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495A - 강판 슬리팅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슬리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4495A KR20240024495A KR1020220102521A KR20220102521A KR20240024495A KR 20240024495 A KR20240024495 A KR 20240024495A KR 1020220102521 A KR1020220102521 A KR 1020220102521A KR 20220102521 A KR20220102521 A KR 20220102521A KR 20240024495 A KR20240024495 A KR 202400244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ing shaft
- steel plate
- shaft
- cylinder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7 cold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8 packag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23D19/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having rotary shearing discs arranged in co-operating pairs
- B23D19/06—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having rotary shearing discs arranged in co-operating pairs with several spaced pairs of shearing discs working simultaneously, e.g. for trimming or making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5—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 B23D35/007—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for circular cutt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한 쌍의 롤링축의 상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강판 슬리팅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슬리팅 장치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하부 링나이프가 설치되는 하부 롤링축과,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부 링나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 롤링축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상기 하부 롤링축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상부 링나이프 및 상기 하부 링나이프에 의해 슬리팅되게 하는 상부 롤링축과, 상기 상부 롤링축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하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모터와,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감지센서와, 상기 두께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기 상하간극을 상기 강판을 슬리팅하기 위한 설정된 간극이 되도록 상기 간극조절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슬리팅 장치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하부 링나이프가 설치되는 하부 롤링축과,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부 링나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 롤링축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상기 하부 롤링축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상부 링나이프 및 상기 하부 링나이프에 의해 슬리팅되게 하는 상부 롤링축과, 상기 상부 롤링축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하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모터와,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감지센서와, 상기 두께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기 상하간극을 상기 강판을 슬리팅하기 위한 설정된 간극이 되도록 상기 간극조절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판 슬리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을 소정의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강판으로 절단하는 강판 슬리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제조되는 강판코일은, 일정두께로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되어 강판으로 제조되고,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도금처리된 다음,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며, 일정한 지름을 갖도록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포장된 후 출하된다.
이와 같이 출하된 강판코일은 비교적 큰 폭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를 공급받은 구매자는 강판코일을 풀어 비교적 큰 폭의 강판을 생산할 제품에 적합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단위강판들로 슬리팅(slitting)가공하며, 상기 단위강판들은 다시 권취롤러의 권취부에 각각 코일형태로 권취된 후 재포장된다.
상기 강판코일을 상기 단위강판코일들로 제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큰 폭을 가지는 상기 강판코일을 공급롤러에 안착시키고 상기 강판코일의 일단이 슬리터를 지나도록 한다. 상기 슬리터에 공급된 상기 강판코일은 상기 슬리터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작은 폭을 가지는 여러 가닥의 단위강판코일들로 슬리팅된다. 상기 슬리팅된 단위강판코일들은 권취롤러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롤러는 슬리팅된 여러 가닥의 단위강판코일들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 권취되도록 다수의 권취부들이 구획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터를 통과하면서 슬리팅된 다수의 단위강판코일들은 상기 권취롤러의 대응 권취부들에 각각 권취된다.
이와 같이 슬리팅되어 권취된 상기 단위강판코일들은 포장공정을 거치면서 권취된 상태가 풀리지 않고 외부가 보호되도록 포장되며, 포장된 상기 단위강판코일들은 적재된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슬리터는 두 개의 로울링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강판코일은 풀린 후 상기 두 개의 로울링축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두 개의 로울링축에 각각 구비된 링나이프에 의해 슬리팅되어 상기 단위강판코일들로 제조된다.
상기 두 개의 로울링축은 슬리팅되기 위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서로 간의 상하 간극이 조절되어야 하므로, 상기 두 개의 로울링축 중 상측에 배치된 로울링축은 간극조절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832호(2005.08.10.)(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슬리터에 관한 기술인 '냉연강판 폭 절단용 슬리터의 로울링축 간극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장치본체 내에 평형하게 수평 배열되어 그 외주면상에 냉연강판 절단용의 링나이프와 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및 러버링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링축 중 상부 로울링축을 하부의 로울링축으로부터 상기 링나이프 조립체의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이격 또는 절단가공이 가능한 상태로 근접되도록 승강시키기 위한 축간극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상부 로울링축의 양단에 각각 수직상으로 결합된 나선승강축과, 상기 각 나선승강축의 외주상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매체로서의 웜휠 링기어와, 상기 각 웜휠 링기어에 각각 외접 결합된 웜과, 상기 각 웜을 동축에 의해 연결하여 이를 동시 회전시켜주는 축간극 조절용 모우터와, 상기 축간극 조절용 모우터를 정· 역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 조작하기 위한 원터치 버튼 방식의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상기 조작패널에는 축간극 확장 버튼 및 축간극 축소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축간극 확장 버튼 및 상기 축간극 축소 버튼은 상기 축간극조절용 모우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축간극 확장 버튼 및 축간극 축소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상부 로울링축을 승강시킴으로 상기 한 쌍의 로울링축의 상하 간극을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직접 상기 축간극 확장 버튼 및 상기 축간극 축소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한 쌍의 로울링축의 상하 간극을 조절하였으므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상기 한 쌍의 로울링축의 상하 간극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한 쌍의 로울링축에 상기 링나이프,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러버링을 설치작업할 때, 상기 한 쌍의 로울링축의 일단측에 배치된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설치작업하게 되는데, 상기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상기 한 쌍의 로울링축의 주변 구조물로 인해 상기 설치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한 쌍의 롤링축의 상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강판 슬리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한 쌍의 롤링축에 링나이프, 스페이서 및 러버링의 설치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강판 슬리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슬리팅 장치는, 하부 롤링축, 상부 롤링축, 간극조절모터 및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롤링축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부 롤링축의 외주면에는 하부 링나이프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롤링축은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 롤링축의 외주면에는 상부 링나이프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롤링축은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상기 하부 롤링축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상부 링나이프 및 상기 하부 링나이프에 의해 슬리팅되게 한다. 상기 간극조절모터는 상기 상부 롤링축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하간극을 조절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기 상하간극을 상기 강판을 슬링팅하기 위한 설정된 간극이 되도록 상기 간극조절모터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두께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조절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두께감지센서는 제1 버튼 및 제2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은 설치브라켓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설치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제1 버튼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강판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강판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제1 상하 두께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강판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상기 제1 상하 두께보다 두꺼운 제2 상하 두께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링축은 복수개의 스크류잭 각각의 하단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잭은 상기 간극조절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기 상하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잭은 제1 스크류잭, 제2 스크류잭, 제3 스크류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류잭은 제1 웜기어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웜기어축의 좌측단부는 상기 간극조절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잭은 상기 제1 스크류잭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잭은 제2 웜기어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웜기어축의 좌측단부는 상기 제1 웜기어축의 우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잭은 상기 제1 스크류잭과 함께 상기 상부 롤링축의 좌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류잭은 상기 제2 스크류잭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류잭은 제3 웜기어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웜기어축의 좌측단부는 상기 제2 웜기어축의 우측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 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류잭은 상기 상부 롤링축의 우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은 제1 실린더 및 제1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제1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은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1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좌측단부는 상기 제2 웜기어축의 우측단부에 좌측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우측단부는 상기 제3 웜기어축의 좌측단부에 우측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류잭은 정렬 실린더 장치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렬 실린더 장치는 제2 실린더 및 제2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는 상기 제2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정렬 실린더 장치는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제2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정렬 실린더 장치는 상기 제3 스크류잭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에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류잭은 착탈 실린더 장치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실린더 장치는 제3 실린더 및 제3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로드는 상기 제3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실린더 장치는 상기 제3 로드가 상기 제3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실린더 장치는 상기 제3 스크류잭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슬리팅 장치는,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한 쌍의 롤링축의 상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슬리팅 장치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이 실린더 및 로드로 구성되어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롤링축을 지지하는 제3 스크류잭이, 정렬 실린더 장치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정렬 실린더 장치와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한 착탈 실린더 장치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롤링축에 링나이프, 스페이서 및 러버링의 설치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가 포함된 강판 슬리팅 설비라인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판 슬리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에 대한 우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스크류잭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웜기어 및 웜휠기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스크류잭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웜휠기어 및 스크류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두께감지센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판 슬리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에 대한 우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스크류잭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웜기어 및 웜휠기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스크류잭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웜휠기어 및 스크류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두께감지센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가 포함된 강판 슬리팅 설비라인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600)가 포함되는 강판 슬리팅 설비라인(1)의 공정순서는 도 1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후상하좌우와 같은 방향과 관련된 용어는 도 1 내지 도 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을 따른다.
강판 슬리팅 설비라인(1)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엔트리 코일 카(entry coil car, 100)에 적재되어 있는 폭이 넓은 강판(이하, '코일강판'이라 함)을 풀어, 강판 슬리팅 장치(600)에서 폭이 좁은 복수개의 강판(이하, '단위강판'이라 함)으로 슬리팅(slitting)한 후, 슬리팅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리코일러(recoiler, 1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드럼에 각각 감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판 슬리팅 설비라인(1)은, 엔트리 코일 카(100)와, 언코일러(200)와, 코일 오프너(300)와, 복수개의 벤딩 롤 장치(410, 420, 430)와, 사이드 가이드 장치(500)와, 강판 슬리팅 장치(600)와, 이송 테이블 장치(700)와, 텐션 패드 장치(800)와, 형상교정장치(900)와, 브라이들 롤 장치(1000)와, 리코일러(1100)와, 회전배출장치(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엔트리 코일 카(100)는 상기 코일강판을 적재대기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언코일러(200)는 엔트리 코일 카(1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언코일러(200)는 엔트리 코일 카(100)에 적재대기 중인 상기 코일강판을 언코일링하는(풀어주는) 장치일 수 있다. 언코일러(200)는 오버 언코일링(over uncoiling) 방식으로 상부에 스누버 롤(snubber roll, 210)이 설치될 수 있다. 언코일러(200)의 축은 상기 코일강판의 중심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강판을 지지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코일강판을 풀어줄 수 있다. 스누버 롤(210)은 언코일러(200)의 축의 회전에 의해 풀리는 상기 코일강판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코일강판이 풀리는 도중에 자체 탄성력에 의해 빠르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언코일러(200)의 축은 전체적인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4개의 원호형 파트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원호형 파트는 언코일러(200) 축의 내측에 설치된 4개의 유압실린더장치에 의해 언코일러(200) 축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약50mm 이동되면서 언코일러(200) 축의 전체적인 직경이 가변되면서 강한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코일강판이 안정적으로 풀리도록 할 수 있다.
코일 오프너(300)는 언코일러(2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오프너(300)는 언코일러(200)에서 풀려 나오는 상기 코일강판의 선단부를 오프닝하여 복수개의 벤딩 롤 장치(410, 420, 430)의 입측부(후방부)로 안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코일강판은 풀리면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코일강판의 직경 변화에 대응되게, 코일 오프너(300)는 유압 실린더 장치에 의해 상하 스윙 동작, 전후진 동작을 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벤딩 롤 장치(410, 420, 430)는 코일 오프너(3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벤딩 롤 장치(410, 420, 430)는 코일 오프너(300)에서 안내된 상기 코일강판에서 풀려진 강판(이하, '모강판'이라 함)을 평탄하게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코일강판은 바로 풀린 상태일 때 돌돌 감기려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탄성력을 제거하기 위해 복수개의 벤딩 롤 장치(410, 420, 430)는 코일 오프너(300)에서 안내된 상기 모강판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벤딩 롤 장치(410, 420, 430)는 푸셔 롤 장치(410)와, 제1 핀치 롤 장치(420)와, 제2 핀치 롤 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롤 장치(410)는 코일 오프너(3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핀치 롤 장치(420)는 푸셔 롤 장치(41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핀치 롤 장치(430)는 제1 핀치 롤 장치(42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가이드 장치(500)는 제1 핀치 롤 장치(42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가이드 장치(500)는 제1 핀치 롤 장치(420) 및 제2 핀치 롤 장치(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가이드 장치(500)는 제1 핀치 롤 장치(420)를 통과한 상기 모강판을 센터가이딩하여 제2 핀치 롤 장치(430)로 안내할 수 있다. 사이드 가이드 장치(500)의 센터가이딩은 모터로 자동 구동될 수 있으며, 일측에 설치된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강판 슬리팅 장치(600)는 복수개의 벤딩 롤 장치(410, 420, 430) 및 사이드 가이드 장치(500)를 통과한 상기 모강판을 슬리팅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제작할 수 있다. 즉, 강판 슬리팅 장치(600)는 제2 핀치 롤 장치(430)를 통과한 상기 모강판을 슬리팅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제작할 수 있다. 강판 슬리팅 장치(60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도 1에 도시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 테이블 장치(700)는 강판 슬리팅 장치(6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테이블 장치(700)는 강판 슬리팅 장치(600)에서 슬리팅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텐션 패드 장치(8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송 테이블 장치(700)는 유압 실린더 장치에 의해 전후길이가 가변되어 강판 슬리팅 장치(600)에서부터 텐션 패드 장치(800)까지의 전후길이 공차를 보정해줄 수 있다. 이송 테이블 장치(700)는 강판 슬리팅 설비라인(1)의 구동 중에는 강판 슬리팅 장치(600)에 가까운 후단부가 텐션 패드 장치(800)에 가까운 전단부보다 높이가 낮게 경사져서 배치될 수 있다.
텐션 패드 장치(800)는 이송 테이블 장치(7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텐션 패드 장치(800)는 리코일러(1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드럼에 각각 권취되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상기 복수개의 드럼에 각각 타이트하게 감기게 하는 장치일 수 있다. 텐션 패드 장치(800)의 후방측에는 이송 테이블 장치(7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분할하는 세퍼레이터(810)가 구비될 수 있다.
형상교정장치(900)는 텐션 패드 장치(8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형상교정장치(900)는 텐션 패드 장치(800)를 통과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의 형상을 교정해줄 수 있다. 즉, 텐션 패드 장치(800)를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은 휘어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형상교정장치(900)는 상기 휘어짐을 제거하기 위해 상하부 등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으며, 텐션 패드 장치(800)를 통과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은 상하로 배치된 상기 6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허용 탄성력 이내의 굴곡력이 부여되어 상기 휘어짐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형상교정장치(900)는 텐션 패드 장치(800)를 통과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의 절단면에 형성된 버(burr)를 상기 6개의 롤러를 통해 제거할 수도 있다. 형상교정장치(900)는 자체 구동력은 없고 단지 상기 6개의 롤러 사이의 압하력만 조정할 수 있으며 리코일러(1100)의 동력으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형상교정장치(900)의 전방측에는 형상교정장치(900)를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평탄하게 하는 제3 핀치 롤 장치(910)가 구비될 수 있다.
브라이들 롤 장치(1000)는 형상교정장치(9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이들 롤 장치(1000)는 형상교정장치(900)를 통과하여 리코일러(1100)의 복수개의 드럼에 각각 권취되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브라이들 롤 장치(1000)는 형상교정장치(900)를 통과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의 전단부를 자연스럽게 리코일러(1100)로 인입시켜주는 장치일 수 있다. 브라이들 롤 장치(1000)의 후방측에는 형상교정장치(900)를 통과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크롭절단장치(1010)가 구비될 수 있다.
리코일러(1100)는 브라이들 롤 장치(10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코일러(1100)에는 브라이들 롤 장치(1000)를 통과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이 각각 권취되는 복수개의 드럼이 구비될 수 있다. 리코일러(1100)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권취할 때 전체적으로 잘 권취되도록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리코일러(1100)에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각각 상기 복수개의 드럼으로 안내해주는 세퍼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의 권취면의 정렬이 일정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이 권취되면서 외경이 확대되는 도중에 상기 복수개의 드럼을 자동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드럼은 리코일러(1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내경 지름이 350mm인 것과, 내경 지름이 508mm인 것이 선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복수개의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리코일러(1100)에서 권취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은 풀리지 않도록 테이핑될 수 있다. 또한, 리코일러(1100)에는 상기 복수개의 드럼에 각각 권취되어 테이핑이 완료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의 취출을 도와주는 코일푸셔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배출장치(1200)는 리코일러(11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배출장치(1200)는 중심에 구비된 수직암을 회전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리코일러(1100)에서 권취되어 테이핑이 완료된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이 회전배출장치(1200)의 후방부에 놓여진 후, 회전배출장치(1200)는 상기 수직암을 회전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180도(DEG) 회전되어서, 회전배출장치(1200)의 전방에 배치된 코일 카에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6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판 슬리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강판은 강판 슬리팅 장치(600)의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 사이를 통과하면서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에 각각 설치된 링나이프에 의해 슬리팅되어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판 슬리팅 장치(600)는 제1 베이스(611), 제2 베이스(612), 하부 롤링축(621), 상부 롤링축(622), 간극조절모터(630),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 구동모터(650), 블로워모터(651), 감속기(652), 스윙암(655), 정렬 실린더 장치(661), 착탈 실린더 장치(6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611) 및 제2 베이스(612)는 강판 슬리팅 장치(60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강판 슬리팅 장치(600) 중 제1 베이스(611) 및 제2 베이스(61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강판 슬리팅 장치(60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제1 베이스(611)는 제2 베이스(612)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베이스(612)는 제1 베이스(611)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은 제1 베이스(611)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롤링축(622)은 하부 롤링축(6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은 구동모터(650)의 구동력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부 롤링축(621)의 외주면에는 하부 링나이프가 설치될 수 있고, 상부 롤링축(622)의 외주면에는 상부 링나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링나이프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롤링축(621)이 관통될 수 있으며, 하부 롤링축(62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러버링 및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의 폭에 맞게 좌우간격이 설정되어 복수개의 하부 링나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링나이프는 상기 하부 링나이프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링나이프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롤링축(622)의 관통될 수 있으며, 상부 롤링축(62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러버링 및 스페이서에 이해 상기 복수개의 단위강판의 폭에 맞게 좌우간격이 설정되어 복수개의 상부 링나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링나이프 및 상기 상부 링나이프는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이 구동모터(65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시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 사이에 배치된 상기 모강판을 슬리팅할 수 있다.즉, 상부 롤링축(622)은 상부 롤링축(622) 및 하부 롤링축(621)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모강판을 하부 롤링축(621)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상부 링나이프 및 상기 하부 링나이프에 의해 슬리팅되게 할 수 있다.
구동모터(650)는 제2 베이스(622)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650)는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을 둘레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베이스(622)에는 블로워모터(651), 감속기(652) 및 스윙암(655)이 설치될 수 있다. 블로워모터(651)는 구동모터(650)로 공기를 송풍하여 구동모터(650)의 열을 냉각할 수 있다. 감속기(652)는 입력축 및 출력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감속기(652)의 내부에는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기어가 수용될 수 있다. 감속기(652)의 입력축을 통해 입력되는 구동모터(650)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는 감속기(652) 내부의 기어들에 의해 감속되어 감속기(652)의 출력축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감속기(652)의 입력축은 구동모터(650)의 회전축과 커플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52)의 출력축은 스윙암(655)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윙암(655)은 스윙동작으로 하부 롤링축(621)의 좌측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스윙암(655)이 하부 롤링축(621)에 결합된 상태일 때 구동모터(650)의 구동력은 감속기(652)를 거쳐 스윙암(655)을 통해 하부 롤링축(621)에 전달되어 하부 롤링축(621)은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부 롤링축(622)은 체인을 통해 하부 롤링축(621)과 연결되어 하부 롤링축(62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부 롤링축(622)은 상기 체인 대신에 기어물림 방식으로 하부 롤링축(621)과 연결되어 하부 롤링축(621)과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모강판의 상하 두께는 상기 코일강판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상하 두께의 상기 모강판을 슬리팅할 수 있도록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의 상하간극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베이스(611)에는 간극조절모터(630) 및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이 설치될 수 있다.
간극조절모터(630)는 상부 롤링축(622)을 승강시켜 상부 롤링축(622) 및 하부 롤링축(621)의 상하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간극조절모터(630)는 상부 롤링축(622)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은 간극조절모터(630)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부 롤링축(622)을 승강시켜서 상부 롤링축(622) 및 하부 롤링축(621)의 상기 상하간극을 조절하는 실질적인 구성일 수 있다.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의 하단부는 상부 롤링축(6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롤링축(622)은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의 하단부를 관통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의 하단부는 상부 롤링축(622)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 각각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부 롤링축(622)의 외주면을 감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은 외륜 및 내륜 사이에 복수개의 볼이 구비된 볼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륜의 외주면이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 각각의 하단부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륜의 내주면이 상부 롤링축(622)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의 하단부는 상부 롤링축(6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은 제1 스크류잭(641)과, 제2 스크류잭(642)과, 제3 스크류잭(6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간극조절모터(630) 및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의 동력전달 측면의 결합관계만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간극조절모터(630)의 회전축은 우측을 향해 돌출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류잭(641)은 간극조절모터(63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류잭(641)은 제1 웜기어축(64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웜기어축(641A)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스크류잭(641)의 하우징 좌우측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간극조절모터(630)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웜기어축(641A)의 좌측단부는 간극조절모터(630)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크류잭(642)은 제1 스크류잭(64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크류잭(642)은 제2 웜기어축(64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웜기어축(642A)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스크류잭(642)의 하우징 좌우측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웜기어축(642A)은 간극조절모터(630)의 회전축 및 제1 웜기어축(641A)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웜기어축(642A)의 좌측단부는 제1 웜기어축(641A)의 우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크류잭(642)의 하단부는 제1 스크류잭(641)의 하단부와 함께 상부 롤링축(622)의 좌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3 스크류잭(643)은 제2 스크류잭(642)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스크류잭(643)은 제3 웜기어축(643A)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웜기어축(643A)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스크류잭(643)의 하우징 좌우측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웜기어축(643A)은 간극조절모터(630)의 회전축, 제1 웜기어축(641A) 및 제2 웜기어축(642A)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웜기어축(643A)의 좌측단부는 제2 웜기어축(642A)의 우측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3 스크류잭(643)의 하단부는 상부 롤링축(622)의 우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은 간극조절모터(630)의 회전축, 제1 웜기어축(641A), 제2 웜기어축(642A) 및 제3 웜기어축(643A)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은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은 제1 실린더(645A)와 제1 로드(6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645B)는 제1 실린더(645A)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은 제1 로드(645B)가 제1 실린더(645A)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로드(645B)는 제1 실린더(645A)의 우측단을 통해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있으나, 제1 실린더(645A)의 좌측단을 통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의 좌측단부는 좌측 유니버셜 조인트(645C)를 통해 제2 웜기어축(642A)의 우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의 우측단부는 우측 유니버셜 조인트(645D)를 통해 제3 웜기어축(643A)의 좌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실린더(645A) 및 제1 로드(645B) 중, 어느 하나의 좌측단부는 제2 웜기어축(642A)의 우측단부에 좌측 유니버셜 조인트(645C)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우측단부는 제3 웜기어축(643A)의 좌측단부에 우측 유니버셜 조인트(645D)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스크류잭(642)의 제2 웜기어축(642A) 우측단부와, 제3 스크류잭(643)의 제3 웜기어축(643A) 좌측단부가,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이유는, 제3 스크류잭(643)의 하단부를 상부 롤링축(622)의 우측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서,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에 링나이프, 스페이서 및 러버링의 설치 작업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611)에는 정렬 실린더 장치(661) 및 착탈 실린더 장치(66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3 스크류잭(643)은 정렬 실린더 장치(661)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643-1 위치에서부터 643-2 위치까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스크류잭(643)은 착탈 실린더 장치(662)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643-2 위치에서부터 643 위치까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3 스크류잭(643)을 643-1 위치에 위치시킨 후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에 상기 링나이프,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러버링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정렬 실린더 장치(661) 및 착탈 실린더 장치(662)는 유압에 작동되는 유압식 실린더 장치일 수 있다.
정렬 실린더 장치(661)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정렬 실린더 장치(661)는 제2 실린더(661A) 및 제2 로드(66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로드(661B)는 제2 실린더(661A)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제2 로드(661B)는 제2 실린더(661A)의 전단을 통해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정렬 실린더 장치(661)는 제2 로드(661B)가 제2 실린더(661A)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정렬 실린더 장치(661)는 제3 스크류잭(643)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롤링축(622)에 정렬시킬 수 있다.
착탈 실린더 장치(662)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착탈 실린더 장치(662)는 제3 실린더(662A) 및 제3 로드(66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로드(662B)는 제3 실린더(662A)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제3 로드(662B)는 제3 실린더(662A)의 좌측단을 통해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착탈 실린더 장치(662)는 제3 로드(662B)가 제3 실린더(662A)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착탈 실린더 장치(662)는 제3 스크류잭(643)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롤링축(622)의 우측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스크류잭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웜기어 및 웜휠기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스크류잭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웜휠기어 및 스크류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은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복수개의 스크류잭(641, 642, 643) 중 제1 스크류잭(641)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스크류잭(641)의 하우징(641E) 내부에는, 제1 웜기어축(641A)의 외주면에 웜기어(641B)가 배치되고, 웜기어(641B)와 외주면이 치합하는 웜휠기어(641C)가 배치된다. 윔휠기어(641C)의 중심에는 스크류바(641D)가 상하로 관통한다. 스크류바(641D)는 하우징(641E)을 상하로 관통한다. 스크류바(641D)에는 하우징(641E)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은 윔휠기어(641C)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간극조절모터(630)가 구동되면, 제1 웜기어축(641A)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웜기어(641B) 및 웜휠기어(641C)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스크류바(641D)가 회전되면서 상하로 이동된다. 스크류바(641D)가 상하로 이동되면, 스크류바(641D)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롤링축(622)도 스크류바(641D)에 의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상부 롤링축(622) 및 하부 롤링축(621) 사이에서 슬리팅되는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상부 롤링축(622) 및 하부 롤링축(621)의 상하간극이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600)는 두께감지센서(670) 및 컨트롤러(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 사이로 진입되는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의 상하간극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의 상하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강판의 상하 두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소재별 두께를 작업자가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 값으로 하부 롤링축(621) 및 상부 롤링축(622)의 상하간극을 조절하는 방식 또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두께감지센서(670)는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감지하여 컨트롤러(680)로 입력할 수 있고, 컨트롤러(680)는 두께감지센서(67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에 따라 간극조절모터(6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680)는 두께감지센서(670)가 감지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이용하여 상부 롤링축(622) 및 하부 롤링축(621)의 상기 상하간극을 상기 강판을 슬링팅하기 위한 설정된 간극이 되도록 간극조절모터(6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두께감지센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두께감지센서(670)는 전자식 센서일 수 있으나, 기구식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두께감지센서(670)는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은 강판 슬리팅 장치(600)의 일측에 설치된 설치브라켓(69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설치브라켓(690)의 내부에는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은 설치브라켓(690)의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해 각각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설치브라켓(690)은 상부 브라켓(691) 및 하부 브라켓(69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브라켓(691)의 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상단부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 하단부는 제1 버튼(671)의 상단부 및 제2 버튼(672)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브라켓(692)에는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이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한 쌍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한 쌍의 홀을 통해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버튼(671)은 설치브라켓(690)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버튼(672)은 설치브라켓(690)의 하면에 제1 버튼(671)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강판(S1)인 경우, 강판(S1)은 제1 버튼(671)을 누리지 않고 진행방향인 전방으로 통과하게 되고, 제2 버튼(672)만을 누르면서 진행방향인 전방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제2 버튼(672)이 강판(S1)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는 컨트롤러(680)에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680)는 제1 버튼(671)이 상기 강판(S1)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제2 버튼(672)이 상기 강판(S1)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얇은 제1 상하 두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강판(S2)인 경우, 강판(S2)은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을 모두 누르면서 진행방향인 전방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이 강판(S2)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는 컨트롤러(680)에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680)는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이 상기 강판(S2)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S2)의 상하 두께를 상기 제1 상하 두께보다 두꺼운 제2 상하 두께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은 강판의 진행방향인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강판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특정 두께 이상의 강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강판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특정 두께 이상의 강판에 의해 동시에 눌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 각각의 하면에는 후방부가 높이가 높고 전방부가 높이가 낮게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는 강판에 의해 제1 버튼(671) 및 제2 버튼(672)에 의해 쉽게 눌려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판 슬리팅 장치(600)는, 강판의 상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감지센서(670, 671, 672)를 통해 상기 강판의 두께를 감지하여, 강판의 상하 두께에 적합하게 한 쌍의 롤링축(621, 622)의 상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슬리팅 장치(600)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이 실린더(645A) 및 로드(645B)로 구성되어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유니버셜 조인트 축(645)에 연결되어 한 쌍의 롤링축(621, 622)을 지지하는 제3 스크류잭(643)이, 정렬 실린더 장치(66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정렬 실린더 장치(661)와 직교되는 좌우방향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한 착탈 실린더 장치(662)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한 쌍의 롤링축(621, 622)에 링나이프, 스페이서 및 러버링의 설치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600 : 강판 슬리팅 장치
621 : 하부 롤링축
622 : 상부 롤링축 630 : 간극조절모터
641 : 제1 스크류잭 641A : 제1 웜기어축
642 : 제2 스크류잭 642A : 제2 웜기어축
643 : 제3 스크류잭 643A : 제3 웜기어축
645 : 유니버셜 조인트 축 645A : 제1 실린더
645B : 제1 로드 645C : 좌측 유니버셜 조인트
645D : 우측 유니버셜 조인트 661 : 정렬 실린더 장치
661A : 제2 실린더 661B : 제2 로드
662 : 착탈 실린더 장치 662A : 제3 실린더
662B : 제3 로드 670 : 두께감지센서
671 : 제1 버튼 672 : 제2 버튼
680 : 컨트롤러
622 : 상부 롤링축 630 : 간극조절모터
641 : 제1 스크류잭 641A : 제1 웜기어축
642 : 제2 스크류잭 642A : 제2 웜기어축
643 : 제3 스크류잭 643A : 제3 웜기어축
645 : 유니버셜 조인트 축 645A : 제1 실린더
645B : 제1 로드 645C : 좌측 유니버셜 조인트
645D : 우측 유니버셜 조인트 661 : 정렬 실린더 장치
661A : 제2 실린더 661B : 제2 로드
662 : 착탈 실린더 장치 662A : 제3 실린더
662B : 제3 로드 670 : 두께감지센서
671 : 제1 버튼 672 : 제2 버튼
680 : 컨트롤러
Claims (7)
-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하부 링나이프가 설치되는 하부 롤링축;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부 링나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 롤링축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상기 하부 롤링축과 함께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상부 링나이프 및 상기 하부 링나이프에 의해 슬리팅되게 하는 상부 롤링축;
상기 상부 롤링축을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하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모터; 및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기 상하간극을 상기 강판을 슬리팅하기 위한 설정된 간극이 되도록 상기 간극조절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강판 슬리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두께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조절모터를 제어하는 강판 슬리팅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께감지센서는,
설치브라켓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 제1 버튼과,
상기 설치브라켓의 하면에 상기 제1 버튼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 배치된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버튼의 상기 강판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강판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제1 상하 두께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강판에 의해 눌림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의 상하 두께를 상기 제1 상하 두께보다 두꺼운 제2 상하 두께로 판단하는 강판 슬리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링축을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간극조절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상부 롤링축 및 상기 하부 롤링축의 상기 상하간극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스크류잭;을 더 포함하는 강판 슬리팅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잭은,
상기 간극조절모터의 회전축에 좌측단부가 결합되는 제1 웜기어축을 구비한 제1 스크류잭과,
상기 제1 스크류잭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웜기어축의 우측단부에 좌측단부가 결합되는 제2 웜기어축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스크류잭과 함께 상기 상부 롤링축의 좌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스크류잭과,
상기 제2 스크류잭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웜기어축의 우측단부에 좌측단부가 유니버셜 조인트 축을 통해 결합되는 제3 웜기어축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롤링축의 우측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강판 슬리팅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축은,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1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1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좌측단부는 상기 제2 웜기어축의 우측단부에 좌측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우측단부는 상기 제3 웜기어축의 좌측단부에 우측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결합되는 강판 슬리팅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제2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제3 스크류잭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에 정렬시키는 정렬 실린더 장치와,
제3 실린더와, 상기 제3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3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3 로드가 상기 제3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제3 스크류잭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롤링축의 우측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실린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강판 슬리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2521A KR20240024495A (ko) | 2022-08-17 | 2022-08-17 | 강판 슬리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2521A KR20240024495A (ko) | 2022-08-17 | 2022-08-17 | 강판 슬리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4495A true KR20240024495A (ko) | 2024-02-26 |
Family
ID=9005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2521A KR20240024495A (ko) | 2022-08-17 | 2022-08-17 | 강판 슬리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4495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1832Y1 (ko) | 2005-05-09 | 2005-08-10 | 기보스틸주식회사 | 냉연강판 폭 절단용 슬리터의 로울링축 간극조절장치 |
-
2022
- 2022-08-17 KR KR1020220102521A patent/KR20240024495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1832Y1 (ko) | 2005-05-09 | 2005-08-10 | 기보스틸주식회사 | 냉연강판 폭 절단용 슬리터의 로울링축 간극조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642410B (zh) | 记录装置 | |
EP0216964A1 (en) | Take-out/take-up tension control apparatus | |
JPS6192783A (ja) | 多層スパイラル管製造装置 | |
US626078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rewound rolls | |
JP2007125580A (ja) | 鋼帯の蛇行抑制装置 | |
JP6717612B2 (ja) | 遮水シート送り出し装置、及び、遮水シート送り出し方法 | |
KR20240024495A (ko) | 강판 슬리팅 장치 | |
CN218968326U (zh) | 一种卷式带材放卷装置 | |
KR101522165B1 (ko) |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 |
US3008663A (en) | Strip coiling apparatus | |
JP2016222435A (ja) | ロール支持スタンド | |
KR100797879B1 (ko) |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 |
US2386533A (en) | Uncoiling mechanism | |
CN217650507U (zh) | 地膜自动收换卷装置 | |
CN105858292A (zh) | 一种带表面防磨保护的铜卷检验台 | |
CN219620464U (zh) | 一种放卷轴位置安全识别的转塔放卷设备 | |
CN218261005U (zh) | 一种收放卷装置 | |
KR100792757B1 (ko) |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 |
KR100466417B1 (ko) |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 |
KR100939266B1 (ko) |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 |
CN220547720U (zh) | 一种定长自定卷料机 | |
JPH11345732A (ja) | 静止電磁誘導電器の巻線装置 | |
CN211870844U (zh) | 一种窄条分切机收卷自动调节装置 | |
KR100742889B1 (ko) |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 |
KR101310832B1 (ko) | 소재 교정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