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844A - 크기 조절이 가능한 eeg 헤드셋 - Google Patents

크기 조절이 가능한 eeg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844A
KR20240024844A KR1020237044385A KR20237044385A KR20240024844A KR 20240024844 A KR20240024844 A KR 20240024844A KR 1020237044385 A KR1020237044385 A KR 1020237044385A KR 20237044385 A KR20237044385 A KR 20237044385A KR 20240024844 A KR20240024844 A KR 20240024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ement
headset
pin
hole
head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안 맥컬로우
브라이언 머피
글린 그리피스
테렌스 킬리
사라 우라시니
Original Assignee
큐물러스 뉴로사이언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물러스 뉴로사이언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큐물러스 뉴로사이언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2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8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61B5/307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31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61B2560/0468Built-in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3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linear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4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in or on a conformable substrate or carri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전기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크기 조절 가능한 헤드셋으로서, 제1 커넥터 소자를 포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헤드밴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제1 단부로부터 떨어진 제2 커넥터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 및 측정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1 단부와 제1 커넥터 소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헤드셋이 개시된다. 헤드셋 및 EEG 측정 전극을 포함하는 EEG 측정 시스템이 더 개시된다.

Description

크기 조절이 가능한 EEG 헤드셋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크기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 및 뇌파검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파검사(EEG) 또는 심전도검사(ECG)와 같은 생체 전기 신호 측정은 일반적으로 대상(예를 들어, 동물 또는 인간) 신체 표면에 배치된 전극을 통해 얻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소위 습식 전극을 포함하는 EEG 캡이 해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극은 일반적으로 EEG 캡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며 전도성 젤을 통해 착용자의 머리 표면에 접촉하면 EEG 측정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EEG 캡은 특정 머리 크기(예를 들어, 머리 둘레 60cm)에만 맞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머리는 크기뿐 아니라 형태도 서로 다르다. 이로 인해 일반 EEG 캡이 느슨하게 끼워져 두피에 전극이 부정확하게 배치되거나 지나치게 꽉 끼워져 착용자가 불편해질 수 있다.
EEG 캡을 임상 셋업 외부(예를 들어, 집)에서 사용하는 경우 추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EEG 캡은 휴대 가능하고 사용하기 쉽고 견고하며 착용자가 편안해야 한다. 또한, 이해 관계가 있는 사용자에게 EEG 캡이 잘 맞는지 확인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전극 배치를 제공해야 한다. 추가로, 일부 부품은 때때로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 또는 다른 문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한 헤드셋이 필요하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생체전기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크기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이 제공된다. 헤드셋은 헤드밴드를 포함한다. 헤드밴드는 사용자가 착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 착용되거나 머리 주위에 착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밴드는 제1 커넥터 소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제1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커넥터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 및 측정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는 서로 연결되도록 (예를 들어, 탈착식으로) 구성되어 제1 단부와 제1 커넥터 소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생체전기 신호는 뇌파검사(EEG)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은 EEG 헤드셋일 수 있다. 측정 전극은 EEG 전극, 예를 들어 건식 전극 또는 습식 전극일 수 있다. 건식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밴드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 머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밴드의 내부 둘레는 사람의 머리 둘레와 일치할 수 있다.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제1 길이방향 단부일 수 있다. 제2 커넥터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제2 길이방향 단부에 배열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1 길이방향 단부는 제2 길이방향 단부의 반대편에 있을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는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은 측정 전극에 물리적으로(예를 들어,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은 압력 접점 또는 플러그 접점을 통해 측정 전극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 중 하나 이상은 헤드밴드에 배열될(예를 들어, 헤드밴드 상에 배열되거나,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에 배열될(예를 들어, 사이드 밴드 상에 배열되거나,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제1 단부와 제1 커넥터 소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길이가 복수(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길이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제1 단부와 제1 커넥터 소자 사이의 거리가 복수(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미리 정의된 거리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특정 길이에 대해 언급하지만, 제1 단부와 제1 커넥터 소자 사이의 거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미리 정의된 복수의 길이는 일정 범위의 길이로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복수의 길이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양(예를 들어, 0.3cm 내지 1.5cm 사이의 양, 예를 들어 0.6cm)만큼 서로 다른 길이를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된다. 제1 단부와 제1 커넥터 소자 사이의 길이는 0.6cm와 같이 늘려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는 12cm, 12.6cm, 13.2cm, 13.8cm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숙련된 기술자는 특정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베이스 길이와 미리 정의된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복수의 미리 정의된 길이는 미리 정의된 오프셋(예를 들어, 0.5cm 내지 5cm 사이의 오프셋, 예를 들어 1.2cm)만큼 서로 벗어나는 가장 긴 길이와 가장 짧은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오프셋은 유사한 양의 배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미리 정의된 위치는 다른 위치에 상대적일 수 있다.
헤드셋은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가 연결되고 보호 유닛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 소자와 상기 제2 커넥터 소자의 분리를 막도록 구성된 보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유닛은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가 연결되고 보호 유닛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 소자와 상기 제2 커넥터 소자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 유닛은 제1 커넥터 소자 및 제2 커넥터 소자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 캡 또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유닛은 키에 의해 작동될 때 보호 유닛을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키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키 메커니즘은 키에 의해 작동될 때 보호 유닛을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반대 방향으로는 키에 의한 어떠한 작동도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키 메커니즘은 보호 유닛을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고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의 분리를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일단 보호 유닛이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에 배치되면, 분리를 막기 위해 보호 유닛은 키 메카니즘에 의한 어떠한 작동도 할 필가 없이 자동으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소자가 제2 커넥터 소자에 연결될 때)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방향(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 (예를 들어, 위에서 정의한 유사하거나 동일한 양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와 제2 커넥터 소자 각각의 다른 하나는 복수의 고정 요소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요소는 수형 또는 암형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은 수형 또는 암형 결합 요소 각각의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형 결합 요소는 노치, 걸쇠 및 구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형 결합 요소는 핀, 스터드 및 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복수의 고정 요소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핀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 요소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핀은 한번에 복수의 홀 중 하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이고, 핀은 구멍의 제1 측면으로부터 구멍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핀은 제2 측면으로부터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제2 측면은 제1 측면과 반대이다. 핀은 구멍 전체에 걸쳐 완전히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핀은 헤드밴드의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핀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구멍은 헤드밴드의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방향은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의 해부학적 측방향일 수 있다. 측방향은 헤드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외부 표면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방향은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머리 표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핀은 제1 축방향 단부와 제2 축방향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축방향 단부는 제2 축방향 단부보다 헤드밴드에 더 가깝고, 핀은 제2 축방향 단부에 단부 요소를 포함하고, 단부 요소는 상기 단부 요소에 인접한 핀 부분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넓다. 핀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핀은 단부 요소에 인접한 원주 방향 노치를 가질 수 있다. 핀은 단부 요소로서 확장된 핀 헤드를 가질 수 있다.
보호 유닛은 제1 상태에서 핀의 단부 요소에 결합되어 (예를 들면 적어도) 핀의 축방향(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핀에 대한 구멍 및/또는 사이드 밴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의 축방향은 위에서 설명한 측방향과 평행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헤드셋은 복수의 사이드 밴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사이드 밴드의 제2 커넥터 소자가 (예를 들어, 동일한 및/또는 유일한) 제1 커넥터 소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단부와 제1 커넥터 소자 사이에 있는) 복수의 사이드 밴드 각각의 길이가 복수의 사이드 밴드 중 다른 사이드 밴드의 길이와 별도로 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사이드 밴드는 다른 제2 커넥터 소자 또는 유사한 제2 커넥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 소자의 고정 요소 사이의 수 또는 거리가 서로 다른 사이드 밴드의 제2 커넥터 소자 간에 다를 수 있다.
제1 변형으로, 제1 커넥터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을 포함한다. 이 변형예에서, 제2 커넥터 소자는 복수의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은 복수의 사이드 밴드 각각의 복수의 고정 요소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은 복수의 사이드 밴드 각각의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변형으로, 제2 커넥터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을 포함한다. 이 변형예에서, 제1 커넥터 소자는 복수의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이드 밴드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은 복수의 고정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에 (예를 들어, 동시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는 헤드밴드의 요소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헤드밴드의 요소는 사용자 머리의 측두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측두"라는 용어는 시간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해부학적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제1 단부가 헤드밴드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제1 단부는 (예를 들어, 연결 부분을 통해) 헤드밴드에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제1 단부가 헤드밴드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헤드셋은 헤드밴드에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부착된 미들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가 미들 밴드에 부착된다. 이 경우, 미들 밴드는 연결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밴드는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할 때 본질적으로 사용자의 시상면에 또는 시상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미들 밴드는 헤드밴드에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부착된 제1 길이방향 단부와 헤드밴드에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부착된 반대편의 제2 길이방향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밴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 및/또는 미들 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각각) 고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는 제1 단부와 제2 커넥터 소자 사이에 고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헤드밴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 및/또는 미들 밴드는 길이에 있어서 어느 정도(예를 들어, 0.1% 이상, 1% 이상, 5% 이하, 15% 이하, 예를 들어 0.1%에서 15% 또는 1%에서 10%) 변형될 수, 가령 유연할 수 있다.
헤드셋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수용부는 헤드셋, 헤드밴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 및 미들 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고정된 공간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수용부는 측정 전극을 (예를 들어, 탈착식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수용부는 측정 전극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수용부에 배열되거나, 부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수용부 각각은 복수의 측정 전극 중 서로 다른 전극을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수용부는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할 때 측정 전극이 10-10 또는 10-20 EEG 전극 배치 방식에 따른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헤드셋은 제1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은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배치되는 헤드셋의 요소 또는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제1 회로 기판을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은 헤드밴드에 부착되거나 헤드밴드에 의해 형성된 폐쇄형 포켓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 중 하나 이상이 미들 밴드에 배열될 수 있다(예를 들어, 미들 밴드에 배열되거나,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헤드밴드, 미들 밴드 및/또는 사이드 밴드에 부착(예를 들어, 접착 또는 스티칭)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지그재그 패턴 또는 물결 패턴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는 전기적으로 차폐된 와이어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는 (예를 들어, 전기 차폐)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헤드셋은 제1 회로 기판으로부터 또는 이를 통해 뇌파검사(EEG) 측정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회로 기판은 사용자(예를 들어, 환자 또는 착용자)의 머리 후면에 배치되도록 헤드셋의 요소 또는 부분에 배열된다. 제2 회로 기판은 제1 회로 기판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은 (예를 들어, 푸시인(push-in))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제1 회로 기판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보드-투-보드 커넥터 또는 인쇄회로기판(PCB), 커넥터일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은 제1 회로 기판과 함께 개폐형 포켓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뇌파검사(EEG)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EEG 측정 시스템은 제1 양태에 따른 헤드셋과 적어도 하나의 EEG 측정 전극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이 적어도 하나의 EEG 측정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뇌파 측정 전극은 건식 전극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EEG 측정 전극은 복수의 전극 핀 또는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EEG 측정 전극은 전술한 전극 수용부에 의해 탈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뇌파 측정 전극은 은이나 염화은이 도핑된 열탄성 폴리머와 같은 전기 전도성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할 때 전극 핀 또는 핑거가 사용자의 두피(예를 들어, 10-10 또는 10-20 EEG 전극 배치 방식에 따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개시의 추가 세부사항, 장점 및 양태가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10-10 EEG 전극 배치 방식을 도시한다.
도 3은 조립 중의 도 1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의 일부의 제1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시스템의 일부의 제2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조립 중의 도 1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시스템의 후면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시스템의 후면의 추가 상세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과 뇌파 측정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20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스템(200)은 생체전기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크기 조절 가능한 헤드셋(100)을 포함한다. 헤드셋(100)은 헤드밴드(2)를 포함한다. 헤드밴드는 사용자의 머리(4)에 또는 머리(4) 주위에 착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밴드(2)는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머리(4)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밴드(2)는 사용자의 머리(4)의 측두 영역에 놓일 수 있는 제1 커넥터 소자(6)를 포함한다.
헤드셋(100)은 제1 단부(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를 더 포함한다. 제1 단부(12)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길이방향 단부일 수 있고 헤드셋(100)의 미들 밴드(2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밴드(8)는 제2 커넥터 소자(10)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소자(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단부 세그먼트(11)에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커넥터 소자(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제1 단부(12) 반대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는 미들 밴드(20)와 제2 커넥터 소자(1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헤드셋(100)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헤드셋(100)은 4개의 사이드 밴드(8)를 포함하고, 그 중 2개는 사용자 머리(4)의 좌측에 있는 제1 커넥터 소자(6)에 연결되고, 나머지 2개(도 1에는 보이지 않음)는 사용자 머리(4)의 오른쪽에 있는 다른 커넥터 소자(6)(도 1에는 보이지 않음)에 연결된다.
도 2는 10-10 EEG 전극 배치 방식을 도시한다. 헤드셋(100)은 미들 밴드(20)가 본질적으로 Oz, Pz, Cz, Fz 및 Fpz 위치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미들 밴드(20)는 사용자의 머리(4) 중심선을 따라 시상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밴드(2)는 Fpz, Oz, T7, T8 위치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10-20 EEG 전극 배치 방식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위치 T7 및 T8를 일반적으로 T3 및 T4라고 한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는 AF3, AF4, F1-F6, FC1-FC6, C1-C6, CP1-CP6, P1-P6, Po3 및 Po4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사이드 밴드(8) 중 하나는 위치(P3)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위치(FC3)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 3은 조립 중의 도 1의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헤드셋(100)을 얻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헤드밴드(2)는 꿰매거나 접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부착하여 전체 원형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미들 밴드(20)는 헤드밴드(2)로부터 연장되는 플랩(9)에 꿰매거나 접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추가로, 제1 커넥터 소자(6)는 제2 커넥터 소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사용자가 조립된 헤드셋(100)을 착용할 때 표면(13)이 사용자의 두피를 향하는 헤드셋(100)의 바닥 또는 내부 표면(13)이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셋(100)은 측정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극 접점(14)은 전극 수용부(15)에 배열될 수 있고, 개별 전극 수용부(15)는 헤드밴드(2),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 또는 미들 밴드(20)에 배열될 수 있다. 각 전극 수용부(15)는 측정 전극을 탈착삭으로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셋(100)은 두 개의 전극 접점(17)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사용자의 머리(4)의 일부에 접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는 기준 전극(19)에 부착된다. 전극 접점(17)은 보호 슬리브(21)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전극 수용부(15)가 전극을 고정하고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착용할 때 각 측정 전극이 전술한 10-10 또는 10-20 EEG 전극 배치 방식의 위치 중 하나에 배치되도록 전극 수용부(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200)의 일부의 제1 상세도를 도시한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EEG 측정 전극(16)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14)이 적어도 하나의 EEG 측정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극(16)은 사용자의 머리(4)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도성 플렉서블 전극 핑거 또는 핀을 갖는 습식 전극 또는 건식 전극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극(16)은 건식 전극이다. 전극(16)은 헤드셋(100)의 전극 수용부(15) 중 하나에 의해 탈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는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제1 단부(12)와 제1 커넥터 소자(6)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측밴드(8)의 길이(또는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소자(6, 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길이가 복수의 미리 정의된 길이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는 서로 상대적일 수 있다.
제1 구성에 따르면, 제2 커넥터 소자(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예를 들어, 세로 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요소(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넥터 소자(6)는 복수의 고정 요소(18) 중 하나 이상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따르면, 제2 커넥터 소자(10)의 복수의 고정 요소(18)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외부 표면과 해드밴드(2)의 외부 표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6)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은 관통 구멍(3)과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핀(5)을 포함할 수 있다. 핀(5)은 관통 구멍(3)을 통해 완전히 연장되어 사이드 밴드(8)의 반대측에 나올 수 있다. 관통 구멍(3)은 각각 헤드밴드(2)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에 대한 공간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핀(5)은 본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확장된 헤드 부분 또는 단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성에 따르면, 제1 커넥터 소자(6)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예를 들어, 세로 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커넥터 소자(10)는 복수의 고정 요소 중 하나 이상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소자(6)의 복수의 고정 요소는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본질적으로 헤드밴드(2)의 외부 표면에 직교하여 연장된다. 제2 커넥터 소자(10)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은 핀과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하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핀은 그에 따라 헤드밴드(2)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를 정렬할 때 관통 구멍을 통해 완전히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은 각각 헤드밴드(2)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에 대한 공간적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핀은 각각 본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확장된 헤드 부분 또는 단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구성 모두에서, 각 핀은 확장된 헤드 부분 또는 각진 원위 단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핀의 바디 직경은 관통 구멍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는 반면, 확장된 헤드 부분 또는 각진 말단 부분의 직경은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확장된 헤드 부분 또는 각진 원위 단부 섹션은 핀과 관통 구멍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관통 구멍으로부터 핀을 분리할 수 있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제1 변형으로, 복수의 고정 요소(18)는 복수의 구멍(3)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은 단일 핀(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커넥터 소자(6)가 제2 커넥터 소자(10)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와 헤드밴드(2) 사이의 각도가 변할 수 있게 한다.
제2 변형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은 복수의 핀(5)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고정 요소(18)는 복수의 구멍(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핀 각각은 주어진 시간에 복수의 고정 요소(18)의 다른 구멍(3)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 사이의 보다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변형 및 제2 변형은 각각 제1 구성 및/또는 제2 구성과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요소(18)는 일반적으로 암형 결합 요소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고정 대응물(7)은 일반적으로 수형 결합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요소(18)는 구멍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은 핀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들 2개의 커플링 구성요소(7, 18)의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요소(18)는 캐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은 캐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벨크로 패스너 메커니즘, 스냅핏 커플링, 자기 커넥터 등과 같은 다른 커넥터 메커니즘도 고려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하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메커니즘은 핀과 구멍을 포함한다.
복수의 사이드 밴드(8)의 복수의 제2 커넥터 소자(10)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소자(6) 위에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소자(6)는 복수의 제2 커넥터 소자(10) 각각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단일의 제1 커넥터 소자(6)를 사용하여 사이드 밴드(8) 각각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의 시스템(200) 부분의 제2 상세도를 보여준다. 핀(5)의 길이와 모양은 복수의 사이드 밴드(8)의 복수의 제2 커넥터 소자(10)의 관통 구멍(3)을 통해 동시에 연장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헤드셋(100)은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가 서로 연결되고, 보호 유닛(22)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핀(5)에 결합되어 핀(5)의 축방향으로 핀(5)에 대한 구멍(3)의 움직음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보호 유닛(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유닛(22)은 핀(5)의 확장된 헤드(예를 들어, 단부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유닛(22)은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의 분리 막을 수 있다. 보호 유닛(22)은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의 분리를 허용하는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 유닛(22)은 키에 의해 작동될 때 보호 유닛(22)을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키 메커니즘(23)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유닛(22)은 제1 커넥터 소자(6) 및 제2 커넥터 소자(10)에 또는 그 위에(예를 들어, 그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캡 또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 유닛(22)은 키에 의해 작동될 때 보호 유닛을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키 메커니즘(23)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키 메커니즘(23)은 키에 의해 작동될 때 보호 유닛(22)을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대 방향에서는 키에 의한 어떠한 작동도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메커니즘(23)은 보호 유닛(22)을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고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의 분리를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일단 보호 유닛(22)이 제1 커넥터 소자(6) 및 제2 커넥터 소자(10) 위에 또는 그 위에 놓이거나 핀(5)에 결합되면, 보호 유닛(22)은 키 메커니즘(23)에 의한 어떤 작동을 할 필요 없이 분리를 막기 위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키 메커니즘(22)은 핀형 키를 사용하여 잠금 요소를 선형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이는 핀(5)의 확장된 헤드로부터 보호 유닛(22)을 잠금해제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호 유닛(22)을 핀(5)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하고, 후속적으로 핀으로부터 사이드 밴드(8)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보호 유닛(22)의 상기 기능이 보장되는 한, 보호 유닛(22)의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훨씬 더 초기의 조립 단계에 있는 도 1의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도 6에서는, 도 3과 비교하여, 헤드셋(100)의 반대편이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100)은 사용자의 머리(4)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는 헤드셋(100)의 요소 또는 부분에 배열된 제1 회로 기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4)은 보호 하우징(25)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헤드셋(100)은 복수의 와이어(2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제1 회로 기판(24)을 전극 접점(14)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각 전극 접점(14)은 전극 수용부(15) 중 하나 및/또는 EEG 측정 전극(16)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헤드밴드(2), 미들 밴드(20) 및 사이드 밴드(8)는 외부층(28) 및 내부층(30)을 포함하는 복수의 재료 층들로 형성된다. 추가 층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층은 친수성, 비팽윤성 및/또는 생체적합성 폼으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층은 4방향 스트레치 합성 편직물과 같은 편직물로부터 제조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헤드셋을 얻으려면, 복수의 재료층은 보호 커버 재료에 의해 포장될 수 있고, 전극 수용부(15)가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공동(27) 또는 관통 구멍(27)에 삽입될 수 있다. 보호 커버 재료는 방수 코팅이 된 편직물(예를 들어, 4방향 스트레치)일 수 있다.
와이어(26)가 또한 보호 커버 재료로 감겨지거나 덮혀서 헤드셋(10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와이어(26)는 내부층(30) 상에 유사한 수단으로 재봉되거나, 접착되거나, 클립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26)는 전기적으로 차폐된 전선일 수 있다. 도시된 예의 와이어(26)는 물결 패턴을 형성한다. 와이어(26)의 배열은 전극(16)을 통해 획득된 측정에 대한 외부 전자기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헤드셋(100)은 제2 회로 기판(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32)은 제1 회로 기판(24)으로부터 뇌파검사(EEG) 측정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32)은 보호 하우징(34)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머리(4) 후면에 배치되도록 헤드셋(100)의 구성 요소 또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32)이 예를 들어 보드-투-보드 커넥터(26)를 통해 제1 회로 기판(24)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32)은 EEG 측정 또는 EEG 측정을 처리함으로써 얻은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4)은 EEG 측정 또는 EEG 측정을 처리하여 획득된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시스템(200)의 후면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켓(38)이 예를 들어 환자 머리(4)의 후면에 배치될 헤드셋(100)의 요소 또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포켓(38)은 지퍼 패스너(40)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4)과 제2 회로 기판(32) 모두는 각각의 보호 하우징(25, 34)과 함께 포켓(38)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시스템(200)의 후면의 추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8과 비교하면, 지퍼 패스너(40)가 개방되었고, 보호 하우징(34)과 함께 제2 회로 기판(32)이 제1 회로 기판(24)에서 분리되어 포켓(38)에서 제거되었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크기 조절이 가능한 유리한 헤드셋과 EEG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크기 조정은 헤드셋(100)을 다양한 머리 크기 및 머리 모양에 맞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광범하게 사용할 수 있는 헤드셋 및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크기 조정은 헤드셋(100)을 쉽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게 하면서 편안한 착용감과 측정 전극의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위치 지정(예를 들어, 10-10 또는 10-20 배치 위치)을 보장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200)은 기존 EEG 헤드셋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호 유닛(22)은 헤드셋(100)의 최종 사용자가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치하는 키를 가진 승인된 사람이 별 노력없이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연속 측정 시 전극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어, 일관된 데이터 세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헤드셋(100) 및 결과적인 측정값이 조작될 수 없도록 하면서 헤드셋(100)이 집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일반적인 헤드셋은 사용자가 헤드셋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조작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임상 모니터링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크기의 무단 변경을 방지하면 일관된 데이터 세트를 측정할 수 있다.
전극을 탈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손상이 있는 경우이거나 청소하기 위해 교체될 수 있다.
전술한 와이어(26)의 배열은 전극(16)을 통해 획득된 측정에 대한 외부 전자기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제2 회로 기판(32)은 승인된(예를 들어, 임상) 인력에 의해 교체될 수 있어, 저장된 EEG 기록의 잠재적으로 시간 소모적인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요구하지 않고 헤드셋(100)의 빠른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제2 회로 기판(32)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경우 새로운 버전으로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로 기판(24, 32)을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배치함으로써 헤드셋(100)의 착용감과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를 이용하면 대안적 및/또는 추가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1)

  1. 생체전기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크기 조절 가능한 헤드셋(100)으로서,
    제1 커넥터 소자(6)를 포함하는 헤드밴드(2);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제1 단부(12)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커넥터 소자(1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 및
    측정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14)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1 단부(12)와 제1 커넥터 소자(6)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헤드셋(100).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1 단부(12)와 제1 커넥터 소자(10)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길이가 미리 정의된 복수의 길이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헤드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는 미리 정의된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헤드셋.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가 서로 연결될 때 그리고 보호 유닛(22)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의 분리를 막도록 구성된 보호 유닛(22)을 더 포함하는 헤드셋.
  5. 제4항에 있어서,
    보호 유닛(22)은,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가 서로 연결될 때 그리고 보호 유닛(22)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헤드셋.
  6. 제5항에 있어서,
    보호 유닛(22)은, 키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보호 유닛(22)을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및/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키 메커니즘(23)을 포함하는 헤드셋.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요소(18)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 소자(6)와 제2 커넥터 소자(10) 중 서로 다른 하나는 복수의 고정 요소(18)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을 포함하는 헤드셋(100).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요소(18)는 구멍(3)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은 구멍(3)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핀(5)을 포함하는 헤드셋(100).
  9. 제8항에 있어서,
    구멍(3)은 관통 구멍이고, 핀(5)은 상기 구멍(3)의 제1 측에서 상기 구멍(3) 내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핀(5)은 구멍(3)의 제2 측면으로부터 구멍(3)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제2 측은 제1 측의 반대측인 헤드셋(10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구멍(3)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핀(5)은 헤드밴드(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및/또는
    핀(5)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측방향은 연장되고, 구멍(3)은 헤드밴드(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셋(100).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5)은 제1 축방향 단부와 제2 축방향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축방향 단부는 제2 축방향 단부보다 헤드밴드(2)에 더 가까우며, 핀(5)은 제2 축방향 단부에 단부 요소를 포함하고, 단부 요소는 상기 단부 요소에 인접한 핀(5)의 일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넓은 헤드셋(100).
  12.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1항에 있어서,
    보호 유닛(22)은 핀(5)의 축방향으로 핀(5)에 대한 구멍(3)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1 상태에서 핀(5)의 단부 요소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셋(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셋(100)은 복수의 사이드 밴드(8)를 포함하고, 각 사이드 밴드의 제2 커넥터 소자(10)가 제1 커넥터 소자(6)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사이드 밴드(8) 각각의 길이가 복수의 사이드 밴드(8) 중 다른 사이드 밴드의 길이와 별개로 조정될 수 있는 헤드셋(100).
  14. 제7항에 따른 제13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소자(6)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대응물(7)이 복수의 사이드 밴드(8) 각각의 복수의 고정 요소(18)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셋(100).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핀(5)은 복수의 사이드 밴드(8) 각각의 관통 구멍(3)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헤드셋(10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머리(4)의 측두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헤드밴드(2)의 요소에 제1 커넥터 소자(6)가 배열되는 헤드셋(100).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의 제1 단부(12)가 헤드밴드(2)에 대해 부착되는 헤드셋(100).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밴드(2)에 부착된 미들 밴드(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밴드(20)는 사용자 머리(4)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밴드(8)가 미들 밴드(20)에 부착되는 헤드셋(100).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회로 기판(24); 및
    제1 회로 기판(24)을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14)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26)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100).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회로 기판(24)으로부터 뇌파검사 측정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회로 기판(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32)은 상기 제1 회로 기판(24)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헤드셋(100).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헤드셋(100); 및
    적어도 하나의 EEG 측정 전극(16)을 포함하는 뇌파검사(EEG) 측정 시스템(200)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접점(14)이 적어도 하나의 EEG 측정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EEG 측정 시스템.
KR1020237044385A 2021-06-22 2021-06-22 크기 조절이 가능한 eeg 헤드셋 KR202400248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21/066991 WO2022268299A1 (en) 2021-06-22 2021-06-22 Size-adjustable eeg hea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844A true KR20240024844A (ko) 2024-02-26

Family

ID=7674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385A KR20240024844A (ko) 2021-06-22 2021-06-22 크기 조절이 가능한 eeg 헤드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58843A1 (ko)
KR (1) KR20240024844A (ko)
CN (1) CN117545426A (ko)
AU (1) AU2021452315A1 (ko)
BR (1) BR112023026790A2 (ko)
CA (1) CA3223338A1 (ko)
WO (1) WO20222682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7556A1 (en) * 2004-02-27 2005-09-08 Stoler Diane R. Continuously adjustable neurofeedback device
AU2010315468B2 (en) * 2009-10-27 2016-03-10 Neurovigil, Inc. Head harness and wireless EEG monitoring system
CN204207746U (zh) * 2014-11-13 2015-03-18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便于定位的头皮电极固定器
JP6577753B2 (ja) * 2015-05-21 2019-09-18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脳波測定用装具
CN211513049U (zh) * 2019-08-05 2020-09-18 南京伟思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脑电采集的生物反馈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58843A1 (en) 2024-05-01
WO2022268299A1 (en) 2022-12-29
CN117545426A (zh) 2024-02-09
AU2021452315A1 (en) 2023-12-07
CA3223338A1 (en) 2022-12-29
BR112023026790A2 (pt)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297B1 (ko) 다양한 생체 신호의 동시 측정을 위한 다채널 전극센서장치
JP4447326B2 (ja) 着用衣類
US7257438B2 (en) Patient-worn medical monitoring device
US20070225585A1 (en) Headset for electrodes
CN110249714B (zh) 印刷电路板生物感测服装连接器
US20220015703A1 (en) Modular auricular sensing system
US6922176B2 (en) Belt coil as transmitter/receiver antenna in a transponder apparatus
FI89129B (fi) Faestanordning foer aostadkommande av elektrisk kontakt med hudelektrod foer engaongsbruk
JP2023082199A (ja) 可搬型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240024844A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eeg 헤드셋
US11647956B2 (en) Electroencephalogram system and method
US10928049B1 (en) Headlamp assembly
CN219331680U (zh) 脑电头环
EP3506822B1 (en) Sleep trainer with heart rate measurement band
WO2020133428A1 (zh) 移动监护设备及移动监护系统
US20230000436A1 (en) Wearable device including moisture-permeabl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4533070B (zh) 一种柔性穿戴式脑磁测量头盔
KR102395761B1 (ko) 반려동물의 생체정보 측정을 위한 하네스
WO2017198755A1 (en) Headgear incorporating electrical measurement apparatus
DE202021004214U1 (de) Elektronikmodul
CN218419866U (zh) 一种基于柔性电极的前额脑电信号采集装置
WO2022268301A1 (en) Technique for holding an electrode
EP4115809A1 (en) Wearable device including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WO2023017396A1 (en) A coupling system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 textile electrode
CN115590519A (zh) 一种基于柔性电极的前额脑电信号采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