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045A - 음료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045A
KR20240020045A KR1020220098017A KR20220098017A KR20240020045A KR 20240020045 A KR20240020045 A KR 20240020045A KR 1020220098017 A KR1020220098017 A KR 1020220098017A KR 20220098017 A KR20220098017 A KR 20220098017A KR 20240020045 A KR20240020045 A KR 2024002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mixing
inl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철
Original Assignee
전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철 filed Critical 전진철
Priority to KR102022009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045A/ko
Publication of KR2024002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65D17/347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b and a detachable member or portion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는, 제1 음료를 수용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 상부에 마련되어 제2 음료를 수용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는 하부 마개 및 상부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마개는 상기 제2 음료를 개봉하도록 잡아당기는 탭과 상기 탭의 일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용기가 개봉되어 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는 스코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코어와 상기 하부 마개를 연결하는 지주핀이 더 마련됨으로써 힘 점인 상기 탭을 당기면 작용점인 상기 스코어가 내려가면서 상기 지주핀이 상기 하부 마개를 상기 제1 용기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하여,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음료를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혼합 용기{beverage mix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성질이 다른 음료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각각 식음하거나, 혼합하여 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료를 보관하는 용기는 단일 음료만 보관 및 저장이 가능하여 용기 내부에 보관된 음료의 원상태를 보존하면서도 변질을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음료를 식음할 수 있도록 제공 가능한 음료 보관 용기이다.
이에 따라, 다른 음료를 식음하기 위해서는, 다른 음료가 보관된 용기를 다시 구매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각각 이격된 상태의 별도의 용기에 보관된 음료를 혼합하여 식음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음료의 저장 가능한 용량의 총 합과 같은 용량의 용기가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를 별도로 보관하는 용기를 제공하되, 각각의 용기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기호에 따라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는 제1 음료를 수용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 상부에 마련되어 제2 음료를 수용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는 하부 마개 및 상부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마개는 상기 제2 음료를 개봉하도록 잡아당기는 탭과 상기 탭의 일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용기가 개봉되어 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는 스코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코어와 상기 하부 마개를 연결하는 지주핀이 더 마련됨으로써 힘점인 상기 탭을 당기면 작용점인 상기 스코어가 내려가면서 상기 지주핀이 상기 하부 마개를 상기 제1 용기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음료를 혼합하려는 경우 상기 중공부의 공기가 상기 제2 용기 내부로 상승하여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되고,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의 농도 또는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음료를 수용하는 제3 용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용기는 상기 제1 용기의 상부와 상기 제2 용기의 하부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음료, 상기 제2 음료 및 상기 제3 음료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마개는 상기 제1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1 흡입구와 제2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2 흡입구가 구분되어 마련되며, 상기 하부 마개에는 제1 음료가 이동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유입구가 상기 제1 흡입구와 연결되어 음용자가 상기 제1 음료, 제2 음료 및 혼합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식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마개는 제4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제4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1 흡입구와 제2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2 흡입구가 구분되어 상부 마개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 마개에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가 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마개를 개봉하여 상기 제2 용기와 분리시킬 때, 상기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가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에 보관되는 제4 음료가 상기 제2 음료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마개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부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1 용기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커버부를 분리시킴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하부 마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외주면의 나사산과 상기 제2 용기 하부 내주면 나선형 홈으로 이뤄지며, 상기 나선형 홈에 상기 나사산이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 방법은, 제1 음료가 수용된 상기 제1 용기 상부의 뚜껑을 개봉하는 단계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단계 상부 마개를 개봉함으로써 상기 지주핀에 의해 하부 마개가 개봉되는 단계 상기 중공부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음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는 성질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각각의 음료를 개별적으로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성질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를 별도로 보관하되, 기호에 따라 음료를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호에 따라 제1음료, 제2 음료 및 혼합 음료를 선택해서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된 상태의 제1 용기 및 제2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료 및 제2 음료의 혼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료, 제2 음료 및 제3 음료의 혼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규격, 모양 및 기준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변경 및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된 상태의 제1 용기 및 제2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료 및 제2 음료의 혼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료, 제2 음료 및 제3 음료의 혼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는 제1 용기(100) 및 제2 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용기(100)는 제1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용기(200)는 제2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0)는 상부에 마련되는 제1 용기 상부 마개(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200)는 상부 마개(210) 및 하부 마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마개(110)는 시중에서 접할 수 있는 참치캔 뚜껑 및 캔실링기를 통해 사용되는 뚜껑 마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캔 또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뚜껑보다 손쉽게 상기 제1 용기 상부 마개(110)를 개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용기 상부 마개(110)는 제1 용기 마개 개봉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용기 마개 개봉부(130)는 음료나 캔의 상부에 형성되어 음료를 개봉하기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용기 마개 개봉부(130)를 잡아당겨 상기 제1 용기 상부 마개(110)를 드러내어 상기 제1 용기(110)의 상부를 개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용기(110)의 상부를 개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용기(100)와 상기 제2 용기(200)에 구비된 체결부(400)에 의해 상기 제1 용기(100)의 상부와 상기 제2 용기(200)의 하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제1 용기(100)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제1 용기 상부 체결부(410)와 상기 제2 용기 하부 내주면에 나선형 홈으로 형성되는 제2 용기 하부 체결부(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용기(200)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에 상기 제1 용기(10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맞물려서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100)와 상기 제2 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개(210)는 제2 음료를 개봉하도록 잡아당기는 탭(215)과 상기 탭(215)의 일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용기(200)가 개봉되어 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는 스코어(2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탭(215)은 시중에서 접할 수 있는 음료나 캔의 상부에 형성되어 음료를 개봉하기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와 같은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코어(211)는 상기 탭(215)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용기(200)를 개봉하고자 할 때, 상기 탭(215)을 잡아당기면 아래 방향으로 파쇄되는 부위를 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코어(211)와 상기 하부 마개(220)를 연결하는 지주핀(216)이 더 마련됨으로써 힘점인 상기 탭(215)을 당기면 작용점인 상기 스코어(211)가 내려가면서 상기 지주핀(216)이 상기 하부 마개(220)를 상기 제1 용기(100)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마개(210)는 마개 개봉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마개(210)는 시중에서 접할 수 있는 참치캔 뚜껑 및 캔실링기를 통해 사용되는 뚜껑 마개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캔 또는 음료 용기에 구비되는 뚜껑보다 손쉽게 상기 마개 개봉부(23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마개(210)를 개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 개봉부(230)는 음료나 캔의 상부에 형성되어 음료를 개봉하기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 개봉부(230)를 잡아당겨 상기 상부 마개(210)를 드러내어 상기 제2 용기(200)의 상부를 개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탭(215)을 잡아당겨 상기 지주핀(216)이 상기 하부 마개(220)를 상기 제1 용기(100)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 음료와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된 혼합음료를 식음하거나, 상기 마개 개봉부(230)를 잡아당겨 상기 제2 용기(200)에 보관된 상기 제2 음료만을 식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1 용기(100)와 상기 제2 용기(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음료와 제2 음료가 혼합된 혼합음료와 상기 제2 용기(200)에 보관된 제2 음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식음할 수 있다.
상기 지주핀(216)은 PE, 알루미늄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핀(216)은 맛을 첨가하는 수용성 고체 조미료, 또는 향기를 추가하는 수용성 고체 향수 형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핀(216)이 티백 역할을 하여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될 때 맛 또는 향이 추가된 혼합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주핀(216)은 음료용 스트로 또는 음료용 빨대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주핀(216)은 내부에 맛 또는 향을 함유한 고체 형태의 용해 가능한 내용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주핀(216)이 상기 탭(215)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갈 때, 상기 지주핀(216)이 상기 하부 마개(220)를 밀어내면서 상기 지주핀(216)과 상기 하부 마개(220) 사이가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음료, 상기 제2 음료 및 상기 내용물이 함께 혼합되어 맛 또는 향기가 첨가된 혼합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0)와 상기 제2 용기(200)가 결합할 때, 상기 제1 용기(100)와 상기 제2 용기(200)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주핀(216)에 의해 상기 하부 마개(220)가 개봉될 때 상기 중공부의 공기가 상기 제2 용기(200) 내부로 상승하여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의 농도 또는 밀도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음료와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핀(216)에 의해 상기 하부 마개(220)가 개봉될 때 상기 중공부의 공기가 상기 제2 용기(200) 내부로 상승하여 상기 제2 음료를 상기 제1 음료 방향으로 밀어내어 이루어지는 1차 혼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1차 혼합 이후 상기 제1 음료와 상기 제2 음료 사이의 농도 또는 밀도 차이에 의한 2차 혼합이 이루어져 상기 제1 음료와 상기 제2 음료가 골고루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개(220) 및 상기 제1 용기(100)의 상부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부(도면 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용기(100)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커버부를 분리하여, 상기 하부 마개(220)에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개(220)가 상기 지주핀(216)에 의해 상기 제1 용기(100) 방향으로 개봉될 때, 먼지 및 이물질이 같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체결부(4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용기 하부 체결부(420)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 마개(220)와 밀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용기(100) 및 상기 제2 용기(200) 사이에 결합되는 제3 용기(3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3 용기(300)는 제3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용기(300)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체결부(410)와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3 용기 하부 체결부(440)와 상기 제2 용기 하부 체결부(420)와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3 용기 상부 체결부(4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용기 상부 체결부(430)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체결부(4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용기 하부 체결부(440)는 상기 제2 용기 하부 체결부(4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용기(300)는 제3 용기 상부 마개(310) 및 제3 용기 하부 마개(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200)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3 용기 스코어(311), 제3 용기 탭(315) 및 제3 용기 지주핀(316)과 상기 제3 용기 상부 마개(310)를 개봉하기 위한 제3 용기 마개 개봉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용기(100)는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마개(110)가 상기 제1 용기 마개 개봉부(130)에 의해 개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기 체결부(410)가 상기 제3 용기 하부 체결부(440)에 형성된 나선형 홈과 맞물려서 결합되어 상기 제3 용기(3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후, 힘점인 상기 제3 용기 탭(315)을 당기면 작용점인 상기 제3 용기 스코어(311)가 내려가면서 상기 제3 용기 지주핀(316)이 상기 제3 용기 하부 마개(320)를 상기 제1 용기(100)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3 음료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3 음료의 혼합 과정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 혼합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상기 제3 용기 마개 개봉부(330)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용기 상부 마개(310)를 드러내고, 상기 제2 용기(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용기 상부 마개(310)는 상기 제1 용기(100)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마개(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3 용기 상부 체결부(430)에 구비된 나사산과 상기 제2 용기 하부 체결부(420)에 구비된 나선형 홈이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음료와 상기 제3 음료가 혼합된 이후, 상기 제3 용기 상부 마개(310)를 드러내어 상기 제3 용기(300)와 상기 제2 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용기(300)의 상부와 상기 제2 용기(200)의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 용기(200)에 보관된 제2 음료를 추가로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용기(300)의 상부와 상기 제2 용기(200)의 하부가 결합되면, 힘점인 상기 탭(215)을 잡아당겨 작용점인 상기 스코어(211)가 내려가면서 상기 지주핀(216)이 상기 하부 마개(220)를 상기 제3 용기(300)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2 음료를 상기 제1음료 및 상기 제3 음료의 혼합 음료와 혼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음료, 상기 제2 음료 및 상기 제3 음료가 혼합된 혼합 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제4 용기, 상기 제5 용기가 추가되어 적어도 3개 이상의 음료가 혼합된 음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용기(200)에 구비된 상기 마개 개봉부(230)를 잡아당겨 상기 상부 마개(210)를 드러내고 상기 제2 용기(200)의 상부를 개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탭(215)을 잡아당겨 상기 지주핀(216)이 상기 하부 마개(220)를 상기 제3 용기(300) 방향으로 밀어내어 제1 음료, 제2 음료 및 제3 음료가 혼합된 혼합음료를 식음하거나, 상기 마개 개봉부(230)를 잡아당겨 상기 제2 용기(200)에 보관된 제2 음료만을 식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용기(100), 상기 제2 용기(200) 및 상기 제3 용기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음료, 제2 음료 및 제3 음료가 혼합된 혼합음료와 상기 제2 용기(200)에 보관된 제2 음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식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용기(200)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 마개(210)에는 상기 제1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1 흡입구(212)와 상기 제2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2 흡입구(213)가 구분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마개(220)에는 상기 제1 용기(100)에 보관되는 상기 제1 음료가 상기 제1 흡입구(212)로 이동될 수 있는 유입구(221)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1 흡입구(212)에 구비되는 연결부(217)에 의해 상기 제1 흡입구(2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1)는 상기 제2 용기(200) 내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용기(100)가 상기 제1 용기 상부 마개(110)가 개봉된 상태로 상기 제2 용기(2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음료가 상기 유입구(221)를 통해 상기 제1 흡입부(212)로 상기 제1 음료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1)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체결부(410)와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21)와 맞닿는 연결부(217)에는 상기 제2 용기 하부 체결부(420)와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221)와 상기 연결부(217)가 빈틈없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음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7)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217)의 일측에 결합된 유입구(221)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1 음료가 상기 연결부(217)의 타측에 결합된 상기 제1 흡입구(212)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자가 상기 제1 흡입구(212)를 통해 상기 제1 음료를 식음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흡입구(213)는 상기 제2 음료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뚜껑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제2 흡입구(213)를 개봉하여 상기 제2 음료를 식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용자는 상기 제1 흡입구(212)를 통한 상기 제1 음료, 상기 제2 흡입구(213)를 통한 상기 제2 음료 및 상기 탭(215), 상기 스코어(211) 및 상기 지주핀(216)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를 혼합한 혼합 음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용기(200-1)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 마개(210-1)는 제4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연결부(217-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1 흡입구(212-1)와 상기 제2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2 흡입구(213)가 구분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마개(210-1)는 앞서 설명한 체결부(400)의 결합 방식과 같이 상기 제2 용기(200-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마개(220-1)에는 상기 연결부(217-1)와 결합 및 분리가 되는 유입구(22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외의 구성들은 도 4를 참조하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명은 도 4에서 설명된 도면부호와 같은 위치 및 같은 형상을 설명하되 다른 특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1-1)는 상기 제2 용기(200-1) 내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1-1)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체결부(410)와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21-1)와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217-1)에는 상기 제2 용기 하부 체결부(420)와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221-1)와 상기 연결부(217-1)가 빈틈없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1-1) 및 상기 연결부(217-1)가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연결부(217-1)에 보관되는 제4 음료가 제2 음료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7-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흡입구(212-1)를 통해 음용자가 식음하기 원하는 제4 음료 또는 혼합하여 식음하고자 하는 제4 음료를 상기 연결부(217-1)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마개(210-1), 상기 제1 흡입구(212-1) 및 상기 연결부(217-1)는 결합된 하나의 형상 또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개(210-1)를 상부 방향으로 개봉하거나, 상기 제2 용기(200-1)와 분리시켰을 때, 상기 연결부(217-1)가 상기 유입구(221-1)와 분리되면서 상기 연결부(217-1)에 보관되던 제4 음료가 제2 용기(200-1)에 보관되는 제2 음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용자는 기호에 따라 상기 제1 흡입구(212-1)를 통한 제4 음료, 상기 제2 흡입구(213)를 통한 제2 음료, 상기 탭(215), 스코어(211) 및 지주핀(216)을 이용하여 제1 음료 및 제2 음료를 혼합한 음료, 상기 제1 음료 및 제2 음료를 혼합한 음료에 상기 제4 음료를 혼합한 음료 및 상기 제2 용기(200-1)에 보관된 제2 음료와 연결부(217-1)에 보관된 제4 음료만을 혼합한 음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를 사용한 음료 혼합 방법은,
제 1음료가 수용된 상기 제1 용기(100) 상부의 뚜껑을 개봉하는 단계;
체결부(400)에 의해 상기 제1 용기(100)와 상기 제2 용기(200)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100)와 상기 제2 용기(200)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단계;
상부 마개(210)를 개봉함으로써 상기 지주핀(216)에 의해 하부 마개(220)가 개봉되는 단계; 및
상기 중공부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음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마개(210)를 개봉함으로써 상기 지주핀(216)에 의해 하부 마개(220)가 개봉되는 단계는 상부 마개(210)에 구비된 상기 탭(215)을 잡아당겨서 상기 스코어(211)가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지주핀(216)이 상기 하부 마개(220)를 제1 용기(100) 방향으로 밀어내는 단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는 각각의 음료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되, 각각의 용기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00 : 제1 용기
110 : 제1 용기 상부 마개
130 : 제1 용기 마개 개봉부
200 : 제2 용기
210 : 상부 마개
211 : 스코어
212 : 제1 흡입구
213 : 제2 흡입구
215 : 탭
216 : 지주핀
217 : 연결부
220 : 하부 마개
221 : 유입구
230 : 마개 개봉부
300 : 제3 용기
310 : 제3 용기 상부 마개
311 : 제3 용기 스코어
315 : 제3 용기 탭
316 : 제3 용기 지주핀
320 : 제3 용기 하부 마개
330 : 제3 용기 마개 개봉부
400 : 체결부
410 : 제1 용기 상부 체결부
420 : 제2 용기 하부 체결부
430 : 제3 용기 상부 체결부
440 : 제3 용기 하부 체결부

Claims (8)

  1. 둘 이상의 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음료 혼합 용기에 있어서,
    제1 음료를 수용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 상부에 마련되어 제2 음료를 수용하는 제2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는 하부 마개 및 상부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마개는 상기 제2 음료를 개봉하도록 잡아당기는 탭과 상기 탭의 일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용기가 개봉되어 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는 스코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코어와 상기 하부 마개를 연결하는 지주핀이 더 마련됨으로써 힘점인 상기 탭을 당기면 작용점인 상기 스코어가 내려가면서 상기 지주핀이 상기 하부 마개를 상기 제1 용기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음료를 혼합하려는 경우 상기 중공부의 공기가 상기 제2 용기 내부로 상승하여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되고,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의 농도 또는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음료 및 상기 제2 음료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3 음료를 수용하는 제3 용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용기는 상기 제1 용기의 상부와 상기 제2 용기의 하부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음료, 상기 제2 음료 및 상기 제3 음료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개는 상기 제1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1 흡입구와 제2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2 흡입구가 구분되어 마련되며,
    상기 하부 마개에는 제1 음료가 이동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유입구가 상기 제1 흡입구와 연결되어 음용자가 상기 제1 음료, 제2 음료 및 혼합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식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개는 제4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1 흡입구와 제2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제2 흡입구가 구분되어 상기 상부 마개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 마개에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가 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마개를 개봉하여 상기 제2 용기와 분리시킬 때, 상기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가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에 보관되는 제4 음료가 상기 제2 음료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부; 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1 용기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커버부를 분리시킴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하부 마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용기 상부 외주면의 나사산과 상기 제2 용기 하부 내주면 나선형 홈으로 이뤄지며, 상기 나선형 홈에 상기 나사산이 맞물려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혼합 용기를 사용한 음료 혼합 방법은,
    제1 음료가 수용된 상기 제1 용기 상부의 뚜껑을 개봉하는 단계;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단계;
    상부 마개를 개봉함으로써 상기 지주핀에 의해 하부 마개가 개봉되는 단계;
    상기 중공부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음료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 방법.
KR1020220098017A 2022-08-05 2022-08-05 음료 혼합 용기 KR20240020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17A KR20240020045A (ko) 2022-08-05 2022-08-05 음료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17A KR20240020045A (ko) 2022-08-05 2022-08-05 음료 혼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45A true KR20240020045A (ko) 2024-02-14

Family

ID=8989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017A KR20240020045A (ko) 2022-08-05 2022-08-05 음료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0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261B2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US4193494A (en) Cup and package of cups
US4928848A (en) Combination drinking vessel and cup holder with convertible cap/coaster
US6123214A (en) Multiple chambered container
US2006003277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US20040200845A1 (en) Dual chamber salad container
US7437990B2 (en)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US20090065503A1 (en) Multi-chambered beverage container
US20080164260A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 and drinks
WO2005079260A2 (en) Segregated container for holding multiple substances
US3225915A (en) Combined closure, stirrer, and condiment container for drinking vessel
US4522332A (en) Volume expanding beverage package
US885766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condary internal dispensing chamber
WO200703446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KR20240020045A (ko) 음료 혼합 용기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US10624501B2 (en) Self-contained beverage unit for transporting and creating a mixed beverage
KR200488189Y1 (ko)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AU2005245323B2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CA2828285C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CN213975265U (zh) 一种瓶盖
JPH023561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