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986A -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 Google Patents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986A
KR20240018986A KR1020220097008A KR20220097008A KR20240018986A KR 20240018986 A KR20240018986 A KR 20240018986A KR 1020220097008 A KR1020220097008 A KR 1020220097008A KR 20220097008 A KR20220097008 A KR 20220097008A KR 20240018986 A KR20240018986 A KR 20240018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isposed
rotor
motor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986A/ko
Priority to PCT/KR2023/009177 priority patent/WO2024029750A1/ko
Publication of KR2024001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8Surface mounted magnets; Inse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3Machines characterised by aspects of the air-gap between rotor and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몸체부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는 상기 돌기부가 배치된다.

Description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Motor and Electric oil pump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펌프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영역과, 유압을 발생시키는 펌프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펌프 내 모터 영역과 펌프 영역이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부품 수 및 제품 전체 사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EOP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 내 배치되는 외측기어 및 내측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외측기어는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캔을 통하여 배치 영역이 설정되고, 내측기어는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배치 영역이 설정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EOP는 외측기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펌프 내 작동 압력이 증가될수록 펌프의 출구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측기어 또는 내측기어의 회전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펌프 내 고압 발생 시 외측기어의 구동 토크가 상승함에 따라, 회전에 따른 불규칙한 마찰이 발생되고, 이는 펌프의 성능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5924호(2014. 06. 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로터의 회전 안정성을 확보하여, 마찰에 따른 토크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몸체부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는 상기 돌기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 배치되는 외측 기어; 및 상기 외측 기어 내 배치되는 내측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기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몸체부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는 상기 돌기부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플랜지부를 통하여 로터 내 동압 베어링의 효과를 가지는 구간을 형성하여, 로터의 회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기부를 통한 마그네트 플로팅 구조로 인해, 마그네트의 자력이 스테이터로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모터 및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기어, 내측기어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축 방향'은 로터, 내측기어, 외측기어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축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분해된 구성들이 결합되는 방향일 수 있다. '축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반경 방향'은 상술한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반경 방향'은 외측기어의 내면으로부터 제1로브의 돌출 방향, 내측기어의 내면으로부터 제2로브의 돌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원주 방향'은 스테이터, 로터, 외측기어, 내측기어 중 어느 하나의 원주 방향이거나, 스테이터, 로터, 외측기어, 내측기어 중 어느 하나의 원주 방향과 가상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영역의 원주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기어, 내측기어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10)는, 하우징(100)과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커버(200)는 스크류(290)를 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커버(200)는 각각 상기 스크류(29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2)와, 제2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12)와 상기 제2결합부(230)는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각각 상기 스크류(290)가 결합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200)의 일면에는 유체가 흡입되는 제1개구와, 순환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2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의 타면에는 상기 제1개구와 연결된 제3개구(212)와, 상기 제2개구와 연결된 제4개구(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커버(2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개구(212)와 상기 제4개구(214)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상기 커버(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상기 캔(470) 내 공간에 결합되는 장착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00)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착부(2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0)는 상기 캔(470) 내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캔(470) 내 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0)의 외주면과 상기 캔(470) 내 공간의 내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링 형상의 실링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2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210)의 외주면과 상기 캔(470) 내 공간의 내면 사이로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0)의 외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220)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의 상면에는 유체가 흡입되는 제3개구(212)와, 흡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4개구(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제3개구(212)와 상기 제4개구(214)는 각각 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개구(212)의 간격이 넓은 측은 상기 제4개구(214)의 간격이 넓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3개구(212)의 간격이 좁은 측은 상기 제4개구(214)의 간격이 좁은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212)와 상기 제4개구(214)는 상기 장착부(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펌프(1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하우징(100), 스테이터(300), 로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상기 펌프(10) 내 구성으로서, 외측기어(410)로도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 영역(120)과 하부 영역(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영역(120)은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영역(110)은 상기 상부 영역(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영역(120)의 내측에는 제2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122)은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공간(122)에는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공간(122)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및 터미널(39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다수의 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상부 영역(120)과 상기 하부 영역(110)을 구획하는 제1격벽(101,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01)의 중앙에는 후술할 캔(470)의 제1돌출부(478)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상기 제2공간(122)을 커버하도록 별도의 다른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다른 커버는 제2커버로 이름하고, 상기 커버(200)는 제1커버(200)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스테이터(stator, 300)와 로터(4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상기 커버(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재질이 플라스틱일 경우, 상기 스테이터(300)는 상기 하우징(100)과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300)와 상기 하우징(100)는 인서트(insert)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 몰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 내에는 상기 스테이터(300)가 배치되는 스테이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수용공간은 상기 제1공간(11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300)의 외면은 상기 하우징(100)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20)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320)에 권선되는 코일(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300)는 상기 코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310)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면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320)의 상면에는 라우터(39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우터(390)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32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코일(310)이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라우터(390)의 상면 상에는 버스바(3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버스바(340)에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32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코일(310)의 단부가 퓨징될 수 있다.
상기 라우터(390)의 상면에는 터미널(39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395)은 상기 라우터(39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터미널(39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에는 상기 제1공간(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4)은 상기 하부 영역(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4)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면 중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는 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300)의 배치 영역과 상기 제1공간(114)은 제2격벽(미도시)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의 내면은 상기 제1공간(114)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스테이터(300)와 후술할 외측기어(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은 상기 0.2mm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122)과 상기 제1공간(114)은 제1격벽(101)에 의해 상, 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01)의 하면은 상기 제1공간(114)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01)를 통해 상기 제1공간(114)과 상기 제2공간(122)은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114) 내 유체가 상기 제2공간(122)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상기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410)는 모터의 일 구성이나, 펌프(10)의 일 구성으로서 외측기어(410)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펌프ㅔ홀(10)의 구성으로서, 기어는 외측기어(410)와 내측기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4)에는 상기 외측기어(410) 및 상기 내측기어(4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상기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와 상기 스테이터(300)의 사이에는 상기 제2격벽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마그네트(440)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300)의 코일(3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300)와 상기 로터(410)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로터(41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의 중앙에는 상기 내측기어(450)가 배치되는 제1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413, 도 5 참조)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산부(412)와, 상기 복수의 산부(41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홀(413)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산부 및 골부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는 제1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기어(450)는 상기 로터(4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기어(450)는 상기 제1홀(41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외부로터로, 상기 내측기어(450)는 내부로터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기어(45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산부(454)와, 상기 다수의 산부(454) 사이에 배치되는 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기어(45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산부(454)와 다수의 골부가 상호 교번되게 배치되는 제2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내측기어(450)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N개의 기어치를 구비하는 제2로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N+1개의 제1로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브는 상기 제2로브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의 회전 시, 상기 제1로브와 상기 제2로브에 의해 상기 내측기어(45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기어(450)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캔(470) 내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상기 캔(470) 내 공간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와 상기 내측기어(450)는 편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터(410)와 상기 내측기어(450)의 편심에 의해, 상기 로터(410)와 상기 내측기어(450) 사이에 유체 연료를 운반할 수 있는 체적이 발생하게 되어, 체적이 증가한 부분은 압력 강하로 주의의 유체를 흡입하고, 체적이 감소한 부분은 압력의 증가로 유체를 토출하게 된다.
상기 내측기어(450)와 상기 로터(410)는 서로 중심이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와 상기 내측기어(450)의 회전 중심은 다를 수 있다.
상기 내측기어(450)의 중앙에는 후술할 샤프트(250)가 결합되는 홀(4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10)는 캔(4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470)은 상기 제1공간(11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캔(47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캔(470)은 상기 하우징(100)과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캔(47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캔(470)은 몸체부(472)와, 상기 몸체부(47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단부(474)와, 상기 몸체부(47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4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72)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내측기어(450) 및 상기 로터(4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72)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공간(11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몸체부(472)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하단부(474)는 상기 몸체부(47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부(474)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면과 상기 커버(2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478)는 상기 제1격벽(101) 내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478)의 단면 형상은 상기 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478)의 상단은 상기 제1격벽(101)의 상면 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478) 내에는 후술할 베어링(490)을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478)는 상기 몸체부(472) 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캔(470)에 의해 상기 제1공간(114) 내 유체가 상기 제2공간(122)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베어링(4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90)은 상기 로터(4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90)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490)은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90)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샤프트(2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50)는 상기 홀에 압입될 수 있다. 상게 샤프트(250)은 상기 내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50)의 외면은 상기 내륜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410)의 회전 시, 상기 베어링(490)은 상기 로터(4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모터는, 상기 로터(41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베어링(490)을 함께 회전시키는 서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터(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어링(490)은 상기 샤프트(25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펌프(10)는 샤프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50)는 상기 내측기어(450) 또는 상기 로터(4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50)는 상기 커버(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250)는 상기 장착부(2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250)는 상기 커버(200)와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50)는 상기 내측기어(450)에 결합되는 제1영역(252)과, 상기 베어링(490)에 결합되는 제2영역(2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52)은 상기 내측기어(450)의 홀(452)에 결합되고, 상기 제2영역(254)은 상기 베어링(490)의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52)과 상기 제2영역(254)은 각각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52)과 상기 제2영역(254)은 중심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52)의 중심(O1)은 상기 제2영역(254)의 중심(O2)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52)과 상기 제2영역(254)은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52)의 중심은 상기 내측기어(450)의 회전 중심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54)의 중심은 상기 로터(410)의 회전 중심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254)을 중심으로 상기 베어링(490) 및 상기 로터(410)의 회전이 지지되고, 상기 제1영역(252)을 중심으로 상기 내측기어(450)의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로터(4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로터(410)는 상기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상기 캔(470)의 내면과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0.08mm 내지 0.16mm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캔(470)의 생략 시, 상기 로터(410)는 상기 스테이터(300)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0.08mm 내지 0.16mm 이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410)는, 몸체부(411), 플랜지부(420), 돌기부(423) 및 가이드부(436)를 포함하는 로터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상기 로터(410)는 상기 몸체부(411)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 상기 플랜지부(420), 상기 가이드부(436) 및 상기 돌기부(42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 상기 플랜지부(420), 상기 가이드부(436) 및 상기 돌기부(423)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몸체부(411), 상기 플랜지부(420) 및 상기 돌기부(423)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로터 코어는 코어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는 상기 로터(4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는 상, 하면이 개구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기어(450)가 결합되는 제1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홀(413)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산부(412)와 골부가 상호 교번되게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그네트(440)가 결합되는 제1홈(4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홈(416)은 상기 몸체부(411)의 외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홈(416)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4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홈(416)에는 상기 마그네트(4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홈(416)의 바닥면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홈(417)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홈(417)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홈(417)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마그네트(440)의 내면은 상기 제1홈(416)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홈(416)의 바닥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홈(416) 사이에는 가이드부(4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는 상기 몸체부(41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는 상호 인접한 2개의 마그네트(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가 상기 몸체부(411)에 결합 시, 상기 마그네트(440)의 내면(444)은 상기 제1홈(416)의 바닥면과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440)의 측면은 상기 가이드부(430)의 측면과 원주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부(430)의 단면 형상은 오각형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는 상기 제1측면(432), 제2측면(434) 및 외면(436)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의 가이드부(4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측면(432)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432)은 상기 몸체부(411)의 외면과 예각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432)은 상기 마그네트(440)의 측면(44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432)은 상기 제1홈(416)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면(432)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홈(416)의 원주 방향 길이가 작아지는 형상의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면(432)은 외측으로 갈수록 인접한 가이드부(430)의 제1측면(432)까지의 원주 방향 길이가 작아지는 형상의 경사면일 수 있다.
단일의 가이드부(4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측면(43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4)은 상기 제1측면(43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4)은 상기 마그네트(440)의 측면(446)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434)은 상기 제1홈(416)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측면(434)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홈(416)의 원주 방향 길이가 커지는 형상의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의 외면(436)은 상기 복수의 제2측면(434)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의 외면(436)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30)의 외면(436)이 곡면일 경우, 상기 외면(436)의 곡률은 상기 제1홈(416)의 바닥면의 곡률에 대응하거나, 후술할 플랜지부(420)의 곡률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외면(436)은 상기 플랜지부(420)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가이드부(430)의 외면(436)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마그네트(440)의 외면(442)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가이드부(430)의 외면(436)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플랜지부(420)의 외면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43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홈(416)에는 상기 마그네트(4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4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는 외면(442)과, 내면(444)과, 상기 외면(442)과 상기 내면(444)을 연결하는 측면(4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의 측면(446)은 상기 가이드부(430)의 제1측면(432)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의 측면(446)은 상기 가이드부(430)의 제1측면(43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의 측면(446)과 상기 가이드부(430)의 제1측면(432)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의 외면(442)은 상기 가이드부(430)의 외면(436)과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의 내면(446)은 상기 제1홈(416)의 바닥면, 즉 상기 몸체부(41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플랜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420)는 상기 몸체부(411)의 일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420)에 의해, 상기 로터(410)는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은 상기 마그네트(440)의 하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은 상기 마그네트(440)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과 상기 마그네트(440)의 하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411)의 축방향 길이(L1)는, 상기 마그네트(440)의 축방향 길이(L2)와, 상기 플랜지부(420)의 축방향 길이(L3)와 상기 갭(G)의 축 방향 길이를 합친 것과 같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가이드부(430)의 외면(436)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플랜지부(420)의 외면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마그네트(440)의 외면(442)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411)의 중앙에서 상기 플랜지부(420)의 외면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부(420)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부(430)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부(420)의 길이는 상기 로터(410) 또는 상기 몸체부(411)의 길이의 15% 내지 40%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1홈(416)은 상기 가이드부(430)의 측면,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에 의해 내면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40)는 양 측면(446)과, 하면이 각각 상기 가이드부(430)의 측면 및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에 의해 커버되고, 상면이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로터(410)는 돌기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3)는 상기 마그네트(440)와 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플랜지부(4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3)는 상기 마그네트(440)와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3)는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3)를 통하여 상기 마그네트(440)의 하면은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과 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3)의 상면은 상기 마그네트(44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단일의 제1홈(416)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423)는 상기 플랜지부(420)의 원주 방향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단일의 제1홈(416)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423)는 1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423)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부(420)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3)와 상기 마그네트(440)가 접촉되는 영역의 넓이는, 상기 마그네트(440)와 마주하는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의 넓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플랜지부를 통하여 로터 내 동압 베어링의 효과를 가지는 구간을 형성하여, 로터의 회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기부를 통한 마그네트 플로팅 구조로 인해, 마그네트의 자력이 스테이터로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모터 및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부(420)가 상기 커버(200)와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411)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플랜지부(420)는 상기 베어링(490)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41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423)는, 마그네트(440)와 마주하는 플랜지부(4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몸체부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는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마그네트는 상호 이격되는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의 15% 내지 40% 이내인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그네트와 접촉되는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는 0.08mm 내지 0.16mm만큼 이격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은 상기 몸체부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과 접촉되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과 이격되는 제2측면과, 상기 제2측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면을 포함하는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모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외면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모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인접한 가이드부의 제1측면까지의 원주 방향 길이가 작아지는 형상의 경사면인 모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기 플랜지부, 상기 돌기부 및 상기 가이드부는 한몸으로 형성되는 모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길이(L1)는, 상기 마그네트의 축방향 길이(L2), 상기 플랜지부의 축방향 길이(L3) 및 상기 돌기부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의 갭(G)의 축 방향 길이의 합인 모터.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과 동일 곡률을 가지는 모터.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 배치되는 외측 기어; 및
    상기 외측 기어 내 배치되는 내측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기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몸체부 외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는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는 펌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마그네트는 상호 이격되는 펌프.
  18. 제16항에 있어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의 15% 내지 40% 이내인 펌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그네트와 접촉되는 펌프.
  20. 제16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는 0.08mm 내지 0.16mm만큼 이격되는 펌프.
KR1020220097008A 2022-08-03 2022-08-03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KR20240018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08A KR20240018986A (ko) 2022-08-03 2022-08-03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PCT/KR2023/009177 WO2024029750A1 (ko) 2022-08-03 2023-06-29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08A KR20240018986A (ko) 2022-08-03 2022-08-03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986A true KR20240018986A (ko) 2024-02-14

Family

ID=8984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008A KR20240018986A (ko) 2022-08-03 2022-08-03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8986A (ko)
WO (1) WO202402975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924A (ko) 2012-12-11 2014-06-20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식 오일펌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787A (ja) * 2005-06-30 2007-01-18 Hitachi Ltd モータ一体型内接歯車式ポンプ及び電子機器
JP5446974B2 (ja) * 2009-08-04 2014-03-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電動ポンプユニット
DE102012112228A1 (de) * 2012-12-13 2014-06-18 Hanning Elektro-Werke Gmbh & Co. Kg Rotor sowie Elektromotor
US20160006305A1 (en) * 2014-07-01 2016-01-07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Easily mountable motor rotor
KR102015215B1 (ko) * 2018-03-06 2019-08-27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전동펌프용 로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924A (ko) 2012-12-11 2014-06-20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식 오일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750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293B1 (ko) 소형 구조의 고 토크용 연료 펌프
US7474028B2 (en) Motor
JP2007129847A (ja) 電動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ポンプ
US7396217B2 (en) Fuel pump to be installed inside fuel tank
US11050316B2 (en) Axial gap type rotating electric machine
KR20240018986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KR20240022926A (ko) 펌프
KR20230153556A (ko) 펌프
EP4368837A1 (en) Pump
US20220412351A1 (en) Pump
JP2005207320A (ja) 燃料ポンプ
US20220412349A1 (en) Pump
US20230003219A1 (en) Pump
WO2019181523A1 (ja) ステ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モータ
KR20240064950A (ko) 모터
KR20240058230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KR20230024800A (ko) 펌프
KR20230090607A (ko) 펌프
KR102670989B1 (ko) 펌프
KR20240074967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US20220341420A1 (en) Pump
KR20240078043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US20240030762A1 (en) Motor
KR20240078042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KR20240007024A (ko)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