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22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221A
KR20240018221A KR1020220096203A KR20220096203A KR20240018221A KR 20240018221 A KR20240018221 A KR 20240018221A KR 1020220096203 A KR1020220096203 A KR 1020220096203A KR 20220096203 A KR20220096203 A KR 20220096203A KR 20240018221 A KR20240018221 A KR 2024001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wall
air purifier
lower wa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쁨
백승호
이규남
유승민
정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221A/ko
Priority to PCT/KR2023/008901 priority patent/WO2024029747A1/ko
Publication of KR2024001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되 상기 토출구와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개시는 공기청정기(air cleaner)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기를 케이스 내로 흡입하는 팬과,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하다.
공기청정기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공간의 보다 먼 위치까지 공급하기 위하여, 토출구를 상부에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공기청정기 케이스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팬에 의해 상방으로 토출되어 실내공간으로 확산된다.
최근, 공기청정 이외의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일례로,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의 상부에 물건을 놓아둘 수 있는 테이블 겸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토출구가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정화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의 상부를 테이블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정화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토출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못하고 사용자로부터 먼 위치로 확산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를 향해 공급되도록 토출구의 위치를 변경할 경우,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상부가 테이블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테이블을 쉽게 탈, 부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탈, 부착되는 테이블로 인하여 토출그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출그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되 상기 토출구와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와 토출구 사이에는 토출공간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토출공간으로 토출된 공기가, 토출구보다 큰 제2바디를 통해 360도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pat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360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공간으로 토출된 공기는 360도로 토출되어 실내공간에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는 하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의 하벽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반경방향 및 상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되 상기 토출구와 이격되는 하벽을 포함하는 제1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파트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2바디가 결합되는 제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의 하벽은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과 연결되되, 상기 토출구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의 탈착에 따라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그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그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의 하벽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의 하벽은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된 공기를 반경방향 상방으로 안내하는 2단 가이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는 제1파트의 하벽에 의해 1차 가이드되고, 제2바디의 하벽에 의해 2차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반경방향 및 상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은 제1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은 상기 제1곡률보다 큰 제2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방으로 갈수록 하벽의 구부러진 정도가 증가하여 공기를 보다 멀리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토출된 공기가 실내공간에 전체적으로 퍼질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는 일단이 상기 토출구의 엣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에 결합되는 토출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의 엣지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바디의 탈착에 따라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그릴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을 포함하는 로어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에 위에 배치되는 어퍼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하벽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2파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가 제1바디에 고정되는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가 토출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파트의 상벽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결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1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며, 상기 제1돌기와 상하로 정렬되는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의 접촉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돌기를 관통하여 상기 제1돌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를 통해 제2바디를 결합부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함에 따라 체결력과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파트의 측벽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2파트의 상기 측벽에 형성되되, 상기 제2파트의 상벽으로 오픈되는 제1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홈으로부터 상기 제2파트의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파트의 상기 상벽과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파트의 상기 상벽과 마주하는 제1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면과 연결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결합홈과 상하로 정렬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바디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홈에서 상기 제2결합홈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의 회전에 따라 제2바디를 결합부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탑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바디는 테이블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제1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제1부재와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는 마그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중 다른 하나는 금속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커버는 제2바디로부터 쉽게 분기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과 재질의 탑커버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을 포함하는 로어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와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어퍼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하벽과 결합되는 센터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는 상기 센터파트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평면을 포함하는 엣지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는 상기 센터파트와 상기 엣지파트를 연결하고,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하벽과 상하로 이격되는 미들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엣지파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케이블과 같은 연결선들은 제2바디의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외관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센터파트로부터 위로 돌출되고, 상기 엣지파트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엣지파트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충전을 위한 케이블은 제2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탑 커버를 통해 쉽게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는 제1무선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1무선충전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무선충전부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제2무선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1무선충전부와 상기 제2무선충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무선충전부와 상기 제2무선충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전자기기들을 동시에 무선충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충전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는 제2무선충전부를 보조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무선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충전부를 통한 전자기기의 무선충전과, 램프를 통한 실내 밝기 조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램프를 포터블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의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와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와 조명을 연동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무선충전장치에 의해 충전중인 전자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조명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작동이 중단되면 상기 조명이 점멸되도록 상기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선충전완료 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부가 테이블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테이블을 쉽게 탈, 부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탈, 부착되는 테이블로 인하여 토출그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출그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방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제1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공기청정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공기청정기(1)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제1바디(100)의 상면의 중심과 제1바디(100)의 하면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제1바디(100)의 중심축은 수직축일 수 있다. 제1바디(10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바디(100)의 상면의 직경은 제1바디(100)의 하면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흡입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반경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내부 공간과 공기청정기(1)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내부 공간과 공기청정기(1)가 설치되는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01)는 제1바디(100)의 내부 공간과 실내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는 흡입구(101)를 통해 제1바디(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토출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02)는 제1바디(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02)는 제1바디(100)의 내부 공간과 제1바디(100)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흡입구(101)를 통해 제1바디(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02)를 통해 제1바디(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구(102)는 제1바디(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02)는 수직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토출구(102)는 제1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바디(100) 내부의 공기는 토출구(102)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베이스(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토출구(102)와 제1바디(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103)는 제1바디(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3)는 지면과 맞닿을 수 있다.
제1바디(100)는 외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104)은 제1바디(100)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외벽(104)은 제1바디(10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외벽(104)은 제1바디(10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외벽(104)은 흡입구(101)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외벽(104)은 흡입구(101)의 상단과 제1바디(100)의 상면을 연결할 수 있다. 외벽(104)의 제1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는 흡입구(101)의 제1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흡입그릴(101a)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그릴(101a)은 제1바디(100)에 탈착될 수 있다. 흡입그릴(101a)은 제1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그릴(101a)은 흡입구(101)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그릴(101a)은 외벽(104)에 탈착될 수 있다. 흡입그릴(101a)는 외벽(106)과 제1바디(100)의 하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그릴(104)은 복수의 흡입그릴(10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그릴(104)은 제1바디(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그릴(104)은 제1바디(10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그릴(104)의 사이에는 복수의 흡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토출그릴(102a)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은 제1바디(100)에 탈착될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은 제1바디(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은 토출구(102)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은 복수의 토출그릴(102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그릴(102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그릴(102a)의 사이에는 복수의 토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제2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00)은 제1바디(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토출구(102)와 수직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제2바디(200)은 토출구(102)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토출구(10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1바디(100)는 결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제1바디(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토출구(102)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제1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제1바디(100)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결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결합부(110)를 통해 제1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토출구(102)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103)의 하면은 플랫면(Flat surfac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3)의 하면의 직경은 제1바디(100)의 하면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베이스(103)의 하면의 직경은 제1바디(100)의 상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3)의 측면은 베이스(103)의 하면과 제1바디(100)의 하면의 엣지를 연결할 수 있다. 베이스(103)의 측면은 경사면일 수 있다. 베이스(103)의 측면은 제1바디(10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또는, 베이스(103)의 하면은 제1바디(100)의 하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3)의 측면은 제1바디(100)의 하면과 베이스(103)의 하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일 수 있다. 베이스(103)의 측면은 제1바디(100)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110)는 어퍼파트(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제1바디(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제1바디(100)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토출구(102)로부터 위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파트(110a)에는 토출그릴(102a)이 결합될 수 있다. 어퍼파트(110a)에는 토출그릴(102a)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토출구(10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토출구(102)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토출구(102)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어퍼파트(110a)의 직경은 복수의 토출그릴(102a)의 상단이 형성하는 원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어퍼파트(110a)는 제1파트(111), 제1파트(111)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2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와 제2파트(111, 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은 제1파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의 상단은 제1파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경계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111a)는 어퍼파트(110a)와 후술하는 로어파트(110b, 도 5 참조)의 연결부분일 수 있다. 경계부(111a)에는 토출그릴(102a)의 상단 결합될 수 있다. 경계부(111a)에는 복수의 토출그릴(102a)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경계부(111a)와 토출그릴(102a)의 상단 사이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경계부(111a)는 토출구(10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부(111a)는 원형 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경계부(111a)의 직경은 토출구(10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의 상단은 경계부(111a)에 결합될 수 있고, 토출그릴(102a)의 하단은 제1바디(100)의 상면의 엣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그릴(102a)은 위로 갈수록 제1바디(100)의 중심축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그릴(102a)의 하단과 제1바디(100)의 상면 엣지 사이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의 상면 엣지는 외벽(104)의 상단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하벽(111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벽(111b)은 토출구(102)와 마주할 수 있다. 하벽(111b)은 토출구(102)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토출구(102)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하벽(111b)과 토출구(102) 사이에는 토출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하벽(111b)은 경계부(111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벽(111b)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벽(111b)은 경계부(111a)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연장될 수 있다. 하벽(111b)은 공기청정기(1)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하벽(111b)과 토출그릴(102a)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1바디(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하벽(111b)은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벽(111b)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벽(111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벽(111b)은 아래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하벽(111b)과 경계부(111a)는 제1각도(A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각도(A1)는 예각일 수 있다. 경계부(111a)와 토출그릴(102a)은 제2각도(A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각도(A2)는 예각일 수 있다. 하벽(111b)과 토출그릴(102a)은 제3각도(A3)를 형성할 수 있다. 제3각도(A3)는 제1각도(A1)와 제2각도(A2)를 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각도(A3)는 예각일 수 있다. 제2각도(A2)는 제1각도(A1)보다 클 수 있다. 하벽(111b)은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하벽(111b)은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바디(100)의 중심축에 대하여 외측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1파트(111)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2바디(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2바디(2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제2바디(200)와 제1바디(100) 사이에 위치하고, 공기청정기(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2바디(2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공기청정기(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상벽(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벽(112a)은 하벽(111b)과 마주할 수 있다. 상벽(112a)은 후술하는 측벽(112b)에 대하여 하벽(111b)과 대향할 수 있다. 상벽(112a)은 공기청정기(1)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벽(112a)은 상벽(112a)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벽(112a)과 토출구(102) 사이의 수직 거리는 공기청정기(1)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벽(112a)은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벽(112a)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벽(11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벽(111b)은 위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상벽(112a)에는 상벽(112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기(11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12d)는 복수의 제1돌기(112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돌기(112d)는 어퍼파트(110a)의 원주방향으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도 6 참조). 예를들어, 복수의 제1돌기(112d)는 4개의 제1돌기(11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12d)에는 홈(미부호, 도 6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112d)에는 홈(미부호)은 어퍼파트(110a)의 상측으로 오픈될 수 있다. 제1돌기(112d)에는 홈(미부호)에는 체결부재(F)가 삽입될 수 있다. 제1돌기(112d)의 홈(미부호)에 삽입되는 체결부재(F)를 통해 제2바디(200)가 결합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체결부재(F)는 스크류일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측벽(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12b)은 상벽(112a)과 하벽(111b)을 연결할 수 있다. 측벽(112b)은 하벽(111b)의 엣지와 상벽(112a)의 엣지를 연결할 수 있다. 하벽(111b)의 엣지와 상벽(112a)의 엣지는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110)는 로어파트(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파트(110b)는 어퍼파트(110a)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파트(110b)는 제1파트(111)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파트(110b)는 제1파트(111)의 경계부(111a)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파트(110b)의 직경은 어퍼파트(110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로어파트(110b)는 제1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다. 로어파트(110b)는 복수의 토출그릴(102a)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파트(110b)의 중심축은 어퍼파트(110a)의 중심축과 동축(coaxial)일 수 있다. 결합부(110)의 중심축은 제1바디(100)의 중심축과 동축일 수 있다. 결합부(110)의 중심축은 공기청정기(1)의 중심축과 동축일 수 있다.
결합부(110)는 홈(112c, 114)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2c, 114)은 제1홈(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12c)은 어퍼파트(110a)의 상벽(112a)으로부터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2c)은 어퍼파트(110a)의 제2파트(1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2c)은 어퍼파트(110a)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2c)은 어퍼파트(110a)의 상측으로 오픈될 수 있다.
결합부(110)의 홈(112c, 114)은 제2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114)은 제1홈(112c)의 바닥면(미부호)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14)은 제1홈(112c)의 바닥면(미부호)으로부터 아래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14)은 어퍼파트(110a)의 제1파트(111)와, 로어파트(1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14)은 제1홈(112c)과 연통될 수 있다.
제1홈(112c)과 제2홈(114)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홈(112c)의 직경은 제2홈(11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1홈(112c)의 수직방향으로의 깊이는 제2홈(114)의 수직방향으로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홈(112c)은 안착홈으로 호칭될 수 있고, 제2홈(114)은 수용홈으로 호칭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마운트(113)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13)는 어퍼파트(110a)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13)는 제1홈(112c)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13)는 제1홈(112c)의 바닥면(미부호)에 안착될 수 있다. 마운트(113)는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도 6 참조). 마운트(113)는 제1홈(112c)의 바닥면(미부호)에 안착되는 바닥벽(113b)과, 바닥벽(113b)의 엣지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측벽(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13)는 어퍼파트(110a)의 상측으로 개구되는 마운트 홈(113a)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 홈(113a)는 바닥벽(113b)과 측벽(113c)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바닥벽(113b) 중 외측 가장자리 영역은 제1홈(112c)의 바닥면(미부호)에 안착될 수 있고, 바닥벽(113b)의 중앙 영역은 제2홈(114)과 마주할 수 있다. 마운트(113)의 수직방향으로의 높이는 제1홈(112c)의 수직방향으로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마운트(113)의 적어도 일부는 어퍼파트(110a)의 상벽(112a)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마운트 홈(113a)의 수평방향으로의 직경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마운트(113)의 측벽(113c)의 내측면(미부호)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단자(113d)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113d)는 마운트(113)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113d)는 마운트(113)의 바닥벽(113b)에 장착될 수 있다. 단자(113d)는 외부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113d)는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연결단자(113d)는 제1단자(미부호)와, 제1단자(미부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미부호)는 외부전원(미도시)과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외부전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미부호)는 마운트(113)의 바닥벽(113b)에 장착될 수 있고, 제2홈(114)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홈(114)은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로어파트(110b)의 바닥벽(미부호)에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는 홀(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단자(미부호)는 제1단자(미부호)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1단자(미부호)와의 접촉을 통해 제1단자(미부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미부호)는 후술하는 전자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미부호)는 전자부품들과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마운트 홈(113a)은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필터(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05)는 제1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05)는 흡입구(101)와 마주할 수 있다. 필터(105)는 흡입그릴(101a)과 마주할 수 있다. 필터(105)는 흡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105)는 원통형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팬(106)을 포함할 수 있다. 팬(106)은 제1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106)은 제1바디(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팬(106)은 필터(105)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팬(106)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팬(106)은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팬모터(106a)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106a)는 제1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터(106a)는 팬(106)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터(106a)는 팬(106)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팬하우징(107)을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제1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팬(10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팬모터(106a)를 둘러쌀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팬모터(106a)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제1바디(100)의 반경방향으로 외벽(104)과 이격될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외벽(10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팬(10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P1, P2)를 형성할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제1하우징 벽(107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 벽(107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하우징 벽(107a)은 팬(106)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하우징 벽(107a)은 팬모터(106a)와 제1바디(100)의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하우징 벽(107a)은 팬모터(106a)를 둘러쌀 수 있다. 제1하우징 벽(107a)은 제1바디(100)의 반경방향으로 외벽(104)의 내측에 이 격 배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 벽(107a)과 외벽(104) 사이에는 제1토출유로(P1)가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107)은 모터커버(107c)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커버(107c)는 제1하우징 벽(107a)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커버(107c)에는 팬모터(106a)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커버(107c)는 팬모터(106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보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하우징(107)은 제2하우징 벽(10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은 제1하우징 벽(107a)으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의 하단은 제1하우징 벽(107a)과 연결되고, 제2하우징 벽(107b)의 상단은 마운트(113)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벽(19)과 연결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은 외벽(104)과 제1바디(100)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은 제1바디(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외벽(104)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의 하단은 제2하우징 벽(107b)의 상단보다 제1바디(100)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제1바디(100)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외벽(10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하우징 벽(107b)과 외벽(104) 사이에는 제2토출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로(P1)는 수평방향으로 제1폭(G1)을 가질 수 있다. 제2토출유로(P2)는 수평방향으로 제2폭(G2)을 가질 수 있다. 제1폭(G1)은 제2폭(G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폭(G1)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를통해, 팬(10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베인(107d)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107d)은 외벽(104)과 팬 하우징(10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107d)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인(107d)은 복수의 베인(107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07d)은 제1바디(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인(107d)은 팬(10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107d)은 팬모터(106a)와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베인(107d)은 제1토출유로(P1)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107d)은 제1토출유로(P1) 중 팬(106)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107d)은 팬(10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베인(107d)은 팬(10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유로(P1, P2)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결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결합부(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토출구(102)를 덮을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토출구(102)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바디(200)와 토출구(102) 사이에는 토출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00)와 토출구(102) 사이에는 유로(path)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path)는 360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로어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제2바디(2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결합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토출구(102)과 마주할 수 있다. 로어바디(210)의 하벽(210a)은 토출구(102)와 마주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삽입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11)은 로어바디(210)의 하벽(210a)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11)은 로어바디(210)의 하벽(210a)으로부터 위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11)은 로어바디(2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11)에는 결합부(11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211)에는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211)에는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제2파트(112)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211)은 어퍼파트(110a)의 제2파트(112)의 상벽(112a)과 마주하는 제1면(211a)과, 제1면(211a)과 연결되고 어퍼파트(110a)의 제2파트(112)의 측벽(112b)와 마주하는 제2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11)의 제1면(211a)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11)의 제1면(211a)은 상벽(112a)와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삽입홈(211)의 제2면(211a)은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제2돌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212)는 삽입홈(211)의 제2면(21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212)는 삽입홈(211)의 제2면(211a)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돌기(212)는 결합부(110)의 제1돌기(112d)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돌기(212)는 복수의 제2돌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돌기(212)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돌기(212)는 제1돌기(112d)와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제2돌기(212)는 복수의 제1돌기(112d)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F)는 제2돌기(212)와 제2돌기(112d)를 관통하여 결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의 결합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돌기(112d)는 결합부(1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따라, 제1돌기(112d)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잇다. 제2돌기(212)는 로어바디(2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돌기(212)의 하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통해, 제1돌기(112d)와 제2돌기(212)는 면접촉될 수 있고, 체결부재(F)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제1마운트 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운트 홀(213)은 삽입홈(211)의 제1면(21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마운트 홀(213)은 삽입홈(211)의 제1면(211a)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마운트 홀(213)에는 마운트(113)이 삽입될 수 있다. 제1마운트 홀(213)에는 마운트(113)의 측벽(113c)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 홈(113a)의 내부 공간은 제2바디(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단다(113d)에 연결되고 마운트 홈(113a)에 수용되는 케이블(미도시)은 제2바디(2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전자부품들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하벽(210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벽(210a)은 토출구(102)와 마주할 수 있다. 하벽(210a)은 토출구(10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벽(210a)는 토출그릴(102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벽(210a)과 토출구(102) 또는 토출그릴(102a) 사이에는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공간(S)은 토출구(10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간(S)일 수 있다. 하벽(210a)는 삽입홈(211)으로부터 제2바디(200)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하벽(210a)은 제2바디(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게 형성될 수 있다. 하벽(210a)과 토출구(102) 사이의 수직방향으로 이격거리는 공기청정기(1)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벽(210a)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과 상이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보다 가파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공간(S)으로 토출된 공기는,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에 의해 1차로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고, 제2바디(200)의 하벽(210a)에 의해 공기청정기(1)의 상방을 향해 2차로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벽(210a)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과 상이한 곡률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이 가지는 곡률은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이 가지는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제2바디(200)의 하벽(210a)의 구부러진 정도는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_의 구부러진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공간(S)으로 토출된 공기는,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의 하벽(111b)에 의해 1차로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고, 제2바디(200)의 하벽(210a)에 의해 공기청정기(1)의 상방을 향해 2차로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는 엣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바디(210)의 엣지(214)는 하벽(210a)의 끝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바디(210)의 엣지(214)는 제2바디(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의 엣지(214)는 공기청정기(1)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최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어퍼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로어바디(210)에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로어바디(210)의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로어바디(210)의 엣지(214)에 결합될 수 있고, 로어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벽(210a)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의 적어도 일부는 하벽(210a)과 접촉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와 어퍼바디(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아래로 볼록한 보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센터파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어퍼바디(2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로어바디(210)의 삽입홈(211)의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로어바디(210)의 삽입홈(211)의 제1면(211a)과 접촉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삽입홈(211)의 제1면(211a)과 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은 체결홀(221a)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221a)은 센터파트(221)와 삽입홈(221)의 제1면(211a)를 관통할 수 있다. 체결홀(221a)은 센터파트(221)와 제2돌기(212)를 관통할 수 있다. 체결홀(221a)에는 체결부재(F)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홀(221a)는 복수의 체결홀(22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221a)은 제2바디(200)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221a)은 제2돌기(212)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파트(221)은 제2마운트 홀(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운트 홀(221b)는 제1마운트 홀(213)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마운트 홀(221b)는 제1마운트 홀(213)와 연통될 수 있다. 제2마운트 홀(221b)와 제1마운트 홀(213)은 하나의 마운트 홀(213, 221b)을 형성할 수 있다. 마운트 홀(213, 221b)에는 마운트(113)가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 홈(113a)의 내부공간은 어퍼바디(220)와 후술하는 탑 커버(23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원형 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센터파트(221)의 외경은 결합부(110)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엣지파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파트(222)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은 로어바디(210)의 엣지(214)와 결합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센터파트(22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는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센터파트(221)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후술하는 탑 커버(230)과 접촉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미들파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를 연결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센터파트(22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파트(223)는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후술하는 탑 커버(2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탑 커버(23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탑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2)의 엣지파트(222)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2)의 센터파트(221) 및 미들파트(223)와 이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2)를 커버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커버(230)는 평판(flat pl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 커버(230)의 상면에는 물건을 놓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200)는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제1부재(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22a)는 어퍼바디(220)의 엣지파트(2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재(222a)는 어퍼바디(220)의 엣지파트(222)에 내장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231)는 탑 커버(230)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재(231)는 탑 커버(230)에 내장될 수 있다. 제2부재(231)는 제1부재(222a)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은 인접할 경우 밀착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 중 어느 하나는 자성을 가지는 부재일 수 있고,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 중 다른 하나는 금속 부재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부재(222a)는 마그네트일 수 있고, 제2부재(231)는 철판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부재(222a)는 철판일 수 있고, 제2부재(231)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들어,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통해,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재질, 색상 및/또는 형상을 가지는 탑 커버(230)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플레이트(224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센터파트(221)와 탑 커버(2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센터파트(221)로부터 위로 돌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의 상면은 엣지파트(222)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의 상면은 센터파트(22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센터파트(221)의 중앙부로부터 엣지파트(22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플레이트(224a)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격벽(224b)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24b)는 플레이트(224a)의 엣지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격벽(224b)은 플레이트(224a)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격벽(224b)는 제2파트(22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224a)와 격벽(224b)은 조합되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224a)에는 제3마운트 홀(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마운트 홀(미부호)는 제1 및 제2마운트 홀(213, 221b)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3마운트 홀(미부호)는 제1 및 제2마운트 홀(213, 221b)과 연통될 수 있다. 제3마운트 홀(미부호)에는 마운트(113)가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113)의 측벽(113c)의 상단은 플레이트(224a)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 홈(113a)의 공간은 플레이트(224a)와 격벽(224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무선충전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플레이트(224a)에 위치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마운트(113)에 장착되는 연결단자(113d)와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탑 커버(230)에는 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230)의 홀(232)에는 무선충전장치(240)가 삽입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탑 커버(230)의 홀(232)을 통해 탑 커버(230)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탑 커버(230)의 상측에 노출된 무선충전장치(240)에 전자기기를 올려놓음으로써,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의 상면은 탑 커버(23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팬(106, 도 5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제2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제2바디(200)의 로어바디(210)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로어바디(210)의 하벽(210a)으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하벽(210a)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하벽(210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버튼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일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를 조작하여, 팬(106, 도 5 참조)의 구동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제2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어퍼바디(220)의 엣지파트(222)에 배치될 수 있다. 엣지파트(222)에는 디스플레이(250)가 배치되는 홈(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230)에는 홀(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250)는 탑 커버(230)의 홀(미부호)을 통해 탑 커버(230)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와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는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버튼 어셈블리(108, 도 17 참조)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탑 커버(230)의 상측에 노출된 디스플레이(240)를 통해, 공기청정기(1)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조명(26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260)은 제2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260)은 제2바디(200)의 로어바디(210)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260)은 로어바디(210)의 하벽(210a)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조명(260)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260)은 삽입홈(211) 또는 결합부(110)를 둘러쌀 수 있다. 조명은(260)은 공기청정기(1)의 하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260)은 로어바디(210)의 엣지(214) 보다 삽입홈(21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조명(260)은 LED로 제공될 수 있다.
조명(260)은 무선충전장치(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명(260)은 무선충전장치(240)에 놓여지고, 무선충전장치(240)에 의해 충전중인 전자기기의 충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제어부(300, controller)는 무선충전장치(240)에 의해 충전되는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조명(260)이 점멸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공기청정기(1)의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에 의해 충전되는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조명(260)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제1바디(100)는 공기청정모듈(100)로 호칭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테이블 모듈(200)로 호칭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에서 보았을 때, 제2바디(200)는 제1방향으로의 제1길이(L1)와, 제2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제2길이(L2)가 동일한 원 형상의 테이블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제1방향으로의 제1길이(L1)가 제2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제2길이(L2)보다 큰 타원 형상의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바디(200)는 사각형상의 테이블, 다각형상의 테이블, 비정형 형상의 테이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의 제2바디(200)를 제1바디(1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력에 의해 제2바디(200)에 결합되는 탑 커버(230)를 제거한 후, 체결부재(F)를 제거하여 제2바디(200)를 제1바디(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바디(200)를 제1바디(100)에 체결부재(F)를 통해 체결한 후, 탑 커버(230)를 제2바디(200)에 결합시켜 제2바디(200)를 제1바디(100)에 조립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어퍼파트(110a)는 결합홈(112e, 112f)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2e, 112f)은 제2파트(11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2e, 112f)은 제2파트(112)의 엣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2e, 112f)은 제2파트(112)의 상벽(112a)으로부터 아래로 함몰되는 제1결합홈(112e)과, 제1결합홈(112e)으로부터 어퍼파트(110a)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제2결합홈(112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홈(112e)은 어퍼파트(110a)의 상측으로 오픈될 수 있다. 제2결합홈(112f)은 상벽(112a)과 제1파트(1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결합돌기(21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215)는 로어바디(210)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5)는 삽입홈(211)의 제2면(211b)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5)는 삽입홈(211)의 제2면(211b)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215)는 결합홈(112e, 112f)과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결합돌기(215)는 제2결합홈(112f)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결합돌기(215)와 제1결합홈(112e)이 상하로 정렬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결합돌기(215)는 제1결합홈(112e)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결합돌기(215)는 제1결합홈(112e)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결합홈(112f)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결합돌기(215)가 제2결합홈(112f)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바디(200)는 결합부(110)에 조립 및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10)와 제2바디(20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체결부재(F)를 통해 제2바디(200)를 결합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체결부재(F)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간편하게 제2바디(200)를 제1바디(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어퍼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로어바디(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어버바디(220)는 로어바디(210)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로어바디(210)의 엣지(214)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의 적어도 일부는 하벽(210a)과 접촉될 수 있다. 로어바디(210)와 어퍼바디(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아래로 볼록한 보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센터파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어퍼바디(2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로어바디(210)의 삽입홈(211)의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로어바디(210)의 삽입홈(211)의 제1면(211a)과 접촉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삽입홈(211)의 제1면(211a)과 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은 제2마운트 홀(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운트 홀(221b)는 제1마운트 홀(213)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마운트 홀(221b)는 제1마운트 홀(213)와 연통될 수 있다. 제2마운트 홀(221b)와 제1마운트 홀(213)은 하나의 마운트 홀(213, 221b)을 형성할 수 있다. 마운트 홀(213, 221b)에는 마운트(113)가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 홈(113a)의 내부공간은 어퍼바디(220)와 후술하는 탑 커버(23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제2마운트 홀(221b)이 형성되는 커버파트(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마운트 홀(221b)은 제1마운트 홀(21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파트 커버파트(221c)는 제1마운트 홀(213)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파트(221c)는 제2마운트 홀(21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커
센터파트(221)은 체결홀(221a)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221a)은 커버파트(221c)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21a)에는 체결부재(F)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홀(221a)는 복수의 체결홀(22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221a)은 제2마운트 홀(213)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221a)은 제2돌기(212)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는 원형 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엣지파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파트(222)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은 로어바디(210)의 엣지(214)와 결합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센터파트(22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는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센터파트(221)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엣지파트(222)는 후술하는 탑 커버(230)과 접촉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미들파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를 연결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센터파트(22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파트(223)는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후술하는 탑 커버(2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파트(223)는 탑 커버(23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탑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2)의 엣지파트(222)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2)의 센터파트(221) 및 미들파트(223)와 이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어퍼바디(222)를 커버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커버(230)는 평판(flat pl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 커버(230)의 상면에는 물건을 놓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200)는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바디(220)는 제1부재(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22a)는 어퍼바디(220)의 엣지파트(2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재(222a)는 어퍼바디(220)의 엣지파트(222)에 내장될 수 있다. 탑 커버(230)는 제2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231)는 탑 커버(230)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재(231)는 탑 커버(230)에 내장될 수 있다. 제2부재(231)는 제1부재(222a)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은 인접할 경우 밀착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 중 어느 하나는 자성을 가지는 부재일 수 있고,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 중 다른 하나는 금속 부재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부재(222a)는 마그네트일 수 있고, 제2부재(231)는 철판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부재(222a)는 철판일 수 있고, 제2부재(231)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들어, 제1부재(222a)와 제2부재(231)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통해, 탑 커버(230)는 제2바디(200)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재질, 색상 및/또는 형상을 가지는 탑 커버(230)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플레이트(224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어퍼바디(220)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센터파트(221)와 탑 커버(2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센터파트(221)로부터 위로 돌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커버파트(221c)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제2마운트 홀(221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센터파트(221)와 엣지파트(2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의 상면은 엣지파트(222)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4a)의 상면은 센터파트(22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플레이트(224a)는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224a)는 후술하는 무선충전장치(24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격벽(224b)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24b)는 플레이트(224a)의 엣지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격벽(224b)은 플레이트(224a)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격벽(224b)는 제2파트(22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224a)와 격벽(224b)은 조합되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224c)에는 마운트 홈(113a)에 수용되는 연결부재(C)의 말단이 고정되는 홈(미부호, 도 1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224a)에 안착되는 무선충전장지(240)는 연결부재(C)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단자(113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격벽(224b)는 무선충전장치(240)의 둘레는 둘러쌀 수 있다.
결합부(110)의 어퍼파트(110a)는 제1파트(111)와, 제1파트(111)에 결합되는 제2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하벽(111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벽(111b)은 토출구(102)와 마주할 수 있다. 하벽(111b)은 토출구(102)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토출구(102)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하벽(111b)과 토출구(102) 사이에는 토출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하벽(111b)은 경계부(111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벽(111b)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벽(111b)은 경계부(111a)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연장될 수 있다. 하벽(111b)은 공기청정기(1)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하벽(111b)과 토출그릴(102a)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1바디(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제1파트(111)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로어바디(210)의 삽입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파트(112)는 상벽(112a)과 측벽(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파트(112)의 상벽(112a)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벽(112a)의 중앙영역에는 마운트(113)가 삽입되는 마운트 홈(1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벽(112a)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은 커버파트(221c)와 상하로 마주할 수 있다. 제2파트(112)의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체결홈(112g)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2g)는 체결홀(221a)와 상하로 마주할 수 있다. 체결부재(F)는 체결홀(221a)과 체결홈(112g)을 관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바디(100)는 결합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마운트 홈(113b)는 마운트 홀(221b, 213)과 연통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240)는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제1무선충전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충전부 (214)는 제2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무선충전부(241)는 제2바디(200)의 플레이트(224a)에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마운트(113)의 연결단자(113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제2 무선충전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무선충전부(242)는 제1무선충전부(24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무선충전부(242)는 제1무선충전부(241)로부터 위로 이격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수직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243)는 제1무선충전부(241)와 제2무선충전부(2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재(243)의 하단은 제1무선충전부(241)에 결합될 수 있고, 수직부재(243)의 상단은 제2무선충전부(242)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재(243)는 제2무선충전부(242)를 제1무선충전부(24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수직부재(243)는 제1무선충전부(241)와 제2무선충전부(24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수직부재(243)는 중공의 파이프로 제공될 수 있고, 수직부재(243)의 내부에는 제1무선충전부(242)와 제2무선충전부(242)를 연결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제2무선충전부(242)는 제1무선충전부(241)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충전영역을 넓힐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240)는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제1무선충전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충전부 (214)는 제2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무선충전부(241)는 제2바디(200)의 플레이트(224a)에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마운트(113)의 연결단자(113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램프(244)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244)는 제1무선충전부(24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244)는 제1무선충전부(241)로부터 위로 이격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240)는 수직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243)는 제1무선충전부(241)와 램프(2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재(243)의 하단은 제1무선충전부(241)에 결합될 수 있고, 수직부재(243)의 상단은 램프(244)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재(243)는 램프(244)를 제1무선충전부(24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수직부재(243)는 제1무선충전부(241)와 램프(24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수직부재(243)는 중공의 파이프로 제공될 수 있고, 수직부재(243)의 내부에는 제1무선충전부(241)와 램프(244)를 연결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램프(244)는 LED로 제공될 수 있다. 램프(244)는 제1무선충전부(24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무선충전부(241)을 제2바디(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램프(244)를 포터블(portable)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램프(244)는 무선충전장치(4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램프(244)를 포터블(portable)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제어부(300,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공기청정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공기청정기(1)의 내부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버튼 어셈블리(108)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팬모터(106a)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버튼 어셈블리(108)의 신호값에 따라 팬모터(106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버튼 어셈블리(108)는 서로 다른 신호값을 전달하는 제1 내지 제3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버튼(미도시)이 눌리면, 제1버튼(미도시)의 신호값에 대응하는 회전수로 팬모터(106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버튼 어셈블리(108)의 신호값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250)에 공기청정기(1)의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조명(26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에 연동하여 조명(26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의 충전 작동 상태를 반영하여 조명(260)의 온/오프, 색상, 휘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의 램프(244)의 작동 상태를 반영하여 조명(260)의 온/오프, 색상, 휘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를 통해 전자기기가 충전중인 경우에는(S11), 조명(260)이 켜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를 통해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S13), 조명(260)이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
또는,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를 통해 전자기기가 충전중인 경우에는, 조명(260)을 제1색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를 통해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조명(260)이 제1색상과 상이한 제2색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를 통해 전자기기가 충전중인 경우에는, 조명(260)이 제1휘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무선충전장치(240)를 통해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조명(260)이 제1색상과 상이한 제2휘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램프(244)가 무선충전장치(240)에 결합된 상태일 경우 조명(260)이 켜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램프(244)가 무선충전장치(240)로부터 분리된 경우 조명(260)이 점멸되거나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램프(244)가 무선충전장치(240)에 결합된 상태일 경우 조명(260)을 제1색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어부(300)는 램프(244)가 무선충전장치(240)로부터 분리된 경우 조명(260)이 제1색상과 상이한 제2색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램프(244)가 무선충전장치(240)에 결합된 상태일 경우 조명(260)이 제1휘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어부(300)는 램프(244)가 무선충전장치(240)로부터 분리된 경우 조명(260)이 제1색상과 상이한 제2휘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제1바디(100)와, 제1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제2바디(200)의 상면을 커버하고, 제2바디(2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에 체결부재(F)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탑커버(230)는 자력부재를 통해 제2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와 제1바디(100) 사이에는 결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어퍼파트(110a)와 로어파트(110b)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102a)는 어퍼파트(110a)와 로어파트(110b)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제2바디(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제2바디(200)와 함께 제1바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흡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되 상기 토출구와 이격되고, 상기 제1바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구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유로(path)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360도에 걸쳐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는 하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의 하벽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되는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되 상기 토출구와 이격되는 하벽을 포함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2바디가 결합되는 제2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의 하벽은,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과 연결되되, 상기 토출구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의 하벽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바디의 하벽은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은 제1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은 상기 제1곡률보다 큰 제2곡률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일단이 상기 토출구의 엣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에 결합되는 토출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그릴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의 엣지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을 포함하는 로어바디; 및
    상기 로어바디에 위에 배치되는 어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하벽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2파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파트의 상벽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결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1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며, 상기 제1돌기와 상하로 정렬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의 접촉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돌기를 관통하여 상기 제1돌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공기청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파트의 측벽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2파트의 상기 측벽에 형성되되, 상기 제2파트의 상벽으로 오픈되는 제1결합홈; 및
    상기 제1결합홈으로부터 상기 제2파트의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파트의 상기 상벽과 상기 제1파트의 상기 하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파트의 상기 상벽과 마주하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연결되는 제2면; 및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결합홈과 상하로 정렬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홈에서 상기 제2결합홈으로 이동되는 공기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탑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제1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제1부재와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는 마그네트로 제공되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중 다른 하나는 금속부재로 제공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을 포함하는 로어바디; 및
    상기 로어바디와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어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바디는: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하벽과 결합되는 센터파트;
    상기 센터파트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평면을 포함하는 엣지파트; 및
    상기 센터파트와 상기 엣지파트를 연결하고, 상기 로어바디의 상기 하벽과 상하로 이격되는 미들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엣지파트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센터파트로부터 위로 돌출되고, 상기 엣지파트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엣지파트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는 제1무선충전부;
    상기 제1무선충전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무선충전부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제2무선충전부; 및
    상기 제1무선충전부와 상기 제2무선충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무선충전부와 상기 제2무선충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탑 커버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는 무선충전부;
    상기 무선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공기청정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상기 하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의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장치와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조명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작동이 중단되면 상기 조명이 점멸되도록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096203A 2022-08-02 2022-08-02 공기청정기 KR20240018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03A KR20240018221A (ko) 2022-08-02 2022-08-02 공기청정기
PCT/KR2023/008901 WO2024029747A1 (ko) 2022-08-02 2023-06-27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03A KR20240018221A (ko) 2022-08-02 2022-08-02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221A true KR20240018221A (ko) 2024-02-13

Family

ID=8984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203A KR20240018221A (ko) 2022-08-02 2022-08-02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8221A (ko)
WO (1) WO20240297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797A (ko)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729021B1 (ko) * 2014-11-05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613479B1 (ko) * 2017-12-29 2023-12-13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210171012U (zh) * 2019-03-26 2020-03-24 崔紫琪 桌式空气净化器
CN115701920A (zh) * 2020-06-03 2023-02-14 英特宜家系统有限公司 用于台式净化器的溢水保护
KR102320131B1 (ko) * 2021-07-14 2021-11-02 주식회사 더엘스타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747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961B2 (en) Air cleaner
CN111023348B (zh) 空气清洁器
CN107366983B (zh) 空气清洁器
KR20230128256A (ko) 공기 청정기
KR102026194B1 (ko) 공기 청정기
CN106839140B (zh) 空气清洁器
US11938433B2 (en) Air cleaner
KR20190120126A (ko) 공기 청정기
KR20240018221A (ko) 공기청정기
RU22941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нитарной ванны для создания состоящего из воздуха и воды массажного потока
KR102024171B1 (ko) 공기 청정기
KR102034676B1 (ko) 공기 청정기
KR102044163B1 (ko) 공기 청정기
KR102034683B1 (ko) 공기 청정기
WO2018235947A1 (ja) 空調室内機
KR20240009741A (ko) 공기청정기
KR20190119564A (ko) 공기 청정기
US20240019168A1 (en) Air cleaner
US20240117993A1 (en) Air purifier
US20240019143A1 (en) Air cleaner
US11920778B2 (en) Lighting ventilation fan having axial function module and grille with lateral inlet
KR20240009740A (ko) 공기청정기
CN218154633U (zh) 空气净化器
KR102024175B1 (ko) 공기 청정기
US20240019167A1 (en) Air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