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770A -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 Google Patents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770A
KR20240018770A KR1020220096497A KR20220096497A KR20240018770A KR 20240018770 A KR20240018770 A KR 20240018770A KR 1020220096497 A KR1020220096497 A KR 1020220096497A KR 20220096497 A KR20220096497 A KR 20220096497A KR 20240018770 A KR20240018770 A KR 2024001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pidor
drain
contamination
ventilation
uni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770A/en
Publication of KR2024001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77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타액, 혈액 등이 모이는 타구액을 수용하는 타구대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고 제어하여, 타구대 사용에 의한 2차 오염을 줄이고 환자 및 병원의 위생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통풍 수단을 포함하여 치과 치료 중 환자에게 심신의 안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ventilation means.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measure and control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cuspidor that accommodates the cuspidor fluid, which collects the patient's saliva and blood, to reduce secondary contamination caused by the use of the cuspidor and to improve the hygiene of patients and hospitals. In addition, we aim to provide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to patients during dental treatment, including ventilation measures.

Description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 및 상기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the cuspidor and ventilation means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본 발명은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 및 상기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타액, 혈액 등이 모이는 타구액에 대한 오염을 측정하고 제어함으로서, 타구대 사용에 의한 2차 오염을 줄이고 환자 및 병원의 위생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타구대를 제공한다. 또한 위와 같은 타구대와 함께 환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치과용 유니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보다 편안하고 위생적인 진료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the cuspidor and ventilation means. More specifically, a cuspidor is provided to reduce secondary contamination caused by the use of a cuspidor and improve the hygiene of patients and hospitals by measuring and controlling contamination of saliva, blood, etc. collected from patients. In addition, a dental unit equipped with the above cuspidor and means to improve patient convenience is provided. This is to ensure more comfortable and hygienic treatment.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치과 등에서 수진자를 수용하는 장비로서,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 등을 받치는 등받이 및 엉덩이와 다리를 받치는 다리받침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진자는 유니트 체어에 누운 자세로 진료를 받는다. 또한, 핸드피스와 같은 치과용 시술기구를 거치하는 거치대(진료 테이블 또는 닥터 테이블(doctor table)), 수진자가 침 또는 구강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양치용 급수대 및 타구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dental unit chair is equipment for accommodating a patient at a dental clinic, etc., and generally includes a headrest to support the patient's head, a backrest to support the patient's back, and a leg rest to support the buttocks and legs. Typically, patients receive treatment while lying down in a unit chair.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stand (treatment table or doctor table) for holding dental surgical instruments such as handpieces, a toothbrushing fountain and cuspidor that supplies water so that the examinee can wash saliva or the oral cavity, etc. You can.

또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구강 내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 구강 내부를 보여주거나 CT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TV 시청 등을 위한 모니터를 설치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환자 편의를 위한 테이블 등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can be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 unit chair monitor arm that shows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displays CT image information, or installs a monitor for watching TV, a table for patient convenience, etc. there is.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는 상기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은 환자나 시술자의 동선과 편의 및 시술시 충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효율이 좋은 동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동작이 편리하도록 구비된다.The various devices or instruments installed in the unit chair are installed to have an efficient movement line to provide sufficient functions during the procedure and the patient or operator's movement and convenience, and are provided for convenient oper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시술자의 각종 치료 기구류를 거치하고 조작할 수 있는 닥터 테이블이 구비된다. 닥터 테이블은, 예를 들어, 유니트 체어에 구비된 폴(pole)에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unit chair is equipped with a doctor's table on which the operator can place and operate various treatment instruments. The doctor table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on a pole provided on a unit chair.

상기 폴에는 밸런스 아암(Balance Arm)이 구비되며, 밸런스 아암에 의해 닥터 테이블이 지지될 수 있다. 밸런스 아암에 의해 닥터 테이블을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며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밸런스 아암은 수평 이동뿐 아니라 수직 이동을 포함한 3차원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이다. 밸런스 아암의 이러한 3차원적 운동에 의해 닥터 테이블이 시술자가 원하는 높이로 이동된다.The pole is provided with a balance arm, and the doctor table can be supported by the balance arm. By using the balance arm, the doctor's table can be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the operator and maintained in that position. The balance arm is a device that can perform three-dimensional movements, including horizontal as well as vertical movements. This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balance arm moves the doctor's table to the height desired by the operator.

타구대는 타구통을 구비하여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타액이나 이물질을 뱉을 수 있도록 유닛체어본체 상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타구대는 혈액을 비롯하여 타액, 치료에 사용되는 약품이나 물질 등을 뱉어내고 입 헹굼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수시로 세척하지 않으면 불결해지기 쉽고, 환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The cuspidor is equipped with a cuspidor and is installed on the unit chair body so that the patient can spit out saliva or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mouth after receiving treatment or during treatment. Since it is used for spitting out and rinsing the mouth, if it is not cleaned regularly, it can easily become unclean and cause severe discomfort to the patient.

특히 최근 감염병이 확산이 지속되는 추세 안에서 타구대의 위생은 단순히 환자 또는 병원의 위생 또는 청결의 문제가 아니라 2차 감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될 수 있다.In particular, given the recent trend of continue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e hygiene of the cuspidor is not simply a matter of hygiene or cleanliness of patients or hospitals, but can become a problem that causes secondary infections.

따라서 타구대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하면서, 타구대 오염에 의한 2차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Therefore, a means is needed to manage the cuspidor more hygienically while preventing problems such as secondary infection due to contamination of the cuspidor.

일반적으로 진료하는 의사를 중심으로 설계된 유니트 체어는 환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주며, 특히 환자는 치과 진료에 대하여 공포감 내지는 거부감으로 상당히 긴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니트 체어 내 환자가 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수단의 제공이 필요하다.In general, unit chairs designed around doctors cause considerable discomfort to patients, and in particular, patients often become quite nervous due to fear or resistance to dental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means to ensure that patients in the unit chair are psychologically stable.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 1(KR 20-0376400 Y1)은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용 타구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1에 의하는 경우 타구대를 분리하여 세척하면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지만, 치료가 끝날 때마다 타구대를 분리하여 세척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In this regard, prior art 1 (KR 20-0376400 Y1) discloses a cuspidor for a unit chair that can be separated and washed. However, in the case of prior art 1 above, the cuspidor can be kept clean by removing and washing the cuspidor, bu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 and clean the cuspidor after each treatment.

또한 선행기술 2(KR 10-2015-0096259 A)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면서, 위 헤드레스트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수단을 개시하고 환자에게 편안한 느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후두수용공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통풍을 유도하고 있다. 다만 위 후두수용공은 자연바람이 지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 상에 큰 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상이하며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에게 심신의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원리와 상이하다.In addition, prior art 2 (KR 10-2015-0096259 A) provides a headrest for a dental unit chair and discloses a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upper headrest and providing a comfortable feeling to the patient. . In addition, natural ventilation is induced through the laryngeal receptor pores. However, the upper laryngeal receiving hole is a large hole formed on the headrest to allow natural wind to pass through,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lves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fortable atmosphere for the mind and body to the patient during the patient's treatment process. It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KRKR 20-0376400 20-0376400 Y1Y1 KRKR 10-2015-0096259 10-2015-0096259 AA

본 발명은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타액, 혈액 등이 모이는 타구액을 수용하는 타구대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고 제어하여, 타구대 사용에 의한 2차 오염을 줄이고 환자 및 병원의 위생을 높이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ventilation means.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measure and control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cuspidor that accommodates the cuspidor fluid, which collects the patient's saliva and blood, to reduce secondary contamination caused by the use of the cuspidor and to improve the hygiene of patients and hospitals.

또한, 통풍 수단을 포함하여 치과 치료 중 환자에게 심신의 안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we aim to provide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to patients during dental treatment, including ventilation measur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프레임; 환자를 지지하는 시트; 환자의 타구액을 수용하는 타구대; 상기 타구대 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타구대의 하부에 위치되어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ventil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 seat to support the patient; A cuspidor for receiving the patient's salivary fluid; a water supply unit that sprays water toward the cuspidor; and a senso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uspidor to measu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또한, 상기 타구대는,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배수부; 상기 본체부의 측부와 상기 제1 배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함몰되되, 상기 제1 배수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 배수부; 상기 제2 배수부를 덮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상면에 일 지점에 결합되는 상기 센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uspido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hollow portion is formed; a first drain form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body; a second drain portion formed and recessed between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irst drain portion and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ain portion; a door part covering the second drain part; and the sensor coupled to a poi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unit.

또한, 상기 도어부는 틸팅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door portion is tiltable.

또한, 상기 제1 배수부는 제1 배수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배수부는 제2 배수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배수로 및 상기 제2 배수로는 케이지와 연통된다.In addition, the first drainage part communicates with a first drainage channel, the second drainage part communicates with a second drainage channel, and the first drainage channel and the second drainage channel communicate with a cage.

또한,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복수 개의 분사 홀이 형성된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분사 홀에서는 세정용 조성물이 분사된다.Additionally, a cleaning composition is sprayed from the spray hole.

또한, 상기 시트에는 송풍이 가능한 통풍 수단이 복수 개 형성된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capable of blowing air are formed on the shee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은 상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A clea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use in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ventil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부에 형성된 센서가 최초 타구액 감지시의 제1 탁도와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후의 제2 탁도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 탁도 이상인 경우 도어부를 틸팅시켜 잔존하는 타구액을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formed in the door compares the first turbidity when first detecting the saliva and the second turbidity after a preset reference time, and when the turbidity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the door is tilted to discharge the remaining saliva. can do. Through this, hygiene can be improved.

또한, 기 설정된 기준 탁도 이상인 경우 분사 홀을 통해 세정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잔존하는 타구액을 세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turbidity is higher than a preset standard, the remaining saliva can be cleaned by spraying the cleaning composition through the spray hole. Through this, hygiene can be improved.

또한, 기 설정된 기준 탁도 이상인 경우 LED부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urbidity exceeds a preset standard, the LED unit can be turned on to visually warn the user. Through this, hygiene can be improved.

또한,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물공급부를 통해 물을 분사시켜, 잔존하는 타구액을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ater can be spray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preset cycle to discharge the remaining saliva. Through this, hygiene can be improved.

또한, 시트에 송풍 기능이 존재하여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eet has a blowing function, which can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pat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제2 배수부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제1 시트 부근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pid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show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second drain portion of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first seat of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설명한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프레임(100), 시트(200), 타구대(300) 물공급부(400) 및 라이트(500)를 포함한다.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 seat 200, a cuspidor 300, a water supply unit 400, and a light 500.

프레임(100)은 시트(200), 타구대(300), 물공급부(400)를 지지하는 뼈대 역할로, 일반적인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포함되는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frame 100 serves as a framework to support the seat 200, the cuspidor 300, and the water supply unit 400. Since it is a known technology included in a general dental unit chai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시트(200)는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환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시트(200)는 제1 시트(210), 제2 시트(220) 및 제3 시트(230)를 포함하며, 제1 시트(210)는 환자의 하체를, 제2 시트(220)는 환자의 상체를, 제3 시트(230)는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heet 200 is coupled to the frame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patient. As an example, the sheet 200 includes a first sheet 210, a second sheet 220, and a third sheet 230, where the first sheet 210 covers the patient's lower body, and the second sheet 220 covers the patient's lower body. The third sheet 230 serves to support the patient's upper body and the patient's head.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제1 시트(210) 부근을 확대한 측면도이다.Please refer to Figure 5. Figure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first seat 210 of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시트에는 복수 개의 통풍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서 제1 시트(210)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통풍수단(21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시트(220) 및 제3 시트(230)에도 동일하게 통풍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may be coupled to the seat of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in FIG. 5 it is shown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211 are formed based on the first sheet 210, but the ventilation means can be formed in the same way on the second sheet 220 and the third sheet 230. there is.

통풍수단(211)은 제1 시트(210)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제1 시트(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풍수단(211)을 통해 바람(A)이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풍수단(211)은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며, 송풍 여부, 송풍 정도 등은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ntilation means 21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eet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is preferably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sheet 210, and the wind A comes out through the ventilation means 211. desirable. In addition, the ventilation means 211 is coupled with a motor (not shown) that enables blowing, and it is preferable that whether or not blowing occurs and the degree of blowing ar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시트(200)에 복수 개의 통풍수단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인해, 치과 치료 중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여, 치과 치료의 두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due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are coupled to the sheet 200, psychological stability is provided to the patient during dental treatment, thereby minimizing fear of dental treatment.

타구대(300) 및 물공급부(400)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며, 라이트(500)는 사용자의 진료 편의성을 위하여 빛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cuspidor 300 and the water supply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the light 500 serves to provide light for the convenience of treatment for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3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3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2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pid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uspid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300)는 본체부(310), 제1 배수부(320), 제2 배수부(330), 도어부(340), 센서(350), 제1 배수로(360), 제2 배수로(370), 케이지(380), LED부(39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spid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10, a first drain 320, a second drain 330, a door 340, a sensor 350, a first drain 36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drainage channel 370, a cage 380, and an LED unit 390.

본체부(310)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portion 31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nd has a shape that narrows in wid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is circular or oval.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 후의 환자는 본체부(310)에 타구액을 직접 뱉거나, 물공급부(400)로부터 컵에 물을 받아 환자의 입에서 행군 뒤에 본체부(310)에 타구액을 뱉게 된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타구액을 수용하는 타구대에 세척을 위한 수단이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으므로 위생 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구성을 통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general, a patient after dental treatment spits the saliva directly into the main body 310, or receives water in a cup from the water supply unit 400 and spits the saliva into the main body 310 after pouring it from the patient's mouth. In the conventional case, hygiene problems occurred because the cuspidor that accommodates the cuspid fluid does not have a means for cleaning or a separate means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부(310)의 최하부에는 제1 배수부(320)가 형성된다. 제1 배수부(3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단면이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타구액이 제1 배수부(320)의 중심부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타구액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A first drain portion 320 is form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0. The first drain 320 preferably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batted fluid can collect in the center of the first drain 320. It forms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the discharge of saliva.

제1 배수부(320)는 제1 배수로(360)와 연통된다. 제1 배수로(360)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배수부(320)의 중심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수로(360)의 상부 단부는 제1 배수부(320)와 연통되며, 제1 배수로(360)의 하부 단부는 케이지(380)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drain 32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rain 360. The first drainage channel 360 preferably communicates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drainage unit 320.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ain 36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rain 32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drain 360 communicates with the cage 380.

케이지(380)는 제1 배수로(360) 및 후술할 제2 배수로(370)와 연통되며, 타구액을 저장 및 유니트 체어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cage 38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rain 360 and the second drain 3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to store and discharge saliva to the outside of the unit chair.

제2 배수부(330)는 본체부(310)의 측부와 제1 배수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drain 330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side of the main body 310 and the first drain 32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제2 배수부(330)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2 배수부(3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Figures 3 and 4 show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second drain portion 330 of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drain unit 330 will be provided.

제2 배수부(330)는 본체부(310)의 측부와 제1 배수부(320) 사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단면이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타구대(3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2 배수부(330) 및 제1 배수부(320)가 연속적으로 함몰된 형상이며, 제1 배수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배수부(320)가 형성된다.The second drain portion 330 preferably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between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0 and the first drain portion 320. More specifically,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uspidor 300, the second drain part 330 and the first drain part 320 are continuously depress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ain part 320 A second drainage portion 320 is formed along.

제2 배수부(330)의 중심부는 제2 배수로(370)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배수로(370)의 상부 단부는 제2 배수부(330)와 연통되며, 제2 배수로(370)의 하부 단부는 케이지(380)와 연통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second drainage portion 33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drainage channel 370.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rain 37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drain 330,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rain 370 communicates with the cage 380.

제2 배수부(330)와 제1 배수부(320)의 경계에는 힌지(341)가 형성되며, 힌지(341)에는 도어부(340)가 형성된다.A hinge 341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drain part 330 and the first drain part 320, and a door part 340 is formed on the hinge 341.

이때, 도어부(340)는 제2 배수부(330)를 덮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부(340)는 제1 배수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part 340 has a shape that covers the second drain part 330. Accordingly, the door part 340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ain part 320.

도어부(340)는 힌지(341)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어부(340)가 틸팅 되기 전에는 도어부(340)의 단부가 본체부(310)의 측부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 portion 340 is preferably capable of til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341. At this time, before the door part 340 is til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door part 3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main body part 310.

도 3은 도어부(340)가 틸팅 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door portion 340 before it is tilted.

타구액(2)은 먼저 본체부(310)의 내측을 따라 흐른 뒤, 도어부(340)를 거쳐 제2 배수부(330)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도어부(340)의 상면에는 센서(35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타구액(2)이 곧바로 제2 배수부(330)를 통해 케이지(380)로 향하여 배출되는 것이 아닌, 도어부(340)를 거쳐 센서(350)에 충분한 시간을 통해 접촉한 뒤, 제2 배수부(330)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센서(350)의 감지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saliva 2 first flows alo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door 340 to reach the second drain 330. At this time, the sensor 35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unit 340. Accordingly, the saliva 2 is not discharged directly to the cage 380 through the second drain 330, but rather contacts the sensor 350 through the door 340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before being released into the cage 380. 2 This is to form a structure that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rt 330.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sensor 350.

센서(350)는 오염도 측정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염도 측정 센서는 일 예로 탁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탁도센서는 시중에 판매되는 공지된 탁도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탁도센서는 타구액(2)과 최초로 맞닿을 때의 제1 탁도를 측정하고, 기 설정된 기준 시간 후의 제2 탁도를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부에 송부한다.The sensor 350 is preferably a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is, for example, a turbidity sensor. The turbidity sensor can use a known turbidity sensor sold commercially. At this time, the turbidity sensor measures the first turbidity when first contacting the batting fluid 2, measures the second turbidity after a preset reference tim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또한, 제어부는 제2 탁도와 제1 탁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기 설정된 기준 탁도 이상인 경우, 분사 홀(311)에서 세정용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분사 홀(311)에 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urbidity and the first turbidity, and controls the cleaning composition to be sprayed from the spray hole 311 when it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urbidity. The injection hole 3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또한, 제어부는 제1 탁도 및 제2 탁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으면, 힌지(341)를 제어하여 도어부(340)를 틸팅시킨다. 이를 통해, 도어부(340)에 상면에 잔존할 수 있는 타구액(2)을 배출시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urbidity and the second turbidity, it controls the hinge 341 to tilt the door unit 340. Through this, hygiene can be improved by discharging the saliva 2 that may rema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40.

도 4는 도어부(340)가 틸팅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the door portion 340 after it is tilted.

타구액(2)은 제2 배수로(370)를 통해 케이지(380)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배수로(360)를 통해서 주된 타구액(2)이 배출되고, 제2 배수로(370)를 통하여 잔존하는 타구액(2)이 배출된다. 이를 통해, 타구액(2)이 본체부(310) 내에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aliva 2 is moved to the cage 380 through the second drainage channel 370. Accordingly, the main hitting fluid 2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age channel 360, and the remaining hitting fluid 2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age channel 370. Through this, hygiene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remaining saliva 2 in the main body 310.

분사 홀(311)은 본체부(310)의 측부에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분사 홀(311)은 분사유로(312)와 연통되며, 분사유로(312)는 세정용 조성물 저장부(미도시)와 연통된다. 따라서, 분사 홀(311)을 통해 세정용 조성물이 본체부(310) 내부로 분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2 탁도와 제1 탁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기 설정된 기준 탁도 이상인 경우, 분사 홀(311)에서 세정용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311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310. Additionally, the spray hole 311 communicates with the spray passage 312, and the spray passage 312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composition storage unit (not shown). Accordingly, the cleaning composition is sprayed into the main body 310 through the spray hole 311.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urbidity and the first turbidity, and controls the cleaning composition to be sprayed from the spray hole 311 if it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turbidity.

이를 통해, 세정용 조성물이 본체부(310) 내측을 따라 흐르게 되며, 잔존하는 타구액(2)을 세정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cleaning composition flows alo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0, and the remaining saliva 2 can be cleaned to improve hygiene.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우수한 세정 및 향균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특히 식물 추출물 유래 성분을 사용하여 조성물의 비산 또는 휘발에 의한 호흡기 자극 등의 문제가 없고, 세포독성 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cleaning composition achieves excellent cleaning and antibacterial effects while containing plant extracts. In particular, by using ingredients derived from plant extracts, there are no problems such as respiratory irritation due to scattering or volatilization of the composition,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harmless to the human body as there is no cytotoxicity.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창포 추출물; 라임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세정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The cleaning composition includes iris extract; It contains lime extract and artemisia extract. If it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shows excellent clean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각 추출물의 혼합조성으로는 창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임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 및 개똥쑥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혼합에 의하여 세정 및 향균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mixing composition of each extract is preferably 10 to 50 parts by weight of lime extract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rtemisia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iris extract. When within the above range, a synergistic effect on clean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can be achieved by mixing each extract.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창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임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 개똥쑥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비름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미나리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활성으로 세정력과 함께 항균 활성이 크게 높아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은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어, 일정한 용량의 세정용 조성물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산에 의한 호흡기 자극이 없고 낮은 세포독성으로 인체에 무해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leaning composition includes 10 to 50 parts by weight of lime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iris extract; 1 to 10 parts by weight of mugwort extract; It contains 1 to 10 parts by weight of amaranth extract and 10 to 50 parts by weight of water parsley extract. In the case within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activity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extract can produce the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antibacterial activity as well as the cleaning power. Accordingly, excellent effects can be achieved with a smaller amount, and a certain amount of the cleaning composition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harmless to the human body due to its low cytotoxicity and no respiratory irritation caused by flying dust.

LED부(390)는 본체부(310)의 외측을 따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D unit 390 is preferably coupled along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10.

LED부(390)는 제어부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가 제2 탁도와 제1 탁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기 설정된 기준 탁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LED부(390)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본체부(310) 내의 위생성에 문제가 있음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역할을 하며, 세정용 조성물을 통한 타구액(2) 세척을 자동으로 진행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별도의 세정 작업을 가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LED unit 390 is preferably linked to the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urbidity and the first turbidity, and when the turbidity is higher than a preset standard turbidity,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LED unit 390. Control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is, it serves to visually warn the user that there is a hygiene problem in the main body 310, and automatically cleans the salivary fluid (2) using the cleaning composition, while also allowing the user to manually Hygiene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cleaning operations.

물공급부(400)는 물(1)이 분사되는 곳으로, 구강을 세정하기 위하여 분사되는 물(1)을 환자가 컵으로 받아 사용하는 용도뿐 만 아니라, 제어부가 기 설정된 주기마다 물(1)을 분사하도록 물공급부(400)를 제어하여 타구액(2)의 잔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water supply unit 400 is a place where water (1) is sprayed. Not only does the patient use a cup to receive the water (1) sprayed to clean the oral cavity, but the control unit also sprays water (1) at preset intervals.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400 to spray, the remaining saliva (2) can be minimized. Through this, hygiene can be improved.

[제조예: 세정용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of cleaning composition]

식물 추출물 유래의 조성물을 기초로 세정력 및 항균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cleaning power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based on a composition derived from plant extracts, the following plant extracts were prepared, and in order to confirm the synergistic effect of mixing each extract, they were mix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to form a mixed composition. was manufactured.

1. 창포 추출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alamus extract

세척 및 건조한 창포를 분쇄하고 열수 추출하여 창포 추출물(AE)를 제조하였다.Calamus extract (AE) was prepared by pulverizing washed and dried calamus and extracting it with hot water.

2. 기타 추출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other extracts

상기 AE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임 추출물(BE); 개똥쑥 추출물(CE); 비름 추출물(DE) 및 미나리 추출물(EE)를 제조하였다.Lime extract (BE) in the same manner as AE; Artemisia extract (CE); Amaranth extract (DE) and water parsley extract (EE) were prepared.

3. 혼합추출물의 제조3. Preparation of mixed extract

하기의 [표 1]와 같은 조성에 따라 상기 AE 내지 EE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M1 내지 M10를 제조하였다.Mixed extracts M1 to M10 were prepared by mixing the AE to E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M1M1 M2M2 M3M3 M4M4 M5M5 M6M6 M7M7 M8M8 M9M9 M10M10 AEA.E.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BEBE 1One 1010 3030 5050 7070 3030 3030 3030 3030 3030 CEC.E. 0.10.1 1One 55 1010 2020 55 55 55 55 55 DEDE -- -- -- -- -- 0.10.1 1One 55 1010 2020 EEEE -- -- -- -- -- 1One 1010 3030 5050 7070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실험예: 조성물의 활성평가][Experimental example: Activity evaluation of composition]

1. 세정력 평가1. Evaluation of cleaning power

플라그 및 플라그 착색제를 이용하여 타구대 표면 샘플에 4시간 침지하고, AE 및 M1 내지 M10를 사용하여 세정 전 후의 타구대 표면 샘플에 대한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상기 세정력 평가는 각 조성물을 이용한 세척 전후의 면적도 ((세척 전 면적-세척 후 면적)/세척 전 면적)를 대비하여 평가하였다.Plaque and plaque colorants were used to immerse the cuspidor surface sample for 4 hours, and the cleaning power of the cuspidor surface sample before and after cleaning was evaluated using AE and M1 to M10. The cleaning power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area before and after washing using each composition ((area before washing - area after washing)/area before washing).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정제수를 사용한 예를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객관적인 비교평가를 위하여 상기 대조군의 결과를 지수 1로 고정하고 상기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For objective evaluation, an example using purified water was set as the control group, and for objective comparat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control group were fixed at an index of 1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control group, evaluated with an index of 1 to 10. The higher the number, the more effective the index is.

2. 향균력 평가2. Evaluation of antibacterial power

S. mutan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관하기 위하여 BHI 액체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 3.7%)에 각각 AE 및 M1 내지 M10를 첨가한 후, S. mutans를 접종하여 35 내지 37℃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상기 S. mutans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억제효과는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고 정제수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로 나타내었으며, 그 수치가 낮을수록 효과과 우수한 것이다.To determin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mutans, AE and M1 to M10 were added to BHI liquid medium (Brain-Heart Infusion broth: 3.7%), respectively, and then inoculated with S. mutans to maintain a temperature of 35 to 37°C. After culturing in a thermostat for 24 hours, the effect on S. mutans growth inhibition was measured. The inhibitory effect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only purified water without adding the cleaning composition, and the lower the value, the better the effect.

ConCon AEA.E. M1M1 M2M2 M3M3 M4M4 M5M5 M6M6 M7M7 M8M8 M9M9 M10M10 세정력 Cleansing power 1One 22 22 44 55 44 22 44 88 77 77 44 향균력Antibacterial power 100100 9292 9595 7474 7777 7070 8989 7272 5555 6161 5757 7676

(단위: 지수, %)(Unit: index,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AE에 의하는 경우 세정력 및 향균 활성이 높아지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혼합 조성물의 경우 M2 내지 M4에 의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활성으로 세정력 및 향균활성이 더 높아지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보다 적은 함량으로 보다 우수한 세정력 및 향균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cleaning power and antibacterial activity increase when using A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ixed compos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leaning power and antibacterial activity are higher due to synergistic activity due to interaction in the case of M2 to M4. Therefore, when within the above range, superior cleaning power and antibacterial effect can be achieved with a smaller amount.

한편, M7 및 M9의 경우 추가적인 상승활성을 관찰할 수 있다. 세정효과 뿐만 아니라 S. mutans에 대한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상승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보다 적은 함량으로 장기간 사용하면서 우수한 세정효과 및 향균활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dditional synergistic activity can be observed in the case of M7 and M9.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the cleaning effect but also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S. mutans is additionally increased. Therefore, when using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excellent cleaning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while using a smaller amount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타구대의 본체부의 측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 홀을 통하여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하여 타구대의 오염도가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일정한 농도로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The cleaning composition may be spr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uspidor. For example, if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cuspidor is above a certain range through a sensor that measures the contamination level, the cleaning composition may be sprayed at a certain concentr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은 상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타구대 님 유니트 체어의 오염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치과 장비의 수명을 높이면서 환자에 대한 위생 및 2차 감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A clea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use in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ventilation means. In this case, the composition can be use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cuspidor unit chair and ultimately increase the lifespan of dental equipment while reducing hygiene and the risk of secondary infection to pati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00 : 프레임,
200 : 시트,
300 : 타구대,
310 : 본체부,
320 : 제1 배수부,
330 : 제2 배수부,
340 : 도어부
350 : 센서,
360 : 제1 배수로,
370 : 제2 배수로,
380 : 케이지
390 : LED부,
400 : 물공급부,
500 : 라이트
100: frame,
200: sheet,
300: cuspidor,
310: main body,
320: first drainage part,
330: second drain,
340: Door part
350: sensor,
360: first drainage channel,
370: second drainage channel,
380: cage
390: LED part,
400: water supply unit,
500: light

Claims (8)

프레임;
환자를 지지하는 시트;
환자의 타구액을 수용하는 타구대;
상기 타구대 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타구대의 하부에 위치되어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frame;
A seat to support the patient;
A cuspidor for receiving the patient's salivary fluid;
a water supply unit that sprays water toward the cuspidor; and
A senso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uspidor to measu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cluding
A dental unit chair contain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means for venti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구대는,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배수부;
상기 본체부의 측부와 상기 제1 배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함몰되되, 상기 제1 배수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 배수부;
상기 제2 배수부를 덮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상면에 일 지점에 결합되는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uspidor,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hollow portion is formed;
a first drain form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body;
a second drain portion formed and recessed between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irst drain portion and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ain portion;
a door part covering the second drain part; and
The sensor coupled to a poi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unit; including
A dental unit chair contain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means for ventil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틸팅 가능한 것인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oor part is tiltable
A dental unit chair contain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means for ventil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부는 제1 배수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배수부는 제2 배수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배수로 및 상기 제2 배수로는 케이지와 연통되는 것인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drai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rain,
The second drai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rain,
The first drain and the second drain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cage.
A dental unit chair contain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means for ventil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복수 개의 분사 홀이 형성되는 것인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According to clause 4,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 dental unit chair contain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means for ventil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홀에서는 세정용 조성물이 분사되는 것인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According to clause 5,
The cleaning composition is sprayed from the spray hole.
A dental unit chair contain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means for ventil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송풍이 가능한 통풍 수단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인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According to clause 6,
The she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means capable of blowing air.
A dental unit chair containing a cuspidor for measuring contamination and means for ventila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염도를 측정하는 타구대와 통풍 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세정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cleaning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a ventilation means.
KR1020220096497A 2022-08-03 2022-08-03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KR202400187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497A KR20240018770A (en) 2022-08-03 2022-08-03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497A KR20240018770A (en) 2022-08-03 2022-08-03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770A true KR20240018770A (en) 2024-02-14

Family

ID=8989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497A KR20240018770A (en) 2022-08-03 2022-08-03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77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400Y1 (en) 2004-12-03 2005-03-11 (주)한림덴텍 Spittoon for unit chair
KR20150096259A (en) 2014-02-14 2015-08-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400Y1 (en) 2004-12-03 2005-03-11 (주)한림덴텍 Spittoon for unit chair
KR20150096259A (en) 2014-02-14 2015-08-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73321B (en) Novel epidemic prevention detection channel
US5588564A (en) Eye spray mist dispenser
US8539619B2 (en) Cleaning systems and/or methods
US20040111799A1 (en) Bed, especially sick bed or nursing bed
CN111920630A (en) Dental clinical medical bed chair
KR20240018770A (en)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CN112472982B (en) Nursing device after hemorrhoid operation
CN111760113A (en) Wound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for four limbs
CN110123460A (en) Plural layers dental clinical place is kept a public place clean decontamination method
CN207605111U (en) A kind of automatic flushing dental treatment chair
CN214909459U (en) Defecation mattress for patient lying in bed
CN210330962U (en) Nursing bed stool and urine processing system
JP2767743B2 (en) Sterile room with movable forward access wall
CN210408931U (en) Multi-layer film cleaning d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bed
CN219021666U (en) Sewage collection and treatment device of movable dental unit
CN209075280U (en) A kind of os pelvicum fracture patient bedpan special
CN218187371U (en) Ophthalmic instrument degassing unit
CN214034940U (en) Children's oral cavity diagnosis and treatment room
CN214318192U (en) Artificial tooth maintenance device
CN214909360U (en) Multifunctional rehabilitation nursing device
CN218784498U (en) Multifunctional nursing bed with defecation mechanism
CN212996229U (en) Bedside toilet bowl for hospital
KR20040076133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baby parenting
CN212078812U (en) Operating room is diagnose to dentistry
CN217066960U (en) Gynecological nursing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