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839A - 매설물탐지 클램프 - Google Patents

매설물탐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839A
KR20240020839A KR1020220099050A KR20220099050A KR20240020839A KR 20240020839 A KR20240020839 A KR 20240020839A KR 1020220099050 A KR1020220099050 A KR 1020220099050A KR 20220099050 A KR20220099050 A KR 20220099050A KR 20240020839 A KR20240020839 A KR 20240020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uried object
object detection
cable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정수
이규호
정현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839A/ko
Publication of KR2024002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물탐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설물탐지기에 케이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전주에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매설물탐지기와의 접속을 위하여 전주의 소정 높이에서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에 있어서, COS 조작봉(100); 상기 COS 조작봉(100)에 연결된 클램프연결부(200); 상기 클램프연결부(200)에 고정되는 클램프부(300); 상기 클램프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부(300)가 상기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클램핑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당김줄(400); 상기 클램프부(300)와 상기 매설물탐지기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상기 매설물탐지기에 인가하는 통신선(401); 을 포함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직접 전주를 오르지 않거나 활선버켓이 없이도 클램프를 전주 상측에 노출된 케이블에 파지할 수 있가 때문에 보다 안전한 매설물탐지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매설물탐지 클램프{A clamp for detecting undergraund cable}
본 발명은 매설물탐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설물탐지기에 케이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전주에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매설물탐지기는 지중에 매립된 케이블이 굴삭작업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다.
특히, 서로 인접된 입상전주들 사이 구간에서의 지중에 매립된 케이블을 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중에 매립된 케이블 탐지는 탐지기 본체에 연결된 클램프를 이용한다.
이 때, 클램프는 입상전주에서 외부로 돌출된 케이블의 외주면에 고정시켜야 한다.
그런데, 입상전주에는 케이블을 소정의 높이까지 보호 및 가이드 하기 위하여 입상관이라는 보호덮개가 마련되고 있다.
따라서, 클램프는 입상관의 높이만큼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서 노출되고 있는 케이블에 결합시켜야 하는 곤란함이 있다.
결국, 작업자가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올라가 작업을 하여야 하는 작업의 불편과 추락의 위험이 공존한다.
다시 말해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케이블이 전주 위 약 6m 위치에 있어 작업자가 전주 인력오름 또는 활선버켓 차량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최근 작업자 떨어짐 사고 예방을 위해 전주 인력오름을 하지 않는 추세이다.
또한, 활선버킷 차량을 사용 시 기계경비 사용으로 인한 비용 및 작업시간이 추가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다.
또한, 클램프를 케이블에 취부하지 않고 매설물탐지기를 사용하게 되면, 케이블 매설위치 및 매설 깊이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45932 B1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상의 작업자가 전주를 오르거나 활선버켓 없이도 클램프를 전주 상측에 노출된 케이블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매설물탐지기와의 접속을 위하여 전주의 소정 높이에서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에 있어서, COS 조작봉(100); 상기 COS 조작봉(100)에 연결된 클램프연결부(200); 상기 클램프연결부(200)에 고정되는 클램프부(300); 상기 클램프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부(300)가 상기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클램핑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당김줄(400); 상기 클램프부(300)와 상기 매설물탐지기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상기 매설물탐지기에 인가하는 통신선(401); 을 포함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300)는 일측이 상기 클램프연결부(200)에 고정되고 타측에 제1 말단부(341)을 갖는 제1 암부(310)와; 일측이 상기 당김줄(4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암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측에 제2 말단부(342)를 갖는 제2 암부(320); 를 포함하되, 상기 당김줄(400)의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1 말단부(341) 및 상기 제2 말단부(342)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당김줄(400)이 릴리즈됨에 따라 상기 제1 말단부(341) 및 상기 제2 말단부(342)가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연결부(200)는 상기 COS 조작봉(10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1); 상기 베이스부(21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암부(310)를 수용하는 제1 몸체부(213); 상기 제1 몸체부(213)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당김줄(400)를 안내하는 제1 고리부(2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기 제1 몸체부(213)의 내주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OS 조작봉(100)은 상기 클램프연결부(200)가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헤드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헤드부(120)는 상기 COS 조작봉(100)에 고정되는 다리부(121); 상기 다리부(121)에서 연장되는 측벽부(123); 상기 측벽부(123)에 형성된 재 제3 체결부(226)가 결합가능한 체결공; 상기 체결공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등거리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편평부(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2 헤드부(120)와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클램프연결부(200)에 연결되는 브라켓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500)는 상기 클램프연결부(200)가 고정되는 장착부(510); 상기 복수의 제1 편평부(125)의 사이공간과 치합되는 제2 돌기부(521); 상기 제3 체결부(226)를 수용하는 개구부(5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510)는 상기 클램프연결부(200)가 체결되도록 장착홀(51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523)의 너비 중심은 상기 장착홀(511)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매설물탐지 클램프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설물탐지기와 상기 통신선(401)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케이블 높이까지 상기 클램프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당김줄(400)를 잡아당겨 상기 클램프를 벌리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케이블 파지하도록 상기 당김줄(400)를 릴리즈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작동방법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작업자가 직접 전주를 오르지 않거나 활선버켓이 없이도 클램프를 전주 상측에 노출된 케이블에 파지할 수 있가 때문에 보다 안전한 매설물탐지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연결부(200)가 제1 헤드부(110)에 체결된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헤드부(120)가 COS 조작봉(100)에 체결된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부(50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부(500)가 제2 헤드부(120)와 체결된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연결부(200)가 브라켓부(500)와 체결된 모습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의 사용모습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는 COS 조작봉(100), 클램프연결부(200), 클램프부(300), 당김줄(400) 및 통신선(40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연결부(200)는 COS 조작봉(1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클램프부(300)는 클램프연결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당김줄(400)은 클램프부(300)에 연결되어 당겨짐에 의해 클램프부(300)를 벌릴 수 있다.
반면, 클램프부(300)는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제거되면 벌어졌던 단부와 단부가 서로 맞닿게 된다.
다시 말해, 클램프부(300)에는 외력이 제거되면 오므라지도록 하는 원상복구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원상복구수단에는 핀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선(401)는 클램프부(300)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전기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는 COS 조작봉(100), 클램프연결부(200), 클램프부(300) 및 당김줄(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도 1과 같이 통신선(401)이 마련되고 있음을 일러둔다.
COS 조작봉(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디부(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헤드부(110)는 바디부(101)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연결부(200)는 베이스부(211), 제1 연장부(212), 제1 몸체부(213), 제1 고리부(214), 제1 체결부(215) 및 제2 체결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리부(214)는 제1 몸체부(213)의 상면에 고정되어 클램프연결부(200)의 최상단을 이루면서 고리형으로 마련되고 있다.
제1 고리부(214)에는 당김줄(400)이 통과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고리부(214)는 당김줄(4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몸체부(213)는 클램프부(300)의 제1 암부(3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갖는 환형의 수용부재일 수 있다.
제1 연장부(212)는 제1 몸체부(213)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제1 연장부(212)는 판형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몸체부(213) 역시 제1 고리부(214)와 만나는 부근에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힌지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부(213)가 전술한 힌지구조(미도시)를 기준으로 회동될 때 제1 몸체부(213)의 하측에는 제1 연장부(212)가 각각 마련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연장부(212)는 서로 마주보면서 포개어질 수 있도록 판상의 플레이트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연장부(212)는 서로 동심을 갖도록 통공을 공유할 수 있다.
결국, 제1 체결부(215)는 전술한 제1 연장부(212)의 통공을 통해 제1 몸체부(213)이 벌어지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체결부(215)는 클램프부(300)의 일부인 제1 암부(310)가 제1 몸체부(213)에 삽입 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부(211)는 제1 몸체부(213)의 하측에서 연장될 수 있는데, 베이스부(211)는 상하로 관통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헤드부(110)가 베이스부(211)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부(211)에는 제2 체결부(216)가 결합되는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체결부(216)에 의해 제1 헤드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클램프부(300)는 제1 암부(310), 제1 핑거부(311), 제2 암부(320), 제2 핑거부(321), 고정부(322), 연결부(330) 및 제1 말단부(341), 제2 말단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클램프부(300)는 집게형상의 구조인데, 제1 핑거부(311)와 제2 핑거부(321)가 연결부(330)를 회동축으로하여 서로 이격되거나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제1 암부(310)는 제1 몸체부(213)에 고정되고 있으며, 제2 암부(320)는 제1 암부(310)로부터 이격된 채로 당김줄(400)에 연결되고 있다.
이 때, 제1 핑거부(311)는 제1 암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핑거부(321)는 제2 암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22)가 제2 암부(320)의 말단부에 고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당김줄(400)가 고정부(322)에 결합되고 있다.
따라서, 당김줄(400)가 당겨지게 되면 제2 핑거부(321)는 제1 핑거부(31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클램프부(300)의 내부에는 원상복구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당김줄(400)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힘이 제거되면 제2 핑거부(321)와 제1 핑거부(311)가 서로 접촉된다.
한편, 제2 핑거부(321)의 단부 및 제1 핑거부(311)의 단부에는 각각 제1 말단부(341), 제2 말단부(342)가 마련되고 있다.
제1 말단부(341) 및 제2 말단부(342)는 후술할 케이블의 외주면에 파지됨으로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게 되는 부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연결부(200)가 제1 헤드부(110)에 체결된 모습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처럼 베이스부(211)가 제1 헤드부(110)에 외삽된다.
제1 연장부(212)는 베이스부(211)의 전방을 향해 마련되며, 제1 연장부(212)는 전술한 대로 한 쌍이 서로 포개어지는 판상일 수 있다.
도 3(b)처럼 제1 몸체부(213)는 베이스부(211)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제1 몸체부(213)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제1 고리부(214)는 제1 몸체부(213)의 최상단에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제1 체결부(215)는 한 쌍의 제1 연장부(212)를 서로 고정시키고, 제2 체결부(216)는 베이스부(211)가 제1 헤드부(11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 몸체부(213)의 내주면에는 제1 암부(3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재는 중공을 갖는 고무튜브로서, 고무튜브는 제1 몸체부(213)의 내벽에 밀착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미끄럼방지부재는 소정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헤드부(120)가 COS 조작봉(100)에 체결된 모습이다.
제2 헤드부(120)가 COS 조작봉(10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COS 조작봉(100)는 서로 직경을 점진적으로 달리하면서 전체적으로 단면이 원형인 다중봉 형상이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2 헤드부(120)는 다리부(121), 경사부(122), 측벽부(123), 제1 돌기부(124) 및 제1 편평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121)가 COS 조작봉(100)의 최소직경을 갖는 봉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있다.
경사부(122)는 다리부(121)로부터 상방향으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좁아지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진다.
측벽부(123)에는 제3 체결부(226)가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체결홀을 가질 수 있고, 체결홀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124)가 복수 개 서로 이격된 채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부(124) 중 서로 인접된 한 쌍 사이에는 제1 편평부(125)가 마련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부(500)를 도시한다.
브라켓부(500)는 장착부(510)와 치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치합부(520)는 장착부(510)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다.
장착홀(511)가 장착부(5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치합부(520)는 제2 돌기부(521), 제2 편평부(522) 및 개구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평부(522)는 장착부(510)로부터 연장되는 편평부로 형성되며, 개구부(523)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절개된 채 개구부(523)를 형성한다.
한편, 제2 돌기부(521)는 치합부(520)의 중심부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진 채 돌설되고 있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부(500)가 제2 헤드부(120)와 체결된 모습이다.
제2 돌기부(521)가 제1 돌기부(124)에 인접되어 치합되고 있으며, 브라켓부(500)와 제2 헤드부(120)는 제3 체결부(22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체결부(226)는 브라켓부(500)에 형성된 장착홀(511)를 관통하고, 제2 헤드부(120)에 마련된 체결홀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고 있는 것과 같이 제2 헤드부(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돌기부(124) 및 제1 편평부(125)와 치합부(520)에 마련된 복수의 제2 돌기부(521) 및 제2 편평부(522)가 각각 치합될 수 있는데, 이 때 브라켓부(500)와 제2 헤드부(120)의 각도를 달리하여 치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연결부(200)가 브라켓부(500)에 결합된 모습이다.
제1 암부(310)가 제2 몸체부(223)에 체결된다.
서로 동형으로 마주한 한 쌍의 제2 몸체부(223)는 제2 고리부(224)의 마련된 힌지구조에 의해 벌어질 수 있고, 제2 몸체부(223) 사이로 제1 암부(310)가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동형의 제2 연장부(222)는 제2 몸체부(223)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있다.
한편, 체결공(221)는 제2 연장부(222)에서 통공되어 형성되고 있다.
또한, 브라켓부(500)에는 장착홀(511)이 마련된다.
전술한 제3 체결부(226)가 장착홀(511)의 중심과 체결공(221)의 중심을 통해 체결시킴으로써 클램프연결부(200)가 브라켓부(5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체결부(226)에 의해 제2 헤드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헤드부(120)에서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의 사용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의 사용모습이다.
지상에 설치된 입상전주(10)에는 길이방향으로 케이블(30)가 마련된다.
이 때, 2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케이블(30)를 감싸고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블(3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이르러야 비로소 외부에 노출되고 있다.
지상의 작업자는 소정의 높이에서 노출된 케이블(30)까지 COS 조작봉(100)의 길이를 확장시킨다.
COS 조작봉(100)의 단부에는 클램프연결부(200)가 설치되고 있으며, 클램프부(300)가 클램프연결부(200)에서 오므러졌다 벌어졌다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당김줄(400)를 잡아당겨 클램프부(300)를 벌여준 뒤 케이블(30)이 제2 핑거부(321)와 제1 핑거부(311) 사이에 진입하면 당겼던 당김줄(400)를 놓아주게 된다.
결국, 클램프부(300)가 케이블(3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데, 더욱 상세히는 제1 말단부(341) 및 제2 말단부(342)가 케이블(30)의 외주면에 파지된다.
따라서, 케이블(30)에 흐르는 신호가 통신선(401)를 타고 지상의 탐지장비(미도시)에 인가될 수 있게 되어 탐지작업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탐지작업이 종료되면 다시 당김줄(400)를 잡아당겨 클램프부(300)를 벌여주면 케이블(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10 : 입상전주
20 : 입상관부
30 : 케이블
100 : COS 조작봉
101 : 바디부
110 : 제1 헤드부
200 : 클램프연결부
211 : 베이스부
212 : 제1 연장부
213 : 제1 몸체부
214 : 제1 고리부
215 : 제1 체결부
216 : 제2 체결부
120 : 제2 헤드부
121 : 다리부
122 : 경사부
123 : 측벽부
124 : 제1 돌기부
125 : 제1 편평부
226 : 제3 체결부
221 : 체결공
222 : 제2 연장부
223 : 제2 몸체부
224 : 제2 고리부
300 : 클램프부
310 : 제1 암부
311 : 제1 핑거부
320 : 제2 암부
321 : 제2 핑거부
322 : 고정부
330 : 연결부
341 : 제1 말단부
342 : 제2 말단부
400 : 당김줄
401 : 통신선
500 : 브라켓부
510 : 장착부
511 : 장착홀
520 : 치합부
521 : 제2 돌기부
522 : 제2 편평부
523 : 개구부

Claims (11)

  1. 매설물탐지기와의 접속을 위하여 전주의 소정 높이에서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에 있어서,
    COS 조작봉(100);
    상기 COS 조작봉(100)에 연결된 클램프연결부(200);
    상기 클램프연결부(200)에 고정되는 클램프부(300);
    상기 클램프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부(300)가 상기 노출된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클램핑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당김줄(400);
    상기 클램프부(300)와 상기 매설물탐지기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상기 매설물탐지기에 인가하는 통신선(401); 을 포함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300)는 일측이 상기 클램프연결부(200)에 고정되고 타측에 제1 말단부(341)을 갖는 제1 암부(310)와;
    일측이 상기 당김줄(4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암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측에 제2 말단부(342)를 갖는 제2 암부(320); 를 포함하되,
    상기 당김줄(400)의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1 말단부(341) 및 상기 제2 말단부(342)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당김줄(400)이 릴리즈됨에 따라 상기 제1 말단부(341) 및 상기 제2 말단부(342)가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연결부(200)는 상기 COS 조작봉(10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1);
    상기 베이스부(21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암부(310)를 수용하는 제1 몸체부(213);
    상기 제1 몸체부(213)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당김줄(400)를 안내하는 제1 고리부(2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몸체부(213)의 내주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S 조작봉(100)은 상기 클램프연결부(200)가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헤드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부(120)는 상기 COS 조작봉(100)에 고정되는 다리부(121);
    상기 다리부(121)에서 연장되는 측벽부(123);
    상기 측벽부(123)에 형성된 재 제3 체결부(226)가 결합가능한 체결공;
    상기 체결공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등거리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편평부(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2 헤드부(120)와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클램프연결부(200)에 연결되는 브라켓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500)는 상기 클램프연결부(200)가 고정되는 장착부(510);
    상기 복수의 제1 편평부(125)의 사이공간과 치합되는 제2 돌기부(521);
    상기 제3 체결부(226)를 수용하는 개구부(5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510)는 상기 클램프연결부(200)가 체결되도록 장착홀(51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23)의 너비 중심은 상기 장착홀(511)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에 따른 매설물탐지 클램프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설물탐지기와 상기 통신선(401)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케이블 높이까지 상기 클램프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당김줄(400)를 잡아당겨 상기 클램프를 벌리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케이블 파지하도록 상기 당김줄(400)를 릴리즈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설물탐지 클램프 작동방법.
KR1020220099050A 2022-08-09 2022-08-09 매설물탐지 클램프 KR20240020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50A KR20240020839A (ko) 2022-08-09 2022-08-09 매설물탐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50A KR20240020839A (ko) 2022-08-09 2022-08-09 매설물탐지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839A true KR20240020839A (ko) 2024-02-16

Family

ID=9005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050A KR20240020839A (ko) 2022-08-09 2022-08-09 매설물탐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8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32B1 (ko) 2019-02-21 2019-11-1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32B1 (ko) 2019-02-21 2019-11-1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487B2 (en) Safety line anchoring system
US4360292A (en) Grouted strand anch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995881B2 (en) Conductor guide system
MXPA00006288A (es) Conector para conectar tuberia protectora de cable.
KR20240020839A (ko) 매설물탐지 클램프
US10731374B2 (en) Solid mast raiser system
KR101319935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US4474513A (en) Portable handheld device for forming aligned holes
KR102305678B1 (ko)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
US2923382A (en) Device for guying masts
US10865485B2 (en) Break-resistant anode assemblies for cathodic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same
US5713695A (en) Trench plate connector
CN207051551U (zh) 光缆出入孔保护器
CA1308368C (en) Adjustable riser assembly
US20030165307A1 (en) Transportation protection for optical cables
CN108770632B (zh) 无人攀爬式伐树辅助系绳装置
GB2400133A (en) Fall restraint anchoring post
RU2686761C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геофизических приборов в зону исследовани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участка ствола скважины и устройство навес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KR101731469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A2481675C (en) Cable installation
US20140318889A1 (en) Safety system for a slanted roof
CN213484384U (zh) 一种电力电缆迁移设备
CN217155636U (zh) 一种地热钻井深部地温测量仪
CN106869769A (zh) 便于攀爬绝缘子串的攀爬工具
CN218029131U (zh) 一种可开启式洞口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