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367A -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367A
KR20240019367A KR1020247001379A KR20247001379A KR20240019367A KR 20240019367 A KR20240019367 A KR 20240019367A KR 1020247001379 A KR1020247001379 A KR 1020247001379A KR 20247001379 A KR20247001379 A KR 20247001379A KR 20240019367 A KR20240019367 A KR 2024001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terface
inform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쉥시앙 구어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기기(UE)가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나,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무선 통신 기술(V2X, Vehicle to Everything)은 차량을 모든 것에 연결하는 차세대 정보 통신 기술이다. V2X는 Uu 인터페이스(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와 PC5 인터페이스(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로 불리우는 2가지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스펙트럼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사용을 위해 할당될 수 있는 실제 스펙트럼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기존 허가된 주파수 대역에 대해,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엔알(NR, New Radio) 허가된 스펙트럼 서비스와 NR V2X 서비스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주요 수요이다. 단말의 경우,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NR 허가된 스펙트럼 서비스와 NR 사이드링크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장면이 될 것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UE)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능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UE)에서 송신된 전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에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UE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능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사용자 기기(UE)에서 송신된 전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 모듈; 및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4 결정 모듈; 및
상기 UE에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UE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제4 송신 모듈;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UE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제4 수신 모듈; 및
상기 통신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5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5 측면에 따르면, 통신 기기 장치가 제공되고,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가 수행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6 측면에 따르면,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저장 매체에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에 따르면, UE에 의해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리하여, UE에 의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없어서 발생한 파라미터 설정 오류를 감소한다.
이해해야 하는 바로는,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명세서와 함께 사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정보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정보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기지국과 UE의 인터랙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또 다른 정보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정보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정보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을 참조할 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현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모든 구현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 측면과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하나", "상기" 및 "당해"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또한 다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이해해야 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열거된 관련 아이템의 임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지만, 상기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같은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도록 사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제1 정보는 또한 제2 정보로 부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정보는 또한 제1 정보로 부를 수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어 "만약"은 "... 할 때" 또는 "... 경우"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로 이해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이며,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단말(11) 및 여러 개의 기지국(12)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기기일 수 있다. 단말(11)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단말(11)은 센서 기기,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폰이라고 함)와 같은 사물 인터넷 단말, 및 예컨대 고정식, 휴대형, 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은 사물 인터넷 단말을 구비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Station, STA),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장치(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기기(user device)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일 수 있다. 또는, 단말(11)은 무인 항공기의 기기일 수도 있다. 또는, 단말(11)은 차량 탑재 기기일 수도 있으며, 예컨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트립 컴퓨터 또는 트립 컴퓨터에 연결된 무선 통신 기기일 수 있다. 또는, 단말(11)은 도로변 기기일 수도 있으며, 예컨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신호등, 또는 다른 도로변 기기일 수 있다.
기지국(12)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이라고도 불리우는 제4세대 이동통신 기술(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G) 시스템일 수 있고; 또는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5G NR시스템이라고도 불리우는 5G 시스템일 수 있다. 또는,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의 차세대 시스템일 수도 있다. 5G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는 NG-RAN(New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라고 불리울 수 있다. 또는, MTC 시스템이다.
기지국(12)은 4G 시스템에 사용되는 진화된 기지국(eNB)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12)은 5G 시스템에서 중앙 집중 및 분산식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기지국(gNB)일 수도 있다. 기지국(12)이 중앙 집중 및 분산식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및 적어도 2개의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한다. 중앙 유닛에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및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의 프로토콜 스택이 설치되어 있고; 분산 유닛에는 물리적(Physical, PHY) 계층 프로토콜 스택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12)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기지국(12)과 단말(11) 사이의 무선 연결은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방식에서, 당해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는 제4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4G)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또는, 당해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는 제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5G)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예컨대 당해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는 엔알이거나; 또는, 당해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는 5G의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에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11) 사이에 E2E(End to End, 종단 간) 연결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차량 인터넷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 중의 V2V(vehicle to vehicle, 차량과 차량 간) 통신,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과 도로변 기기 간) 통신, V2P(vehicle to pedestrian,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 등 장면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관리 기기(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러 개의 기지국(12)은 네트워크 관리 기기(13)에 각각 연결된다. 네트워크 관리 기기(13)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당해 네트워크 관리 기기(13)는 진화된 데이터 패킷 코어 네트워크(Evolved Packet Core, EPC)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다. 또는, 당해 네트워크 관리 기기는 예컨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공통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ublic Data Network GateWay, PGW),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 유닛(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또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와 같은 기타 코어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관리 기기(13)의 구현 형태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수행 주체는 셀룰러 이동통신을 서포트하는 휴대폰 단말과 같은 UE, 및 기지국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 장면은 다음과 같다. 단말과 같은 UE는 무선 신호의 출력 전력 보고를 보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e-PowerClass를 사용하여 UE 출력 전력 보고를 수행하며, 보고된 출력 전력은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한 것이다. 즉, UE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출력 전력을 보고할 수 있다. UE는 일반적으로 전력 클래스의 형태로 출력 전력을 보고하며, 전력 클래스는 PC2 및 PC3 등을 포함한다. PC3은 최대 전력이 23dBm인 것을 나타내고, PC2는 최대 전력이 26dBm인 것을 나타낸다. UE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NR 허가된 스펙트럼 서비스 및 NR 사이드링크 서비스를 동시 수행할 경우, 출력 전력 보고는 당해 허가된 스펙트럼 서비스의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보고된 것이나, NR 사이드링크 서비스의 전력 클래스를 고려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NR Uu 인터페이스에서의 허가된 스펙트럼 서비스의 경우, 해당 전력 클래스는 PC3일 수 있고, PC2 등일 수도 있다. 동시에 해당 NR 사이드링크 서비스의 전력 클래스는 PC3일 수 있고, PC2(최대 26dBm) 등일 수도 있다. 전력 클래스는 UE의 구체적인 설계 및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 관련 기술에서, Uu 인터페이스의 전력 클래스, PC5 인터페이스의 전력 클래스 및 보고하는 UE의 전력 클래스는 표 1에 나타낸 상황과 같을 수 있다.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ƒˆ아,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NR 허가된 스펙트럼 서비스 및 NR 사이드링크 서비스가 동시 수행될 경우, 관련 기술에서의 전력 클래스 보고 방식은 UE의 실제 상황을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UE의 실제 전력 클래스를 정확하게 보고하는 방법이 시급히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고, 정보 전송 방법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UE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계 201을 포함한다.
단계 201,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UE는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폰 UE 등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UE에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각각 지시하거나; 또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UE가 곧 워킹하는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각각 지시한다.
여기서, UE 전력 클래스가 제공되어,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 전력 값 또는 사이드링크(SL, SideLink) 전송의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UE의 업링크 송신 전력의 크기는 전력 클래스(Power class)에 따라 등급을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클래스 3(PC3)의 송신 전력은 23dBm이고, 전력 클래스 2(PC2)의 송신 전력은 26dBm이고, 등등.
UE는 하나의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어 UE 및/또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구현되는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여기서, 워킹 주파수 대역은 일부 설정된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일 수 있다.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어 UE 및/또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V2X 통신의 하나 워킹 주파수 대역에 대해, UE는 하나의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고, UE는 또한 당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SL, sidelink)의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UE와 통신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UE는 워킹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할 수 있고, UE가 보고하는 것은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이나, 기지국은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에 따라 상이한 인터페이스의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없다.
여기서, UE 전력 클래스는 UE가 각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하는 전력 클래스일 수 있다. UE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UE의 보고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한다.
UE는 기지국에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업링크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력 지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 3), 미디어 액세스 제어-제어 요소(MAC-CE, Media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MAC-CE,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등 시그널링에 전력 지시 정보가 운반될 수 있다.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전용 업링크 시그널링에 운반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업링크 시그널링에서의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각 인터페이스에 대해 전력 파라미터, 리소스 파라미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없어서 발생한 전력 파라미터 설정 오류 등 문제가 감소된다.
이리하여, UE에 의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상이한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나아가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어서, 발생하는 UE 전력 파라미터 설정 오류 등 문제가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UE가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신할 때의 총 전력 클래스일 수 있다.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가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의 단순한 누적이 아니기 때문에, UE의 최대 송신 전력, 동일 주파수 간섭, 상이한 인터페이스 전송의 시간 도메인 위치 등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와 동일할 수 있고,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2개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는 모두 PC3이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PC2일 수 있고, PC3일 수도 있다. 따라서, UE는 또한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보고할 수 있다.
UE는 Uu 인터페이스와 PC5 인터페이스에서 동시 통신한다. UE의 무선 전력 증폭기의 최대 전력의 제한으로 인해, UE는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UE의 총 전력 클래스가 제한된다. 예를 들어,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PC2이다. UE가 Uu 인터페이스와 PC5 인터페이스에서 동시에 각자의 최대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할 경우, 누적된 총 전력은 UE의 총 전력 클래스에 의해 정의된 전력 값을 초과하게 된다. UE는 Uu 인터페이스의 통신과 PC5 인터페이스의 통신을 분할하여 수행하는 방식, 또는 Uu 인터페이스 및/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전력을 더 낮은 클래스로 백오프하는 방식 등을 통해 워킹 주파수 대역의 총 전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동일한 시간의 총 전력은 UE의 총 전력 클래스에 의해 정의된 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게 된다.
예시적으로, UE가 보고하는 전력 지시 정보는 표 2에 나타낸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할 수 있다.
이리하여, UE에 의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리하여, 명시적 방식으로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함으로써, 기지국이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전력 클래스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서어 발생한 파라미터 설정 오류의 문제가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202 내지 단계 203을 더 포함한다.
단계 202, 기지국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203,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결정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인터페이스의 전력에 대한 조정, 각 인터페이스의 워킹 시간 도메인 등 리소스에 대한 설정 등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UE의 전력 출력은 실제 통신 요구를 충족시키고, 통신 규범에 부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실제 통신 수요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을 설정하여 최대 설정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품질 및/또는 전력 소모에 대한 수요에 따라, UE에 대해 적합한 최대 설정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전력 백오프는 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을 1dB 압축 포인트, 즉 1dB 게인 포인트에서, 소정의 값 예컨대 6~10dB로 백오프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력 증폭기로 하여금 선형 워킹 영역 내에서 워킹하도록 유지한다. 기지국은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UE의 신호 송신 전력 증폭기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UE의 신호 송신 전력 증폭기가 선형 워킹 영역 내에서 워킹하도록 유지한다.
SAR은 UE 설계에서 UE가 무선 신호를 송신할 때 인체에 대한 방사선량을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이다. UE가 신호를 송신할 때 UE의 전력 클래스는 SAR의 방사 요구를 초과하면 안된다. 복수의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워킹할 경우, 특정 이벤트 윈도우에서, 예를 들어, 복수의 인터페이스가 최대 전력으로 동시에 통신할 경우,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SAR의 방사 요구를 초과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결정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SAR 규제 전략을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인터페이스의 신호 송신 리소스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총 전력이 너무 높아서 UE 방사가 SAR 요구를 초과하는 상황을 줄인다. 예를 들어, 각 인터페이스의 송신 시간 도메인을 조정하여, 각 인터페이스의 송신 시간 도메인이 중첩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낮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능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통신 기능은 UE의 다중 인터페이스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UE가 V2X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에서, 기지국과 UE가 인터랙션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단계 401 내지 단계 4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 기지국은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여, UE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시 수행하는 기능을 보고하도록 요구한다.
기지국은 UE가 V2X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전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402, UE는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보고한다.
UE는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한 후, 기지국에 통신 기능 정보를 보고하여,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UE가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지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지국은 UE를 제어하는 V2X 통신을 구축하기 전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UE는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한 후, 기지국에 통신 기능 정보를 보고하여, UE가 허가된 스펙트럼, 즉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단계 403, 기지국은 기능 보고 및 그룹 네트워크 수요에 따라 UE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V2X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즉, 기지국은 동일한 허가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UE에 대해 Uu 인터페이스에서 NR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하고, 또한 PC5 인터페이스에서 SL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단계 404, UE는 당해 허가된 스펙트럼에서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IntraConccurent,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PC5, 및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Uu를 보고한다. 보고 가능한 UE 전력 클래스는 예를 들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계 405,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전력 클래스에 따라 UE가 응답하는 전력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UE의 총 전력 클래스,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에 따라, PC5 인터페이스 및 Uu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대응되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가능한 전력 백오프, SAR 규제 전략 등 지표를 설정한다.
이리하여, V2X 서비스에서, UE는 각 인터페이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보고하는 것을 완성한다. 기지국은 보고된 UE의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력 설정을 완성한다. 이리하여, UE의 전력 출력은 실제 통신 수요를 충족시키고, 통신 규범에 부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고, 정보 전송 방법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계 501 내지 단계 502를 포함한다.
단계 501, 사용자 기기(UE)에서 송신된 전력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502,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UE는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폰 UE 등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UE에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각각 지시하거나; 또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UE가 곧 워킹하는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각각 지시한다.
여기서, UE 전력 클래스가 제공되어,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 전력 값 또는 사이드링크(SL, SideLink) 전송의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UE의 업링크 송신 전력의 크기는 전력 클래스(Power class)에 따라 등급을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클래스 3(PC3)의 송신 전력은 23dBm이고, 전력 클래스 2(PC2)의 송신 전력은 26dBm이고, 등등.
UE는 하나의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어 UE 및/또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구현되는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여기서, 워킹 주파수 대역은 일부 설정된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일 수 있다.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어 UE 및/또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V2X 통신의 하나 워킹 주파수 대역에 대해, UE는 하나의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고, UE는 또한 당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사이드링크의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UE와 통신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UE는 워킹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할 수 있고, UE가 보고하는 것은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이나, 기지국은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에 따라 상이한 인터페이스의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없다.
여기서, UE 전력 클래스는 UE가 각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송신할 때 사용하는 전력 클래스일 수 있다. UE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UE의 보고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한다.
UE는 기지국에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업링크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전력 지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 3), 미디어 액세스 제어-제어 요소(MAC-CE, Media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MACCE,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등 시그널링에 전력 지시 정보가 운반될 수 있다.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전용 업링크 시그널링에 운반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업링크 시그널링에서의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각 인터페이스에 대해 전력 파라미터, 리소스 파라미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없어서 발생한 전력 파라미터 설정 오류 등 문제가 감소된다.
이리하여, UE에 의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상이한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나아가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어서, 발생하는 UE 전력 파라미터 설정 오류 등 문제가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UE가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신할 때의 총 전력 클래스일 수 있다.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가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의 단순한 누적이 아니기 때문에, UE의 최대 송신 전력, 동일 주파수 간섭, 상이한 인터페이스 전송의 시간 도메인 위치 등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와 동일할 수 있고,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2개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는 모두 PC3이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PC2일 수 있고, PC3일 수도 있다. 따라서, UE는 또한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보고할 수 있다.
UE는 Uu 인터페이스와 PC5 인터페이스에서 동시 통신한다. UE의 무선 전력 증폭기의 최대 전력의 제한으로 인해, UE는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UE의 총 전력 클래스가 제한된다. 예를 들어,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PC2이다. UE가 Uu 인터페이스와 PC5 인터페이스에서 동시에 각자의 최대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할 경우, 누적된 총 전력은 UE의 총 전력 클래스에 의해 정의된 전력 값을 초과하게 된다. UE는 Uu 인터페이스의 통신과 PC5 인터페이스의 통신을 분할하여 수행하는 방식, 또는 Uu 인터페이스 및/또는 PC5 인터페이스의 전력을 더 낮은 클래스로 백오프하는 방식 등을 통해 워킹 주파수 대역의 총 전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동일한 시간의 총 전력은 UE의 총 전력 클래스에 의해 정의된 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게 한다.
예시적으로, UE가 보고하는 전력 지시 정보는 표 2에 나타낸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할 수 있다.
이리하여, UE에 의해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리하여, 명시적 방식으로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함으로써, 기지국이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전력 클래스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서어 발생한 파라미터 설정 오류의 문제가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에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결정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인터페이스의 전력에 대한 조정, 각 인터페이스의 워킹 시간 도메인 등 리소스에 대한 설정 등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UE의 전력 출력은 실제 통신 요구를 충족시키고, 통신 규범에 부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실제 통신 수요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을 설정하여 최대 설정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품질 및/또는 전력 소모에 대한 수요에 따라, UE에 대해 적합한 최대 설정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전력 백오프는 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을 1dB 압축 포인트, 즉 1dB 게인 포인트에서, 소정의 값 예컨대 6~10dB로 백오프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력 증폭기로 하여금 선형 워킹 영역 내에서 워킹하도록 유지한다. 기지국은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UE의 신호 송신 전력 증폭기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UE의 신호 송신 전력 증폭기가 선형 워킹 영역 내에서 워킹하도록 유지한다.
SAR은 UE 설계에서 UE가 무선 신호를 송신할 때 인체에 대한 방사선량을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이다. UE가 신호를 송신할 때 UE의 전력 클래스는 SAR의 방사 요구를 초과하면 안된다. 복수의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워킹할 경우, 특정 이벤트 윈도우에서, 예를 들어, 복수의 인터페이스가 최대 전력으로 동시에 통신할 경우, UE의 총 전력 클래스는 SAR의 방사 요구를 초과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결정된 각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SAR 규제 전략을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인터페이스의 신호 송신 리소스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총 전력이 너무 높아서 UE 방사가 SAR 요구를 초과하는 상황을 줄인다. 예를 들어, 각 인터페이스의 송신 시간 도메인을 조정하여, 각 인터페이스의 송신 시간 도메인이 중첩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낮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UE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기능은 UE의 다중 인터페이스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UE가 V2X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에서, 기지국과 UE가 인터랙션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단계 401 내지 단계 4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 기지국은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여, UE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시 수행하는 기능을 보고하도록 요구한다.
기지국은 UE가 V2X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전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402, UE는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보고한다.
UE는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한 후, 기지국에 통신 기능 정보를 보고하여,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UE가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지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지국은 UE를 제어하는 V2X 통신을 구축하기 전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UE는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한 후, 기지국에 통신 기능 정보를 보고하여, UE가 허가된 스펙트럼, 즉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단계 403, 기지국은 기능 보고 및 그룹 네트워크 수요에 따라 UE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V2X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기지국은 동일한 허가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UE에 대해 Uu 인터페이스에서 NR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하고, 또한 PC5 인터페이스에서 SL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단계 404, UE는 당해 허가된 스펙트럼에서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IntraConccurent,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PC5, 및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Uu를 보고한다. 보고 가능한 UE 전력 클래스는 예를 들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계 405,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전력 클래스에 따라 UE가 응답하는 전력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UE의 총 전력 클래스,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에 따라, PC5 인터페이스 및 Uu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대응되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가능한 전력 백오프, SAR 규제 전략 등 지표를 설정한다.
이리하여, V2X 서비스에서, UE는 각 인터페이스 및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보고하는 것을 완성한다. 기지국은 보고된 UE의 전력 클래스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력 설정을 완성한다. 이리하여, UE의 전력 출력은 실제 통신 수요를 충족시키고, 통신 규범에 부합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를 결부하여 일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UE는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보고한다.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기능, 및 실제 그룹 네트워크 수요에 따라, UE에 명령을 송신하여, UE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신 전송하도록 요구한다.
UE는 동일한 허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1. Intra-band Concurrent Operation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
2.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및
3.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를 보고한다.
네트워크는 UE에서 보고된 UE의 총 전력 클래스,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및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의 전력 클래스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에서의 UE의 최대 전송 전력, 전력 백오프 등 해당 지표를 설정한다.
UE와 기지국의 인터랙션 흐름도는 도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단계 401, 기지국은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여, UE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시 수행하는 기능을 보고하도록 요구한다.
단계 402, UE는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V2X 서비스를 동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보고한다.
실시예 2
단계 403, 기지국은 기능 보고 및 그룹 네트워크 수요에 따라 UE가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V2X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기능, 및 그룹 네트워크 서비스 수요에 따라, 동일한 허가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UE에 대해 Uu 인터페이스에서 NR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하고, 또한 PC5 인터페이스에서 SL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실시예 3
단계 404, UE는 당해 허가된 스펙트럼에서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IntraConccurent,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PC5, 및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e-PowerClassUu를 보고한다. 보고 가능한 전력 클래스는 예를 들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4
단계 405,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전력 클래스에 따라 UE가 응답하는 전력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기지국은 UE에서 보고된 UE의 총 전력 클래스, PC5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 U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전력 클래스에 따라, PC5 인터페이스 및 Uu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대응되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가능한 전력 백오프, SAR 규제 전략 등 지표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의 UE에 적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전송 장치(100)는 제1 송신 모듈(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 모듈(110)은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00)는,
기지국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120); 및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13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00)는,
기지국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140); 및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능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하고, 무선 통신의 기지국에 적용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전송 장치(200)는 제3 수신 모듈(210) 및 제2 결정 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수신 모듈(210)은, 사용자 기기(UE)에서 송신된 전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결정 모듈(220)은,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200)는,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제3 결정 모듈(23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200)는,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4 결정 모듈(240); 및
상기 UE에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25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200)는,
상기 UE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제4 송신 모듈(260);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UE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제4 수신 모듈(270); 및
상기 통신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5 결정 모듈(28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송신 모듈(110), 제1 수신 모듈(120), 제1 결정 모듈(130), 제2 수신 모듈(140), 제2 송신 모듈(150), 제3 수신 모듈(210), 제2 결정 모듈(220), 제3 결정 모듈(230), 제4 결정 모듈(240), 제3 송신 모듈(250), 제4 송신 모듈(260), 제4 수신 모듈(270) 및 제5 결정 모듈(280) 등은 하나 또는 복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P, baseband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소자(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복잡한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소자(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MCU, Micro Controller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을 수행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장치(30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30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징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용 디지털 비서 등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3000)는 처리 컴포넌트(3002), 메모리(3004), 전원 컴포넌트(30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 오디오 컴포넌트(30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3012), 센서 컴포넌트(3014), 및 통신 컴포넌트(3016)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컴포넌트(3002)는 일반적으로 장치(30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3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30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 외에 처리 컴포넌트(3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처리 컴포넌트(3002)와 기타 컴포넌트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처리 파트(30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와 처리 컴포넌트(3002)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메모리(3004)는 장치(3000)에서의 조작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는 장치(3000)에서 조작을 위한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30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PROM), 읽기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컴포넌트(3006)는 장치(3000)의 각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컴포넌트(30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장치, 및 장치(3000)에 대해 전력의 생성, 관리 및 할당을 하기 위한 기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는 장치(3000)와 사용자 사이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 위에 있는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3008)는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장치(3000)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에 있는 경우,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는 고정한 광학렌즈 시스템일 수 있고 또는 초점 거리 및 광학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30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 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30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3000)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에 있는 경우, 마이크가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더 나아가 메모리(30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30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30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3010)는 처리 컴포넌트(30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3014)는 장치(3000)에 대해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3014)는 장치(3000)의 온/오프 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포넌트가 장치(30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이며, 센서 컴포넌트(3014)는 장치(3000) 또는 장치(3000)의 하나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3000) 사이의 접촉 유무, 장치(3000)의 방향과 위치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30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30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접촉이 없을 때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 컴포넌트(3014)는 또한 이미징 응용에서 사용하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해 센서 컴포넌트(3014)는 또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3016)는 장치(3000)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장치(3000)는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30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30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30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디지털 시그널 처리 기기(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LD),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또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어,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3004)가 제공되어, 상기 명령이 장치(3000)의 프로세서(30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고려하여 개시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 방식을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개되지 않은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하기의 청구 범위에 의해 지적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은 위에서 설명되어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6)

  1.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UE)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능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UE)에서 송신된 전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에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UE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3.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력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는 또한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서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능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19.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기기(UE)에서 송신된 전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 모듈; 및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워킹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UE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의 UE의 총 전력 클래스를 결정하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력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4 결정 모듈; 및
    상기 UE에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전력 설정 파라미터는,
    최대 설정 전력;
    허용 전력 백오프; 및
    전자파흡수율 (SAR) 규제 전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UE에 통신 기능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제4 송신 모듈;
    상기 통신 기능 보고 요청에 응답하여 UE에서 송신된 통신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제4 수신 모듈; 및
    상기 통신 기능 정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워킹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5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4.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 및 사이드링크 PC5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5. 통신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6.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에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KR1020247001379A 2021-06-18 2021-06-18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40019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01055 WO2022261973A1 (zh) 2021-06-18 2021-06-18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367A true KR20240019367A (ko) 2024-02-14

Family

ID=7855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379A KR20240019367A (ko) 2021-06-18 2021-06-18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8553A1 (ko)
KR (1) KR20240019367A (ko)
CN (1) CN113678499A (ko)
BR (1) BR112023026549A2 (ko)
WO (1) WO2022261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4633A (zh) * 2021-12-27 2022-04-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4424603B (zh) * 2021-12-27 2024-0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上报或接收用户设备能力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4503693B (zh) * 2021-12-31 2023-09-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的功率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5544B2 (en) * 2010-11-02 2015-06-09 Alcatel Lucent Methods of setting maximum output power for user equipment and reporting power headroom, and the user equipment
GB2506445B (en) * 2012-10-01 2015-06-10 Broadcom Corp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signalling transmitted output power
EP4156801A1 (en) * 2017-11-15 2023-03-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in 5g nr
US10694475B2 (en) * 2017-12-01 2020-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maximum transmit power
WO2020087437A1 (en) * 2018-11-01 2020-05-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same
WO2021003614A1 (zh) * 2019-07-05 2021-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272459B2 (en) * 2019-11-07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wireless device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3026549A2 (pt) 2024-03-05
WO2022261973A1 (zh) 2022-12-22
EP4358553A1 (en) 2024-04-24
CN113678499A (zh)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2761B (zh)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基站及用户设备
CN111279758B (zh) 上行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771222B (zh) 寻呼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19367A (ko) 정보 전송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저장 매체
CN110495196B (zh) 能力参数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1357239A (zh) 通信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236977B (zh) 参数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1713136B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KR20240005098A (ko) 리소스 설정 방법, 장치, 통신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819905A (zh) 随机接入配置的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156703A1 (en) DATA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as amended)
EP4017040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053473A (zh) Rsrp门限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122893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1226457B (zh) 资源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4902730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EP4181578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40137877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052122A1 (zh) 资源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2213330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2189375B (zh) 传输调度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2073243A1 (zh) 通信方法及装置、用户设备及存储介质
CN113383589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2047713A1 (zh) 通信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US20240163135A1 (e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channel estimation,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