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560A -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 Google Patents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560A
KR20240019560A KR1020220097379A KR20220097379A KR20240019560A KR 20240019560 A KR20240019560 A KR 20240019560A KR 1020220097379 A KR1020220097379 A KR 1020220097379A KR 20220097379 A KR20220097379 A KR 20220097379A KR 20240019560 A KR20240019560 A KR 20240019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terest
exercise
inducing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진
Original Assignee
권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진 filed Critical 권혁진
Priority to KR102022009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560A/ko
Publication of KR2024001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구를 수 있게 형성되고 내부에 관심유도물(122)이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체(120)와, 상기 베이스체(120)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먹이가 채워지고 선택적으로 먹이가 배출될 수 있게 되는 먹이구(142)가 형성된 먹이통(140)을 포함하여 몸체(10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가 구르면 상기 관심유도물(122)이 움직이면서 반려동물을 관심을 유도하여 굴리는 행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먹이구(142)를 통해 먹이가 배출됨으로써 반려동물이 먹이를 보상으로 받으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 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Exercise induction type pet feeder}
본 발명은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려동물의 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키우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건강에 이로운 먹이를 공급함과 아울러 적정한 수준으로 운동을 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반려동물을 운동시키는 방법으로는 실외에서 산책을 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는 보호자가 동반하여야 하므로 반려동물을 산책시킬 시간이 부족하거나 눈이나 비가 오는 환경에서는 산책이 어렵기 때문에 충분하게 운동을 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산책이 어려운 상황에서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려동물용 장난감이나 운동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난감이나 운동장치는 반려동물의 지속적인 관심을 끄는 경우에만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운동을 시킬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995-0029106호(1995.11.17.)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놀이를 하듯이 가지고 놀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반려동물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실내에서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를 수 있게 형성되어 반려동물이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움직임에 따라 먹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먹이 보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놀이 행위를 촉진하고, 그 결과 반려동물이 자연스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놀이를 하듯이 가지고 놀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반려동물이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관심유도물과 먹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하여 놀이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체와 먹이통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먹이구에 배출관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관심유도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심유도물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의 사용 상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이 놀이를 하듯이 가지고 놀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반려동물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실내에서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구를 수 있게 형성되고 내부에 관심유도물이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먹이가 채워지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먹이가 배출될 수 있게 되는 먹이구가 형성된 먹이통을 포함하여 몸체가 형성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체와 먹이통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먹이구에 배출관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관심유도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관심유도물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는 베이스체(120)와 먹이통(140)을 포함하여 몸체(100)가 형성된다.
베이스체(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구를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운데 부분이 불룩한 배흘림 구조를 이룸으로써 바닥에 눕혀 두게 되면 구르는 것도 가능하고 시소 운동도 가능하게 형성되어 다양한 움직임이 연출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베이스체(120) 내부에는 내부에 관심유도물(122)이 형성된다.
관심유도물(122)은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소리나 빛을 발현시키는 것일 수 있지만 물리적인 동작을 연출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시각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관심유도물(122)이 물리적인 동작을 구현하는 구성에서 관심유도물(122)은 반려동물이 좋아하는 것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견이라면 뼈다귀 형상, 반려묘라면 생선 형상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관심유도물(122)이 물리적인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 베이스체(1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관심유도물(122)이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형성되고, 그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하여 소리나 빛이 같이 발생되게 형성될 수 있다.
관심유도물(122)은 유체에 떠 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체(120) 내부에 물을 일정 정도 채우고 관심유도물(122)을 유체에 뜨는 소재로 형성하여 떠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베이스체(120) 내부에 채워지는 유체는 전체 체적의 1/2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몸체(100)가 구르거나 움직이게 되면 유체가 출렁이게 되고, 그 결과 관심유도물(122)이 다양한 움직임을 연출하면서 반려동물의 시각을 자극하여 관심을 유도하게 된다.
다른 예로 관심유도물(122)은 베이스체(120) 중심부에 축으로 설치될 수 있다(도 5). 베이스체(120) 길이 방향으로 축이 설치되고 상기 축에 관심유도물(12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이 회동하거나 관심유도물(122)이 상기 축에서 회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관심유도물(122) 아래로 무게추(124)가 형성될 수 있는바, 무게추(124)는 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시계추 운동을 하게 된다. 그로 인해 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관심유도물(122)이 다양한 움직임이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체(120)에 채워지는 유체나 베이스체(120) 내부에서 시계추 운동을 하는 무게추(124)는 몸체(100)가 구를 때 관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몸체(100)가 구르고 움직이는 과정에서 유체가 출렁이거나 무게추(124)가 시계추 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어느 한 방향으로만 계속 구르지 않도록 하는 힘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에 의해 몸체(100)를 굴리는 힘, 예를 들면 밀고 당기거나 타격하여 굴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몸체(100)가 과도하게 멀리 굴러가지 않게 된다. 반려동물이 몸체(100)를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몸체(100)가 너무 먼 거리까지 굴러가 시야에서 벗어나게 되면 반려동물이 외면할 수 있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베이스체(120)는 관심유도물(122) 또는 액체나 무게추(124) 등을 내부에 투입하거나 설치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규격의 개방된 입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입구는 커버로 닫아서 밀폐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체(120)를 2분할되게 형성하여 서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베이스체(120)이 일측 면이 개방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관심유도물(122)를 내부에 장착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먹이통(140)은 내부가 비어 반려동물의 먹이가 채워지는 것으로 베이스체(120) 양쪽에 형성된다. 나사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고,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결합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먹이통(140)에는 적절한 위치에 먹이를 투입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는 커버로 닫아서 밀폐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먹이통(140)에서 베이스체(120)와 결합되는 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어 베이스체(120)에 먹이통(140)이 결합되면 자연스럽게 먹이가 투입되는 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먹이통(14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베이스체(120)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대략 원뿔 형상을 이루며 베이스체(120)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체(120)와 더불어 타원형상으로 몸체(100)를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몸체(100)가 마치 럭비공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몸체(100)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변화무쌍한 움직임을 연출하게 된다. 그 결과 반려동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관심을 유도하게 된다.
먹이통(140)에는 먹이구(142)가 형성된다. 먹이구(142)는 먹이통(140)에 담긴 먹이가 배출되는 구멍으로 먹이통(140)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먹이통(140)이 베이스체(120)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구성임에 따라 몸체(100)가 움직이는 과정, 특히 시소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먹이통(140) 내부에 채워진 먹이가 먹이통(140) 끝단 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먹이가 먹이통(140) 끝단 쪽으로 유도되면 먹이구(142)를 통해 먹이가 배출되게 되는데, 그러한 먹이 배출이 반복되면 반려동물이 먹이 배출 매커니즘을 알아채게 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먹이를 획득하기 위해 몸체(100)를 움직이기 위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될 것인바, 결과적으로 놀이를 하듯이 몸체(100)를 가지고 놀면서 먹이도 보상받으며 운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먹이구(142)에는 배출관(148)이 장착될 수 있다(도 3). 배출관(148)은 먹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배출관(148)에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배출관(148)이 먹이구(142)에 장착되면 소망하는 규격의 배출관(148)을 먹이구(142)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관(148)의 규격을 달리하게 되면 반려동물의 크기나 종류, 나이 등을 고려하여 먹이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먹이통(140) 내부에서 먹이구(142)에는 돌출턱(144)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돌출턱(144)은 관 형상을 이루어 먹이통(140) 내부를 향해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는 것으로, 먹이통(140)에서 먹이가 먹이구(14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돌출턱(144)에 걸리게 된다(도 7). 따라서 먹이가 돌출턱(144)에 걸리지 않아야만 먹이구(142)로 배출되게 되는바, 이는 먹이 배출 난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져 먹이가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먹이구(142)에 먹이가 과도하게 몰리는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먹이통(140)은 상기와 같은 형상 외에도 먹이를 투입하여 두고 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먹이구(142)로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먹이통(140)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면이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설계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는 몸체(100)를 바닥에 두면 반려동물이 몸체(100)를 밀고 당기거나 타격을 하면서 가지고 놀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몸체(100)가 구르거나 시소 운동을 하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관심유도물(122)이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도하여 몸체(100)를 가지고 노는 행동을 지속하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몸체(100)의 움직임에 따라 먹이구(142)로 먹이가 간헐적으로 배출되므로 반려동물은 자신의 행동에 따라 먹이를 얻을 수 있음을 습득하게 된다. 그에 따라 먹이를 획득하기 위해 몸체(100)를 이리 저리 움직이는 행동을 지속하고 그 보상으로 먹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반려동물이 몸체(100)를 가지고 놀면서 자연스럽게 운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몸체, 120 : 베이스체,
122 : 관심유도물, 124 : 무게추,
140 : 먹이통, 142 : 먹이구,
144 : 돌출턱, 148 : 배출관.

Claims (5)

  1. 구를 수 있게 형성되고 내부에 관심유도물(122)이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체(120);
    상기 베이스체(120)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먹이가 채워지고 선택적으로 먹이가 배출될 수 있게 되는 먹이구(142)가 형성된 먹이통(140);
    을 포함하여 몸체(10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가 구르면 상기 관심유도물(122)이 움직이면서 반려동물을 관심을 유도하여 굴리는 행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먹이구(142)를 통해 먹이가 배출됨으로써 반려동물이 먹이를 보상으로 받으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 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유도물(122)은 유체에 떠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체의 출렁임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이 연출되게 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유도물(122)은 상기 베이스체(120) 중심부에 축으로 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되되,
    상기 관심유도물(122) 아래로 무게추(124)가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124)의 시계추 운동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이 연출되게 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구(142)에 장착되는 배출관(148)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148)의 규격을 달리하여 먹이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140) 내부에서 상기 먹이구(142)에는 돌출턱(144)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턱(144)에 먹이가 걸림으로써 먹이 배출 난도가 높아지게 형성되는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KR1020220097379A 2022-08-04 2022-08-04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KR20240019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379A KR20240019560A (ko) 2022-08-04 2022-08-04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379A KR20240019560A (ko) 2022-08-04 2022-08-04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560A true KR20240019560A (ko) 2024-02-14

Family

ID=8989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379A KR20240019560A (ko) 2022-08-04 2022-08-04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5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106U (ko) 1994-04-06 1995-11-17 장홍석 애완동물 운동용 기구(pet spor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106U (ko) 1994-04-06 1995-11-17 장홍석 애완동물 운동용 기구(pet sport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8013B1 (en) Treat dispenser for animals and method
US5865147A (en) Animal exercise toy containing animal meal
US5870971A (en) Multi-apertured feline toy and exercise device
US9301496B2 (en) Pet toy treat dispenser
EP1659856B1 (en) Treat dispensing pet toy
US20160316719A1 (en) Cylindrical spinning pet toy and treat dispenser
US8025550B2 (en) Nocturnal pet toys
US5813366A (en) Animal toy
US20170112093A1 (en) Animal Feeding Dish To Control Rate of Food Consumption
US8113150B1 (en) Interactive pet toy
US20060060153A1 (en) Treat dispensing device
US9101114B2 (en) Animal attractant dispensing device
US20090272326A1 (en) Apparatus for Feeding, Training, and Amusing Animals
KR20240019560A (ko) 운동 유도형 반려동물 급이기
US11627722B2 (en) Pet exercise apparatus
KR102153610B1 (ko) 먹이 배출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장난감
US20190133080A1 (en) A anim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10721915B1 (en) Pet toys
US10856527B1 (en) Disappearing target interactive pet toy
KR20180090987A (ko) 고양이 먹이 공급 시스템, 상기 시스템 사용 방법 및 상기 시스템을 위한 포장
JP3103357U (ja) ペット用知育玩具
KR20210046927A (ko) 광 산란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물그릇
WO2002096315A2 (en) Treat toy for animal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8207694A (zh) 宠物玩具
CA2195700A1 (en) Pet treat dispensing b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