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953A -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953A
KR20240025953A KR1020220104207A KR20220104207A KR20240025953A KR 20240025953 A KR20240025953 A KR 20240025953A KR 1020220104207 A KR1020220104207 A KR 1020220104207A KR 20220104207 A KR20220104207 A KR 20220104207A KR 20240025953 A KR20240025953 A KR 2024002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communication link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953A/ko
Priority to PCT/KR2023/008476 priority patent/WO2024039037A1/ko
Publication of KR2024002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AP(access point)와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능을 겸비한 사물들 간의 지능형 통신 인프라, 즉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상용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 뿐 아니라, TV, 에어컨, 공기 청정기, 청소기, 냉장고, 오븐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기 어려운 장치에도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IoT 장치들은 ZigBee, Z-Wave, BT(Bluetooth)/BLE(Bluetooth low energy), WiFi, WiFi Direct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예: LTE, 5G)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IoT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장치들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기술 및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 블록 체인 등을 이용하여 IoT 연결을 암호화하는 방법 등 IoT 기반의 여러 응용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는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예: AP(access point), 핫스팟(hotspot) 또는 라우터 없이도 와이파이(WiFi)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들 간에 직접적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P2P(Peer-to-peer) 프로토콜 연결방식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노트북, 카메라, 프린터, 게임기, 사운드바, 셋탑박스 및 기타 IoT 장치들에 탑재되어, 전자 장치들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V의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TV 장치 고유의 데이터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TV 장치에 불량이 발생하여 실장되는 IC(integrated circuit) 또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교체하는 경우에, 기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백업할 필요가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예: TV)와 외부 전자 장치(또는 주변 기기) 간의 자동 연결을 활용하여, 상호 기기 간의 저장 공간을 통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와 직접 연결되기 어려운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AP(access point)와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가 백업되지 않았음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Direct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WiFi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에 기반한 유선 통신 링크 또는 광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링크 중 하나의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3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3 통신 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통신 링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AP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AP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압축된 상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DUID(device unique identifier)가 변경됨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화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화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WiFi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Direct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에 기반한 유선 통신 링크 또는 광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링크 중 하나의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링크와 다른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링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AP(access point)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AP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AP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IoT 장치들이 포함되는 IoT 환경에서 전자 장치(예: TV)를 메모리 허브(hub)로서 활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의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별도의 백업 프로세스 없이 주변 기기(예: 사운드 바)의 메모리를 활용하여 화질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기 어려운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환경(100)은 전자 장치(110), AP(access point)(120) 및 외부 전자 장치(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TV), 스마트폰, 데스크탑, 랩탑, 태블릿 PC, 냉장고, 에어컨, 공기 청정기, 청소기, 냉장고, 오븐 등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IoT 기술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IoT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130)는 전자 장치(11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장치로서, 사운드 바 및 셋탑 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는 IoT 기술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IoT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자 장치(110)는 TV 제품, 외부 전자 장치(130)는 사운드 바(sound bar) 제품으로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전자 장치(110)와 외부 전자 장치(130)는 IoT 기술 및 WiFi, WiFi Direct 통신 기술을 지원할 수 있고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AP(120)는 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에서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여,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20)는 전자 장치(110)가 연결되어 있는 무선 LAN과 IoT 네트워크 서버(미도시)를 연결하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IoT를 구현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하여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IoT 네트워크 서버(미도시)와 연결되는 AP(access point)(120)를 통하여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IoT 네트워크 서버(미도시)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AP(120)를 통하여 네트워크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130)는 AP(120)를 통하여 네트워크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가 IoT 네트워크 서버(미도시)와 연결되기 위하여,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LTE-A, 5G, NR(new radio), 근거리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iFi) 등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네트워크 서버(미도시)는 IoT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전자 장치들과 상호 연결되는 서버, 클라우드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IoT 네트워크 서버는 사물 인터넷 플랫폼을 지원하는 서버 또는 장치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10)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영상 시청 및 통신 등 다양한 컴퓨팅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시계 및 안경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전자 장치(200)가 사용하는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221) 또는 설정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입력부(230)는 튜너(미도시),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통신부(250)를 통해 시청 영상 및 시청 영상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영상 입력부(230)는 상기 튜너 및 상기 입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방송 소스로부터 방송 채널(또는, 시청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전자 장치(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200)의 외부 장치로부터 시청 영상 및 시청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포트, 컴포넌트 입력 잭(Jack), PC 입력 포트 및 USB 입력 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상기 입출력부가 추가, 삭제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40)는 숫자, 문자, 이미지, 및/또는 그래픽의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출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출력부', '표시부'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5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유선 이더넷(Ethernet), 무선랜 통신부 및 근거리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통신부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고,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통신부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무선으로 AP(Access Point)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WiFi Direct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영상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모바일 단말(예: 폰,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221)를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MCU(Micro Controller Unit), 센서 허브, 보조 프로세서(Supplementary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AP(예: AP(120))와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20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3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10) 및 도 2의 전자 장치(200)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3에 설명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설명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동작들의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되지 않는 다른 동작이 도 3의 동작들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TV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는 TV 장치에 연결되는 사운드 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전자 장치에도 도 3에 따른 동작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0에서,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AP(access point)(예: AP(120))와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링크는 AP와 전자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무선 통신 링크로, 네트워크(예: IoT 네트워크 서버)와 전자 장치 사이의 링크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무선 통신 링크는 AP로부터 발생하는 WiFi 기술에 기반한 신호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20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하는 장치로서, WiFi Direct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TV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는 TV의 주변에 배치되는 사운드 바 제품 또는 셋탑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의 WiFi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의 현재 소프트웨어 버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의 현재 소프트웨어 버전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에 현재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최신 버전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30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직접 무선 통신 링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40에서,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AP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주기적으로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50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60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기술에 기반한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형성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HDMI 또는 광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이전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무선 통신 링크와 다른 무선 통신 링크(예: 블루투스, HDMI, 광케이블 등)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에 현재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상태가 최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소프트웨어 상태가 최신 상태인 경우,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상태가 최신 상태가 아니며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가 최신 버전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60에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 370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60에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 38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70에서 전자 장치는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소정 시점에 메모리에 저장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관리하는, 메모리 관리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소정 시점에, 메모리에 저장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관리하는 메모리 관리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다이렉트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화질 데이터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백업한 화질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한 화질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화질 데이터에 변경이 있음을 식별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 화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화질 데이터를 압축하여 압축 화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압축 화질 데이터를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AP와 동일한 AP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DUID(device unique identifier)가 변경됨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백업한 화질 데이터를 송신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백업한 화질 데이터를 송신해줄 것을 요청함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화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하여, TV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메인 보드나 회로 기판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TV 장치의 화질 데이터 등을 별도로 백업할 필요 없이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저장 공간에 화질 데이터를 백업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보드 또는 회로 기판을 교체하는 경우 별도로 화질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4에 설명되는 외부 전자 장치는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30),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10), 도 2의 전자 장치(200) 및 도 3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의 동작들은 일 예시일 뿐이며, 동작의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사운드 바 장치로, 전자 장치는 TV 장치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IoT 기술을 지원하는 다른 장치에도 본 동작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0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자 장치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의 WiFi MAC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의 현재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20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다이렉트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30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형성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430는 도 3의 동작 370에 상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40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화질 데이터를 전자 장치가 요청하는 경우 다시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TV 장치의 회로 불량으로 인하여 TV 데이터를 백업하는 경우나,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은 TV 주변 장치(또는 IoT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하여, TV와 TV 주변 장치의 저장 공간을 서로 활용함으로써 TV 장치 또는 TV 주변 장치를 들고 서비스센터 등을 방문할 필요가 없고, 자동 연결을 통해 화질 데이터를 편리하게 백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LED TV의 경우,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OLED 패널에 대하여 대용량의 화질 보상 데이터들을 사전에 백업하여 회로 불량 발생 및 회로 교체 시 서비스 센터의 도움 없이 원상 복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바, IoT 장치, 셋탑 박스와 같은 TV 주변 장치가 네트워크와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TV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고 이와 관련한 데이터를 TV 장치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4에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10에서, 외부 전자 장치(130)는 전자 장치(110)으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10은 도 3의 동작 320, 도 4의 동작 410에 따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110)는 외부 전자 장치(130)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20은 도 3의 동작 370, 도 4의 동작 430에 따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작 510과 동작 520 사이에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판단 과정(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할 것인지 여부 결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110)는 외부 전자 장치(130)로 화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화질 데이터를 백업하지 않았음을 식별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 화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40에서, 외부 전자 장치(130)는 전자 장치(110)로 화질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130)는 전자 장치(11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30)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외부 전자 장치(130)의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전자 장치(110)의 화질 데이터를 백업함으로써,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문서를 통해 설명된 전자 장치(110) 및 외부 전자 장치(13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8)

  1. 전자 장치(200)에 있어서,
    통신부(250);
    메모리(220);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AP(access point)와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가 백업되지 않았음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화질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Direct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WiFi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에 기반한 유선 통신 링크 또는 광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링크 중 하나의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3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통신 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통신 링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AP를 통하여 수신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AP와 연결되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압축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압축된 상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DUID(device unique identifier)가 변경됨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화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11. 외부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화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WiFi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링크는 WiFi Direct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에 기반한 유선 통신 링크 또는 광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링크 중 하나의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링크와 다른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무선 통신 링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AP(access point)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AP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AP와 연결되는,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화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장치.
KR1020220104207A 2022-08-19 2022-08-19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25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07A KR20240025953A (ko) 2022-08-19 2022-08-19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3/008476 WO2024039037A1 (ko) 2022-08-19 2023-06-19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07A KR20240025953A (ko) 2022-08-19 2022-08-19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953A true KR20240025953A (ko) 2024-02-27

Family

ID=8994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207A KR20240025953A (ko) 2022-08-19 2022-08-19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5953A (ko)
WO (1) WO20240390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86B1 (ko) * 2009-12-28 2016-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31104B1 (ko) * 2011-05-17 2013-02-07 엔그램테크놀로지(주) 스마트 tv를 위한 rcu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369959B2 (en) * 2011-10-31 2016-06-14 Nokia Technologies Oy Wirelessly transferring data to a packaged electronic device
KR101538331B1 (ko) * 2013-12-20 2015-07-22 전자부품연구원 V2v 및 v2i 협력 통신 기반 차량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4927B1 (ko) * 2018-03-21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9037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6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571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devices
US9369858B2 (en) Wi-Fi P2P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3517110A (zh) 一种多屏互动通信系统和方法
KR20150087390A (ko) 광고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50020137A1 (en) Presentation control apparatus, presentation control method, presentation system, presentation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metadata
US9883406B2 (en) Guard band usag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KR201800992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US9864591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KR20240025953A (ko)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6787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software image at a client device
US20230052217A1 (en) Updating media devices in a local network with a client-server architecture
KR20140108988A (ko)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콘텐츠 제공 방법,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장치
CN104768056A (zh) 电子装置及其串流媒体的播放方法
US9839006B1 (en) Dual radio archite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operabl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2066241B1 (ko)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US20160019860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20141106A1 (en) Using Wireless Packets to Indicate Device Boot Status
US11652894B2 (en) Device capability over dial
KR20240007515A (ko)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869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전자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
US20230132828A1 (en) Uninterrupted multiple basic service set identifiers
US20230370952A1 (en) Reconfiguring beacon frames to minimize network outage
WO2022240151A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리모트 ue와 릴레이 ue의 sib에 관련된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2240155A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릴레이 ue의 rlf 및 리커버리에 관련된 리모트 ue의 동작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