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770A -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770A
KR20240017770A KR1020230172058A KR20230172058A KR20240017770A KR 20240017770 A KR20240017770 A KR 20240017770A KR 1020230172058 A KR1020230172058 A KR 1020230172058A KR 20230172058 A KR20230172058 A KR 20230172058A KR 20240017770 A KR20240017770 A KR 2024001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block
filter
body block
nozz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23017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770A/ko
Publication of KR2024001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에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삽입되는 인서터 및 일단이 상기 인서터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삽입되며, 타단에 곡면을 가지는 필터망을 구비하는 필터 블록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분사 시스템{Spraying system}
본 발명은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에는 농작물의 생장발육을 위한 물이나 농약 등을 자동으로 분무하기 위해, 물이나 농약 등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연결되고 고정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분사 노즐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비닐하우스와 같은 하우스형 시설 내에 농약을 살포함에 있어, 종래의 수동식 분무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무거운 약액 통을 등에 짊어지고 다니면서 한 손으로는 분무 실린더의 펌프작동을 하고, 또 다른 한 손으로는 노즐대를 잡고 농약을 분무 살포하게 된다. 이때 비산되는 농약에 의해서, 사용자는 호흡기로 농약이 흡입되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최근에 보급되고 있는 하우스 시설에 설치되는 약액 분사 장치는, 천정 부근에 레일봉을 설치하고, 레일봉에 레일봉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구동 이동체를 설치하여, 구동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복수의 분무 노즐이 구비된 노즐대가 하우스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농약이나 영양제 등의 약액을 온실 작물에 살포하도록 하는 등의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유체가 흐르는 연결관에 장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필터링을 수행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단에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삽입되는 인서터 및 일단이 상기 인서터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삽입되며, 타단에 곡면을 가지는 필터망을 구비하는 필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블록은 상기 필터망이 노출되는 제1 개구를 가지되, 상기 필터망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개구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블록은 상기 필터망을 지지하고, 상기 제1 개구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필터망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블록은 상기 타단이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저점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고점을 가지고, 상기 제1 저점과 상기 제1 고점을 연결하여 연장되되, 상기 필터망은 상기 제1 저점과 상기 제1 고점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블록은 제1 개구를 가지는 제1 바디 블록 및 상기 제1 바디 블록이 삽입되며, 상기 인서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제1 바디블록과 상기 제2 바디블록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개구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 블록은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저점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고점을 가지고, 상기 제1 저점과 상기 제1 고점을 연결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 바디 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제1 저점에 대응하여 정렬되는 제2 저점과, 상기 한 쌍의 제1 고점에 대응하여 정렬되는 제2 고점을 가지고, 상기 제2 저점과 상기 제2 고점을 연결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1 바디 블록이 상기 제2 바디 블록에 조립시에, 상기 제1 저점은 상기 제2 저점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고점은 상기 제2 고점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 블록은 중앙을 따라 배치되는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의 내부에 배치되며, 단부에 상기 필터망을 따라 곡률을 가지는 서포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1 개구에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 블록 및 상기 제2 바디 블록 중 어느 하나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디 블록 및 상기 제2 바디 블록 중 다른 하나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는 파이프의 내경 형상과 유사한 절곡면을 가지는 필터 블록이 파이프에 장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는 최종 분사될 유체를 곡률 반경을 가지는 필터망에 통과시킴으로써 요구되는 입자 크기로 분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는 유체의 경로 상에 필터망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노즐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터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바디 블록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바디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바디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필터 블록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노즐 어셈블리의 구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노즐 어셈블리에 필터 블록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즐 어셈블리(10)는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가 각각 독립적으로 유입되며,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가 혼합되어 더 미세하게 분사될 수 있다.
노즐 어셈블리(10)는 도면과 같이 외부 파이프(P)에 장착되어, 파이프(P)에서 유입되는 제1 유체(F1)를 분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즐 어셈블리(10)는 파이프(P)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파이프(P)는 제1 유체(F1)를 이동하는 통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파이프(P)는 일부 구간에 노즐 어셈블리(10)가 장착될 수 있는 접속구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접속구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되, 접속구에 노즐 어셈블리(10)가 장착될 수 있다.
파이프(P)는 일 방향으로 직진하는 제1 유체(F1)를 연결관을 형성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노즐 어셈블리(10)는 제1 유체(F1)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직교 방향으로 연결부를 형성하는 T자형 파이프(P)에 배치되는 노즐 어셈블리(10)에 대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파이프(P)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유체(F1)는 액체이며, 제2 유체(F2)는 기체일 수 있다. 노즐 어셈블리(10)는 내부에 배치된 필터 블록(300)이 파이프(P)를 이동하는 제1 유체(F1) 내부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여과된 유체를 분무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가 모두 액체이거나, 기체일 수 있다. 노즐 어셈블리(10)는 제2 유체(F2)가 와류를 형성하여, 분사되는 제1 유체(F1)를 더 미세하게 분무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유체(F1)는 기체이며, 제2 유체(F2)는 액체일 수 있다.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는 노즐 어셈블리(10)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노즐 어셈블리(10)가 물을 미세하게 분무하는데 사용한다면, 제1 유체(F1)는 물로 설정되고, 제2 유체(F2)는 공기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노즐 어셈블리(10)가 비닐하우스 등의 식물에 약물을 공급하는데 사용한다면, 제1 유체(F1)는 약물로 설정되고, 제2 유체(F2)는 공기로 설정될 수 있다.
노즐 어셈블리(10)는 베이스 바디(100), 인서터(200), 실링 링(210), 필터 블록(300)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0)는 파이프(P)에 장착되며, 내부 공간에 인서터(200), 실링 링(210), 필터 블록(30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0)는 일단에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0)는 타단에 제1 유체(F1)가 유입되는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일측으로 제2 유체(F2)가 유입되는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0)의 일단은 개방되어 개방된 출구를 통하여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가 배출될 수 있다.
인서터(200)는 베이스 바디(100)에 삽입되되, 내부로 상기 제1 유체(F1)가 통과하고, 표면과 베이스 바디(100) 사이로 상기 제2 유체(F2)가 통과할 수 있다.
인서터(200)는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가 각각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1 유체(F1)는 인서터(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2 유체(F2)는 인서터(20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인서터(200)는 제1 유체(F1)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제2 유체(F2)가 선회하도록 안내하여, 제2 유체(F2)에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링(210)은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에, 인서터(20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링(210)은 인서터(200)와 베이스 바디(100) 사이의 틈을 실링할 수 있다.
노즐 어셈블리(10)는 일단이 인서터(200)와 마주보도록 베이스 바디(100)에 삽입되며, 타단에 곡면을 가지는 필터망(330)을 구비하는 필터 블록(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노즐 어셈블리(10)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필터 블록(3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필터 블록(300)은 파이프(P)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일단이 인서터(200)와 마주보도록 베이스 바디(1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유체(F1)는 파이프(P)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블록(300)은 제1 유체(F1)가 이동하는 경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제1 유체(F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제1 유체(F1)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타단에 곡면을 가지는 필터망(330)을 가질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필터망(330)이 노출되는 제1 개구(311)를 가지되, 필터망(33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개구(3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블록(300)은 필터망(330)을 지지하고, 제1 개구(311)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터(3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필터망(330)은 파이프(P)의 내주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제1 유체(F1)는 파이프(P)를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망(330)과 접촉할 수 있다.
필터망(330)이 파이프(P)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므로, 필터망(330)은 노즐 어셈블리(10)로 제1 유체(F1)를 통과시키고 동시에, 필터망(330)에 잔류된 이물질이 제1 유체(F1)에 의해서 클리닝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필터 블록(300)은 제1 바디 블록(310), 제2 바디 블록(320), 필터망(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도면과 같이 조립되는 복수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필터 블록(300)은 내측에 필터망(330)을 구비한 일체형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제1 개구(311)를 가지는 제1 바디 블록(310) 및 제1 바디 블록(310)이 삽입되며, 인서터(2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 블록(3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바디 블록(3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2 바디 블록(32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 바디 블록(320)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필터 블록(300)은 제1 축(AX1) 방향으로 제1 바디 블록(310), 필터망(330), 제2 바디 블록(3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필터망(330)이 노출되는 제1 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제1 축(AX1) 방향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일단에 제1 개구(311)가 타단(312)을 향하여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타단(312)에 개방된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바디 블록(310)은 제1 축(AX1)을 기준으로 일측에 제1 개구(311), 타측에 제1 개구(311)의 개방된 타단(312)을 구비할 수 있다. 타단(312)은 제1 직경(d1)으로 설정되어 제2 바디 블록(320)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바디 블록(310)은 개방된 타단(312)을 통하여 필터망(330)과 제2 바디 블록(320)이 내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선단이 파이프(P)의 내경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설정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제1 방향(L)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저점(LP-1)과, 제1 방향(L)과 다른 제2 방향(H)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고점(HP-1)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마주보는 제1 고점(HP-1)은 제1 방향(L)으로 상호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제1 저점(LP-1)은 제2 방향(H)으로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점(HP-1)의 높이는 제1 저점(LP-1)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저점(LP-1)의 높이는 제1 고점(HP-1)에서 하단으로 지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점(HP-1)과 제1 저점(LP-1)을 연결하는 구간은 제1 바디 블록(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저점(LP-1)과 제1 고점(HP-1)을 연결하여 연장되는 곡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며, 제1 방향(L)과 제2 방향(H)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고점(HP-1)과 제1 저점(LP-1)이 형성하는 외곽면은 필터 블록(300)이 파이프(P)에 장착되었을 때 접촉하는 파이프(P)의 내주면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제1 고점(HP-1)과 제1 저점(LP-1)이 형성하는 외곽면이 파이프(P)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지 않되, 필터망(330)은 제1 개구(311)를 통해서 돌출되므로, 필터망(330)이 파이프(P)의 내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바디 블록(310)은 한 쌍의 제1 고점(HP-1) 및 제1 저점(LP-1)이 형성하는 상단 윤곽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컷오프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개구(311)의 외곽을 따라 연장된 제1 컷오프면(310a)과, 제1 컷오프면(310a)과 다른 경사를 가지는 제2 컷오프면(310b)을 가질 수 있다. 제1 컷오프면(310a)은 제1 경사각(θ1)을 가지고 제2 컷오프면(310b)은 제2 경사각(θ2)을 가질 수 있다.
제1 컷오프면(310a)은 제1 개구(311)에서 이어지도록 연장되고, 제2 컷오프면(310b)은 제1 컷오프면(310a)의 경계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체(F1)는 제1 컷오프면(310a)과 제2 컷오프면(310b)이 형성하는 외곽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일단부에 컷오프면을 형성함으로써 제1 유체(F1)가 부딪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파이프(P)의 내경으로 일부가 돌출되나, 컷오프면을 일측에 형성하여 유체가 흐르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유체(F1)는 제1 컷오프면(310a)과 제2 컷오프면(310b)이 형성하는 절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유체(F1)는 제1 바디 블록(310)의 단부에 블로킹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단부의 내측에 필터망(330)과 접촉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제2 바디 블록(320)이 삽입되므로, 제1 개구(311)의 가장자리는 제2 바디 블록(320)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바디 블록(310)은 내측에 제2 바디 블록(3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곡률(R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 블록(310)의 제1 곡률(R1)은 필터망(330)이 형성하는 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곡률(R1)은 제2 바디 블록(320)의 선단이 형성하는 곡률 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 블록(320)은 제2 개구(322)와 서포터(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제2 바디 블록(320)은 중앙을 따라 배치되는 제2 개구(322) 및 제2 개구(322)의 내부에 배치되며, 단부에 필터망(330)을 따라 곡률을 가지는 서포터(3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 블록(320)은 제1 바디부(321a), 제2 바디부(321b), 플랜지(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321a)는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인서터(200)와 마주보는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부(321a)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2 바디부(321b)와 연결되며, 제1 바디부(321a)의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321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321a)의 직경은 플랜지(321c)의 직경보다 작고, 제2 바디부(321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바디부(321b)는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며, 제1 바디 블록(3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d2)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은 삽입되는 제2 바디부(321b)의 외경(d2)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부(321b)는 제1 바디 블록(3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321c)는 제1 바디부(321a)와 연결되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321c)는 제2 바디 블록(320)과 인서터(200)의 사이에서 전방과 후방을 구획하므로, 베이스 바디(100)에서 제1 유체(F1)와 제2 유체(F2)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바디 블록(320)은 설정된 위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점(HP-2)과, 한 쌍의 제2 저점(LP-2)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제2 바디부(321b)는 제1 방향(L)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저점(LP-2)과, 제1 방향(L)과 다른 제2 방향(H)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고점(HP-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바디 블록(320)의 제2 저점(LP-2)과 제2 고점(HP-2)의 위치는 제1 바디 블록(310)의 제1 저점(LP-1)과 제1 고점(HP-1)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321b)는 한 쌍의 제1 저점(LP-1)에 대응하여 정렬되는 제2 저점(LP-2)과, 한 쌍의 제1 고점(HP-1)에 대응하여 정렬되는 제2 고점(HP-2)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 블록(320)의 선단은 제2 고점(HP-2) 및 제2 저점(LP-2)에 의해서 정의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저점(LP-2)과 제2 고점(HP-2)을 연결하여 연장되는 곡면은, 제1 저점(LP-1)과 제2 고점(HP-2)을 연결하여 연장된 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 블록(310)이 제2 바디 블록(320)에 조립시에, 제1 저점(LP-1)은 제2 저점(LP-2)에 삽입되고, 제1 고점(HP-1)은 제2 고점(HP-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개구(322)는 제2 바디 블록(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구(322)에 의해서 제1 유체(F1)가 인서터(20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개구(322)는 제1 바디부(321a) 및 제2 바디부(321b)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제1 바디부(321a) 및 제2 바디부(321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개구(322)는 제1 바디부(321a) 및 제2 바디부(321b)의 직경에 따라 내부 공간에 소정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322)의 내부 공간은 제1 바디부(321a)와 제2 바디부(321b) 사이의 경계를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서포터(323)는 제2 개구(322)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23)는 제2 바디 블록(320)에 배치되어, 필터망(33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서포터(323)는 필터망(330)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서포터(323)는 제1 개구(311)에 돌출될 수 있다. 서포터(323)는 단부가 제2 바디 블록(320)에서 노출되고, 상기 단부에 필터망(3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개구(322)는 내부에 제1 축(AX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서포터(32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323)는 제2 개구(322)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격벽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서포터(323)는 제2 개구(322)의 내부에서 소정의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서포터(323)는 제2 바디부(321b)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연장되되, 선단이 제2 저점(LP-2)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서포터(323)는 단부의 최고점은 제2 저점(LP-2)보다 높고, 제2 고점(HP-2)보다 낮거나 실질적으로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서포터(323)의 선단부는 제2 곡률(R2) 반경으로 설정되며, 제2 곡률(R2)은 필터망(330)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률반경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서포터(323)의 곡률반경에 따라 제1 개구(311)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서포터(323)의 상부에는 필터망(330)이 안착되며, 필터망(330)은 서포터(3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서포터(323)는 선단에 곡률을 가지는 격벽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서포터(323)에 안착되는 필터망(330)은 서포터(323)의 선단에 따라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서포터(323) 의 형상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필터망(330)은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서포터(323)는 단부가 필터망(330)을 지지하므로, 필터망(330)이 돌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유체(F1)의 유속이나 유압이 강하더라도, 서포터(323)가 필터망(330)을 지지하므로, 필터망(330)이 지속적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포터(323)는 제2 바디부(321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321b)의 내부에 배치된 제2 개구(322)에만 서포터(32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323)는 절개홈(323a)을 가질 수 있다. 절개홈(323a)은 제1 바디부(321a)와 제2 바디부(321b)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제1 바디부(321a)와 제2 바디부(321b) 사이의 관통홀(323H)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323H)은 제1 바디부(321a)로 유입된 제1 유체(F1)가 제2 바디부(321b)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절개홈(323a)은 관통홀(323H)을 통과한 제 유체를 서포터(323) 사이의 틈으로 분배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절개홈(323a)은 양측에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개홈(323a)의 일측은 제3 경사각(θ3)을 가지고, 절개홈(323a)의 타측은 제4 경사각(θ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 구조는 제2 바디부(321b)의 상단으로 향할수록 경사각은 작아지고 타단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는 제2 바디부(321b)를 통과하여 설정된 경사각에 의해 제1 바디부(321a)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제2 바디 블록(320)의 단부에는 제1 축(AX1)을 따라 제1 바디 블록(310)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바디 블록(320)은 단차를 가지어, 제2 바디 블록(320)은 제1 바디 블록(310)이 삽입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이 조립될 시에, 서포터(323)는 제1 개구(3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필터망(330)이 제1 개구(311)에서 돌출되도록, 서포터(323)는 곡률을 가지어 필터망(330)을 지지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전면에 유체가 연통되는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망(330)은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망(330)은 스테인레스, 코팅 처리된 철 등 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제1 바디 블록(310)과 제2 바디 블록(320) 사이에 배치되되, 제1 개구(3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제1 바디 블록(3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배치되며, 제2 바디 블록(3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필터망(330)의 가장자리는 제1 바디 블록(31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필터망(330)의 가장자리는 제1 바디 블록(310)의 제1 고점(HP-1)과 제1 저점(LP-1)을 연결하는 면에 지지되고, 제1 바디 블록(310)의 제1 곡률(R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망(330)의 가장자리는 제2 바디 블록(320)의 선단에 지지될 수 있다. 필터망(330)의 가장자리는 제2 바디 블록(320)의 제2 고점(HP-2)과 제2 저점(LP-2)을 연결하는 면에 지지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적어도 일부가 제1 개구(311)에서 돌출되도록 곡률을 가지고 구비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제1 저점(LP-1)과 제1 고점(HP-1) 사이로 돌출되도록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름을 가지는 파이프(P)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필터망(330)은 유체가 노즐 어셈블리(10)로 유입되는 경로에 배치되어, 노즐 어셈블리(10)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필터 블록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필터 블록(300)은 정렬과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가이드 홈(341)과 가이드 돌기(342)를 가질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제1 바디 블록(310) 및 제2 바디 블록(320) 중 다른 하나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홈(341) 및 가이드 돌기(342)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바디 블록(310)과 제2 바디 블록(320)의 외주면에 가이드 홈이 배치되고, 가이드 홈이 삽입되는 위치에 가이드 돌기가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홈과 돌기의 위치가 상호 변경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제1 축(AX1)을 따라 제1 바디 블록(310), 필터망(330), 제2 바디 블록(320) 순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바디 블록(310) 및 제2 바디 블록(320) 중 다른 하나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홈(341) 및 가이드 돌기(342)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홈(341)은 가이드 돌기(342)가 삽입되도록, 가이드 돌기(34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홈(341)은 제1 바디 블록(310)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제2 바디 블록(320)의 제2 가이드 돌기(342b)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42)는 가이드 홈(34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되며 제1 바디 블록(310) 및 제2 바디 블록(320)은 가이드 홈(3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바디 블록(310)에 가이드 홈(341)이 배치되고, 제2 바디 블록(320)에 가이드 돌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 블록(31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돌기(3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홈(341) 및 가이드 돌기(342)는 제1 바디 블록(310)에 제2 바디 블록(320)이 오삽되지 않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가이드 돌기(342)는 제1 바디 블록(310), 제2 바디 블록(320)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42)는 제1 바디 블록(310)과 제2 바디 블록(3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바디 블록(320)에는 제1 가이드 돌기(342a), 제2 가이드 돌기(342b)가 형성되며, 제1 바디 블록(310)에 제3 가이드 돌기(34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342a)와 제3 가이드 돌기(342c)는 파이프(P)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미도시) 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342b)는 가이드 홈(341)에 삽입된다.
제1 바디 블록(310)은 가이드 홈(341)에 삽입된 제2 가이드 돌기(342b)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제2 바디 블록(320)에 삽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 블록(300)은 파이프(P)의 상기 홈에 삽입된 제1 가이드 돌기(342a) 및 제3 가이드 돌기(342c)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파이프(P)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 블록(310)과 제2 바디 블록(320)은 제2 가이드 돌기(342b)에 의하여 정렬되어 결합되고, 결합된 필터 블록(300)은 제1 가이드 돌기(342a) 및 제3 가이드 돌기(342c)에 의하여 정렬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노즐 어셈블리의 구동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노즐 어셈블리에 필터 블록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노즐 어셈블리(10)가 적용되는 분사 시스템은 저장조에서 제1 유체(F1)를 저장하며, 제1 유체(F1)는 자동적으로 공급 라인을 따라 이동 후, 분사될 수 있다. 분사 시스템은 펌프와 같이 별도의 추가적인 공급 장치가 없더라도, 압축기에 의해서 제2 유체(F2)가 노즐 어셈블리(10)에서 분사되면, 제1 유체(F1)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10)는 제1 유체(F1)에 함유되는 내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인서터(200)와 파이프(P)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유체(F1)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제1 유체(F1)가 인서터(200)로 유입되기 전에, 제1 유체(F1)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바디 블록(310)은 파이프(P)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제2 바디 블록(320)은 타단이 인서터(2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서터(200)는 베이스 바디(100)의 출구에 장착되어 유체가 일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한다.
제1 유체(F1)는 베이스 바디(100)와 연결되는 인접한 파이프(P)의 유로를 따라 흐르고, 필터 블록(300)은 제1 유체(F1)가 흐르는 유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1 유체(F1)가 노즐 어셈블리(10)로 유입될 수 있다.
노즐 어셈블리(10)는 이물질이 제거된 제1 유체(F1)를 분사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필터 블록(300)에 점착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파이프(P)에서 분지된 위치에 배치되어, 제1 유체(F1)를 노즐 어셈블리(1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필터 블록(300)의 필터망(330)은 제1 유체(F1)의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망(330)이 파이프(P)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므로, 필터망(330)은 노즐 어셈블리(10)로 제1 유체(F1)를 통과시키고 동시에, 필터망(330)에 잔류된 이물질이 제1 유체(F1)에 의해서 클리닝 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서포터(323)에 지지되고, 서포터(323)에 의해서 제1 바디 블록(310)의 개구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필터망(330)이 파이프(P)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므로, 파이프(P)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유체(F1)는 필터망(330)에 침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 블록(300)은 단부가 파이프(P)의 내경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타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제1 바디 블록(310)의 일단은 제1 개구(311)와 연결되는 컷오프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311)에서 이어지는 컷오프면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컷오프면(310a)은 경사를 가지고 절곡되어 제1 유체(F1)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컷오프면(310b)은 제1 컷오프면(310a)과 연장된 절곡면을 형성하여 제1 유체(F1)의 유동 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P)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유체(F1)는 제1 바디 블록(310)에 저항을 받지 않으며, 돌출된 필터망(330)에만 저항을 받는다. 제1 유체(F1)는 저항없이 노즐 어셈블리(10)로 유입되되, 돌출된 필터망(330)을 효과적으로 클리닝 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서포터(323)에 의하여 돌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필터망(330)은 제2 바디 블록(320)의 서포터(323)에 지지되므로, 제1 유체(F1)의 유압이나 유속이 높더라도 필터망(330)의 변형되지 않고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노즐 어셈블리
100 : 베이스 바디
200 : 인서터
300 : 필터 블록
310 : 제1 바디 블록
320 : 제2 바디 블록
330 : 필터망

Claims (1)

  1. 일단에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삽입되는 인서터; 및
    일단이 상기 인서터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삽입되며, 타단에 곡면을 가지는 필터망을 구비하는 필터 블록;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
KR1020230172058A 2022-08-01 2023-12-01 분사 시스템 KR20240017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2058A KR20240017770A (ko) 2022-08-01 2023-12-01 분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570A KR102531182B1 (ko) 2022-08-01 2022-08-01 노즐 어셈블리
KR1020230058703A KR102610586B1 (ko) 2022-08-01 2023-05-04 분사 시스템
KR1020230172058A KR20240017770A (ko) 2022-08-01 2023-12-01 분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703A Division KR102610586B1 (ko) 2022-08-01 2023-05-04 분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770A true KR20240017770A (ko) 2024-02-08

Family

ID=863859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570A KR102531182B1 (ko) 2022-08-01 2022-08-01 노즐 어셈블리
KR1020230058703A KR102610586B1 (ko) 2022-08-01 2023-05-04 분사 시스템
KR1020230172058A KR20240017770A (ko) 2022-08-01 2023-12-01 분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570A KR102531182B1 (ko) 2022-08-01 2022-08-01 노즐 어셈블리
KR1020230058703A KR102610586B1 (ko) 2022-08-01 2023-05-04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311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87Y1 (ko) * 2000-02-17 2000-08-16 김용선 스프레이 건용 여과필터
KR100890547B1 (ko) * 2008-06-05 2009-03-27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1855213B1 (ko) * 2017-09-29 2018-05-08 이주형 비닐하우스용 선회 분무형 분사노즐
KR101855211B1 (ko) * 2017-09-29 2018-05-08 이주형 협소 공간내의 다단 관체부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101897469B1 (ko) * 2018-02-22 2018-10-31 이주형 포도나무 비닐하우스용 확장 분무형 분사노즐
KR102363422B1 (ko) * 2020-11-20 2022-02-15 이주형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586B1 (ko) 2023-12-07
KR102531182B1 (ko)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8206T3 (es) Emisor de riego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US8622319B2 (en) Automatic air-assisted manifold mounted gun
ES2637831T3 (es) Salida para una instalación de lavado
DE3641644C2 (ko)
KR101746248B1 (ko) 적하-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
CN100358643C (zh) 压力清洗装置及喷射器
CN100571887C (zh) 扩散装置
KR101855211B1 (ko) 협소 공간내의 다단 관체부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EP2844395B1 (en) Vent system for a gravity feed spray device
RU2649520C2 (ru) Корпус клапана с верхним отклоня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тклонения потока
CN102164681A (zh) 包含固定或可变喷射角度的具有可调液滴尺寸的平面射流流体喷嘴
CN105636705B (zh) 用于分配系统的喷嘴
US11116151B2 (en) Clog resistant in-line vortex element irrigation emitter
KR102610586B1 (ko) 분사 시스템
KR20230169009A (ko) 분무 시스템
RU2605962C2 (ru) Узел для распрыс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распрыскивающая форсунка и способ опрыскивания
JP6671710B2 (ja) ノズル
US7584908B2 (en) Spray nozzle apparatus and method
US20040060856A1 (en) Strainer basket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9863335B (zh) 阀体结构及压力喷头装置
CN113557931B (zh) 一种用于农业节水灌溉的雾化灌溉装置
JP7206402B2 (ja) 灌水ホースを用いた灌水拡散型ドリップ
KR102186115B1 (ko) 이류체 분무장치
KR102607290B1 (ko) 멀티유즈 무동력 회전살포장치와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