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957A -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957A
KR20240019957A KR1020220097795A KR20220097795A KR20240019957A KR 20240019957 A KR20240019957 A KR 20240019957A KR 1020220097795 A KR1020220097795 A KR 1020220097795A KR 20220097795 A KR20220097795 A KR 20220097795A KR 20240019957 A KR20240019957 A KR 2024001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rfid
inventory
tag information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09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957A/ko
Publication of KR2024001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9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cargo, freight or shipping containers and applications therefore in gener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2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garage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이 센서 인식 영역에 접근하면, RFID
리더를 통해 사람이 소지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태그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쳐 창고
문을 개방하며, 창고 문이 닫힌 후에 RFID 리더를 통해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들을 스위칭하여 선반에 놓
인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의 태그 정보를 통해 재고 조사 결과를 작
성하여 화면에 표시해주는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고의 출입
제어 및 재고 관리를 자동화 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STOREHOUSE BY USING RFID}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0001] 상세하게는 사람이 센서 인식 영역
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거친 사용자가 창고문을 열고 닫는 경우, 자동으
로 재고 조사를 수행하여 재고 조사 결과를 표시하여 주는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
이다.
[0002] 일반적으로 대형 마트에서 고가의 제품을 관리할 때 밀폐된 후방 창고를 사용하는데, 기존에는 후방 창고를 관
리하는데 있어 아이디, 비밀 번호 또는 지문 등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 창고 문을 개방하고, 창고 안의 제품
을 꺼내 바코드나 전자 태그를 통해 제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0003] 그러나, 종래 방법은 일정 시간마다 사람이 직접 창고 안의 제품을 꺼내 재고 관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창고 관리를 사람이 직접 수행한다는 점에서 장부 조작이나 도난의 염려가 있게 된다.
[0004] 그리고, 도난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는 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으며,
따라서 도난을 방지하는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0005] 본 발명의 목적은 창고의 출입 제어 및 재고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을 제공하는 데 있다.
[0006]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난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0007]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
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의 [0008] 일 실시예는, 상기 창고의 센서 인
식 영역에 접근하는 접근자를 인식하고, 상기 접근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창고문을 개방하는 출입
관리 장치와, 상기 접근자가 통신 가능한 RFID 태그를 소지한 경우, 상기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
는 출입 관리용 안테나와, 상기 출입 관리용 안테나를 동작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RFID 리더와,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창고문을 개방한 이후, 상기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
는 재고 파악 장치와,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접근자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RFID 리더를 동작시키고, 상
기 RFID 리더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관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창고문을 개방한 이후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도
록 재고 파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09]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상기 창고의 센서 인식 영역에 사람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식 센서
와,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고문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전자 잠금부와, 상기 제어 장치
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10] 또한, 상기 재고 파악 장치는, 상기 창고내의 선반에 놓이는 상품에 부착된 상품용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
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와, 상기 RFID 리더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
테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11]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RFID 리더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
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창고의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 ID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출입 관리 장치
가 상기 접근자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RFID 리더를 동작시키고,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
하면,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용자 ID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관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창고문을 개방한 이후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도록 재
고 파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12] 한편,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A) 인식 센서가 창고의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가 있는 경우, 제어장치가
RFID 리더를 통해 상기 접근자가 소지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C)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접근자가 상기 창고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어장치가 전자 잠금부를 동작시켜 창고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와, (D) 상기 창고문이 다시 닫힌 경우, 재
고 파악 장치가 상기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13] 상기 (B) 단계는, (B-11) 상기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가 있는 경우, 제어 장치가 RFID 리더로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와, (B-12) 상기 RFID 리더가 출입 관리용 안테나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로 태
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B-13) 상기 RFID 리더가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가 수
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B-14)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태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RFID 리더
가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14] 한편,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a) 열림 감지 센서가 상기 창고문이 열리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상기 창고문이 열린 경우, 제어장치가 사용자 인증을 거쳤는지 확인하는 단계
와, (c) 상기 사용자 인증을 거친 경우, 상기 열림 감지 센서가 창고문이 닫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d) 상기 창고문이 닫힌 경우, 재고 파악 장치가 상기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0015]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d-1) 전자 잠금부가 상기 창고문의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와, (d-2) 상기 제어장치가
RFID 리더로 상기 창고의 재고 조사를 요청하는 단계와, (d-3) 상기 RFID 리더가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 개의 재
고 파악용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창고의 선반에 놓여진 상품에 부착된 상품용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d-4) 상기 RFID 리더가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0016]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확인 결과, (c-1) 상기 창고문이 닫히지 않은 경우, 인식 센서가 상기창고로의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c-2) 상기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
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장치가 경고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제어장치가 디스플레이 [0017] 장치를 통해 상기 창고의 재고
조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f) 인식 센서가 상기 창고로의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났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g) 상기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재고 조사 결과 및
상기 창고의 접근 내역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창고의 센서 인식 영역에 사람이 접근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창고문
을 열어주기 때문에, 사람은 창고문의 개폐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편의를 제공해준다.
[0019] 그리고, 창고의 출입 제어 및 재고 조사를 자동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장부 조작이나 도난 방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창고 관리에 안전을 기할 수 있고, 창고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0020] 또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 상태에서 창고 문이 개방된 후, 문이 닫혔을 경우에만 재고 조사를 시행하므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진다.
[0021] 또한, 하나의 RFID 리더를 통해 창고의 출입 통제 및 재고 조사를 수행함으로서, RFID 리더 간의 안티-콜리전
(Anti-Collision)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0022] 또한, 전자 잠금부와 열림 감지 센서에 의해서 이중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의 [0131]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0132] 도 2는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0133] 도 3은 본 발명의 재고 파악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0134] 도 4는 본 발명의 재고 파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0135] 도 5는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0136] 도 6은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0137]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고 조사 현황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013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139] 110 : 출입 관리 장치 111 : 인식 센서
[0140] 112 : 전자 잠금부 113 : 경고부
[0141] 114 : 열림 감지 센서 120 : 출입 관리용 안테나
[0142] 130 : RFID 리더 140 : 재고 파악 장치
[0143] 141 : 스위칭 부 142 : 재고 파악용 안테나
[0144] 150 : 디스플레이 장치 160 : 제어 장치
[0145] 161 : 인터페이스부 162 : 데이터베이스
[0146] 163 : 제어부 170 : 상품용 RFID 태그
[0147] 180 : RFID 태그
[0023]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24]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
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
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0025]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
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
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
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0026]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0027] 도 1은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RFID
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0028]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100)은 출입 관리 장치(110), 출입 관리
용 안테나(120), RFID 리더(130), 재고 파악 장치(140), 디스플레이 장치(150), 제어 장치(160)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다.
[0029] 상기 출입 관리 장치(110)는 창고로 접근하는 사람을 인식하고, 인식한 사람에 관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창고문을 개방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0030] 상기 출입 관리 장치(110)는 인식 센서(111), 전자 잠금부(112), 경고부(113), 열림 감지 센서(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식 센서(111)는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0031] 상기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
근자가 감지되는 경우, 영역 접근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장치(160)로 전송한다.
[0032] 또한, 상기 인식 센서(111)는 상기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접근 해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장치(160)로 전송한다.
[0033] 상기 전자 잠금부(112)는 상기 제어 장치(160)의 제어에 따라, 창고 문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즉, 상기 전자 잠
금부(112)는 상기 제어 장치(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접근자가 권한 있는 사용자인 경우, 잠금을 해제시켜 창
고 문을 개방한다.
[0034] 또한, 상기 전자 잠금부(112)는 창고 문이 닫힌 경우, 잠금을 설정한다. 즉, 상기 잠금을 해제시켜 창고 문을
개방한 후에 다시 창고 문이 닫히는 경우, 상기 전자 잠금부(112)는 잠금을 설정하여 보안을 유지한다.
[0035] 상기 경고부(113)는 상기 제어 장치(160)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고부(113)는
센서 인식 영역으로 접근자가 감지되어, 상기 출입 관리용 안테나(120) 및 상기 RFID 리더(13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려고 할 때, 상기 RFID 리더(1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태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경보
음을 발생시킨다.
[0036] 또한, 상기 경고부(113)는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접근자가 해당 창고의 사용 권한이 없는 사용
자로 판명된 경우 또는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경
보음을 발생시킨다.
[0037] 이때, 상기 경고부(113)는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광등을 점멸시키는
방법을 통해 경고할 수도 있다.
[0038] 상기 열림 감지 센서(114)는 창고문이 열리는지 또는 닫히는지를 감지하여, 창고문이 열리는 경우 문 열림 신호
를 상기 제어 장치(160)로 전송하고, 창고문이 닫히는 경우 문 닫힘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160)로 전송한다.
[0039] 상기 출입 관리용 안테나(120)는 상기 RFID 리더(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 인식 영역으로 접근자가 감지
되는 경우, 상기 접근자가 소지한 RFID 태그(180)로 태그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ID 등)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
송하고, 상기 RFID 태그(180)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RFID 리더(130)로 전송한다.
[0040] 상기 RFID 리더(130)는 상기 제어 장치(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 인식 영역으로 접근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출입 관리용 안테나(120)를 통해 상기 접근자가 소지한 RFID 태그(180)로부터 태그 정
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장치(160)로 전달한다.
[0041] 이때, 상기 RFID 리더(1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
(160)는 상기 접근자가 통신 가능한 RFID 태그(180)를 소지하지 않은 자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부(113)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0042] 또한, 상기 RFID 리더(130)는 상기 제어 장치(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재고 파악 장치(140)를 통해 상기 창고
내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여, 재고 조사 현황을 상기 제어 장치(160)로 전송한다.
[0043] 상기 재고 파악 장치(140)는 상기 RFID 리더(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고 내의 각 선반에 위치한 상품들의
재고 조사를 실시하여, 재고 조사 현황을 상기 RFID 리더(130)로 전송한다.
[0044] 상기 재고 파악 장치(140)는 스위칭부(141) 및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45] 여기서,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창고 내의 각 선반의 층별로 하나씩 형
성될 수도 있고, 각 선반의 층별에서 소정 영역별로 하나씩 형성되어 각 층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리고, 상품용 RFID 태그(170)는 상기 선반에 놓여지는 상품에 부착된다.
[0046] 상기 스위칭부(141)는 상기 RFID 리더(130)가 상기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를 통해 상기 상품용
RFID 태그(170)로부터 태그 정보(예를 들어, 제품 종류, 제품 번호 등)를 수신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거나, 그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상품용 RFID 태그(170)로부터 태그 정보
를 수신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위칭부(141)는 상기 RFID 리더(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품용 RDID [0047] 태그(170)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할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를 스위칭하여 선택하게 된다.
[0048] 이때, 상기 스위칭부(141)는 상기 각 선반의 층별로 순차적으로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를 선택할 수도 있고,
특정 층에 형성된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만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특정 층에서도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
테나(14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상품용 RDID 태그(170)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0049] 상기 재고 파악용 안테나(142)는 상기 RFID 리더(130)의 제어에 따라, 창고 내의 각 선반에 놓여지는 상품에 부
착된 상품용 RFID 태그(170)로 태그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상품용 RFID 태그(170)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RFID 리더(130)로 전송한다.
[0050] 본 발명에서는 창고 내의 각 선반에 모두 RFID 리더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RFID 리더(130)에서 상기
스위칭부(141)를 통해 복수 개의 재고 관리용 안테나(142)를 스위칭하여 태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RFID 리더
의 수를 줄일 수 있고, RFID 리더 간의 안티-콜리전(Anti-Collision)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005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상기 제어 장치(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고 내의 재고 조사 현황을 화면에 표
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상기 창고 내의 단품 및 종목 별로 검색이 가능하고, 총 재고
현황 및 현재 입출고 현황을 화면에 표시한다.
[0052]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상기 제어 장치(160)의 제어에 따라, 센서 인식 영역에 사용자 권한이 있는
사람이 접근하였으나, 창고 내에서 재고 조사 중인 경우, 현재 재고 조사 중임을 알리는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
다.
[0053] 상기 제어 장치(160)는 센서 인식 영역으로 접근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 결과
에 따라 창고 문을 개방하고, 창고 문이 닫힌 경우 창고 내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여 재고 조사 현황을 표시하는
등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0054] 상기 제어 장치(160)는 인터페이스부(161), 데이터베이스(162), 제어부(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55] 상기 인터페이스부(161)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110) 및 상기 RFID 리더(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
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61)로는 무선 랜(WLAN),
블루투스(Blue Tooth), UWB(Ultra Wide Band), Home RF,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0056] 상기 데이터베이스(162)는 해당 창고의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 ID 가 저장되고, 해당 창고의 재고 조사 현황,
해당 창고의 입출입 현황 등이 저장된다.
[0057]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인식 센서(111)로부터 영역 접근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
가 소지한 RFID 태그(180)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도록 RFID 리더(130)를 제어한다.
[0058] 이때,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RFID 리더(130)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태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가 통신 가능한 RFID 태그(180)를 소지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경고부(113)를 제어한다.
[0059]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RFID 리더(130)로부터 태그 정보인 사용자 ID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사용자
ID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해당 창고의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 ID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
행한다.
[0060] 이때,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ID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경
우, 창고 문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상기 전자 잠금부(112)를 제어한다.
[0061] 여기서,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ID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사용자 ID와 일치한다
하더라도, 해당 창고 내에서 현재 재고 조사 중이라면, 현재 재고 조사 중이라는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ID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62)[0062] 에 저장된 사용자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경고부(113)를 제어한다.
[0063] 상기 제어부(163)는 창고문이 개방된 후, 상기 열림 감지 센서(114)로부터 문 닫힘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창고
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도록 상기 RFID 리더(130)를 제어한다.
[0064]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RFID 리더(130)로부터 해당 창고의 재고 조사 현황이 전송되면, 상기 재고 조사 현황
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제어한다.
[0065]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람의 개입 없이 창고의 출입 및 재고 조사를 자동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장부 조작
이나 도난 방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0066] 그리고, 센서 인식 영역으로 접근자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창고 관리에 안전
을 기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이 안된 사람의 경우 즉시 경고음을 발생하여 경고를 줄 수 있게 된다.
[0067] 또한, 종래와 같이 일정 시간 주기 별로 재고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인증을 거친 상태에서 창고
문이 개방된 후, 문이 닫혔을 경우에만 재고 조사를 시행하므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시스
템 운영이 가능해진다.
[0068] 게다가, 하나의 RFID 리더를 통해 창고의 출입 통제 및 재고 조사를 수행함으로서, RFID 리더 간의 안티-콜리전
(Anti-Collision)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0069]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잠금부와 열림 감지 센서에 의해서 이중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0070] 즉, 사람이 센서 인식 영역에 접근했을 때, 사용자 인증을 거친 경우에만 전자 잠금부를 해제하여 창고 문을 개
방하는 것으로 1차적으로 도난을 방지하고, 상기 전자 잠금부의 해제를 통하지 않고 악의적으로 창고 문을 여는
경우, 열림 감지 센서가 창고 문의 열림을 감지하여 경고를 발생함으로써 2차적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
다.
[0071] 도 3은 본 발명의 재고 파악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0072] 도 3을 참조하면, 창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선반의 각 층에 재고 파악용 안
테나(211, 212, 213)가 각각 매설된다. 상기 재고 파악용 안테나(211, 212, 213)는 스위칭부(141)와 각각 연결
되어 RFID 리더(130)의 제어를 받는다.
[0073] 여기서, 상기 재고 파악용 안테나(211, 212, 213)는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근접장(Near Field) RFID 안테나
로 이루어질 수 있다.
[0074] 상기 스파이럴 형태의 안테나는 급전 단자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되,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암(Arm)을 포
함하는 안테나이다. 이러한 스파이럴 형태의 안테나를 근접장 RFID 안테나에 적용하게 되면, 표면 자계 밀도가
일정해져, 안테나 매설 표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태그의 인식률이 높아지게 된다.
[0075] 즉, 선반상에 놓여지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와 근접 거리에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야 하므로, 근접장 안테나가 이용되어야 하는데, 상기 근접장 안테나는 H-필드(H-Field)를 이용
한 자계 결합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0076] 따라서, 안테나의 표면 자계 밀도에 따라 태그의 인식률이 결정되는데, 상기 스파이럴 형태의 근접장 안테나를
사용하면 안테나의 모든 부분에서 표면 자계 밀도가 일정해져서, 태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0077] 또한, 상기 스파이럴 형태의 안테나는 접지면 없이도 지향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다른 안테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매설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파이럴 형태의 안테나는 상기 선반상에 밀착하여 매설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 자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0078] 여기서는 사각 나선 형태의 안테나를 도시하였으나, 스파이럴 형태의 안테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형
나선 형태, 삼각형 나선 형태, 타원형 나선 형태의 스파이럴 안테나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0079] 또한, 여기서는 하나의 암(Arm)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의 암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암(Arm)은
연속적인 것뿐만 아니라 불연속적일 수 있으며, 두께 또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RFID 리더(130)가 각 선반상에 존재하는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에 [0080] 태그 정보를 요청하면, RFID 태
그가 태그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211, 212, 213)를 통해 RFID 리더(130)로 전달한다.
[0081] 이때, 상기 스위치부(141)는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211, 212, 213)를 번갈아가며 선택하여 RFID 태그로
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고, 선택된 재고 파악용 안테나를 통해 RFID 리더(130)와 통신을 가능하
게 한다.
[0082] 도 4는 본 발명의 재고 파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0083] 도 4를 참조하면, 창고는 다층 선반 구조로 이루어지고, 선반의 각 층(250, 260, 270)은 복수 개의 구역을 갖는
다. 그리고 상기 각 층(250, 260, 270)별로 구역마다 재고 파악용 안테나(251, 252, 253, , 261, 262,
263, , 271, 272, 273, )가 각각 매설된다.
[0084] 여기서, 상기 제1층(250)의 구역마다 매설된 재고 파악용 안테나(251, 252, 253, )는 제1층(250)에
형성되고, 각 재고 파악용 안테나(251, 252, 253, )를 상호 스위칭하는 제1-1 스위칭부(310)와 각각 연결된
다.
[0085] 그리고, 상기 제2층(260)의 구역마다 매설된 재고 파악용 안테나(261, 262, 263, )는 제2층(260)에
형성되고, 각 재고 파악용 안테나(261, 262, 263, )를 상호 스위칭하는 제1-2 스위칭부(320)와 각각 연결된
다.
[0086] 또한, 상기 제3층(270)의 구역마다 매설된 재고 파악용 안테나(271, 272, 273, )는 제3층(270)에 형성되고,
각 재고 파악용 안테나(271, 272, 273, )를 상호 스위칭하는 제1-3 스위칭부(330)와 각각 연결된다.
[0087] 또한, 상기 제1-1 스위칭부(310), 제1-2 스위칭부(320) 및 제1-3 스위칭부(330)는 상기 제1 스위칭부(310,
320, 330)들을 상호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350)와 각각 연결된다.
[0088] 여기서, RFID 리더(130)는 상기 제2 스위칭부(350)를 통해 상기 제1 스위칭부(310, 320, 330)들을 상호 스위칭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위칭부(310, 320, 330)들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251, 252, 253,
. , 261, 262, 263, , 271, 272, 273, )들을 상호 스위칭하여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089] 도 5는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0090] 도 5를 참조하면, 인식 센서(111)가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0) 상기 단계
S 100의 확인 결과, 센서 인식 영역으로의 접근자가 있는 경우, 상기 인식 센서(111)는 영역 접근 신호를 제어
부(163)로 전달한다(S 101)
[0091] 다음으로, 상기 영역 접근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63)는 RFID 리더(130)로 태그 인식을 요청한다(S 102) 즉,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접근자가 해당 창고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 사람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RFID 리
더(130)로 태그 인식을 요청한다.
[0092] 이 경우, 사람이 창고의 센서 인식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만 RFID 리더(130)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0093] 이어서, 상기 RFID 리더(130)는 출입 관리용 안테나(120)를 통하여 상기 접근자가 소지한 RFID 태그(180)에게
태그 정보(즉, 사용자 ID)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 103)
[0094] 연이어, 상기 RFID 리더(13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RFID 태그(180)로부터 태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
하여(S 104), 기설정된 시간 내에 태그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경보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부(163)로 전송
한다(S 105)
[0095] 그러면,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접근자가 통신 가능한 RFID 태그(180)를 소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부(113)로 경보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 106)
[0096] 상기 단계 S 104의 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태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RFID 리더(130)는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상기 제어부(163)로 전송한다(S 107)
[0097] 그 후,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통해 상기 접근자가 해당 창고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 사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8)
즉,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의 사용자 ID를 데이터베이스([0098] 162)에 저장된 해당 창고의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 ID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0099] 상기 단계 S 108의 확인 결과,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의 사용자 ID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사용자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접근자가 사용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부
(113)로 경보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 109) 이때, 상기 제어부(163)는 디스플레이 장치
(150)를 통해 사용 권한이 없다는 내용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0100] 상기 단계 S 108의 확인 결과,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의 사용자 ID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사용자
ID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3)는 재고 파악 장치(140)가 해당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0)
[0101] 상기 단계 S 110의 확인 결과, 상기 재고 파악 장치(140)가 재고 조사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디
스플레이 장치(150)를 통해 현재 재고 조사 중임을 화면에 표시해준다(S 111) 즉, 현재 재고 조사 중이므로 대
기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해준다.
[0102] 상기 단계 S 110의 확인 결과, 상기 재고 파악 장치(140)가 재고 조사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63)는 전
자 잠금부(112)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하여 창고의 문을 개방하도록 한다(S 112)
[0103] 본 발명에서는, 사람이 창고의 센서 인식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창고문의 개폐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며, 창고문의 출입 통제를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0104] 한편, 상기 단계 S 111 이후에,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재고 파악 장치(140)가 재고 조사 중인지 여부를 확인
하여 재고 조사 중이 아닌 경우(즉, 재고 조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전자 잠금부(112)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
달하여 창고의 문을 개방하도록 한다.
[0105]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3)는 열림 감지 센서(114)를 통해 창고 문이 닫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 113), 창고
문이 닫히는 경우, RFID 리더(130) 및 재고 파악 장치(140)를 통해 창고 내의 재고 조사를 수행한다(S 114)
[0106] 이어서,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재고 조사 결과 및 해당 창고의 접근 내역(예를 들면, 접근한 사람의 사용자
ID, 시간, 장소 등)을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으로 전달한다(S 115)
[0107] 한편, 상기 각 단계에서 상기 인식 센서(111)는 상기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확인하여,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접근 해제 신호를 상기 제어부(163)로 전송한다.
[0108] 도 6은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0109]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열림 감지 센서(114)는 창고문이 열리는지를 확인하여(S 200), 창고문이 열리는 경우,
문 열림 신호를 제어부(163)로 전달한다(S 201)
[01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3)는 창고 문의 개방이 사용자 인증을 거쳐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하여(S 202), 상기
창고 문의 개방이 사용자 인증을 거치지 않은 경우, 경보부(113)로 경보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경고음을 발생시
킨다(S 203)
[0111] 이러한 과정이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함께 적용되는 경우, 이중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0112] 즉, 도 5에서 사람이 센서 인식 영역에 접근했을 때, 사용자 인증을 거친 경우에만 전자 잠금부(112)를 해제하
여 창고 문을 개방하는 것으로 1차적으로 도난을 방지하고, 도 6에서 상기 전자 잠금부(112)의 해제를 통하지
않고 악의적으로 창고 문을 여는 경우, 열림 감지 센서(114)가 창고 문의 열림을 감지하여 경고를 발생함으로써
2차적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0113] 상기 단계 S 202의 확인 결과, 상기 창고 문의 개방이 사용자 인증을 거친 경우, 상기 제어부(163)는 열림 감지
센서(114)를 통해 창고 문이 닫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4)
[0114] 즉, 창고 문의 개방이 사용자 인증을 거친 경우에는, 해당 창고를 사용할 권한을 가진 자가 해당 창고에 물품을
유입하거나 반입하는 경우이므로, 접근자가 볼 일을 마치고 창고 문을 닫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0115] 상기 단계 S 204의 확인 결과, 창고 문이 닫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63)는 인식 센서(111)를 통해 상기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났는지를 확인한다(S 205)
상기 단계 S 205의 확인 결과, 상기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0116]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경보
부(113)로 경보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S 206) 즉, 이 경우는 접근자가 창고 문을 닫지 않
고 그 자리를 떠난 경우이므로, 창고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았음을 경고음을 통해 알려준다.
[0117] 상기 단계 S 205의 확인 결과, 상기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 S 204로 돌아간
다. 즉, 열림 감지 센서(114)를 통해 창고 문이 닫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0118] 상기 단계 S 204의 확인 결과, 창고 문이 닫힌 경우, 상기 제어부(163)는 전자 잠금부(112)로 잠금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창고 문을 잠금시킨다(S 207)
[0119] 이어서, 제어부(163)는 RFID 리더(130) 및 재고 파악 장치(140)을 통해 창고 내의 재고 조사를 수행한다(S
208)
[0120] 즉, 상기 RFID 리더(130)가 스위칭부(141)를 통해 창고 내의 각 선반에 매설된 복수 개의 재고 파악용 안테나
(142)를 다양한 방법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선반에 놓여진 상품에 부착된 상품용 RFID 태그(170)로부터 태그 정
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태그 정보를 상기 제어부(163)로 전달한다.
[0121] 본 발명에서는, 창고의 사용 권한을 가진 사람이 창고문을 열고 닫은 후에 재고 조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일정 시간마다 지속적으로 재고 조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0122] 그리고,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 개의 재고 관리용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치하여 재고 조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하나의 RFID 리더만을 사용하여 재고 조사를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0123] 연이어,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RFID 리더(130)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한 후, 재고 조사 결과를 디스플
레이 장치(15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S 209)
[0124] 즉,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이전 정보와 비교하여 입고 및
출고 등에 대한 재고 조사 결과를 생성한 후, 생성한 재고 조사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통해 화면에 표
시한다.
[0125] 그 후, 상기 제어(163)는 인식 센서(111)를 통해 상기 접근자가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났는지를 확인하여(S
210), 센서 인식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재고 조사 결과 및 해당 창고의 접근 내역(예를 들면, 사람의 ID,
이용 시간, 장소 등)을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으로 전달한다(S 211)
[0126] 즉, 상기 재고 조사 결과 및 해당 창고의 접근 내역은 레거시 시스템(기간 시스템)과 연동하여 백업된다. 이 경
우, 이력 추적 시스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CM(Supply Chain Management) 등과 연동하여 사
용할 수 있게 된다.
[0127]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고 조사 현황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0128]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50)에는 창고의 사용자(홍길동 사원), 현재 입출고 현황(아이리버 i-123456
3개, 필립스 면도기 AX22 5개)이 표시되고, 또한 총 재고 현황(총 제품군 35가지, 총 재고수 250개)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통해 현재 재고 현황에 대해 단품 및 종목 별로 검색이
가능하고 입출고 상태에 대한 이력 조회를 할 수 있다.
[0129]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0130]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
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상기 창고의 센서 인식 영역에 접근하는 접근자를 인식하고, 상기 접근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창고
    문을 개방하는 출입 관리 장치;
    상기 접근자가 통신 가능한 RFID 태그를 소지한 경우, 상기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용
    안테나;
    상기 출입 관리용 안테나를 동작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RFID
    리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창고문을 개방한 이후, 상기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는 재고 파악 장치;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접근자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RFID 리더를 동작시키고,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상
    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관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창고문을 개방한 이후 창고의 재고 조사를 수행하도록 재고 파악 장치를 제
    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상기 창고의 센서 인식 영역에 사람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식 센서;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고문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전자 잠금부;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RFID 리더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경보음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KR1020220097795A 2022-08-05 2022-08-05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9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795A KR20240019957A (ko) 2022-08-05 2022-08-05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795A KR20240019957A (ko) 2022-08-05 2022-08-05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957A true KR20240019957A (ko) 2024-02-14

Family

ID=8989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795A KR20240019957A (ko) 2022-08-05 2022-08-05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0620B2 (en) Wireless dual-mode identification tag
EP38060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mitting remote check-in and coordinating access control
US11144873B2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US11551537B2 (en) Wireless dual-mode identification tag
EP2877983B1 (en) Access control of an in-room safe
US20090138303A1 (en) Activity Inference And Reactive Feedback
US118104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executing trusted user access
MX2012003681A (es) Formacion de haces, y localizacion en un sistema de dispositivo de monitoreo configurable.
KR100917718B1 (ko)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64011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45763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69813A1 (en) Merchandise display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US20100237989A1 (en) Goods management device and goods management system
US20220067635A1 (en) Inventory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KR20240019957A (ko) 무선인식 rfid를 이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878453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CN220522270U (zh) 商品安全系统和安全系统
JP6286858B2 (ja) 入退管理システム
KR20090002657U (ko) Rfid카드를 이용한 보관함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