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285A -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285A
KR20240020285A KR1020220096466A KR20220096466A KR20240020285A KR 20240020285 A KR20240020285 A KR 20240020285A KR 1020220096466 A KR1020220096466 A KR 1020220096466A KR 20220096466 A KR20220096466 A KR 20220096466A KR 20240020285 A KR20240020285 A KR 2024002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holes
housing
extrusion molding
rectif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주)송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송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9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285A/ko
Publication of KR2024002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을 지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지주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상기 통공에 의해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격벽이 마련되는 버팀 장치와,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료를 압송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전방에 마련되는 정류 부재;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는 다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압출 성형을 위한 원료가 압송되면서 상기 정류 부재 및 다이를 거쳐서 성형품이 압출되며, 상기 다이를 통해 상기 성형품이 압출되면, 상기 성형품은 수목을 지지하는 지주대의 몸체부가 되는 압출 성형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UNDERPINN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POST AND EXTRUSION MOLDING APPARATUS OF THE SUPPORTING POST BODY}
본 발명은 수목을 지지하는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버팀 장치의 지주대를 이루는 몸체부를 성형하는 압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 설치 상황처럼 수목을 이식할 경우 수목의 뿌리가 지면에 활착(活着)될 때까지 수목을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수목를 이식한 후 지지하는 방법으로 보편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방법은 목재로서의 가치가 적은 간벌목 등을 박피하고 끝단을 경사지게 깎은 버팀목을 사용하여 이식 수목을 3 방향에서 고정하고 버팀목들을 고무나 섬유 재질의 끈으로 묶는 방법이 사용된다.
버팀목은 이식 수목의 뿌리가 완전히 내릴 때까지 2 내지 3년간 지속적으로 나무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끝단을 경사지게 깎기만 한 버팀목은 이식 수목을 기형으로 만들 우려가 있다. 또한, 나무와 나무가 맞닿는 것이기 때문에 잘 퉁그러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버팀목끼리 묶는 과정에 한 사람이 버팀목을 잡아주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17796호에는 한쪽 끝단을 경사지게 깎은 나무와, 경사지게 깎은 면에 고정된 녹화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버팀목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버팀목과 수목이 접촉하는 면이 불일치함으로써 수목을 훼손하는 문제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으며, 퉁그러지는 현상 또한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작업성 및 재활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17796호
본 발명은 수목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를 성형하기 위한 압출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수목을 지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지주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상기 통공에 의해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격벽이 마련되는 버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료를 압송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전방에 마련되는 정류 부재;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는 다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압출 성형을 위한 원료가 압송되면서 상기 정류 부재 및 다이를 거쳐서 성형품이 압출되며, 상기 다이를 통해 상기 성형품이 압출되면, 상기 성형품은 수목을 지지하는 지주대의 몸체부가 되는 압출 성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팀 장치는 수목의 훼손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팀 장치는 구성 요소별로 조립/분해됨으로써 작업성 및 재활용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대를 이루는 몸체부는 다면체로 형성하고, 각 면마다 위치를 달리하여 걸림공을 형성한 다음,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각각 체결부 및 캡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몸체부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공을 선택하여 체결부 및 캡부를 조립함으로써 지주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주대를 이루는 몸체부는 압출 성형기를 통해 압출 성형될 수 있고, 복수의 통공이 마련되면서 내부에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제1 격벽과 복수의 제2 격벽을 형성하여 외력(굴곡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대를 이루는 몸체부는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얻는 장점인 경량화와 재료의 절감에 따른 비용 감소와, 중실형으로 형성하여 얻는 장점인 큰 하중 또는 외력에 견딜 수 있는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는 최적의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성형기를 통해 합성수지재의 몸체부를 압출 성형하고,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몸체부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부와 캡부를 결합하되, 몸체부, 체결부 및 캡부가 결합된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공 작업을 통해 다면체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전체 면 또는 일부 면에 위치를 달리하여 복수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원하는 전체 길이로 설정되도록 체결부 및 캡부를 결합하여 수목 지지를 위한 지주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주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대를 성형하기 위한 압출 성형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출 성형기에 구비되는 정류 부재의 관통공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출 성형기에 의해 압출 성형된 지주대의 몸체부의 전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대를 이루는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 및 캡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주대를 이루는 8면체의 몸체부를 펼친 상태에서 걸림공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버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목을 감싸는 밴드(110), 밴드(110)가 끼워지고 수목에 대면하는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버클(130), 수목을 지지하는 지주대(150) 및 보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뿌리가 활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람 등 외부 환경으로부터 버티도록 하기 위해서는 버팀 장치로 수목을 지면 등에 지지시켜야 한다.
이때, 지면 등에 맞닿는 기둥 역할의 지주대(150)를 수목에 연결하기 위해 밴드(110)와 버클(130)이 이용된다.
밴드와 버클을 이용해 수목을 감싼 후에 지주대(150)를 밴드 또는 버클에 연결해야 한다. 밴드에도 지주대를 연결할 수 있으나, 밴드에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지주대는 버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에 지주대를 연결하지 않는 경우 버클에 연결되는 1개의 지주대만 연결 가능하다. 그러나 수목 설치 장소에 따라 복수의 지주대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여분의 지주대를 연결하기 위해 보조부(170)가 이용될 수 있다. 버클 및 보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목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밴드가 수목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부(170)는 밴드(110)에 끼워진 상태로 밴드를 따라 유동된다. 보조부는 버클(130)에서 걸림부(131)가 제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보조부(170)는 버클과 마찬가지로 수목에 대면하는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버클에 설치되는 코르크판(134)이 보조부의 내면에 그대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부는 외면에 형성되어 지주대에 연결되는 연결부(17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클에도 동일한 형태의 연결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개수의 보조부를 밴드에 끼운 후 밴드를 버클에 고정시키고 지주대를 버클 또는 보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시키면 보조부는 밴드를 따라 유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설치 후 가해지는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있으면 보조부는 수목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수목을 지지할 수 있으며 수목을 훼손하지 않는 위치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부에 의하면 수목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주대 연결 완료 직후 또는 일정 기간 경과 후 밴드에 보조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부(170)에 는 밴드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 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체결 수단으로 홀(171)을 형성함으로써 나사 체결을 통해 보조부(170)를 밴드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지주대(150)는 밴드, 버클, 보조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지면 등까지 연장되어 수목이 기울어지지 않게지지한다. 지주대는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지주대(150)는 체결부(151), 캡부(152), 몸체부(153)를 포함하고 있다.
체결부(151)는 버클(130) 또는 보조부(17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버클 또는 보조부의 외면에 형성된 연결부(136, 176)에 복수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체결된다. 도 1에서는 연결부(136, 176)가 돌출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51)는 윗면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판(154)을 포함한다. 이때 2개의 판은 그 사이에 연결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두 판 사이에 연결부가 끼워진 후 연결부 및 두 판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통해 나사를 관통시키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상태로 체결부를 버클 또는 보조부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151)의 밑면에는 몸체부(153)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캡부(152)는 지면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요소로, 지면에 신뢰성 있게 고정되도록 하는 돌기(155)가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캡부의 윗면에는 몸체부(153)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5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53)의 일단부는 체결부(151)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캡부(15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몸체부(153)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53)의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에 의하면 몸체부(153)의 무게를 가볍게 하여 제작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몸체부 형성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몸체부(15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153a)이 형성될 수 있고, 외관상 다각형 구조, 예를 들어 8각형, 6각형, 4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몸체부(153)는 8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총 9개의 통공(15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53)의 전면 및 후면은 관통된 복수의 통공(153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의 통공(153a)의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격벽(156)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156)은 제1 격벽(157)과 제2 격벽(1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157)은 간격을 두고 제1 방향으로 몸체부(153)의 한쪽 끝단부에서 반대쪽 끝단부까지 복수로 형성되고, 제2 격벽(158)은 제1 격벽(157)과 직교 방향으로 몸체부(153)의 한쪽 끝단부에서 반대쪽 끝단부까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53)에 외력이 작용할 때, 격벽(156)에 의해 몸체부(153)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몸체부(153)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는 중공형 구조로 몸체부(153)를 형성하는 경우, 외력 또는 하중에 변형되지 않고 견디기 위해서는 몸체부(153)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야 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53)에 통공을 형성하는 중공형 대신에 통공이 없는 중실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외력 또는 하중에 견딜 수 있지만, 무게가 증가되어 취급이 어렵고 특히 제조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몸체부(153)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몸체부(153)의 두께는 두껍게 하지 않고, 몸체부(153)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53a)에 의해 마련되는 제1 격벽(157)과 제2 격벽(158)를 통해 충분히 견디게 할 수 있다.
이럼으로써, 몸체부(153)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얻는 장점인 경량화와 재료의 절감에 따른 비용 감소와, 중실형으로 형성하여 얻는 장점인 큰 하중 또는 외력에 견딜 수 있는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제1 격벽(157)은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므로, 제1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제2 격벽(158)은 제1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므로, 제2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53)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로 형성되는 제1 격벽(157) 각각은 서로 견디는 하중의 크기가 다르게 마련할 수 있고, 또한 복수로 형성되는 제2 격벽(158) 각각은 서로 견디는 하중의 크기가 다르게 마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몸체부(153)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복수의 제1 격벽(157)과 제2 격벽(158)은 각각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견디는 하중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몸체부(153)와 체결부(151)의 체결 또는 몸체부(153)와 캡부(152)의 체결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 수단(16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체결 수단(160)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151)와 몸체부(153) 또는 캡부(152)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151)와 몸체부(153)에만 홀을 형성하여 체결 수단(160)을 통해 결합할 수 있고, 캡부(152)에는 홀을 형성하지 않고 몸체부(153)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체결 수단(160)은 예를 들어 결합 나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부(151)와 몸체부(153)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체결부(151)와 몸체부(153)의 체결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밴드(110)는 나일론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버클(130), 보조부(170) 및 지주대(150) 중 적어도 하나는 PE((Poly Ethylene) 또는 PVC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지주대(15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대를 이루는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 및 캡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개략적인 도면이므로 몸체부(153)의 각면에 형성되는 걸림공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것이며, 걸림공의 배열 구조가 개념적으로 이해되는 수준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주대(150)를 이루는 몸체부(153)의 양쪽 단부에는 체결부(151)와 캡부(152)가 결합되는데, 결합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160)을 통해 몸체부(153)의 양쪽 단부에 체결부(151)와 캡부(152)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별도의 결합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몸체부(153)에는 복수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151a)(152a)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 공에 걸림 돌기(151a)(152a)가 각각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공은 몸체부(153)의 양쪽 단부측에서 몸체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몸체부(153)는 원통형 부재가 아니고, 8면체로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몸체부(153)의 양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각 면을 천공하여 걸림공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걸림공은 일렬로 배열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게 배열될 수 있다.
즉, 몸체부(153)의 양쪽 단부측의 어느 한면에 먼저 제1 걸림공(153b)을 형성하고, 제2 걸림공(153c)은 제1 걸림공(153b)이 형성된 면이 아닌 이웃한 다른 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몸체부(153)의 끝단부로부터 제1 걸림공(153b)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라 하고, 몸체부(153)의 끝단부로부터 제2 걸림공(153c)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라 할 때, 제1 거리와 제2 거리는 동일하지 않고 제1 거리에 비해 제2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걸림공(153b)에 비해 제2 걸림공(153c)는 몸체부(153)의 끝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 구조로 걸림공을 서로 어긋나게 몸체부(153)의 각 면에 필요한 개수만큼 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몸체부(153)가 8면체인 경우, 몸체부(153)의 양쪽 단부에 걸림공을 형성하되, 몸체부(153)의 8면 전체에 대하여 걸림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8면 전체중 일부의 면에만 걸림공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53)의 양쪽 단부에 각각 체결부(151) 및 캡부(152)를 결합시, 전체 결합 길이(조립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53)에 형성된 제2 걸림공(153c)에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51a)(152a)를 결합시,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걸림 돌기(151a)(152a)를 제2 걸림공(153c) 위치에 맞춘 다음, 몸체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하면 쉽게 끼울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과정에서 걸림 돌기(151a)(152a)는 제1 걸림공(153b)과 만나지 않으므로, 결합 동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걸림 돌기(151a)(152a)는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걸림 돌기(151a)(152a)의 위치에 맞도록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외주면 해당 위치에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몸체부(153)의 필요한 위치의 걸림공에 간편하게 끼워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걸림공의 다른 배열 구조로서, 8면체를 이루는 몸체부(153)가 제1 면(①), 제2 면(②), 제3 면(③), 제4 면(④), 제5 면(⑤), 제6 면(⑥), 제7 면(⑦), 제8 면(⑧)으로 이루어진 경우, 8면 전체에 대하여 걸림공을 형성한 구조로서, 제1 면(①)의 양 단부측에는 제1 걸림공(153b), 제2 면(②)의 양 단부측에는 제2 걸림공(153c), 제3 면(③)의 양 단부측에는 제3 걸림공(153d), 제4 면(④)의 양 단부측에는 제4 걸림공(153e), 제5 면(⑤)의 양 단부측에는 다시 제1 걸림공(153b), 제6 면(⑥)의 양 단부측에는 제2 걸림공(153c), 제7 면(⑦)의 양 단부측에는 제3 걸림공(153d), 제8 면(⑧)의 양 단부측에는 제4 걸림공(153e)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면(①), 제2 면(②), 제3 면(③) 및 제4 면(④)에 형성되는 걸림공은 서로 몸체부(153)의 단부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게 할 수 있고, 제5 면(⑤), 제6 면(⑥), 제7 면(⑦) 및 제8 면(⑧)에 형성되는 걸림공도 몸체부(153)의 단부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몸체부(153)의 성형시, 대각선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동일한 위치의 걸림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51a)(152a)는 2군데에 형성하여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지주대(150)를 이루는 체결부(151), 캡부(152) 및 몸체부(153)는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몸체부(153)의 양쪽 단부에 체결부(151) 및 캡부(152)를 결합할 때, 몸체부(153) 또는 체결부(151) 및 캡부(152)가 약간 수축되면서 제1 걸림공(153b)에 걸림 돌기(151a)(152a)가 딸깍하고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몸체부(15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 면에 형성 위치를 달리하여 복수의 걸림공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체결부(151) 및 캡부(152)와의 체결시 체결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후 지주대(150)의 전체 길이를 가변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지주대(15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목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53)는 압출 성형을 통해 다면체로 형성한 다음, 각 면에 위치를 달리하여 걸림공인 제1 걸림공(153b) 내지 제4 걸림공(153e) 형성시 천공 작업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걸림공은 몸체부(153)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수준에서 크기 및 개수를 정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몸체부(153)는 다면체로서, 예를 들어 6면체 또는 8면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8면체로 이루어진 몸체부(153)가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공을 일렬로 형성하는 구조에 비해 각 면마다 형성 위치를 달리하여 걸림공을 형성하는 경우, 몸체부(153)에 특정 위치에 집중적으로 걸림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몸체부(153)가 특정 위치에 집중되게 복수로 형성되는 걸림공에 의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53)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복수의 걸림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결합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걸림공중 몸체부(153)의 양쪽 끝단부로부터 두번째 걸림공에 체결부(151) 및 캡부(152)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51a)(152a)는 각각 반드시 첫번째 걸림공을 통과하고 두번째 걸림공에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첫번째 걸림공 통과시 첫번째 걸림공에 걸릴 수 있으므로, 길이 조절을 위한 조립 동작이 불편할 수 있다.
더욱이, 몸체부(153)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일렬로 배열된 걸림공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체결부(151) 및 캡부(152)를 몸체부(153)의 양 단부를 통해 원하는 위치의 걸림공, 예를 들어 두번째 걸림공에 결합하기 위해서 두번쩨 걸림공과 원주 방향으로 나란한 다른 위치까지 삽입한 다음,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켜서 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51a)(152a)가 두번째 걸림공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53)는 다면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체결부(151) 및 캡부(152)를 몸체부(153)에 끼우고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몸체부(153)에 걸림공을 일렬로 배치되게 형성하는 것보다는 각 면마다 하나씩의 걸림공을 위치를 달리하여 천공함으로써, 길이 조절을 위해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51a)(152a)를 원하는 위치의 걸림공에 끼울 때, 몸체부(153)의 해당 면에 체결부(151) 및 캡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51a)(152a)를 배치시키고 삽입하면, 항상 첫번째 걸림공에 끼우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걸림없이 스무드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대(150)를 이루는 몸체부(153)를 압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압출 성형기>
압출 성형기는 통상적으로 호퍼에 원료가 공급되면 스크루와 히터가 설치된 하우징안에 공급될 수 있다. 원료는 하우징 내부의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동시에 히터의 열에 의해 용융되기 시작하고, 스크류 전방에 설치된 금형을 통과하면서 성형된 후, 냉각에 의해 그 형체가 고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대(150)의 몸체부(153)를 압출 성형하기 위한 압출 성형기(200)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53)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수지재)가 내부에 투입되어 압송되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료를 압송하도록 회전하는 스크류(220), 스크류(22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정류 부재(230), 하우징(2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다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하우징(210)과 다이(240)는 다각형 구조, 즉 팔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유로(211)가 형성되고, 하우징(210)내에 투입된 원료는 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유로(211)를 따라 압송되며, 정류 부재(230)를 통과한 다음, 다이(240)를 거쳐서 압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류 부재(230)에는 복수의 통과공(231)이 형성될 수 있고, 통과공(231)은 직선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직선부(231a), 직선부(231a)의 끝단부에 경사부(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과공(231)의 입구측 개구부(231c)에 비해 출구측 개구부(231d)의 개구 면적이 더 크게 될 수 있다.
유량의 균일화의 관점에서 정류 부재(230)의 중앙 영역에 직선부(231a)를 가지는 통과공을 형성하는 한편, 정류 부재(230)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에는 경사부(231b)를 가지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정류 부재(230)는 원료의 유속 분포를 균일화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하우징(210)내의 유로(211)의 내벽면(212)의 근방을 흐르는 원료는 유속이 낮은 반면에, 유로의 중앙부를 흐르는 원료는 유속이 높기 때문에, 만일, 이러한 유속 분포 상태로 원료를 다이(240)로부터 압출하는 경우, 성형품인 몸체부(153)의 격벽(156)의 중앙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두꺼워지거나 만곡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이(240)에는 복수의 코어부(241) 및 코어부(241)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압출공(242)이 형성될 수 있고, 다이(240)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해 하우징(2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이(240)를 통과하는 원료의 유속이 불균일하면 다이(240)를 구성하는 재료가 불균일하게 마모되어 성형품의 치수 정밀도 저하의 원인이 되고, 다이(240)의 일부분이 우선적으로 마모됨으로써 다이(240)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정류 부재(230)는 하우징(210)으로부터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220)와 다이(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 정류 부재(230)의 하단부에해당하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에는 막음 부재(21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만일 하우징(210)으로부터 정류 부재(23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막음 부재(214)를 빼내고 정류 부재(230)를 하우징(2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출 성형기(200)에 의해 압출 성형된 성형품인 지주대(150)의 몸체부(153)의 전면을 보면, 복수의 통공(153a)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 제4 영역(a4), 제5 영역(a5), 제6 영역(a6), 제7 영역(a7), 제8 영역(a8), 제9 영역(a9)으로 형성되는 8각형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a1) 내지 제9 영역(a9)은 다이(240)에 형성된 복수의 코어부(241) 및 압출공(242)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코어부(241)는 단면상 3각형, 4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a2), 제3 영역(a3), 제8 영역(a8), 제9 영역(a9)에 해당하는 코어부(241)는 직각 삼각형 구조이고, 나머지 제1 영역(a1), 제4 영역(a4) 내지 제7 영역(a7)에 해당하는 코어부(241)는 사각형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코어부(241)에 의해 통공(153a)이 형성되고, 복수의 코어부(241) 사이에 형성되는 압출공(242)을 통해 복수의 제1 격벽(157)과 제2 격벽(158)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110...밴드 111...주름
130...버클 131...걸림부
132, 171...홀 133...내면
134...코르크판 135...지지판
136, 176...연결부 138...고정 나사
139...조절 나사 150...지주대
151...체결부 151a... 걸림 돌기
152...캡부 152a... 걸림 돌기
153...몸체부 153a... 통공
153b... 제1 걸림공 153c... 제2 걸림공
153d... 제3 걸림공 153e... 제4 걸림공
154...판 155...돌기
156... 격벽 157... 제1 격벽
158.... 제2 격벽 160...체결 수단
200... 압출 성형기 210... 하우징
211... 유로 212... 내벽면
214... 막음 부재 220... 스크류
230... 정류 부재 231... 통과공
231a... 직선부 231b... 경사부
231c... 입구측 개구부 231d... 출구측 개구부
240... 다이 241... 코어부
242... 압출공 a1 ~ a9...제1 영역 ~ 제9 영역
ⓛ ~ ⑧... 제1 면 내지 제8 면

Claims (9)

  1. 수목을 지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지주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상기 통공에 의해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격벽이 마련되는 버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다면체로서 8면체 또는 6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은,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과 직교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제2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버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격벽 또는 제2 격벽은 견디는 하중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격벽 또는 제2 격벽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는 버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 및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에는 복수의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 및 캡부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걸림공은 상기 몸체부의 1면에 대하여 일렬로 배열되게 형성하지 않고 상기 몸체부의 전체 면에 대하여 형성되거나 일부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공은 상기 몸체부의 양쪽 끝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형성 위치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공과 상기 체결부 및 캡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 돌기의 결합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체결부 및 캡부가 결합된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버팀 장치.
  5.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료를 압송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전방에 마련되는 정류 부재;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는 다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압출 성형을 위한 원료가 압송되면서 상기 정류 부재 및 다이를 거쳐서 성형품이 압출되며,
    상기 다이를 통해 상기 성형품이 압출되면, 상기 성형품은 수목을 지지하는 지주대의 몸체부가 되는 압출 성형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은,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압출 성형기.
  7. 제5 항에 있어서,
    압송되는 원료의 유속이 균일화되도록 상기 정류 부재의 중앙 영역에는 직선부를 가지는 통과공을 형성하고,
    상기 정류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에는 경사부를 가지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압출 성형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는 복수의 압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출 성형기.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의 하부 위치에 해당하는 하우징에는 상기 정류 부재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착탈되게 하기 위한 막음 부재가 마련되는 압출 성형기.
KR1020220096466A 2022-08-03 2022-08-03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 KR20240020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466A KR20240020285A (ko) 2022-08-03 2022-08-03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466A KR20240020285A (ko) 2022-08-03 2022-08-03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285A true KR20240020285A (ko) 2024-02-15

Family

ID=8989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466A KR20240020285A (ko) 2022-08-03 2022-08-03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2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796B1 (ko) 1999-07-10 2002-02-06 이희평 손톱깎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796B1 (ko) 1999-07-10 2002-02-06 이희평 손톱깎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0422A1 (en) Luggage bottom frame
US6481584B1 (en) Plastic pegboard
US8087364B2 (en) Assembly of pallet component and fasteners
US6450333B1 (en) Carrying case
CA2477529A1 (en) Load bearing article
WO2022007912A1 (zh) 托盘及其连接件
US20200247579A1 (en) Modular pallets
CA2846541C (en) Improved shelving system and improved support post for same
US10183209B1 (en) Storage device
KR20240020285A (ko) 지주대를 구비한 버팀 장치 및 이러한 지주대의 몸체부 성형용 압출 성형기
US20080223471A1 (en) Hose with multiple passages
EP3781486B1 (en) Storage apparatus
US20080232966A1 (en) Detachable blade assembly for horizontal-axis wind turbine
KR20200000769U (ko) 일체형 부력체 및 일체형 부력체의 제조를 위한 회전 성형틀
WO2005054740A1 (en) Molded article with metal reinforcing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200420518Y1 (ko) 쇼핑백 손잡이와 손잡이의 제조 방법
US20140202392A1 (en) Collapsible litter box
KR102430226B1 (ko) 연결된 타이 및 록킹 장치
CN203821962U (zh) 一种可快捷安装的木塑围栏
JP6788898B2 (ja) ホース状構造体
CN221463141U (zh) 一种螺旋加强筋复合管
US20140148275A1 (en) Optimized thermoplastic racquet
CN220744268U (zh) 一种组装式的包边传送带
US2018002257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able spool with rounded edges
US12011886B2 (en) Carbon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