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259A -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 Google Patents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6259A KR20150096259A KR1020140017489A KR20140017489A KR20150096259A KR 20150096259 A KR20150096259 A KR 20150096259A KR 1020140017489 A KR1020140017489 A KR 1020140017489A KR 20140017489 A KR20140017489 A KR 20140017489A KR 20150096259 A KR20150096259 A KR 201500962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head
- support frame
- rack gear
- connecting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머리 눌림 현상이 방지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환자는 치과 치료시 몸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유니트체어(Unit Chair)에 앉은 후, 유니트체어에 비치된 각종 치료용 장비를 통하여 치과 치료를 받게 된다. In general, the patient is seated on a unit chair where the upper body of the body is tilted back during the dental treatment, and then the dental treatment is performed through various treatment equipments provided in the unit chair.
유니트체어는 환자의 등이 지지되는 백레스트(Back rest)와 환자의 엉덩이와 다리가 지지되는 시트(Seat), 환자의 팔이 지지되는 암레스트(Arm rest) 및 치료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머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 rest) 등을 구비하며, 상부에 조명등이 있고 좌우에는 기구 선반과 조절기 등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The unit chair includes a back rest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a seat on which the patient's hips and legs are supported, an arm rest on which the patient's arm is supported, A head rest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and the like, and has a lighting lamp on the upper part and a mechanism lathe and a controller on the left and right.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니트체어에서 헤드레스트는 머리 전체를 받치고 있는 모양이므로 치과 치료시 머리 눌림 현상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환자는 머리 부위의 자세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headrest is supported on the entire head in the currently used unit ch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d is pressed during the dental treatment and the patient is inconvenient in the posture of the head.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치과 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머리 눌림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치과 치료 동안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rest of a dental unit chair which minimizes heading that may occur during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and which allows a patient to feel comfort during dental treat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원 형상이고 환자의 머리를 받쳐주며 후두 수용을 위한 후두수용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장축을 곡선으로 연결하며 길이조절 가능한 연결바아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백레스트에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ryngoscope comprising a support frame having an elliptical shape and supporting a head of a patient and having a laryngeal accommodation hole for accommodating the larynx, a curved long axis of the support frame, A length-adjustable connecting bar, and a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to a backrest supporting the patient's body.
상기 지지프레임에 환자 머리의 가장자리 굴곡이 지지되는 쿠션부재가 부착된다.A cush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curvature of the patient's head.
상기 쿠션부재는 환자의 목과 연결된 머리 끝부분이 지지되는 부위에서 다른 부위보다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요입부를 구비한다.The cushion member has a recessed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head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neck of the patient is supported, the height of which is lower than the other portion.
상기 연결바아는 제1연결바아와 제2연결바아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아와 제2연결바아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길이 조절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환자의 두상에 대응되게 변형시킨다.Wherein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ength adjusting means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frame is adjusted so that the shape of the supporting frame .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연결바아의 단부에 구비된 제1랙기어와, 상기 제2연결바아의 단부에 구비된 제2랙기어와,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의 사이에서 맞물리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한다.The length adjusting means includes a first rack gear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 second rack gear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a second rack gear provided between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And a pinion gear which meshes with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by rotation so as to be moved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포함한다.And a rotation leve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상기 연결축을 일정 높이에 고정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And height adjusting means for fixing the connecting shaft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지지프레임은 세로에 비해 가로가 긴 타원 형상이다.The support frame has an elliptical shape with a longer side than the vertical side.
환자의 머리를 양측에서 받쳐주며 후두 수용을 위한 후두수용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을 곡선으로 연결하며 길이조절 가능한 연결바아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백레스트에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한다.A supporting frame having a laryngeal receiving hole for supporting the head of a patient on both sides thereof for receiving the larynx; a connecting bar having a length adjustabl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frame and connecting the supporting frame to the backrest; And the connection axis to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후두수용공을 형성하여 환자의 머리를 띠 형태로 지지하되,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결바아를 곡선 형태로 연결하여 지지프레임의 모양을 환자의 두상에 맞게 각도 조절가능하면서도 후두수용공에 수용된 환자의 후두와 연결바아 및 회전레버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ryngeal receiving hole is formed in a support frame to support a head of a patient in a belt shape, and a connecting bar having a length adjustable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n a curved shape,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larynx of the patient accommodated in the laryngeal receiving hole and the connecting bar and the rotating lever is prevented.
또한, 지지프레임에는 쿠션부재를 부착하여 환자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다.In addition, a cush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to stably support the head of the patient.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치과 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머리 눌림이 방지되면서도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while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while preventing the head pressing which may occur in the patient's dental treatment.
이는 환자가 치과 치료 동안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고 치과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치과의 신뢰도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allows patients to feel comfortable during dental treatment, thereby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 positively impacting dental sales, and improving dental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길이조절수단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환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지지되는 모습을 A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환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지지되는 모습을 B-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rest of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length adjusting means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5 is a view of a patient's head being supported by a headrest in a direction 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of a patient's head being supported by a headrest in the BB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rest of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타원 형상이고 후두 수용을 위한 후두수용공(13)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1)의 장축을 곡선으로 연결하며 길이조절 가능한 연결바아(19)와, 지지프레임(11)을 백레스트(3)에 연결하는 연결축(35)을 포함한다. 1 to 3, the
헤드레스트(10)는 환자가 치과 치료를 위해 앉은 후 눕는 의자인 유니트체어(1)에서 환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부분이고, 백레스트(3)는 환자의 등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후두는 환자 머리의 뒷부분, 뒤통수를 의미한다.The
지지프레임(11)은 세로에 비해 가로가 긴 타원 형상이다. 세로에 비해 가로가 긴 타원 형상은 머리의 좌우 움직임 공간을 확보하여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후두수용공(13)은 타원 형상의 중앙 부분에 빈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후두수용공(13)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1)은 타원형 도넛 형상이다. 후두수용공(13)은 환자의 머리가 지지프레임(11)에 지지될 때 후두를 수용하여 환자의 머리 눌림을 방지한다. 또한, 후두수용공(13)은 머리 뒷쪽으로 자연스럽게 통풍을 유도하는 역할도 한다.The
구체적으로, 후두수용공(13)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1)은 기존의 머리 부분에 무게중심을 주었던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머리가 닿는 부위의 면적을 최소화시킨 것이다. 후두수용공(13)은 후두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지지프레임(11)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후면에서 외력을 가할 경우 환자의 두상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다.The
지지프레임(11)의 전면에 환자 머리의 가장자리 굴곡이 지지되는 쿠션부재(15)가 부착된다. 쿠션부재는 소정의 쿠션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압축스폰지, 강화패드, 우레탄 재질, 라텍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라텍스 재질은 탄력성이 우수하고 볼륨감이 좋으며 통기성도 있어 머리를 안락하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라텍스 재질은 푹신하여 환자의 머리 자세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피로감을 줄여 환자가 지지프레임(11)에 머리를 기댄 상태를 편안하게 유지해 준다.A cushion member (15)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 to support the edge curvature of the patient's head. The cushion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cushion, for example, a compressed sponge, a reinforcing pad, a urethane material, or a latex material. Among them, latex material has good elasticity, good volume and breathability, so it can comfortably and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In addition, the latex material is fluffy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s head posture and reduce fatigue, so that the patient comfortably maintains the head resting state on the
따라서, 라텍스 재질의 경우 중앙에 후두수용공(13)이 형성된 헤드레스트(10)의 불편함을 보완하여 환자의 피로감을 최소화하는데 가장 이상적이다. Therefore, in case of the latex material, it is ideal to supplement the inconvenience of the
쿠션부재(15)는 환자의 목과 연결된 머리 끝부분이 지지되는 부위에서 다른 부위보다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요입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요입부(17)는 목과 연결되는 머리 끝부분을 안정감 있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쿠션부재(15)에서 요입부(17)와 다른 부위의 연결부위는 편안함 및 안정감을 위해 곡선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The
또한, 쿠션부재(15)는 머리 가장자리가 띠 형태로 지지될 때 머리의 굴곡이 자연스럽게 지지되도록 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쿠션부재(15)는 통기성 확보 및 밀착 방지를 위해 메쉬 소재로 감싸지거나, 내구성 확보를 위해 가죽, 천 소재 등으로 감싸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메쉬 소재나 가죽, 천 등의 소재는 주기적인 세척을 위해 쿠션부재(15)와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된다.The
연결바아(19)는 지지프레임(11)의 후면에 곡선 형태로 연결된다. 연결바아(19)는 지지프레임(11)에 환자의 머리가 지지될 때 환자의 머리가 연결축(35)과 닿아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프레임(11)을 받쳐주어 지지프레임(11)이 좀 더 안정적으로 환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necting
연결바아(19)는 제1연결바아(21)와 제2연결바아(23)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제1연결바아(21)와 제2연결바아(23)는 길이조절수단(25)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길이 조절되어 지지프레임(11)의 형상을 환자의 두상에 대응되게 소정 각도 변형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제1연결바아(21)와 제2연결바아(23)는 일단이 각각 지지프레임(11)의 양 장축에 연결되고 각 타단이 길이조절수단(2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One end of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수단(25)은 제1연결바아(21)의 타단에 구비된 제1랙기어(27)와, 제2연결바아(23)의 타단에 구비된 제2랙기어(28)와,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의 사이에서 맞물리며 회전에 의해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29)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length adjusting means 25 includes a
예를 들어, 제1랙기어(27)는 피니언기어(29)의 상부에서 맞물리고 제2랙기어(28)는 피니언기어(29)의 하부에서 맞물려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의 타단이 피니언기어(29)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 경우, 피니언기어(2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가 상하로 중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고, 피니언기어(2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피니언기어(29)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31)를 포함한다. 회전레버(3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시킴에 의해 피니언기어(29)의 회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nd a rotation lever 31 for rotating the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 피니언기어(29)를 포함한 길이조절수단(25)은 외관을 고려하여 연결박스(33) 내에 배치되며, 회전레버(31)는 연결박스(33)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길이조절수단(25)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The length adjusting means 25 including the
연결축(35)은 지지프레임(11)을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백레스트(3)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축(35)은 상단이 연결박스(33)에 고정되고 하단이 백레스트(3)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connecting
연결축(35)의 상단이 연결박스(33)에 고정되면 지지프레임(11)에 기댄 환자의 머리 후두가 후두수용공(13)에 수용되더라도 후두와 연결축(35)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연결바아(19)가 지지프레임(11)의 후면에 곡선으로 연결되므로 후두수용공(13)에 수용된 후두와 연결바아(19)의 접촉 및 간섭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치과 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머리 눌림이 최소화될 뿐 아니라 치과 치료 동안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If the upper end of the
연결축(35)을 백레스트(3)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하는 높이조절수단(37)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37)은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연결축(35)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d a height adjusting means 37 for fixing the connecting
높이조절수단(37)은 연결축(35)을 유압으로 밀어올려 높이 조절하는 유압실린더, 또는 연결축(35)의 단부에 연결되는 랙기어,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의 조합일 수 있다. 이외에도 높이조절수단(37)은 연결축(35)을 백레스트에서 일정 높이에 고정하고 높이 조절시 안정감이 증대되는 구성이면 다양한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means 37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for pushing up the connecting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수단(37)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조합으로 도시하여 연결축(35)의 높이 조절시 안정감이 증대되도록 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means 37 is shown as a combination of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환자가 치과 치료를 위해 유니트체어(1)에 앉은 후 누우면 환자의 머리는 지지프레임(11)에 지지되고 후두는 후두수용공(13)에 위치된다. When the patient is laid down after sitting on the
이 상태에서 헤드레스트(10)의 위치가 환자의 체형에 맞지 않을 경우, 높이조절수단(37)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10)의 높이가 환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되면, 길이조절수단(25)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10) 즉, 지지프레임(11)의 모양을 소정각도 변형시킬 수 있다. In this state, if the position of the
그 방법은 회전레버(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method can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회전레버(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2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프레임(11)의 양 장축이 이루는 각도가 커진다. The
반면, 회전레버(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2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랙기어(27)와 제2랙기어(28)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프레임(11)의 양 장축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회전레버(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프레임(11)이 환자의 머리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상이 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지지프레임(11)은 양 장축이 환자의 머리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head of the patient, the
회전레버(31)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은 환자의 두상에 따라 임의 조절 가능하다.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전술한 방법에 의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0)의 모양을 변형시키면 환자의 머리는 지지프레임(11)에 부착된 쿠션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머리 끝부분이 쿠션부재(15)에 형성된 요입부(17)와 요입부(17) 양측의 곡선경사면에 의해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편안하게 지지된다. When the shape of the
그러면, 머리에서 목으로 이어지는 부위는 자연스런 C곡선이 되어 머리와 목이 안정적으로 받쳐지게 되고 고정되어 의사가 환자의 치과 치료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는 동안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Then, the area from the head to the neck becomes a natural C curve, and the head and neck are stably supported and fixed so that the physician can reliably perform the dental treatment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 feels comfortable during the dental treatment do.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머리는 가장자리가 지지프레임(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두수용공(13)에 후두가 위치되므로 헤드레스트(10)에 머리를 기대더라도 머리 눌림이 방지되고 머리가 닿는 부위가 최소화된다.5, the head of the patient is stably supported on the
또한, 지지프레임(11)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바아(19)가 지지프레임(11)에 점차적으로 이격되게 곡선으로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1)을 백레스트(3)에 연결하는 연결축(35)이 연결바아(19)측에 연결되므로 환자가 헤드레스트(10)에 머리를 기대더라도 환자의 후두가 연결바아(19)나 연결축(35)에 닿아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치과 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머리 눌림이 방지되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치과 치료 동안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head drop that may occur during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and can stably support the head of a patient while minimizing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thereby enabling the patient to feel comfortable during the dental treatment.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rest of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는 일 실시예와 비교시 지지프레임(11a)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headrest of the dental unit chair of the 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7 differs in the shape of the
지지프레임(11a)은 환자의 머리를 양측에서 받쳐주며 중앙이 후두 수용을 위한 후두수용공이 된다. 지지프레임(11a)의 양측은 연결바아(19)가 곡선으로 연결하여 길이조절 가능하다. 지지프레임(11a)은 연결축(35)에 의해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백레스트(3)에 연결된다. The
다른 실시예는 환자의 머리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머리 하중이 중앙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환자가 헤드레스트(10)에 머리를 기댄 상태를 편안하게 유지한다.Other embodiments support the patient's head on both sides to prevent the head load from concentrating on the center and to comfortably hold the patient in a headrest position in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o.
1: 유니트체어
3: 백레스트
10: 헤드레스트
11,11a: 지지프레임
13: 후두수용공
15,15a: 쿠션부재
17: 요입부
19: 연결바아
21,23: 제1 및 제2연결바아
25: 길이조절수단
27: 제1랙기어
28: 제2랙기어
29: 피니언기어
31: 회전레버
33: 연결박스
35: 연결축
37: 높이조절수단1: Unit chair 3: Backrest
10:
13:
17: inlet 19: connecting bar
21,23: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25: length adjusting means
27: first rack gear 28: second rack gear
29: Pinion gear 31: Rotary lever
33: connection box 35: connection axis
37: height adjustment means
Claims (9)
상기 지지프레임의 장축을 곡선으로 연결하며 길이조절 가능한 연결바아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백레스트에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A support frame having an elliptical shape and supporting a head of a patient and having a laryngeal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larynx,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long axis of the supporting frame with a curved line and being adjustable in length,
And a connection shaft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to a backrest supporting the body of the patient.
상기 지지프레임에 환자 머리의 가장자리 굴곡이 지지되는 쿠션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ush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curvature of the edge of the patient's head.
상기 쿠션부재는 환자의 목과 연결된 머리 끝부분이 지지되는 부위에서 다른 부위보다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요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ushion member has a recessed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head end portion connected to a neck of a patient is supported, the height of which is lower than the other portion.
상기 연결바아는 제1연결바아와 제2연결바아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아와 제2연결바아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길이 조절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환자의 두상에 대응되게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인트체어의 헤드레스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bar is formed by connecting a first connecting bar and a second connecting bar,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ength adjusting means and the length thereof is adjusted so that the shape of the supporting frame is deformed correspondingly to a head of a patient.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연결바아의 단부에 구비된 제1랙기어와,
상기 제2연결바아의 단부에 구비된 제2랙기어와,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의 사이에서 맞물리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adjusting means
A first rack gear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 second rack gear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a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to move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are moved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by rotation, Headrest.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otation leve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상기 연결축을 일정 높이에 고정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fixing the connecting shaft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지지프레임은 세로에 비해 가로가 긴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has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er side than a longitudinal side.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을 곡선으로 연결하며 길이조절 가능한 연결바아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환자의 몸을 지지하는 백레스트에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on both sides and having a laryngeal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larynx,
A connecting bar having a length adjustabl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And a connection shaft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to a backrest supporting the body of the pati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7489A KR101561513B1 (en) | 2014-02-14 | 2014-02-14 |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7489A KR101561513B1 (en) | 2014-02-14 | 2014-02-14 |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6259A true KR20150096259A (en) | 2015-08-24 |
KR101561513B1 KR101561513B1 (en) | 2015-10-20 |
Family
ID=5405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7489A KR101561513B1 (en) | 2014-02-14 | 2014-02-14 |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1513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6801A (en) * | 2019-11-11 | 2021-05-20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Emergency stretcher |
CN113101126A (en) * | 2021-03-10 | 2021-07-13 | 李梦 | Head fixing equipment for dental extraction in department of stomatology |
KR20220003261A (en) * | 2020-07-01 | 2022-01-10 | 강혁권 | Dental headrest apparatus |
CN116570459A (en) * | 2023-05-30 | 2023-08-11 | 上海华岛液压设备制造有限公司 | Hydraulic control multifunctional dental chair |
KR20240018770A (en) | 2022-08-03 | 2024-02-1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5067B1 (en) | 2003-11-18 | 2005-1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artial headrest for vehicle seat |
KR200431418Y1 (en) | 2006-08-18 | 2006-11-23 | (주)이우테크놀로지 | Dental unitchair having a motor-powered headrest |
CN201577850U (en) | 2009-12-30 | 2010-09-15 | 谭干荣 | Connecting device for backrest or headrest of seat |
-
2014
- 2014-02-14 KR KR1020140017489A patent/KR101561513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6801A (en) * | 2019-11-11 | 2021-05-20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Emergency stretcher |
KR20220003261A (en) * | 2020-07-01 | 2022-01-10 | 강혁권 | Dental headrest apparatus |
CN113101126A (en) * | 2021-03-10 | 2021-07-13 | 李梦 | Head fixing equipment for dental extraction in department of stomatology |
KR20240018770A (en) | 2022-08-03 | 2024-02-1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cuspid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spittoon and ventilation means |
CN116570459A (en) * | 2023-05-30 | 2023-08-11 | 上海华岛液压设备制造有限公司 | Hydraulic control multifunctional dental chair |
CN116570459B (en) * | 2023-05-30 | 2024-01-30 | 上海华岛液压设备制造有限公司 | Hydraulic control multifunctional dental 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1513B1 (en) | 2015-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95223C2 (en) | Support for supporting man's neck and head | |
US7654974B2 (en) |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 |
KR101561513B1 (en) | Head rest of unit chair for dentist | |
JP6124812B2 (en) | Backrest | |
DK2822426T3 (en) | BALANCE RENTAL | |
JPH0274429A (en) | Seat for automobile | |
KR101645927B1 (en) | Two-in-one technical changing type ergonomic pillow | |
JP7375048B2 (en) | Multifunctional healthcare seat device to utilize body weight to achieve hug support, decompression, immobilization, spinal protection and spinal correction | |
WO2006079256A1 (en) | A chair with an adjustable back-portion and waist-portion | |
KR101359212B1 (en) | Massager | |
JP2010535061A (en) | Memory device for chair backrest | |
CN204071226U (en) | A kind of office health care chair | |
KR100772167B1 (en) | A chair having backrest | |
CN211933538U (en) | Cervical vertebra correcting pillow | |
CN205457108U (en) | Student's position of sitting orthotic devices | |
CN201109388Y (en) | Adjustable waist pillow | |
KR101605830B1 (en) | A chair auxiliary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 |
JP5578457B1 (en) | Reclining seat | |
KR101384102B1 (en) | Chair | |
KR200466308Y1 (en) | Functional Beauty Pillow | |
CN208909432U (en) | Multi-functional correcting sitting posture bigeminy pad | |
TWM294935U (en) | Structure of back massaging rectifier | |
KR101237513B1 (en) | device for correcting pelvis and hip-up | |
JP4532208B2 (en) | Arm pillow for chair | |
CN211409445U (en) | Seat for B-ultrasonic examin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