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582A -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582A
KR20240024582A KR1020220102752A KR20220102752A KR20240024582A KR 20240024582 A KR20240024582 A KR 20240024582A KR 1020220102752 A KR1020220102752 A KR 1020220102752A KR 20220102752 A KR20220102752 A KR 20220102752A KR 20240024582 A KR20240024582 A KR 20240024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pansion tank
case
open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규
홍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2010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582A/en
Priority to US18/202,204 priority patent/US20240060683A1/en
Priority to US18/202,198 priority patent/US20240060682A1/en
Priority to US18/202,183 priority patent/US20240060680A1/en
Priority to US18/202,191 priority patent/US20240060681A1/en
Publication of KR2024002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5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27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46Water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5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fluid fuel
    • F24H7/045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fluid fuel the transfer fluid be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2Connecting hydraul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는, 물을 보관하게 마련되는 팽창탱크,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물을 가열하게 마련되는 물 가열기, 상기 물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을 전달받아 난방을 위해 배출될 공기와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되는 난방 열교환기, 상기 난방 열교환기로 상기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팬 및 내부에 상기 팽창탱크, 상기 물 가열기, 상기 난방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이 배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기준 방향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외함, 상기 외함에 결합되게 마련되고, 상기 외함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개구를 커버하는 제1 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함 및 상기 제1 개구 커버에는, 상기 팽창탱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팽창탱크로 물을 안내하게 마련되는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ansion tank provided to store water, a water heater provided to heat the water by receiving heat from combustion gas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and the water heated by the water heater.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to receive the air and exchange heat with the air to be discharged for heating, a fan provided to send the air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inside the expansion tank, the water heater,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the fan. It includes a case disposed, wherein the case is an enclosure i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on a reference direction side in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closure, and opens the first opening when coupled to the enclosure. It includes a first opening cover that covers the enclosure, and the first opening cover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part that connects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to guide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expansion tank. It can be.

Description

공기 가열 장치 및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Air heating device and air heating device water supply method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난방을 위한 공기 가열 장치 및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heating device for heating and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air heating device.

북미 가정집에서는 가열된 공기를 각 방에 연결된 덕트를 이용해 공급하는 방식을 통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의 가열을 위해서, 가스 퍼니스(gas furnace)로 불리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가스 퍼니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형성한 열을 공기에 전달하고, 가열된 공기가 각 방으로 분배되는 방식으로 난방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North American homes, heating can be achieved by supplying heated air through ducts connected to each room. For heating air, devices called gas furnaces are usually used. Heating can be supplied b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burning fuel in a gas furnace to the air, and distributing the heated air to each room.

이러한 가스 퍼니스는 일반적으로 버너의 연소반응에 의해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가스를 열교환기가 포함하는 배관의 내부로 유동하게 하고, 공기를 배관의 주변에서 유동하게 함으로써, 열교환기에서 공기와 연소가스를 열교환시켜 공기를 데우는 방식을 사용한다.These gas furnaces generally allow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of the burner to flow inside the pipes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r, and allow air to flow around the pipes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and combustion gas in the heat exchanger. It uses a method of heating the air.

이러한 가스 퍼니스는 연소 가스의 누출, 집안 공기의 건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가스 퍼니스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하이드로 퍼니스(Hydro Furnace)라는 새로운 형태의 퍼니스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These gas furnaces may cause problems such as leakage of combustion gas and drying of the air in the hous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gas furnace, the application of a new type of furnace called a hydro furnace may be considered.

하이드로 퍼니스는 일반적으로 버너의 연소반응에 의해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가스를 통해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열교환기의 배관 내부로 유동하게 하고, 팬을 이용해 공기를 배관의 주변에서 유동하게 함으로써 물와 공기를 열교환시켜 공기를 데우는 방식을 사용한다. Hydro furnaces generally heat water through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of a burner, allow the heated water to flow inside the pipes of a heat exchanger, and use a fan to flow air around the pipes, thereby mixing water and air. It uses a method of warming the air through heat exchange.

그러나, 하이드로 퍼니스는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하이드로 퍼니스 구조의 내부, 특히 안쪽에 위치한 부품에 고장이 난 경우 하이드로 퍼니스 전체를 해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hydro furnace has a complex overall structure. Therefore, if the inside of the hydro furnace structure, especially the parts located inside, fails, the entire hydro furnace must be dismantled, making repair difficult.

또한, 가구마다 하이드로 퍼니스를 배치할 수 있는 위치가 상이한데, 하이드로 퍼니스의 내부로 물이나 연료를 유입시키기 위해, 하이드로 퍼니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관들로 인해, 하이드로 퍼니스의 자유로운 배치에 제약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location where the hydro furnace can be placed is different for each household, and the free placement of the hydro furnace is restricted due to the pipes that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hydro furnace to allow water or fuel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hydro furnace. There was.

또한, 하이드로 퍼니스의 내부에 위치한 팽창탱크에 물을 보충하는 경우, 먼저 하이드로 퍼니스의 케이스를 분리한 후 내부의 팽창탱크에 물을 채워야 하므로, 물을 채우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replenishing water in the expansion tank located inside the hydro furnace, the case of the hydro furnace must first be separated and then the expansion tank inside must be filled with water, making the water filling process complicated.

또한, 하이드로 퍼니스의 경우,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이 많고, 구성 부품의 조합에 따라 전체적으로 사이즈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a hydro furnace, there are many internal part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ize increas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constituent parts.

본 발명의 과제는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 팽창탱크에 물을 채울 수 있는 공기 가열 장치 및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heating device and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air heating device that can fill an expansion tank with water without removing the c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는, 물을 보관하게 마련되는 팽창탱크,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물을 가열하게 마련되는 물 가열기, 상기 물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을 전달받아 난방을 위해 배출될 공기와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되는 난방 열교환기, 상기 난방 열교환기로 상기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팬 및 내부에 상기 팽창탱크, 상기 물 가열기, 상기 난방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이 배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기준 방향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외함, 상기 외함에 결합되게 마련되고, 상기 외함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개구를 커버하는 제1 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함 또는 상기 제1 개구 커버에는, 상기 팽창탱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개구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팽창탱크로 물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ansion tank provided to store water, a water heater provided to heat the water by receiving heat from combustion gas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and the water heater.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to receive the heated water and exchange heat with air to be discharged for heating, a fan provided to send the air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inside the expansion tank, the water heater,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a case in which the fan is disposed, wherein the case includes an enclosure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on a side of a reference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closure, and when coupled to the enclosure, the It includes a first opening cover that covers the first opening, and the enclosure or the first opening cover has an opening to connect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to each other to guide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expansion tank. A communication portion provided to do so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은, 공기 가열 장치의 케이스의 연통부를 개방하는 개방 단계, 상기 연통부를 통해 상기 공기 가열 장치의 팽창탱크로 물을 주입하는 주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가열 장치는, 물을 보관하게 마련되는 상기 팽창탱크 및 내부에 상기 팽창탱크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기준 방향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외함, 상기 외함에 결합되게 마련되고, 상기 외함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개구를 커버하는 제1 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커버에는, 상기 팽창탱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개구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팽창탱크로 물을 안내하게 마련되는 상기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an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 step of opening a communication part of a case of the air heating device, an injection step of injecting water into an expansion tank of the air heat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The air heating device includes the expansion tank provided to store water and the case in which the expansion tank is disposed, the case having a first opening on a reference direction side in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n enclosure is formed, and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closure, and includes a first opening cover that covers the first opening when coupled to the enclosure, wherein the first opening cover connects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to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part may be formed to open for connection and guide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expansion tank.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팽창탱크에 물을 채울 수 있으므로,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팽창탱크에 물을 채울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filled in the expansion tank through an inlet formed in the case, so the expansion tank can be filled with water without removing the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1 개구 커버를 제거하고, 기준 방향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외함을 제거하고, 상하 방향 및 기준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밀부 및 제2 구획부의 단면 및 그 단면을 확대 도시한 모습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구획벽과 난방 열교환기가 분리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구획벽과 난방 열교환기가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구획벽이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난방 열교환기가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1 구획공간 및 그 하측을 확대 도시한 모습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구획벽을 기준 방향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1 구획공간의 하측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 구획벽이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팬이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3에서 배치된 것과 반대로 물 유입관, 연료 유입관 및 응축수 배출관이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가림용 커버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개폐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연통부를 통해 팽창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연통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연통부의 다른 예를 통해 팽창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에서 외함을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에서 외함을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heating system including an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first opening cover removed and viewed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nclosure removed and view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airtight por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nd an enlarged view of the cross-sec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separated.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combined.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heating heat exchanger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enlarged view of partition space 1-1 and its lower side.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partition wall viewed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side of the 2-1 partition space.
Figure 13 is a view showing the third partition wall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fan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water inlet pipe, fuel inlet pipe, and condensate discharge pipe are arranged opposite to the arrangement in FIG. 3.
Figure 16 is a view showing the covering cover removed.
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eparated.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water flowing into the expansion tank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unit.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water flowing into an expansion tank through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part.
Figure 21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nclosure removed.
Figure 22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nclosure remov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heating system including an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은, 가옥에 설치될 수 있다. 난방 시스템은 공기의 가열을 위한 공기 가열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가열 장치(1)는 가옥의 각 방으로 연결된 덕트(3)와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를 각 방으로 전달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는 가옥의 외부로부터 공기 가열 장치(1)로 유입되거나, 가옥의 방을 거쳐 공기 가열 장치(1)로 회송될 수 있다. 가옥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기 가열 장치(1)로 유입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기본적으로는 공기가 회송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heating system including an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house. The heating system may include an air heating device 1 for heating air. The air heating device 1 is connected to a duct 3 connected to each room of the house, and can perform heating by delivering heated air to each room. Air may enter the air heating device 1 from the outside of the house, or may be returned to the air heating device 1 via the rooms of the house. Although air may flow into the air heating device 1 from the outside of the hous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ssumes that the air is returned.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지칭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공기 가열 장치(1)가 배열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상하방향이라 하여 반드시 연직방향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front-back, left-right, and up-down directions are referred t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b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this direction is determ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heating device 1 is arranged,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not necessarily mean the vertical direction.

난방 시스템은 온수의 형성을 위해서는 별도의 히터(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름철에 공기 가열 장치(1)로 냉매를 공급해 공기 가열 장치(1)를 통한 냉기의 공급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콘덴서(2)를 실외기로 가질 수 있다.The heat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heater (4) for the formation of hot water, and a condenser that supplies refrigerant to the air heating device (1) in the summer so that cold ai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air heating device (1). (2) can be an outdoor unit.

실시예 1Example 1

우선,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1 개구 커버를 제거하고, 기준 방향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외함을 제거하고, 상하 방향 및 기준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각 도면들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외함과 같은 일부 구성이 생략 도시될 수 있다.First, the basic components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first opening cover removed and viewed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nclosure removed and view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For reference, in each drawing, some components, such as an enclosure, may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는, 케이스(10), 팽창탱크(20), 물 가열기(30), 난방 열교환기(40) 및 팬(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인 공기 가열 메커니즘을 간략히 상술하면, 공기 가열 장치(1)는 팽창탱크(20)에 보관된 물을 물 가열기(30)에서 가열시킨 후 난방 열교환기(40)로 보낸다. 난방 열교환기(40)로 보내진 가열된 물은 팬(50)에서 송기된 공기를 데우게 되고, 데워진 공기는 각 방으로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자세히 상술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n expansion tank 20, a water heater 30, a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a fan 50. It can be included. To briefly describe the overall air heating mechanism, the air heating device 1 heats the water stored in the expansion tank 20 in the water heater 30 and then sends it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e heated water sent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warms the air blown from the fan 50, and the warmed air is delivered to each room. Below, each componen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케이스(10)><Case (10)>

케이스(10)는 내부에 팽창탱크(20), 물 가열기(30), 난방 열교환기(40) 및 팬(50)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외함(11), 제1 개구 커버(13), 제1 구획벽(14), 제2 구획벽(15) 및 제3 구획벽(1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10 may have an expansion tank 20, a water heater 30, a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a fan 50 disposed therein. Case 10 may include an enclosure 11, a first opening cover 13, a first partition wall 14, a second partition wall 15, and a third partition wall 16.

외함(11)의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기준 방향(D) 측에는 제1 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방향(D)은 전방일 수 있다. 제1 개구 커버(13)는 외함(11)에 결합되게 마련되고, 외함(11)에 결합되었을 때 제1 개구(12)를 커버할 수 있다. 제1 개구 커버(13)는 추후 공기 가열 장치(1)의 내부 수리를 위해 외함(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개구 커버(13)는 후술할 제1 구획벽(14)을 기준으로 제1 개구(12) 중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커버하는 상단 커버와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커버하는 하단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제1 개구 커버(13)가 제1 개구(12) 전체를 커버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A first opening 12 may be formed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nclosure 11. For example,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forward. The first opening cover 13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closure 11 and can cover the first opening 12 when coupled to the enclosure 11. The first opening cover 13 can be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for later internal repairs of the air heating device 1 . For example, the first opening cover 13 includes an upper cover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pening 12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lower cover that covers the lower part. may includ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one first opening cover 13 may have a shape that covers the entire first opening 12.

제1 구획벽(14)은 외함(11)에 결합되고, 기준 방향(D)을 따라 연장되어 외함(11)의 내부를 제1 구획공간(S1)과 제2 구획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The first partition wall 14 is coupled to the enclosure 11 and extends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o divide the interior of the enclosure 11 into a first partition space S1 and a second partition space S2. You can.

제2 구획벽(15)은 외함(11)의 내부에 제1 구획벽(14)과 직교하게 배치되어 제1 구획공간(S1)을 제1-1 구획공간(S1-1)과 제1-2 구획공간(S1-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구획벽(15)은 외함(11)의 내부로부터 이탈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제2 구획벽(15)이 외함(11)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4 inside the enclosure 11 and divides the first partition space S1 into the 1-1 partition space S1-1 and the 1-1 partition space S1. It can be divided into 2 compartment spaces (S1-2).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may be removable from the inside of the enclosure 11. This may mean that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nclosure 11.

제3 구획벽(16)은 외함(11)의 내부에 제1 구획벽(14)에 직교하게 배치되어 제2 구획공간(S2)을 제2-1 구획공간(S2-1)과 제2-2 구획공간(S2-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는 케이스(10)의 내부가 2X2 형태의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구획벽(16)은 외함(11)의 내부로부터 이탈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제3 구획벽(16)이 외함(11)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을 의미할 수 있다.The third partition wall 16 is disposed orthogonally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4 inside the enclosure 11 and divides the second partition space S2 into the 2-1 partition space S2-1 and the 2- It can be divided into 2 compartment spaces (S2-2). This may mean that the interior of the case 10 is divided into four spaces in a 2X2 shape. The third partition wall 16 may be removable from the inside of the enclosure 11. This may mean that the third partition wall 16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nclosure 11.

일 예로 제1-1 구획공간(S1-1)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1-2 구획공간(S1-2)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에 대응되고, 제2-1 구획공간(S2-1)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2-2 구획공간(S2-2)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 함은 반드시 동일한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비례 관계를 갖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것이다. 일 예로, 제1-1 구획공간(S1-1)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와 제2-1 구획공간(S2-1)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의 비는 제1-2 구획공간(S1-2)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와 제2-2 구획공간(S2-2)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의 비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부품의 크기, 설치 공간 등 필요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1-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2-1 partition space ( The length of S2-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2-2 partition space S2-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ere, corresponding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same case, but will be view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a certain proportional relationship. As an example,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1-2 partition space ( The ratio of the length of S1-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2-2 partition space S2-2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equal to the ratio.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depending on needs, such as the size of internal parts and installation space.

이와 같이, 제1-1 구획공간(S1-1)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1-2 구획공간(S1-2)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에 대응되고, 제2-1 구획공간(S2-1)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2-2 구획공간(S2-2)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에 대응됨에 따라, 각 구성품의 탈거 및 장착 등이 용이해져 AS등의 고객 서비스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leng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1-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As the length of (S2-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2-2 compartment space (S2-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becomes easy to remove and install each component, allowing customers such as AS Serviceability can be improved.

제1-1 구획공간(S1-1)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1-2 구획공간(S1-2)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1 구획공간(S2-1)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2-2 구획공간(S2-2)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1 구획공간(S1-1)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2-1 구획공간(S2-1)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2 구획공간(S2-1)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1-2 구획공간(S1-2)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1-2)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leng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2-2 partition space (S2-2)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leng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leng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2-1)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1-2)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각 공간이 상하 방향 및 기준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를 폭이라 하자. 제1-1 구획공간(S1-1)의 폭은 제1-2 구획공간(S1-2)의 폭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제2-1 구획공간(S2-1)의 폭은 제2-2 구획공간(S2-2)의 폭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제1-1 구획공간(S1-1)의 폭은 제2-1 구획공간(S2-1)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제1-2 구획공간(S2-1)의 폭은 제2-2 구획공간(S2-2)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Let's assume that the length of each spa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is the width. The wid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may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1-2). The wid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may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2-2 partition space (S2-2). The wid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The wid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2-1)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2-2 partition space (S2-2).

제1-1 구획공간(S1-1)의 폭은 제1-2 구획공간(S1-2)의 폭보다 길거나 같고, 제2-1 구획공간(S2-1)의 폭은 제2-2 구획공간(S2-2)의 폭보다 길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제품의 탈거 및 장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1-1 partition space (S1-1)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1-2 partition space (S1-2), and the wid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is the width of the 2-2 partition space. If it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space (S2-2), the convenience of removing and installing the product for user service can be increased.

일 예로, 제1 구획공간(S1)은 제2 구획공간(S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구획공간(S1-1)에는 물 가열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2 구획공간(S1-2)에는 난방 열교환기(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1 구획공간(S2-1)에는 팽창탱크(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2 구획공간(S2-2)에는 팬(50)이 배치될 수 있다. 팬(50)에서 송기되는 공기가 난방 열교환기(40)로 전달되기 위해, 제1 구획벽(14) 중 제1-2 구획공간(S1-2)과 제2-2 구획공간(S2-2)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partition space (S1)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partition space (S2). A water heater 30 may be placed in the 1-1 compartment space (S1-1). A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be disposed in the 1-2 partition space (S1-2). An expansion tank 20 may be placed in the 2-1 compartment space (S2-1). A fan 50 may be disposed in the 2-2 partition space (S2-2). In order for the air blown from the fan 50 to be delivered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e 1-2 partition space (S1-2) and the 2-2 partition space (S2-2)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 )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portion located between.

한편 케이스(10)는 접촉 부분(17)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분(17)은 제1 접촉영역(17a) 및 제2 접촉영역(1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영역(17a)은 외함(11)의 내면에 접촉되고, 기준 방향(D)을 향해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외함(11)의 내면은 기준 방향(D) 및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한 내면일 수 있다. 제1 접촉영역(17a)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1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17. The contact portion 17 may include a first contact area 17a and a second contact area 17b. The first contact area 17a may be an area tha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11 and extends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11 may be an inner surface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the vertical direction. Ribs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tact area 17a to reinforce rigidity.

제2 접촉영역(17b)은 제1 접촉영역(17a)의 기준 방향(D) 측 말단에서 외함(1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제2 구획벽(15)의 양단부와 결합되게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구획벽(15)의 양단부와 제2 접촉영역(17b)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 자석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area 17b is an area that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enclosure 11 from the end of the first contact area 17a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t can be. Both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nd the second contact area 17b may be screw coupl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adhesives and magnets may be possible.

접촉 부분(17)을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은 'L'자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분(17)은 제2 구획벽(15)의 양단부와 결합되기 위해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ontact portion 17 when viewed from above may be similar to an 'L' shape. Additionally, the contact portions 17 may be provided as a pair symmetrical to each other to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또한, 외함(11)에는 가이드 부분(1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분(18)은 기준 방향(D)을 향해 개구되어 제3 구획벽(16)의 양단부가 삽입되게 마련되는 가이드 홈(18a)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분(18)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한 쌍일 수 있다. 가이드 부분(18)을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은 'L'자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분(18)은 제3 구획벽(16)의 양단부와 결합되기 위해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부분(18)은 외함(11)의 내면 중 제2 구획공간(S2)에 인접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guide portion 18 may be formed in the enclosure 11. The guide portion 18 may have a guide groove 18a that is open toward the reference direction D so that both ends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6 are inserted. The guide portion 18 may be a pair of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shape of the guide portion 18 when viewed from above may be similar to an 'L' shape. Additionally, the guide portion 18 may be provided as a pair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order to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6. The guide portion 18 may b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11 adjacent to the second partition space S2.

제3 구획벽(16)의 양단부는 기준 방향(D)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3 구획벽(16)의 양단부가 기준 방향(D)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가이드 홈(18a)에 삽입될 때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구획벽(16)은 가이드 부분(18)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결합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Both ends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6 may protrude toward the reference direction (D). As both ends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6 protrude toward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ccurately guided whe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a. The third partition wall 16 may be screwed to the guide portion 18. However, the combining method is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외함(11)에는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케이스(10)는 외함(11)에 결합되게 마련되고, 외함(11)에 결합되었을 때 제2 개구를 커버하는 제2 개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opening opening upwar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closure 11, and the case 1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closure 11, and the second opening covers the second opening when coupled to the enclosure 11. Additional covers may be included.

<팽창탱크(20)><Expansion tank (20)>

팽창탱크(20)는 물을 보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물은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다. 팽창탱크(20)는 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체적 변화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팽창탱크(20)는 메인유로(60)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60)는 팽창탱크(20)와 물 가열기(30) 및 난방 열교환기(40)를 서로 연결하는 유로일 수 있다. 즉, 물은 팽창탱크(20)로부터 물 가열기(30)를 거쳐 난방 열교환기(4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유로(60)는 제1 구획벽(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구획벽(14) 중 메인유로(60)가 관통되는 부분에는 메인유로 패킹(68, 도 11)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유로 패킹(68)은 제1 구획벽(14) 중 메인유로(60)가 관통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expansion tank 20 may be provided to store water. Water may come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he expansion tank 2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volume changes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changes. The expansion tank 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60. The main flow path 60 may be a flow path connecting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heater 30,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at is, water may flow from the expansion tank 20 through the water heater 30 and in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erefore, the main flow path 60 can penetrate the first partition wall 14. Main flow path packing 68 (FIG. 11)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 through which the main flow path 60 passes. The main passage packing 68 can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 through which the main passage 60 passes.

메인유로(60)에 관한 자세한 형상에 관하여는 후술한다.The detailed shape of the main passage 60 will be described later.

팽창탱크(20)는 메인유로(60)를 따라 흐르는 물의 부피팽창을 수용할 수 있다. 팽창탱크(20)는 개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xpansion tank 20 can accommodate the volume expansion of water flowing along the main flow path 60. The expansion tank 20 may be configured in an open manner.

팽창탱크(2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온도 변화가 일어나거나 물의 출입이 일어날 경우, 팽창탱크(20)의 내부 압력의 변화가 같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팽창탱크(20)에 수용된 물이 메인유로(60)를 따라서 다른 구성요소들에 제공될 수 있다. If a temperature change occurs or water flows in and out while the expansion tank 20 is filled with water,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pansion tank 20 may also occur. According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expansion tank 20 can be provided to other components along the main flow path 60.

팽창탱크(20)는 물 유입관(P1)과 연결될 수 있다. 물 유입관(P1)은 팽창탱크(20)와 케이스(10) 외부의 수원을 서로 연결하여 케이스(10) 외부의 물을 팽창탱크(20)로 유입시키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 유입관(P1)은 케이스(10)를 관통할 수 있다. 일 예로 물 유입관(P1)은 케이스(10) 중 제2-1 구획공간(S2-1)에 인접한 벽을 관통할 수 있다.The expansion tank 2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pipe (P1). The water inlet pipe (P1)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expansion tank 20 and a water source outside the case 10 to allow water outside the case 10 to flow into the expansion tank 20. To this end, the water inlet pipe (P1) may penetrate the case (10). For example, the water inlet pipe (P1) may penetrate the wall adjacent to the 2-1 compartment space (S2-1) of the case (10).

팽창탱크(20)의 내측에는 팽창탱크(2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는 제어부(80)와 연결될 수 있다.A water level sensor may be placed inside the expansion tank 20 to detect the water level inside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물 가열기(30)><Water heater (30)>

물 가열기(30)는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물의 가열을 위해 물 가열기(30)는 연소반응을 일으키고, 연소반응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물에 전달할 수 있다.The water heater 30 is a component provided to heat incoming water and discharge it. To heat water, the water heater 30 can cause a combustion reaction and transf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reaction to the water.

물 가열기(30)는 버너(31)와 열교환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버너(31)는 연소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버너(31)는 연료와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고,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에 점화 플러그를 이용하여 화염을 형성해 연소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 버너(31)는 공기를 송기하는 송풍기와,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노즐과, 착화를 위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heater 30 may include a burner 31 and a heat exchanger 32. The burner 31 causes a combustion reaction. Therefore, the burner 31 can receive fuel and air, and can cause a combustion reaction to occur by forming a flame in the mixture of fuel and air using a spark plug. For this operation, the burner 31 may include a blower that supplies air, a fuel nozzle that injects fuel, and a spark plug that generates a spark for ignition.

버너(31)는 믹싱챔버를 더 포함하여, 믹싱챔버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연소반응에 의해 열과 연소가스가 생성되고, 이러한 열과 연소가스가 물에 전달될 수 있다. 연료는 메탄, 에탄 등을 포함하여 발전에 사용되는 천연가스일 수 있고, 오일일 수도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버너(31)가 발생시키는 연소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화염은, 버너(31)의 하측에 위치한 연소실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연소실은 습식(Wet-type) 연소실일 수 있다. 일 예로 연소실의 측면 에는 물이 지나가는 수배관이 연소실의 측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연소실 내부의 열이 연소실 외부로 방열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열은 수배관내의 물에 전달될 수 있다.The burner 31 may further include a mixing chamber, allowing fuel and air to be mixed in the mixing chamber. Heat and combustion gases are generated through combustion reactions, and these heat and combustion gases can be transferred to water. The fuel may be natural gas used for power generation, including methane, ethane, etc., or it may be oil, but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flame form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generated by the burner 31 may b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located below the burner 31. The combustion chamber may be a wet-type combustion chamber. For example, a water pipe through which water passes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surround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process of dissipating heat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some of the heat may be transferred to the water in the water pipe.

버너(31)에서 발생한 열이 물로 전달되기 위해, 열교환부(32)가 배치된다. 열교환부(32)는 버너(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A heat exchange unit 32 is disposed to transf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urner 31 to water. The heat exchange unit 32 may be disposed below the burner 31.

한편 열교환부(32)는 일체형 열교환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체형 열교환기 구조라 함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열교환 매체가 유통되는 열교환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열교환부(32)가 일체형 열교환기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열교환부(32)는 일반적인 콘덴싱 보일러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와 비교할 때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전체 높이는 낮아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가열 장치(1)의 내부 구조가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물 가열기(30)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 가열 장치(1)의 내부에 여러 구성 요소들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공기 가열 장치(1)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heat exchange unit 32 may have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structure.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structure may mean a heat exchanger structure in which different types of heat exchange media are distributed. As the heat exchange unit 32 has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structure, the heat exchange unit 32 can have a structure with a lower overall height while maintaining performance compared to a heat exchanger used in a general condensing boiler. Accordingly, althoug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ir heating device 1 is narrow, the overall height of the water heater 30 can be lowered. As a result, various components can be easily placed inside the air heating device 1, and the overall size of the air heating device 1 can be miniaturized.

열교환부(32)는 현열 열교환기와 잠열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현열 열교환기와 잠열 열교환기는 핀과 물이 내부를 통해 흐르는 튜브를 포함하는 핀-튜브 타입의 열교환기일 수 있고,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열교환부(32)로 유입된 물은 잠열 열교환기와 현열 열교환기를 차례대로 거쳐 가열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unit 32 may include a sensible heat exchanger and a latent heat exchanger.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may be a fin-tube 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fins and a tube through which water flows, or may be a plate-type heat exchanger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but the types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water flowing into the heat exchanger 32 can be heated through a latent heat heat exchanger and a sensible heat exchanger in that order.

핀-튜브 타입의 열교환기로 현열 열교환기와 잠열 열교환기가 구성될 경우, 핀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튜브에 의해서 관통될 수 있다. 복수의 핀이 튜브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핀과 핀,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고, 물은 튜브의 내부를 통해 흘러 물과 연소가스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When a sensible heat exchanger and a latent heat exchanger are composed of a fin-tube type heat exchanger, the fins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penetrated by a tube. A plurality of fin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e extends. Combustion gas can flow through the space between fins and fins and tubes, and water can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e, allowing heat exchange between water and combustion gas.

튜브는 튜브가 연장된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그 내부공간이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튜브의 내부공간은, 상술한 단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를 상하방향에 수직한 전후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으로 나눈 값이 2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ube may have the shape of a long hole whose internal space is lo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 cross section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e extends. The internal space of the tube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bove-described cross section divided by the width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2.

현열 열교환기는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을 전달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현열 열교환기는 버너(3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현열 열교환기는 화염에 대해 차단되지 않고, 연소가스는 현열 열교환기를 통과할 수 있다.A sensible heat exchanger is provided to receive heat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and heat the water flowing through it. Therefor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can be placed adjacent to the burner 31. The sensible heat exchanger is not blocked against the flame, and combustion gases can pass throug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잠열 열교환기는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의 잠열을 이용해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게 마련된다. 잠열 열교환기는 연소가스의 잠열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연소가스가 포함하는 수분의 응축이 일어날 때 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잠열 열교환기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에 전달한다. 따라서 현열 열교환기에서 물에 열을 전달해 온도가 낮아진 연소가스가 도달하여 응축되도록, 잠열 열교환기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기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잠열 열교환기가 포함하는 튜브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A latent heat heat exchanger is provided to hea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ide using the latent heat of combustion gas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Since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uses the latent heat of the combustion gas, the heat generated whe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condenses and is transferred to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Therefore,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may be placed after the sensible heat exchanger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so that the combustion gas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by transferring heat to the water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reaches and condenses. Tubes includ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r can be plac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to form a plurality of heats.

현열 열교환기 및 잠열 열교환기는, 물이 잠열 열교환기를 거쳐 현열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메인유로(6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잠열 열교환기에서 일차적으로 가열된 뒤, 현열 열교환기에서 이차적으로 가열돼 후술할 난방 열교환기(40)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may be disposed in the main flow path 60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through the latent heat exchanger. Therefore, the water can be heated primarily in the latent heat exchanger, then secondarily heated in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then transferred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물 가열기(30)는 현열 열교환기의 외측에 현열 단열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열 단열배관은 현열 열교환기에 대한 단열을 수행하도록, 난방수가 내부를 따라 흐르되 현열 열교환기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배관이다.The water heater 30 may further include a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outsid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Sensible heat insulated pipe is a pipe in which heating water flows along the inside and contacts the sensible heat exchanger directly or indirectly so as to insulate the sensible heat exchanger.

물 가열기(30)에서 버너(31), 현열 열교환기 및 잠열 열교환기는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가면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 연소가스는 하방으로 흐를 수 있다. 그러나 그 방향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water heater 30, the burner 31,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the latent heat exchanger may be arranged in or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fore, at this time, combustion gas can flow downward. However, the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is.

열교환부(32)는 열교환 하우징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 현열 열교환기와 잠열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공간을 연소가스가 통과하며 각 열교환기의 튜브를 지나가는 물과 열교환 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unit 32 includes a heat exchange housing, and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a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and a latent heat exchanger are disposed therein. Combustion gas passes through the space located inside the heat exchange housing and can exchange heat with water passing through the tubes of each heat exchanger.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단면적을 기준 단면적이라고 하자. 열교환 하우징은 기준 단면적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갈수록 줄어드는 테이퍼진 영역과, 기준 단면적이 줄어들지 않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 하우징의 상류측 말단에서의 기준 단면적보다, 하류측 말단에서의 기준 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기의 하류측 말단에서의 기준 단면적보다, 잠열 열교환기의 상류측 말단에서의 기준 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연소가스가 현열 열교환기측으로부터 잠열 열교환기측으로 흐를 때 유속이 감소하는 정도가, 기준 단면적이 유지되는 경우보다 줄어들어, 핀과 핀 사이 또는 튜브와 튜브 사이에 위치하는 응축수를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가 잠열 열교환기에서 연소가스의 유동정체를 일으켜 열효율의 감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이러한 열교환 하우징의 구조가 방지할 수 있다. 각 열교환기의 핀은 상술한 열교환 하우징의 내부공간 형상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Let us call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t exchange housing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The heat exchange housing may include a tapered area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and a s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does not decrease.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heat exchange housing may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upstream end of the heat exchange housing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upstream end of the latent heat exchanger may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cross-sectional area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Therefore, when combustion gas flows from the sensible heat exchanger side to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side, the degree to which the flow rate is reduced is smaller than when the standard cross-sectional area is maintained, and condensate located between fins or between tubes can be pushed out.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is heat exchange housing can prevent condensate from causing stagnation of combustion gas in the latent heat exchanger, thereby reducing thermal efficiency. The fins of each heat exchanger may be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heat exchange housing described above.

물이 유동하는 순서를 열교환부(32)로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교환부(32) 중 잠열 열교환기로 물이 먼저 유입될 수 있고, 물은 잠열 열교환기에서 주변을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며 이러한 응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잠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잠열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물은 현열 열교환기로 전달되어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받는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열교환부(32)에서 가열된 물은 난방 열교환기(40)로 전달될 수 있다. 난방 열교환기(40)로 전달된 물은 난방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공기에 열을 전달하여 냉각될 수 있다.The order in which water flows from the heat exchanger 32 is explained as follows. Water may first flow into the latent heat exchanger of the heat exchanger 32, and the water may condense water vapor of combustion gas flowing around i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and be heated by receiving the latent heat generated during this condensation process. Water heated in the latent heat exchanger can be transferred to the sensible heat exchanger and heated in such a way that it receives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Water heated in the heat exchanger 32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e water delivered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can be cooled by transferring heat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열교환 하우징은 좌우측면과 좌우측면을 덮는 유로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캡 플레이트는 튜브가 관통하는 열교환 하우징의 좌우측면을 덮음에 따라 좌우측면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유로캡을 포함하는 플레이트이다. 복수의 유로캡과 튜브가 서로 연통되어, 열교환부(32)내에서 물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로캡과 튜브에 의해 열교환부(32)에 형성되는 유로는 병렬 구간과 직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housing may include left and right sides and a flow cap plate covering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flow cap plate is a plate that includes a flow cap that cover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t exchange housing through which the tube passes, forming an internal spac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A plurality of flow path caps and tubes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within the heat exchange unit 32. The flow path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32 by a plurality of flow path caps and tubes may include a parallel section and a series section.

물 가열기(30)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잠열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응축수 받이(37)를 포함할 수 있다. 잠열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연직하방으로 낙하할 경우 응축수 받이(37)가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다. The water heater 30 may include a condensate receiver 37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latent heat exchang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When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latent heat exchanger falls vertically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the condensate receiver 37 can collect the condensate.

응축수 받이(37)는 응축수 배출관(P3)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응축수 받이(37)는 수집한 응축수가 연직하방으로 연장된 응축수 배출관(P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 배출관(P3)을 향해 경사진 내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P3)에는 연소가스의 배출이 응축수 배출관(P3)을 통해 일어나지 않되 응축수는 배출되도록 하는 응축수 트랩(T)이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트랩(T)은 볼 타입 트랩일 수 있고, 응축수를 중화시켜 배출하도록 중화제를 내장할 수 있다. The condensate receiver 37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The condensate receiver 37 may have an inner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so that the collected condensat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 condensate trap (T) may be placed in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to prevent combustion gas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but to allow condensate to be discharged. The condensate trap (T) may be a ball-type trap and may have a built-in neutralizing agent to neutralize and discharge the condensate.

응축수 배출관(P3)은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응축수 배출관(P3)은 케이스(10) 중 제2-1 구획공간(S2-1)에 인접한 벽을 관통할 수 있다.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may penetrate the case 10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For example,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may penetrate the wall adjacent to the 2-1 compartment space (S2-1) of the case (10).

또한 응축수 배출관(P3)은 제1 구획벽(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구획벽(14) 중 응축수 배출관(P3)이 관통되는 부분에는 응축수 패킹(38, 도 11)이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패킹(38)은 제1 구획벽(14) 중 응축수 배출관(P3)이 관통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may penetrate the first partition wall (14). A condensate packing 38 (FIG. 11)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 through whic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passes. The condensate packing 38 can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 through whic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passes.

또한 응축수 배출과 동시에 잔여 연소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물 가열기(30)는 배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는 응축수 받이(37)와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기 덕트는 연직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잔여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Additionally, the water heater 30 may include an exhaust duct so that residual combustion gases can be discharged simultaneously with condensate discharge. The exhaust duct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ensate receiver 37. The exhaust duct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and discharges the remaining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물 가열기(30)에 대해 외부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급기구(33)가 케이스(10)의 상측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급기구(3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물 가열기(30)의 버너(31)로 제공될 수 있다. 물 가열기(30)의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한 연소가스는 배기 덕트를 통해 케이스(10)의 상측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스배출구(34)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소가스가 물 가열기(30) 내에만 위치하다가 가스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되므로, 각 방에 공급되는 공기에 연소가스가 섞일 우려가 없다.A supply opening 33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water heater 30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wall of the case 10.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 33 may be provided to the burner 31 of the water heater 30.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of the water heater 30 may be delivered to the gas outlet 34 formed through the upper wall of the case 10 through the exhaust duc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Since the combustion gas is located only within the water heater 3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outlet 34,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combustion gas will be mixed with the air supplied to each room.

일 예로, 급기구(33) 및 가스배출구(34)는, 케이스(10)의 제2 개구 커버(19) 중 상방으로 돌출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 커버(19) 중 상방으로 돌출된 영역은 물 가열기의 교체 시 교체된 물 가열기의 높이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증가된 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ly port 33 and the gas outlet 34 may be formed in an upwardly protruding area of the second opening cover 19 of the case 10. At this time, the upwardly protruding area of the second opening cover 19 may also serve to provide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increased height even when the height of the replaced water heater increases when the water heater is replaced. .

한편, 공기 가열 장치(1)에 연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료 유입관(P2)이 케이스(10)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 유입관(P2)은 케이스(10) 중 제1-1 구획공간(S1-1)에 인접한 벽을 관통할 수 있다. 연료 유입관(P2)은 물 가열기(30)와 케이스(10) 외부의 연료 탱크를 서로 연결하여 케이스(10) 외부의 연료를 물 가열기(30)로 유입시키게 마련되는 관일 수 있다.Meanwhile, a fuel inlet pipe (P2) for providing fuel to the air heating device 1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case 10. For example, the fuel inlet pipe (P2) may penetrate the wall adjacent to the 1-1 compartment space (S1-1) of the case (10). The fuel inlet pipe P2 may be a pipe that connects the water heater 30 and the fuel tank outside the case 10 to allow fuel outside the case 10 to flow into the water heater 30.

연료 유입관(P2)은 버너(31)와 벤추리(36)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연료 유입관(P2)과 벤추리(36)는 연료밸브(35)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연료밸브(35)가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버너(31)에 대한 연료의 공급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연료밸브(35)는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uel inlet pipe (P2) may be connected to the burner 31 and the venturi (36). The fuel inlet pipe (P2) and the venturi (36) may be connected via the fuel valve (35). As the fuel valve 35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whether or not fuel is supplied to the burner 31 can be determined. The fuel valve 3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난방 열교환기(40)><Heating heat exchanger (40)>

난방 열교환기(40)는 물과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난방 열교환기(40)는 물을 전달받아 난방을 위해 배출될 공기와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난방 열교환기의 설명을 위해 후술할 도 8을 참고할 수 있다.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is a component provided for heat exchange between water and air.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water and exchange heat with air to be discharged for heating. For explanation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난방 열교환기(40)는 케이스(10)의 상측 벽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난방 열교환기(40)는 물 가열기(30)에 의해서 가열된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열교환 튜브(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튜브(42)는 내부를 통해 물이 유동하고 외부를 통해 팬(50)에 의해 송기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구불구불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 튜브(42)는 알루미늄과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wall of the case 10.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include a heat exchange tube 42 through which water heated by the water heater 30 can flow. The heat exchange tube 42 is formed in a pipe shape so that water flows through the inside and air supplied by the fan 50 flows through the outside, and is arranged to form a winding flow path in the front-back and left-right directions. It can be. The heat exchange tube 42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luminum and copper.

열교환 튜브(42)가 상술한 것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를 통해 물이 흐르도록 마련되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내부와 외부로 연소가스와 공기가 유동하여 과도한 열팽창 및 수축을 경험해 크랙이 발생하고 연소가스의 누출이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가스 퍼니스의 배관과 달리, 크랙이 발생할 위험이 줄어들고, 크랙이 발생한다 해도 연소가스가 공기에 누출되는 것이 아니라 물이 새어나가는 것이 전부이므로, 안전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 열교환기(40)에서는 물과 공기의 열교환이 열교환 튜브(42)를 통해 일어나므로, 습도가 유지되며 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져, 별도의 습도 조절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Since the heat exchange tube 42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so that water flows through the insid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Unlike the piping of a conventional gas furnace, which experiences excessiv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as combustion gases and air flow inside and out, which can cause cracks and combustion gas leaks, the risk of cracks occurring is reduced, and even if cracks do occur, Since combustion gases do not leak into the air but only water, safety can be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in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exchange between water and air occurs through the heat exchange tube 42, so humidity is maintained and air is heated, so a separate humidity control device is not required.

열교환 튜브(42)는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 튜브(42)가 4개의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나, 층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열교환 튜브(42)는 4개의 층을 형성하되 전부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렬과 병렬 연결을 혼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eat exchange tube 42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layer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tube 42 is shown and described as forming four layers, but the number of layers is not limited thereto. Additionally, the heat exchange tube 42 may form four layers, all of which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may be formed as a mixture of series and parallel connections.

열교환 튜브(4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재(421)와, 서로 인접한 직선부재(421)들의 말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같은 층 연결부재(422)와 다른 층 연결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재(421)가 좌우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복수의 같은 층 연결부재(422)가 각 직선부재(421)의 전후단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직선부재(421)들의 말단을 연결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다른 층 연결부재(423)는, 서로 인접한 층에 위치한 직선부재(421)들의 말단을 서로 연결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부재는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tube 42 may include a straight member 421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ends of adjacent straight members 421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same-layer connecting member 422 and a different layer connecting member 423. A plurality of straight members 421 are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same-layer connecting members 422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each straight member 421 to connect the ends of adjacent straight members 421 to form a flow path. can be formed. The plurality of different layer connection members 423 may form a flow path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straight members 421 located in adjacent layers. Each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U' shape.

난방 열교환기(40)는 분배관(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관(44)은 물 가열기(30)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열교환 튜브(42)로 구성된 각 층에 물을 분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관(44)은 분배 전달관(441)과 분배 헤드(44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전달관(441)은 메인유로(60)와 연결되어 열교환부(32)를 통해 가열된 물을 전달받고, 분배 전달관(441)과 연결된 분배 헤드(442)에서 물이 유동하게 된다. 분배 헤드(44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직선부재(4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헤드(442)에 의해, 입구와 출구가 공통되는 복수의 부분유로로 구성되는 병렬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병렬유로의 입구가 분배 헤드(442)가 될 수 있다. 열교환 튜브(42)가 형성하는 전체 유로는 상술한 병렬유로로 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further include a distribution pipe 44. The distribution pipe 44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heater 30 and distribute the water to each layer composed of heat exchange tubes 42. The distribution pipe 44 may include a distribution delivery pipe 441 and a distribution head 442. The distribution delivery pipe 441 is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60 and receives heated water through the heat exchanger 32, and the water flows in the distribution head 442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delivery pipe 441. The distribution head 442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traight members 421. Therefore, a parallel flow path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ial flow paths with common inlets and outlets can be formed by the distribution head 442. Here, the inlet of the parallel flow path may be the distribution head 442. The entire flow path formed by the heat exchange tube 42 may include a section consisting of the above-described parallel flow paths.

이 때 분배 헤드(442)가 연결되는 직선부재(421)들은, 열교환 튜브(42)가 형성하는 층 중 가장 위층에 위치하는 직선부재(421)일 수 있다. 열교환 튜브(42)의 가장 위층에 물이 전달되고, 열교환 튜브(42)가 형성하는 각 층을 따라 가장 아래층까지 물이 유동한다. 이 과정에서 물은 열교환 배관의 주변을 지나가는 공기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난방 열교환기(40) 내에서 팬(50)에 의해 송기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방이고, 물이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은 그 반대인 하방으로 형성되어, 대향류(counter-flow)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raight members 421 to which the distribution head 442 is connected may be the straight members 421 located at the uppermost layer among the layers formed by the heat exchange tube 42. Water is deliver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heat exchange tube 42, and water flows along each layer formed by the heat exchange tube 42 to the lowest layer. In this process, water can transfer heat to the air passing around the heat exchange pipe.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supplied by the fan 50 within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flows is upward, and the overall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moves is downward, forming a counter-flow structure. You can have it.

난방 열교환기(40)는 공기에 열전달을 마친 물을 물 가열기(30)로 회송시키도록 하는 집합관(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집합관(45)은 집합 전달관(451)과 집합 헤드(452)를 포함할 수 있다. 집합 헤드(452)에 열교환 튜브(42)가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집합 헤드(452)로 전달된다. 집합 헤드(452)는 집합 전달관(451)과 연결되어, 집합 전달관(451)에 연결된 회수유로(70)로 냉각된 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집합 헤드(45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직선부재(4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집합 헤드(452)가 병렬유로의 출구가 되어, 병렬유로가 집합 헤드(452)에서 종결되므로, 집합 헤드(452)로 물이 모일 수 있다. 이 때 집합 헤드(452)가 연결되는 직선부분들은, 열교환 튜브(42)가 형성하는 층 중 가장 아래층에 위치하는 직선부분들일 수 있다.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pipe 45 that returns water that has completed heat transfer to the air to the water heater 30. The collection pipe 45 may include a collection transmission pipe 451 and a collection head 452. A heat exchange tube 42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head 452, and cooled water is delivered to the collecting head 452. The collection head 452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delivery pipe 451, so that cooled water can be delivered to the recovery passage 70 connected to the collection delivery pipe 451. The assembly head 452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traight members 421. Therefore, the collecting head 452 becomes the outlet of the parallel flow path, and the parallel flow path terminates at the collecting head 452, so water can collect in the collecting head 452. At this time, the straight parts to which the collection head 452 is connected may be straight parts located in the lowest layer among the layers formed by the heat exchange tube 42.

난방 열교환기(40)는 열교환 튜브(42)를 가로지르되, 열교환 튜브(42)에 의해서 관통되는 전열핀(43)을 복수 개 가질 수 있다. 전열핀(43)은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열교환 튜브(42)의 내측에서 흐르는 물의 열을 주변의 공기로 보다 잘 전달할 수 있다. 상방을 따라 열교환 튜브(42)와 전열핀(43)들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전열핀(43)과 열교환 튜브(42)는 난방 열교환 하우징(4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열핀(43)은 난방 열교환 하우징(4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난방 열교환 하우징(41)이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crosses the heat exchange tube 42 and may have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fins 43 penetrated by the heat exchange tube 42. The heat conduction fins 43 are formed in a plate shape orthogonal to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are arrang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to better transfer the heat of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heat exchange tube 42 to the surrounding air. Air may pass between the heat exchange tube 42 and the heat transfer fins 43 along the upper side. The heat conduction fins 43 and the heat exchange tube 42 may be fixed by the heating heat exchange housing 41. The heat conduction fins 43 may be disposed within the heating heat exchange housing 41. The heating heat exchange housing 41 may be fixed to the case 10.

<팬(50)> <Fan (50)>

팬(50)은 난방 열교환기(40)로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된다. 팬(50)은 상방으로 공기를 송기해 난방 열교환기(40)를 통과시키도록, 난방 열교환기(40)의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상방을 바라보고 배치될 수 있다. 팬(50)은 모터와 날개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팬(50)이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동작함에 따라 모터가 날개를 돌려 공기가 송기될 수 있다. 팬(50)은 임펠러 등을 포함해, 공기를 압송할 수도 있다. The fan 50 is provided to send air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e fan 50 is disposed below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o send air upward and pass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may be disposed to face upward. The fan 50 includes components such as a motor and blades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Therefore, as the fan 50 is electrically controlled and operated, the motor rotates the blades and air can be supplied. The fan 50 may include an impeller and the like to pump air.

팬(50)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2-1 구획공간(S2-1)이 기준 방향(D)을 따라 갖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팬(50)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는 제2-1 구획공간(S2-1)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갖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공간 중 팬(50)과 난방 열교환기(40) 사이에 빈 공간인 송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an 5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fan 5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2-1 partition space S2-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 empty air suppl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an 50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

공기의 순환과정을 팬(50)으로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팬(5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송기될 수 있다. 송기된 공기는 난방 열교환기(40)를 통과한다. 공기가 난방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난방 열교환기(40)를 거쳐가는 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가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되고, 덕트(3)를 통해 가옥의 각 방으로 보내질 수 있다. 각 방으로 보내진 공기 또는 외부로부터 가옥의 내부로 유입된 차가운 공기는 다시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팬(50)의 입구로 진입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process from the fan 50 is explained as follows. Air introduced into the fan 50 may be blown upward. The supplied air passes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s air passes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it may be heated by receiving heat from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He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and can be sent to each room of the house through the duct 3. Air sent to each room or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house from the outside may flow back into the case 10 and enter the inlet of the fan 50.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 메인유로(60) 및 회수유로(7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메인유로(60)는 팽창탱크(20)와 물 가열기(30), 그리고 난방 열교환기(40)를 서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회수유로(70)는 난방 열교환기(40)와 후술할 메인유로(60)의 제1 부분(61)을 서로 연결하여, 난방 열교환기(40)로 유입된 물을 제1 부분(61)으로 안내하는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유로(70)는 제1 구획벽(14)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유로라 함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내측부가, 내부를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파이프나 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유체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Below, the main passage 60 and the recovery passage 70 that connect each component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ain flow path 60 may refer to a flow path connecting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heater 30,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e recovery passage 70 connects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the first portion 61 of the main passage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ransfer water flowing in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o the first portion 61. It may mean a guiding euro. Therefore, the recovery passage 70 can penetrate the first partition wall 14. Meanwhile, a flow path may mean that the inner parts of components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are connected by pipes or hoses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forming a path through which fluid flows.

<메인유로(60)> <Main Euro (60)>

메인유로(60)는 제1 부분(61) 및 제2 부분(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61)은 팽창탱크(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61)은 팽창탱크(20)의 배수를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61)에는 필터부(63)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63)는 제1 부분(61)에 배치되어, 제1 부분(61)을 지나는 물을 여과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main passage 60 may include a first part 61 and a second part 62. The first part 61 may be a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xpansion tank 20. The first part 61 may be a part for draining the expansion tank 20. A filter unit 63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art 61. The filter unit 63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art 61 to filter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rt 61.

제2 부분(62)은 제1 부분(61) 및 팽창탱크(20)와 연통되고, 팽창탱크(20)로부터 연장되고, 일단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물 가열기(30)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분(62)에는 펌프부(64)가 배치될 수 있다. 펌프부(64)는 제2 부분(62)에 배치되어, 제2 부분(62)을 지나는 물을 물 가열기(30)로 압송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부분은 U자와 비슷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U자 형태라 함은, 상방으로 개구되는 형상에 있어 유사성이 있음을 의미하고, 반드시 상방으로 연장되는 양 측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part 6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art 61 and the expansion tank 20, extends from the expansion tank 20, and has one end extending upwar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heater 30. . A pump unit 64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art 62. The pump unit 64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art 62 to pump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rt 62 to the water heater 30. For example, the second part may have a U-shaped shape. Here, the U-shaped shape means that there is similarity in the shape of the upward opening,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lengths of both sides extending upward are the same.

펌프부(64)는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펌프부(64)는 물에 가하는 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가변용량 펌프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0)는 메인유로(60)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변화를 위해 펌프부(64)를 제어할 수 있다.The pump unit 6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The pump unit 64 may be a variable capacity pump that can change the pressure applied to water. Therefore, the 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pump unit 64 to change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along the main flow path 60.

한편, 팽창탱크(20)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관 형태의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62)은 팽창탱크(20)의 관통 홀을 관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제2 부분(62)은 팽창탱크(20)의 관통 홀을 관통하는 형상을 가지되, 일단은 물 가열기(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타단은 팽창탱크(2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부분(62)의 타단과 일단 사이에는 U자 형태의 관이 형상될 수 있다.Meanwhile, a tube-shaped through hole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expansion tank 20. The second part 62 may have a shape tha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of the expansion tank 20. To summarize, the second part 62 has a shape tha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of the expansion tank 2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heater 30 at one end. Additionally, the other end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tank (20). A U-shaped tube may be form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t 62.

이하에서는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계속하여 상술한다.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구성요소는 제어부(80) 및 기밀부(90)일 수 있다.Hereinafter, components tha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dditional components that may be provided may be a control unit 80 and an airtight unit 90.

<제어부(80)><Control unit (80)>

제어부(80)는 메인유로(60)를 통해 난방 열교환기(40)를 통과하여 물 가열기(30)로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제어부(8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논리 연산이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종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를 각 구성요소들에 전달해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각종 센서 또는 획득부들에 연결되어 획득된 정보를 신호의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프로세서는 공기 가열 장치(1)가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더 가져 상호 통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 is provid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water that passes through the main flow path 60,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is returned to the water heater 30. The control unit 80 may include a processor and memory. A processor is a component that includes elements capable of logical operations that perform control commands, and may includ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and can perform control by transmitting signals according to control commands to each component, and can be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or acquisition units to receive acquir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signals. Accordingly,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included in the air heating device 1. Since the process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omponent, i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connecting with a conductive wire or by further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일체형의 공기 가열 장치(1)의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해 연산을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전달하므로, 최적의 상태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자동으로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의 일체형 연동제어로 인해 후술할 것과 같이 순환하는 물과 공기로부터 획득한 정보 또는 제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통합하여 제어하므로, 고른 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에 적합한 최적설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The proces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integrated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alculations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ransmits control signals, so that each component is maintained in an optimal condition. It can be controlled, and each component can work automatically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due to the integrated interlocking control of the processor, information or control data obtained from circulating water and air is acquired, integrated, and controlled in real 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eve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and the optimal setting suitable for the entire system is automatically selected. can do.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어명령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서버,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메모리에는 이 밖에도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Control commands performed by the processor can be stored and utilized in memory. Memory may be a device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SD), server, volatile media, or non-volatile media, but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data necessary for the processor to perform task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제어부(80)는 제2-1 구획공간(S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 커버(13)에는 사용자가 제어부(80)를 조작하기 위해 조작 가능한 디스플레이, 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부(81)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 may be placed in the 2-1 partition space (S2-1). A manipulation unit 81 including a display and buttons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to operate the control unit 8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opening cover 13 .

제어부(80)는 메인유로(60)에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환수되는 물의 수온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메인유로(60)에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이 감소하도록 제어될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난방 열교환기(40)에서 보다 오랜 시간동안 물이 유동하여, 많은 열량을 공기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고, 환수되는 물의 수온이 감소할 것이다. 반대로 메인유로(60)에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될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환수되는 물의 수온이 증가할 것이다.The 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returned water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 the main flow passage 60. If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 the main flow path 60 is controlled to decrease, water will flow in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for a longer time than otherwise, and a large amount of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air, and the water will be recovered. The water temperature will decrease. Conversely, when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 the main flow path 60 is controll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returned water will increase compared to the other case.

제어부(80)는 버너(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물에 전달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버너(31)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에 사용하기 위해, 공기를 송기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80)는 이러한 송풍기가 돌아가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화염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rner 31 and can control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water. The burner 31 may include a blower that blows air to mix fuel and air and use it for combustion.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speed at which the blower rotates to provide air to the flame generating area.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공기의 유량이 조절됨에 따라 물 가열기(30)에서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량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는 6:1 내지는 10:1의 높은 턴다운비를 가질 수 있어, 저부하운전 및 고부하운전과 같이 서로 다른 부하를 가지는 운전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열량 또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일정한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the flow rate of air is adjuste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in the water heater 30 can be adjusted. Therefore,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high turndown ratio of 6:1 to 10:1, making it suitable for operating situations with different loads such as low load operation and high load operation. The effect of maintaining constant efficiency can be expec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heat or the flow rate of water.

한편 제2-1 구획공간(S2-1)에는 외부 연동 컨트롤러(82, 도 1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연동 컨트롤러(82)는 케이스(10)의 제1 개구 커버(1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연동 컨트롤러(82)는 가옥 내 써모스탯 등 공기 가열 장치의 외부에 위치한 기기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외부 연동 컨트롤러(82)는 외부에 위치한 기기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외부 연동 컨트롤러(82)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술한 제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n external interlocking controller 82 (FIG. 13)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2-1 partition space (S2-1). The external interlocking controller 8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cover 13 of the case 10. The external interlocking controller 82 can exchange data with devices located outside the air heating device, such as a thermostat in a house. The external interlocking controller 82 can transmit data obtained from externally located devices to the control unit 80. The control unit 80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controls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terlocking controller 82.

<기밀부(90)><Confidentiality Department (90)>

도 5는 기밀부 및 제2 구획부의 단면 및 그 단면을 확대 도시한 모습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기밀부(90)는 제2 구획벽(15)과 외함(11) 사이에 배치되어, 제1-1 구획공간(S1-1)과 제1-2 구획공간(S1-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기밀부(90)는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재질일 수 있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airtight por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nd an enlarged view of the cross-section. The airtight portion 9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nd the enclosure 11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1-1 partition space (S1-1) and the 1-2 partition space (S1-2). It can be arranged to maintain. The airtight portion 90 may be made of EPDM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기밀부(90)는 기밀부재(91) 및 돌기부재(9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밀부재(91)는 제2 구획벽(15)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획벽(15)의 가장자리에는 기준 방향(D)의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영역이 형성되고, 기밀부재(91)는 돌출영역을 감싸게 마련될 수 있다. 돌출영역을 감싸기 위해, 기밀부재(91)는 단면이 'C'자 형상과 유사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기밀부재(91)가 기준 방향(D)을 향해 개구된 영역을 가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밀부재(91)는 두께가 변화하는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The airtight portion 90 may include an airtight member 91 and a protruding member 92. The airtight member 91 may surround the edg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For example, a protruding area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nd the airtight member 91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protruding area. In order to surround the protruding area, the airtight member 91 may have an area similar to a 'C' shape in cross section. This may mean that the airtight member 91 has an area open toward the reference direction (D). Additionally, the airtight member 91 may have a region where the thickness changes.

예를 들어, 돌출영역이 제2 구획벽(15)의 가장자리에서 기준 방향(D)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때, 기밀부재(91)는 기준 방향(D)의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된 영역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2 구획벽(15)를 조립할 때, 기준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제2 구획벽을 조립하게 되므로, 그 과정에서 돌출영역을 감싸는 기밀부재(91)가 기준 방향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탈거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For example, a case where the protruding area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considered. At this time, the airtight member 91 has an area that is open towar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In this case, when assembl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assembled alo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so in the process, the airtight member 91 surrounding the protruding area is affected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in the reference direction. There is a risk that it may be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는 돌출영역이 제2 구획벽(15)의 가장자리에서 기준 방향(D)의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기밀부재(91)는 기준 방향(D)을 향해 개구된 영역을 가지게 된다. 제2 구획벽(15)을 조립할 때, 기준 방향(D)의 반대 방향을 따라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 과정에서 탈거될 우려가 적어질 수 있다.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ding area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so that the airtight member 91 extends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re is an area open towards the When assembl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t is assembled alo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so the risk of disassembly during the assembly process can be reduced.

돌기부재(92)는 기밀부재(9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함(11)에 접촉될 수 있다. 돌기부재(92)는 돌기부재(92)의 연장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돌기부재(92)를 기준 방향(D)에 나란한 단면으로 잘랐을 때 돌기부재(92)를 바라보는 형상이 돌기부재(92)의 연장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형상일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9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airtight member 91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enclosure 11. The protruding member 92 may have a tapered shap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92 extends. For example, when the protruding member 92 is cut into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shape viewed from the protruding member 92 may be taper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92 extends.

돌기부재(92)는 제1 돌기(92a) 및 제2 돌기(9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92b)는 제1 돌기(92a)와 기준 방향(D)을 따라 이격되고 제1 돌기(92a)가 연장되는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ember 92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92a and a second protrusion 92b. The second protrusion 92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92a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92a extends.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가 기밀부(90)를 포함함에 따라 물 가열기(30)에서 내부 부품의 소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 및 유해 물질이 공기 가열 장치(1)의 내측에 잔류하거나, 난방 열교환기(40)가 위치한 공간으로 전이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tight portion (90), carbon monoxide and harmful substances that may be generated due to burnout of internal parts in the water heater (30) are removed from the air heating device (1). It ca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it from remaining inside or transferring to the space where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is located and being included in the air supplied indoors.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는 각 부품들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모듈화 되어 있어 내부 부품의 수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하여 상술한다. 각 부품들의 분리는 제2 구획벽(15) 및 제3 구획벽(16)의 분리와 함께 일어날 수 있다. 제2 구획벽(15) 및 제3 구획벽(16)의 분리 이전에는 제1 개구 커버(13)의 분리가 선행될 수 있다.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so that each par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acilitate repair of internal parts. Below,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ring about such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eparation of each part may occur together with separa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nd the third partition wall 16. Separation of the first opening cover 13 may precede separa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nd the third partition wall 16.

도 6은 제2 구획벽과 난방 열교환기가 분리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구획벽과 난방 열교환기가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구획벽이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난방 열교환기가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1 구획공간의 하측 및 하측을 확대 도시한 모습을 함께 도면이다. 도 11은 제1 구획벽을 기준 방향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각 도면들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외함과 같은 일부 구성이 생략 도시될 수 있다.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separated.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combined.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heating heat exchanger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and lower sides of the 1-1 compartment space.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partition wall viewed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For reference, in each drawing, some components, such as an enclosure, may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제2 구획벽(15)의 분리를 위한 구조><Structure for separa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이하에서는 제2 구획벽(15)의 분리를 위한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다. 제2 구획벽(15)은, 난방 열교환기(40)의 기준 방향(D)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물 가열기(30)는 제2 구획벽(15)의 기준 방향(D) 측에 연결되어 제2 구획벽(15)이 외함(11)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때, 제2 구획벽(15)과 함께 이탈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In addition, the water heater 30 is connected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so that when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 can be separated together.

일 예로 제2 구획벽(15)에는 관통용 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용 홀(15')은 기준 방향(D)을 따라 관통될 수 있다. 관통용 홀(15')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이라 함은 반드시 두 개의 관통용 홀(15')이 대응되는 형상이나 위치 등을 가질 것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 penetration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he penetration hole 15' may be penetrat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penetration holes 15' may be formed as a pair. Here, a pair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at the two penetration holes 15' have corresponding shapes or positions.

난방 열교환기(40)는 관통부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재(46)는 일부분이 관통용 홀(15')을 관통하게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재(46)는 관통 영역(46') 및 지지 영역(46'')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영역(46')은 기준 방향(D)으로 연장되어 관통용 홀(15')을 관통할 수 있다. 지지 영역(46'')은 관통 영역(46')의 기준 방향(D)의 반대 방향 측에 형성할 수 있다. 지지 영역(46'')은 테두리를 기준 방향(D)을 따라 바라 볼 때, 관통용 홀(15')의 테두리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관통부재(46)를 기준 방향(D)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지지 영역(46'')에 의해 걸려서 관통부재(46)가 이동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구획벽(15)은 지지 영역(46'')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결합의 방식이 스크류 결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 자석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include a penetrating member 46. A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46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penetrating hole 15'. The penetrating member 46 may include a penetrating region 46' and a support region 46''. The penetration area 46' may extend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penetrate the penetration hole 15'. The support area 46'' may be formed on a side of the penetration area 46'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When the support area 46'' is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edge of the penetration hole 15'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This may mean that even if the penetrating member 46 is moved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penetrating member 46 is not moved because it is caught by the support area 46''.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may be screw-connected to the support area 46''. However, the coupl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screw coupling method,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adhesives and magnets may be possible.

지지 영역(46'')은 완충부분 및 강성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분은 관통부재(46)가 기준 방향(D)으로 이동 될 때, 제2 구획벽(15)과 접촉됨에 따라 가압되어 부피가 변화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완충부분은 발포 우레탄 폼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피가 변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완충부분은 가압되어 부피가 감소하며 관통용 홀(15')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pport area 46'' may include a cushioning portion and a rigid portion. The buffer portion may be a portion whose volume changes due to pressure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when the penetrating member 46 moves in the reference direction D. As an example, the cushioning portion may be expanded urethane foam.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within the range where the volume can change. The buffer portion is pressurized to reduce its volume and can play a role in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penetration hole 15'.

강성부분은 완충부분의 기준 방향(D)의 반대 방향 측에 결합되어 완충부분의 기준 방향(D)의 반대 방향 측에서 완충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강성부분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rigid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buffer portion to support the buffer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buffer portion. The rigid portion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한편, 관통부재(46)는 유입 관통부재(46a) 및 배출 관통부재(46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관통부재(46a)는 한 쌍의 관통용 홀(15')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고, 메인유로(6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입 관통부재(46a)는 분배 전달관(441)과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penetrating member 46 may include an inlet penetrating member 46a and an outlet penetrating member 46b. The inflow penetrating member 46a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one of the pair of penetrating holes 15' and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60. Additionally, the inflow penetrating member 46a may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transmission pipe 441.

배출 관통부재(46b)는 한 쌍의 관통용 홀(15') 중 다른 하나를 관통하고 회수유로(7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배출 관통부재(46b)는 집합 전달관(451)과 연결될 수 있다.The discharge penetrating member 46b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penetrating holes 15' and be connected to the recovery passage 70. The discharge penetrating member 46b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ve transmission pipe 451.

제2 구획벽(15)이 분리되는 경우, 제2 구획벽(15)에 의해 가려져 있던 난방 열교환기(40)가 노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난방 열교환기(40)의 수리를 위해 노출된 난방 열교환기(40)를 기준 방향(D)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separated,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that was hidden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exposed. The user may move the exposed heating heat exchanger 4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in order to repair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일 예로 외함(11) 중 제1-2 구획공간(S1-2)과 인접한 부분에는 기준 방향(D)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난방 열교환기(40)는, 제1 슬라이딩 홈에 기준 방향(D)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부분(47, 도 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구조를 통해 난방 열교환기(40)는 제2 구획벽(15)이 외함(11)으로부터 이탈된 후 기준 방향(D)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외함(11)으로부터 이탈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slid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enclosure 11 adjacent to the first-2 partition space S1-2.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include a first sliding portion 47 (FIG. 9)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groov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rough this engaging structure,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can be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by sli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fter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한편, 제2 구획벽(15)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 구획벽(14)을 관통하는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 및 응축수 배출관(P3)을 분리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 및 응축수 배출관(P3)을 분리하기 위한 구조에 관하여 순서대로 상술한다.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he main flow path 60, the recovery flow path 70,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penetrating the first partition wall 14 must be separated. Hereinafter, the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main flow path 60, the recovery flow path 70,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메인유로(60)는 제1 어댑터(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댑터(65)는 제2 부분(62)의 상단과 물 가열기(30)를 서로 연결하는 어댑터일 수 있다. 제2 구획벽(15)을 분리하기 위해서, 제1 어댑터(65)와 제2 부분(62)의 상단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The main passage 60 may include a first adapter 65. The first adapter 65 may be an adapter that connects the top of the second part 62 and the water heater 30 to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dapter 65 and the second portion 6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회수유로(70)는 상측 부분(71), 하측 부분(72) 및 제2 어댑터(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부분(71)은 제1 구획벽(14)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하측 부분(72)은 제1 구획벽(14)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어댑터(73)는 제1 구획벽(14)을 관통하고, 상측 부분(71)과 하측 부분(72)을 서로 연결하는 어댑터일 수 있다. 제2 구획벽(15)을 분리하기 위해서, 제2 어댑터(73)와 상측 부분(71)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The recovery passage 70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71, a lower portion 72, and a second adapter 73. The upper part 71 may refer to a part located above the first partition wall 14. The lower portion 72 may refer to a portion located below the first partition wall 14. The second adapter 73 may be an adapter that penetrates the first partition wall 14 and connects the upper portion 71 and the lower portion 72 to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he second adapter 73 and the upper portion 71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응축수 배출관(P3)은 제2 구획벽(15)을 분리하기 위해서, 응축수 받이(37)와 서로 분리될 수 있다.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densate receiver (37) in order to separate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한편, 제2 구획벽(15)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 및 응축수 배출관(P3) 내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 및 응축수 배출관(P3)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조에 관하여 순서대로 상술한다.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he water remaining in the main flow path 60, the recovery flow path 70,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must be discharged. Hereinafter, the structure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main flow path 60, the recovery flow path 70,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메인유로(60)는 배수 부분(66) 및 배수 밸브(6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부분(66)은 제1 부분(6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 부분(66)은, 제1 부분(61)과 회수유로(70)의 연결 지점에 비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flow path 60 may include a drain portion 66 and a drain valve 67. The drain portion 66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ortion 61. The drain portion 66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portion 61 and the recovery passage 70.

배수 부분(66)은 제1 부분(61)과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부분(61)과 나란하게 또는 제1 부분(61)이 연장되는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배수부분을 통해 제1 부분(61)과 제1 부분(61)의 외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부분(61)의 외부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일 수도 있고, 케이스(10)의 외부일 수도 있다.The drain portion 66 may exte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rtion 6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extend parallel to the first portion 61 or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rtion 61 extends. It may be extended. The first part 61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part 61 may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rainage part. The outside of the first part 61 may b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 or the outside of the case 10.

배수 밸브(67)는 배수 부분(66)을 개폐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수 밸브(67)가 배수 부분(66)을 개방하게 되면, 배수 부분(66)을 통해 팽창탱크(20) 내의 물, 메인유로(60) 내의 물 및 회수유로(70)의 물이 모두 배출될 수 있다. 배수 밸브(67)는 볼밸브(ball valve)일 수 있다.The drain valve 67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ortion 66. When the drain valve 67 opens the drain portion 66, the water in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in the main flow passage 60, and the water in the recovery passage 70 are all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ion 66. You can. The drain valve 67 may be a ball valve.

이때의 배출은 배수 부분(66)을 통해 직접 일어날 수도 있고, 배수 부분(66)에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배출할 수도 있다.Discharge at this time may occur directly through the drain portion 66, or may be discharged by connecting a separate hose to the drain portion 66.

응축수 배출관(P3)의 경우,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와 달리 항상 물이 채워져 있는 것은 아니므로, 배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라 하더라도 응축수 배출관(P3)을 응축수 받이(37)와 분리하면, 응축수 받이(37)의 경사면을 통해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unlike the main flow path (60) and the recovery flow path (70), it is not always filled with water, so separate drainage may not be necessary. Even if necessary, i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is separated from the condensate receiver (37), condensat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densate receiver (37).

<제2 구획벽(15)의 분리 방법><Method of separat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제2 구획벽(15)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술한다. 제2 구획벽 분리 방법은 공기 가열 장치(1)를 분해하는 방법 중 하나일 수 있다.Below, a method of separat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tents. The second partition wall separation method may be one of the methods of disassembling the air heating device 1.

공기 가열 장치 분해 방법은 커버 분리 단계, 유로 물 배출 단계 및 제2 구획벽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분리 단계는 공기 가열 장치(1)의 케이스(10)의 제1 개구 커버(13)를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유로 물 배출 단계는 메인유로(60) 및 회수유로(7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구획벽(15) 분리 단계는 물 가열기(30)가 결합된 제2 구획벽(15)을 케이스(10)의 외함(1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air heating device disassembly method may include a cover separation step, a flow path water discharge step, and a second partition wall separation step. The cover separation step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opening cover 13 of the case 10 of the air heating device 1. The flow path water discharge step may be a step of discharging water in the main flow path 60 and the recovery flow path 70. The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o which the water heater 30 is coupled from the enclosure 11 of the case 10.

커버 분리 단계에서는 제1 개구 커버(13)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개구 커버(13)가 분리됨으로 인해, 제1 개구(12)가 개방되고, 기준 방향(D) 측에서 바라 볼 때 물 가열기(30) 및 제2 구획벽(15)이 노출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2 개구 커버(19)를 함께 분리할 수도 있다.In the cover separation step, the first opening cover 13 can be separated. As the first opening cover 13 is separated, the first opening 12 is opened, and the water heater 3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re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opening cover 19 may also be removed if necessary.

유로 물 배출 단계는 배수 밸브(67)를 작동시켜 배수 부분(66)을 개방하는 배수 부분(66) 개방 과정 및 배수 부분(66)을 통해 메인유로(60)의 물 및 회수유로(70)의 물을 배출하는 유로 배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브(67)를 개방하게 되면, 팽창탱크(20)의 물 및 메인유로(60)의 물, 그리고 회수유로(70)의 물이 모두 배수 부분(6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channel water discharge step is a process of opening the drain part 66 by operating the drain valve 67, and the water of the main flow path 60 and the recovery channel 70 through the drain part 66. A flow path discharging water may include a drainage process. When the drain valve 67 is opened, the water in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in the main passage 60, and the water in the recovery passage 70 can all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ion 66.

제2 구획벽 분리 단계는 제2 구획벽(15)을 외함(1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구획벽(15)의 분리를 위해서, 제1 어댑터(65)는 제2 부분(62)의 상단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어댑터(73)는 상측 부분(71)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배출관(P3)은 응축수 받이(37)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60)는 유입 관통부재(46a)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회수 유로는 배출 관통부재(46b)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획벽(15)은 지지 영역(4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획벽(15)의 양단부는 제2 접촉영역(17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분리가 끝나게 되면 제2 구획벽(15)은 기준 방향(D)을 따라 당겨져서 외함(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wall separation step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from the enclosure 11. To separate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the first adapter 65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 62. Additionally, the second adapter 73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71. Additionally,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densate receiver (37). Additionally, the main flow path 60 may be separated from the inflow penetrating member 46a. Additionally, the recovery passage may b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enetrating member 46b. Additionally,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may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area 46''. Additionally, both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tact area 17b. When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is completed,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may be pull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제2 구획벽(15)이 용이하게 분리됨에 따라 물 가열기(30)의 수리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고, 수리한 후 재조립 또한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획벽(15)이 분리되는 경우 난방 열교환기(40)가 노출되므로, 난방 열교환기(40)를 수리하기 용이할 수 있고, 또는 수리를 위해 기준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분리할 수 있다. 분리 이전에 난방 열교환기(40)와 외함(11) 사이에 스크류 결합과 같은 체결이 존재한다면 체결의 분리를 선행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easily separated, the water heater 30 can be conveniently repaired, and reassembly after repair can also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is separated,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is exposed, so it can be easy to repair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or it can be separated by sli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for repair. . If fastening, such as a screw connection, exists between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the enclosure 11 before separation, separation of the fastening may be preceded.

<제3 구획벽(16)의 분리를 위한 구조><Structure for separation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6)>

이하에서는 제3 구획벽(16)의 분리를 위한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다. 제3 구획벽(16)은, 외함(11) 중 팬(50)의 기준 방향(D) 측에 위치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third partition wall 1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hird partition wall 16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enclosure 11 locate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fan 50.

도 12는 제2-1 구획공간의 하측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 구획벽이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팬이 외함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각 도면들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외함, 제어부와 같은 일부 구성이 생략 도시될 수 있다.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side of the 2-1 compartment space. Figure 13 is a view showing the third partition wall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fan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For reference, in each drawing, some components, such as an enclosure and a control unit, may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팽창탱크(20)는 제3 구획벽(16)의 기준 방향(D)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 구획벽(16)에는 팽창탱크(20)를 비롯하여 전술한 응축수 트랩(T), 제어부(80), 조작부(81), 외부 연동 컨트롤러(82) 및 제어부(8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하네스를 비롯한 부품들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팽창탱크(20)를 비롯한 전술한 부품들을 함께 워터 모듈이라고 칭한다. 워터 모듈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3 구획벽(16)이 외함(11)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때, 제3 구획벽(16)과 함께 이탈될 수 있다.The expansion tank 20 may be connected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side of the third partition wall (16). Meanwhile, the third partition wall 16 is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xpansion tank 20, the above-described condensate trap (T), the control unit 80, the operation unit 81, the external interlocking controller 82, and the control unit 80. Parts, including the harness, can be joined togeth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bove-mentioned parts, including the expansion tank 2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water modu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third partition wall 16 is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the water module may be separated together with the third partition wall 16.

제3 구획벽(16)이 분리되는 경우, 제3 구획벽(16)에 의해 가려져 있던 팬(50)이 노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팬(50)의 수리를 위해 노출된 팬(50)을 기준 방향(D)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third partition wall 16 is separated, the fan 50 that was hidden by the third partition wall 16 is exposed. The user may move the exposed fan 5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in order to repair the fan 50.

일 예로 외함(11) 중 제2-2 구획공간(S2-2)과 인접한 부분에는, 기준 방향(D)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팬(50)은 제2 슬라이딩 홈에 기준 방향(D)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부분(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구조를 통해 팬(50)은 제3 구획벽(16)이 외함(11)으로부터 이탈된 후 기준 방향(D)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외함(11)으로부터 이탈 가능할 수 있다. For example, a second slid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enclosure 11 adjacent to the 2-2 partition space S2-2. The fan 50 may include a second sliding portion 51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ing groov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Through this engaging structure, the fan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by sli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fter the third partition wall 16 is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한편, 제3 구획벽(16)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 구획벽(14)을 관통하는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 및 응축수 배출관(P3)을 분리해야 한다. 메인유로(60)의 경우, 전술한 제2 부분(62)과 제1 어댑터(65)의 분리를 통해 메인 유로의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회수유로(70)의 경우, 제2 어댑터(73)와 하측 부분(72)의 분리를 통해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배출관(P3)의 경우 전술한 응축수 받이(37)와 응축수 배출관(P3)의 분리를 통해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third partition wall 16, the main flow path 60, the recovery flow path 70,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penetrating the first partition wall 14 must be separated. In the case of the main flow path 60, separation of the main flow path may occur through sepa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part 62 and the first adapter 65.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recovery passage 70, separation may occur through separation of the second adapter 73 and the lower portion 72.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separation may occur through separation of the condensate receiver (37)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described above.

한편, 제3 구획벽(16)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팽창탱크(20),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 내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팽창탱크(20),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다. 응축수 배출관(P3)의 경우는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third partition wall 16, the water remaining in the expansion tank 20, the main flow path 60, and the recovery flow path 70 must be discharged. Hereinafter, the structure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expansion tank 20, the main passage 60, and the recovery passage 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ase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has been described above, so it is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유로(60)는 배수 부분(66) 및 배수 밸브(67)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탱크(20)는 메인유로(6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팽창탱크(20)의 배수와 메인유로(60)의 배수는 함께 일어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flow path 60 may include a drain portion 66 and a drain valve 67. Since the expansion tank 20 is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60, draining of the expansion tank 20 and draining of the main flow path 60 can occur simultaneously.

배수 밸브(67)가 배수 부분(66)을 개방하게 되면, 배수 부분(66)을 통해 팽창탱크(20) 내의 물, 메인유로(60) 내의 물 및 회수유로(70)의 물이 모두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drain valve 67 opens the drain portion 66, the water in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in the main flow passage 60, and the water in the recovery passage 70 are all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ion 66. You can.

이때의 배출은 배수 부분(66)을 통해 직접 일어날 수도 있고, 배수 부분(66)에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배출할 수도 있다.Discharge at this time may occur directly through the drain portion 66, or may be discharged by connecting a separate hose to the drain portion 66.

<제3 구획벽(16)의 분리 방법><Method of separating the third partition wall (16)>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제3 구획벽(16)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술한다. 제3 구획벽 분리 방법은 공기 가열 장치(1)를 분해하는 방법 중 하나일 수 있다.Below, a method of separating the third partition wall 1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tents. The third partition wall separation method may be one of the methods of disassembling the air heating device 1.

공기 가열 장치 분해 방법은 커버 분리 단계, 탱크 물 배출 단계 및 제3 구획벽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분리 단계는 공기 가열 장치(1)의 케이스(10)의 제1 개구 커버(13)를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탱크 물 배출 단계는 공기 가열 장치(1)의 팽창탱크(2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탱크 물 배출 단계에서는 메인유로(60) 및 회수유로(70)의 물도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제3 구획벽(16) 분리 단계는 팽창탱크(20)가 결합된 제3 구획벽(16)을 케이스(10)의 외함(1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air heating device disassembly method may include a cover separation step, a tank water discharge step, and a third partition wall separation step. The cover separation step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opening cover 13 of the case 10 of the air heating device 1. The tank water discharge step may be a step of discharging water in the expansion tank 20 of the air heating device 1. In the tank water discharge step, water from the main flow path 60 and the recovery flow path 70 may also be discharged. The third partition wall 16 separation step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third partition wall 16 to which the expansion tank 20 is coupled from the enclosure 11 of the case 10.

커버 분리 단계에서는 제1 개구 커버(13)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개구 커버(13)가 분리됨으로 인해, 제1 개구(12)가 개방되고, 기준 방향(D) 측에서 바라 볼 때 팽창탱크(20) 및 제2 구획벽(15)이 노출되게 된다.In the cover separation step, the first opening cover 13 can be separated. As the first opening cover 13 is separated, the first opening 12 is opened, and the expansion tank 2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5 are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D.

탱크 물 배출 단계는, 배수 밸브(67)를 작동시켜 배수 부분(66)을 개방하는 배수 부분(66) 개방 과정 및 배수 부분(66)을 통해 팽창탱크(20)의 물을 배출하는 탱크 배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브(67)를 개방하게 되면, 팽창탱크(20)의 물 및 메인유로(60)의 물, 그리고 회수유로(70)의 물이 모두 배수 부분(6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tank water discharge step includes a drain part 66 opening process of opening the drain part 66 by operating the drain valve 67 and a tank drain process of discharging water from the expansion tank 20 through the drain part 66. may include. When the drain valve 67 is opened, the water in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in the main passage 60, and the water in the recovery passage 70 can all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ion 66.

제3 구획벽 분리 단계는 제3 구획벽(16)을 외함(1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3 구획벽(16)의 분리를 위해서, 제1 어댑터(65)는 제2 부분(62)의 상단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어댑터(73)는 하측 부분(72)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배출관(P3)은 응축수 받이(37)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3 구획벽(16)은 가이드 부분(1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분리가 끝나게 되면 제3 구획벽(16)은 기준 방향(D)을 따라 당겨져서 외함(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third partition wall separation step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third partition wall 16 from the enclosure 11. To separate the third partition wall 16, the first adapter 65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 62. Additionally, the second adapter 73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72. Additionally,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densate receiver (37). Additionally, the third partition wall 16 can be separated from the guide portion 18. When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is completed, the third partition wall 16 can be pull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 and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11.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Structure for changing layou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는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치를 자유롭게 한다 함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에는 연료 유입관(P2), 물 유입관(P1) 및 응축수 배출관(P3)이 있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s arrangement to be freely changed. Free arrangement may mean that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protruding out of the case 10 can be changed. Hereinafter, a structur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a componen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as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protruding outward may include a fuel inlet pipe (P2), a water inlet pipe (P1), and a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도 15는 도 3에서 배치된 것과 반대로 물 유입관, 연료 유입관 및 응축수 배출관이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water inlet pipe, fuel inlet pipe, and condensate discharge pipe are arranged opposite to the arrangement in FIG. 3.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및 기준 방향(D)에 직교하는 양 방향 측 벽에는 각각 유입 홀(H1)이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물 유입관(P1)은, 케이스(10)의 한 쌍의 유입 홀(H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물 유입관(P1)이 관통되지 않은 다른 유입 홀(H1)은 마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One inlet hole H1 may be formed on each side wall of the cas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water inlet pipe (P1) may pass through one of a pair of inlet holes (H1) of the case 10. The other inlet hole (H1) through which the water inlet pipe (P1) is not penetrated may be covered by a stopper.

또한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및 기준 방향(D)에 직교하는 양 방향 측 벽에는 각각 연료 유입 홀(H2)이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연료 유입관(P2)은 케이스(10)의 한 쌍의 연료 유입 홀(H2)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연료 유입관(P2)이 관통되지 않은 다른 연료 유입 홀(H2)은 마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Additionally, one fuel inlet hole (H2) may be formed on each side wall of the cas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both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The fuel inlet pipe (P2) may pass through one of a pair of fuel inlet holes (H2) of the case 10. The other fuel inlet hole (H2) through which the fuel inlet pipe (P2) is not penetrated may be covered by a stopper.

또한 케이스(10)의 상하 방향 및 기준 방향(D)에 직교하는 양 방향 측 벽에는 각각 응축수 배출 홀(H3)이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기준 방향(D)이 전방이라고 하는 경우, 양 방향측 벽은 좌우측 벽일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P3)은 한 쌍의 응축수 배출 홀(H3)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P3)이 관통되지 않은 다른 응축수 배출 홀(H3)은 마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condensate discharge hole (H3) may be formed on each side wall of the cas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both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D). If the reference direction D is forward, the walls in both directions may be the left and right walls.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may pass through any one of the pair of condensate discharge holes (H3). Other condensate discharge holes (H3) through whic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is not penetrated may be covered by a stopper.

일 예로 케이스(10)의 좌측에 벽이 위치하는 경우, 좌측으로 응축수 배출관(P3), 물 유입관(P1) 및 연료 유입관(P2)이 형성되는 것은 배치에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우측에 위치한 응축수 배출 홀(H3), 유입 홀(H1) 및 연료 유입 홀(H2)로 응축수 배출관(P3), 물 유입관(P1) 및 연료 유입관(P2)을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이후 케이스(10)의 우측에 벽이 위치하는 경우로 케이스(10)를 옮기게 될 경우, 그 반대로 응축수 배출관(P3), 물 유입관(P1) 및 연료 유입관(P2)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는 도 3의 상태에서 도 15로 또는 그 반대의 상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ll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se 10,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water inlet pipe (P1), and fuel inlet pipe (P2) are formed on the left sid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in arrangement. In this case,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water inlet pipe (P1), and fuel inlet pipe (P2) can be passed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hole (H3), inlet hole (H1), and fuel inlet hole (H2) located on the right side. . Additionally, if the case 10 is later moved to a case where the wall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se 10,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water inlet pipe (P1), and fuel inlet pipe (P2) may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is can be understood as moving from the state of FIG. 3 to FIG. 15 or vice versa.

<물 보충 구조><Water replenishment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는 제1 개구 커버(13)를 분리하지 않고도 팽창탱크(2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갖는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다.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enish water in the expansion tank 20 without removing the first opening cover 13. Below, the structure having this eff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6은 가림용 커버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개폐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연통부를 통해 팽창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6 is a view showing the covering cover removed. 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eparated.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water flowing into the expansion tank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제1 개구 커버(13)에는 연통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함(11)에 연통부(100)가 형성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연통부(100)는 팽창탱크(20) 및 외부를 서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팽창탱크(20)로 물을 안내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A communication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opening cover 13.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meth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part 100 is formed in the enclosure 11 is also possible. The communication part 100 connects the expansion tank 20 and the outside to each other and may be opened to guide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expansion tank 20.

연통부(100)에는 연통부재(110) 및 개폐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연통부재(110)는 팽창탱크(20)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팽창탱크(20)와 외부를 연결하여, 팽창탱크(20)로 외부의 물을 주입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연통부재(110)는 일단이 팽창탱크(20)와 연결될 수 있다. 개폐부재(120)는 연통부재(110) 중 외부 측에 위치한 말단을 개폐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부재(120)는 일반적인 음료수 등에 사용되는 뚜껑의 형태일 수 있다.A communication member 110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120 may be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00.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expansion tank 20 and the outside so that the expansion tank 20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inject external water into the expansion tank 20. For this purpose,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tank 20.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n end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0 may be in the form of a lid used for general beverages.

팽창탱크(20)에는 팽창탱크(20)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될 수 있다. 팽창탱크(20)에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위치는, 연통부재(110)와 팽창탱크(20)가 연결된 위치에 비해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물이 팽창탱크(20) 내에 주입되는 경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An overflow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tank 20 to discharge water that overflows from the expansion tank 20. The location where the over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tank 20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location where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and the expansion tank 20 are connected. Therefore, if more water than necessary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tank 20,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verflow pipe.

한편, 연통부(100), 연통부재(110) 및 개폐부재(120)의 형태는 외부의 물을 팽창탱크(20)로 유입시키기 위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shapes of the communication part 100,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0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for allowing external water to flow into the expansion tank 20.

일 예로 제1 개구 커버(13)에는 개구 형태의 연통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방향(D)을 기준으로 연통부재(110)는 제1 개구 커버(13)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연통부(100)를 커버하는 별도의 가림용 커버(C)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 communication part 100 in the form of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first opening cover 13.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may not protrude from the first opening cover 13 based on the reference direction D. In this case, a separate cover C may be formed to cover the communication part 100.

또 다른 예로 연통부(100)는 개구 형태로 형성되고, 연통부재(110')가 연통부(100)를 관통할 수 있다. 연통부재(110')는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인 외부 돌출 영역(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연통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연통부의 다른 예를 통해 팽창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외부 돌출 영역(111')은 상방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part 100 is formed in an opening shape, and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may penetrate the communication part 100.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may include an external protruding area 111', which is an area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mber.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water flowing into an expansion tank through another example of a communication part. In this case, the external protruding area 111' may be open upward.

한편, 연통부재(110')에 투입된 물이 별도의 동력원 없이 팽창탱크(20)로 흘러 가기 위해, 연통부재(110')에는 경사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영역은 팽창탱크(20)에서 바라 볼 때 상방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for water introduced into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to flow into the expansion tank 20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an inclined area may be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110'. The inclined area may have a shape inclined upward when viewed from the expansion tank 20.

<급수 방법><Water supply method>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공기 가열 장치(1)의 팽창탱크(20) 내로 물을 급수하는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에 관하여 상술한다.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을 상술하는 데 있어, 전술한 도 16 내지 도 20을 참고할 수 있다.Below,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tents,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air heating device 1 into the expansion tank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detailing the air heating device water supply method,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FIGS. 16 to 20.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은 개방 단계 및 주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단계는 공기 가열 장치(1)의 케이스(10)의 연통부(100, 100')를 개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개방 단계는 개폐부재(120, 120')를 연통부재(110, 110')로부터 분리하여 케이스(10)의 외부 측에 위치한 연통부재(110, 110')의 말단을 개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주입 단계는 연통부(100, 100')를 통해 공기 가열 장치(1)의 팽창탱크(20)로 물을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air heating device water supply method may include an opening step and an injection step. The opening step may be a step of opening the communication portions 100 and 100' of the case 10 of the air heating device 1. For example, the opening step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120, 120') from the communicating members (110, 110') and opening the ends of the communicating members (110, 110')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e 10. there is. The injection step may be a step of injecting water into the expansion tank 20 of the air heating device 1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ions 100 and 100'.

한편, 팽창탱크(20) 내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는 측정부(81)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수위감지센서가 획득한 수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경고음 등과 같은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수위감지센서가 획득하는 수위의 단계가 최저 수위인 1단계 내지 최고 수위인 5단계의 범위라고 할 때, 제어부(80)는 2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물 보충을 위한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알림을 통해 물 보충이 필요한 상태임을 인지하고, 물의 보충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 water level sensor may be placed within the expansion tank 20. The water level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measuring unit 81, etc.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8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uch as a warning sound, to the user based on the water level obtained by the water level sensor.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water acqui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ranges from level 1, which is the lowest water level, to level 5, which is the highest water level, the control unit 8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for water replenishment to the user in level 2. . In this case, the user can recognize that water replenishment is necessary through a notification and can replenish water.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는, 수위가 최저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물 보충을 위한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수위로 인해 설비가 멈추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 notification to the user to replenish water before the water level reaches the lowest level,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equipment stopping due to the water level.

실시예 2 Example 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에서 외함을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1 및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에 관하여 상술한다.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는 팬(50)과 난방 열교환기(40)의 위치가 서로 바뀐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는 상향류(Upflow) 방식인 반면,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는 하향류(Downflow) 방식에 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gure 21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nclosure removed. Hereinafter,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FIG. 21 and the above-described contents.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is different from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xample 1 in that the positions of the fan 50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re chang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xample 1 is of an upflow type, while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is of a downflow type. Configurations that are the same as or equivalent to those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are assigned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1-1 구획공간(S1-1')에는 물 가열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의 제1-2 구획공간(S1-2')에는 팬(50)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2-1 구획공간(S2-1')에는 팽창탱크(2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2-2 구획공간(S2-2')에는 난방 열교환기(40)가 배치될 수 있다. 난방 열교환기(40) 및 팬(5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메인유로(60, 도 3), 회수유로(70, 도 3)를 비롯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형상이 그에 대응되게 변화될 수 있다.A water heater 30 may be disposed in the 1-1 compartment space (S1-1')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A fan 50 may be disposed in the 1-2 partition space (S1-2') of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xample 2. An expansion tank 20 may be disposed in the 2-1 compartment space (S2-1')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A heating heat exchanger 40 may be disposed in the 2-2 compartment space (S2-2')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As the positions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the fan 50 change, the shapes of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main flow path 60 (FIG. 3) and the recovery flow path 70 (FIG. 3), may change correspondingly.

실시예 3Example 3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에서 외함을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2 및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에 관하여 상술한다.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는 제1 구획공간이 제2 구획공간의 측방에 배치되는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1)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gure 22 is a view showing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nclosure removed. Hereinafter,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FIG. 22 and the above-described contents.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differs from the air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Example 1 in that the first compartment spac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Configurations that are the same as or equivalent to those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are assigned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제1 구획공간(S1')은, 제2 구획공간(S2')의 상하 방향 및 기준 방향(D)에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 방향(D)을 전방이라 할 때, 제1 구획공간(S1')은 제2 구획공간(S2')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1-1 구획공간(S1-1'')에는 물 가열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1-2 구획공간(S1-2'')에는 난방 열교환기(40)와 팬(5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2-1 구획공간(S2-1'')에는 팽창탱크(2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공기 가열 장치의 제2-2 구획공간(S2-2'')에는 난방 열교환기(40)와 팬(50)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물 가열기(30), 난방 열교환기(40), 팽창탱크(20) 및 팬(50)의 전체적인 배치가 변화됨에 따라 메인유로(60), 회수유로(70)를 비롯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형상이 그에 대응되게 변화될 수 있다.The first partition space S1'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ference direction D of the second partition space S2'. When the reference direction D is forward, the first compartment S1' may be placed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s of the second compartment S2'. A water heater 30 may be disposed in the 1-1 compartment space (S1-1'')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One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the fan 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2 compartment space (S1-2'')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An expansion tank 20 may be disposed in the 2-1 compartment space (S2-1'')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Another one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40 and the fan 50 may be disposed in the 2-2 compartment space (S2-2'') of the air hea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As the overall arrangement of the water heater 30, heating heat exchanger 40, expansion tank 20, and fan 50 changes, the shapes of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main flow path 60 and the recovery flow path 70, change accordingly. It can be changed accordingly.

일 예로, 실시예 1의 공기 가열 장치(1)에서 제1 구획벽(14)을 관통해 제2-1 구획공간(S2-1)을 지나게 되는 응축수 배출관(P3)을 통해 응축수를 배출하는 것과 달리 실시예 3의 공기 가열 장치의 경우, 물 가열기(30)에서 바로 아래로 배출되며, 물 가열기(30) 하측에 위치한 별도의 트랩을 통과해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ir heating device 1 of Example 1, condensate is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P3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wall 14 and passes through the 2-1 partition space S2-1.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air heating device of Example 3,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directly below the water heater 30 and passes through a separate trap located below the water heater 3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공기 가열 장치
2: 콘덴서
3: 덕트
4: 히터
10: 케이스
11: 외함
12: 제1 개구
13: 제1 개구 커버
14: 제1 구획벽
15: 제2 구획벽
15': 관통용 홀
16: 제3 구획벽
17: 접촉 부분
17a: 제1 접촉영역
17b: 제2 접촉영역
18: 가이드 부분
18a: 가이드 홈
19: 제2 개구 커버
20: 팽창탱크
30: 물 가열기
31: 버너
32: 열교환부
33: 급기구
34: 가스배출구
35: 연료밸브
36: 벤추리
37: 응축수 받이
38: 응축수 패킹
40: 난방 열교환기
41: 난방 열교환 하우징
42: 열교환 튜브
43: 전열핀
44: 분배관
45: 집합관
46: 관통부재
46': 관통 영역
46'': 지지 영역
46a: 유입 관통부재
46b: 배출 관통부재
47: 제1 슬라이딩 부분
50: 팬
51: 제2 슬라이딩 부분
60: 메인유로
61: 제1 부분
62: 제2 부분
63: 필터부
64: 펌프부
65: 제1 어댑터
66: 배수 부분
67: 배수 밸브
68: 메인유로 패킹
70: 회수유로
71: 상측 부분
72: 하측 부분
73: 제2 어댑터
80: 제어부
81: 조작부
82: 외부 연동 컨트롤러
90: 기밀부
91: 기밀부재
92: 돌기부재
92a: 제1 돌기
92b: 제2 돌기
100: 연통부
110: 연통부재
111: 외부 돌출 영역
120: 개폐부재
421: 직선부재
422: 같은 층 연결부재
423: 다른 층 연결부재
441: 분배 전달관
442: 분배 헤드
451: 집합 전달관
452: 집합 헤드
C: 가림용 커버
D: 기준 방향
H1: 유입 홀
H2: 연료 유입홀
H3: 응축수 배출 홀
P1: 물 유입관
P2: 연료 유입관
P3: 응축수 배출관
S1, S1': 제1 구획공간
S2, S2': 제2 구획공간
S1-1, S1-1', S1-1'': 제1-1 구획공간
S1-2, S1-2', S1-2'': 제1-2 구획공간
S2-1, S2-1', S2-1'': 제2-1 구획공간
S2-2, S2-2', S2-2'': 제2-2 구획공간
T: 응축수 트랩
1: Air heating device
2: condenser
3: Duct
4: Heater
10: Case
11: Enclosure
12: first opening
13: first opening cover
14: first partition wall
15: second partition wall
15': penetration hole
16: Third partition wall
17: contact part
17a: first contact area
17b: second contact area
18: Guide part
18a: Guide groove
19: second opening cover
20: Expansion tank
30: water heater
31: burner
32: heat exchange unit
33: Supply port
34: Gas outlet
35: Fuel valve
36: venturi
37: Condensate collection
38: Condensate packing
40: Heating heat exchanger
41: Heating heat exchange housing
42: heat exchange tube
43: Electric heating pin
44: Distribution pipe
45: Collection pipe
46: Penetrating member
46': penetration area
46'': support area
46a: Inflow penetrating member
46b: Discharge penetrating member
47: first sliding portion
50: fan
51: second sliding portion
60: Main Euro
61: first part
62: Second part
63: Filter unit
64: Pump part
65: first adapter
66: Drainage part
67: drain valve
68: Main Euro Packing
70: Recovery path
71: upper part
72: lower part
73: second adapter
80: control unit
81: Control panel
82: External interlocking controller
90: Confidentiality Department
91: Absence of confidentiality
92: Protruding member
92a: first projection
92b: second protrusion
100: Communication part
110: Communication member
111: External protruding area
120: Opening and closing member
421: Straight member
422: Same floor connection member
423: Different floor connection member
441: Distribution transmission pipe
442: Distribution head
451: Collective transmission tube
452: assembly head
C: Cover for hiding
D: reference direction
H1: Inlet hole
H2: Fuel inlet hole
H3: Condensate discharge hole
P1: Water inlet pipe
P2: Fuel inlet pipe
P3: Condensate discharge pipe
S1, S1': first compartment space
S2, S2': second compartment space
S1-1, S1-1', S1-1'': 1-1 compartment space
S1-2, S1-2', S1-2'': 1-2 compartment space
S2-1, S2-1', S2-1'': 2-1 compartment space
S2-2, S2-2', S2-2'': 2-2 compartment space
T: Condensate trap

Claims (9)

물을 보관하게 마련되는 팽창탱크;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물을 가열하게 마련되는 물 가열기;
상기 물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물을 전달받아 난방을 위해 배출될 공기와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되는 난방 열교환기;
상기 난방 열교환기로 상기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팬; 및
내부에 상기 팽창탱크, 상기 물 가열기, 상기 난방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이 배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기준 방향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외함; 및
상기 외함에 결합되게 마련되고, 상기 외함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개구를 커버하는 제1 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함 또는 상기 제1 개구 커버에는, 상기 팽창탱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개구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팽창탱크로 물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공기 가열 장치.
An expansion tank provided to store water;
a water heater provided to heat the water by receiving heat from combustion gas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to receive the water heated by the water heater and exchange heat with air to be discharged for heating;
a fan provided to supply the air to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It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expansion tank, the water heater,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the fan are disposed,
In the above case,
An enclosure i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on a side of a referenc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opening cov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closure and covering the first opening when coupled to the enclosure,
An air heating device, wherein a communica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enclosure or the first opening cover to connect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to each other and is provided to guide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expansion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에는,
상기 팽창탱크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일단이 상기 팽창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팽창탱크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연결하는 연통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 측에 위치한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을 개폐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재가 배치되는, 공기 가열 장치.
In claim 1,
In the communication part,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pansion tank so that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n air heating device i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disposed to open and close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팽창탱크에서 바라 볼 때 상방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경사 영역을 포함하는, 공기 가열 장치.
In claim 2,
The communication member is an air heating device including an inclined area having a shape inclined upward when viewed from the expansion tan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인 외부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공기 가열 장치.
In claim 2,
The communication member is an air heating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protruding area, which is an area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돌출 영역은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공기 가열 장치.
In claim 4,
The air heating device, wherein the external protruding area opens upwar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팽창탱크의 내측에는 상기 팽창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배치되는, 공기 가열 장치.
In claim 2,
An air heating device in which a water level sensor is disposed inside the expansion tank to detect the water level inside the expansion tan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팽창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탱크에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연통부재와 팽창탱크가 연결된 위치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는, 공기 가열 장치.
In claim 2,
It further includes an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expansion tank to discharge water that overflows from the expansion tank,
The position where the over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tank is located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the expansion tank are connected.
공기 가열 장치의 케이스의 연통부를 개방하는 개방 단계; 및
상기 연통부를 통해 상기 공기 가열 장치의 팽창탱크로 물을 주입하는 주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가열 장치는, 물을 보관하게 마련되는 상기 팽창탱크; 및
내부에 상기 팽창탱크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인 기준 방향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외함;
상기 외함에 결합되게 마련되고, 상기 외함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개구를 커버하는 제1 개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커버에는, 상기 팽창탱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개구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팽창탱크로 물을 안내하게 마련되는 상기 연통부가 형성되는,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
An opening step of opening a communication part of the case of the air heating device; and
An injection step of injecting water into the expansion tank of the air heat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The air heating device includes the expansion tank provided to store water; and
Comprising the case in which the expansion tank is disposed,
In the above case,
An enclosure i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on a side of a referenc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opening cov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nclosure and covering the first opening when coupled to the enclosure,
The first opening cover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part that opens to connect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to each other and guides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expansion tank.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에는,
상기 팽창탱크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일단이 상기 팽창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팽창탱크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연결하는 연통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 측에 위치한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을 개폐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개방 단계는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연통부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 측에 위치한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을 개방하는 연통부재 개방 단계를 포함하, 공기 가열 장치 급수 방법.
In claim 8,
In the communication part,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pansion tank so that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expansion tank and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e is disposed,
The opening step includes a communication member opening step of sepa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rom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opening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e.
KR1020220102752A 2022-08-17 2022-08-17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KR20240024582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752A KR20240024582A (en) 2022-08-17 2022-08-17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US18/202,204 US20240060683A1 (en) 2022-08-17 2023-05-25 Ai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water to air heating apparatus
US18/202,198 US20240060682A1 (en) 2022-08-17 2023-05-25 Ai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ir heating apparatus
US18/202,183 US20240060680A1 (en) 2022-08-17 2023-05-25 Air heating apparatus
US18/202,191 US20240060681A1 (en) 2022-08-17 2023-05-25 Ai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ir h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752A KR20240024582A (en) 2022-08-17 2022-08-17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582A true KR20240024582A (en) 2024-02-26

Family

ID=9005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752A KR20240024582A (en) 2022-08-17 2022-08-17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458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404B2 (en) Condensation management system, a furnac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densation collection box
CN109997000B (en) Water electric stove for vehicle and related method
CN111148948A (en) Water heater
BRPI1100593A2 (en) oven burner box
US20070084420A1 (en) Instantaneous fuel-fired water heater with low temperature plastic vent structure
WO2018036251A1 (en) Switching device for multi-split air conditioner and multi-split air conditioner having same
KR20240024582A (en) Ai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KR20240024580A (en) Air heating apparatus and disassmebl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KR20240024579A (en) Air heating apparatus
KR20240024581A (en) Air heating apparatus and disassmebling method for air heating apparatus
CN101501606A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ling
GB2476567A (en) Water heater having a heat pump
US10876795B2 (en) Heat exchanger and heat source device
US20240060682A1 (en) Ai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ir heating apparatus
KR101521584B1 (en) Distributer assembly for piping
JP4759672B1 (en) Heating system
US20240060684A1 (en) Air heating apparatus
US20230417431A1 (en) Air heating apparatus
JP5322420B2 (en) Combustion device
US20220178553A1 (en) Air heating apparatus
JP5961928B2 (en) Heat pump heat source machine
US20220178623A1 (en) Air heating apparatus
KR20240025114A (en) Air heating apparatus
US20230141194A1 (en) Gas furna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4350230A1 (en) An air duct for a heat pump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