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704A -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704A
KR20240018704A KR1020220095777A KR20220095777A KR20240018704A KR 20240018704 A KR20240018704 A KR 20240018704A KR 1020220095777 A KR1020220095777 A KR 1020220095777A KR 20220095777 A KR20220095777 A KR 20220095777A KR 20240018704 A KR20240018704 A KR 20240018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guide
double
side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9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704A/en
Publication of KR2024001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70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4Opt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 G01N2201/1042X, Y scan, i.e. object moving in X, beam in Y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이동 중인 객체를 양면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진입부에 위치하며,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 중인 객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상부면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미인식된 객체에 대해 컨베이어 상에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미인식된 객체를 뒤집어 미인식된 객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식별정보가 노출되도록 하는 경사장치부, 상기 컨베이어의 진출부에 위치하며, 상기 뒤집어진 객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미인식된 객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식별정보를 인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을 통해 상품의 파손 위험을 줄이고, 기존 컨베이어에 설치가 용이하여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객체의 크기 및 형태에 상관없이 양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nspecting both sides of an object using an inclined device while moving a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double-sided inspection of an object moving on a conveyor, a first camera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conveyor and photographs the object moving through the conveyor, and the object is detected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A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 guide unit that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and includes a first guide unit and a second guide that moves the position of the unrecognized object on the conveyor, A tilting device unit that flips the unrecognized object to expo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nrecognized object, is located at an exit portion of the conveyor, and includes a second camera that photographs the overturned object,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nrecogniz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of damage to products is reduced through the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equipment costs can be reduced by easy installation on existing conveyors, and double-sided inspection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object. .

Description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using an inclined device during conveyor movement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장치를 이용하여 상품의 파손 위험 및 설비 비용을 감소시키고, 컨베이어 내에서 식별정보 검사가 용이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both sides of an object using an inclined device while moving a convey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both sides of an object using an inclined device to reduce the risk of damage to products and equipment costs and to facilitate inspec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conveyor. It relates to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제조공장 및 물류센터에서 컨베이어를 통한 상품의 제조 출하 또는 분류작업에서 상품을 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이동 중인 상품을 인식하는 수단은 컨베이어 상단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문자,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영상 인식 정보이다. 하지만 상품이 뒤집혀있거나 영상 인식 정보가 표기된 상품의 상부면을 인식할 수 없으면 다시 뒤집는 과정이 필요하다. The process of recognizing products is necessary when manufacturing, shipping, or sorting products through conveyors in manufacturing plants and logistics centers. In general, the means of recognizing products moving on a conveyor is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such as images, text, barcodes, and QR codes using a camera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onveyor. However, if the product is turned over or the upper side of the product with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cannot be recognized, a process of turning it over again is necessary.

하지만 종래의 컨베이어 이동 중인 상품의 재정렬 및 양면 검사 시스템은 별도의 인력 및 로봇팔 또는 컨베이어 벨트 뒤집기, 컨베이어 벨트 추가 설치 및 컨베이어 틈새에 카메라 추가 삽입으로 양면 검사를 수행하여 상품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컨베이어 내 적용이 어렵거나, 상품의 파손 위험 및 설비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arrangement and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for products moving on a conveyor performs double-sided inspection by using separate manpower and a robot arm or by flipping the conveyor belt, installing additional conveyor belts, and inserting additional cameras into the conveyor gap to inspect the conveyor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isk of damage to the product, and the cost of equipment are high.

따라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에서 상품의 파손 위험 및 설비 비용을 감소시키고, 상품의 크기 및 형태에 상관없이 컨베이어 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hat reduces the risk of product damage and equipment costs i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s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conveyors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22323호(2009.03.04.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2323 (published on March 4, 2009).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동 중인 객체의 양면검사를 위해 경사장치를 이용하여 상품의 파손 위험 및 설비 비용을 감소시키고, 컨베이어 내에서 식별정보 검사가 용이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isk of damage to products and equipment costs by using an incline device to inspect both sides of objects moving on a conveyor, and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both sides of objects that facilitate inspec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conveyor. .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진입부에 위치하며,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 중인 객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상부면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미인식된 객체에 대해 컨베이어 상에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미인식된 객체를 뒤집어 미인식된 객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식별정보가 노출되도록 하는 경사장치부, 상기 컨베이어의 진출부에 위치하며, 상기 뒤집어진 객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미인식된 객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식별정보를 인식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problem, in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using an incline device while moving a conveyor, a first camera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conveyor and photographs an object moving through the conveyor, the A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a first guid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and moving the position of the unrecognized object on the conveyor, and A guide unit including a second guide, a tilting device unit that flips the unrecognized object to expo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nrecognized object, is located at the exit of the conveyor, and disposes of the overturned object. It includes a second camera that takes pictures, and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nrecognized object.

상기 경사장치부는, 좌우 경사 및 좌우 높이가 상이하도록 입체적으로 구현된 경사면부, 그리고 상기 경사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의 3차원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device unit may include a three-dimensional inclined surface part so that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s and left and right heights are different, and a ji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part to chang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inclined surface part.

상기 지그는,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Y방향)과 수직인 방향(X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 방향(Z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jig includes a first member whose length is adjustable in a direction (X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nveyor, and a second member whose length is adjustable in the upper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conveyor. can do.

상기 컨베이어 진입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길이를 산출하는 산출부, 그리고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object using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entrance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and

상기 산출된 객체의 길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미인식된 객체가 상기 경사면부의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를 연장시켜 상기 미인식된 객체가 뒤집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e point when the unrecognized object reaches the highest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using the calculated length of the object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the length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extended to detect the unrecognized objec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bject to be turned over.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바코드, QR 코드, 이미지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arcode, QR code, image, and text.

상기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는 각각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may be implemented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상기 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제1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상기 경사장치부는 제2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veyor is divided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the first guide,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re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guide and the tilting device unit are It can be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을 통해 상기 객체가 진입시에 제1 카메라에 의해 식별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가 닫히고 상기 제2 가이드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가이드에 의해 상기 객체를 제2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closes the first guide and opens the second guid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when the object enters through the first zone, so that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first guide. The object can be moved to the second z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을 통해 상기 객체가 진입시에 제1 카메라에 의해 식별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제2 가이드가 닫히고 상기 제1 가이드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by closing the second guide and opening the first guid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when the object enters through the first zone. there is.

상기 경사장치부는, 상기 미인식 객체가 상기 제1 구역에 안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tilt device unit may operate so that the unrecognized object is seated in the first zone.

상기 경사면부의 재질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may include rubber or soft plastic.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하여 객체 양면 검사함에 있어서, 상품의 파손 위험을 줄이고, 기존 컨베이어에 설치가 용이하여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객체의 크기 및 형태에 상관없이 양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pecting both sides of an object using an incline device during conveyor movement, the risk of damage to the product can be reduced, installation costs can be reduced by easy installation on an existing conveyor, and the size and size of the object can be reduced. Double-sided inspection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shape.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검사 대상이 되는 객체의 식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제1 및 제2 적외선 센서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a 및 도 3b에 따른 경사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따른 지그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경사장치부를 통과하면서 뒤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using an inclined device while mov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subject to inspection.
Figures 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using an inclined device while mov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passes between first and second infrared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ilt device unit according to Figures 3a and 3b.
FIG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jig according to FIG. 5.
Figures 7a to 7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is flipped while passing through an inclining devi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of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using an inclined device while mov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d를 통해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e will look at the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using an inclined device while the conveyor is moving through FIGS. 1 to 7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객체에 부착된 식별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an object.

또한, 도 3a는 검사 대상이 되는 객체가 진입부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검사 대상이 되는 객체가 진입부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the object to be inspected enters the entry section, and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object to be inspected passes through the entry sec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100)은 인식부(110), 가이드부(120), 산출부(130), 경사장치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100 includes a recognition unit 110, a guide unit 120, a calculation unit 130, an inclination device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먼저, 인식부(110)는 컨베이어의 진입부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111)와 컨베이어의 진출부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객체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First,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bject using the first camera 111 installed at the entry part of the conveyor and the second camera 112 installed at the exit part of the conveyor.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것처럼, 객체의 정면 또는 후면에는 제품명 또는 제품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부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product name or product information is attached to the front or back of the object.

여기서 식별 정보는 객체에 부착되는 바코드, QR 코드, 이미지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barcode, QR code, image, and text attached to the object.

따라서 인식부(110)는 객체의 식별 정보 유무에 따라 인식 객체 또는 미인식 객체로 판단한다. Accordingly, the recognition unit 110 determines the object to be a recognized object or an unrecognized objec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가이드부(120)는 컨베이어 양측단에 설치된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를 포함하며,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는 각각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guide unit 120 includes a first guide 121 and a second guide 122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nveyor, and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are designed to allow left and right rota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100)은 객체의 인식여부에 따라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의 개폐 동작을 결정한다. The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is recognized.

산출부(130)는 객체(50)가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를 통과하면 제1 적외선 센서(131) 및 제2 적외선 센서(132)와 컨베이어의 속도를 통해 객체의 길이를 산출한다.When the object 50 passes through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the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Calculate the length.

이때, 제1 적외선 센서(131) 및 제2 적외선 센서(132)는 객체(50)의 적외선 최초 접촉 시간과 적외선 마지막 접촉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infrared sensor 131 and the second infrared sensor 132 can measure the first infrared contact time and the last infrared contact time of the object 50.

경사장치부(140)는 경사면부(141)와 지그(142)를 포함한다. 경사면부(141)는 좌우 경사 및 좌우 높이가 상이하도록 입체적으로 구현되며 지그(142)에 연결된다. 또한, 경사면부(141)의 재질은 마찰력이 적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The inclined device unit 14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unit 141 and a jig 142.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41 is three-dimensionally implement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s and left and right heights are different, and is connected to the jig 142. Additionally, the material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41 includes rubber or soft plastic with low friction.

제어부(150)는 산출부(130)에 의해 산출된 객체의 길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객체(50)가 경사면부(141)의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지그(142)의 길이를 연장시켜 객체(50)가 뒤집어지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50 uses the length of the object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130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to set the jig 142 at the point when the object 50 reaches the maximum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unit 141. The length is extended to control the object 50 to be turned over.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7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양면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bject double-sid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FIGS. 3A to 7D.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구역(10)과 제2 구역(2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구역(10)에는 제1 가이드(121), 제1 적외선 센서(131), 제1 카메라(111) 및 제2 카메라(112)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구역(20)에는 제2 가이드(122), 제2 적외선 센서(132), 경사면부(141) 및 지그(142)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onveyor can be divided into a first zone 10 and a second zone 20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the first zone 10 has a first guide 121. ), a first infrared sensor 131, a first camera 111, and a second camera 112 may be installed, and a second guide 122 and a second infrared sensor 132 are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20. ,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41 and the jig 142 may be installed.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객체(50)는 출하 또는 분류 작업을 위해 컨베이어 위에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 3A, the object 50 is moved on a conveyor for shipping or sor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객체(50)가 제1 구역(10)을 통해 진입부에 진입을 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object 50 enters the entry section through the first zone 10.

객체(50)가 컨베이어의 제1 구역(10)에 진입하면, 컨베이어의 진입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111)는 객체(50)에 부착된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위에서 이동되는 객체(50)를 촬영한다. When the object 50 enters the first zone 10 of the conveyor, the first camera 111 located above the entry part of the conveyor detects the object moving on the conveyor in order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bject 50. Take (50).

그러면 인식부(110)는 제1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이미지로부터 객체(50)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 그리고 객체(50)는 컨베이어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1 가이드(121)와 제2 가이드(122)의 사이를 통과한다. Then,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bject 50 from the video and images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111. And the object 50 passes between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이때 제1 카메라(111)에서 식별정보가 인식되어 뒤집기가 필요하지 않은 객체는 제1 구역(10)에서 계속 위치한 상태로 진출부로 이동한다. 반면에 제1 카메라(111)에서 식별 정보가 인식되지 않아 뒤집기가 필요한 객체는 제1 가이드(121)와 제2 가이드(122)에 의해 제2 구역(20)으로 이동되어 경사장치부(140)를 통과하면서 뒤집히는 동시에 제1 구역(10)으로 안착된다. 진출부 상단에 위치한 제2 카메라(112)에서 식별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bject who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111 and does not need to be flipped moves to the exit area while remaining in the first area 10. On the other hand, an object that needs to be flipped because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111 is moved to the second area 20 by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and placed in the tilt device 140. While passing through, it is overturned and at the same time settles into the first section (10). The presence or absenc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second camera 112 located at the top of the advance sec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제1 및 제2 적외선 센서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passes between first and second infrared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4a는 객체와 적외선의 최초 접촉 시간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객체와 적외선의 마지막 접촉 시간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particular, FIG. 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of the first contact time between an object and infrared rays, and FIG. 4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of the last contact time for an object and infrared rays.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적외선 센서(131)와 제2 적외선 센서(132)는 실시간으로 적외선을 송수신하며,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 사이를 통과하는 객체(50)의 최초 적외선 접촉 시간 및 마지막 적외선 접촉 시간을 측정한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irst infrared sensor 131 and the second infrared sensor 132 installed on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resp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infrared rays in real time, The first and last infrared contact times of the object 50 passing between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are measured.

즉, 제1 적외선 센서(131) 및 제2 적외선 센서(132)는 객체(50)가 제1 적외선 센서(131) 및 제2 적외선 센서(132) 사이를 진입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해당하는 최초 접촉 시간과 제1 적외선 센서(131) 및 제2 적외선 센서(132) 사이를 통과하는 시점에 해당하는 마지막 접촉 시간을 측정한다. That is, the first infrared sensor 131 and the second infrared sensor 132 make initial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object 50 begins to enter between the first infrared sensor 131 and the second infrared sensor 132. The last contact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nd passing point between the first infrared sensor 131 and the second infrared sensor 132 is measured.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출부(130)는 객체(50)가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 사이를 통과하는 시간과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객체의 길이를 산출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object using the time the object 50 passes between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Calculate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의 인식 유무에 따라 객체(50)는 컨베이어의 양측단에 설치된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를 통해 제1 구역(10) 또는 제2 구역(20)으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ure 3b,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object 50 is moved to the first zone 10 or the second zone through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nveyor. Move to area (20).

인식부(110)가 제1 카메라(111)에 의해 촬상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100)는 객체(50)가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 사이를 통과할 때, 제1 가이드(121)는 열리도록 하고, 제2 가이드(122)는 닫히도록 한다. When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maged by the first camera 111, the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100 detects the object 50 through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When passing through the space, the first guide 121 is opened and the second guide 122 is closed.

즉, 객체(50)의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부(110)는 객체를 제1 구역(10) 상에서 계속 위치시킨 상태로 이동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50 is recognized, the recognition unit 110 moves the object while remaining positioned on the first area 10.

반면, 인식부(110)가 제1 카메라(111)에 의해 촬상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면, 객체(50)가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 사이를 통과할 때, 제1 가이드(121)는 닫히도록 하고, 제2 가이드(122)는 열리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ecognition unit 110 does not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111, when the object 50 passes between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 the first guide 121 is closed and the second guide 122 is opened.

즉, 객체(50)가 뒤집어진 상태로 컨베이어에 진입을 하여 식별 정보의 인식에 실패할 경우에는 경사장치부(140)에 의해 뒤집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의 동작을 통하여 객체(50)가 제2 구역(20)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That is, if the object 50 enters the conveyor in an overturned state and fails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 The object 50 is moved to the second area 20 through the operation of 122).

도 5는 도 3a 및 도 3b에 따른 경사장치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ilting device unit according to Figures 3a and 3b.

도 3a, 도 3b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장치부(140)는 경사면부(141)와 지그(142)를 포함하며, 경사면부(141)는 좌우 경사 및 좌우 높이가 상이하도록 입체적으로 구현된다. 또한 지그(142)는 경사면부(141)에 연결되어 경사면부(141)의 Z축 방향으로의 높낮이 및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한다. As shown in FIGS. 3A, 3B, and 5, the inclined device unit 14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unit 141 and a jig 142, and the inclined surface unit 141 is three-dimensionally implement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s and left and right heights are different. do. Additionally, the jig 142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41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41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따른 지그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jig according to FIG. 5.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그(142)는 제1 부재(143) 및 도 2 부재(14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jig 142 includes a first member 143 and a FIG. 2 member 144.

제1 부재(143)는 컨베이어 진행방향(Y방향)과 수직인 X"?향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부재(144)는 컨베이어 상측 방향인 Z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43 can adjust its length in the

따라서, 지그(142)는 내재된 전기적 구동장치(Actuator) 또는 타격장치를 통해 도 6a 및 도 6b를 통해 제1 부재(143) 및 제2 부재(144)를 돌출시켜 제1 부재(143)와 제2 부재(144)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142)는 내재된 고무줄 혹은 스프링을 통해 제1 부재(143) 및 제2 부재(144)를 돌출 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jig 142 protrudes the first member 143 and the second member 144 through FIGS. 6A and 6B through an inherent electric actuator or striking device to form the first member 143 and the second member 144. The length of the second member 144 can be extended. Additionally, the jig 142 can return the first member 143 and the second member 144 to their pre-protrusion state through an inherent rubber band or spring.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경사장치부를 통과하면서 뒤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7a to 7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is flipped while passing through an inclining devi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객체가 경사장치부로 진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객체가 경사장치부를 통해 높이가 상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c는 객체가 경사장치부의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 지그의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길이 조절하여 객체를 뒤집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d는 객체가 뒤집힌 후 컨베이어의 바닥에 안착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bject entering the tilt device, Figure 7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n object rising in height through the tilt device, and Figure 7C is a diagram showing the object reaching the maximum height of the tilt device. When doing so, it is a diagram to explain turning an object over by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of the jig, and Figure 7d is a diagram to explain placing the object on the bottom of the conveyor after it is turned over.

도 7a 내지 도 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객체(50)가 경사면부(141)의 최고 경사 높이에 도달하면, 제어부(150)는 지그(142)를 컨베이어의 진행방향(Y방향)과 수직인 X방향 및 컨베이어의 상층 방향인 Z방향으로 길이 제어를 통해 효과적으로 객체를 뒤집을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7A to 7D, when the object 50 reaches the highest slope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41, the control unit 150 moves the jig 142 in the X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nveyo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urn objects over through length control in the Z direction, which is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nveyor.

이때 제어부(150)는 산출부(130)를 통해 획득한 객체(50)의 길이 정보와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객체(50)가 경사면부(141)의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예측된 시점에 맞추어 제1 부재(143)와 제2 부재(144)의 길이를 순간적으로 연장시켜, 객체(50)를 공중에서 뒤집어지도록 한다. 경사장치부(140)에 의해 상부면과 하부면이 뒤집어진 객체는 경사장치부(140)가 설치된 구역과 반대측 구역에 안착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0 uses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object 50 obtained through the calculation unit 130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to predict in advance the time when the object 50 reaches the maximum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unit 141. You ca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instantaneously extends the lengths of the first member 143 and the second member 144 according to the predicted time point, causing the object 50 to turn over in the air. An object whos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turned over by the tilt device 140 lands in an area opposite to the area where the tilt device 140 is install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객체(50)가 제2 구역(20)을 통해 경사장치부(140)에 진입하므로, 경사장치부(140)에 의해 뒤집어진 상태로 제1 구역(10)에 안착하게 된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50 enters the tilting device 140 through the second zone 20, so it is turned over by the tilting device 140 and enters the first zone 10. It settles down.

컨베이어의 진출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카메라(112)는 제1 구역(10)에 안착된 객체(50)에 부착된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객체(50)의 하부면을 촬영한다. The second camera 112 located above the exit portion of the conveyor photographs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50 placed in the first area 10 in order to recogniz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bject 50.

이하에서는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의 동작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한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의 순서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of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using an inclined device while moving a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객체(50)가 컨베이어에 투입되어 이동한다. 제1 카메라는 컨베이어 이동 중인 객체의 상부면를 촬영한다. As shown in FIG. 8, the object 50 is placed on the conveyor and moves. The first camera photographs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moving on the conveyor.

인식부(110)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의 유무를 통해 식별 정보가 없는 뒤집기가 필요한 미인식 객체 또는 식별 정보가 있는 뒤집기가 필요없는 인식 객체로 구분한다. The recognition unit 110 uses the captured image to distinguish between unrecognized objects that require flipping witho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ognized objects that do not require flipping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가이드부(120)의 제어를 통해 뒤집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식 객체는 제1 구역(10)에 계속 위치하도록 하고, 뒤집기가 필요한 미인식 객체는 제2 구역(20)으로 이동시킨다.Through control of the guide unit 120, recognized objects that do not need to be flipped are kept in the first zone (10), and unrecognized objects that need to be flipped are moved to the second zone (20).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131)는 가이드부(120)를 통과하는 객체(50)의 길이를 산출한다. 뒤집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식 객체는 진출부로 이동하게 되고, 제2 구역(20)으로 이동된 미인식 객체는 경사장치부(140)을 통과하게 된다.The infrared sensor 131 installed on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22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object 50 passing through the guide unit 120. Recognized objects that do not require flipping are moved to the exit section, and unrecognized objects moved to the second zone 20 pass through the tilting device 140.

여기서, 미인식 객체가 경사면부(141)의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객체의 길이가 사용되고, 객체(50)가 최고 높이에 도달하면 지그(142)는 제1 부재(143) 및 제2 부재(144)를 돌출시켜 객체(50)를 뒤집을 수 있게 된다.Here, the length of the object is used to determine that the unrecognized object reaches the highest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41, and when the object 50 reaches the highest height, the jig 142 i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143 and the second member 142. 2 The object 50 can be turned over by protruding the member 144.

객체(50)는 경사장치부(140)를 통과하면서 뒤집히는 동시에 컨베이어의 제1 구역으로 안착된다. 그리고 객체(50)는 진출부에 위치한 제2 카메라(112)를 통하여 식별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The object 50 is turned ov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ilting device 140 and is seated in the first section of the conveyor. And the object 50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camera 112 located at the exit portion.

제2 카메라(112)는 제1 구역에 안착된 객체(50)를 촬영한다. 그리고 인식부(110)는 제2 카메라(112)를 통해 촬영된 영상 및 이미지로부터 객체(50)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The second camera 112 photographs the object 50 placed in the first zone. And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bject 50 from the video and images captured through the second camera 112.

다만 진입 단계에서 제1 카메라(111)에 의해 인식된 객체의 경우에는 식별 정보 인식이 완료가 된 상태이므로, 진출부를 통과하는 경우, 인식부(110)는 제2 카메라(112)의 동작을 차단하거나 인식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n object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111 in the entry st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has been completed, so when it passes the exit part, the recognition unit 110 block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amera 112. Alternatively, the recognition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동 중 경사장치를 이용하여 객체 양면 검사함에 있어서, 상품의 파손 위험을 줄이고, 기존 컨베이어에 설치가 용이하여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객체의 크기 및 형태에 상관없이 양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risk of damage to the product when inspecting both sides of an object using an incline device while moving the conveyor, and can reduce equipment costs by easily installing on an existing conveyor. Double-sided inspection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 컨베이어의 제1구역 20: 컨베이어의 제2구역
50: 객체 100: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110: 인식부 111: 제1 카메라
112: 제2 카메라 120: 가이드부
121: 제1 가이드 122: 제2 가이드
130: 산출부 131: 적외선 센서
140: 경사장치부 141: 경사면부
142: 지그 143: 제 1부재
144: 제 2부재 150: 제어부
10: First section of conveyor 20: Second section of conveyor
50: Object 100: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110: recognition unit 111: first camera
112: second camera 120: guide unit
121: first guide 122: second guide
130: Calculation unit 131: Infrared sensor
140: inclined device part 141: inclined surface part
142: Jig 143: First member
144: second member 150: control unit

Claims (11)

컨베이어 이동 중인 객체를 양면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진입부에 위치하며,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 중인 객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상부면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미인식된 객체에 대해 컨베이어 상에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미인식된 객체를 뒤집어 미인식된 객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식별정보가 노출되도록 하는 경사장치부,
상기 컨베이어의 진출부에 위치하며, 상기 뒤집어진 객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미인식된 객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In a system for inspecting both sides of an object moving on a conveyor,
A first camera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conveyor and photographing objects moving through the conveyor;
a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an object from a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A guide unit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and including a first guide and a second guide that moves the position of the unrecognized object on the conveyor;
a tilting device unit that turns the unrecognized object over so tha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nrecognized object is exposed;
It is located at the exit part of the conveyor and includes a second camera that photographs the overturned object,
The recognition unit,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that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nrecognized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장치부는,
좌우 경사 및 좌우 높이가 상이하도록 입체적으로 구현된 경사면부, 그리고
상기 경사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의 3차원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지그를 포함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ilting device part,
A three-dimensional slope part with different left and right slopes and different heights, and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 ji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to chang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Y방향)과 수직인 방향(X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 방향(Z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jig,
A first member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nveyor (X direction), and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 second member whose length is adjustable in the upper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convey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진입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길이를 산출하는 산출부, 그리고
상기 산출된 객체의 길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미인식된 객체가 상기 경사면부의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를 연장시켜 상기 미인식된 객체가 뒤집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object using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entrance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and
At the point when the unrecognized object reaches the highest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using the calculated length of the object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the length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extended to detect the unrecognized object.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bject to be turned 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바코드, QR 코드, 이미지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barcode, QR code, image, and tex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는 각각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in which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implemented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제1 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상기 경사장치부는 제2 구역에 설치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veyor is divided into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The first guide, first camera and second camera are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in which the second guide and the tilting device are installed in a second zo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을 통해 상기 객체가 진입시에 제1 카메라에 의해 식별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가 닫히고 상기 제2 가이드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가이드에 의해 상기 객체를 제2 구역으로 이동시키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In clause 7,
The control unit,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when the object enters through the first zone,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that causes the first guide to close and the second guide to open, thereby moving the object to a second zone by the first gu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을 통해 상기 객체가 진입시에 제1 카메라에 의해 식별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제2 가이드가 닫히고 상기 제1 가이드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객체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In clause 7,
The control unit,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when the object enters the first zone,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that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object by allowing the second guide to close and the first guide to op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장치부는,
상기 미인식객체가 상기 제1 구역에 안착되도록 동작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In clause 7,
The tilting device part,
An object double-sided inspection system that operates to ensure that the unrecognized object is placed in the first z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의 재질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객체 양면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A double-sided object inspection system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s made of rubber or soft plastic.
KR1020220095777A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KR202400187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77A KR20240018704A (en)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77A KR20240018704A (en)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704A true KR20240018704A (en) 2024-02-14

Family

ID=8989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777A KR20240018704A (en) 2022-08-02 2022-08-02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7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544B2 (en) Portable composable machine vision system for identifying objects for recycling purposes
US82493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an object
ES2952605T3 (en) Perception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and process various objects
US7295948B2 (en) Laser system for marking tires
WO2007085330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supervising a work area including an industrial robot
JP6685776B2 (en) Imaging system, measuring system, production system, imaging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measuring method
JP6639181B2 (en) Imaging device, production system, imag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2654569B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suspensibly transported transport bags
JP2002082060A (en) Surface defect inspecting method and device
KR20240018704A (en) System for double-sided scanning of objects moving on conveyor using inclined device
KR101195183B1 (en) Appatus for inspecting mount state of component
JPH07234914A (en) Bar code label reader
KR102112721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moving object
JP3055281B2 (en) Vision device for vibration feeder
CN110618677A (en) Mobile robot
JP2748679B2 (en) Automatic bar code reader
KR102664880B1 (en) Logistics transport device
US11981515B2 (en)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article inspection system
US20220289495A1 (en)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article inspection system
KR20230068911A (en) Logistics transport device
KR102347806B1 (en) Image capt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559106B1 (en) Object detectable robot gripper
JP7177856B2 (en) working robot
KR20180020046A (en) Multi-angle cover glass analysis apparatus
JPH04571A (en) Device for recognizing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