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011A -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011A
KR20240020011A KR1020220097926A KR20220097926A KR20240020011A KR 20240020011 A KR20240020011 A KR 20240020011A KR 1020220097926 A KR1020220097926 A KR 1020220097926A KR 20220097926 A KR20220097926 A KR 20220097926A KR 20240020011 A KR20240020011 A KR 20240020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ar
rotor
unit
induced current
abnormality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홍성진
Original Assignee
동성계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제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계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제대로 filed Critical 동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011A/ko
Publication of KR2024002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7Devices for sensing current, or actuated there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단수 또는 복수의 로터바 중 커버된 로터바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와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유도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수신된 유도전류를 분석하여 커버된 로터바의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CHECKING SYSTEM OF BROKEN ROTOR BAR AND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이를 활용한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터는 전동기 등 회전 기계에서 회전하는 부분을 지칭하며, 회전자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로터는 다양한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로터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슬롯이 복수개 형성된 코어와 코어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로터바와 로터 양단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로터바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엔드링으로 구성된다.
기계 장치는 아무리 견고하게 제조된다 하더라도 반복되는 피로하중에 의하여 파괴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터는 전동기의 빈번한 기동과 정지, 가감속 과정에서 로터바에 강한 원심력이 가해지는데 원심력에 의해 로터바와 엔드링의 결합부(용접부)는 반복되는 피로하중에 의하여 절손이 일어날 수 있다.
로터가 파손되는 경우, 육안으로 파손 여부를 확인될 수 있는 부분이 파손되면 해당 부분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문제되지 않으나, 문제가 되는 부분은 육안으로 파손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 부분이 파손되면 문제가 발생된다.
이 부분의 일례로는 로터바와 엔드링이 연결된 부분이다. 피로하중에 의하여 해당 부분 절손되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절손되기 전 균열만 발생한 상태일 때는 회전자의 구조상 균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비파괴검사를 통한 균열상태 확인도 대부분 불가능하다. 유일한 확인방법은 로터바와 엔드링의 용접부를 절단하여 관찰하는 것인데 용접부를 절단하면 회전자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고 폐기하여야 한다. 이것은 성냥이 불량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성냥에 불을 켜보는 것과 같다.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2006-0005020 (2006.05.02)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회전자를 분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로터바와 엔드링의 결합상태 이상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은 단수 또는 복수의 로터바 중 커버된 로터바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와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유도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수신된 유도전류를 분석하여 커버된 로터바의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로터바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배치되며 커버된 로터바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신호 공급에 따라 유도전류를 생성하도록 하는 정보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커버되는 로터바의 수보다 하나 이상 더 많은 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정보유도부는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보유도부는 절연가능하며, 상기 연장부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홀이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을 일방향으로 감싸는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로터바에 유도된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복수의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방법은 단수 또는 복수개의 로터바가 커버되도록 유도부를 배치하는 제1배치단계, 상기 유도부와 이격된 위치에 계측부를 배치하는 제2배치단계, 상기 유도부를 동작시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계측부에서 상기 유도전류를 획득하는 동작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유도전류를 분석하여 상기 커버된 복수개의 로터바의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판단부는 로터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유도부가 단수 또는 복수개의 로터바에 유도전류전류를 발생시키고, 계측부가 발생된 유도전류에 대한 정보를 계측하고며, 판단부가 유도전류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로터바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코어와 엔드링을 분리하지 않고도 로터바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의 유도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의 유도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방법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의 유도부의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시스템은 유도부(200), 계측부(300) 및 판단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품 중에서 유도부(200)와 계측부(300)는 로터(10)(코어(100), 로터바(110), 엔드링(120) 등이 상호 연결되며 결합됨 - 도 1 참고)에 접촉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유도부(200)는 단수 또는 복수의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로터바(11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례로 유도부(2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터바(111)와 인접한 제2로터바(112)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유도부(200)는 복수개의 로터바(11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도부(200)가 커버하는 복수개의 로터바(110)는 두 개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로터바(111 또는 112)가 아닌 두 개 이상의 로터바(110)를 유도부(200)와 후술하여 설명할 계측부(300)가 커버하면 문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동작되어 커버된 로터바(110)에만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이상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도전류의 발생을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로 한정함으로써 계측부(300)에서 수신한 유도전류는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서 발생된 것이다. 따라서 유도전류 분석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제1로터바(111), 제2로터바(11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일 것이다.
계측부(300)는 유도부(200)와 이격된 위치에서 유도부(200)가 커버한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즉, 유도부(200)가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를 커버하면 그에 대응하여 계측부(300)는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를 커버하도록 유도부(20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계측부(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유도부(20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계측되는 유도전류에 따라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판단부(400)는 계측부(300)가 수신한 유도전류를 수신하고, 유도전류를 분석하여 복수개의 로터바(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로터바(110)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로터바(110)에 유도전류가 흐르면판단부(400)는 유도전류의 세기, 주파수, 위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엔드링(130)과 로터바(110)의 결합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로터바(110)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유도부(200)와 계측부(300)가 복수의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도 1에서는 제1로터바(111), 제2로터바(112))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 후 유도부(200)를 동작시켜 복수의 로터바(110)에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제1로터바(111), 제2로터바(112)) 계측부(300)는 유도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부(300)에 연결된 판단부(400)는 유도전류를 분석한다.
만약 판단부(400)가 유도전류를 분석한 결과 이상이 있음이 감지되면 복수의 로터바(11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는 것이다. (도 1에서는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 중 어느 하나는 이상이 있다는 것임)
이후 로터(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다시 유도부(200)와 계측부(300)가 복수개의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유도부(200)와 계측부(300)가 커버하는 로터바(110)는 전술한 복수개의 로터바(110)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중첩되어야 한다. 일례로 도 1에서와 같은 경우, 유도부(200)와 계측부(300)가 커버하는 로터바(110)는 제1로터바(111) 또는 제2로터바(11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2로터바(112)를 커버하도록 유도부(200)와 계측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2로터바(112)는 제1로터바(111)라고 명명될 수 있고, 제2로터바(112)에 바로 인접한 로터바(110)는 제2로터바(112)로 명명될 수 있다.
그후 유도부(200)는 동작되어 유도전류를 발생한다. 판단부(400)는 계측부(300)가 감지한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복수의 로터바(110)의 이상을 감지한다.
이를 반복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로터바(110) 중 이상이 있는 로터바(11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경우, 로터(10)가 회전되기 전 판단부(400)가 유도전류를 분석한 결과 복수의 로터바(11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었으나 회전 후 판단부(400)가 유도전류를 분석한 결과 복수의 로터바(110)에 이상이 없는 경우, 로터(10)의 회전으로 제거된 로터바(110)에 이상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로터(1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며 모든 로터바(110)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도부(200)에서 유도되는 유도전류가 복수의 로터바(110)에만 발생되도록 가이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유도부(200)와 계측부(300)는 도 2에서 도시된 구조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유도부(20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계측부(300)도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닐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유도부(200)만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유도부(200)는 정보인가부(210), 접촉부(220)(제1연장부(221), 제2연장부(222), 제3연장부(223)) 및 정보유도부(230)를 포함한다.
정보인가부(210)는 정보유도부(230)를 동작시켜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정보인가부(210)는 일례로 교류전류를 정보유도부(230)에 인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정보유도부(230)에 교류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는 교류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접촉부(220)는 코어(100)와 접촉되며 본 발명인 유도부(200)의 안정적인 지지를 함과 동시에 유도전류가 복수의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접촉부(220)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하되, 이 연장부의 수는 커버하고자 하는 로터바(110)의 수보다 하나 더 많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두 개의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접촉부(220)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접촉부(220)는 제1연장부(221), 제2연장부(222), 제3연장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221)는 도 2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유도부(200)의 좌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제2연장부(222)는 유도부(200)의 우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고, 제3연장부(223)는 제1연장부(221)와 제2연장부(222) 사이에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3연장부(223)에는 좌측과 우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정보유도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부(200)가 로터(10)의 코어(100)의 둘레에 배치되는 경우 제1연장부(221)와 제3연장부(223) 사이의 대응되는 위치의 하측에는 제1로터바(111)가 배치될 수 있고, 제3연장부(223)와 제2연장부(222) 사이의 대응되는 위치 하측에는 제2로터바(112)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부(200)는 금속(예를 들어 강자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례로 정보인가부(210)에 의하여 정보인가부(210)에 교류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정보유도부(230)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력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어서,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만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본 발명인 유도부(200)는 형성되어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만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계측부(300)는 유도부(200)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 발생된 유도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의 유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유도부(200)만을 도시하였으나, 계측부(300)도 이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된 유도부(200)도 두 개의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 역시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도시된 유도부(200)의 연장부도 도 2와 같이 커버하고자 하는 로터바(110)의 수에 따라 그 수에 대응되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두 개의 로터바(110)가 커버되는 유도부(2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유도부(200)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유도부(20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가 앞뒤로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부(2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연장부(221), 제2연장부(222) 및 제3연장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연장부(223)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정보유도부(230)는 보빈(231)과 코일(232)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유도부(230)의 보빈(231)은 상측과 하측에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빈(231)에는 보빈(231)의 길이방향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31)은 절연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빈(231)은 홀에 제3연장부(223)가 위치되어 유도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보빈(231)의 상측의 플랜지는 유도부(2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코일(232)과 유도부(200)가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빈(231)의 하측의 플랜지는 코어(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232)은 보빈(231)의 둘레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권선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부(200)는 복수의 로터바(11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400)는 계측부(300)가 계측하는 유도전류를 통하여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400)는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이용하여 제1로터바(111) 또는 제2로터바(112)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로터바(110)가 파손되면 저항이 증가되는바, 그러므로 동일한 세기의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를 흐르게 되는 전류의 세기가 낮아질 것이다. 계측부(300)는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특성(전류의 세기, 주파수, 위상)을 측정한다.
판단부(400)는 계측부(300)가 계측한 유도전류의 특성을 측정하고,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를 흐르는 전류의 특성이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경우 제1로터바(111) 또는 제2로터바(112)에 이상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유도부(200)는 특정한 주파수 대의 교류전류가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방법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방법은 제1배치단계(S100), 제2배치단계(S200), 동작단계(S300), 판단단계(S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치단계(S100)는 복수의 로터바(110)가 커버되도록 유도부(2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일례로 도 1 ~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200)는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치단계(S200)는 유도부(200)와 이격된 위치에 유도부(200)가 커버한 복수의 로터바가 커버되도록 계측부(3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동작단계(S300)는 유도부(200)를 동작하여 유도부(200)가 커버하는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판단단계(S400)는 계측부(300)가 계측하는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유도부(200)와 계측부(300)가 커버하는 복수의 로터바(110)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회전단계(S500)는 로터(1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로터(10)의 회전 방향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이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회전단계(S500)에서 로터(10)의 회전은 전술한 제1배치단계(S100), 제2배치단계(S200)에서 유도부(200) 또는 계측부(300)가 커버한 복수의 로터바(110) 중 어느 하나를 다시 유도부(200) 또는 계측부(300)가 커버할 수 있도록 회전 시켜야된다. 그후 전술한 각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그러므로 다시 수행되는 단계에서, 제1배치단계(S100), 제2배치단계(S200)가 수행됨에 따라 유도부(200), 계측부(300)는 전술하여 수행된 단계에서 커버된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즉, 전술한 단계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두 개의 로터바(110)를 커버하도록 유도부(200)와 계측부(300)가 배치된 경우, 이후에는 제2로터바(112)를 제1로터바(111)로 하여 유도부(200)가 배치되고, 계측부(300)도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단계(S300), 판단단계(S400)가 수행되어 로터바(1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회전단계(S500)가 수행되기 전 제1로터바(111)와 제2로터바(112)에 유도된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판단부(400)가 판단한 결과 이상이 있음이 판단되었고, 그후 회전단계(S500)가 수행되어 각 단계가 다시 수행된 경우, 판단단계(S400)가 수행된 경우 로터바(110)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었다면, 회전단계(S500) 이전에 유도부(200)와 계측부(300)에 커버된 로터바(110) 중 회전단계(S500) 이후 유도부(200)와 계측부(300)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은 제1로터바(111)가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당연하게도 유도부(200)는 전술하여 설명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계측부(300)는 유도부(200)와 유사한 형상일수도 있으며 아닐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로터
100 : 코어
110 : 로터바
111 : 제1로터바
112 : 제2로터바
120 : 엔드링
200 : 유도부
210 : 정보인가부
220 : 접촉부
221 : 제1연장부
222 : 제2연장부
223 : 제3연장부
230 : 정보유도부
231 : 보빈
232 : 코일
300 : 계측부
400 : 판단부

Claims (7)

  1.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단수 또는 복수의 로터바 중 커버된 로터바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부;
    상기 유도부와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유도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수신된 유도전류를 분석하여 커버된 로터바의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로터바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배치되며 커버된 로터바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신호 공급에 따라 유도전류를 생성하도록 하는 정보유도부
    를 포함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커버되는 로터바의 수보다 하나 이상 더 많은 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정보유도부는 이격되어 배치된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유도부는
    절연가능하며, 상기 연장부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홀이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을 일방향으로 감싸는 코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로터바에 유도된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복수의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6.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방법에 있어서,
    단수 또는 복수개의 로터바가 커버되도록 유도부를 배치하는 제1배치단계;
    상기 유도부와 이격된 위치에 계측부를 배치하는 제2배치단계;
    상기 유도부를 동작시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계측부에서 상기 유도전류를 획득하는 동작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유도전류를 분석하여 상기 커버된 복수개의 로터바의 이상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판단부는
    로터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로터바의 이상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바 이상 감지 방법.
KR1020220097926A 2022-08-05 2022-08-05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KR20240020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26A KR20240020011A (ko) 2022-08-05 2022-08-05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26A KR20240020011A (ko) 2022-08-05 2022-08-05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11A true KR20240020011A (ko) 2024-02-14

Family

ID=8989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926A KR20240020011A (ko) 2022-08-05 2022-08-05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0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020A (ko) 2004-07-12 2006-01-17 한국수자원공사 회전기 회전자의 로터바 상태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020A (ko) 2004-07-12 2006-01-17 한국수자원공사 회전기 회전자의 로터바 상태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8971B2 (en) Manual probe carriage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9035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laminated cores of electrical machines
KR101532555B1 (ko) 라미네이트 코어에 대한 결함 검출
US6927598B2 (en) Test probe for electrical devices having low or no wedge depression
KR20130118393A (ko) 라미네이트된 코어를 위한 장애 검출
JP4503972B2 (ja) 試験プローブ
EP1828763B1 (en) Detecting failures in flexible multistrand steel structures
GB204493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esting laminated magnetic cores
US20160216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on motor rotor bar magnetic field analysis
KR20240020011A (ko) 로터바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KR101841577B1 (ko) 농형 유도 전동기 회전자 결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1456647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diagnostic method for the same
JP2017515120A (ja) ターン間欠陥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並びに電気機械
US115791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on motor rotor bar surface magnetic field analysis
JP5368491B2 (ja)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の出力確認方法及び出力確認装置
US11169116B2 (en) Probe for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using crossed gradient induced curr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duction coil for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DK2936136T3 (en) DETECTION OF ERRORS IN FLEXIBLE MIXED STEEL STRUCTURES
EP3879290A1 (en) Testing device for a magnetizable core and method for testing such core
KR100330258B1 (ko) 발전기 고정자 권선 검사방법
JP5113665B2 (ja) 渦電流探傷センサー用治具並びに渦電流探傷センサー
KR101912712B1 (ko) 발전소 보일러 헤더 스터브 튜브용 와전류탐상검사 탐촉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전류탐상 검사장치
JP3321648B2 (ja) 鋼心アルミより線の接続部の良否判定方法及び装置
JP6687062B2 (ja) 温度計測装置及び点検方法
US20170067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weld quality
Šašić From measurement result to condition diagnostics of high voltage rota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