 핀을 제거하는 단계,
    캡을 제거하는 단계,
    환자에게 캐뉼라의 원위 팁을 삽입하는 단계, 및
    디스펜스 버튼을 연장 위치에서 눌린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리프 스프링을 편향시켜 전방 셔틀을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압박하고 맨드릴을 후퇴 위치로부터 원위 전진 위치로 이동시켜 캐뉼라의 원위 부분에서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후퇴 위치로부터 슬라이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뉼라의 원위 팁을 덮는 원위 연장 위치로 날카로운 물체 보호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유리체 내로 배출되는 것인 방법.
KR1020247000018A 2021-07-07 2022-07-07 로드 삽입기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69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03086P 2021-07-07 2021-07-07
US63/203,086 2021-07-07
PCT/US2022/036276 WO2023283281A1 (en) 2021-07-07 2022-07-07 Rod inserter system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984A true KR20240026984A (ko) 2024-02-29

Family

ID=8274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018A KR20240026984A (ko) 2021-07-07 2022-07-07 로드 삽입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366673A1 (ko)
KR (1) KR20240026984A (ko)
CN (1) CN117580553A (ko)
AU (1) AU2022308658A1 (ko)
CA (1) CA3220276A1 (ko)
IL (1) IL308458A (ko)
TW (1) TW202306555A (ko)
WO (1) WO20232832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4317A (en) 1975-05-30 1979-03-13 Alza Corporation Device consisting of copolymer having acetoxy groups for delivering drugs
US4668506A (en) 1985-08-16 1987-05-26 Bausch & Lomb Incorporated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and amino acid polymer
US4959217A (en) 1986-05-22 1990-09-25 Syntex (U.S.A.) Inc. Delayed/sustained release of macromolecules
US4997652A (en) 1987-12-22 1991-03-05 Visionex Biodegradable ocular implants
US4853224A (en) 1987-12-22 1989-08-01 Visionex Biodegradable ocular implants
US5164188A (en) 1989-11-22 1992-11-17 Visionex, Inc. Biodegradable ocular implants
US5178635A (en) 1992-05-04 1993-01-12 Allergan, Inc. Method for determining amount of medication in an implantable device
US5443505A (en) 1993-11-15 1995-08-22 Oculex Pharmaceuticals, Inc. Biocompatible ocular implants
US5466233A (en) 1994-04-25 1995-11-14 Escalon Ophthalmics, Inc. Tack for intraocular drug delivery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moving same
US8430853B2 (en) * 2010-02-05 2013-04-3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mplantation instruments, system, and kit for punctal implants
US9554940B2 (en) * 2012-03-26 2017-01-31 Glauko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ultiple ocular im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0276A1 (en) 2023-01-12
IL308458A (en) 2024-01-01
TW202306555A (zh) 2023-02-16
WO2023283281A1 (en) 2023-01-12
CN117580553A (zh) 2024-02-20
EP4366673A1 (en) 2024-05-15
AU2022308658A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644B2 (en) Apparatus for delivery of ocular implants
US7468065B2 (en) Apparatus for delivery of ocular implants
EP2214608B1 (en) Ocular implantation device
JP3688287B1 (ja) 眼科用インプラントを送達するための装置
US8192408B2 (en) Ocular trocar assembly
US20050203542A1 (en) Apparatus for delivery of ocular implants with reduced incidence of ocular adverse events
EP2500002A1 (en) Apparatus for intraocular injection
KR20240026984A (ko) 로드 삽입기 시스템 및 방법
CA3225137A1 (en) Inserter system for rod implants and methods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