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34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348A
KR20240022348A KR1020220100912A KR20220100912A KR20240022348A KR 20240022348 A KR20240022348 A KR 20240022348A KR 1020220100912 A KR1020220100912 A KR 1020220100912A KR 20220100912 A KR20220100912 A KR 20220100912A KR 20240022348 A KR20240022348 A KR 20240022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reezer
opening
flow path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희
주은혜
한효주
배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348A/ko
Priority to PCT/KR2023/008113 priority patent/WO2024034821A1/ko
Publication of KR2024002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Abstract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 하부에 마련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저장실,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메인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되어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로 안내하는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에서 상기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로 나누어지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냉동실 냉기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개시된 발명은 한 개의 증발기와 한 개의 팬으로 구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다양한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상냉동 하냉장 타입인 TMF(Top Mounted Freezer) 냉장고는 보관되는 음식물의 양이 많은 냉장실이 냉동실보다 큰 크기를 갖고, 냉장실은 출납이 잦으므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냉장고의 하부에 마련되고 냉동실은 냉장실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냉장고에 있어서, 냉동실의 후방에 배치되는 증발기에 의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냉기를 냉동실로 안내하는 팬과, 냉기를 냉장실로 안내하는 팬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야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상냉동 하냉장 타입으로 한 개의 증발기와 한 개의 팬을 구비한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로 안내하는 냉장실 유로와 냉동실로안내하는 냉동실 유로가 냉동실 냉기덕트 내에 마련되고, 댐퍼에 의해 냉장실 유로와 냉동실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 하부에 마련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저장실,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메인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되어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로 안내하는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에서 상기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로 나누어지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냉동실 냉기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유로는 상기 증발기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 유로와 연결되는 냉장실 냉기덕트가 마련되고, 상기 냉동실 냉기덕트와 상기 냉장실 냉기덕트는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메인유로와 상기 냉장실 유로를 연결하는 제1개구 및 상기 메인유로와 상기 냉동실 유로를 연결하는 제2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판과,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에 의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은 독립적으로 냉각되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각각 냉동,냉장으로 사용하는 제1모드와, 오프,냉장으로 사용하는 제2모드와, 냉동,오프로 사용하는 제3모드와, 냉장,냉장으로 사용하는 제4모드와, 냉장,오프로 사용하는 제5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와 상기 냉동실 유로를 모두 개방하기 위해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 및 제2개폐판이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2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냉동실 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은 상기 제1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2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3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는 폐쇄되고, 상기 냉동실 유로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은 상기 제1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2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4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냉동실 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은 상기 제1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2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만큼 높아지면, 상기 댐퍼는 상기 제2개폐판이 상기 제2개구의 개폐를 반복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냉동실이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5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와 상기 냉동실 유로가 모두 폐쇄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 및 제2개폐판이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만큼 높아지면, 상기 댐퍼는 상기 제2개폐판이 상기 제2개구의 개폐를 반복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냉동실이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동실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에 의해 상기 냉장실과 동일한 온도를 갖도록 온도가 조절되어 상기 냉장실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 하부에 마련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저장실,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로 안내하는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와, 상기 냉장실 유로에서 상기 냉동실 유로가 분기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냉동실 냉기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냉동실을 상기 냉장실로 전환하여 상기 냉동실이 상기 냉장실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동실을 상기 냉장실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댐퍼는 상기 냉동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냉동실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냉동실로 공급되는 냉기가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와 동일해지면, 상기 댐퍼가 상기 냉동실 유로의 개폐를 반복하여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이 다시 냉동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전환하기 위해 상기 댐퍼는 상기 냉동실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냉동실로 냉기가 계속하여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냉동 하냉장 타입의 냉장고에서 한 개의 팬을 사용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냉각시켜 냉동실을 냉장실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를 이용하여 냉장실 및 냉동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함으로써, 냉동실과 냉장실이 독립적으로 냉각되어 냉동실을 냉장실로 편리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Way 댐퍼를 이용하여 유로 구성을 단순하고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냉기덕트의 교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기능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냉동실 냉기덕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냉기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동실 냉기덕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냉동실 냉기덕트의 측단면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1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와 냉동실 유로를 모두 개방하여 냉장실 유로와 냉동실 유로로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과 같이 댐퍼가 제어되었을 때, 냉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2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개방하고 냉동실 유로는 폐쇄하여 냉장실 유로로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와 같이 댐퍼가 제어되었을 때, 냉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3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폐쇄하고 냉동실 유로는 개방하여 냉동실 유로로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과 같이 댐퍼가 제어되었을 때, 냉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4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개방하고 냉동실 유로는 개폐를 반복할 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5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폐쇄하고 냉동실 유로는 개폐를 반복할 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5)가 발포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1)와, 압축기(41)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25)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저장실인 냉장실(21)과,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저장실인 냉동실(23)로 구획될 수 있다. 즉, 본체(10) 내부의 상부에는 냉동실(23)이 마련되고, 냉동실(23) 하부에는 냉장실(21)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 내부에는 상부에 음식물 등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반(27)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20)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저장용기(29)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21)과 냉동실(22)은 각각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와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30)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가드(35)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기계실(25)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41)와, 기계실(25)에 설치되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저장실(20)의 후면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43)와, 증발기(43)에서 생성된 냉기가 저장실(20)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팬(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기공급장치는 팬(45)에 의해 유도된 냉기를 저장실(20)로 안내하여 저장실(20)로 토출시키는 냉기덕트(50, 6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덕트(50, 60)는 냉동실(23)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동실 냉기덕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는 증발기(43)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23) 내부로 토출하는 복수개의 냉기 토출홀(5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냉기 토출홀(51)을 통해 냉동실(23) 내부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 내부에는 증발기(43)와 팬(45)이 설치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하도록 한다.
냉기덕트(50, 60)는 냉장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장실 냉기덕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냉기덕트(60)는 격벽(17)에 형성되는 연결유로(19)에 의해 냉동실 냉기덕트(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실 냉기덕트(50)에 설치된 증발기(43)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연결유로(19)를 통해 냉장실 냉기덕트(60)로 전달될 수 있다. 냉장실 냉기덕트(60)는 연결유로(19)를 통해 전달된 냉기를 냉장실(21) 내부로 토출하는 복수개의 냉기 토출홀(6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냉기 토출홀(61)을 통해 냉장실(21) 내부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냉동실 냉기덕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냉기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동실 냉기덕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냉동실 냉기덕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냉기덕트(50)는 냉동실(2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의 내부에는 한 개의 증발기(43)와, 한 개의 팬(45)이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43)는 저장실(20)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팬(45)은 증발기(43) 상부에 배치되어 증발기(43)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0)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는 팬(45)에 의해 유도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메인유로(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유로(53)는 팬(45)과 연결되어 팬(45)에 의해 유도된 냉기는 메인유로(53)로 전달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는 메인유로(53)와 연결되어 냉기를 냉장실(21, 도 2 참조)로 안내하는 냉장실 유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유로(55)는 증발기(43)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는 메인유로(53)와 연결되어 냉기를 냉동실(23)로 안내하는 냉동실 유로(57)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 유로(57)는 증발기(43)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는 메인유로(53)에서 냉장실 유로(55) 및 냉동실 유로(57)로 나누어지는 분기부(5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유로(53)와 냉장실 유로(55) 사이에는 분기부(59)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53)와 냉동실 유로(57) 사이에는 분기부(59)가 마련될 수 있다.
냉동실 냉기덕트(50) 내부에 냉장실 유로(55)와 냉동실 유로(57)가 마련되고, 냉장실 유로(55)와 냉동실 유로(57)가 하나의 유로인 메인유로(53)에서 나누어지기 때문에, 냉동실 냉기덕트(50)는 냉장실 냉기덕트(60)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참조)
분기부(59)에는 냉동실(23) 및 냉장실(21)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하는 댐퍼(7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댐퍼(70)는 냉장실 유로(55)와 냉동실 유로(57)를 개폐하여 냉동실(23) 및 냉장실(21)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할 수 있다. 댐퍼(70)에 의해 한 개의 증발기(43)와 한 개의 팬(45)에 의해서도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즉, 냉동실(23)과 냉장실(21)은 한 개의 팬(45)에 의해서도 댐퍼(70)에 의해 독립적으로 냉기를 공급받아 독립적으로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실(23)은 필요에 따라 온도가 냉장실(21)의 온도만큼 높아지도록 댐퍼(70)를 제어하여 냉동실(23)을 냉장실(21)과 동일한 용도로 편리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2 참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댐퍼(70)는 2Way 댐퍼로 마련될 수 있다. 2Way 댐퍼가 사용되기 때문에, 유로(53, 55, 57)의 구성을 단순하고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유로(53, 55, 57)의 구성을 단순하고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냉동실 냉기덕트(50)는 냉장실 냉기덕트(60)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면서도, 내부에 냉장실 유로(55)와 냉동실 유로(57)가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댐퍼(70)는 분기부(59)에 설치되는 하우징(7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1)은 메인유로(53)와 냉장실 유로(55)를 연결하는 제1개구(7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1)은 메인유로(53)와 냉동실 유로(57)를 연결하는 제2개구(73)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70)는 하우징(71)에 설치되어 제1개구(72)와 제2개구(73)를 개폐하는 개폐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74)는 제1개구(72)를 개폐하는 제1개폐판(75)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74)는 제2개구(73)를 개폐하는 제2개폐판(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동실 냉기덕트(50) 내부에 형성된 냉장실 유로(55) 및 냉동실 유로(57)와, 유로(55, 57)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댐퍼(70)에 의해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냉동실 냉기덕트(50)의 교체를 통해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기능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냉장고가 댐퍼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사용되는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하기에서 냉동실(23)과 냉장실(21)은 도 2를 참고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1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와 냉동실 유로를 모두 개방하여 냉장실 유로와 냉동실 유로로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과 같이 댐퍼가 제어되었을 때, 냉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2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개방하고 냉동실 유로는 폐쇄하여 냉장실 유로로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와 같이 댐퍼가 제어되었을 때, 냉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3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폐쇄하고 냉동실 유로는 개방하여 냉동실 유로로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과 같이 댐퍼가 제어되었을 때, 냉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4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개방하고 냉동실 유로는 개폐를 반복할 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제5모드로 사용될 때, 댐퍼가 냉장실 유로는 폐쇄하고 냉동실 유로는 개폐를 반복할 때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냉장고는 댐퍼(7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각각 냉동, 냉장으로 사용하는 제1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고의 제1모드는 냉동실(23)과 냉장실(21)이 원래의 용도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모드일 수 있다.
냉장고가 제1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댐퍼(70)는 냉장실 유로(55)와 냉동실 유로(57)를 모두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댐퍼(70)는 제1개폐판(75) 및 제2개폐판(76)이 제1개구(72) 및 제2개구(73)를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개구(72) 및 제2개구(73)가 모두 개방되면, 냉기는 냉동실(23)과 냉장실(21)로 공급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각각 오프, 냉장으로 사용하는 제2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고의 제2모드는 냉동실(23)을 사용하지 않을 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냉동실(23)을 오프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냉장고가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제2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댐퍼(70)는 냉장실 유로(5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냉동실 유로(57)는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댐퍼(70)는 제1개폐판(75)은 제1개구(72)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2개폐판(76)은 제2개구(73)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개구(72)가 개방되기 때문에, 냉장실(21)로는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즉, 냉장실(21)은 원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개구(73)가 폐쇄되기 때문에, 냉동실(23)로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냉동실(23)은 오프될 수 있다. 냉동실(23)을 다시 냉동의 용도로 사용하도록 전환하기 위해서는 댐퍼(70)가 냉동실 유로(57)를 개방하고, 냉동실 유로(57)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각각 냉동, 오프로 사용하는 제3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고의 제3모드는 휴가 등으로 인해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 음식물 등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 냉장실(21)은 사용하지 않고 냉동실(23)만 사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냉장고가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제3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댐퍼(70)는 냉장실 유로(55)는 폐쇄하고, 냉동실 유로(57)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댐퍼(70)는 제1개폐판(75)은 제1개구(72)를 폐쇄하고, 제2개폐판(76)은 제2개구(73)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2개구(73)가 개방되기 때문에, 냉동실(23)로는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즉, 냉동실(23)은 원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개구(72)는 폐쇄되기 때문에, 냉장실(21)로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냉장실(21)은 오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각각 냉장, 냉장으로 사용하는 제4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고의 제4모드는 냉장실(21)에 보관할 음식물이 많을 경우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모두 냉장실(21)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냉장고가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제4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댐퍼(70)는 냉장실 유로(5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냉동실 유로(57)는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댐퍼(70)는 제1개폐판(75)은 제1개구(72)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2개폐판(76)은 제2개구(73)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개구(72)가 개방되기 때문에, 냉장실(21)로는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즉, 냉장실(21)은 원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냉동실 유로(57)가 폐쇄되면, 냉동실(23)로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냉동실(23)은 온도는 높아질 수 있다. 냉동실(23)의 온도가 냉장실(21)과 동일한 온도인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만큼 높아지면, 댐퍼(70)는 제2개폐판(76)이 제2개구(73)의 개폐를 반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냉동실 유로(57)의 개폐를 반복하여 냉동실(23)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냉동실(23)이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냉동실(23)을 다시 냉동의 용도로 사용하도록 전환하기 위해서는 댐퍼(70)가 냉동실 유로(57)를 계속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동실(23)과 냉장실(21)을 각각 냉장, 오프로 사용하는 제5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고의 제5모드는 냉장고를 냉장실(21)로만 사용하되, 보관할 음식물의 양이 적을 경우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냉장실(21)은 사용하지 않고, 작은 크기를 갖는 냉동실(23)을 냉장실(21)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냉장고가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제5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댐퍼(70)는 냉장실 유로(55)와 냉동실 유로(57)가 모두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댐퍼(70)는 제1개폐판(75) 및 제2개폐판(76)은 제1개구(72) 및 제2개구(73)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개구(72)와 제2개구(73)가 모두 폐쇄되어 냉장실(21)과 냉동실(23)에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냉장실(21)과 냉동실(23)에 모두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냉장실(21)과 냉동실(23)은 모두 오프될 수 있다.
냉동실 유로(57)가 폐쇄되면, 냉동실(23)로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아 냉동실(23)은 온도는 높아질 수 있다. 냉동실(23)의 온도가 냉장실(21)과 동일한 온도인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만큼 높아지면, 댐퍼(70)는 제2개폐판(76)이 제2개구(73)의 개폐를 반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냉동실 유로(57)의 개폐를 반복하여 냉동실(23)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냉동실(23)이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냉동실(23)을 다시 냉동의 용도로 사용하도록 전환하기 위해서는 댐퍼(70)가 냉동실 유로(57)를 계속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개시된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내상
13 : 외상 15 : 단열재
17 : 격벽 19 : 연결유로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3 : 냉동실 25 : 기계실
27 : 선반 29 : 저장용기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도어가드
41 : 압축기 43 : 증발기
45 : 팬
50 : 냉동실 냉기덕트 51 : 냉기 토출홀
53 : 메인유로 55 : 냉장실 유로
57 : 냉동실 유로 59 : 분기부
60 : 냉장실 냉기덕트 61 : 냉기 토출홀
70 : 댐퍼 71 : 하우징
72 : 제1개구 73 : 제2개구
74 : 개폐부재 75 : 제1개폐판
76 : 제2개폐판

Claims (19)

  1. 본체(10);
    상기 본체 내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동실(23)과, 상기 냉동실 하부에 마련되는 냉장실(21)을 포함하는 저장실(20);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43);
    상기 증발기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팬(45);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메인유로(53)와,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되어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로 안내하는 냉장실 유로(55) 및 냉동실 유로(57)와, 상기 메인유로에서 상기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로 나누어지는 분기부(59)를 포함하는 냉동실 냉기덕트(50); 및
    상기 분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하는 댐퍼(70);
    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유로는 상기 증발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 유로와 연결되는 냉장실 냉기덕트가 마련되고, 상기 냉동실 냉기덕트와 상기 냉장실 냉기덕트는 동일한 폭을 갖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메인유로와 상기 냉장실 유로를 연결하는 제1개구(72) 및 상기 메인유로와 상기 냉동실 유로를 연결하는 제2개구(73)가 형성된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74)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판(75)과,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판(76)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 의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은 독립적으로 냉각되어 온도가 조절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각각 냉동,냉장으로 사용하는 제1모드와, 오프,냉장으로 사용하는 제2모드와, 냉동,오프로 사용하는 제3모드와, 냉장,냉장으로 사용하는 제4모드와, 냉장,오프로 사용하는 제5모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와 상기 냉동실 유로를 모두 개방하기 위해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 및 제2개폐판이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2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냉동실 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은 상기 제1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2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3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는 폐쇄되고, 상기 냉동실 유로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은 상기 제1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2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4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냉동실 유로는 폐쇄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은 상기 제1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개폐판은 상기 제2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만큼 높아지면, 상기 댐퍼는 상기 제2개폐판이 상기 제2개구의 개폐를 반복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냉동실이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로 사용되다가 상기 제5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유로와 상기 냉동실 유로가 모두 폐쇄되도록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개폐판 및 제2개폐판이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만큼 높아지면, 상기 댐퍼는 상기 제2개폐판이 상기 제2개구의 개폐를 반복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냉동실이 냉장으로 사용되는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동실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에 의해 상기 냉장실과 동일한 온도를 갖도록 온도가 조절되어 상기 냉장실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도록 전환되는 냉장고.
  16. 냉동실(23)과 상기 냉동실 하부에 마련되는 냉장실(21)을 포함하는 저장실(20);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43);
    상기 증발기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팬(45);
    상기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로 안내하는 냉장실 유로(55) 및 냉동실 유로(57)와, 상기 냉장실 유로에서 상기 냉동실 유로가 분기되는 분기부(59)를 포함하는 냉동실 냉기덕트; 및
    상기 분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 유로 및 냉동실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70);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냉동실을 상기 냉장실로 전환하여 상기 냉동실이 상기 냉장실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을 상기 냉장실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댐퍼는 상기 냉동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냉동실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냉동실로 공급되는 냉기가 차단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유로가 폐쇄되어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와 동일해지면, 상기 댐퍼가 상기 냉동실 유로의 개폐를 반복하여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이 다시 냉동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전환하기 위해 상기 댐퍼는 상기 냉동실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냉동실로 냉기가 계속하여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냉장고.
KR1020220100912A 2022-08-11 2022-08-11 냉장고 KR20240022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12A KR20240022348A (ko) 2022-08-11 2022-08-11 냉장고
PCT/KR2023/008113 WO2024034821A1 (ko) 2022-08-11 2023-06-1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12A KR20240022348A (ko) 2022-08-11 2022-08-1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348A true KR20240022348A (ko) 2024-02-20

Family

ID=8985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912A KR20240022348A (ko) 2022-08-11 2022-08-11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2348A (ko)
WO (1) WO20240348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576A (ja) * 1983-07-25 1985-02-1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1450664B1 (ko) * 2008-05-15 2014-10-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제상방법
KR101809971B1 (ko) * 2011-08-16 2017-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6211872B2 (ja) * 2013-09-26 2017-10-1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150053064A (ko) * 2013-11-07 2015-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821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2070B1 (en) Refrigerator
KR102627719B1 (ko) 냉장고
US9964349B2 (en) Refrigerator
US20080000242A1 (en) Refrigerato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US20210239382A1 (en) Refrigerator
US11435127B2 (en) Refrigerator
JP2000320943A (ja) 冷蔵庫
KR102176725B1 (ko) 냉장고
CN113494809B (zh) 冰箱
KR10136945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냉기제어방법
CN113494808A (zh) 冰箱
KR20240022348A (ko) 냉장고
KR100678777B1 (ko) 냉장고
KR102615061B1 (ko) 냉장고
KR20100084715A (ko) 복합형 김치냉장고
US11920851B2 (en) Refrigerator appliance
KR100358771B1 (ko) 냉장고용 신선실 겸용 야채박스의 냉기공급구조
CN113531987B (zh) 冰箱
JPH11211317A (ja) 冷蔵庫
KR20230060809A (ko) 다관절 힌지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00186883A (ja) 冷蔵庫
JP2024046158A (ja) 冷蔵庫
KR19990060435A (ko) 냉장고의 냉장실 전용보관용기 냉기공급구조
JP2021188833A (ja) 冷蔵庫
KR20220115175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