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987A -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그 포밍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그 포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2987A KR20240022987A KR1020230094872A KR20230094872A KR20240022987A KR 20240022987 A KR20240022987 A KR 20240022987A KR 1020230094872 A KR1020230094872 A KR 1020230094872A KR 20230094872 A KR20230094872 A KR 20230094872A KR 20240022987 A KR20240022987 A KR 202400229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nch
- protrusion
- sub
- pouch
- battery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3184 Colletotrichum ag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0 flexi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05—Particular pressure exerting means for making definite articles
- B29C2043/3255—Particular pressure exerting means for making definite articles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는, 한 쌍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만입 형성된 컵부; 상기 컵부의 둘레에 위치하며 실링부가 형성되는 테라스; 및 상기 테라스에서 상기 컵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대형 제품과 잉여 발전 전력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백업용 전력 저장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전극 활물질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고, 이를 분리막(Separator)의 양 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지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고 전해질 주입 후 실링한다.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재질에 따라, 파우치 형(Pouch Type) 및 캔 형(Can Type) 등으로 분류된다. 파우치 형(Pouch Type)은 유연한 폴리머 재질로 제조된 파우치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그리고, 캔 형(Can Type)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된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는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시트에 프레스 가공을 수행하여 컵부(2)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컵부(2)가 형성되면 상기 컵부(2)의 내부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고 테라스(4)를 실링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이러한 프레스 가공 중에서 드로잉(Drawing) 성형은 프레스 장비와 같은 포밍 장치에 파우치 시트를 삽입하고 펀치로 파우치 시트에 압력을 인가하여, 파우치 시트를 연신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컵부(3)의 성형 공정 시, 파우치 시트에서 컵부(3)의 주변에 너울(5)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너울(5)은 컵부(2)의 코너(3) 근처에서 두드러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너울(5)에 의해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의 실링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컵부의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실링 품질이 향상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와, 이를 제조하는 포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는, 한 쌍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만입 형성된 컵부; 상기 컵부의 둘레에 위치하며 실링부가 형성되는 테라스; 및 상기 테라스에서 상기 컵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 각각은 상기 컵부, 테라스 및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맞닿아 실링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링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컵부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실링부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돌출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컵부의 전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1부; 및 상기 제1부와 연결되며 상기 컵부의 전장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2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는 상기 컵부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부는 상기 컵부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는, 성형홈이 형성된 다이; 상기 성형홈을 마주보게 배치되는 펀치; 상기 펀치의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다이를 마주보는 스트리퍼; 상기 스트리퍼에 형성된 서브 성형홈; 상기 다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브 성형홈을 마주보는 서브 펀치; 상기 서브 성형홈 내에 배치된 가압부; 및 상기 서브 펀치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압부에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펀치는 상기 성형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펀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성형홈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펀치는, 상기 성형홈의 전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1펀치부; 및 상기 제1펀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성형홈의 전장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2펀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펀치부는 상기 성형홈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펀치부는 상기 컵부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펀치는, 상기 제1펀치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펀치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제3펀치부; 및 상기 제3펀치부와 상기 제1펀치부를 연결하는 제4펀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펀치부는 상기 제1펀치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4펀치부는 상기 제2펀치부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다이에는 상기 서브 펀치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에 의해 컵부의 주변에서 파우치 시트에 너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컵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실링되므로, 테라스에서 컵부의 주변에 너울이 발생하는 종래의 전지 케이스와 비교하여, 전지 케이스의 실링 신뢰성이 향상되고 전해액이 누수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서 컵부의 코너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폴딩된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폴딩된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는, 파우치 시트(미도시)을 성형하여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도 3 참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시트는 복수개의 층이 라미네이션된 시트형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 시트는 일면을 이루는 제1수지층(예를 들어, Polypropylene 재질)과, 타면을 이루는 제2수지층(예를 들어, 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과, 상기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의 사이에 위치한 금속층(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 시트는 유연성과 성형성을 가질 수 있다. 파우치 시트는 파우치 필름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상기 포밍 장치는, 성형홈(11)이 형성된 다이(10)와, 성형홈(11)을 마주보게 배치되는 펀치(20)와, 펀치(20)의 둘레에 위치하며 다이(10)를 마주보는 스트리퍼(30)와, 스트리퍼(30)에 형성된 서브 성형홈(40)과, 다이(10)에서 돌출되며 서브 성형홈(40)을 마주보는 서브 펀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10)는 대략 수평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우치 시트가 다이(10)와 스트리퍼(30)의 사이에 배치된 경우, 다이(10)의 상면은 파우치 시트의 저면을 마주볼 수 있다.
다이(10)는 다이 백 플레이트(10a)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이(1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방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성형홈(11)은 다이(10)의 저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할 펀치(20)는 상기 성형홈(11)으로 삽입되며 파우치 시트를 가압하고, 이로써 파우치 시트에 컵부(110)(도 4 참조)가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10)에는, 서로 구획된 한 쌍의 성형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성형홈(11)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이(110)에는 한 쌍의 성형홈(11)의 사이에 위치한 격벽(12)이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펀치(20)가 한 쌍의 성형홈(11)에 동시에 삽입되면서 파우치 시트를 드로잉 성형하면, 한 쌍의 성형홈(11)에 대응하여 한 쌍의 컵부(110)가 형성되고, 이러한 한 쌍의 컵부(110) 사이에는 다이(10)의 격벽(12)에 대응하는 브릿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리퍼(30)는 대략 수평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우치 시트가 다이(10)와 스트리퍼(30)의 사이에 배치된 경우, 스트리퍼(30)의 저면은 파우치 시트의 상면을 마주볼 수 있다. 스트리퍼(30)는 다이(10)와 함께 파우치 시트를 고정할 수 있다.
스트리퍼(30)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펀치(20)가 배치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트리퍼(30)는 펀치(20)를 둘러쌀 수 있다.
스트리퍼(30)는, 스트리퍼 백 플레이트(30a)의 하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스트리퍼 백 플레이트(30a)에는, 스트리퍼(30)의 개방부와 대응되는 서브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펀치(20)는 스트리퍼 백 플레이트(30a)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트리퍼(30)와 다이(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간 거리가 가변되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리퍼(30)와 다이(10)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파우치 시트가 스트리퍼(30)와 다이(10)의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스트리퍼(30)와 다이(10)의 사이에 파우치 시트가 위치한 상태에서, 스트리퍼(30)가 다이(10)를 향해 하강하거나 다이(10)가 스트리퍼(30)를 향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 시트는 다이(10)의 상면과 스트리퍼(30)의 저면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펀치(20)는 스트리퍼(30)의 개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우치 시트가 다이(10)와 스트리퍼(30)의 사이에 배치된 경우, 펀치(20)는 상기 파우치 시트를 사이에 두고 다이(10)에 형성된 성형홈(11)를 마주볼 수 있다. 다이(10)에 한 쌍의 성형홈(11)이 형성된 경우, 그에 대응하여 펀치(20)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펀치(20)는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다이(10) 및 스트리퍼(30)가 파우치 시트를 고정한 상태에서 펀치(20)에 대해 상승하면, 펀치(20)는 파우치 시트를 가압하며 다이(10)의 성형홈(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다이(10) 및 스트리퍼(30)가 파우치 시트를 고정한 상태에서 펀치(20)가 다이(10) 및 스트리머(30)에 대해 하강하면, 펀치(20)는 파우치 시트를 가압하며 성형홈(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파우치 시트 중에서 펀치(2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 및 그 주변 일부는 연신되며 컵부(110)(도 4 참조)가 성형될 수 있다.
서브 성형홈(40)은 스트리퍼(30)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성형홈(40)은 스트리퍼(3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성형홈(40)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거나 스트리퍼(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성형홈(40)은 펀치(20)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서브 성형홈(40)은 스트리퍼(30)에 형성된 개방부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할 서브 펀치(50)는 서브 성형홈(40)으로 삽입되며 파우치 시트를 가압하고, 이로써 파우치 시트에 돌출부(140)(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펀치(50)는 다이(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서브 펀치(50)는 스트리퍼(30)에 형성된 서브 성형홈(40)을 마주볼 수 있다.
서브 펀치(50)는 다이(1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10)에는 서브 펀치(50)가 장착되는 장착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펀치(50)가 다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브 펀치(50)는 성형홈(11)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서브 펀치(50)는 성형홈(11)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성형홈(11)은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사각 형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부분을 성형홈(11)의 코너로 명명할 수 있다. 당업자는 성형홈(11)의 코너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브 펀치(5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서브 펀치(50)는, 일 성형홈(11)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한 제1서브 펀치(50A)와, 타 성형홈(11)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한 제2서브 펀치(50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 성형홈(40)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성형홈(40) 중 일부에는 제1서브 펀치(50A)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에는 제2서브 펀치(50B)가 삽입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펀치(50)는, 다이(10)의 격벽(12)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성형홈(11)의 네 코너 중 한 쌍의 내측 코너는 격벽(12)에 의해 정의되고, 한 쌍의 외측 코너는 격벽(12)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서브 펀치(50)는 성형홈(11)의 외측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1서브 펀치(50A)는 일 성형홈(11)의 외측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서브 펀치(50B)는 타 성형홈(11)의 외측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서브 펀치(50A) 및 제2서브 펀치(50B)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 서브 펀치(50)는, 성형홈(11)의 코너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서브 펀치(50)는, 제1펀치부(51) 및 제2펀치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펀치부(51)는, 성형홈(11)의 전폭 방향에 대해, 성형홈(11)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펀치부(51)는 성형홈(11)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펀치부(52)는, 성형홈(11)의 전장 방향에 대해, 성형홈(11)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펀치부(52)는 성형홈(11)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펀치부(51)와 제2펀치부(52)는 연결될 수 있다.
다이(10)의 상면에서, 성형홈(11)과 서브 펀치(50) 간 거리는 대략 일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펀치부(51)와 성형홈(11) 사이의 성형홈(11)의 전폭 방향에 대한 거리는, 제2펀치부(52)와 성형홈(11) 사이의 성형홈(11)의 전장 방향에 대한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성형홈(40)의 형상은 서브 펀치(50)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서브 펀치(50)가 서브 성형홈(40)에 삽입되면, 서브 성형홈(40)의 내둘레와 서브 펀치(50)의 외둘레 사이에는 파우치 시트가 용이하게 연신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파우치 시트 중에서, 서브 성형홈(40)에 삽입되는 서브 펀치(5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 및 그 주변 일부는 연신되며 돌출부(140)(도 4 참조)가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140)에 의해, 컵부(110)의 코너 주변에서 파우치 시트에 너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포밍 장치는, 서브 성형홈(40) 내에 배치된 가압부(61)와, 가압부(61)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61)는 서브 성형홈(40) 및 서브 펀치(5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압부(61)는 서브 성형홈(4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2)는 서브 성형홈(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2)는 가압부(61)에 서브 펀치(50)를 향해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62)는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61)는, 서브 펀치(50)에 의해 서브 삽입홈(40) 내로 연신된 파우치 시트에 소정의 면압을 가할 수 있다. 이로써, 서브 삽입홈(40) 내로 연신된 파우치 시트에 균일한 면압이 가해질 수 있고, 상기 파우치 시트에 너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를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이하, '전지 케이스')는,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파우치 시트가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가 파우치 시트를 드로잉 성형하면, 그 일부가 연신되어 컵부(110) 및 돌출부(140)가 형성됨으로써 전지 케이스(100)가 제조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100)는, 만입 형성된 컵부(110)와, 컵부(110)의 둘레에 위치한 테라스(120)와, 테라스(120)에서 컵부(110)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컵부(110)의 외측에 위치한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전지 케이스(100)는 한 쌍의 케이스(101)(102), 좀 더 상세히는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 중 적어도 하나는 컵부(110), 테라스(120) 및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서로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가 서로 분리되어 별도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 각각은 컵부(110), 테라스(120) 및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지 케이스(100)는 한 쌍의 컵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케이스(100)는 한 쌍의 컵부(110)의 사이에 위치한 브릿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컵부(110)는 테라스(120)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만입되어, 전극 조립체(미도시)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컵부(110)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한 후에, 한 쌍의 컵부(110)가 서로 마주보도록 브릿지(130)를 폴딩할 수 있다. 그러면 다른 하나의 컵부(110)가 전극 조립체를 상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는 한 쌍의 컵부(1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각 컵부(110)는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다. 각 컵부(110)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부분을 컵부(110)의 코너(111)로 명명할 수 있다. 당업자는 컵부(110)의 코너(111)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케이스(101)의 테라스(120)와 제2케이스(102)의 테라스(120)는, 브릿지(130)의 양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130)의 폴딩 시 테라스(120)도 함께 폴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케이스(101)의 테라스(120)와 제2케이스(102)의 테라스(120)가 연결되는 부분이 브릿지(130)와 함께 폴딩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테라스(120)에서 컵부(110)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부(110)는 하방으로 만입될 수 있고 돌출부(140)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컵부(110)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의 적어도 일부는, 컵부(110)의 코너(1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40)는, 테라스(120) 상에서 컵부(110)의 코너(111)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140)는, 일 컵부(110)의 코너(111)의 외측에 위치한 제1돌출부(140A)와, 타 컵부(110)의 코너(111)의 외측에 위치한 제2돌출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140A) 및 제2돌출부(140B) 중 어느 하나는 제1케이스(101)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제2케이스(102)에 포함될 수 있다.
각 돌출부(140)는, 컵부(110)의 코너(111)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돌출부(140)는, 제1부(141) 및 제2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141)는, 컵부(110)의 전폭 방향에 대해, 컵부(110)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부(141)는 컵부(110)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부(142)는, 컵부(110)의 전장 방향에 대해, 컵부(110)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부(142)는 컵부(110)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부(141)와 제2부(142)는 연결될 수 있다.
테라스(120) 상에서, 컵부(110)과 돌출부(140) 간 거리는 대략 일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부(141)와 컵부(110) 사이의 컵부(110)의 전폭 방향에 대한 거리는, 제2부(142)와 컵부(110) 사이의 컵부(110)의 전장 방향에 대한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돌출부(140)는, 브릿지(13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컵부(110)의 네 코너(111) 중 한 쌍의 내측 코너는 브릿지(130)에 의해 정의되고, 한 쌍의 외측 코너(111)는 브릿지(13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각 돌출부(140)는 컵부(110)의 외측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1돌출부(140A)는 일 컵부(110)의 외측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돌출부(140B)는 타 컵부(110)의 외측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140A) 및 제2돌출부(140B)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제1돌출부(140A)가 서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제1돌출부(140A)의 제1부(141)는 서로 이어지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돌출부(140B)가 서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제2돌출부(140B)의 제1부(141)는 서로 이어지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40) 및 컵부(110)에서 파우치 시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신되므로, 컵부(110)의 코너(111) 주변에서 테라스(120)에 너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릿지(130)가 폴딩되면 제1케이스(101)의 테라스(120)와 제2케이스(102)의 테라스(120)는 서로 마주할 수 있고, 서로 실링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1)의 테라스(120)와 제2케이스(102)의 테라스(120)가 서로 실링된 영역을 실링부(150)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50)는 컵부(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가 브릿지(130)로 연결된 경우, 실링부(150)는 전지 케이스(10)의 3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가 분리된 경우 실링부(150)는 전지 케이스(100)의 4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40)는 실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케이스(101)(102) 각각이 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경우, 한 쌍의 케이스(101)(102)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140A)와, 다른 하나의 돌출부(140B)는 서로 맞닿아 실링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140A)와 제2돌출부(140B)는 서로 맞닿아 실링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전지 케이스(100)의 실링부(150)는 제1돌출부(140A)와 제2돌출부(140B)가 맞닿은 부분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의 폭(W1)은, 실링부(150)의 폭(W2)보다 넓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링부(15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는, 돌출부(14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전지 케이스(100)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툴이 돌출부(140)의 폭방향 양측을 누르지 않고, 돌출부(140)의 안쪽을 눌러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높은 실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전지 케이스(100)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툴(미도시)은, 돌출부(140)와, 테라스(120)에서 돌출부(140)가 미형성된 부분(본 실시예의 경우, 컵부의 둘레에서 컵부의 코너 주변을 제외한 부분)을 함께 가압하여 실링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테라스(120)에 대해, 실링부(150)를 형성하는데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140A)와 제2돌출부(140B)가 맞닿았을 때, 제1케이스(101)의 테라스(120)와 제2케이스(102)의 테라스(120)도 서로 맞닿거나 인접할 수 있고, 실링부(150)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돌출부(140)가 실링되므로, 테라스에서 컵부의 주변에 너울이 발생하는 종래의 전지 케이스와 비교하여, 전지 케이스(100)의 실링 신뢰성이 향상되고 전해액이 누수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컵부(110)의 코너(111) 주변에만 돌출부(140)가 형성될 경우, 컵부(110)의 성형 시에 다이(10)의 성형홈(11) 내로 연신되는 파우치 시트의 연신량이 균일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테라스(120)에 돌출부(140)가 없을 시 컵부(110)의 코너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너울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너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130)는 폴딩되므로 별도의 실링이 불필요하다. 만일 브릿지(130)와 인접한 컵부(110)의 내측 코너(111) 측에 돌출부(140)를 형성할 경우, 브릿지(130)가 두꺼워지므로 전지 케이스(100)의 에너지 밀도 및 외관 품질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즉, 복수개의 돌출부(140)가 브릿지(130)의 반대편에 위치함으로써, 전지 케이스(100)의 에너지 밀도와 외관 품질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실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변형예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폴딩된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는,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 중 어느 하나만 컵부(110), 테라스(120) 및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지 케이스(100)는 단일의 컵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140)는 컵부(110)의 네 코너(11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1케이스(101) 또는 제2케이스(102)는 4개의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4개의 돌출부(140)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히, 4개의 돌출부(140) 중 적어도 일부의 제1부(141) 및/또는 제2부(142)가 서로 이어지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가 연결되는 경우,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는 폴딩 라인(13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 제2케이스(102)가 컵부(110), 테라스(120) 및 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케이스(102)에 형성된 컵부(110)에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수납한 후에 제1케이스(101)가 상기 컵부(110)를 커버하도록 폴딩 라인(130')을 폴딩할 수 있다.
폴딩 라인(130')이 폴딩되면, 제2케이스(102)의 테라스(120)와 제1케이스(101)는 서로 마주할 수 있고, 서로 실링될 수 있다. 제2케이스(102)의 테라스(120)와 제1케이스(102)가 서로 실링된 영역을 실링부(150)로 정의할 수 있다.
제2케이스(102)의 돌출부(140)는 제1케이스(101)와 맞닿아 실링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링부(150)는 제2케이스(102)의 돌출부(140)와 제1케이스(101)가 맞닿은 부분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폴딩 라인(130')은 폴딩되므로 별도의 실링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폴딩 라인(130')을 컵부(110)와 최대한 인접하게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140)가 폴딩 라인(130')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케이스(101) 또는 제2케이스(102)는 컵부(110)의 외측 코너 측에 위치한 한 쌍의 돌출부(140)를 포함하고, 컵부(110)의 내측 코너 측에 위치한 한 쌍의 돌출부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다이(10)에서 돌출된 서브 펀치(50)는, 성형홈(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펀치(50)는 성형홈(1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서브 펀치(50)의 적어도 일부는, 성형홈(11)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펀치(50)는, 성형홈(11)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펀치부(51) 및 성형홈(11)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펀치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펀치(50)는 한 쌍의 성형홈(11)을 둘러싸는 단일의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펀치부(51) 및 제2펀치부(52)는 단일의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만일 다이(10)에 단일의 성형홈(11)이 형성된 경우, 서브 펀치(50)는 단일의 성형홈(11)을 둘러싸는 단일의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펀치(50)가 폐루프를 따라 연장되되 일부 구간이 끊기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스트리퍼(30)에는, 상기 서브 펀치(50)에 대응되는 서브 성형홈(40)이 형성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를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원용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돌출부(140)는 다이(10)의 서브 펀치(50)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다이(10)의 서브 펀치(5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40)는 컵부(110)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실링부(15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테라스(120)에 향후 실링될 예정인 영역에 돌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컵부(11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출부(140)는, 컵부(110)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부(141) 및 컵부(110)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돌출부(140)는 한 쌍의 컵부(110)을 둘러싸는 단일의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만일 다이(10)에 단일의 컵부(110)가 형성된 경우, 서브 펀치(50)는 단일의 컵부(110)을 둘러싸는 단일의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140)가 폐루프를 따라 연장되되 일부 구간이 끊기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140) 중 어느 일부는 일 컵부(1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타 컵부(1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돌출부(140)의 일부는 제1케이스(101)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제2케이스(102)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1)에 포함된 돌출부(140)와, 제2케이스(102)에 포함된 돌출부(140)는 서로 대칭 형상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130)가 폴딩되면 제1케이스(101)의 돌출부(140)와 제2케이스(102)의 돌출부(140)는 서로 마주할 수 있고, 서로 실링되어 실링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50)는 컵부(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가 브릿지(130)로 연결된 경우, 실링부(150)는 전지 케이스(10)의 3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가 분리된 경우 실링부(150)는 전지 케이스(100)의 4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실링부(150)는 돌출부(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100)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툴(미도시)은, 돌출부(140)를 가압하여 실링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링부(150)는, 제2부(142)를 따라 형성되는 제1실링부(151)와, 제1부(141)를 따라 형성되는 제2실링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151)는 제2부(142)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실링부(152)는 제1부(1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돌출부(140)가 실링되므로, 컵부의 코너 주변에 너울이 발생하는 종래의 전지 케이스와 비교하여, 전지 케이스(100)의 실링 신뢰성이 향상되고 전해액이 누수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140)가 실링부(150)를 따라 연장될 경우, 실링부(150)의 실링 품질이 전체적으로 더욱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포함된 다이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다이(10)에서 돌출된 서브 펀치(50)는, 제1펀치부(51)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3펀치부(53)와, 제3펀치부(53)와 제1펀치부(51)를 연결하는 제4펀치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펀치부(53)는 제1펀치부(51)와 소정의 간격을 이룰 수 있다.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에서, 상기 간격에 대응되는 부분은 가스 포켓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3펀치부(53)는 제1펀치부(51)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펀치부(53)는 성형홈(11)의 전장과 나란할 수 있다.
제4펀치부(54)는 제2펀치부(5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제4펀치부(54)는 제2펀치부(52)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펀치부(51) 및 제2펀치부(52)는 성형홈(11)을 둘러싸는 일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제1펀치부(51), 제3펀치부(53) 및 제4펀치부(54)는 다른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의 스트리퍼(30)에는, 상기 서브 펀치(50)에 대응되는 서브 성형홈(40)이 형성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가 실링된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 제3실시예에 따른 포밍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를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원용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돌출부(140)는 다이(10)의 서브 펀치(50)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다이(10)의 서브 펀치(5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40)는 컵부(110)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실링부(15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테라스(120)에 향후 실링될 예정인 영역에 돌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컵부(11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출부(140)는, 컵부(110)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부(141) 및 컵부(110)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제1부(141)와 나란한 제3부(143)와, 제1부(141)와 제3부(143)를 연결하는 제4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부(141) 및 제3부(14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부(144)는 제2부(14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부(141) 및 제2부(142)는 컵부(110)을 둘러싸는 일 폐루프를 이룰 수 있고, 제1부(141), 제3부(143) 및 제4부(144)는 다른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130)가 폴딩되면 제1케이스(101)의 돌출부(140)와 제2케이스(102)의 돌출부(140)는 서로 마주할 수 있고, 서로 실링되어 실링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실링부(150)는 돌출부(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100)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툴(미도시)은, 돌출부(140)를 가압하여 실링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링부(150)는, 제2부(142) 및 제4부(144)를 따라 형성되는 제1실링부(151)와, 제1부(141)를 따라 형성되는 제2실링부(152)와, 제3부(143)를 따라 형성되는 제3실링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151)는 제2부(142) 및 제4부(144)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실링부(152)는 제1부(141)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3실링부(153)는 제3부(14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각 실링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브릿지(130)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1실링부(151)가 먼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는 일 단부가 개방된 봉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일 단부를 통해 전해액이 컵부(11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개방된 일 단부가 실링되어 제3실링부(153)를 이룰 수 있다. 컵부(110)와 제3실링부(153) 사이 부분은 가스 포켓부(160)로 정의될 수 있다.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00) 내의 전극 조립체가 활성화되며 발생한 가스는 상기 가스 포켓부(160)에 포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포켓부(160)를 타공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디가스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2실링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부(152)는 컵부(110)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테라스(120)는, 제2실링부(152)보다 외측에 위치한 커팅 라인(CL)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팅 라인(CL)보다 외측에 위치한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이처럼 제조 공정에 관여하는 모든 실링부(150)가 돌출부(140) 상에 형성될 경우, 실링부(150)의 실링 품질이 전체적으로 더욱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다이
11: 성형홈
13: 장착홈 20: 펀치
30: 스트리퍼 40: 서브 성형홈
50: 서브 펀치 61: 가압부
62: 탄성부재 100: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10: 컵부 111: (컵부의) 코너
120: 테라스 130: 브릿지
140: 돌출부 141: 제1부
142: 제2부 143: 제3부
144: 제4부 150: 실링부
160: 가스 포켓부
13: 장착홈 20: 펀치
30: 스트리퍼 40: 서브 성형홈
50: 서브 펀치 61: 가압부
62: 탄성부재 100: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110: 컵부 111: (컵부의) 코너
120: 테라스 130: 브릿지
140: 돌출부 141: 제1부
142: 제2부 143: 제3부
144: 제4부 150: 실링부
160: 가스 포켓부
Claims (16)
- 한 쌍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만입 형성된 컵부;
상기 컵부의 둘레에 위치하며 실링부가 형성되는 테라스; 및
상기 테라스에서 상기 컵부의 깊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스 각각은 상기 컵부, 테라스 및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맞닿아 실링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링부를 따라 연장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컵부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실링부의 폭보다 넓은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돌출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컵부의 전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1부; 및
상기 제1부와 연결되며 상기 컵부의 전장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2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컵부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부는 상기 컵부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성형홈이 형성된 다이;
상기 성형홈을 마주보게 배치되는 펀치;
상기 펀치의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다이를 마주보는 스트리퍼;
상기 스트리퍼에 형성된 서브 성형홈;
상기 다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브 성형홈을 마주보는 서브 펀치;
상기 서브 성형홈 내에 배치된 가압부; 및
상기 서브 펀치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압부에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포밍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펀치는 상기 성형홈의 외측에 위치하는 포밍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펀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성형홈의 코너의 외측에 위치하는 포밍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펀치는,
상기 성형홈의 전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1펀치부; 및
상기 제1펀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성형홈의 전장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2펀치부를 포함하는 포밍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부는 상기 성형홈의 전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펀치부는 상기 컵부의 전폭과 나란하게 연장된 포밍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펀치는,
상기 제1펀치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펀치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제3펀치부; 및
상기 제3펀치부와 상기 제1펀치부를 연결하는 제4펀치부를 더 포함하는 포밍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펀치부는 상기 제1펀치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4펀치부는 상기 제2펀치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포밍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상기 서브 펀치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된 포밍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1004 WO2024034938A1 (ko) | 2022-08-12 | 2023-07-28 |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그 포밍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01639 | 2022-08-12 | ||
KR1020220101639 | 2022-08-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2987A true KR20240022987A (ko) | 2024-02-20 |
Family
ID=9005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4872A KR20240022987A (ko) | 2022-08-12 | 2023-07-20 |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그 포밍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2987A (ko) |
-
2023
- 2023-07-20 KR KR1020230094872A patent/KR20240022987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4460B1 (ko) |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192619B1 (ko) | 전지케이스 | |
KR101636371B1 (ko) | 계단 구조의 전지셀 | |
CN102208673B (zh) | 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 |
KR101467859B1 (ko) | 이차전지용 전지케이스 | |
KR101443832B1 (ko) | 이차전지 케이스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 |
KR20180025805A (ko) | 가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 방법 | |
JP2022548229A (ja) | パウチ型電池ケース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製造装置、並びにパウチ型二次電池 | |
KR20150030861A (ko) | 파우치형 케이스, 전지셀 및 전지셀의 제조방법 | |
US20230150176A1 (en) | Pouch, Apparatus For Molding The Pou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Pouch | |
KR101477018B1 (ko) | 전지케이스 제조 방법 | |
KR101253660B1 (ko) | 정밀도 향상을 위한 전지케이스 제조 방법 | |
KR100573094B1 (ko) |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022987A (ko) |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그 포밍 장치 | |
KR101786908B1 (ko) | 주름 방지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케이스 | |
US20250018620A1 (en) | Mold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Pouch-Type Battery Case Manufactured Thereb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KR101755161B1 (ko) | 파우치형 케이스, 전지셀 및 전지셀의 제조방법 | |
KR101742303B1 (ko) | 전지셀의 제조방법 | |
KR20180034903A (ko) | 수납부 및 전극 리드용 그루브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를 구비한 전지셀 | |
KR20230070964A (ko) | 포밍 장치 | |
KR20230153956A (ko) |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의 제조 방법, 그리고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제조용 성형 지그 | |
KR102739769B1 (ko) | 전지셀 제조 방법 및 파우치 성형 장치 | |
KR20240059471A (ko) |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그리고 그에 의해 성형된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 |
US20230282910A1 (en) | Pouch Forming Apparatus | |
KR20250017981A (ko) | 성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