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723A -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723A
KR20240023723A KR1020220101742A KR20220101742A KR20240023723A KR 20240023723 A KR20240023723 A KR 20240023723A KR 1020220101742 A KR1020220101742 A KR 1020220101742A KR 20220101742 A KR20220101742 A KR 20220101742A KR 20240023723 A KR20240023723 A KR 2024002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color steel
steel plate
sealing memb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수
Original Assignee
장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길수 filed Critical 장길수
Priority to KR1020220101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723A/ko
Publication of KR2024002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바닥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칼라강판과 상기 칼라강판의 사이를 메워 방수시키기 위한 밀폐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칼라강판은 단열부재로 충진된 사각형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네 가장자리로 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을 구비하되 탄성을 갖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는 저면에 수평의 밀착면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 밀착면 안쪽에 형성되되 하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탄력판과, 상기 한쌍의 탄력판의 일측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홈의 측면판에 대응되는 걸림턱으로 구 성되는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밀폐부재에 의해 칼라강판의 연결틈새를 밀폐시킴으로써 방수가 가능하게 하고, 부족한 밀폐력은 실리콘 등의 방수부재를 사용하 여 밀폐부재와 칼라강판 사이에 충진시킴으로써 완벽한 방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옥상 바닥에 칼라강판을 순차적으로 가로 세로로 배치한 후 그 사이사이에 밀폐부재만 끼워 누르면 칼라강 판과 밀폐부재의 자체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삽입되면서 벌어져 걸리게 되어 이탈이 쉽지 않게 되고 방수부재 를 밀어붙여 보다 긴밀한 방수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Color steel plate coupling structure for roof steel waterproofing}
본 발명은 밀폐부재에 의해 칼라강판의 연결틈새를 밀폐시킴으로써 방수가 가능하게 하고, 부족한 밀폐력은 실리콘 등의 방수부재를 사용하여 밀폐부재와 칼라강판 사이에 충진시킴으로써 완벽한 방수를 가능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부재에 의해 칼라강판의 연결틈새를 밀폐시킴으로써 방수가 가능하게 하고, 부족한 밀폐력은 실리콘 등의 방수부재를 사용하여 밀폐부재와 칼라강판 사이에 충진시킴으로써 완벽한 방수를 가능하 게 한다.
또한 옥상 바닥에 칼라강판을 순차적으로 가로 세로로 배치한 후 그 사이사이에 밀폐부재만 끼워 누르면 칼라강 판과 밀폐부재의 자체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삽입되면서 벌어져 걸리게 되어 이탈이 쉽지 않게 되고 방수부재 를 밀어붙여 보다 긴밀한 방수를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칼라강판의 특성상 시공 후 많은 시간이 흘러도 방수 코팅층이 변질되거나 부식되지 않아 건물의 훼손염려 가 전혀 없으며, 이에 장시간 동안 건물이 갖고 있어야 할 미려한 아름다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 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옥상방수구조들과는 달리 옥상 바닥부가 칼라강판들과 접착제나 우레탄 등으로 접착된 상태가 아니어서 옥상 바닥과 칼라강판 사이에는 공간이 들뜬 상태가 되어 건물이 숨을 쉴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는 건물 내구성을 좋게 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9751호 2. 공개실용신안 20-2015-0004331
1.또한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계절의 변화와 습도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신장율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고 또 방수층 내의 콘크리트에 수분이 유입되면 수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층이 부식 또는 산화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어 누수는 물론 건물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있어 왔다.
또한, 시공이 완료된 건물을 누수로 인해 보수할 때에는 건물 바닥과 방수층간의 신장율의 변화가 심하여 효과 적인 방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방수층과 건물바닥층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는 폐단이 있어 왔다.
즉, 건물 옥상의 바닥에 일정규격의 시트 또는 부직포를 종과 횡으로 일정간격의 신축공간이 유지되도록 접착제 등을 이용 건물 바닥과 접착 고정하고, 신축공간에는 쿳션재를 위치시켜서 시트 또는 부직포를 종과 횡으로 구 획하고 그 윗면에 방수층을 구성하여 시공되는데 이와 같이 시공하게 되면 시트 또는 부직포와 쿳션재는 방수층 과 건물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계절변화와 온도 변화 및 습도에 따라 신장율이 변화되더라도 신장율이 다르게 되 어 터지거나 누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9751호서와 같이, 건축물 옥 상의 콘크리트 표면에 일정한 규격의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격자형상으로 설치하고, 그 연결 부분을 우레탄 접 착층으로 서로 맞물리게 하고, 재차 십자형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상기 우레탄 시스템 보드의 연결부분에 설치 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에 대한 대응력을 증대하고, 설치된 우레탄 시스템 보드 사이를 통풍형으로 시공하 여, 전체적인 바탕면이 서로 통풍되어 습기로 인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이용한 옥상 방수구조와 공법이 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옥상 방수처리를 하기 위해서 또는 콘크리트 표면 균열에 대한 대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서 우레탄 코팅 방식을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악천후와 햇빛 등에 의해 우레탄이 변질되면서 코팅층이 마모, 손상, 파괴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결국 옥상 방수가 완벽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 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코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틀에 의해서 옥상바닥의 상부에 이격되어 경사지게 칼 라강판으로 형성된 지붕이 설치되고, 상기 지붕의 측면 끝단에는 물받이가 형성되며, 옥상의 난간벽체를 감싸고 지붕과 연결되는 벽면패널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칼라강판을 이용한 지붕개량 및 방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 틀은 다수개의 세로목과 가로목이 직교하면서 가운데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하도록 좌,우격자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격자틀이 끝단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가운데에서부터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다 수개의 세움목이 교차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세움목을 서로 연결하는 버팀목이 형성되고, 상기 지 붕은 좌,우격자틀의 상단에 각각 올려지고, 가운데에는 중앙덮개가 형성되며, 지붕의 끝단에 형성되는 물받이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벽면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패널의 상단을 막는 연결덮개가 형성되며, 상 기 옥상바닥에는 단열재가 형성되는데, 단열재는 세움목이 옥상바닥에 고정되도록 그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칼라 강판을 이용한 지붕개량 및 방수방법이 공개실용신안 20-2015-0004331호로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칼라강 판을 설치하기 위해서 수많은 세로목, 가로목, 세움목들로 이루어진 지지틀을 세워야 하는 구조여서 바닥으로 부터 칼라강판이 상당한 높이에 형성되므로 옥상 바닥이 높아지는 단점과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소 요되는 단점, 목재로 지지틀을 형성하는 것이어서 쉬 썩게되고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지의 칼라강판은 소지강판상에 아연 또는 아연합금 도금층, 크롬산염층 및 에폭시변성 또 는 폴리에스테르변성 프라이머 하도도막층, 수지, 폴리에스테르화합물, 첨가제, 용제, 주름형성제, 안료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붕재용 칼라강판의 종류로는 위에서 언급되지 아니한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것들이 사용될 수도 있 음은 당연하다.
또 상기 칼라강판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부재(140)로는 단열이 가능하면서 쉬 변형되지 않는 재질이면 무방하 다. 즉 스티로폼이나 스펀지, 고무 등도 사용가능하나 위에서의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고밀도 발포합성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라강판을 이용한 옥상방수구조는 옥상 바닥 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칼라강판과 상기 칼라강판의 사이를 메워 방수시키기 위한 밀폐부재로 이루어지되, 상 기 칼라강판은 내부에 단열부재로 충진된 사각형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네 가장자리로 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을 구비하되 탄성을 갖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는 저면에 수평의 밀착면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 밀착면 안쪽에 형성되되 하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한쌍의 탄력판과, 상기 한쌍의 탄력판의 일측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홈의 측면판에 대응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됨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의 측면판 하단에는 측면판 하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칼 라강판들 사이에 일정한 이격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옥상 바닥으로 부터 칼라강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 기 위한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탄력판의 하단에는 안쪽을 향해 경사져서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 유도판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라강판과 밀폐부재 사이에는 방수부재가 개재되어 틈새를 막아주도록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부재에 의해 칼라강판의 연결틈새를 밀폐시킴으로써 방수가 가능하게 하고, 부족한 밀폐력은 실리콘 등의 방수부재를 사용하여 밀폐부재와 칼라강판 사이에 충진시킴으로써 완벽한 방수를 가능하 게 한다.
또한 옥상 바닥에 칼라강판을 순차적으로 가로 세로로 배치한 후 그 사이사이에 밀폐부재만 끼워 누르면 칼라강 판과 밀폐부재의 자체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삽입되면서 벌어져 걸리게 되어 이탈이 쉽지 않게 되고 방수부재 를 밀어붙여 보다 긴밀한 방수를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칼라강판의 특성상 시공 후 많은 시간이 흘러도 방수 코팅층이 변질되거나 부식되지 않아 건물의 훼손염려 가 전혀 없으며, 이에 장시간 동안 건물이 갖고 있어야 할 미려한 아름다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 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옥상방수구조들과는 달리 옥상 바닥부가 칼라강판들과 접착제나 우레탄 등으로 접착된 상태가 아니어서 옥상 바닥과 칼라강판 사이에는 공간이 들뜬 상태가 되어 건물이 숨을 쉴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는 건물 내구성을 좋게 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칼라강판을 이용한 옥상방수구조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 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 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 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 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 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 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상방수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칼라강 판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밀폐부재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칼라강판과 밀폐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 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건물의 옥상 방수처리 시공 후 많은 시간이 흘러도 방수구조물에 대한 변질 및 변형으로 인한 건물의 훼손염려 를 최소화하기 위한 칼라강판을 이용한 옥상방수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옥상 바닥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칼라강판(110)과 상기 칼라강판의 사이를 메워 방수시키기 위한 밀폐부재 (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칼라강판(110)은 단열부재(140)로 충진된 사각형상의 기판(111)과 상기 기판(111)의 네 가장자리로 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걸림홈(112a)을 구비하되 탄성을 갖는 측면판(112)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120)는 저면에 수평의 밀착면(121a)을 구비하는 커버(121)와, 상기 커버(121) 의 하부 밀착면(121a) 안쪽에 형성되되 하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한쌍의 탄력판(122)과, 상기 한쌍의 탄 력판(122)의 일측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칼라강판(110)의 걸림홈(122a)에 대응되는 걸림턱(122a)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한쌍의 탄력판(122)의 하단에는 안쪽을 향해 경사져서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유도판(122b)가 연 장되어 상기 탄력판(122)이 칼라강판(110)과 인접한 칼라강판(110)의 이격틈새에 끼워질 때 쉽게 삽입되도록 유 도한다.
이처럼 칼라강판(110)과 인접한 칼라강판(110) 사이의 이격틈새에 탄력판(122)이 끼워지게 되면 탄력판(122)의 일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22a)이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칼라강판(110)의 걸림홈(122a)에 끼워들어가게 되어 밀폐부재(120)가 칼라강판(110)으로 부터 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120)는 탄성이 좋고 방수 및 밀폐력이 우수한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너무 취약할 수가 있어 상기 밀폐부재(120) 역시 강판(110)을 절곡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밀폐부재(120)와 칼라강판(110) 사이의 밀착면이 헐거울 수가 있어 방수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칼라강판(110)과 인접한 칼라강판(110) 사이에 실리콘 등과 같은 공지의 겔(gel)상 의 방수부재(130)를 부어넣고 밀폐부재(120)를 억지끼움시켜 방수부재(130)가 굳으면서 밀폐부재(120)와 칼라강 판(110) 사이에 완벽한 밀폐력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밀폐부재(120)와 칼라강판(110) 사이의 결합과 방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 공지의 다양한 결합구조 및 방수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결국 상기 방수부재(130)는 밀폐부재(120)와 칼라강판(110)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방수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옥상방수에 칼라강판을 사용하는 구조여서 열차단효과가 우수하고 색상이 다양하여 미관상으로도 매 우 좋은 방수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라강판을 이용한 가장 바람직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옥상 난간(A)의 모퉁이부터 시작하여 바닥에 순차적으로 칼라강판(110)을 배치한다. 이때 칼라강판(110)들은 사이에 밀폐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당한 이격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은 칼라강판(110)들을 서로 적당한 이격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턱부(112b) 를 할 수도 있다.
상기 단턱부(112b)는 기판(110)의 측면판(112) 하단에는 측면판 하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는 인접한 칼라강판들 사이에 일정한 이격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은 물론 옥상 바닥(B)으로 부터 칼라강판을 안 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능도 갖는다.
이처럼 배치된 칼라강판(110)의 이격틈에 골고루 방수부재(130)를 부어넣고 역시 칼라강판(110)들의 이격틈 사 이에 밀폐부재(120)의 삽입유도판(122b)부터 삽입하면 상기 밀폐부재(120)의 한쌍의 탄력판(122)은 좁은 이격틈 을 통과하면서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오무라졌다가 칼라강판(110)의 걸림홈(122a)에 걸림턱(122a)이 이르게 되 면 다시 옆으로 벌어지면서 칼라강판(110)의 걸림홈(122a)에 밀폐부재(120)의 걸림턱(122a)이 걸리게 되는 것이 다.
따라서 상기 칼라강판(110)의 걸림홈(122a)에 밀폐부재(120)의 걸림턱(122a)은 외곽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는 형 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서로 완벽하게 겹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탄력판(122)이 벌어지면서 칼라강판(110)과 밀폐부재(120) 사이의 방수부재(130)을 압착하게 되므 로 칼라강판(110)과 밀폐부재(120)의 미세한 틈까지 방수부재(130)가 밀려들어가게 되어 칼라강판(110)과 밀폐 부재(120) 사이에는 방수부재(130)가 개재(介在)되어 본 발명은 매우 우수한 밀폐력, 즉 방수력을 갖게된다.
또한 커버(121) 저면에는 수평의 밀착면(121a)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상기 수평의 밀착면(121a) 역시 방수부재 (130)가 형성되어져 칼라강판(110)과 인접한 칼라강판(110) 사이의 이격틈으로, 좀더 디테일하게는 칼라강판 (110)과 밀폐부재(120)의 탄력판(122)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지의 칼라강판은 소지강판상에 아연 또는 아연합금 도금층, 크롬산염층 및 에폭시변성 또 는 폴리에스테르변성 프라이머 하도도막층, 수지, 폴리에스테르화합물, 첨가제, 용제, 주름형성제, 안료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붕재용 칼라강판의 종류로는 위에서 언급되지 아니한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것들이 사용될 수도 있 음은 당연하다.
또 상기 칼라강판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부재(140)로는 단열이 가능하면서 쉬 변형되지 않는 재질이면 무방하 다. 즉 스티로폼이나 스펀지, 고무 등도 사용가능하나 위에서의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고밀도 발포합성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내용
110: 칼라강판
130: 방수부재
140: 단열부재

Claims (4)

  1. 옥상 바닥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칼라강판(110)과 상기 칼라강판의 사이를 메워 방수시키기 위한 밀폐부재 (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칼라강판(110)은 단열부재(140)로 충진된 사각형상의 기판(111)과 상기 기판(111)의 네 가장자리로 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걸림홈(112a)을 구비하되 탄성을 갖는 측면판(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120)는 저면에 수평의 밀착면(121a)을 구비하는 커버(121)와, 상 기 커버(121)의 하부 밀착면 (121a) 안쪽에 형성되되 하방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한쌍의 탄력판(122)과, 상기 한쌍의 탄력판(122)의 일 측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칼라강판(110)의 걸림홈(122a)에 대응되는 걸림턱(122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 는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110)의 측면판(112) 하단에는 측면판 하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칼라강판들 사이에 일정한 이격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옥상 바닥으로 부터 칼라강판을 안정적으로 지지 하기 위한 단턱부(112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탄력판(122)의 하단에는 안쪽을 향해 경사져서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유도 판(122b)가 연장되어 상기 탄력판(122)이 칼라강판(110)과 인접한 칼라강판(110)의 이격 틈에 끼워질 때 쉽게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라강판(110)과 밀폐부재(120) 사이에는 방수부재(130)가 개재되어 미세한 틈까지 방 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1020220101742A 2022-08-16 2022-08-16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20240023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42A KR20240023723A (ko) 2022-08-16 2022-08-16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42A KR20240023723A (ko) 2022-08-16 2022-08-16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723A true KR20240023723A (ko) 2024-02-23

Family

ID=9004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742A KR20240023723A (ko) 2022-08-16 2022-08-16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7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51B1 (ko) 2013-07-23 2015-03-09 라기웅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이용한 옥상 방수구조와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51B1 (ko) 2013-07-23 2015-03-09 라기웅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이용한 옥상 방수구조와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689B1 (ko)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US3897667A (en) Roofing panels with joining means
US6691472B2 (en) Foundation wall protector
US4163351A (en) Architectural panel material for use as roofing materi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and the like purposes
US3713263A (en) Expansion joints for roofs
US3605369A (en) Wood simulating shingle
US5131200A (en) Roof system
US3838544A (en) Adjustable pitch pocket structure
US3611649A (en) Roof covering suitable for suspension roofs
US8266858B2 (en) Waterproof heat-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module
KR20240023723A (ko)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102165178B1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KR200497342Y1 (ko) 건축용 스틸 방수판
CN217362966U (zh) 一种装饰一体化光伏瓦
KR102099728B1 (ko) 방수 타일
CN216239394U (zh) 一种别墅屋面防水模块组件
KR101336125B1 (ko) 당골막이용 발포 플라스틱계 모듈 및 상기 모듈로 구성된 당골막이
KR102019309B1 (ko) 복합구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방수패널
KR102240652B1 (ko) 방수 타일
UA76516C2 (en) Blank for formation of joints between two articles
US4355491A (en) Roof construction and method
EP0187537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roofing treatment
KR200416799Y1 (ko) 조립식 울타리
CN219060651U (zh) 一种变形缝的防水结构
KR20170095094A (ko) 에프알피를 이용한 옥상방수구조 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