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589A -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 - Google Patents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589A
KR20240021589A KR1020220100104A KR20220100104A KR20240021589A KR 20240021589 A KR20240021589 A KR 20240021589A KR 1020220100104 A KR1020220100104 A KR 1020220100104A KR 20220100104 A KR20220100104 A KR 20220100104A KR 20240021589 A KR20240021589 A KR 2024002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orizontal
fixed
ring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기
Original Assignee
전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기 filed Critical 전영기
Priority to KR102022010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589A/en
Publication of KR2024002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58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7Trousers with reinforcement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고소(高所)에서 작업하는 현장 근로자나 노동자들의 추락사고 방지를 목적으로착용해야만 하는 안전복, 안전대, 안전조끼, 각반의 기능을 일체화 및 경량화하고 형광띠를 추가 적용함으로써, 착용이 편리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인성(視認性)이 개선되어 착용자의 안전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작업복(10)이 개시된다. 작업복(10)의 상의(2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각각 제1 견착부(41)와 제2 견착부(42)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제1 견착부(41)의 상부 수평테두리에는 복수개의 벨트부(43)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43)는 상기 작업복(10)의 어깨부위를 넘어서 상기 상의(20)의 후면부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상기 벨트부(43)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상의(20)의 전면부에서 상기 상부 수평테두리에 제공된 제1 수평보강부(61a)의 중간위치에 제1 안전고리(51)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의(20)의 후면부에서 수직보강부(66)가 제2 수평보강부(62a,62b)와 교차하는 지점에 제2 안전고리(52)와 제3 안전고리(53)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안전고리(52)에는 안전로프(70)의 하단이 각각 고정된다. 착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4 수평보강부(64)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의 양측 위치에는 제4 안전고리(54)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By integrating and lightweighting the functions of safety clothing, safety belts, safety vests, and gaiters that must be worn by field workers or workers working at heights to prevent fall accidents, and by additionally applying a fluorescent strip, it is convenient to wear and work well. Workwear (10) is disclosed that has improved performance and visibility,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wearer. A first shoulder portion 41 and a second shoulder portion 42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top 20 of the workwear 10, respectively, and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is One end of the plurality of belt parts 43 is connected, and the belt part 43 extends beyond the shoulder area of the work clothes 10 toward the rear part of the top 20, and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The other end of the belt portion 43 is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and a first safety ring 51 is provided at the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1a provided on the upper horizontal border from the front part of the top 20. ) are fixedly installed respectively. A second safety ring 52 and a third safety ring 53 are respectively fixed and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 at the point where the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66 intersects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s 62a and 62b. , the lower ends of the safety ropes 70 are each fixed to the second safety ring 5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thigh, a fourth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4 is attached and fixed by extending laterally in a belt shape, and a fourth safety ring 54 is provided at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4. Each is fixedly installed.

Description

개인용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작업복{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Work clothes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

본 발명은 개인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高所)에서 작업하는 현장 근로자나 노동자들의 추락사고 방지를 목적으로착용해야만 하는 안전복, 안전대, 안전조끼, 각반의 기능을 일체화 및 경량화하고 형광띠를 추가 적용함으로써, 착용이 편리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인성(視認性)이 개선되어 착용자의 안전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ork clothing with integrated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safety clothing, safety belts, safety vests, and gaiters that must be wor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all accidents by field workers or workers working at heights. This is about workwear that is convenient to wear, improves workability, and improves visibility,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wearer by integrating functions, reducing weight, and applying an additional fluorescent strip.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종 산업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안전관리 및 안전수칙 준수의 소홀로 말미암아 높은 곳(=고소(高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나 건설 노동자등의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심각한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As is well known, fall accidents among workers working at high places (=high heights) or construction workers frequently occur due to negligence in safety management and compliance with safety rules in various industrial and construction sites, which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t is becoming.

산재 사고 관련한 정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산재 사고 사망자 가운데 건설업과 제조업 노동자가 74.1%에 달하고 있으며, 특히 건설업 분야에서는 공사 규모 50억원 미만 건설 현장의 사망자가 67.3%를 차지하고 있다. 건설업 특성상 약 8,000개에 달하는 100억원 이상 대규모 건설현장에서는 본사 중심의 안전관리를 강화하여 상대적으로 추락사고 발생율이 낮지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는 관리감독의 소홀 등으로 안전장비의 미착용 및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해 추락사고 발생율이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는 소규모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산재 예방을 위한 기술 지도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According to government statistics on industrial accidents, 74.1% of workers in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ccount for 74.1% of industrial accident deaths over the past five years. In particula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aths at construction sites with a construction scale of less than 5 billion won account for 67.3%.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fall accident rate is relatively low at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approximately 8,000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exceeding KRW 10 billion) with headquarters-centered safety management strengthened, but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due to neglect of management supervision, failure to wear safety equipment and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As a result, the fall accident rate is high. Accordingly, there is a trend at the government level to strengthen technical guidance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관련법규에 따르면, 업주는 근로자가 추락하거나 넘어질 위험이 있는 장소 또는 기계ㆍ설비ㆍ선박블록 등에서 작업을 할 때에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비계를 조립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업발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안전방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안전방망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o prevent fall accidents, employers must assemble scaffolding if there is a risk that workers may be at risk when working in places where there is a risk of workers falling or falling, or when working on machinery, equipment, ship blocks, etc. A working platform must be installed, and if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working platform, a safety net must be installed. If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safety net, necessary measures must be taken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such as requiring workers to wear safety belts.

이와 같은 강제규정의 준수도 필요하지만, 현장 근로자나 노동자 또한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고소에서 위험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안전장비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작업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Compliance with these mandatory regulations is necessary, but it is most important for field workers and laborers to voluntarily comply with safety rules to protect their lives and to wear safety equipment when performing dangerous work at heights. .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건설노동자나 제조업 현장 노동자들은 작업복, 안전모, 장갑, 안전조끼, 안전대, 각반 등을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업종에 따라 작업용 고글, 방진마스크, 소음방지용 귀마개 등을 선택적으로 착용하고 있다. 도 4에는 작업자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안전모, 장갑, 고글, 방진마스크, 귀마개를 착용하고 있으며, 작업복(1) 위에 안전조끼(2)를 착용하고 다시 그 위에 안전대(3)를 착용하며 작업복 하의의 발목부위에 각반(4)을 착용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In general, construction workers or workers at manufacturing sites who work at high places are required to wear work clothes, hard hats, gloves, safety vests, safety belts, and gaiters, and depending on the industry, work goggles, dust masks, and noise-prevention earplugs are optional. I am wearing it.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a worker is wearing safety ge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ure 4, a worker is wearing a safety helmet, gloves, goggles, a dust mask, and earplugs, and wears a safety vest (2) over work clothes (1), then wears a safety belt (3) on top of the work clothes (1), and wears a safety belt (3) on top of the work clothes (1). The area is shown wearing gaiters (4).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일할 때는 안전대(3)를 반드시 사용해야 되는데, 안전대(3)는 보호벨트에 죔줄, 안전블럭 등을 연결해 추락을 막아주는 보호구이다. 도 5에는 통상적인 안전대(3)의 구조가 나타나 있는데, 안전대(3)는 벨트(3a)와 죔줄(3b)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대(3)에 추가적으로 안전블록(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해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안전블록은 후크를 걸 고정시설이 없거나 용이하지 않을 경우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스토퍼(Stopper)가 있어서 추락 발생 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When working in a place where there is a risk of falling, you must use a safety belt (3). The safety belt (3) is a protective device that connects a lanyard, safety block, etc. to a protective belt to prevent falls. Figure 5 shows the structure of a typical safety belt (3). The safety belt (3) consists of a belt (3a) and a lanyard (3b), and a safety block (not shown)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safety belt (3) to prevent a fall. The safety block is installed and used when there is no fixing facility for the hook or it is not easy. It has a stopper and plays a role in catching a fall in the event of a fall.

첨부도면 도 6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착용식 에어백 형태의 조끼와 안전띠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형태의 안전조끼 대신에 추락의 가능성이 높은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위급한 상황시 에어백처럼 팽창할 수 있는 말 그대로 입는 에어백인 웨어러블 에어백의 형식을 갖춘 조끼(2A)이며, 안전띠(2B)와 함께 착용하게 된다. The attached drawing, FIG. 6, shows a wearable airbag-type vest and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ure 6, instead of the general type of safety vest described above, a wearable airbag, which is literally an airbag that can be worn like an airbag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used to protect the life of workers at work sites whe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falling. It is a vest (2A) and is worn with a seat belt (2B).

그런데, 이와 같이 현재 현장에서 착용하고 있는 개인 보호구는 무게 및 디자인 부분에서 일률적이고 착용에 불편함이 내재되어 있어서 근로자나 작업자들이 작업중 거추장 스럽다는 핑계로 착용을 회피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전체식 안전대의 경우에는 무게가 많이 나가서 장시간 착용시 피로감이 누적되고, 여름철의 경우에는 하부의 보호대가 허벅지 부분을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피부 손상등이 발생될 수 있고 작업에도 거추장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업재해중 건설현장에서 가장 위험성이 높은 추락사를 예방하고자 안전대를 착용토록 법제화 했으나, 소규모 현장에서는 착용이 전무한 상태로 작업하는 것이 일상화 되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urrently worn in the field is uniform in weight and design and has inherent inconvenience in wearing, so workers or workers frequently avoid wearing it on the excuse that it is inconvenient during work. In fact, in the case of full safety belts, they are very heavy, so fatigue accumulates when worn for a long time, and in the summer, the lower protector continuously puts pressure on the thigh area, which can cause skin damage and is also cumbersome at work. . As mentioned earlier, the wearing of safety belts has been legislated to prevent falling deaths, which are the most dangerous type of industrial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s, but it has become routine for small-scale sites to work without wearing them at all.

그러므로, 근로자나 작업자들이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고 지킬 수 있는 개인 보호구에 대한 거부감과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착용을 습관화 할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가벼운 소재로 경량화한 새로운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에서는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개인용 보호구를 개발 시판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new products with improved structures and lightweight materials so that workers or workers can get into the habit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at can protect and protect their lives by minimizing resistance and discomfort. Accordingly, related industries are developing and market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protect the safety of field workers.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9129호(등록일자 : 2007년 11월 19일)에는 안전 작업복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안전 작업복은 경량체이면서도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된 보호대를 안전 작업복 내부에 매설하여 안전 작업복의 무게를 경량화하면서 외부 충격에 대하여 작업자의 척추 목, 쇄골, 가슴 및 복부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작업복의 피복 내부에서 작업자의 척추 외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척추 보호대(41)와 일체로 되는 복부 보호대(42,42a),가슴보호대(43,43a), 어깨 보호대(44,44a)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상반신을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79129 (registration date: November 19, 2007) discloses safety work clothes, which are made of materials such as polycarbonate that are lightweight but have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The protector is embedded inside the safety workwea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afety workwear and safely protect the worker's spine, neck, collarbone, chest, and abdomen against external shock. In detail, the abdominal protector (42, 42a), chest protector (43, 43a), and shoulder protector (44, 44a), which are integrated with the spine protector (41) formed vertically on the outside of the worker's spine inside the cover of the work clothes. ) to protect the worker's upper body from external shock.

그런데, 상기 안전 작업복은 작업복 내부에 흔히 강철보다 단단한 소재로 알려져 있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 보호대를 내설하였기 때문에, 근로자나 작업자가 착용했을 경우 작업성과 착용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거부감과 불편함이 큰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safety work clothes have a protective guard made of polycarbonate, which is commonly known as a harder material than steel, inside the work clothes, when worn by workers or operators, workability and comfort are reduced, causing great discomfort and discomfort. there is.

다음으로,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5089호(등록일자 : 2021년 12월 27일)에는 낙하충격 저감형 웨어러블 안전장비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안전장비는 고소작업을 위해 착용하는 안전조끼와 안전화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안전조끼의 상단부에 마련된 제1 수납부에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팽창되는 제1 에어백이 설치되고, 안전조끼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수납부에 작업자의 몸통을 보호하도록 팽창되는 제2 에어백이 설치되고, 한 쌍의 안전화에 마련된 제3 수납부에 작업자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낙하산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전장비는 작업자가 추락할 때 낙하속도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서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Next, 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45089 (registration date: December 27, 2021) discloses wearable safety equipment that reduces falling shock, and this safety equipment is a safety device worn for high-altitude work. It consists of a vest and safety shoes, and a first airbag that is inflated to protect the worker's head is installed in the first compartment provided at the top of the safety vest, and the worker's torso is protected in the second compartmen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afety vest. A second airbag that inflates is installed, and a parachute is provided in the third compartment provided in the pair of safety shoes to reduce the falling speed of the worker. The safety equipment is intended to reduce fatal casualties by reducing the falling speed when a worker falls and at the same time relieving the impact applied from the ground.

그런데, 상기 안전장비는 고소작업을 하던 근로자나 작업자가 낙하할때를 대비하여 개발된 것이므로, 착용시에 작업성과 편의성이 떨어져서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safety equipment was developed to prepare for workers or workers working at heights when they f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afety equipment feels uncomfortable due to poor workability and convenience when worn.

그러므로, 착용감이 좋고 착용시 작업성과 편의성이 뛰어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복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Therefore, the need to develop safety clothing that is comfortable to wear,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convenience when worn, and can ensure worker safety has emerged.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9129호(등록일자 : 2007년 11월 19일)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79129 (Registration Date: November 19, 20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5089호(등록일자 : 2021년 12월 27일)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45089 (Registration Date: December 27, 20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복, 조끼, 안전대와 각반을 종합하여 일체화함으로서 경제적이고 인체공학적인 작업복을 개발하여, 그 자체로서 4가지의 개인 보호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develop economical and ergonomic workwear by integrating workwear, vest, safety belt, and gaiters, so that it can perform the role of four type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itself.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개인용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작업복으로서,Workwear with integrated personal safety equipment,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제1 견착부와 제2 견착부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상의 - 상기 제1 견착부의 상부 수평테두리에는 복수개의 벨트부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작업복의 어깨부위를 넘어서 상기 상의의 후면부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견착부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상기 벨트부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상의의 전면부에서 상기 제1 견착부의 상기 상부 수평테두리에 제공된 제1 수평보강부의 중간위치에 제1 안전고리가 각각 고정 설치됨 -; 및A top in which first and second shoulder portions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portions, respectively - one end of a plurality of belt portions is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and the belt portion extends beyo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orkwear. It extends toward the rear part of the top, the other end of the belt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art, and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ement provided on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art in the front part of the top. The first safety ring is fixedly installed in each -; and

전면부와 후면부상에 제4 수평보강부가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 하의 - 상기 하의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제4 수평보강부에 제4 안전고리가 각각 고정 설치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을 제공한다.Bottoms in which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s are horizontally extended and fixed on the front and rear parts - fourth safety rings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s at both sides of the bottoms - We provide work clothes.

상기 작업복은, 상기 상의의 옆구리 일측에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부착된 필기구 꽂이부; 및 상기 하의의 발목부위에 바느질로 고정하여 제공된 벨크로 찍찍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 clothes include a writing instrument holder attached in the form of a pocket with an open top on one side of the top; And a Velcro fastening part provided by being fixed to the ankle area of the bottoms with sewing.

상기 제1 견착부 위쪽에서 상기 벨트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죔줄세트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죔줄세트는 일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의의 중앙부위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죔줄부와, 상기 죔줄부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클립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lanyard sets are arranged to extend horizontally between the belt portion above the first shoulder portion, and the lanyard set includes a pair of lanyard portions each with one end fixed to the belt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to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lip coupling part disposed and fastened between the lanyard parts.

상기 제1 안전고리는 상기 제1 견착부의 상기 상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안전고리는 상기 제4 수평보강부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safety ring is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made of fiber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and a ring-shaped ring portion made of metal that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ourth safety ring is the ab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upport part made of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and a ring-shaped ring part made of metal that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상기 상의의 후면부에서 상기 제2 견착부의 상부 수평테두리와 하부 수평테두리에는 각각 제2 수평보강부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제2 수평보강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제 3 수평보강부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2 견착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공된 수직 테두리에는 수직보강부가 띠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수직보강부는 상기 제2 견착부의 상부 수평테두리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견착부의 하부 수평테두리를 지나서 상기 제3 수평보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보강부가 상기 제2 수평보강부와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2 안전고리와 제3 안전고리가 각각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rear part of the top, a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art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and the low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respectively,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band shape, and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downward from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art. At this position, a third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band and is attached and fixed, and a vertical reinforcement par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strip and is fixed to the vertical edg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respectively. The reinforcement portion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portion intersects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The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afety ring and a third safety ring are respectively fixedly installed.

상기 안전로프는 일정한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안전로프의 자유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카바리나가 부착되고, 상기 카바리나는 현장 작업시에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줄이나 안전블록의 안전고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rope extends to the outside by a certain length, and a cabarina made of metal is attached to the free end of the safety rope, and the cabarina serves as a safety device for safety lines or safety blocks installed in the work space during field 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bonded to the ring.

상기 하의의 전면부상에서 상기 제4 수평보강부는 상기 하의의 허벅지 인접위치에서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하의의 허리부위에는 제5 수평보강부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견착부, 상기 제2 견착부, 상기 벨트부, 상기 제1 수평보강부, 상기 제2 수평보강부, 상기 제3 수평보강부, 상기 제4 수평보강부, 상기 제5 수평보강부, 상기 수직보강부, 및 상기 안전로프는 노란색이나 녹색과 같은 밝은색의 형광염료로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front part of the bottoms,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is attached and fixed by extending laterally in the shape of a strip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high of the bottoms, and the fifth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is exten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shape of a strip on the waist part of the bottoms. It is attached and fixed, and the first shoulder portion, the second shoulder portion, the belt portion,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the thir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and the thir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5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the vertical reinforcement part, and the safety rope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lored with a bright fluorescent dye such as yellow or green.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개인용 안전보호구로서 사용되어온 작업복, 조끼, 안전대와 각반을 종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현장의 근로자들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편안한 작업활동이 가능하여, 착용의 습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과 능률을 제고함은 물론 산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지대하다. 궁극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상용화 및 국제적인 보급을 통해 각종 산업현장에서 인간중심의 안전한 근로를 도모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work clothes, vests, safety belts and gaiters that have been used as conventional personal safety equipment, workers in the field can easily wear them and can perform comfortable work activities while wearing them. Therefore, it can induce habituation of wearing it, improve work efficiency and efficiency, and have a great effect i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in advance. Ultimately, human-centered, safe work can be promot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through commercialization and international distribution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작업복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복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정비복의 전면과 후면을 함께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보호구가 별도의 작업복상에 착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전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및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용식 에어백 형태의 조끼와 안전띠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work clothes with integrated safety gea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work clothes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maintenance suit with integrated safety ge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safety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worn on separate work clothes;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belt shown in Figure 4;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wearable airbag-type vest and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제조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추락재해의 유형으로는, 고소(高所)에서의 추락, 개구부 및 작업대 끝에서의 추락, 비계에서의 추락, 사다리 및 작업대에서의 추락, 철골이나 비계등의 조립 및 해체작업중 추락, 비탈면이나 경사면등에서의 추락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조치가 곤란하여 추락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반드시 개인용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In general, the types of fall accidents that occur in industrial sites such as manufacturing plants or construction sites include falls from heights, falls from openings and the end of workbenches, falls from scaffolding, and falls from ladders and workbenches. , falls during the assembly and dismantling of steel frames or scaffolding, falls from slopes or slopes, etc., and if there is a risk of fall due to difficulty in taking protective measures to prevent such falls, workers must wear personal safety gear. do.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개인용 안전보호구로서 각종 산업현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사용되어온 작업복, 조끼, 안전대와 각반을 종합하여 일체화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의복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의복의 개념은 구체적으로는 작업복이나 정비복 등으로 특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orkwear, vests, safety belts, and gaiters, which have been used in various industrial and construction sites as conventional personal safety equipment, have been integrated and developed into an ergonomically designed garment. This concept of clothing can be specifically applied to work clothes, maintenance clothes, etc.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개인용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의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lothing with integrated personal safety equipment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작업복(10)이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work clothes 10 with integrated personal safety equipmen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작업복(10)은 상의(20)와 하의(30)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의(20)와 하의(30)는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상의(20)의 전면부에는 사각형상의 제1 견착부(41)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견착부(41)는 상의(20)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견착부(41)는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녹색이나 노란색과 같은 밝은 색의 형광 염료로 채색된다. 상기 제1 견착부(41)의 상부 수평테두리에는 복수개의 벨트부(43)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벨트부(43)는 종래의 안전대에서 보호벨트의 역할에 상응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의(20)의 전면부 어깨부위를 지나서 상의(20)의 후면부 어깨부위를 지나도록 연장되며, 계속해서 상의(20)의 후면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연결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부(43)는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녹색이나 노란색과 같은 밝은 색의 형광 염료로 채색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work clothes 10 are made of a top 20 and bottoms 30. Preferably, the top 20 and bottoms 30 are made of a high-stiffness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do. A square-shaped first shoulder portion 41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20.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 and is made of a high-rigidit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Preferably,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is colored with a bright fluorescent dye such as green or yellow to improve visibility. One end of a plurality of belt parts 43 is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edge of the first shoulder part 41. The belt portion 43 is intended to perform a role corresponding to the role of a protection belt in a conventional safety belt, and extends past the front shoulder portion of the top 20 and past the rear shoulder portion of the top 20, It is then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quare-shaped second shoulder portion 42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 Preferably, the belt portion 43 is colored with a bright fluorescent dye such as green or yellow to improve visibility.

상기 제1 견착부(41) 위쪽에서 상기 벨트부(43) 사이에는 복수개의 죔줄세트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상기 죔줄세트는 상기 벨트부(43) 사이에서 상하로 복수개가 제공되며, 일단부가 상기 벨트부(43)에 각각 고정되어 상의(20)의 중앙부위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죔줄부(44a,44b)와, 상기 죔줄부(44a)와 (44b)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클립결합부(44c)로 구성된다. A plurality of lanyard sets are arrang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belt portion 43 above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The lanyard set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up and down between the belt portions 43, and includes a pair of lanyard portions 44a and 44b, one end of which is each fixed to the belt portion 43 and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p 20. It consists of a clip coupling portion (44c) disposed and fastened between the lanyard portions (44a) and (44b).

한편, 상의(20)의 전면부에서 제1 견착부(41)의 상부 수평테두리와 하부 수평테두리에는 각각 제1 수평보강부(61a,61b)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상기 제1 수평보강부(61a,61b)는 상의(20)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하되, 상기 제1 견착부(41)보다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평보강부(61a,61b)는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녹색이나 노란색과 같은 밝은 색의 형광 염료로 채색된다. Meanwhile, first horizontal reinforcing parts 61a and 61b ar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orders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in the front part of the top 20, respectively, extending laterally in a strip shape.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s 61a and 61b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 and are made of a high-stiffness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but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Preferably,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s 61a and 61b are colored with a bright fluorescent dye such as green or yellow to improve visibility.

상의(20)의 전면부에서 상기 제1 수평보강부(61a,61b)의 중간 위치에는 복수개의 제1 안전고리(51)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전고리(51)는 견고성을 고려하여 벨트부(43)의 일단부가 상기 제1 견착부(41)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연결되는 지점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전고리(51)는 상기 상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1a)와 상기 지지부(51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1b)로 구성된다. A plurality of first safety rings 51 are each fixedly installed at the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s 61a and 61b on the front part of the top 20. Preferably, the first safety ring 51 is fixedly installed at a point where one end of the belt portion 43 is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in consideration of sturdiness. Preferably, the first safety ring 51 includes a support portion 51a made of fiber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and a ring-shaped ring portion 51b made of metal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51a. It consists of

상의(20)의 옆구리 일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의 필기구 꽂이부(25)가 부착된다. 상기 필기구 꽂이부(25)는 상의(20)와 동일한 재질로서 바느질에 의해서 상의(20)의 옆구리 일측에 일체로 부착된다.A writing instrument holder 25 in the form of a pocket with an open top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op 20. The writing instrument holder 25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 and is integr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op 20 by sewing.

다음으로, 도 2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의(20)의 후면부에는 사각형상의 제2 견착부(42)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견착부(42)는 앞서 설명한 제1 견착부(41)와 마찬가지로 상의(20)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에는 상기 제1 견착부(41)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작업복(10)의 어깨부위를 넘어서 상의(20)의 후면부 쪽으로 연장된 상기 벨트부(43)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벨트부(43)는 상의(20)의 전면부에 설치된 제1 견착부(41)와 상의(20)의 후면부에 설치된 제2 견착부(42) 사이에서 연장된다. Next, as clearly shown in FIG. 2, a square-shaped second shoulder portion 42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like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described abov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 and is made of a high-rigidit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As mentioned earlier,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is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extending beyo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ork clothes 10 and exte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 The other end of the belt portion 43 extending toward the side is connected. Accordingly, the belt portion 43 extends between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top 20 and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op 20.

상의(20)의 후면부에서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와 하부 수평테두리에는 각각 제2 수평보강부(62a,62b)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제2 견착부(42)의 하부 수평테두리에 부착고정된 제2 수평보강부(62b)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제 3 수평보강부(63)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arts 62a and 62b ar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edges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t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 respectively, extending laterally in a strip shape. At a position that is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62b) attached and fixed to the low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 third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63) extends laterally in a strip shape. Attached and fixed.

상기 제2 견착부(4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공된 수직 테두리에는 수직보강부(66)가 띠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상기 수직보강부(66)는 상의(20)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하되, 상기 제2 견착부(42)보다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Vertical reinforcing portions 66 extend vertically in the form of a strip and are attached to the vertical edg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respectively. The vertical reinforcement portion 66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 and is made of a high-stiffness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but is formed to have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상기 수직보강부(66)는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견착부(42)의 하부 수평테두리를 지나서 제3 수평보강부(63)와 연결된다. 이때, 수직보강부(66)가 제2 수평보강부(62a,62b)와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2 안전고리(52)와 제3 안전고리(53)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The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66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passes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rim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63. . At this time, the second safety ring 52 and the third safety ring 53 are respectively fixed and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66 intersects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s 62a and 62b.

바람직하게는, 제2 안전고리(52)는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2a)와 상기 지지부(52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2b)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3 안전고리(53)는 제2 견착부(42)의 하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3a)와 상기 지지부(53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3b)로 구성된다. Preferably, the second safety ring 52 includes a support portion 52a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nd a support portion 52a made of a metal material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52a. It consists of a ring-shaped ring portion 52b. Likewise, the third safety ring 53 has a support portion 53a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low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nd a ring shape made of metal that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53a). It consists of a ring portion (53b).

한편, 위에서 언급한 상기 제2 안전고리(52)에는 추가적으로 안전로프(70)의 하단이 각각 일체로 고정 연결된다. 안전로프(70)는 일정한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며, 안전로프(70)의 자유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갈고리형상의 훅이나 카바리나(71)가 부착된다. 도 2에는 카바리나(71)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카바리나(71)는 현장 작업시에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줄이나 또는 안전블록(도시되지 않음)의 안전고리(도시되지 않음)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the lower ends of the safety ropes 70 are additionally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afety ring 52 mentioned above. The safety rope 70 extends outward by a certain length, and a hook or cabarina 71 made of metal is attached to the free end of the safety rope 70. 2 is shown in the form of a cabarina 71, which is a safety ring (not shown) of a safety line or safety block (not shown) installed in the work space during field work. ) is formed so that it can be separably bonded to.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견착부(42), 상기 제2 수평보강부(62a,62b), 상기 제3 수평보강부(63) 및 수직 보강부(66)는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녹색이나 노란색과 같은 밝은 색의 형광 염료로 채색된다. Preferably,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s 62a and 62b, the third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63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66 are green or yellow to improve visibility. It is colored with brightly colored fluorescent dyes such as

한편, 하의(30)의 전면부와 후면부상에서 하의(30)의 허벅지 인접위치에는 제4 수평보강부(64)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는 하의(30)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하의(30)의 양측에서 상기 제4 수직보강부(64)의 양측 말단위치에는 제4 안전고리(54)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4 안전고리(54)는 상기 제4 수직보강부(64)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4a)와 상기 지지부(54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4b)로 구성된다. Meanwhile, a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4 is attached and fix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thigh of the pants 3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nts 30, extending laterally in the shape of a band.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4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ttoms 30 and is made of a high-stiffness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Fourth safety rings 54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 positions of the fourth vertical reinforcement portion 64 on both sides of the pants 30. Preferably, the fourth safety ring 54 has a support portion 54a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fourth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64 and a ring shape made of metal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54a. It consists of a ring portion (54b).

하의(30)의 전면부와 후면부상에서 허리부위에는 제5 수평보강부(65)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상기 제5 수평보강부(65)는 하의(30)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A fif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5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waist region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ttoms 30, extending laterally in the form of a band. The fif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5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ttoms 30 and is made of a high-rigidit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의(30)의 전면부와 후면부상에 공통적으로 적용된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와 제5 수평보강부(65)는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녹색이나 노란색과 같은 밝은 색의 형광 염료로 채색된다. Preferably,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4 and the fif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5 commonly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ttoms 30 are a bright color such as green or yellow to improve visibility. It is colored with a fluorescent dye.

한편, 상기 하의(30)의 발목부위에는 벨크로 찍찍이부(90)가 제공되는데, 상기 벨크로 찍찍이부(90)는 발목부위를 타이트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때, 최종적으로 감아서 붙이는 위치는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하의(30)의 후면부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벨크로 찍찍이부(90)는 종래의 작업복에서 발목부위에 착용했던 각반의 대체용으로서, 하의(30)의 후면 발목부위에 아예 바느질에 의해서 제공함으로써, 노동자나 작업자와 같은 작업복 착용자가 별도로 각반을 휴대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Meanwhile, a Velcro clasp portion 90 is provided at the ankle portion of the bottoms 30, and the Velcro clasp portion 90 is provided to tightly wrap the ankle portion. At this time, the final wrapping and attaching location is loca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bottoms 30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The Velcro clasp portion 90 is a replacement for the gaiters worn on the ankle area in conventional work clothes. It is provided by sewing on the rear ankle area of the bottoms 30, so that wearers of work clothes such as workers or workers can separately wear gaiters. It is designed to provide the same effect through convenient use without the need to carry it around.

이상에서는 작업복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작업복의 개념은 예를 들어 정비복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ork clothes are used as an exampl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at the concept of work clothes with integrated personal safe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also be applied to, for example, maintenance clothes.

하기에서는 정비복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aintenance su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첨부도면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안전 보호구가 일체화로 적용된 정비복(10A)의 전면과 후면이 나타나 있다. The attached drawing, FIG. 3, shows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maintenance suit 10A to which personal safety gea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정비복(10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작업복(10)과 동일한 부위 또는 대응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함을 밝힌다. Before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tenance suit (10A), the same parts or corresponding parts as the work clothes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Make it clear that the explanation is using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비복(10A)은 상의(20A)와 하의(30A)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의(20A)와 하의(30A)는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상의(20A)의 전면부에는 사각형상의 제1 견착부(41A)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견착부(41A)는 상의(20A)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견착부(41A)는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녹색이나 노란색과 같은 밝은 색의 형광 염료로 채색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maintenance uniform 10A consists of a top 20A and a bottom 30A. Preferably, the top 20A and bottom 30A are made of a high-stiffness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A square-shaped first shoulder portion 41A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20A.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A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A and is made of a high-rigidit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Preferably,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A is colored with a bright fluorescent dye such as green or yellow to improve visibility.

상기 제1 견착부(41A)의 상부 수평테두리에는 복수개의 벨트부(43A)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벨트부(43A)는 종래의 안전대에서 보호벨트의 역할에 상응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의(20A)의 전면부 어깨부위를 지나서 상의(20A)의 후면부 어깨부위를 지나도록 연장되며, 계속해서 상의(20A)의 후면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2 견착부(42A)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연결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부(43A)는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녹색이나 노란색과 같은 밝은 색의 형광 염료로 채색된다. One end of a plurality of belt portions 43A is connected to the upper horizontal edge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A. The belt portion 43A is intended to perform a role corresponding to the role of a protection belt in a conventional safety belt, and extends past the front shoulder portion of the top 20A and past the rear shoulder portion of the top 20A, It is then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quare-shaped second shoulder portion 42A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A. Preferably, the belt portion 43A is colored with a bright fluorescent dye such as green or yellow to improve visibility.

상기 정비복(10A)의 하의(30A) 전면부와 후면부 중간위치,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4 수평보강부(64A)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하의(30)의 양측에서,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A)의 양측 말단 위치에는 제4 안전고리(54A)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4 안전고리(54A)는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A)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4a)와 상기 지지부(54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4b)로 구성된다. A fourth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4A extends laterally in the form of a band and is attached and fixed to a position midway betwee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bottom 30A of the maintenance uniform 10A, preferab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thigh. On both sides of the pants 30, fourth safety rings 54A are attached to both end positions of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4A. Preferably, the fourth safety ring (54A) has a support portion (54a) made of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4A) and a ring shape made of metal that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54a). It consists of a ring portion (54b).

상기 정비복(10A)의 상의(20A) 후면부에는 사각형상의 상기 제2 견착부(42A)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견착부(42A)는 앞서 설명한 제1 견착부(41A)와 마찬가지로 상의(20A)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견착부(42A)의 상부 수평테두리에는 상기 제1 견착부(41A)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정비복(10A)의 어깨부위를 넘어서 상의(20A)의 후면부 쪽으로 연장된 상기 벨트부(43A)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벨트부(43A)는 상의(20A)의 전면부에 설치된 제1 견착부(41A)와 상의(20A)의 후면부에 설치된 제2 견착부(42A) 사이에서 연장된다. The square-shaped second shoulder portion 42A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A of the maintenance uniform 10A.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A, like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A described abov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A and is made of a high-rigidit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As mentioned earlier,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A is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A, extending beyo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maintenance uniform 10A and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A. The other end of the belt portion 43A extending toward the side is connected. Accordingly, the belt portion 43A extends between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A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20A and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A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A.

상의(20A)의 후면부에서 제2 견착부(42A)의 상부 수평테두리와 하부 수평테두리에는 각각 제2 수평보강부(62A,62B)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상기 제2 견착부(4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공된 수직 테두리에는 수직보강부(66A)가 띠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다. 상기 수직보강부(66A)는 상의(20)와 동일한 재질로서 고강성의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제조하되, 상기 제2 견착부(42)보다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arts 62A and 62B ar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edges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A at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A, respectively, extending laterally in a strip shape. Vertical reinforcing portions 66A are attached and fixed to the vertical edg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respectivel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strip. The vertical reinforcement portion 66A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20 and is made of a high-stiffness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but is formed to have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수직보강부(66A)가 제2 수평보강부(62A,62B)와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6 안전고리(56)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6 안전고리(56)는 제2 견착부(42A)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6a)와 상기 지지부(56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6b)로 구성된다.A sixth safety ring 56 is fixedly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vertical reinforcement portion 66A intersects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s 62A and 62B. Preferably, the sixth safety ring 56 includes a support portion 56a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A, and a support portion 56a made of a metal material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56a. It consists of a ring-shaped ring portion 56b.

한편, 상기 제6 안전고리(56)에는 안전로프(70A)의 하단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안전로프(70A)의 하단에는 로프 연결고리(72A)가 각각 부착되고, 안전로프(70A)의 자유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갈고리형상의 훅이나 카바리나(71A)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로프(70A)는 4개로 제공되는데, 그중 2개는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위 너머로 상부 대각선 방향으로 전개되기에 적합하고 나머지 2개는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전개되기에 적합하다. 상부 대각선 방향으로 전개되는 안전로프(70A)의 카바리나(71A)는 현장 작업시에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줄이나 안전블록(도시되지 않음)의 안전고리(도시되지 않음)에 걸기에 적합하고,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전개되는 안전로프(70A)의 카바리나(71A)는 상기 제4 안전고리(54A)에 걸리도록 연결 고정된다. Meanwhile, the lower ends of the safety ropes 70A are each fixed to the sixth safety ring 56. A rope connecting ring 72A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afety rope 70A, and a hook or cabarina 71A made of a metal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ree end of the safety rope 70A. Preferably, the safety ropes 70A are provided in four pieces, two of which are suitable to be deployed in the upper diagonal direction beyond both shoulder areas of the wearer, and the remaining two are suitable to be deployed in the lower diagonal direction. The cabalina (71A) of the safety rope (70A) deployed diagonally at the top is suitable for hanging on the safety ring (not shown) of a safety line or safety block (not shown) installed in the work space during field work. And, the cabalina (71A) of the safety rope (70A) deployed in the lower diagonal direction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fourth safety ring (54A).

한편, 상기 정비복(10A)의 상기 하의(30A)의 발목부위에는 벨크로 찍찍이부(90A)가 제공된다. 상기 벨크로 찍찍이부(90A)는 종래의 정비복에서 발목부위에 착용했던 각반의 대체용으로서, 하의(30A)의 후면 발목부위에 아예 바느질에 의해서 제공함으로써, 노동자나 작업자와 같은 작업복 착용자가 별도로 각반을 휴대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Meanwhile, a Velcro clasp portion 90A is provided at the ankle area of the bottoms 30A of the maintenance uniform 10A. The Velcro fastening portion (90A) is a replacement for the gaiter worn on the ankle area in the conventional maintenance uniform. It is provided by sewing on the rear ankle area of the bottom (30A), so that wearers of work clothes such as workers or operators can separately wear the gaiter. It is designed to provide the same effect through convenient use without the need to carry it arou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개인용 안전보호구로서 사용되어온 작업복, 조끼, 안전대와 각반을 종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작업현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나 노동자가 거추장스러워서 착용을 기피함에 따라 발생하였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착용감과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 clothes, vests, safety belts, and gaiters that have been used as conventional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 are integrated into one, resulting in workers or laborers avoiding wearing them at work sites or construction sites because they are cumbersome. Not only can it prevent safety accidents, but it can also improve work efficiency by improving wearing comfort and work convenien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10 : 작업복 10A : 정비복
20,20A : 상의 22 : 고리장착부
25 : 필기구 꽂이부 30,30A : 하의
41,41A,42,42A : 견착부 43,43A : 벨트부
44a,44b : 죔줄부 44c : 클립 결합부
51,52,53,54,56 : 안전고리 51a,52a,53a,54a,56a : 지지부
51b,52b,53b,54b,56b : 고리부
61a,61b,62a,62b,63,64,64A,65 : 수평보강부
66,66A : 70 : 로프
71 : 카바리나 90 : 벨크로 찍찍이부
10: Work clothes 10A: Maintenance clothes
20,20A: Top 22: Hook attachment part
25: Writing instrument holder 30,30A: Bottoms
41,41A,42,42A: Shoulder part 43,43A: Belt part
44a, 44b: Lanyard part 44c: Clip coupling part
51,52,53,54,56: Safety ring 51a,52a,53a,54a,56a: Support part
51b, 52b, 53b, 54b, 56b: Ring part
61a, 61b, 62a, 62b, 63, 64, 64A, 65: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66,66A:70:Rope
71: Cabarina 90: Velcro snapper

Claims (8)

개인용 안전보호구가 일체화된 작업복(10)으로서,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제1 견착부(41)와 제2 견착부(42)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상의(20) - 상기 제1 견착부(41)의 상부 수평테두리에는 복수개의 벨트부(43)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43)는 상기 작업복(10)의 어깨부위를 넘어서 상기 상의(20)의 후면부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상기 벨트부(43)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상의(20)의 전면부에서 상기 제1 견착부(41)의 상기 상부 수평테두리에 제공된 제1 수평보강부(61a)의 중간위치에 제1 안전고리(51)가 각각 고정 설치됨 -; 및
전면부와 후면부상에 제4 수평보강부(64)가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된 하의(30) - 상기 하의(30)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에 제4 안전고리(54)가 각각 고정 설치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Workwear (10) with integrated personal safety equipment,
A top (20) in which a first shoulder portion (41) and a second shoulder portion (42)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respectively - a plurality of belt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One end of 43) is connected, and the belt portion 43 extends beyo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ork clothes 10 toward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The other end of the belt portion 43 is connected, and a first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61a is provided at the middle of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1a provided on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on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20. Each safety ring (51) is fixedly installed -; and
Bottoms (30) in which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4) is horizontally extended and fixed on the front and rear parts - the fourth safety part is attached to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4) at both sides of the bottom (30). Each ring (54) is fixedly installed -;
Workwea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10)은,
상기 상의(20)의 옆구리 일측에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부착된 필기구 꽂이부(25); 및
상기 하의(30)의 발목부위에 바느질로 고정하여 제공된 벨크로 찍찍이부(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ork clothes (10) are:
A writing instrument holder (25) attached in the form of a pocket with an open top on one side of the top (20); and
A Velcro clasp portion (90) provided by being fixed to the ankle area of the bottoms (30) with sewing;
Workwear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착부(41) 위쪽에서 상기 벨트부(43) 사이에는 복수개의 죔줄세트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죔줄세트는 일단부가 상기 벨트부(43)에 각각 고정되어 상의(20)의 중앙부위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죔줄부(44a,44b)와, 상기 죔줄부(44a)와 (44b)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클립결합부(44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lanyard sets are arranged to extend horizontally between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and the belt portion (43), and one end of each of the lanyard sets is attached to the belt portion (43).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air of lanyard parts (44a, 44b) that are fixed and extend toward the central part of the top (20), and a clip coupling part (44c) disposed and fastened between the lanyard parts (44a) and (44b). Work clothes made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고리(51)는 상기 제1 견착부(41)의 상기 상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1a)와 상기 지지부(51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1b)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안전고리(54)는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4a)와 상기 지지부(54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afety ring (51) is fixed by a support portion (51a) made of a fiber material and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border of the first shoulder portion (41). It consists of a supported ring-shaped ring portion 51b made of metal, and the fourth safety ring 54 includes a support portion 54a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64, and the support portion. Workwe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ing-shaped ring portion (54b) made of metal that is fixed and supported by (54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20)의 후면부에서 상기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와 하부 수평테두리에는 각각 제2 수평보강부(62a,62b)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제2 수평보강부(62b)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제 3 수평보강부(63)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2 견착부(4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공된 수직 테두리에는 수직보강부(66)가 띠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수직보강부(66)는 상기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견착부(42)의 하부 수평테두리를 지나서 상기 제3 수평보강부(63)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보강부(66)가 상기 제2 수평보강부(62a,62b)와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2 안전고리(52)와 제3 안전고리(53)가 각각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arts (62a, 62b) extend laterally in a strip shape o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edges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t the rear portion of the top (20), respectively. is attached and fixed, and a third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63 is attached and fixed in a strip-shaped position a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62b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shoulder attachment part A vertical reinforcing part 66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vertical edg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4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strip,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part 66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It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border, passes through the low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3,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part 66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6. Workwea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afety ring (52) and a third safety ring (53)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points with (62a, 62b).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전고리(52)는 상기 제2 견착부(42)의 상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2a)와 상기 지지부(52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2b)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안전고리(53)는 상기 제2 견착부(42)의 하부 수평테두리에 일체로 재봉 고정되는 섬유재질의 지지부(53a)와 상기 지지부(53a)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금속재질의 링형상 고리부(53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safety ring (52) is fixed and supported by a support portion (52a)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edge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and the support portion (52a). It consists of a ring-shaped ring portion 52b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third safety ring 53 includes a support portion 53a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is integrally sewn and fixed to the lower horizontal border of the second shoulder portion 42. Workwe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ing-shaped ring part (53b) made of metal and fixedly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53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로프(70)는 일정한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안전로프(70)의 자유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카바리나(71)가 부착되고, 상기 카바리나(71)는 현장 작업시에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줄이나 안전블록의 안전고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afety rope (70) extends outward by a certain length, and a cabarina (71) made of a metal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ree end of the safety rope (70), and the cabarina (71) Workwe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afety ring of a safety line or safety block installed in the work space during field wor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30)의 전면부상에서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는 상기 하의(30)의 허벅지 인접위치에서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하의(30)의 허리부위에는 제5 수평보강부(65)가 띠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견착부(41), 상기 제2 견착부(42), 상기 벨트부(43), 상기 제1 수평보강부(61a,61b), 상기 제2 수평보강부(62a,62b), 상기 제3 수평보강부(63), 상기 제4 수평보강부(64), 상기 제5 수평보강부(65), 상기 수직보강부(66), 및 상기 안전로프(70)는 형광염료로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n the front part of the bottoms 30,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64 is attached and fixed to extend laterally in the shape of a strip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high of the bottoms 30, and the bottoms (30) A fifth horizontal reinforcing part 65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waist region of 30) by extending transversely in a belt shape, and the first shoulder part 41, the second shoulder part 42, and the belt part 43 ), the first horizontal reinforcement units (61a, 61b), the second horizontal reinforcement units (62a, 62b), the third horizontal reinforcement units (63), the fourth horizontal reinforcement units (64), and the fifth horizontal reinforcement units (61a, 61b). Work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ortion 65, the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66, and the safety rope 70 are colored with a fluorescent dye.
KR1020220100104A 2022-08-10 2022-08-10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 KR202400215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104A KR20240021589A (en) 2022-08-10 2022-08-10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104A KR20240021589A (en) 2022-08-10 2022-08-10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589A true KR20240021589A (en) 2024-02-19

Family

ID=9005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104A KR20240021589A (en) 2022-08-10 2022-08-10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58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29B1 (en) 2006-08-11 2007-11-29 손기현 A safety working clothes
KR102345089B1 (en) 2019-09-04 2021-12-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safety equipment to reduce drop imp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29B1 (en) 2006-08-11 2007-11-29 손기현 A safety working clothes
KR102345089B1 (en) 2019-09-04 2021-12-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safety equipment to reduce drop impa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716A (en) Safety jump suit uniform and lifting mechanism for miners and other workers
US7596815B2 (en) Protective garment having lower torso-covering and leg-covering portions and equipped with drag harness or drag harnesses
EP2293694B1 (en) Safety vest with integrated safety harness
US6128782A (en) Combination clothing/safety harness for fall arresting and rescue from confined spaces
EP1545713B1 (en) Full body harness for fall arrest
KR200438968Y1 (en) Coverall that be handy for activity
EP3466287B1 (en) Shroud usable with a helmet
US6427252B1 (en) Harness-suspenders combination
US3231899A (en) Garment construction
US10143863B2 (en) Coverall garment having first spaced-apart belt loops
US9781962B2 (en) Protective clothing system
KR100779129B1 (en) A safety working clothes
KR20240021589A (en) Clothing incorporating personal safety protective equipments
KR102196469B1 (en) Safety protecting vest
KR102455766B1 (en) Work clothes integrated with industrial harness
KR20210002858A (en) Vest type protector for protecting shoulder and waist
CA2494679A1 (en) A mining vest
US5133092A (en) Protective suit
JP3226663U (en) Work clothes
AT13539U1 (en) protection clothes
KR20120009016U (en) welding clothes
KR100995703B1 (en) Chainsaw protective pants
CN100493397C (en) Safety device for human body
KR200423872Y1 (en) safety clothes for work
JP7511784B1 (en) Harness integrated work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