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576A - 양봉용 격왕판 - Google Patents

양봉용 격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576A
KR20240019576A KR1020220097417A KR20220097417A KR20240019576A KR 20240019576 A KR20240019576 A KR 20240019576A KR 1020220097417 A KR1020220097417 A KR 1020220097417A KR 20220097417 A KR20220097417 A KR 20220097417A KR 20240019576 A KR20240019576 A KR 20240019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quarrel
beekeeping
plate uni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22009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576A/ko
Publication of KR2024001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용 격왕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양봉용 격왕판을 수직형 격왕판과 수평형 격왕판으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양봉용 격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봉용 격왕판{Queen excluder for beekeeping}
본 발명은 양봉용 격왕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양봉용 격왕판을 수직형 격왕판과 수평형 격왕판으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양봉용 격왕판에 관한 것이다.
양봉을 함에 있어서, 양봉에 사용되는 함체형 벌통 내에는 여왕벌과 일벌 및 수벌이 생활하는 생활 공간이 마련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함체형 벌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함체형 벌통은 상기 생활 공간이 마련된 벌통 본체(1), 상기 생활 공간을 수평으로 구획하도록 생활 공간 내에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는 수평형 격왕판(3), 상기 생활 공간을 위에서 덮는 수직형 격왕판(2), 및 상기 벌통 본체(1)를 덮는 덮개(4)를 구비한다.
상기 격왕판은 여왕벌과 일벌을 생활 공간 내에서 서로 격리하는 부재이다. 격왕판은, 여왕벌과 일벌등이 하나의 벌통 내에서 공유하면서 생활하는 과정에서 여왕벌의 산란 시기가 되면 많은 영양분을 충당하고자 상기 소비에 채집되어 있는 꿀과 화분을 여왕벌이 섭취함으로서, 많은 꿀을 생산하기에 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평, 수직 방향으로 생활 공간 내에 수납된다.
이러한 격왕판은 생활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형 격왕판(3)과, 생활 공간을 덮거나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직형 격왕판(2)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격왕판은, 수직형 격왕판(2)과 수평형 격왕판(3)이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짐으로서, 수직형 격왕판(2)과 수평형 격왕판(3)을 별도로 구입, 마련해야 하므로 벌통의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양봉업자의 편의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제10-2021-00488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양봉용 격왕판을 수직형 격왕판과 수평형 격왕판으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양봉용 격왕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은, 1 격왕판 유닛, 및 제2 격왕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격왕판 유닛과 제2 격왕판 유닛은 각각,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일 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프레임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부를 갖는 프레임부, 및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격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왕판 유닛과 제2 격왕판 유닛은, 상기 제1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이 서로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이 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형태가 가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양봉용 격왕판은,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최 외측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 외측에는 사이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은, 상기 사이드 공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양봉용 격왕판은,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이 배치되는 면에 형성되며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외측면에 형성되며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슬라이드 홈 및 제2 슬라이드 홈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왕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형태가 가변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격왕판은 수평 격왕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격왕판은 수직 격왕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격왕판을 수직 격왕판과 수평 격왕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격왕판이 사용되는 양봉용 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격왕판 유닛과 제2 격왕판 유닛이 서로 펼쳐진 상태(A)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격왕판 유닛과 제2 격왕판 유닛이 서로 접혀진 상태(B)로서, 패널(30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패널과 프레임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이 서로 펼쳐진 상태(A)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이 서로 접혀진 상태(B)로서, 패널(30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방향을 설명하는 "가로", "세로" 각각 도 2 의 가로 방향, 세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은,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포함한다.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은 서로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의 설명은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 모두에 적용된다.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은 각각, 프레임부(100), 및 격리 핀(210)을 포함한다. 아울러,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격왕판의 골조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프레임부(100)는 목재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으로 구성된다.
제2 프레임(120)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으로 구성된다. 제2 프레임(120)은 다수가 구비된다. 제2 프레임(120)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110)과 연결된다.
제3 프레임(130)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으로 구성된다. 제3 프레임(130)은 제2 프레임(120)의 타 단부에 연결된다. 제3 프레임(130)은 상기 제2 프레임(1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프레임(130)이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를 가짐으로서, 제1 내지 제3 프레임(13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부(200)가 마련된다.
격리 핀(2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빔으로 구성된다. 격리 핀(210)은 목재, 대나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격리 핀(210)은 다수 개 마련되며, 상기 공간부(20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00)에 연결된다. 격리 핀(210)과 프레임부(100) 간의 연결 형태는, 일 공간부(200)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격리 핀(210)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갖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격리 핀(210) 사이의 간격은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일벌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되, 여왕벌은 통과할 수 없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격왕판은 여왕벌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힌지부(30)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30)는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의 상기 제1 프레임(110)과 상기 제2 격왕판 유닛(20)의 상기 제1 프레임(110)을 서로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이 서로 접힘/펼침될 수 있다.
힌지부(3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한정하지 않는다. 힌지부(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접을 때 힌지부(30)에 의해서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10)은, 힌지부(30)가 고정되는 부분에 힌지부(30)가 투입 및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부(30)는 민머리 나사 등을 통해서 제1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의 상기 제1 프레임(110)과 상기 제2 격왕판 유닛(20)의 상기 제1 프레임(110)이 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분리, 결합 구조는, 예컨대 끼움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끼움 홈과 끼움 돌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슬라이딩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슬라이딩 홈과 슬라이딩 돌기가 구비되는 형태가 가능하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왕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형태가 가변한다.
예를 들어,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이 서로 접힙/펼침 가능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이 서로 펼침되는 경우에는, 격왕판은 전체적으로 전체적으로 장변을 갖는 정사각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이 서로 접힘된 경우에는, 격왕판은 일 측에는 장변이 마련되고 다른 측면에는 단변이 마련되는 직사각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격왕판은 수평 격왕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격왕판은 수직 격왕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수평 격왕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서로 펼친 상태로 한 후, 벌통 본체 내부 공간을 덮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직 격왕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서로 분리하거나, 접힌 상태로 한 후, 벌통 본체 내부 공간에 세워서 수납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격왕판을 수직 격왕판과 수평 격왕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양봉용 격왕판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300)의 재질은 양철, 목재, 대나무 등일 수 있으며,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2 프레임(120)은, 최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P)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P)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P) 외측에는 빈 공간인 사이드 공간(Q)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300)은 상기 사이드 공간(Q)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패널(30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 공간(Q)에 상기 패널(300)이 배치되면, 양봉용 격왕판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외주연부를 갖는다. 아울러, 패널(300)이 사이드 공간(Q)에서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양봉용 격왕판은 상기 사이드 공간(Q)이 빈 상태가 되므로, 제1 프레임(110)의 가로 폭에 비해서, 제2 프레임(120) 사이 부분의 가로 폭이 좁은 형태가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을 수평 격왕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서로 펼치거나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널(300)을 상기 사이드 공간(Q)에 배치시킨 상태로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 본체를 위에서 덮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을 수직 격왕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서로 접거나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널(300)을 상기 사이드 공간(Q)에 제거한 상태로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 본체 내부에 격왕판이 세워진 상태로 투입될 때, 상기 패널(300)을 제거함으로서, 벌통 본체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제1 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형 격왕판과 수직형 격왕판에 적합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패널(300)과 프레임부(100)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상기 제2 프레임(120)이 배치되는 면에 형성되며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드 홈(112)을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P)은, 외측면에 형성되며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드 홈(122)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패널(300)은, 상기 패널(300)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슬라이드 홈(112) 및 제2 슬라이드 홈(12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패널(30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드 홈(112) 및 제2 슬라이드 홈(122)에 의해서 화살표 S 와 같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300)의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을 수평 격왕판(A)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서로 펼치거나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널(300)을 상기 사이드 공간(Q)에 배치시킨 상태로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 본체(400)를 위에서 덮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봉용 격왕판을 수직 격왕판(B)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격왕판 유닛(10)과 제2 격왕판 유닛(20)을 서로 접거나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널(300)을 상기 사이드 공간(Q)으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 본체(400) 내부의 공간(410) 내에 격왕판이 세워진 상태로 투입될 때, 상기 패널(300)을 제거함으로서, 벌통 본체(400) 상부 가장자리 부분(단차 부분(420))에 상기 제1 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형 격왕판과 수직형 격왕판에 적합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제1 격왕판 유닛
20: 제2 격왕판 유닛
30: 힌지부
100: 프레임부
110: 제1 프레임
112: 제1 슬라이드 홈
120: 제2 프레임
122: 제2 슬라이드 홈
130: 제3 프레임
200: 공간부
210: 격리 핀
300: 패널

Claims (3)

  1. 양봉용 격왕판에 있어서,
    상기 양봉용 격왕판은 제1 격왕판 유닛, 및 제2 격왕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격왕판 유닛과 제2 격왕판 유닛은 각각,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일 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타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프레임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부를 갖는 프레임부, 및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격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왕판 유닛과 제2 격왕판 유닛은,
    상기 제1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이 서로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격왕판 유닛의 상기 제1 프레임이 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형태가 가변하는 양봉용 격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용 격왕판은,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최 외측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 외측에는 사이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은,
    상기 사이드 공간에 배치되는 양봉용 격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이 배치되는 면에 형성되며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외측면에 형성되며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슬라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슬라이드 홈 및 제2 슬라이드 홈 내에 위치하는 양봉용 격왕판.
KR1020220097417A 2022-08-04 2022-08-04 양봉용 격왕판 KR20240019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417A KR20240019576A (ko) 2022-08-04 2022-08-04 양봉용 격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417A KR20240019576A (ko) 2022-08-04 2022-08-04 양봉용 격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576A true KR20240019576A (ko) 2024-02-14

Family

ID=8989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417A KR20240019576A (ko) 2022-08-04 2022-08-04 양봉용 격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5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86A (ko) 2019-10-24 2021-05-04 이경만 양봉용 수직격왕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86A (ko) 2019-10-24 2021-05-04 이경만 양봉용 수직격왕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309B1 (ko)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KR101259018B1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CN106942092B (zh) 一种蜜蜂养殖装置以及蜜蜂养殖系统
KR20240019576A (ko) 양봉용 격왕판
KR101055256B1 (ko) 수벌생산용 소초광
WO2016087883A1 (en) Multihive
RU2640283C2 (ru) Многокорпусный улей
KR101719906B1 (ko)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27490A1 (en) Beatrice beehive
EP3628152A1 (de) Fangwabe zur bekämpfung von varroamilben
RO128080B1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US4455699A (en) Pollen trap for double queen colony with queen excluder
RU2186490C2 (ru) Секционно-ярусное, панельно-корпусное, трехмерно расширяемое, рамочно-касс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и содержания медоносных пчел
DE3327965A1 (de) Einrichtung zum rationellen halten und zuechten von bienen
KR20210048886A (ko) 양봉용 수직격왕판
RU22187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пчёл
KR200412823Y1 (ko) 양봉용 소초광
US1146044A (en) Beehive.
KR20190142052A (ko) 1군 2 왕벌 생육을 위한 벌통 식별 기능을 갖는 벌통 출입구용 구획장치
TWM564327U (zh) Honeycomb honeycomb isolation structure
WO2015109415A1 (es) Una colmena plegable y configurable para diferentes condiciones climáticas y productivas
EP0671122A1 (en) Bee hive
KR102476577B1 (ko)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RU2134959C1 (ru) Бесфальцевый многокорпусный улей с магазинам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