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520A - Polarizers and laminates - Google Patents

Polarizers and lamin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520A
KR20240026520A KR1020247004660A KR20247004660A KR20240026520A KR 20240026520 A KR20240026520 A KR 20240026520A KR 1020247004660 A KR1020247004660 A KR 1020247004660A KR 20247004660 A KR20247004660 A KR 20247004660A KR 20240026520 A KR20240026520 A KR 2024002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layer
polarizing plate
ultraviole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카즈 곤도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52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편광판과 투명 부재를,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접착하여 적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광자와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면을 구성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4.5 이하인 편광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fficiently curing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even whe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hard coat layer on the surface and a transparent member are bonded and laminated using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he purpose is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hard coat layer,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nstitutes at least one outermost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hard coat layer has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300 nm. do.

Description

편광판 및 적층체Polarizers and laminates

본 발명은 편광판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적층체에도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further relates to a laminate provided with a polarizing plate.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용도, 카 내비게이션 등의 차재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용도로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유리판이나 투명 수지판 등의 투명 부재가 표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보호하고 있다.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and organic EL displays are widely used for mobile applications such as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phones, and in-vehicle application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Generally, in image display devices used for such purposes, a transparent member such as a glass plate or a transparent resin plate is disposed on the surface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또한,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에는, 일반적으로, 편광판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투명 부재와 편광판이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된다.Additionally, a polarizing plate is generally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EL display panel in many cases, and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member and the polarizing plate are laminated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부재와 편광판을 적층하기 위한 접착제로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받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자외선 활성형의 백금 촉매에 의한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이용하여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행하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 ultraviolet curable acrylic resin composition is sometimes used as an adhesive for laminating a transparent member and a polarizing plate. However, ultraviolet curing acrylic resin compositions may be inhibited from curing by oxygen in the air. Therefore, an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hat cures the resin composition using a hydrosilylation reaction using an ultraviolet-activated platinum catalyst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5594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0-055945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자외선을 조사한 후에 서서히 경화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 공정, 자외선의 조사 및 조성물의 경화 공정 및 부재끼리의 접합 공정의 순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공정상의 메리트가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Since the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has the property of gradually curing after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the ord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pplication process,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nd composition curing process, and bonding process between members can be arbitrarily set. It has merit and is widely used.

그러나, 표면에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편광판과 투명 부재를 적층하여 화상 표시 패널을 제조할 때에,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when manufacturing an image display panel by laminating a polarizing plate with a hard coat layer on the surface and a transparent member, curing of the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sometimes becomes insufficient.

본 발명은 표면에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편광판과 투명 부재를,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접착하여 적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일정 시간 내에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that can sufficiently cure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whe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hard coat layer on the surface and a transparent member are bonded and laminated using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이하에 예시하는 편광판 및 적층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and a laminate exemplified below.

[1] 편광자와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면을 구성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4.5 이하인, 편광판.[1]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hard coat layer,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nstitutes at least one outermost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hard coat layer has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300 nm.

[2] 상기 하드 코트층은,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으로 이루어지고,[2] The hard coat layer is made of a cured layer of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상기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로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3] 상기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이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편광판.[3]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cured layer of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s a cured product of (meth)acrylic resin.

[4]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α-히드록시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또는 α-아미노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인, [2]에 기재된 편광판.[4]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2], wherein 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n α-hydroxy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or an α-amino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5]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0.5 ㎛ 이상 10 ㎛ 이하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5]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hard coat layer has a thickness of 0.5 μm or more and 10 μm or less.

[6]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과,[6]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상기 하드 코트층과 상기 투명 부재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A laminate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and the transparent member are laminated through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7] 상기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의 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인, [6]에 기재된 적층체.[7] The laminate according to [6], wherein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1000 μm or less.

[8] 상기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은,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층인, [6] 또는 [7]에 기재된 적층체.[8] The laminate according to [6] or [7], wherein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is a cured layer of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9] 상기 투명 부재가, 유리판, 투명 수지판 또는 터치 패널인, [6]∼[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9]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6] to [8], wherein the transparent member is a glass plate, a transparent resin plate, or a touch panel.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에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편광판과 투명 부재를,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접착하여 적층하는 경우에도,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일정 시간 내에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hard coat layer on the surface and a transparent member are bonded and laminated using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he polarizing plate is capable of sufficiently curing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be provided.

도 1은 편광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적층체의 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간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the curing time of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curing time of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축척을 적절히 조정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 요소의 축척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ll drawings below, the scale of each component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scal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e scale of the actual component.

<편광판><Polarizer>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고, 하드 코트층은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면을 구성하며, 하드 코트층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는, 4.5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편광판(10)은, 편광자(11)와, 하드 코트층(12)을 구비한다. 편광판(10)은, 전술한 층 이외의 다른 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층으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필름, 접합층, 광학 기능층 및 프로텍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편광판(10)은, 편광자(11)와 하드 코트층(12)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을 더 구비하고 있다. 편광판은 직선 편광판이어도 좋고, 직선 편광판에 후술하는 위상차층이 적층된 원편광판이어도 좋다.The polarizing plate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olarizer and a hard coat layer, the hard coat layer constitutes at least one outermost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at a wavelength of 300 nm is 4.5 or less.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olarizing plate 10 shown in FIG. 1 includes a polarizer 11 and a hard coat layer 12. The polarizing plate 10 may further include layers other than the layers described above. Examples of other layers include thermoplastic resin films, bonding layers, optical function layers, and protective films. The polarizing plate 10 shown in FIG. 1 further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film 13 between the polarizer 11 and the hard coat layer 12.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linear polarizing plate, or may b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n which a retardation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aminated on a linear polarizing plate.

[편광자][Polarizer]

편광자(11)는,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라고도 칭한다.)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본 명세서에 있어서, 「PVA계 수지층」이라고도 칭한다.)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로서는, PVA계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이 PVA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나,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이 적층 필름의 도포층인 PVA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함으로써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The polarizer 11 is formed by adsorbing and orienting a dichroic dye to a layer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VA”)-based resin (in this specification, also referred to as “PVA-based resin layer”). A polarizer can be used. Such a polarizer is formed by using a PVA-based resin film, dyeing the PVA-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uniaxially stretching it, or a laminated film obtained by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PVA-based resin onto a base film. Examples include those formed by dyeing the PVA-based resin layer, which is the application layer of this laminated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편광자(11)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PVA계 수지로 형성된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에틸렌 등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The polarizer 11 is formed of PVA-based resin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s well as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for exampl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such as ethylene, vinyl ethers, and unsaturated sulfonic acids.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몰%∼100 몰%이다. PVA계 수지의 중합도로서는, 1000∼10000, 바람직하게는 1500∼5000이다. 이 PVA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이어도 좋다.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VA-based resin is preferably 85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0 mol%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99 mol% to 100 mol%.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based resin is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This PVA-based resin may be modified, and may be,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etc. modified with aldehydes.

편광자(11)의 두께는 5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 ㎛ 이상 4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8 ㎛ 이상 3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자(11)의 두께가 50 ㎛ 이하임으로써, 고온 환경 하에 있어서의 PVA계 수지의 폴리엔화가 광학 특성의 저하에 주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편광자(11)의 두께가 5 ㎛ 이상임으로써 원하는 광학 특성을 달성하기 쉬워진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1 is preferably 5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5 μm or more and 40 μ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8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1 is 50 μm or less, the influence of polyenization of the PVA-based resi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n the deterioration of optical properties can be reduced, and by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1 is 5 μm or more. It becomes easier to achieve desired optical properties.

편광자(11)의 함수율은, 온도 20℃ 상대 습도 20%의 평형 함수율 이상이고, 또한 온도 20℃ 상대 습도 48%의 평형 함수율 이하일 수 있다. 편광자(11)의 함수율은, 바람직하게는 온도 20℃ 상대 습도 30%의 평형 함수율 이상이고, 또한 온도 20℃ 상대 습도 45%의 평형 함수율 이하이다. 편광자(11)의 함수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20℃ 상대 습도 42%의 평형 함수율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도 20℃ 상대 습도 40%의 평형 함수율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온도 20℃ 상대 습도 38%의 평형 함수율 이하이다. 편광자(11)의 함수율이 온도 20℃ 상대 습도 20%의 평형 함수율을 하회하면, 편광자(11)의 핸들링성이 저하되어, 편광자(11)가 깨지기 쉬워진다. 편광자(11)의 함수율이 온도 20℃ 상대 습도 48%의 평형 함수율 이하임으로써, 고온 내구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편광자(11)의 상기 함수율은, 편광판 중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함수율이다.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er 1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quilibrium water content of 20% relative humidity at a temperature of 20°C, and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equilibrium water content of 48% of relative humidity at a temperature of 20°C.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er 11 is preferably equal to or higher than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at a temperature of 2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30%, and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at a temperature of 2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5%. 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er 11 is more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the equilibrium water content at a temperature of 2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2%, further preferabl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equilibrium water content of a temperature of 2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0%, and most preferably, the temperature is It is below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38% relative humidity at 20℃. If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er 11 is lower than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at a temperature of 2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20%, the handling properties of the polarizer 11 deteriorate and the polarizer 11 becomes fragile.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er 11 is below the equilibrium water content at a temperature of 2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8%, a laminate with excellent high-temperature durability can be provided. 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er 11 is 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er in the polarizing plate.

편광자(1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미리 롤형으로 감겨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송출하여 연신, 염색, 가교 등을 행하여 제작하는 방법(이하, 「제조 방법 1」이라고 한다.)이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여 도포층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하, 「제조 방법 2」라고 한다.)이 전형적이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manufactured by sending out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previously wound into a roll and performing stretching, dyeing, crosslinking,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ufacturing Method 1”). or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 base film to for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as an application layer and stretching the obtained lamin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ufacturing method 2”) ) is typical.

제조 방법 1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水洗)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Manufacturing method 1 is a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such as iodine, and adsorbing the dichroic dye, and form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the dichroic dye adsorbed. I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treating a 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a process of washing with water after treatment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욕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표면의 오물이나 블로킹제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팽윤욕은, 통상, 물, 증류수, 순수(純水) 등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체가 이용된다. 팽윤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계면활성제, 알코올 등이 적절히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The swelling process is a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immersed in a swelling bath, and dirt and blocking agents, etc. o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removed,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Swelling can suppress dyeing stains. The swelling bath usually uses a medium containing water as a main ingredient, such as water, distilled water, or pure water. A surfactant, alcohol, etc. may be appropriately added to the swelling bath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팽윤욕의 온도는, 1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팽윤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팽윤 정도가 팽윤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나, 5∼300초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초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100초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팽윤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is preferably 10 to 60°C, more preferably 15 to 45°C, and even more preferably 18 to 3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swelling bath can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but is preferably 5 to 300 seconds, and 10 to 200 seconds. It is more preferable, and it is further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 to 100 seconds. The swe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염색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염색욕(요오드 용액)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배향시킬 수 있다. 요오드 용액은, 통상, 요오드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오드 및 용해 조제로서 요오드화물을 함유한다. 또한, 요오드화물로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편광자 중의 칼륨의 함유율을 제어한다는 관점에서, 요오드화칼륨이 적합하다.The dyeing process is a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immersed in a dyeing bath (iodine solution), and dichroic substances such as iodine or dichroic dye can be adsorbed and oriented 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 The iodine solution is usually preferably an iodine aqueous solution and contains iodide as a dissolution aid. Additionally, examples of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and titanium iodide. Among these, potassium iodide is suitabl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olarizer.

염색욕 중, 요오드의 농도는, 0.01∼1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색욕 중,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0.01∼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3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iodine in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0.01 to 1%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02 to 0.5% by mass. The concentration of iodide in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0.01 to 10 mass%, more preferably 0.05 to 5 mass%, and even more preferably 0.1 to 3 mass%.

염색욕의 온도는, 1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염색 정도가 염색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나, 10∼300초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40초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색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10 to 50°C, more preferably 15 to 45°C, and even more preferably 18 to 3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dyeing bath can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the degree of dye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but is preferably 10 to 300 seconds, and 20 to 240 seconds. It is more desirable. The dye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가교 공정은, 염색 공정에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처리욕(가교욕)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며, 붕소 화합물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가교하여, 요오드 분자 또는 염료 분자가 상기 가교 구조에 흡착될 수 있다. 붕소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붕산, 붕산염, 붕사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욕은, 수용액이 일반적이지만, 예컨대 물과의 혼화성이 있는 유기 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이어도 좋다. 또한, 가교욕은, 편광자 중의 칼륨의 함유율을 제어한다는 관점에서,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process is a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dyed in the dyeing process is immersed in a treatment bath (cross-linking bath) containing a boron compou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cross-linked by the boron compound, and iodine is added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Molecules or dye molecules may be adsorbed to the cross-linked structure. Examples of boron compounds include boric acid, borate, and borax. The crosslinking bath is generally an aqueous solution, but may be, for example, a mixed solution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miscible with water. Additionally, the crosslinking bath preferably contains potassium iodid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olarizer.

가교욕 중,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1∼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욕에 요오드화칼륨을 사용하는 경우, 가교욕 중,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1∼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the boron compound in the crosslinking bath is preferably 1 to 15 mass%, more preferably 1.5 to 10 mass%, and more preferably 2 to 5 mass%. In addition, when potassium iodide is used in the cross-linking bath,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n the cross-linking bath is preferably 1 to 15% by mass, more preferably 1.5 to 10% by mass, and 2 to 5% by mass. It is more desirable.

가교욕의 온도는, 2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가교 정도가 가교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나, 5∼300초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초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is preferably 20 to 70°C, and more preferably 30 to 6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crosslinking bath can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but is preferably 5 to 300 seconds, and 10 to 200 seconds. It is more desirable. The crosslink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연신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하는 처리 공정이다.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반송 방향(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한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습윤 연신법과 건식 연신법의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다. 연신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되어도 좋다. 연신 공정은, 편광자의 제조에 있어서, 어느 단계에서 행해져도 좋다.The stretching process is a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stretch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Generally,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ither a wet stretching method or a dry stretching method can be employed. The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The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t any stage in the manufacture of the polarizer.

습윤 연신법에 있어서의 처리욕(연신욕)은, 통상, 물, 또는 물과의 혼화성이 있는 유기 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 등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연신욕은, 편광자 중의 칼륨의 함유율을 제어한다는 관점에서,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욕에 요오드화칼륨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연신욕 중,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1∼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6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욕(연신욕)에는, 연신 중의 필름 파단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붕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연신욕 중,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1∼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reatment bath (stretching bath) in the wet stretching method can usually use a solvent such as water or a mixed solution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miscible with water. The stretching bath preferably contains potassium iodid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olarizer. When potassium iodide is used in a stretching bath,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n the stretching bath is preferably 1 to 15% by mass, more preferably 2 to 10% by mass, and more preferably 3 to 6% by mass. desirable. In addition, the treatment bath (stretching bath) may contain a boron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film breakage during stretching.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of the boron compound in the stretching bath is preferably 1 to 15% by ma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5 to 10 mass %,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 to 5 mass %.

연신욕의 온도는, 25∼8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연신 정도가 연신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나, 10∼800초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0초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습윤 연신법에 있어서의 연신 처리는, 팽윤 공정,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세정 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과 함께 실시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stretching bath is preferably 25 to 80°C, more preferably 40 to 75°C, and even more preferably 50 to 7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stretching bath can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the stretching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stretching bath, but is preferably 10 to 800 seconds, and 30 to 500 seconds. It is more desirable. In addition, the stretching treatment in the wet stretching method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any one or more of the swelling process, dyeing process, crosslinking process, and washing process.

건식 연신법으로서는, 예컨대 롤간 연신 방법, 가열 롤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건식 연신법은, 건조 공정과 함께 실시해도 좋다.Examples of dry stretching methods include roll-to-roll stretching methods, heated roll stretching methods, and compression stretching methods. Additionally, the dry stretching method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drying proces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실시되는 총 연신 배율(누적의 연신 배율)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나, 2∼7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3∼6.8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5∼6.5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otal stretch ratio (cumulative stretch ratio) applied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set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purpose, but is preferably 2 to 7 times, more preferably 3 to 6.8 times, and 3.5 to 6.5 times. It is more desirable.

세정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욕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표면 등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세정욕은, 통상, 물, 증류수, 순수 등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체가 이용된다. 또한, 편광자 중의 칼륨의 함유율을 제어한다는 관점에서, 세정욕에 요오드화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세정욕 중,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1∼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3.8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washing process is a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immersed in a washing bath,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etc. can be removed. As a washing bath, a medium containing water as a main component, such as water, distilled water, or pure water, is usually used. Addit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olarizer, it is preferable to use potassium iodide in the washing bath.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n the washing bath is preferably 1 to 10% by mass, and 1.5 to 1.5% by ma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 mas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1.8-3.8 mass%.

세정욕의 온도는, 5∼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세정 정도가 세정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나, 1∼100초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초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20초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정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bath is preferably 5 to 50°C, more preferably 10 to 40°C, and even more preferably 15 to 3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washing bath can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the degree of clean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bath, but is preferably 1 to 100 seconds, and 2 to 50 seconds. More preferably, it is further preferably 3 to 20 seconds. The clea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건조 공정은, 세정 공정에서 세정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건조시켜 편광자를 얻는 공정이다. 건조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행해지고, 예컨대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를 들 수 있다.The drying process is a process of obtaining a polarizer by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ashed in the washing process. Drying is performed by any appropriate method, and examples include natural drying, blow drying, and heat drying.

제조 방법 2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일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편광자로 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기재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을 편광자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좋다.Manufacturing method 2 is a process of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to a base film, a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obtained laminated film, and adding a dichroic dye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uniaxially stretched laminated film. I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a step of adsorbing the dichroic dye to form a polarizer by dyeing, a step of treating the film to which the dichroic dye has been adsorbed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a step of washing with water after treatment with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The base film used to form a polarizer may be used as a protective layer of the polarizer. If necessary, the base film may be peeled and removed from the polarizer.

[하드 코트층][Hard coat layer]

하드 코트층(12)은, 편광판(10)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하드 코트층(12)은, 편광판(10)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면을 구성한다. 편광판이 2 이상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경우, 편광판(10)의 양측의 최외면을 구성하도록 하드 코트층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The hard coat layer 12 may have a function of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plate 10. The hard coat layer 12 constitutes at least one outermost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0. When the polarizing plate has two or more hard coat layers, the hard coat layers may be arranged so as to constitute the outermost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10.

하드 코트층(12)은,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4.5 이하이다. 본 발명자에 의한 연구 결과, 하드 코트층(12)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4.5 이하로 하면, 편광판과 투명 부재를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접착하여 적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드 코트층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4.5 이하로 하도록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함유량을 조절하여 이용하는 경우, 하드 코트층 중의 광중합 개시제가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닐기와 반응하기 어려워져, 경화 저해가 억제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The hard coat layer 12 has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300 nm. As a result of research by the present inventor, if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12 at a wavelength of 300 nm is 4.5 or less, even when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transparent member are bonded and laminated with an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ultraviolet rays are added. It has been discovered that a 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sufficiently cured. As described later, when the type and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hard coat layer forming compos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at a wavelength of 300 nm is 4.5 or les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hard coat layer is exposed to ultraviolet rays. It is presumed that this is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react with the vinyl group contained in the 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nd curing inhibition is easily suppressed.

하드 코트층(12)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는,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키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며,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하드 코트층(12)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는 통상, 0 초과이고, 예컨대 0.01 이상 또는 0.1 이상이어도 좋다.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12 at a wavelength of 300 nm is preferably 3.5 or less, more preferably 3.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y to shorten the curing time of the ultraviolet curing silicone adhesive, and even more preferably It is 2.5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0 or less,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5 or less, and even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0 or less.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12 at a wavelength of 300 nm is usually greater than 0, and may be, for example, 0.01 or more or 0.1 or more.

하드 코트층(12)의 흡광도를 4.5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이용하는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를 선택하는 방법,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을 조절하는 방법,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 및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Methods for adjusting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12 to 4.5 or less include, for example, a method of selecting the type of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a method of adjusting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Methods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and combinations thereof, etc. are included.

하드 코트층(12)은, 바람직하게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이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의 경화층으로 구성된다. 광경화형 수지로서는,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형 수지를 포함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컨대 라디칼 경화성 조성물 등이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형 수지에 더하여, 예컨대 중합 개시제, 첨가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 형광 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활제(滑劑),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The hard coat layer 12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ured layer of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Examples of the photocurable resin includ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contains a photocurable res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may be, for example, a radically curabl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may contain, for example, a polymerization initiator, additives, solvent, etc. in addition to the photocurable resin. Additives include, for example, plasticizers, ultraviolet absorbers, infrared absorbers, colorants such as pigments and dyes,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dispersants, heat stabilizers, ligh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tioxidants, lubricants, surfactants, etc. .

광경화형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실리케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옥세탄계 수지 등의 각종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 등이라고 할 때의 「(메트)」도 동일한 취지이다.Photocurable resins include polyester resins, (meth)acrylic resins, urethane resins, (meth)acrylic urethane resins, amide resins, silicone resins, silicate resins, epoxy resins, melamine resins, and oxetane resins. Various resins can be mentioned. These curable resin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ppropriately selected.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ic” means acrylic and/or methacrylic, and also includes “(meth)” when referring to “(meth)acrylate,” “(meth)acryloyl,” etc. It has the same purpose.

이들 중에서도, 경도가 높고, 자외선 경화가 가능하며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는, 자외선 경화형의 모노머, 올리고머, 폴리머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예컨대 자외선 중합성의 작용기를 갖는 것, 그 중에서도 상기 작용기를 2개 이상, 특히 3∼6개 갖는 아크릴계의 모노머나 올리고머를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서, 예컨대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mong these, (meth)acrylic resin, (meth)acrylic urethane resin, and epoxy resin are preferable because they have high hardness, can be cured with ultraviolet rays, and are excellent in productivity, and among them, (meth)acrylic resin is preferable. Ultraviolet curable resins include ultraviolet curable monomers, oligomers, polymers, etc. Preferably used ultraviolet curable resins include, for example, those having an ultraviolet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and those containing as a component an acrylic monomer or oligomer having two or more, especially three to six, functional groups. Such compounds include, for exampl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tri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EO modified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PO modified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EO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PO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methylolethane tri(meth)acrylate, ditrimethylol Propane tetr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meth) Acrylates, etc. can be mentioned.

그 중에서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Among them,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EO modified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PO modified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acrylate, EO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PO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meth)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meth) Acrylates are preferred.

이들은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2종류 이상이 포함되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se can be contain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dditionally, commercial products containing two or more types can also be used.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시판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주) 제조 NK 에스테르 A-DCP, DCP, A-TMPT, TMPT, ATM-35E, A-TMMT,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주) 제조 비스코트(등록 상표) #195, 비스코트(등록 상표) #300, 비스코트(등록 상표) #360, 다이셀·올넥스(주) 제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IRR 214-K, PETIA, PETRA, TMPTA, TMPEOTA, EBECRYL 135, OTA 480, EBERCRYL 40, 아라카와 가가쿠 고교(주) 제조 빔세트 710, 빔세트 730 등을 들 수 있다.(Meth)acrylic resins can be used commercially, such as NK ester A-DCP, DCP, A-TMPT, TMPT, ATM-35E, A-TMMT manufactured by Shinnakamura Chemical Industry Co., Ltd., Osaka Yuki Chemical Industry Co., Ltd. Viscot (registered trademark) #195, Viscot (registered trademark) #300, Viscot (registered trademark) #360 manufactured by Daicel and Allnex Co., Ltd., acrylate monomer IRR 214-K, PETIA, manufactured by Daicel and Allnex Co., Ltd. PETRA, TMPTA, TMPEOTA, EBECRYL 135, OTA 480, EBERCRYL 40, Beam Set 710 and Beam Set 730 manufactured by Arakawa Kagaku Kogyo Co., Ltd.

(메트)아크릴 수지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중, 1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meth)acrylic resin is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and 99%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0% by mass or more and 99% by mass or less, in the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편광판에, 방현성 및 번쩍임 방지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하드 코트층은 방현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현성 하드 코트층으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광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수지 중에, 미립자를 분산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매트릭스 수지 중에 분산시키는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칼슘,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의 각종 금속 산화물 미립자, 유리 미립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벤조구아나민, 멜라민,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각종 투명 폴리머를 포함하는 가교 또는 미가교의 유기계 미립자, 실리콘계 미립자 등의 투명성을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미립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매트릭스 수지보다 굴절률이 높은 미립자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스티렌 비드(굴절률 1.59) 등의 굴절률 1.5 이상의 유기계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다. 미립자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매트릭스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6∼20 질량부가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ovide the polarizing plate with anti-glare properties and anti-glare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 coat layer has anti-glare properties. Examples of the anti-glare hard coat layer include those in which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matrix resin containing the photocurable resin described above. The fine particles to be dispersed in the matrix resin include various metal oxide fine particles such as silica, alumina, titania, zirconia, calcium oxide, tin oxide, indium oxide, cadmium oxide, and antimony oxide, glass fine particle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styrene, and polyurethane. , crosslinked or uncrosslinked organic fine particles including various transparent polymers such as acrylic-styrene copolymer, benzoguanamine, melamine, polycarbonate, silicone fine particles, etc.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These fine particles can be us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Among them, fine particles with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matrix resin are preferable, and, for example, organic fine particles with a refractive index of 1.5 or higher, such as styrene beads (refractive index 1.59), are preferabl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1 to 10 μm, more preferably 2 to 5 μm. The proportion of fin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6 to 2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matrix resin.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 라디칼 경화성 조성물인 경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α-히드록시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아미노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분자내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키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α-히드록시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아미노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s a radically curable composition,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Examples of 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α-hydroxy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α-amino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acylphosphine ox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and intramolecular hydrogen abstraction 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Among them, an α-hydroxy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α-amino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ier to shorten the curing time of the ultraviolet curing silicone adhesive.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α-히드록시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Omnirad 2959, Omnirad 184, Omnirad 127D, Omnirad 1173(IGM Resins) 등을 들 수 있다. α-아미노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Omnirad 907, Omnirad 369E(IGM Resins)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α-hydroxyacetophenon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Omnirad 2959, Omnirad 184, Omnirad 127D, and Omnirad 1173 (IGM Resins).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α-aminoacetophenon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Omnirad 907, Omnirad 369E (IGM Resins), and the like.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광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예컨대 0.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여도 좋고,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키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 8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6 질량부 이하이다.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may be, for example, 0.1 part by mass or more and 15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hotocurable resin, an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ier to shorten the curing time of the ultraviolet curing silicone adhesive. Preferably it is 1 part by mass or more and 1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more and 8 parts by mas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3 parts by mass or more and 6 parts by mass or less.

하드 코트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층은, 편광자 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광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12)을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접합층을 통해 편광자(11)와 접합할 수 있다.The cured layer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can be form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n a polarizer or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curing it by light irradiatio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with the hard coat layer 12 can be bonded to the polarizer 11 through a bonding layer.

하드 코트층(12)의 두께는, 예컨대 10 ㎛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통상 0.5 ㎛ 이상이다.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12 may be, for example, 10 μm or less, and is preferably 8 μ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usually 0.5 μm or more.

[열가소성 수지 필름][Thermoplastic resin film]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은, 편광자(11)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의 기능을 갖고 하드 코트층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은, 접합층만을 통해 편광자 상에 적층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may function as a protective film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1 and as a base film that supports the hard coat layer.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can be laminated on the polarizer only through the bonding layer.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말레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말레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include a light-transmitting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chain polyolefin resin (polypropylene resin, etc.),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etc.) ),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cellulose and diacetylcellulos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meth)acrylic resin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and styrene-based resin; Acrylonitrile/styrene resin;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acetal resin; Modified polyphenylene ether-based resin; polysulfone-based resin; polyethersulfone-based resin; polyarylate-based resin; polyamideimide-based resin; polyimide resin; It may be a film made of maleimide resin or the like.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 film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sin, cyclic polyolefin resin, (meth)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and maleimide resin.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머 변성을 행하고 나서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 폴리머 변성으로서는, 예컨대 공중합, 가교, 분자 말단 변성, 입체 규칙성 제어, 및 이종(異種) 폴리머끼리의 반응을 수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혼합 등의 변성을 들 수 있다.These resin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In addition, these resins can also be used after performing any appropriate polymer modification. The polymer modification includes, for example, copolymerization, crosslinking, molecular terminal modification, stereoregularity control, and reaction between heterogeneous polymers. Modifications such as mixing containing .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및/또는 부티릴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의 유기산 에스테르 또는 혼합 유기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예컨대,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티르산에스테르,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The cellulose resin may be an organic acid ester or mixed organic acid ester of cellulos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hydrogen atoms in the hydroxyl group of cellulose are replaced with an acetyl group, a propionyl group, and/or a butyryl group. For example, those containing acetic acid ester of cellulose, propionic acid ester, butyric acid ester, mixed esters thereof, etc. Among them, triacetylcellulose, diacetyl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etc. are preferable.

이들 수지는,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첨가물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물로서, 예컨대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조핵제, 방담제(防曇劑), 안티 블로킹제, 위상차 저감제, 안정제, 가공 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무광택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은, 복수 종이 병용되어도 좋다.These resins may be blended with appropriate additives as long as transparency is not impaired. As additives, for example,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lubricants, nucleating agents, anti-fog agents, anti-blocking agents, retardation reducers, stabilizers, processing aids, plasticizers, impact-resistant aids, matting agents, antibacterial agents, molds. Preventative agents, etc. can be mentioned. Multiple types of these additives may be used together.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의 두께는 통상 1 ㎛ 이상 100 ㎛ 이하이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 ㎛ 이상 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5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is usually 1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but from the viewpoint of strength, handling, etc., it is preferably 5 μm or more and 6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0 μm or more and 55 μm or less, and 15 μm or m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μm or less.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은, 동시에 다른 광학적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고, 복수의 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 필름 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막 두께는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된다. 적절한 막 두께로서는, 5 ㎛ 이상 1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70 ㎛ 이하이다.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may have different optical functions at the same time, and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lamin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or thermoplastic resin film is thin from the viewpoint of optical properties, but if it is too thin, the strength will decrease and processability will be poor. An appropriate film thickness is 5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preferably 10 μm or more and 80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μm or more and 70 μm or less.

편광자(11)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 PVA 접착제 등의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경우에는 투습도의 관점에서 적어도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은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계 필름 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계 필름이 바람직하다.In the configuration having thermoplastic resin films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11, when bonding using a water-based adhesive such as PVA adhesive,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is a cellulose acylate-based film or (from the viewpoint of moisture permeability). Any of the meth)acrylic resin films is preferable, and among them, a cellulose acylate film is preferable.

편광자(11)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갖는 구성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종류는,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편광자(11)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갖는 경우, 하드 코트층이 편광판(10)의 양측의 최외면을 구성하도록 하드 코트층 부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배치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그 외면(편광자(11)와는 반대측의 면)에 대전 방지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것이다.In the case of a structure having thermoplastic resin films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11, the types of thermoplastic resin film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en the polarizer 11 has a thermoplastic resin film on both sides,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with a hard coat layer can be disposed so that the hard coat layer constitutes the outermost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polarizer 10.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 provided with a surface treatment layer (coating layer) such as an antistatic layer on its outer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er 11).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ncludes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으로서는, 시야각 보상 등의 목적으로 위상차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그 경우, 필름 자신이 위상차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위상차층을 따로 갖고 있어도 좋고, 양자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위상차 기능을 구비하는 필름은, 편광자(11)에 접합된 다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통해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에 의해 접합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may have a phase difference function for purposes such as viewing angle compensation. In that case, the film itself may have a phase difference function, it may have a separate phase difference layer, or it may be a combination of both. Additionally, the film with a retardation function may be configured to be bonded to the polarizer 11 by means of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via another thermoplastic resin film bonded to the polarizer 11.

[접합층][Bonding layer]

편광판(10)에 있어서, 각 층을 접합하기 위해서 접합층이 이용된다. 접합층으로서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편광판(10)은, 후술하는 화상 표시 셀과 접합시키기 위해서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polarizing plate 10, a bonding layer is used to bond each layer. Examples of the bonding layer include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The polarizing plate 10 can also be made into a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by laminating an adhesive layer to bond it to an image display cel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은, 예컨대 편광자(11)에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의 접합에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 용제계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수계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can be used for bond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to the polarizer 11, for example.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can be any suitable adhesive. The adhesive may be a water-based adhesive, a solvent-based adhesive, or a photocurable adhesive, bu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water-based adhesive.

접착제의 도포 시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경화 후 또는 가열(건조) 후에,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이 얻어지도록 설정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7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5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2 ㎛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1 ㎛ 이하이다.The thickness when applying the adhesive can be set to any appropriate value. For example, after curing or heating (drying), it is set so that an adhesive layer with a desired thickness is obtain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7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further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2 μm or less, and most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1 μm. It is as follows.

(수계 접착제)(Water-based adhesive)

수계 접착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계 접착제가 채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 접착제(PVA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수계 접착제에 포함되는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5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4500이다. 평균 비누화도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5 몰%∼100 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몰%∼100 몰%이다.As the water-based adhesive, any suitable water-based adhesive may be employed. Among them, 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PVA-based resin (PVA-based adhesive) is preferably use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based resin contained in the water-based adhesive is preferably 100 to 5,500, more preferably 1,000 to 4,500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the averag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preferably 85 mol% to 100 mol%, and more preferably 90 mol% to 100 mol%.

상기 수계 접착제에 포함되는 PVA계 수지로서는,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는, PVA계 수지층과 보호 필름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PVA계 수지는, 예컨대 PVA계 수지와 디케텐을 임의의 방법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PVA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대표적으로는 0.1 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몰%∼20 몰%이다.As the PVA-based resin contained in the water-based adhesive, one containing an acetoacetyl group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xcellent in adhesion between the PVA-based resin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and is excellent in durability. PVA-based resin containing an acetoacetyl group is obtained, for example, by reacting PVA-based resin and diketene by an arbitrary method. The acetoacetyl group modification degree of the acetoacetyl group-containing PVA-based resin is typically 0.1 mol% or more, and is preferably 0.1 mol% to 20 mol%.

상기 수계 접착제의 수지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The resin concentration of the water-based adhesive is preferably 0.1 mass% or more and 15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수계 접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공지된 가교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성 에폭시 화합물, 디알데히드,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A water-based adhesive may also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As a crosslinking agent, a known crosslinking agent can be used. Examples include water-soluble epoxy compounds, dialdehyde, and isocyanate.

PVA계 수지가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PVA계 수지인 경우에는, 가교제로서 글리옥살, 글리옥실산염, 메틸올멜라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글리옥살, 글리옥실산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글리옥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PVA-based resin is a PVA-based resin containing an acetoacetyl group,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any one of glyoxal, glyoxylate, and methylolmelamine, and is preferably any one of glyoxal and glyoxylat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it is oxalate.

수계 접착제는 유기 용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유기 용제는, 물과 혼화성을 갖는 점에서 알코올류가 바람직하고, 알코올류 중에서도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ater-based adhesives may contain organic solvents. The organic solvent is preferably alcohol because it is miscible with water, and among alcohols, methanol or ethanol is more preferable.

수계 접착제의 메탄올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이다. 메탄올의 농도가 10 질량% 이상임으로써, 고온 환경 하에서의 폴리엔화를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메탄올의 함유율이 70 질량% 이하임으로써, 색상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methanol concentration of the water-based adhesive is preferably 10 mass% or more and 7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5 mass% or more and 60 mas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0 mass% or more and 60 mass% or less. When the concentration of methanol is 10% by mass or more, it becomes easier to suppress polyenizatio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dditionally, when the methanol content is 70% by mass or less, color deterioration can be suppressed.

(광경화형 접착제)(Light-curing adhesive)

광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 등을 광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고, 예컨대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 및 이들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과 같은 활성 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A photocurable adhesive is an adhesive that i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r the like,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dhesive containing a polymerizable compound and a photopolymerizable initiator, an adhesive containing a photoreactive resin, an adhesive containing a binder resin and a photoreactive crosslinking agent, etc. You can.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compound include photo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photocurable epoxy monomers, photocurable acrylic monomers, and photocurable urethane monomers, and oligomers derived from these monomers.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compounds containing a substance that generates active species such as neutral radicals, anion radicals, and cation radicals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r the like.

(점착제층)(Adhesive layer)

점착제층은, 예컨대 후술하는 위상차 필름의 접합에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광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3 ㎛ 이상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25 ㎛ 이하이다.The adhesive layer can be used, for example, for bonding the retardation film described later. The adhesive layer can be compos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s a main component a resin such as (meth)acrylic resin, rubber-based resin, urethane-based resin, ester-based resin, silicone-based resin, and polyvinyl ether-based resin. Among them,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etc. as a base polymer is suitabl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of a photocuring type or a thermosetting typ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usually 3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and is preferably 3 μm or more and 25 μm or less.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acrylic resin (base polymer) us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 (meth)acrylic acid such as but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meth)acrylate. A polymer or copolymer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types of ester as a monomer is suitably used. It is preferable to copolymerize a polar monomer with the base polymer. Polar monomers include, for example, (meth)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acrylamide,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glycidyl.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hydroxyl group, amide group, amino group, epoxy group, etc., such as (meth)acrylate, can be mentioned.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으나,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only the base polymer, but usually further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metal ions of divalence or higher, which form a metal carboxylic acid salt between carboxyl groups; A polyamine compound that forms an amide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A polyepoxy compound or polyol that forms an ester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As a polyisocyanate compound, one that forms an amide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is exemplified. Among them, polyisocyanate compounds are preferable.

점착제층의 두께는, 1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 ㎛ 이상 1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 ㎛ 이상 8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 이상 5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 μm or more and 80 μm or less, and especially preferably 3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광학 기능층][Optical functional layer]

광학 기능층은 예컨대 위상차층일 수 있다. 위상차층으로서는, 예컨대 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포지티브 A 플레이트)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은, 배향층 및 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액정층, 배향층 및 기재를 각각 2 이상 갖고 있어도 좋다. 편광판이 편광 소자와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필름을 갖는 경우, 편광판은 원편광판일 수 있다.The optical functional layer may be, for example, a phase contrast layer. Example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include a layer that provides a phase difference of λ/2, a layer that provides a phase difference of λ/4 (positive A plate), and a positive C plate. The optical function layer may contain an alignment layer and a base material, and may have two or more liquid crystal layers, an orientation layer, and a base material. When the polarizing plate has a polarizing element and a film that provides a phase difference of λ/4,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이 위상차층을 겸할 수도 있으나, 이들 필름과는 별도로 위상차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위상차층은,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에 적층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may also serve as a retardation layer, but the retardation layer may be laminated separately from these films. In the latter case, the retardation layer can be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위상차층으로서는,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는 복굴절성 필름,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상기한 액정층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고, 열가소성 수지의 일례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이다.Examples of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 a birefringent film composed of a stretched film of a translucent thermoplastic resin, the above-described liquid crystal layer formed on a base film, and the like. The base film is usually a film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example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a cellulose ester-based resin such as triacetylcellulose.

다른 광학 기능층의 예는, 집광판, 휘도 향상 필름, 반사층(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층(반투과 반사 필름), 광확산층(광확산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이다.Examples of other optical functional layers include a light collecting plate, a brightness enhancing film, a reflective layer (reflective film), a transflective reflective layer (transflective reflective film), a light diffusion layer (light diffusion film), and an anti-reflective film.

[프로텍트 필름][Protect Film]

편광판(10)은, 그 표면(전형적으로는, 편광자, 하드 코트층 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트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프로텍트 필름 부착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 부재에 편광판(10)이 접합된 후,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과 함께 박리 제거된다.The polarizing plate 10 can be made into a polarizing plate with a protection film by laminating a protection film to protect its surface (typically the surface of a polarizer, a hard coat layer, or a thermoplastic resin film). For example, after the polarizing plate 10 is bonded to an image display element or another optical member,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and removed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it has.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전술한 기술이 인용된다.The protective film is comprised, for example, of a base film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thereon. For the adhesive layer,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is cited.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Resins constituting the base film include, for example, polyethylene-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based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It may be a thermoplastic resin of polycarbonate-based resin. Preferably, it is a polyest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프로텍트 필름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가 20 ㎛ 이상이면, 편광판(10)에 강도가 부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µm or more and 200 µ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20 μm or more, strength tends to be easily imparted to the polarizing plate 10.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편광판(10)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하드 코트층(12)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13) 상에 형성하고, 계속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의 하드 코트층(12)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편광자(11)를 접합층을 통해 접합하여 편광판을 얻는 방법일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10 is, for example, forming the hard coat layer 12 o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and then forming the hard coat layer 12 on the si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13 opposite to the hard coat layer 12 side. This may be a method of obtaining a polarizing plate by bonding the polarizer 11 through a bonding layer.

<적층체><Laminate>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는, 전술한 편광판(10)과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하드 코트층(12)과 투명 부재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적층체(20)는, 편광판(10)과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21)과 투명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The laminat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olarizing plate 10 and a transparent member, and the hard coat layer 12 and the transparent member are laminated through an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layer. Referring to FIG. 2, the laminat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laminate 20 shown in FIG. 2 includes a polarizing plate 10,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21, and a transparent member 22.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UV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21)은, 편광판(10)과 투명 부재(22)를 접착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21)은, 투광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21 may have the function of adhering the polarizing plate 10 and the transparent member 22.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21 may have light transparency and is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21)의 두께는, 예컨대 10 ㎛ 이상 1000 ㎛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8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7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600 ㎛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21 may be,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1000 μm or less, preferably 15 μm or more and 8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0 μm or more and 700 μ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5 μm. It is less than or equal to 600 ㎛.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21)은,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자외선의 조사 직후에는 경화하지 않고, 자외선을 조사하고 나서 서서히 경화 반응이 개시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나서 경화하기까지의 사이에 부재끼리의 접합이나 고정이 행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자외선 부가 경화형의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전에 투광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경화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경화 전에 무색 투명성을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화 전 및 경화 후에 무색 투명성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layer 21 can be formed from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does not harden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but the curing reaction begins gradually after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so joining or fixing the members between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and until curing is performed. It tends to get easier. The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light transparency before curing, and from the viewpoint of curing properties, it preferably has colorless transparency before curing, and more preferably has colorless transparency before and after curing.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간은, 예컨대 대기 분위기 하에 온도 20℃ 이상 80℃ 이하에 있어서 1분 이상 24시간 이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의 경화 시간이란,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반응을 개시시킨 후, 경화시키면서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저장 전단 탄성률과 손실 전단 탄성률이 동일해지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도 3을 참조하면서 경화 시간에 대해 설명하면, G'는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고, G''는 손실 탄성률을 나타낼 때, 동적 점탄성 측정의 개시 시점(A)으로부터, G'와 G''가 동일해지는 시점(겔화점(31))(B)까지의 사이의 시간이 경화 시간이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하고 나서 동적 점탄성 측정의 개시까지의 시간은 통상 5분이다.The curing time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1 minute or more and 24 hours or less under an air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20°C or higher and 80°C or lower. In this specification, the curing time of the ultraviolet curable silicone adhesive refers to irradiating the ultraviolet curable silicone adhesive with ultraviolet rays to initiate a curing reaction, performing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while curing, and measuring the storage shear modulus and This refers to the time it takes for the loss shear modulus to become the same. When explaining the curing time with reference to FIG. 3, when G' represents the storage modulus and G'' represents the loss modulus, from the start point (A) of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G' and G'' become the same. The time between the starting point (gelation point (31)) (B) is the curing time. Additionally, the time from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to the start of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is usually 5 minutes.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예컨대 알케닐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와, H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와, 광활성화 촉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좋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알케닐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와 H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가 히드로실릴화 반응함으로써 경화할 수 있다.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a composition containing a silicone polymer having an alkenyl group, a silicone polymer having an H group, and a photoactivation catalyst. It can be cured through a hydrosilylation reaction.

알케닐기로서는 탄소 원자수 2∼10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6이다. 구체적으로는, 비닐기, 알릴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이 예시되고, 특히, 비닐기가 바람직하다.The alkenyl group preferably has 2 to 1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2 to 6 carbon atoms. Specifically, vinyl group, allyl group, butenyl group, pentenyl group, hexenyl group, etc. are exemplified, and vinyl group is especially preferable.

알케닐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는, 알케닐기에 더하여 1가 포화 탄화수소기 및 아릴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갖고 있어도 좋다.The silicone polymer having an alkenyl group may have at least one of a monovalent saturated hydrocarbon group and an aryl group in addition to the alkenyl group.

1가 포화 탄화수소기로서는, 탄소 원자수 1∼12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이다. 구체적으로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클로로메틸기, 3-클로로프로필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등의 할로겐화 알킬기 등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포화 탄화수소기가 예시되며, 그 중에서도 내열성의 면에서 메틸기가 바람직하다.The monovalent saturated hydrocarbon group preferably has 1 to 12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6 carbon atoms. Specifically, it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and may be methyl group, ethyl group, n-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butyl group, sec-butyl group, tert-butyl group, n-pentyl group,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s such as n-hexyl group and n-heptyl group; Cycloalkyl groups such as cyclohexyl groups; Examples includ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monovalent saturated hydrocarbon groups such as halogenated alkyl groups such as chloromethyl group, 3-chloropropyl group, and 3,3,3-trifluoropropyl group, and among them, methyl group is preferable in terms of heat resistance.

아릴기로서는, 탄소 원자수 6∼20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10이다.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톨릴기, 크실릴기, 메시틸기 등이나, 클로로페닐기 등의 할로겐 치환 아릴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페닐기이다.The aryl group preferably has 6 to 2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6 to 10 carbon atoms. Specifically, examples include phenyl group, naphthyl group, tolyl group, xylyl group, mesityl group, and halogen-substituted aryl groups such as chlorophenyl group, and phenyl group is preferred.

H기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히드로실릴기(Si-H기) 중의 H기]여도 좋다. H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는,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제외한 치환 또는 비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제외한 치환 또는 비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탄소 원자수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어도 좋다. 1가 탄화수소기로서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 부틸기, tert-부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등의 지방족 포화 1가 탄화수소기; 페닐기, 톨릴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닐에틸기 등의 아랄킬기 등의 방향족 또는 방향족기 함유 1가 탄화수소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등의 할로겐 치환 1가 탄화수소기, 시아노에틸기 등의 시아노 치환 1가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메틸기가 바람직하다.The H group may be a hydrogen atom bonded to a silicon atom (H group in a hydrosilyl group (Si-H group)). The silicone polymer having an H group may have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onovalent hydrocarbon group excluding an 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Th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onovalent hydrocarbon group excluding the 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may have, for example, 1 to 2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10 carbon atoms. The monovalent hydrocarbon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Specific examples include methyl group, ethyl group, n-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butyl group, sec-butyl group, tert-butyl group, aliphatic saturated monovalent hydrocarbon groups such as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s such as n-hexyl group, and cycloalkyl groups such as cyclohexyl group; Aryl groups such as phenyl group and tolyl group; Aromatic or aromatic group-containing monovalent hydrocarbon groups such as aralkyl groups such as benzyl group and phenylethyl group; Examples include halogen-substituted monovalent hydrocarbon groups such as 3,3,3-trifluoropropyl group, and cyano-substituted monovalent hydrocarbon groups such as cyanoethyl group, and among these, methyl group is preferable.

H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는, 예컨대 알케닐기에 대한 히드로실릴기의 몰비가, 히드로실릴기/알케닐기=0.5∼2가 되는 양이 바람직하고, 특히는 1∼1.2가 되는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조성물의 경화성 및 얻어지는 경화물의 경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다.The silicone polymer having an H group is preferably blend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molar ratio of hydrosilyl group to alkenyl group is, for example, hydrosilyl group/alkenyl group = 0.5 to 2, and especially is preferably blended in an amount such that it is 1 to 1.2. . Within this range, the curability of the composition and the hardness of the resulting cured product tend to be excellent.

광활성화 촉매로서는, 파장 200∼500 ㎚의 광으로 활성화되는 백금족 금속 촉매(이하, 간략화를 위해서 백금족 금속 촉매라고도 함) 등을 들 수 있다. 백금족 금속 촉매는, 차광 하에서 불활성이고, 또한 파장 200∼500 ㎚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실온에서 활성인 백금족 금속 촉매로 변화하는 촉매이다. 백금족 금속 촉매는, 알케닐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 중의 알케닐기와, H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의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촉매이다.Examples of the photoactivated catalyst include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for simplicity) that are activated by light with a wavelength of 200 to 500 nm. A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 is a catalyst that is inactive under light blocking and changes into an active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 at room temperature by irradiat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200 to 500 nm. The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 is a catalyst for promoting the hydrosilylation reaction between an alkenyl group in a silicone polymer having an alkenyl group and a hydrogen atom bonded to a silicon atom in a silicone polymer having an H group.

백금족 금속 촉매의 구체예로서, (η5-시클로펜타디에닐) 3지방족 백금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펜타디에닐트리메틸백금, 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트리메틸백금 및 이들 시클로펜타디에닐기가 수식된 유도체이다. 비스(β-디케토나토) 백금 화합물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아세틸아세토나토) 백금 화합물, 및 그 아세틸아세토나토기가 수식된 유도체이다.Specific examples of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include (η5-cyclopentadienyl)trialiphatic platinum compounds and derivatives thereof. Among them, cyclopentadienyltrimethylplatinum, methylcyclopentadienyltrimethylplatinum and derivatives modified with these cyclopentadienyl groups are preferred. Bis(β-diketonato)platinum compounds can also be used, and preferably bis(acetylacetonato)platinum compounds and derivatives thereof modified with an acetylacetonato group.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 중의 백금족 금속 촉매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경화(히드로실릴화 반응)를 촉진하는 양이면 한정되지 않고, 알케닐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와 H기를 갖는 실리콘 폴리머의 질량의 합계에 대해, 조성물 중의 백금족 금속 원자가 질량 환산으로 예컨대 0.01 ppm 이상 500 ppm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0.05∼1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0 ppm이다.The amount of the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 in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n amount that promotes curing (hydrosilylation reaction) of the composition, and is about the total mass of the silicone polymer having an alkenyl group and the silicone polymer having an H group. In terms of mass, the platinum group metal atoms in th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0.01 ppm or more and 500 ppm or less, preferably 0.05 to 100 ppm, and more preferably 0.01 to 50 ppm.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 조제, 반응 제어제, 흄드 실리카 등의 틱소성 제어제; 결정성 실리카 등의 보강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등의 내열 향상제; 산화티탄 등의 착색제; 알루미나, 결정성 실리카 등의 열전도성 부여 충전제; 반응성 작용기를 갖지 않는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 등의 점도 조정제; 은, 금 등의 금속분 등의 도전성 부여제; 착색을 위한 안료, 염료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n adhesion aid, a reaction control agent, and a thixotropic control agent such as fumed silica; reinforcing agents such as crystalline silica; Antioxidants; light stabilizer; Heat resistance improvers such as metal oxides and metal hydroxides; Colorants such as titanium oxide; Fillers for imparting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a and crystalline silica; Viscosity modifiers such as non-reactive silicone oil without a reactive functional group; Conductivity imparting agents such as metal powders such as silver and gold; It may further contain pigments, dyes, etc. for coloring.

접착 조제로서는, 1분자 중에 (메트)아크릴기, 카르보닐기, 에폭시기, 알콕시실릴기 및 아미드기로 이루어지는 작용기 군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를 포함하는 접착 조제의 구체예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상품명: KBM-403,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상품명: KBM-503,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이들의 가수 분해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용기 군 중 적어도 1종 및 오르가노실록산 골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dhesion aid includ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group consisting of a (meth)acrylic group, a carbonyl group, an epoxy group, an alkoxysilyl group, and an amide group in one molecule. Specific examples of adhesive aids containing an alkoxysilyl group include γ-(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product name: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product name: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Methoxysilane (brand name: KBM-5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hydrolyzed condensates thereof, and the like. In addition, specific examples of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functional group groups and an organosiloxane skeleton include thos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화학식 1][Formula 1]

(식 중, Me는 메틸기를 의미한다.)(In the formula, Me refers to a methyl group.)

또한, 오르가노실록산 골격을 포함하지 않는 접착 조제의 구체예로서는,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비닐시클로헥센모노옥사이드, 2-알릴말론산디에틸, 벤조산알릴, 프탈산디알릴, 피로멜리트산테트라알릴에스테르,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examples of adhesion aids that do not contain an organosiloxane skeleton include allyl glycidyl ether, vinylcyclohexene monooxide, diethyl 2-allyl malonate, allyl benzoate, diallyl phthalate, tetraallyl pyromellitate, and tri-allyl ester. Allyl isocyanurate, etc. can be mentioned.

반응 제어제의 구체예로서는, 3-메틸-1-부틴-3-올, 3-메틸-1-펜틴-3-올, 3,5-디메틸-1-헥신-3-올, 1-에티닐시클로헥산올, 에티닐메틸데실카르비놀, 3-메틸-3-트리메틸실록시-1-부틴, 3-메틸-3-트리메틸실록시-1-펜틴, 3,5-디메틸-3-트리메틸실록시-1-헥신, 1-에티닐-1-트리메틸실록시시클로헥산, 비스(2,2-디메틸-3-부티녹시)디메틸실란,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1,3,3-테트라메틸-1,3-디비닐디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에티닐시클로헥산올, 에티닐메틸데실카르비놀, 3-메틸-1-부틴-3-올 등이다.Specific examples of reaction control agents include 3-methyl-1-butyn-3-ol, 3-methyl-1-pentyn-3-ol, 3,5-dimethyl-1-hexyn-3-ol, and 1-ethynylcyclo. Hexanol, ethynylmethyldecylcarbinol, 3-methyl-3-trimethylsiloxy-1-butyne, 3-methyl-3-trimethylsiloxy-1-pentyne, 3,5-dimethyl-3-trimethylsiloxy- 1-hexyne, 1-ethynyl-1-trimethylsiloxycyclohexane, bis(2,2-dimethyl-3-butynoxy)dimethylsilane, 1,3,5,7-tetramethyl-1,3,5 , 7-tetravinylcyclotetrasiloxane, 1,1,3,3-tetramethyl-1,3-divinyldisiloxane, etc., preferably 1-ethynylcyclohexanol and ethynylmethyldecylcar. Binol, 3-methyl-1-butyn-3-ol, etc.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559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20-11765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KER-4550, KER-4410, KER-4510, KER-4690-A/B, KER-4691-A/B(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As an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hos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20-055945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20-117654 can be used. Additionally, a commercially available ultraviolet addition 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used.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s include KER-4550, KER-4410, KER-4510, KER-4690-A/B, KER-4691-A/B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etc. I can hear it.

[투명 부재][Transparent member]

투명 부재(22)로서는, 전면판(윈도우층)이나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전면판으로서는, 적절한 기계 강도 및 두께를 갖는 전면판이 이용된다. 이러한 전면판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같은 투명 수지판, 혹은 유리판 등을 들 수 있다. 전면판의 시인측에는 반사 방지층 등의 기능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전면판이 투명 수지판인 경우에는, 물리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하드 코트층이나, 투습도를 낮추기 위해서 저투습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상관없다.Examples of the transparent member 22 include a front plate (window layer) and a touch panel. As the front plate, a front plate with appropriate mechanical strength and thickness is used. Examples of such a front plate include a transparent resin plate such as polyimide resin, acrylic resin, or polycarbonate resin, or a glass plate. A functional layer such as an anti-reflection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front plate. Additionally, when the front plate is a transparent resin plate, a hard coat layer may be laminated to increase physical strength or a low moisture permeability layer may be laminated to reduce moisture permeability.

터치 패널로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의 각종 터치 패널이나, 터치 센서 기능을 구비하는 유리판이나 투명 수지판 등이 이용된다. 투명 부재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이용되는 경우, 터치 패널보다 더욱 시인측에, 유리나 투명 수지판을 포함하는 전면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touch panel, various touch panels such as resistive type, capacitive type, optical type, and ultrasonic type, as well as glass plates and transparent resin plates with a touch sensor function, are used. When a capacitive touch panel is used as a transparen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plate made of glass or a transparent resin plate be installed closer to the viewing side than the touch panel.

[적층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도포 공정, 자외선 조사 공정, 경화 공정, 접합 공정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정은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 an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a curing process, and a bonding process, and each process can use, for example, the method shown below.

(A) 도포 공정(A) Application process

도포 공정에서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한쪽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슬릿 코트를 이용한 도포나, DAM-Fill법, 피쉬본법 등에 의한 수법을 들 수 있다. DAM-Fill법은, 경화 전의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퍼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화상 표시 패널 상의 주연부(周緣部)를 둘러싸도록 댐재가 설치되고, 댐재 상에 투명 부재를 배치하여,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주입하는 방법일 수 있다.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주입 후에는, 필요에 따라 위치 맞춤 및 탈포가 행해진 후, 자외선이 조사되어 경화가 행해진다.In the application process, the ultraviolet addition 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applied to one substrate. The applic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include application using a slit coat, DAM-Fill method, fishbone method, etc. In the DAM-Fill metho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from spreading before curing, a dam material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image display panel, a transparent member is placed on the dam material, and ultraviolet rays are added. This may be a method of injecting a 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fter injection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lignment and defoaming are performed as necessary, and then curing is perform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기재에의 도포량은, 경화 후,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의 두께가, 예컨대 10 ㎛ 이상 1000 ㎛ 이하가 되는 양일 수 있다.The amount of application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o the substrate may be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after curing is,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1000 μm or less.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접합면에, 프라이머 처리, 플라즈마 처리, 엑시머광 처리 등의 주지의 전처리 공정에 의해 활성화해도 좋다.Before applying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the joint surface may be activated by a known pretreatment process such as primer treatment, plasma treatment, or excimer light treatment.

(B) 자외선 조사 공정(B)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자외선 조사 공정에서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방법으로서는, 자외 광원으로서 365 ㎚ UV-LED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사용하여, 적량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I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ultraviolet rays can be irradiated to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Examples of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method include a method of irradia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ultraviolet rays using a 365 nm UV-LED lamp, metal halide lamp, etc. as an ultraviolet light source.

자외선 조사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200∼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80 ㎚의 광이 사용된다. 이때, 경화 속도와 변색 방지의 관점에서, 조사 온도는 20∼80℃가 바람직하고, 조사 강도는 30∼2000 ㎽/㎠가 바람직하며, 조사 선량은 150∼10000 mJ/㎠가 바람직하다.For ultraviolet irradiation, light with a wavelength of preferably 200 to 500 nm, more preferably 200 to 380 nm, is used. At this time, from the viewpoint of curing speed and discoloration prevention, the irradia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20 to 80°C, the irradiation intensity is preferably 30 to 2000 mW/cm2, and the irradiation dose is preferably 150 to 10000 mJ/cm2.

(C) 경화 공정(C) Curing process

경화 공정에서는, 자외선 조사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 방법으로서는, 자외선 조사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환경 하에 정치(靜置)하여 경화시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수법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대기 분위기 하에, 20∼80℃에서 1분간 내지 1일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uring process,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can be cured. Examples of the curing method include a method of curing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by leaving it still in a predetermined environment to form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The curing temperature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cured at 20 to 80° C. for 1 minute to 1 day in an air atmosphere.

(D) 접합 공정(D) Bonding process

접합 공정에서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 위에 다른쪽의 기재를 적층하여, 2장의 기재를 접착제 조성물 또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시킨 적층체를 형성한다. 접합 방법으로서는, 도포 공정, 자외선 조사 공정 및 경화 공정을 거쳐, 액상 내지 반고체상이 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기재 적층물이나, 도포 공정 후의 접착제 조성물, 혹은 도포 공정 및 자외선 조사 공정 후의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기재 적층물을, 진공 또는 대기압 접합 장치에 설치하고, 다른 한쪽의 기재를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 위에 적층하여 접합시키며,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나머지 공정을 행하여 경화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수법 등을 들 수 있다.In the bonding process, the other substrate is laminated on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or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to form a laminate in which the two substrates are joined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or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As a bonding method,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based laminate that has gone through a coating process, an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and a curing process into a liquid or semi-solid state, an adhesive composition after an application process, or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fter an application process and an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Th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substrate laminate is placed in a vacuum or atmospheric pressure bonding device, and the other substrate is laminated and bonded on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or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in the case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Examples include a method of performing the remaining processes and curing to form a laminate.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받지 않는 점, 및 자외선을 조사시키고 나서의 경화 시간을 접착제 조성물의 설계나 가열 온도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점에서, 플랫 디스플레이나 곡면 디스플레이 등, 제조하는 디바이스의 구조에 맞춰 도포 공정, 자외선 조사 공정, 경화 공정, 및 접합 공정의 순서를 자유롭게 선택·변경할 수 있다.The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inhibited by curing by oxygen and the curing time after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or the heating temperature, so it can be used in flat displays, curved displays, etc. The order of the coating process,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curing process, and bonding process can be freely select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evice being manufactured.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전술한 편광판과 전면판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구체예로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편광판의 하드 코트층 상에 도포한다. 그 후, 강도의 극대가 파장 365 ㎚ 부근인 UV-LED 램프를 이용하여, 365 ㎚ 광을 지표로 하여 조사 강도 30∼2000 ㎽/㎠(예컨대, 100 ㎽/㎠) 및 선량 150∼10000 mJ/㎠(예컨대, 3000 mJ/㎠)가 되도록,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20∼80℃(예컨대, 23℃)에서 1초간∼1시간(예컨대, 30초간) 자외선을 조사한다. 계속해서, 20∼80℃(예컨대, 23℃)의 환경에서 1분간∼1일간(예컨대, 30분간) 정치하여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그 후, 진공 접합 장치를 이용하여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 위에 전면판을 적층함으로써, 편광판과 전면판을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시킨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 공정 후, 앞서 진공 접합 장치를 이용하여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 위에 전면판을 적층함으로써, 편광판과 전면판을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시키고, 계속해서 20∼100℃(예컨대, 60℃)의 환경에서 1분간∼1일간(예컨대, 30분간) 정치하여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도 좋다. 전면판이 투명한 경우, 도포 공정 후, 진공 접합을 행하고, 계속해서 전면판 너머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경화시켜도 좋다. 또한, 미리 자외선 조사를 행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화상 표시 패널에 도포하고, 커버 패널과 진공 접합시키고, 경화시켜도 좋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will be explained by tak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olarizing plate and the front plate as a specific example. First,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on the hard coat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wards, using a UV-LED lamp whose maximum intensity is around a wavelength of 365 nm, an irradiation intensity of 30 to 2,000 mW/cm2 (e.g., 100 mW/cm2) and a dose of 150 to 10,000 mJ/ are applied, using 365 nm light as an indicator.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t 20 to 80°C (e.g., 23°C) for 1 second to 1 hour (e.g., 30 seconds) to obtain a concentration of cm2 (e.g., 3000 mJ/cm2). Subsequently,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is cured by leaving it in an environment of 20 to 80°C (e.g., 23°C) for 1 minute to 1 day (e.g., 30 minutes) to form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Thereafter, by laminating the front plate on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using a vacuum bonding device, a laminate in which the polarizer and the front plate are bonded through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can be obtained. In addition, after the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the front plate is laminated on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using a vacuum bonding device, thereby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front plate through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nd continuing at 20 to 100°C ( For example,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ured by leaving it in an environment at 60°C for 1 minute to 1 day (eg, 30 minutes). When the front plate is transparent, vacuum bonding may be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process, and then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over the front plate for curing. Alternatively,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previously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may be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panel, vacuum bonded to the cover panel, and cured.

[적층체의 용도][Use of laminate]

적층체(20)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화상 표시 셀과,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 표면에 적층된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의 시인측 표면에 적층된 편광판을 갖는 구성이 예시된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는, 편광판의 시인측 표면에 적층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과,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의 표면에 적층된 투명 부재를 더 가져도 좋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투명 부재가 배치되고, 편광판과 화상 표시 셀이 점착제층에 의해 접합되며, 편광판과 투명 부재가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에 의해 접합된 층간 충전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편광판과 화상 표시 셀의 접합에 이용되는 부재로서는, 점착제층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접착제층이어도 좋다.The laminate 20 is used in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s.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 device is a configuration having an image display cell,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viewer-side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cell, and a polarizing plate laminated on the viewer-sid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This imag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viewing sid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 transparent member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In particular, in the lamin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ransparent member is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image display cell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transparent member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n ultraviolet addition curing type silicone adhesive layer. It is suitably us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rlayer fill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member used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image display cell is not limited to the adhesive layer, and may be an adhesive layer.

[화상 표시 셀][Image display cell]

화상 표시 셀로서는, 액정 셀이나 유기 EL 셀을 들 수 있다. 액정 셀로서는,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 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하는 투과형 액정 셀, 외부로부터의 광과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양자를 이용하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 셀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 액정 셀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하는 것인 경우,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액정 셀)의 시인측과 반대측에도 편광판이 배치되고, 또한 광원이 배치된다. 광원측의 편광판과 액정 셀은, 적절한 점착제층을 통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셀의 구동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VA 모드, IPS 모드, TN 모드, STN 모드나 벤드 배향(π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Examples of image display cells include liquid crystal cells and organic EL cells. As the liquid crystal cell, any of a reflective liquid crystal cell using external light,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cell 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such as a backlight, or a transflective semi-reflective liquid crystal cell using both light from the outside and light from the light source may be used. When the liquid crystal cell uses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viewing side of the image display cell (liquid crystal cell), and a light source is also dispo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are bonded through an appropriate adhesive layer. As a driving method for the liquid crystal cell, for example, any type such as VA mode, IPS mode, TN mode, STN mode, or bend orientation (π type) can be used.

유기 EL 셀로서는, 투명 기판 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발광체(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발광체)를 형성한 것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유기 발광층은, 여러 가지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고, 예컨대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의 유기 고체를 포함하는 발광층의 적층체나, 이들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혹은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여러 가지 층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As an organic EL cell, one in which a transparent electrode,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a metal electrode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o form a light emitte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light emitter) is suitably used.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a laminate of various organic thin films, for example, a laminate of a hole injection layer containing a triphenylamine derivative, etc., and a light-emitting layer containing a fluorescent organic solid such as anthracene, or a laminate of these light-emitting layers and a perylene derivative, etc. Various layer configurations may be employed, such as a laminate of an electron injection layer including a hole injection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화상 표시 셀과 편광판의 접합][Conjugation of image display cell and polarizer]

화상 표시 셀과 편광판의 접합에는, 점착제층(점착 시트)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전술한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화상 표시 셀과 접합시키는 방법이,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 용제 희석액을 화상 표시 셀 상에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편광판과 접합할 수도 있다.An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is suitably used to bond an image display cell and a polarizing plate. Among them, the method of bonding the above-described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to an image display cell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and the like. An organic solvent dilu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 an image display cell to form an adhesive layer, which may then be bonded to a polarizing plat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시약, 물질량과 그 비율, 조작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examples. Materials, reagents, amounts of substances, ratios, operations, etc. shown in the examples below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they do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 and “part” in the examples are mass% and mass par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간의 측정][Measurement of curing time of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도 4를 참조하면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간의 측정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편광판(44)을 직경 11 ㎜로 성형하고, 하드 코트층 상에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ER-4550」. 도면 중, 접착제(40)라고 표기.)을 50 μL 적하하며,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 365 ㎚ UV-LED에 의해, 광량 3000 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편광판 시료를 제작하였다[도 4의 (a)].Referring to FIG. 4, the procedure for measuring the curing time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will be described. The polarizing plate 44 obtain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olded to a diameter of 11 mm, and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KER-4550”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was applied on the hard coat layer. In the drawing, the adhesive (40)) was added dropwise to the ultraviolet addition 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nd a polarizer sample was produc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a light quantity of 3000 mJ/cm2 using a 365 nm UV-LED [Figure 4] (a)].

그 후,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METTLER TOLEDO사 제조 「DMA/SDTA861」)에 편광판 시료를 세트하기 위한 직경 11 ㎜의 돌기가 붙은 디스크형의 지그 1∼3(부호 41∼43)을 준비하였다. 편광판 시료를 지그 1, 지그 3의 돌기부(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편광판 시료의 편광판측이 지그 1 및 지그 3측이 되도록 고정하고, 지그 1 및 지그 3에 고정된 편광판 시료의 접착제층측이 지그 2와 접하도록 지그 2를 끼워 넣으며, 지그 1 및 지그 3에 구비되는 지그 간격 조정용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조절하여 접착제층의 두께를 500 ㎛로 조절하였다[도 4의 (b)].After that, disk-shaped jigs 1 to 3 (symbols 41 to 43) with a diameter of 11 mm for setting the polarizing plate sample in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DMA/SDTA861” manufactured by METTLER TOLEDO) were prepared. The polarizer sample is fixed to the protrusions (not shown) of jig 1 and jig 3 so that the polarizer side of the polarizer sample is on the jig 1 and jig 3 sides, respectively, and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polarizer sample fixed on jig 1 and jig 3 is jig 2. Jig 2 was inserted into contact with the jig 1 and jig 3,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was adjusted to 500 ㎛ by adjusting the jig spacing adjustment screw (not shown) provided in jig 1 and jig 3 [FIG. 4(b)].

지그 1, 편광판 시료, 지그 2, 편광판 시료, 지그 3의 순서로 겹친 상태에서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에 세트하고, 하기의 측정 조건으로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하고 나서, 편광판을 세트하여 경화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은, 각 실시예·비교예에서 공통적으로, 5분간으로 하였다. 이 시간은, 표 2 중의 경화 시간에는 산입(算入)하고 있지 않다. 경화 시간의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Jig 1, polarizer sample, jig 2, polarizer sample, and jig 3 were stacked in that order and set in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and the curing time of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In addition, the time from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setting the polarizing plate and starting to measure the curing time was commonly set to 5 minutes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This time is not included in the curing time in Table 2. The definition of curing time is as described above.

주파수 : 1 ㎐frequency : 1㎐

변형량 : 4%amount of deformation : 4%

온도 : 80℃temperature : 80℃

[하드 코트층의 흡광도의 측정][Measurement of absorbance of hard coat layer]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세이사쿠쇼 제조의 분광 광도계 U-2500PC를 이용하여, 파장 300 ㎚ 및 파장 365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드 코트층의 흡광도는 하기 식: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300 nm and 365 nm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U-2500PC manufactured by Hitachi Seisakusho Co., Ltd. Additionally,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하드 코트층의 흡광도=(하드 코트 필름의 흡광도)-(투명 필름 기재의 흡광도)Absorbance of hard coat layer = (absorbance of hard coat film) - (absorbance of transparent film substrate)

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It was calculated using .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composition for forming hard coat layer]

표 1에 나타내는 성분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 교반하여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HC-1∼HC-4를 얻었다.The components shown in Table 1 were mixed and stirred in the ratio shown in Table 1 to obtain compositions HC-1 to HC-4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단위: 질량부Unit: parts by mass

광경화형 수지: 빔세트 710(펜타에리트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 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Photocurable resin: Beamset 710 (pentaerythritol polyacrylate), manufactured by Arakawa Kagaku Kogyo Co., Ltd.

광중합 개시제 A: Omnirad2959, IGM Resins 제조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Omnirad2959, manufactured by IGM Resins

광중합 개시제 B: Omnirad369E, IGM Resins 제조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 Omnirad369E, manufactured by IGM Resins

광중합 개시제 C: Omnirad907, IGM Resin 제조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 Omnirad907, manufactured by IGM Resin

용제: 메틸에틸케톤Solvent: Methyl ethyl ketone

[하드 코트 필름(11)의 제작][Production of hard coat film (11)]

투명 필름 기재(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두께 40 ㎛) 상에,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HC-1을, 바 코팅법에 의해 건조 후의 막 두께가 6 ㎛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도막을 60℃의 오븐에서 150초간 건조시켰다. 퓨전사 제조 무전극 램프 H 벌브에 의해, 조도 400 ㎽/㎠, 광량 300 mJ/㎠의 자외선을 도막에 대해 조사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트 필름(11)을 얻었다. 하드 코트 필름(11)의 하드 코트층의 흡광도에 대해 측정을 행하였다.On a transparent film substrate (triacetylcellulose-based resin film, thickness 40 μm), the composition HC-1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was applied by a bar coating method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about 6 μm. The coating film was dried in an oven at 60°C for 150 seconds. Using an electrodeless lamp H bulb manufactured by Fusion, ultraviolet rays with an illumination intensity of 400 mW/cm2 and a light quantity of 300 mJ/cm2 were irradiated to the coating film to form a hard coat layer, thereby obtaining a hard coat film (11).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of the hard coat film 11 was measured.

[하드 코트 필름 12∼14의 제작][Production of hard coat films 12 to 14]

하드 코트 필름(11)의 제작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HC-1을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HC-2∼HC-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하드 코트 필름(11)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 12∼14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In the production of the hard coat film 11, the same procedure as in the production of the hard coat film 1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composition HC-1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was changed to the composition HC-2 to HC-4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Thus, hard coat films 12 to 14 were produced. The absorbance of the hard coat layer of the obtained hard coat film was measured.

<실시예 1><Example 1>

[필름의 비누화 처리][Saponification treatment of film]

하드 코트 필름(11) 및 투명 필름 기재를, 55℃로 유지한 1.5 ㏖/L의 NaOH 수용액(비누화액)에 2분간 침지한 후, 필름을 수세(水洗)하였다. 그 후, 25℃의 0.05 ㏖/L의 황산 수용액에 30초 침지한 후, 또한 수세욕을 30초 유수(流水) 하에 통과시켜, 필름을 중성의 상태로 하였다. 그리고, 에어 나이프에 의한 물 제거를 3회 반복하여 물을 떨어뜨린 후에, 70℃의 건조 존에 15초간 체류시켜 건조시키고, 비누화 처리를 행하였다.The hard coat film 11 and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were immersed in a 1.5 mol/L NaOH aqueous solution (saponification solution) maintained at 55°C for 2 minutes, and then the film was washed with water. Afterwards, the film was immersed in a 0.05 mol/L sulfuric acid aqueous solution at 25°C for 30 seconds, and then passed through a water washing bath under running water for 30 seconds to bring the film into a neutral state. Then, water removal using an air knife was repeated three times to drop the water, and then the water was left in a drying zone at 70°C for 15 seconds to dry, and a saponific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요오드-PVA계 편광자의 양면에, PVA계 접착제를 통해, 비누화 후의 하드 코트 필름(11), 및 비누화 후의 투명 필름 기재를 각각 적층하였다. 또한, 비누화 후의 하드 코트 필름(11)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이, 요오드-PVA계 편광자와의 접합면이 되도록 하였다. 가열 건조시켜, 실시예 1의 편광판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A saponified hard coat film (11) and a saponified transparent film substrate we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iodine-PVA-based polarizer via a PVA-based adhesiv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film 11 after saponification on which the hard coat layer was not formed was made to be the bonding surface with the iodine-PVA-based polarizer. It was heated and dried to obtain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Examples 2, 3 and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필름(11)을 대신하여 표 1에 나타내는 하드 코트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ard coat film shown in Table 1 was used instead of the hard coat film 11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표 2의 결과로부터, 하드 코트층의 파장 300 ㎚의 흡광도가 4.5 이하인 실시예 1∼3의 편광판에서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경화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하드 코트층의 파장 300 ㎚의 흡광도가 4.5 초과인 비교예 1의 편광판에서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은 60분 이내에 경화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을 일정 시간 내에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편광판이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in Table 2, in the polarizing plates of Examples 1 to 3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had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300 nm,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could be cur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In contrast, in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had an absorbance of more than 4.5 at a wavelength of 300 nm, the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could not be cured within 60 minu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a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that can sufficiently cure an ultraviolet addition-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10: 편광판
11: 편광자
12: 하드 코트층
13: 열가소성 수지 필름
20: 적층체
21: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
22: 투명 부재
A: 동적 점탄성 측정의 개시 시점
B: G'와 G''가 동일해지는 시점
30: UV 조사
31: 겔화점
40: 접착제
41: 지그 1
42: 지그 2
43: 지그 3
44: 편광판
10: Polarizer
11: Polarizer
12: Hard coat layer
13: Thermoplastic resin film
20: Laminate
21: UV addition 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22: Transparent member
A: Starting point of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B: The point at which G' and G'' become equal.
30: UV irradiation
31: Gelation point
40: Adhesive
41: Jig 1
42: Jig 2
43: Jig 3
44: Polarizer

Claims (9)

편광자와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면을 구성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파장 300 ㎚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4.5 이하인 편광판.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hard coat layer,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nstitutes at least one outermost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hard coat layer has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3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로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rd coat layer is made of a cured layer of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is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이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ured layer of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cured product of a (meth)acrylic res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α-히드록시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또는 α-아미노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인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2, wherein 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n α-hydroxy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or an α-amino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0.5 ㎛ 이상 10 ㎛ 이하인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hard coat layer has a thickness of 0.5 μm or more and 10 μm or les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과,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과 상기 투명 부재는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A laminate in which the hard coat layer and the transparent member are laminated through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의 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인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ltraviolet addition curable silicon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10 ㎛ or more and 1000 ㎛ or les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층은 자외선 부가 경화형 실리콘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층인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layer is a cured layer of an ultraviolet addition-curing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가 유리판, 투명 수지판 또는 터치 패널인 적층체.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transparent member is a glass plate, a transparent resin plate, or a touch panel.
KR1020247004660A 2021-07-16 2022-06-27 Polarizers and laminates KR202400265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7781 2021-07-16
JP2021117781A JP2023013533A (en) 2021-07-16 2021-07-16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
PCT/JP2022/025482 WO2023286575A1 (en) 2021-07-16 2022-06-27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520A true KR20240026520A (en) 2024-02-28

Family

ID=8492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660A KR20240026520A (en) 2021-07-16 2022-06-27 Polarizers and laminate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013533A (en)
KR (1) KR20240026520A (en)
CN (1) CN117581127A (en)
TW (1) TW202314301A (en)
WO (1) WO2023286575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5945A (en) 2018-10-02 2020-04-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Ultraviolet-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6305A (en) * 2012-11-26 2014-06-0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7383903B2 (en) * 2019-04-24 2023-11-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Laminated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385380B2 (en) * 2019-06-07 2023-11-22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hard coat 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5945A (en) 2018-10-02 2020-04-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Ultraviolet-curable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6575A1 (en) 2023-01-19
CN117581127A (en) 2024-02-20
JP2023013533A (en) 2023-01-26
TW202314301A (en) 202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1549B2 (en) Laminated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6741477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71019A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optical membe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2017048340A (en)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nd adhesive layer and adhesive optical film using the same
JP2015028598A (en) Polarizer protective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2639552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019757A (en)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KR20170048458A (en)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same
KR20230076854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6212443A (en) Optical film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67701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10122699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WO2006067953A1 (en) Polarizing plate and use thereof
KR20240026520A (en) Polarizers and laminates
KR20240037952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3189796A1 (en) Polarizing film stack and image displaying device
WO2023189811A1 (en) Polarizing film, layer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40034128A (en) Polarizing plate
KR20220125781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30095964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30098795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2145412A (en) Optical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icture display unit
KR20230084309A (en)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40057345A (en) Polarizing plate
TW202222559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