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192A - 안전 시트 - Google Patents

안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192A
KR20240024192A KR1020247001873A KR20247001873A KR20240024192A KR 20240024192 A KR20240024192 A KR 20240024192A KR 1020247001873 A KR1020247001873 A KR 1020247001873A KR 20247001873 A KR20247001873 A KR 20247001873A KR 20240024192 A KR20240024192 A KR 2024002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eat
base
sliding member
support foot
seat charact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젱웬 구오
시아오롱 모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2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1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본체와 지지풋을 포함하는 안전 시트를 개시한다. 베이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고정부를 통해 카시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본체는 베이스에 장착되며, 지지풋은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지풋과 고정부는 베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안전 시트
본 발명은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사용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안전 시트는 영유아가 있는 부모가 차로 외출할 때 필요한 유아용품 중 하나다. 한 가정에 어린 자녀와 큰 자녀가 동시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어린이를 위해 여러 개의 안전 시트를 구입해야 하며, 이에는 막대한 지출이 발생하며, 어린이가 점차 커지면, 큰 자녀에게는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지풋을 가진 안전 시트는 버려야 하며, 이로 인해 자원 낭비가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복수의 사용 모드를 제공하는 안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와, 본체와, 지지풋을 포함하는 안전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카시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풋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풋과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의 대향되는 양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풋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래칭 부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부에 선택적으로 래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지지풋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방향 전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래칭 부재와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방향 후단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풋은 언래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언래칭부의 피봇 경로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래칭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칭 탄성 부재는 상기 래칭 부재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의 세로 방향의 길이와 상기 지지풋의 길이의 합은 상기 베이스의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풋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풋의 일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보조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보조 탄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탄성 부재의 연장 방향은 상기 브라켓의 연장 방향과 평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맞닿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스토퍼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탄성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위치결정 록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 록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풋은 록킹부를 가지며, 상기 록부와 상기 록킹부는 선택적으로 서로 클램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부 및 상기 록킹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부와 상기 록킹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서로 맞닿아 래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수용 시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용 시트에는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 록은 상기 수용 시트에 배치되고 위치결정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 돌기는 상기 노치에 선택적으로 래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결정 돌기는 탄성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전개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갭에 선택적으로 래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또는 상기 베이스에 맞닿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위치결정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탄성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피봇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풋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풋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풋은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슬리브부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풋은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케이싱과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풋은 상기 케이싱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래치 조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 래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 조작 부재는 상기 래치홀에 선택적으로 래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시트는 실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구에 인접한다.
아래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은 보다 명확해지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전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시트의 고정부를 전개 시 우측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안전 시트의 고정부와 지지풋이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의 우측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 시트가 다른 방향으로 베이스에 본체를 조립할 때의 우측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안전 시트의 접힌 상태의 우측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의 안전 시트의 다른 각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X-X 단면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안전 시트의 지지풋이 접힌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안전 시트 지지풋이 완전히 접혀 있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안전 시트 지지풋이 완전히 접혀 있을 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Y-Y 단면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Y-Y 단면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저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안전 시트의 내부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다른 각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브래킷에서 래치해제된 스토퍼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위치결정 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안전 시트의 위치결정 록이 잠금 상태에 있을 때의 Z-Z 단면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안전 시트의 위치결정 록이 잠금해제 상태에 있을 때의 Z-Z 단면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25는 도 19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안전 시트의 베이스와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안전 시트의 지지풋, 케이싱 및 보조 브래킷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30은 도 26에서 안전 시트의 우측 단면 모식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안전 시트의 보조 브래킷이 래치 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안전 시트의 보조 브래킷이 베이스로부터 래치해제되었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33은 도 27의 안전 시트의 실드 부재가 실드 위치로 이동했을 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안전 시트의 내부 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일부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35의 우측 단면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같은 부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안전 시트의 전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유아를 반송하기에 적합하며, 안전 시트(1)는 베이스(100), 본체(200) 및 지지풋(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100)는 고정부(110)를 포함하고, 본체(200)는 베이스(100)에 조립되며, 지지풋(300)은 베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풋(300)과 상기 고정부(110)는 베이스(100)의 반대편에 세로방향(longitudinal direction, L)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의 안전 시트의 고정부를 전개시 우측 모식도이다. 상세하게는, 안전 시트(1)는 카시트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며, 여기서, 베이스(100)의 좌우 양측의 바닥부에 각각 세로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되고, 고정부(110)는 예를 들어 카시트의 고정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중공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10)의 수는 2개이며, 2개의 고정부(110)는 각각 좌우 양측의 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시트의 고정 부재에 고정부(110)를 조립하여 안전 시트(1)를 고정할 수 있다. 사용 후 사용자는 고정부(110)를 고정 부재에서 래치해제하기만 하면 안전 시트(1)를 카시트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전 시트(1)의 베이스(100)는 고정부(110)를 통해 카시트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서, 도 4는 도 1의 안전 시트의 고정부와 지지풋이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풋(300)은 지지부(310)와, 슬리브부(330)와, 연장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310)는 지지풋(300)의 단부에 배치되고, 연장부(340)의 적어도 일부가 슬리브부(330)에 삽입된다. 지지부(310)는 지지풋(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신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부(340)를 슬리브부(330)에 삽입하거나 슬리브부(330)로부터 연장부(340)를 돌출시킬 수 있고, 지지부(310)는 자동차 리어시트 페달에 맞닿을 수 있어, 안전 시트(1)를 카시트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200)는 베이스(100)에 다른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도 1의 안전 시트 본체가 베이스 상에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의 우측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에는 세로방향(L)으로 조립하기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200)는 바닥부에 상기 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기둥을 가지고 있다. 탑승자가 큰 어린이일 경우, 사용자는 본체(200)의 볼록기둥을 베이스(100)의 홀에서 래치해제하고, 볼록기둥이 다른 홀에 래치되도록 본체(200)를 회전시키며, 본체(200)를 베이스(100)에 원래 조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0)와 본체(200)의 접촉면은 원호상의 표면이며 제한홈을 형성하고, 본체(200)가 베이스(100)에 조립할 경우에는 제한홈을 따라 세로방향(L)으로 작은 범위로 슬라이딩하여 탑승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의 중점이 아니므로, 여기서는 자세히 말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도 1의 안전 시트의 접힌 상태의 우측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전개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어린이가 안전 시트(1)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도 1~5와 같이 지지풋을 베이스(100)에 대해 전개할 수 있다. 안전 시트(1)가 사용 후 수납되는 경우, 지지풋(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대해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시트(1)가 차지하는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시트(1)의 사이즈에 관한 사양을 충족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해진다.
다음으로, 지지풋(300)이 베이스(100)에 대해 어떻게 접히는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여기서, 도 7은 도 1의 안전 시트의 다른 각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X-X 단면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슬라이딩 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딩 부재(400)는 베이스(100)의 바닥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지지풋(300)은 슬라이딩 부재(40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베이스(100)는 바닥부에 수용 공간(S)을 형성하고, 지지풋(300) 및 슬라이딩 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공간(S)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400)는 몸체부(410)를 포함하고 몸체부(410)에 개구(O)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부재(400)에 지지풋(300)의 일부가 개구(O)를 통해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 시트(1)의 지지풋(300)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400)를 베이스(100)에 대해 수용 공간(S)에서 밖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지지풋(300)은 슬라이딩 부재(400)에 대해 도 1과 같은 전개 상태로 피봇 가능하다. 사용자가 지지풋(300)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지지풋(300)은 개구(O)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400) 내로 회전할 수 있고, 슬라이딩 부재(400)는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힌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개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400)가 아기의 다리 내측으로부터의 푸싱에 의해 수용공간(S)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안전 시트(1)는 베이스(100)에 피봇연결하는 래칭 부재(500)를 더 구비하고, 슬라이딩 부재(400)는 위치결정부(420)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래칭 부재(500)는 위치결정부(420)에 선택적으로 래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400)는 베이스(100)에 대하여 세로방향(L)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지지풋(300)은 세로방향(L)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400)의 전단에 피봇연결되며, 래칭 부재(500) 및 위치결정부(420)는 세로방향(L)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4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4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지지풋(300)이 베이스(100)에 대하여 전개되면 래칭 부재(500)는 슬라이딩 부재(400)의 세로방향(L)에서의 후단에 위치결정부(420)와 서로 래치하고, 슬라이딩 부재(400)를 전개상태의 위치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부재(130)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한 부재(130)는 예를 들면 위치결정핀 또는 볼록 기둥이며, 슬라이딩 부재(400)의 몸체부(4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슬롯(41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슬롯(412)의 수와 위치는 제한 부재(130)에 대응하고, 제한 부재(130)는 슬라이딩 슬롯(4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400)의 슬라이드 방향을 안내하여, 슬라이드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지지풋(300)이 베이스(100)에 대해 접혀 있을 때 슬라이딩 부재(400)를 자동으로 래치해제하는 기능도 갖는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여기서 도 9는 도 8의 지지풋이 접히는 과정일 때의 안전 시트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안전 시트의 지지풋이 완전히 접혀 있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풋(300)은 언래칭부(320)를 포함하고, 언래칭부(320)는 예를 들어, 지지풋(300)의 외주에 위치하는 환상의 플랜지이며, 상기 언래칭부(320)의 피봇경로에 래칭 부재(50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지지풋(300)이 도8에 도시된 전개 상태의 위치에서 도9의 위치를 시계방향으로 통과하여 슬라이딩 부재(400)의 몸체부(410)로 최종 회전하면, 언래칭부(320)가 래칭 부재(500)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칭 부재(500)가 위치결정부(420)의 세로방향(L)의 후단에서 일시적으로 이탈함으로써 래칭 부재(500)와 슬라이딩 부재(400)가 서로 래치되지 않고, 슬라이딩 부재(400)가 수용공간(S)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주목할 것은,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언래칭부(320)는 지지부(310)와 일체화될 수도 있는 것이고, 즉, 지지풋(300)이 슬라이딩 부재(400)로 회전될 때, 래치 부재(500)와 맞닿는 지지부(310)에 의해 언래칭이 수행될 것이고, 또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지지풋(300)이 슬라이딩 부재(400) 내로 회전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다른 부분이 지지풋(300)과 슬라이딩 부재(40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안전 시트(1)는 보호 부재(600)를 더 포함하고, 보호 부재(600)는 예를 들어 원호상의 표면(610)을 갖는 원호상의 중공 케이싱이고, 슬라이딩 부재(400)에 피봇 연결되며, 지지풋(300)과 슬라이딩 부재(4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풋(300)이 슬라이딩 부재(400) 내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보호 부재(600)는 중력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00)의 내연을 따라 지지풋(300)과 슬라이딩 부재(400) 사이의 갭으로 피봇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다른 부분이 갭으로 돌출되었을 때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풋(300)이 슬라이딩 부재(400)로부터 회전하여 이탈하면, 지지풋(300)의 상단(지지부(310)에 대하여 단부)이 자동으로 보호 부재(600)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위치로 밀어낸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00)는 스토퍼부(120)를 더 구비하고, 스토퍼부(120)는 예를 들어 배플판이고, 베이스(100)의 세로방향(L)의 후단에 배치되며, 지지풋(300)의 전단부터 베이스(100)의 후단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어 365mm~535mm 사이이고, 또한 지지풋(300)이 접히면 베이스(100)의 바닥부에서 본체(200)의 상부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어 715mm~752mm 사이이고, 베이스(100)의 높이는 예를 들어 155mm~325mm 사이이고, 이러한 크기로 인해 안전 시트(1)는 다양한 승용차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안전 시트(1)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지지풋(300)의 지지부(310) 및 언래칭부(320)에 가까운 일단은 스토퍼부(120)에 의해 막혀, 베이스(100)에 대해 피봇되지 않으므로, 안전 시트(1)는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베이스(100)의 바닥부는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전 시트(1)의 조작 순서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여기서 도 11은 도 7의 안전 시트의 지지풋이 완전히 접혀 있을 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안전 시트(1)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딩 부재(400)의 세로 방향(L)의 후단에 위치하는 위치결정부(420)가 래칭 부재(500)에 의해 제한되고, 따라서 베이스(100)에 대해 돌출된 위치에 유지된다. 사용자가 안전 시트(1)를 접으려 할때, 지지풋(300)을 슬라이딩 부재(400) 내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언래칭부(320)는 래칭 부재(500)에 맞닿아, 슬라이딩 부재(400)의 세로방향(L)의 후단으로부터 이탈되어 슬라이딩 부재(400)와 래치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는 제한 부재(130)가 슬라이딩 슬롯(412)의 세로방향(L)의 전단에 맞닿을 때까지, 지지풋(300)이 수용된 슬라이딩 부재(400)를 세로방향(L)의 반대방향을 따라 수용공간(S) 내로 더 슬라이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지지풋(300)의 지지부(310)에 가까운 일단이 스토퍼부(120)에 의해 막혀 수용공간(S) 내에 남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지지풋(300)을 베이스(100)에 대해 다시 전개시키려 할 때, 슬라이딩 부재(400)를 베이스(100)에 대해 세로방향(L)을 따라 슬라이딩시키고, 지지풋(300)을 몸체부(410)로부터 회전하여 이탈하면 된다. 이때, 래칭 부재(500)는 언래칭부(320)와 몸체부(410)에 맞닿지 않으므로 래칭 부재(500)는 다시 위치결정부(420)의 세로방향(L)의 후단으로 피봇되어, 지지풋(300)과 슬라이딩 부재(400)를 전개된 상태의 위치로 유지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개략적인 후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Y-Y 단면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와 유사하며, 양자의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칭 부재(500a)가 베이스(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래칭 부재(500a)의 수는 예를 들면 2개이고, 2개의 래칭 부재(500a)는 슬라이딩 부재(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전 시트(1)는 래칭 탄성 부재(510a)를 더 포함하고, 래칭 탄성 부재(510a)는 예를 들어 리니어 스프링이며 래칭 부재(500a)와 베이스(1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풋(300)이 슬라이딩 부재(400)에 대해 접히면, 지지풋(300)의 일부가 래칭 부재(500a)에 맞닿고, 래칭 부재(500)가 각각 베이스(100)의 좌우 양측을 향해 도12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후퇴하고, 슬라이딩 부재(400)를 계속해서 막지 않는다. 또한 래칭 부재(500a)의 후퇴과정에서, 래칭 탄성 부재(510a)는 동시에 변형되어 탄성력이 축적된다. 따라서, 지지풋(300)이 슬라이딩 부재(400)로부터 회전하여 이탈되면, 래칭 부재(500a)는 즉시 리셋되어 슬라이딩 부재(400)를 전개위치로 다시 제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안전 시트의 Y-Y 단면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제2 실시예의 안전 시트와 유사하며, 양자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래칭 부재(500b)가 베이스(100)에 피봇연결되고, 래칭 부재(500)의 피봇방향이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평행하다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래칭 부재(500b)는 래칭 부재(500b)가 베이스(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피봇축(520b)을 통해 베이스(10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인 래칭 탄성 부재(510b)를 더 구비하고, 래칭 부재(500b)가 도 14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피봇하면 변형되어 탄성을 축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5 내지 도18을 참조하면, 여기서, 도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안전 시트의 저면도이고, 도16은 도15의 안전 시트 내부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17은 도16의 다른 각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8은 도17의 스토퍼 부재와 브라켓의 래치해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제1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와 거의 같으며, 이들의 주요한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가 위치결정 록(800)을 더 포함하고, 베이스(100)는 브라켓(140)을 더 포함하며, 슬라이딩 부재(400a)가 브라켓(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지풋(300)을 베이스(100)로부터 인출하거나 전개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안전 시트(1)는 위치결정 록(800)에 의해 지지풋(300)을 잠금상태로 제한하고, 위치결정 록(800)이 지지풋(3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지지풋(300)을 슬라이딩 부재(400a)에 의해 자동으로 래치해제 위치까지 슬라이딩시켜 사용상태까지 피봇시켜 전개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40)의 수는 예를 들면 2개이며, 2개의 브라켓(140)이 베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부재(400a)는 안전 시트(1)의 전단에 가까운 브라켓(140)의 연장 부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 및 슬라이딩 부재(400a)는 각각 금속에서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지며, 지지풋(300)의 사용시 브라켓(140) 및 슬라이딩 부재(400a)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전 시트(1)는 보강 부재(150)를 더 포함하고, 보강 부재(150)는 예를 들어 브라켓(140)의 형상과 협동하는 알루미늄 압출 부재로서, 브라켓(140)과 슬라이딩 부재(400a)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풋(300)이 반복 사용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400a)가 브라켓(140)을 마모하거나 브라켓(140)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지지풋(300)의 자동 슬라이딩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지지풋(300)은 피봇축(360)을 통하여 슬라이딩 부재(400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안전 시트(1)는 보조 탄성 부재(160)를 더 포함하며, 보조 탄성 부재(160)는 예를 들어 일단이 베이스(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부재(400a)에 연결된 리니어 스프링이며, 보조 탄성 부재(160)의 연장방향은 브라켓(140)의 연장방향(즉, 세로방향(L))과 평행된다. 따라서, 지지풋(300)이 위치결정 록(800)에 의해 잠기면, 보조 탄성 부재(160)는 신장상태가 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고, 위치결정 록(800)에 의해 지지풋(300)이 잠금해제되면, 보조 탄성 부재(160)는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00a)를 브라켓(140)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개위치까지 슬라이딩시켜, 지지풋(300)이 자중에 의해 피봇축(360)에 대해 전개상태까지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 상에 제한핀(142)이 배치되고, 슬라이딩 부재(400a) 상에 슬라이딩 슬롯(412a)이 배치되며, 제한핀(142)이 슬라이딩 슬롯(412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00a)의 슬라이드 스트로크가 제한될 수 있으며, 보조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00a)가 브라켓(140) 밖으로 완전히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 중 슬라이딩 부재(400a)가 브라켓(140)을 따라 다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안전 시트(1)는 스토퍼 부재(700)를 더 포함하고, 스토퍼 부재(700)는 슬라이딩 부재(400a)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브라켓(140)에 선택적으로 맞닿게 된다.
구체적으로, 안전 시트(1)는 스토퍼 탄성 부재(710)를 더 포함하고, 스토퍼 탄성 부재(710)는 예를 들어 리니어 스프링이며, 슬라이딩 부재(400a)와 스토퍼 부재(70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한핀(430)은 슬라이딩 부재(400a)에 구비되고, 장홀(720)은 스토퍼 부재(700)에 형성되며, 제한핀(430)은 장홀(72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400a)가 보조 탄성 부재(160)에 의해 움직여 스토퍼 부재(700)가 배치되는 부분이 브라켓(140)에 대해 슬라이딩하면, 스토퍼 부재(700)는 스토퍼 탄성 부재(710)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브라켓(140)과 보강 부재(150)의 단부(E)의 전 방에 맞닿아, 슬라이딩 부재(400a)가 브라켓(140)을 따라 다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지풋(300)과 슬라이딩 부재(400a)를 베이스(100)에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해제방향(R)을 따라 스토퍼 부재(700)를 밀어올리는 것만으로, 스토퍼 부재(700)가 브라켓(140)과 보강 부재(150)의 단부(E)에 더 이상 맞닿지 않고, 지지풋(300)과 슬라이딩 부재(400a)를 브라켓(140)을 따라 밀어넣을 수 있다.
도 19 내지 24를 참조하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저면 모식도이고, 도 20은 도 19에서의 위치결정 록의 사시 모식도이고, 도 21 및 도 23은 각각 도 19에 도시된 안전 시트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에서의 Z-Z단면의 모식 단면도이고, 도 22 및 도 24는 각각 도 20 및 도 22의 부분확대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제4 실시예의 안전 시트와 유사하며, 양자의 차이점으로서, 본 실시예의 위치결정 록(800)은 록킹부(810)를 포함하고, 위치결정 록(800)과 지지풋(300)은 록킹부(810)를 통해 서로 래치되고, 또한 지지풋(300)은 접힘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직접 피봇 가능하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시트(1)는 위치결정 록(800)을 더 포함하고, 위치결정 록(800)은 베이스(100)에 구비되어 록킹부(810)를 포함하며, 지지풋(300)의 바닥단에 록부(35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록킹부(810)는 예를 들면 록킹핀이고, 록부(350)는 상기 록킹핀에 대응하는 록킹홀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 필요에 따라 록킹홀은 위치결정 록(800)에 설치될 수 있고, 잠금핀은 지지풋(3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록킹부(810)와 록부(350)는 선택적으로 서로 래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결정 록(800)이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록킹부(810)와 록부(350)가 서로 래치되어 지지풋(300)을 록킹하도록 지지풋(300)을 피봇(360)을 따라 접히는 위치로 피봇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록킹부(810) 및 록부(3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록킹부(810)는 가이드부(812)를 가지며, 가이드부(812)는 가이드 경사면이고, 또한 록킹부(810)와 록부(350)는 가이드부(812)를 통해 서로 맞닿아 래치된다. 사용자가 지지풋(300)을 접히는 위치로 푸시되면 록부(350)의 상단이 가이드부(812)에 맞닿아, 록킹부(810)를 넘어 록킹부(810)에 래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지풋(3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록킹부(810)가 록부(350)와 서로 래치되지 않게 되어 지지풋(300)이 베이스(100)에 대해 전개될 수 있도록, 세로방향(L)과 반대방향으로 위치결정 록(800)을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하기만 하면 되고, 그리고 지지풋(300)은 슬라이딩 부재(400a)를 통해 사용상태의 위치까지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위치결정 록(800)이 현재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알리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결정 록(800)은 사용자가 서로 다른 위치 간의 전환을 수행할 때, 터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과 도 25를 동시에 참조하면, 여기서 도 25는 도 19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록(800)은 예를 들어 탄성체인 위치결정 돌기(820)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100)는 수용 시트(170)를 더 포함하며, 수용 시트(170)에 노치(172)가 형성되고, 그리고 위치결정 록(800)은 수용 시트(170)에 배치되고, 위치결정 돌기(820)는 노치(172)에 선택적으로 래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노치(172)의 수는 예를 들면 4개이며, 4개의 노치(172)는 각각 수용 시트(17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위치결정 록(800)을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거나,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이동하려고 하면, 위치결정 돌기(820)가 수용 시트(170)의 벽면에 맞닿으며, 이때 사용자는 이동시 강력하게 힘을 가해야 하며, 위치결정 돌기(820)가 벽면을 넘어 다른 노치(172)로 래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력의 간섭에 의해 위치결정 록(800)이 실수로 잠금해제되거나 잠기는 일이 없으며, 사용자는 조작 중 터치 피드백을 통해 위치결정 록(800)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여기서,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서의 안전 시트의 베이스와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6에서의 안전 시트의 지지풋, 케이싱 및 보조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는 제4 실시예에서의 안전 시트(1)와 유사하며, 차이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풋(300)이 베이스(100)에 대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지풋(3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지지풋(300)을 안전 시트(1)에서 분리하는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00)와 지지풋(300)은 선택적으로 서로 래치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2를 함께 참조하면, 여기서, 도 29는 도 28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고, 도 30은 도 26의 안전 시트의 개략 우측 단면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안전 시트의 보조 브라켓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안전 시트의 베이스로부터 보조 브라켓이 잠금 해제 시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안전 시트(1)는 제4 실시예의 안전 시트(1)와 달리 슬라이딩 부재(400a)를 갖지 않고, 케이싱(400b)과 보조 브라켓(140a)을 포함하며, 케이싱(400b)이 베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지지풋(300)이 케이싱(400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보조 브라켓(140a)이 베이스(100)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케이싱(400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400b) 및 케이싱(400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풋(300)은 보조 브라켓(140a)을 통해 베이스(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브라켓(140a)은 래치 조작 부재(144)를 포함하고, 래치 조작 부재(144)는 예를 들어 버튼이고, 베이스(100)에는 래치홀(180)과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브라켓(140a)는 개구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보조 브라켓(140)과 함께 지지풋(300)을 사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래치 조작 부재(144)가 래치홀(180)에 래치되므로, 지지풋(300)은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없다. 나아가, 사용자가 지지풋(300)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래치 조작 부재(144)를 눌러 래치홀(180)로부터 이탈시키고, 동시에 보조 브라켓(140a)과 케이싱(400b)을 베이스(100)의 전단 개구를 향해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브라켓(140a)과 케이싱(400b)은 베이스(10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래치 조작 부재(144)를 통해 래치홀(180)에 선택적으로 래치됨으로써, 지지풋(300)을 베이스(100)에서 탈거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도 33은 도 27의 안전 시트의 실드 부재가 실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의 개략 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안전 시트의 내부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전 시트(1)는 실드 부재(190)를 더 포함하고, 실드 부재(190)는 베이스(10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에 인접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실드 부재(190)는 베이스(100)에 직접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지지풋(300)을 베이스(100)로부터 탈거한 후, 개구 노출로 인한 안전 시트(1)의 외관 불량을 회피하거나 유아가 실수로 개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쉴드 부재(190)를 쉴드 위치로 피봇시켜, 개구를 덮도록 할 수 있어, 베이스(100)의 외관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유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개략 우측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안전 시트(1)와 유사하며, 양자의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트(1)가 슬라이딩 부재(400)와 지지풋(300)을 전개위치에서 잠금하기 위한 위치결정부(420a)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결정부(420a)는 슬라이딩 부재(400)상에 배치되며, 베이스(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부재(400)와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시트(1)는 위치결정 탄성 부재(422)를 더 포함하고, 위치결정 탄성 부재(422)는 예를 들어 스프링이며, 위치결정부(420a)와 슬라이딩 부재(40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400)의 슬라이드 과정에 있어서, 위치결정부(420a)는 위치결정 탄성 부재(422)의 탄성력을 받아, 베이스(100)의 상벽면의 아래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슬라이딩 부재(4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전개위치까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딩 부재(400)와 베이스(100) 사이에 갭(C)이 형성되고, 위치결정부(420a)는 위치결정 탄성 부재(422)의 탄성력에 의해 갭(C)으로 튕겨져, 갭(C)에 래치하는 동시에 슬라이딩 부재(400) 및 베이스(100)와 맞닿으므로, 슬라이딩 부재(400)와 지지풋(300)이 전개위치에 잠긴다. 그러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부(420a)는 제6 실시예와 같이 케이싱(400b)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위치결정부(420a)는 슬라이딩 부재(400) 및 베이스(100) 중 하나에만 맞닿아 있을 수 있고, 더욱이, 안전 시트(1)는 위치결정 탄성 부재(422)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 선택적인 래치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위치결정부(420a)를 만들기 위해 탄성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안전 시트(1)는 피봇 탄성 부재(424)를 더 포함하고, 피봇 탄성 부재(424)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이며, 지지풋(300)과 슬라이딩 부재(4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4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전개위치까지 슬라이딩하면, 지지풋(300)은 피봇 탄성 부재(424)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00)에서 전개상태로 자동으로 튕겨지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 시트(1)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지지풋(300)이 베이스(100)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고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안전 시트(1)를 사용하지 않거나 지지풋(300)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지지풋(300)을 베이스(100)에 대하여 피봇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을 수 있어, 사용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사이즈 관련 사양에 부합되고, 점유부피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최적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결코 상기에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에 기초한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조합을 포함해야 한다.
안전 시트: 1
베이스: 100
고정부: 110
스토퍼부: 120
제한 부재: 130
브라켓: 140
보조 브라켓: 140a
제한핀: 142
래치 조작 부재: 144
보강 부재: 150
보조 탄성 부재: 160
수용 시트: 170
노치: 172
래치홀: 180
실드 부재: 190
본체: 200
지지풋: 300
지지부: 310
언래칭부: 320
슬리브부: 330
연장부: 340
맞닿음부:342
록부: 350
피봇축: 360
슬라이딩 부재: 400, 400a
케이싱: 400b
몸체부: 410
슬라이딩 슬롯: 412, 412a
위치결정부: 420, 420a
위치결정 탄성 부재: 422
피봇 탄성 부재: 424
제한핀: 430
래칭 부재: 500, 500a, 500b
래칭 탄성 부재: 510, 510b
피봇축: 520b
보호 부재: 600
원호면: 610
스토퍼 부재: 700
스토퍼 탄성 부재: 710
장홀: 720
위치결정 록: 800
록킹부: 810
가이드부: 812
위치결정 돌기: 820
갭: C
단부: E
세로 방향: L
개구: O
언록킹 방향: R
수용 공간: S
단면: X-X, Y-Y, Z-Z

Claims (26)

  1. 안전 시트에 있어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를 통해 카시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조립되는 본체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와는 각각 상기 베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풋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래칭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부에 선택적으로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항과 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지지풋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전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래칭 부재와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세로 방향의 후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풋은 언래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부재는 상기 언래칭부의 피봇 경로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칭 탄성 부재는 상기 래칭 부재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7.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과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상기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풋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8.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과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9.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과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풋의 일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0.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과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상기 베이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보조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탄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탄성 부재의 연장 방향은 상기 브라켓의 연장 방향과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스토퍼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탄성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결정 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록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풋은 록부를 가지며, 상기 록킹부와 록부는 선택적으로 서로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 및 상기 록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와 상기 록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서로 맞닿아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수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시트에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 록은 상기 수용 시트에 배치되고 위치결정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위치결정 돌기는 상기 노치에 선택적으로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돌기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19.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과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전개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갭에 선택적으로 래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위치결정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 탄성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1.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과 선택적으로 조합되고,
    피봇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봇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풋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풋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풋은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슬리브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풋은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과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풋은 상기 케이싱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래치 조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 래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조작 부재는 상기 래치홀에 선택적으로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26. 제 25 항에 있어서,
    실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트.
KR1020247001873A 2021-06-21 2022-06-21 안전 시트 KR20240024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686926.0A CN115571029A (zh) 2021-06-21 2021-06-21 安全座椅
CN202110686926.0 2021-06-21
PCT/EP2022/066867 WO2022268804A1 (en) 2021-06-21 2022-06-21 Safety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192A true KR20240024192A (ko) 2024-02-23

Family

ID=8225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873A KR20240024192A (ko) 2021-06-21 2022-06-21 안전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40198868A1 (ko)
EP (1) EP4359254A1 (ko)
KR (1) KR20240024192A (ko)
CN (1) CN115571029A (ko)
AU (1) AU2022300303A1 (ko)
CA (1) CA3223637A1 (ko)
DE (1) DE112022003155T5 (ko)
TW (1) TW202302386A (ko)
WO (1) WO2022268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39996A (zh) * 2022-01-07 2023-10-16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底座組件以及兒童汽車安全座椅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47605U (zh) * 2011-06-21 2012-02-22 宝鉅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安全座椅装置
CN203237080U (zh) * 2013-04-18 2013-10-16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童安全座椅的基座支撑脚架收置机构
CN113859069B (zh) * 2016-03-08 2024-01-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209756863U (zh) * 2018-12-05 2019-12-10 广东乐美达集团有限公司 带有背靠调节机构的汽车儿童安全座椅
CN111923795A (zh) * 2020-06-30 2020-11-13 宁波康欣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带支脚的安全椅座
CN213413570U (zh) * 2020-08-04 2021-06-11 广东乐美达集团有限公司 便于与汽车儿童安全座椅拆装的底座及汽车儿童安全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98868A1 (en) 2024-06-20
CN115571029A (zh) 2023-01-06
AU2022300303A1 (en) 2024-02-08
CA3223637A1 (en) 2022-12-29
TW202302386A (zh) 2023-01-16
WO2022268804A1 (en) 2022-12-29
DE112022003155T5 (de) 2024-04-11
EP4359254A1 (en)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204B1 (ko) 아동 캐리어가 트리거하는 접는 장치가 있는 아기 유모차
JP4191290B2 (ja) 幼児キャリヤ取付けシステム
US8366127B2 (en) Infant carrier device suitable for multi-orientation use
US8474854B2 (en) Foldable stroller and fold interlock mechanism
EP2865562B1 (en) Child safety seat
RU2502615C2 (ru) Детское автокресло
EP2318259B1 (en) Storage latch and reversible handle for a stroller
TWI635002B (zh) Child seat
US20110148076A1 (en) Collapsible Child Carrier Apparatus
KR102430676B1 (ko) 아동용 안전 좌석
US7735911B2 (en) Collapsible high chair for children
US20050017549A1 (en) Collapsible high chair for children
KR20240024192A (ko) 안전 시트
EP3831649A1 (en) Child conveyance apparatus
TWI746043B (zh) 嬰幼兒推車
JP2024526166A (ja) 安全シート
CN111251954A (zh) 儿童汽车安全座椅
KR20230110642A (ko) 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어린이 안전시트
CN105799559A (zh) 高度调整机构及具有此高度调整机构的婴幼儿载具
CN115500654A (zh) 婴儿床
KR200346318Y1 (ko) 유아용 접이식 변기의 팔걸이 자동 절첩장치
JP2003299553A (ja) 寝台におけるサ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JP2003052495A (ja) 幼児用歩行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