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436A -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436A
KR20240019436A KR1020220097043A KR20220097043A KR20240019436A KR 20240019436 A KR20240019436 A KR 20240019436A KR 1020220097043 A KR1020220097043 A KR 1020220097043A KR 20220097043 A KR20220097043 A KR 20220097043A KR 20240019436 A KR20240019436 A KR 2024001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ode current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진
김영하
김지형
이상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436A/ko
Priority to PCT/KR2023/005040 priority patent/WO2024029684A1/ko
Publication of KR2024001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전류를 차단하여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 및 상기 전극 집전체 및 전극 탭 사이에 배치된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전극 집전체와 연결되며 PTC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소정의 전류 값 이상에서 상기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집전체 및 전극 탭 사이에 배치되며, 비정상적 작동 상태에서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는 한번의 충전으로 장거리를 운행할 수 있는 전지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운행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높아야 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어 전기 자동차의 전지로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전기적 반응이 발생하는 전극이 포함된 전극 조립체를 외장재에 수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가 외장재에 수용된 이차전지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00)는 외장재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10),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연장된 전극 집전체(11) 및 전극 집전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12)을 포함한다. 이차전지(100)의 정상적 작동 상태에서는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없으나, 이차전지(100)의 비정상적 작동 상태에서는 과전류에 의해, 이차전지(100)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전해액의 분해되며, 분리막이 수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리튬 플레이팅(plating) 현상에 의해 덴트라이트(dendrite)가 발생하여 리튬 이온의 양이 감소되며, 쇼트(short)의 위험성이 증가되어,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발열로 인해 이차전지(100)의 내부에 가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이차전지(100)가 발화되거나 폭발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이차전지의 비정상적 작동 상태에서, 이차전지의 발화 및 폭발 현상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극 집전체 및 전극 탭 사이에 배치되며 비정상적 작동 상태에서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인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 및 상기 전극 집전체 및 전극 탭 사이에 배치된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전극 집전체와 연결되며 PTC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소정의 전류 값 이상에서 상기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연결된 제3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3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의 윗변과 아랫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는 상기 윗변의 길이 대비 상기 아랫변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아랫변 및 제3 부재의 아랫변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부재의 아랫변 및 제3 부재의 아랫변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제3 부재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2 부재 및 제3 부재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전극 탭과 상기 전극 집전체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이차전지의 내부 온도가 80 ℃ 이상인 경우,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TC 소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TC 소자는 카본계 물질 및 세라믹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집전체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탭은 상기 외장재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전원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차단 부재는 이차전지의 정상적 작동 상태에서는 전극 집전체의 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구조이나, 이차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유동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과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어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과의 통전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차단 부재는 이차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 사이에 갭이 형성됨으로써,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gas)의 벤팅(venting)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차단 부재는 종래의 전극 조립체 및 전극 탭 등의 이차전지 소재들의 체결 구조를 변형하지 않더라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로서, 이차전지를 수용하는 외장재의 변형 또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 삽입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차단 부재는 종래의 전극 조립체 및 전극 탭 등의 이차전지 소재들의 체결 구조를 변형하지 않더라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로서, 이차전지에 전류 차단 부재가 포함되더라도 종래의 양산되는 이차전지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팩(pack), 디바이스(device) 등의 조립 방식에 변동이 없는 바,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가 외장재에 수용된 이차전지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차단 부재가 포함된 이차전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과전류 발생시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과의 단락을 유도하는 전류 차단 부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 및 상기 전극 집전체 및 전극 탭 사이에 배치된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전극 집전체와 연결되며 PTC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소정의 전류 값 이상에서 상기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차단 부재가 포함된 이차전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차전지(200)는 전극 조립체(20),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집전체(21), 전극 집전체(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22), 및 전극 집전체(21) 및 전극 탭(22) 사이에 배치된 전류 차단 부재(30)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20)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은 리튬(Li) 이온이 삽입 및 탈리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음극은 리튬 (Li) 이온을 흡수 및 탈리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극 및 음극은 기계적 안정성 및 전기 전도성 향상을 위해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 각각에 바인더 및 도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간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이온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막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20)는 복수개의 양극 및 음극을 교대로 적층하고,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스태킹(stacking) 또는 지그재그 스태킹(zigzag stacking)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극 집전체(21)는 복수의 양극과 복수의 음극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복수의 양극 집전체 및 복수의 음극 집전체로서, 복수의 양극 집전체 및 복수의 음극 집전체는 각각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양극과 복수의 음극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복수의 양극 집전체 및 복수의 음극 집전체는 전극 조립체(20)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양극 집전체는 양극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음극 집전체는 음극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음극 집전체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거나,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전극 탭(22)은 전극 집전체(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극 탭(22)은 전극 조립체(20)를 수용하는 외장재(4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전극 단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양극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은 양극 단자가 될 수 있고, 복수의 음극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은 음극 단자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극 집전체(21)의 상부에 전극 탭(22)이 위치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극 집전체(21)의 하부에 전극 탭(22)이 위치한 구조도 가능하다.
전류 차단 부재(30)는 전극 집전체(21) 및 전극 탭(22) 사이에 배치된다. 전류 차단 부재(30)는 전극 집전체(21)와 연결되며 PTC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부재(31) 및 전극 탭(22)과 연결된 제2 부재(32)를 포함한다.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는 과전류의 발생 시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저항 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지닌 PTC 물질을 포함한다. 제1 부재(31)는 PTC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과전류의 발생 시에 전극 집전체(21)와 전극 탭(22)간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과전류로 인한 이차전지의 발화 및 폭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PTC 소자는 전기 절연재로 기능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TC 소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말레산무수물 기능기화된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기능기화된 엘라스토머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말레산무수물 기능기화된 폴리프로필렌,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아세틸, 아크릴 수지 및 교대배열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PTC 소자는 카본계 물질 및 세라믹 물질과 같은 전도성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 물질의 종류로는 BaTiO3를 사용할 수 있고, BaTiO3에 Y2O3 및 Nb2O5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류 차단 부재(30)는 제1 부재(31) 및 제2 부재(32)와 연결된 제3 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차단 부재(30)는 제1 부재(31) 및 제3 부재(33)를 연결하는 제1 체결부(31-1) 및 제2 부재(32) 및 제3 부재(33)를 연결하는 제2 체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차단 부재(30)는 제1 체결부(31-1) 및 제2 체결부(32-1)에 의해 전극 집전체(21) 및 전극 탭(22) 사이에서 제1 부재(31) 및 제3 부재(33)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부재가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전극 조립체 및 전극 탭 등의 이차전지 소재들의 체결 구조를 변형하거나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전류 차단 부재의 적용이 가능하여, 종래의 양산되는 이차전지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부재(31), 제2 부재(32) 및 제3 부재(33)는 서로 다른 길이의 윗변(31y, 32y, 33y)과 아랫변(31x, 32x, 33x)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31), 제2 부재(32) 및 제3 부재(33)는 윗변(31y, 32y, 33y)의 길이 대비 아랫변(31x, 32x, 33x)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체결부(31-1)가 제1 부재의 아랫변(31x) 및 제3 부재의 아랫변(33x)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고, 제2 체결부(32-2)가 제2 부재의 아랫변(32x) 및 제3 부재의 아랫변(33x)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며, 사다리꼴 형상 중 길이가 긴 아랫변으로 서로 연결된 구조를 나타냄으로써, 제1 부재가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될 시 전극 탭을 향해 상향 돌출될 수 있는 방향성이 부여될 수 있고,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과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과의 통전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부재는 소정의 전류 값 이상에서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소정의 전류 값은 전류의 상승에 따라 저항이 값이 증가되어 PTC 소자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임계 값을 의미한다.
도 3은 과전류 발생시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과의 단락을 유도하는 전류 차단 부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차전지(200)의 정상 작동상태에서 제1 부재(31)가 전극 집전체(21)의 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구조이다. 다만, 이차전지(200)에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1 부재(31)에 포함된 PTC 소자의 저항이 증가되며, 증가된 저항으로 인해 이차전지(20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 증가되어, 제1 부재(31)가 전극 탭(22)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21)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제1 부재(31)가 전극 집전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1 체결부(31-1)에 의해 제1 부재(31) 및 제3 부재(33)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고, 제2 체결부(32-1)에 의해 제2 부재(32) 및 제3 부재(33)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제1 부재(31)가 전극 집전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전극 탭(22)과 전극 집전체(21) 사이에 갭(G)이 형성될 수 있어,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gas)의 벤팅(venting)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1 부재(31)는 소정의 전류 값 이상에서 전극 탭(22)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전극 집전체(21)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며, 제1 부재(31)는 이차전지(200)의 내부 온도가 80 ℃ 이상인 경우, 전극 집전체(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부재(31)는 PTC 소자를 포함하며, PTC 소자는 과전류의 발생 시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저항 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지닌 PTC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차전지(200)의 내부 온도가 80 ℃ 이상인 경우 PTC 물질의 특성이 발현되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시키는 퓨즈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차전지(200)는 전극 조립체(20) 및 전극 집전체(21)를 수용하는 외장재(40)를 포함하며, 전극 탭(22)은 외장재(4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외장재(40)는 전극 조립체(20)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외장재(40)는 내수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금속, 나일론 수지 및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적층된 필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차단 부재는 전극 조립체 및 전극 탭 등의 이차전지 소재들의 체결 구조를 변형하거나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전류 차단 부재의 적용이 가능하여, 전극 탭이 외장재로부터 인출되는 형태인 종래의 이차전지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이차전지를 수용하는 외장재의 변형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를 단위 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device)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전원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류 차단 부재는 종래의 전극 조립체 및 전극 탭 등의 이차전지 소재들의 체결 구조를 변형하지 않더라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로서, 이차전지에 전류 차단 부재가 포함되더라도 종래의 양산되는 이차전지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 디바이스의 조립 방식에 변동이 없는 바,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배터리 모듈, 디바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20: 전극 조립체
11, 21: 전극 집전체
12, 22: 전극 탭
30: 전류 차단 부재
31: 제1 부재
32: 제2 부재
33: 제3 부재
40: 외장재
100, 200: 이차전지

Claims (16)

  1.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 및
    상기 전극 집전체 및 전극 탭 사이에 배치된 전류 차단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전극 집전체와 연결되며 PTC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소정의 전류 값 이상에서 상기 전극 탭의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와 연결된 제3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3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의 윗변과 아랫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는 상기 윗변의 길이 대비 상기 아랫변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아랫변 및 제3 부재의 아랫변을 연결하는 것인 이차전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부재의 아랫변 및 제3 부재의 아랫변을 연결하는 것인 이차전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및 제3 부재의 연결이 유지되는 것인 이차전지.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2 부재 및 제3 부재의 연결이 유지되는 것인 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전극 탭과 상기 전극 집전체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인 이차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이차전지의 내부 온도가 80 ℃ 이상인 경우, 상기 전극 집전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이차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C 소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TC 소자는 카본계 물질 및 세라믹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집전체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탭은 상기 외장재로부터 인출되는 것인 이차전지.
  15. 제1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6. 제15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전원으로부터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220097043A 2022-08-04 2022-08-04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KR20240019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43A KR20240019436A (ko) 2022-08-04 2022-08-04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PCT/KR2023/005040 WO2024029684A1 (ko) 2022-08-04 2023-04-13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43A KR20240019436A (ko) 2022-08-04 2022-08-04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436A true KR20240019436A (ko) 2024-02-14

Family

ID=8984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043A KR20240019436A (ko) 2022-08-04 2022-08-04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9436A (ko)
WO (1) WO20240296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15B1 (ko) * 2014-09-23 201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6599129B2 (ja) * 2015-05-15 2019-10-30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2080903B1 (ko) * 2015-06-08 2020-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55853B1 (ko) * 2015-08-31 2019-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KR101999529B1 (ko) * 2017-07-06 2019-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노치가 형성된 리드박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684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102B1 (ko)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US7122275B2 (en) Electrochemical element
CN1305143C (zh) 电池组
US8003241B2 (en) Lithium battery with external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layer
US20090311581A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Employing Impact-Absorbing Member
JP2007035638A (ja) 二次電池
WO2006118386A1 (en) Improve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ncreased safety
US20120015244A1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1999529B1 (ko) 노치가 형성된 리드박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EP2036143B1 (en) Lithium battery with external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layer
KR102384970B1 (ko) 전극조립체 및 그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KR20240019436A (ko)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US11721839B2 (en)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connection between electrode tabs
CN115066803B (zh)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用电装置、制造方法及设备
KR100873309B1 (ko) 외부충격에 대해 우수한 안전성을 제공하는 이차전지용안전부재
JP2018098154A (ja) 蓄電素子、蓄電装置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KR102001105B1 (ko) 이차 전지
KR102101428B1 (ko) 방열 성능이 개선된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조립체
JP200512305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2497004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73097B1 (ko) 이차 전지
KR101637896B1 (ko) 절연용 액상물질 수용부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KR102401848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0328155Y1 (ko)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CN117080668A (zh) 防止热失控传播的电池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