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949A - 웨어러블 광 요법 장치(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광 요법 장치(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949A
KR20240016949A KR1020237038251A KR20237038251A KR20240016949A KR 20240016949 A KR20240016949 A KR 20240016949A KR 1020237038251 A KR1020237038251 A KR 1020237038251A KR 20237038251 A KR20237038251 A KR 20237038251A KR 20240016949 A KR20240016949 A KR 2024001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dividual
wearable
dose
bio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힐 칸 (레이)
Original Assignee
샤이닝 부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이닝 부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샤이닝 부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1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9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0629Sequential activation of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는, 외피 부분 및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광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명 모듈은 약 100 내지 200 cm2의 목표 조명 면적에 걸쳐 약 5 내지 50 mJ/cm2의 선량으로 적색 광 및/또는 적외선 광을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제공한다. 예시적인 장치는, 장치를 착용한 개인에 대해서 광 생체 조절을 수행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양의 광을 대상체에 제공하는 일체형 또는 탈착 가능형 조명 모듈을 갖는 웨어러블 스포츠 컵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광 요법 장치(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특히 적색 광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증가와 관련된, 광 기반 요법용 장치 및 방법이다.
배경기술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정보가 선행 기술이거나 현재 청구된 발명과 관련이 있거나, 구체적이거나 또는 암시적으로 참조된 모든 간행물이 선행 기술임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모든 간행물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적인 간행물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명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동일한 범위 내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포함된 참조에서의 용어의 정의 또는 사용이 본원에 제공된 해당 용어의 정의와 일치되지 않거나 상반되는 경우, 본원에 제공된 해당 용어의 정의가 적용되고 참조 내의 해당 용어의 정의는 적용되지 않는다.
특히 적색광을 이용한 광 생체 조절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고(예를 들어, [Semin Cutan Med Surg. 2013 March; 32(1): 41-52; Ann Biomed Eng. 2012 Feb;40(2):516-33] 참조), 다양한 용도 및 장치에서 주류로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적색 및 근적외선 광 치료는 주름, 피부 거칠기 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Photomed Laser Surg. 2014 Feb 1; 32(2): 93-100]. 추가적인 공지된 용도에서, 정맥 레이저 혈액 조명과 조합된 저강도 레이저 요법이 성기능 개선을 위해서 구현되어 있다[Biomedicine (Taipei). 2018 Jun; 8(2): 7].
보다 최근에, 개인이 광 생체 조절의 장점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이점을 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비자 장치를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장치들 중에서, [Joovv (URL: joovv.com)]는 적색 광 요법을 위한 전신 패널을 제공하는 한편, [SolaWave (URL solawave.co)]는 여드름 치료를 위한 면도기 형태의 소형 휴대형 조명기(hand-held illuminator)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에서, [Bristl (URL: bristlscience.com)]은 치아 및 치주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적색-광 방출 칫솔을 제공하는 한편, [Sharper Image]는 적색 LED를 갖는 헤어브러시(hairbrush)를 제공한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소비자 장치는 임상적 시험에 의해서 검증된 이점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거의 제공하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광 생체 조절의 의료적 이용은 일반적으로 의료 시설 또는 의사의 진료실로 제한되고, 투여를 위해서는 훈련된 전문가 또는 전문화된 장비가 종종 요구된다.
따라서, 다양한 광 생체 조절 시스템 및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 모두 또는 거의 모두는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광 요법 장치 및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희망하는 생리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광 응답 목표 조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광 생체 조절 장치의 다양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장 유리하게는, 조명은 눈에 띄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동작을 위한 전담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자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고려하고, 이러한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외피; 및 외피에 커플링(coupling)되고 장치를 착용한 개인의 신체의 일부에 광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내측 표면이 신체의 일부의 윤곽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이 조명 모듈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려되는 신체 부분은 생식기 영역, 팔뚝 영역 또는 팔꿈치 영역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실시형태에서, 외피는, 장치를 개인의 신체 상에서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메커니즘을 포함하고/하거나, 외피는 몰딩된 중합체 외피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비-필수적으로, 조명 구성요소는 적색 광 및/또는 적외선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색 광 및/또는 적외선 광은 약 660 nm 또는 약 880 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에, 조명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확산부, 및/또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적어도 120도 각도의 조사(irradiation)를 가능하게 하는 볼록 렌즈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서, 광이 5 cm 이하의 거리에 걸쳐 신체의 부분에 전달되도록 조명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외피에 커플링되는 것, 및/또는 광이 약 100 내지 200 cm2의 목표 조명 면적에 전달되도록 조명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외피에 커플링되는 것이 고려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그러나 비-필수적으로, 광이 5 내지 50 mJ/cm2의 선량을 갖도록 조명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외피에 커플링된다.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회로뿐만 아니라, 재충전 가능 또는 일회용 전원이 일반적으로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는 또한, 드라이버 모듈 및 전원에 전자적으로 커플링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구성요소를 고려하고, 발광 장치, 드라이버, 및 선택적으로 전원은 캐리어에 커플링되고, 이러한 캐리어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부착되어 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광 장치는 (예를 들어, 약 0.1 내지 10 mW의 파워 레벨에서, 예를 들어, 약 660 nm 또는 약 880 nm의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서, 발광 장치는 5 내지 50 mJ/cm2의 선량으로 광을 방출한다. 바람직한 경우에, 발광 장치는 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적어도 120도의 각도에 걸쳐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드라이버 모듈이 일반적으로 발광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조명의 지속 시간, 세기, 및/또는 스케줄을 제어할 것이고, 및/또는 선택적 전원이 재충전 가능하거나 일회용인 전원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캐리어는 가요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러한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대한 해제 가능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스냅-록(snap-lock) 또는 압입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들 중에서, 발광 장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2 내지 5 cm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광 장치는, 5 cm 이하의 거리로부터 목표 조명 면적을 조명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또는 다른 구성에서, 발광 장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부착될 때 약 100 내지 200 cm2의 목표 조명 면적을 조명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외피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또한 고려하고, 내측 표면은 장치를 착용한 개인의 신체의 일부의 윤곽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이 조명 모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영역을 갖는다.
가장 일반적으로, 외피의 적어도 일부 또는 심지어 전부가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고, 윤곽화되는 본체 부분은 생식기 영역, 팔뚝 영역, 또는 팔꿈치 영역이다. 예를 들어, 외피는 스포츠 컵(sports cu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실시형태에서, 조명 구성요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영역은, 조명 구성요소의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부 또는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의 또한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자는 개인에 대해서 광 생체 조절을 실시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소정 광의 선량을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전달하도록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광의 선량이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는 광의 선량을 전달하면서 10 내지 60분의 시간 동안 개인에(예를 들어, 개인의 생식기 영역, 팔뚝 영역 또는 팔꿈치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선량이 약 100 내지 200 cm2의 목표 조명 면적에 전달되는 것, 그리고 광이 (예를 들어, 약 660 nm 또는 880 nm의 최대 파장을 갖는) 적색 광 및/또는 적외선 광인 것이 추가적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광의 선량이 5 내지 50 mJ/cm2인 것, 및/또는 광의 선량이 개인의 수면 전 3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일반적으로, 그러나 비-필수적으로, 광의 선량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투여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방법에서 광의 선량은 개인의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킬 것이고, 개인의 생식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며, 및/또는 개인의 근육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그에 따라, 그리고 상이한 관점으로부터 볼 때, 본 발명자는 개인의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또한 고려하며,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소정 광의 선량을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전달하도록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의 선량은 개인의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광 응답성 조직은 음낭 조직이고, 광은 적색 광 및/또는 적외선 광이고, 및/또는 광의 선량은 5 내지 50 mJ/cm2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광의 선량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전달되고/되거나, 개인의 수면 전 3시간 이내에 투여된다. 고려되는 생식 호르몬은, 다른 개체들 중에서,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난포 자극 호르몬(FSH), 황체 형성 호르몬(LH), 또는 디하이드록시 에피안드로스테론(DHEA)을 포함한다.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려되는 방법은 건강한 개인(그리고 특히 40세 초과의 개인)뿐만 아니라, 성선 기능 저하증 진단을 받은 사람에게도 이용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는 적어도 10% 만큼 증가될 것이다.
또 다른 관점으로부터 볼 때, 본 발명자는 개인의 생식 능력을 개선하는 방법을 또한 고려하며,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소정 광의 선량을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전달하도록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의 선량은 개인의 생식 능력을 높인다. 바람직하게는, 광의 선량은 에스트로겐, FSH, 및/또는 LH를 조절하여 생식 능력을 높일 것이다.
또 다른 관점으로부터 볼 때, 본 발명자는 개인의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또한 고려하며,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소정 광의 선량을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전달하도록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다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의 선량은 개인의 근육량을 증가시킨다. 어떠한 이론 또는 가설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는 광의 선량이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켜 근육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고려한다.
결과적으로, 본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는 의학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의학적 용도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신체적, 생리적, 및 정서적 특성 및 성과 지표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용도들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용도는 개인의 근육량 증가, 개인의 생식 능력 향상, 및/또는 개인의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의 증가를 위한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의 다양한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루어지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원에서 제시된 예시적인 광 생체 조절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제시된 예시적인 조명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원에서 제시된 능동 조명 모듈을 갖는 예시적인 광 생체 조절 장치의 내부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 생체 조절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광 생체 조절 장치의 다른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능동 조명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원에서 제시된 다른 능동 조명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명 모듈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광 생체 조절 장치의 내부도이다.
본 특허출원은 2021년 4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171,455호, 및 2021년 4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214,557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전술한 미국 특허 출원은 그 전문이 본 특허 출원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자는, 이제 개인이 가정 환경에서 사생활 보호 및 편안함 하에서 치료를 적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희망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광 생체 조절이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명은 외피(12) 및 조명 구성요소(14)를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10)로부터 제공된다.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피(12)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생식기 영역, 팔뚝 영역, 무릎 영역, 발목 영역, 어깨 영역, 또는 팔꿈치 영역)와 일치되도록 또는 그 윤곽을 따르도록 구성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는 신체에 부착될 수 있고 눈에 띄지 않는 방식으로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외피(12)가 광 응답성 조직을 포함하는 신체의 부분의 윤곽을 따르기 때문에, 조명은, 다수의 광 안내부 또는 많은 수의 광원(16)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어, 확산부 및/또는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더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광 응답성 조직으로 지향될 수 있다. 가장 유리하게는, 조명 구성요소(14)는, 치유 효과적인 광의 선량을 달성하기 위한 희망하는 파장 및 파워의 광을 방출하는 다수의 LED 및/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 안내부, 렌즈, 반사 재료, 또는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조명 구성요소에 의해서 생성되는 광을 증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에서, 외피(12)는, 약 660 nm의 최대 스펙트럼 및 최대에 대한 +/- 20 nm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2개의 광원(16)(예를 들어, LED)을 포함하는, 착용될 수 있는 스포츠 컵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나, 또한 탈착 가능한 조명 구성요소(1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LED는 5 mW의 파워를 가지고, 캐리어(18)에 커플링되고 드라이버 모듈(20) 및 재충전 가능 전원(22)에 전자적으로 커플링된다. 캐리어(18) 및 LED는, LED가 컵의 내측을 향하도록 외피의 외부 표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드라이버 모듈(20)은, 예를 들어 약 30분의 지속 시간 동안 약 20 mJ/cm2의 선량으로, LED를 통해서 연속적인 조명을 광 응답성 조직(예를 들어, 음낭 및 하부 고환 조직)에 전달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선량은 약 1 mJ/cm2 내지 약 200 mJ/cm2, 약 1 mJ/cm2 내지 약 100 mJ/cm2, 약 1 mJ/cm2 내지 약 50 mJ/cm2, 약 10 mJ/cm2 내지 약 30 mJ/cm2, 또는 약 15 mJ/cm2 내지 약 25 mJ/cm2일 수 있다. 양 LED는 볼록 렌즈 및 확산부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되고, 볼록 렌즈 및 확산부는 적어도 120도의 각도에 걸친 조명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배치에서, LED가 광 응답성 조직과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고, 그 대신 LED의 표면이 광 응답성 조직으로부터 5 cm 이하만큼 멀리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목표 조명 면적이 약 100 내지 200 cm2 만큼 넓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예시적인 장치를 도시한다.
조명이 하루 중의 임의의 시간에 수행될 수 있지만, 조명은 바람직하게 야간 휴식 기간의 부교감 신경 단계 중에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자극하기 위해 수면 시간 전 약 3시간 미만과 같은 저녁에 수행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아침에 일어나서 1시간 이내에 타액으로 측정했을 때 (조명이 없는 다른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한 평균 측정치와 비교하여) 적어도 10% 만큼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실시형태에서, 조명이 또한 깨어났을 때 및/또는 일어나기 전에도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아침(예를 들어, 정오 전 2시간 초과, 정오 전 3시간 초과, 정오 전 4시간 초과, 정오 전 5시간 초과)의 조명도 또한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고려된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웨어러블 장치(10)의 사용자의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일주기적 변화(circadian variation)로 인해, 투여는 아침, 오후, 저녁, 기상 후, 수면 시도 전,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12)와 관련하여, 외피 형상은 스포츠 컵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고, 그 대신 외피는 개인(또는 비-인간 포유류)의 신체의 일부와 일치되거나 그 윤곽을 따르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신체의 일부는 적어도 일부의 광 응답성 조직을 포함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광 응답성 조직"이라는 용어는, 광, 특히 적색 광 및/또는 적외선 광으로 조사될 때, 체계적으로 측정 가능한 호르몬 방출 또는 생성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일으키는 조직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제한하지는 않지만, 특히 광 수용성 조직은, 통상적으로 의류에 의해 덮여 있거나 일광으로부터 보호되거나 일광이 접근하기 어려운 조직(예를 들어, 생식기 조직, 협측 조직, 팔의 아래쪽/겨드랑이 조직, 발바닥 조직 등)이며, 따라서 상당히 더 광 수용성 및/또는 광 응답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광 응답성 조직은 직접적으로(즉, 조직과 광원 사이에 의류 층이 없이) 조사되지만, 다른 양태에서는, 의류 또는 다른 재료가 방출된 광을 실질적으로 흡수하지 않는 한(예를 들어, 방출된 광의 50% 초과, 또는 60% 초과, 또는 70% 초과, 또는 80% 초과를 흡수하지 않는 한), 의류 또는 다른 재료의 층이 조직과 광원 사이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피는 스포츠 컵으로서, 팔 또는 다리의 섹션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피로서, 두개골의 적어도 일부에 일치되거나 그 윤곽을 따르는 외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외피(12)는 (예를 들어, 스포츠 컵과 유사한) 중합체 재료, 섬유질 재료(예를 들어, 면 속옷), 필름(예를 들어, 음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하는 형태-피팅 필름(form-fitting film)),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외피(12)는 HDPE, PE, PET 및/또는 PP와 같은 중합체 재료로 제조될 것이고, 수동적인 힘을 가할 때 적어도 어느 정도 유연할 것이다. 또한, 외피를 개인의 신체 상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외피가 탄성 스트랩 또는 벨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착 구현예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양태에서, 외피(12)가, 하나 이상의 조명 구성요소(14)의 부착 또는 커플링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분(들)은 해체 가능한 부착을 가능하게 할 것이고, 그에 따라 스냅 또는 다른 압입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들)은 조명 구성요소(1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서 함몰되거나 달리 개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적합한 부착 부분은, 조명 구성요소(1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 및 이브 개구부(eve opening)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제한하지는 않지만, 조명 구성요소(14)는 캐리어(18) 상에서 제조되거나 그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캐리어에는 하나 이상의 광원(16)(예를 들어,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모듈, 및 선택적인 광원이 커플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서, 조명 구성요소(14)는 단일 단편으로 외피(12)에 부착될 수 있고/있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동일한 유형 또는 다른 유형의 외피(12)에 재-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다른 이점들 중에서, 장치 구성요소의 위생 및 상호 교환성이 상당히 단순화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캐리어(18)는 적어도 2개의 구분된 그리고 바람직하게 유연한 아암(arm)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아암에는 광원(들)이 커플링된다(도 1 내지 도 6 참조). 유리하게는, 이러한 가요성 아암은 캐리어(18)를 외피(12)에 보다 잘 일치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24)은, 캐리어(18)의 나머지와 Y-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각도로, 캐리어(18)의 나머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명 구성요소(14)는, 하나 이상의 광원(16)을 포함하는 퍽(puck)의 형태이다(도 7 참조). 물론, 조명 구성요소(14) 내의 광원의 유형 및 수가 상당히 달라질 수 있고, 적절한 웨어러블 장치(10)가 1개 내지 4개의 광원(16), 또는 2개 내지 6개의 광원(16), 또는 5개 내지 10개의 광원(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광원(16)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고, 모든 공지된 유형의 광원(16)이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광원(16)은 OLED, LED, 레이저 다이오드, 및 다양한 다른 솔리드-스테이트(solid-state) 방출기를 포함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광원(16)은 단색적이다(즉, 60 nm의 스펙트럼 범위 이내). 그러나,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원(16)은 다색적일 수 있고, 특히 고려되는 다색성 광원(16)은, 다양한 광 컬러를 방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다중 컬러 LED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조명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광 생체 조절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외피는, 사용자가 착용한 장치 내측의 공간과 외측 사이의 온도 및 공기의 평형을 촉진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도록 물갈퀴형 외피(webbed shell)로서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한 광원(16)은 스펙트럼의 적색 및 적외선 영역 내에서 광을 방출할 것이다. 따라서, 적합한 파장은 적어도 580 nm, 또한 적어도 600 nm, 또한 적어도 620 nm, 또한 적어도 640 nm, 또한 적어도 660 nm, 또한 적어도 680 nm, 또한 적어도 700 nm, 또한 적어도 720 nm, 또한 적어도 740 nm, 또한 적어도 760 nm, 또한 적어도 780 nm, 또한 적어도 800 nm, 또한 적어도 820 nm, 또한 적어도 840 nm, 또한 적어도 860 nm, 또한 적어도 880 nm일 것이고, 그보다 더 길 것이다. 또한, 그리고 이미 앞서 주목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는, 예를 들어 최대 약 660 nm 및 최대 약 880 nm의 광을 방출하는 다수의 그리고 구분된 광원(1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적합한 광원(16)의 파워 레벨은 적어도 0.01 mW, 또한 적어도 0.1 mW, 또한 적어도 0.5 mW, 또한 적어도 1 mW, 또한 적어도 2 mW, 또한 적어도 5 mW, 또한 적어도 10 mW, 또한 적어도 50 mW, 또한 적어도 100 mW, 또한 적어도 250 mW, 또한 적어도 500 mW, 또한 적어도 750 mW일 것이고, 그보다 더 클 것이다. 예를 들어, 적합한 광원은 적어도 0.1 내지 1.0 mW, 또는 1 내지 5 mW, 또는 5 내지 50 mW, 50 내지 500 mW, 및 그 초과의 파워 출력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고려되는 장치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선량은 적어도 1.0 mJ/cm2, 또한 적어도 5.0 mJ/cm2, 또한 적어도 10 mJ/cm2, 또한 적어도 20 mJ/cm2, 또한 적어도 30 mJ/cm2, 또한 적어도 50 mJ/cm2일 수 있고, 보다 더 클 수 있다.
앞서 주목한 바와 같이, 방출된 광이 적어도 90도, 또는 적어도 120도, 또는 적어도 150도, 또는 적어도 180도에 걸쳐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광원(16)이 확산부 및/또는 다른 광학 요소, 예를 들어 볼록 렌즈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광 분산은 광원(16)이 광 응답성 조직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광원(16)이 점 광원이 아닌 경우, 넓은 영역의 조명이 또한 직사각형 또는 다른 선형 확장 광원(예를 들어, LED 밴드 또는 직사각형 LED)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광 안내부 및 광 전송 직물 또는 천을 이용하여 더 넓은 영역을 조명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는, 광원(16) 사이의 거리가 약 0.1 내지 1.0 cm, 또는 약 1.0 내지 2.0 cm, 또는 약 1.0 내지 3.0 cm, 또는 약 2.0 내지 4.0 cm, 또는 약 1.0 내지 5.0 c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거리는 특히 5 cm 미만, 또는 4 cm 미만, 또는 3 cm 미만, 또는 2 cm 미만, 또는 1 cm 미만, 그러나 바람직하게 0.1 cm 초과의 거리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전달되는 광이 목표 조직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할 것이고 주름 또는 피부 접힘부에 의해서 달리 가려질 수 있는 영역도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볼 때, 본원에서 고려되는 장치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목표 조명 면적은 적어도 10 cm2, 또한 적어도 25 cm2, 또한 적어도 50 cm2, 또한 적어도 100 cm2, 또한 적어도 150 cm2, 또한 적어도 200 cm2, 또한 적어도 250 cm2일 수 있고, 그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원(16)의 동작을 드라이버 모듈(20)로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드라이버 모듈은 구분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있거나, 제2 제어 장치(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서 앱을 동작시키는 모바일 폰)와 전자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전력은 일반적으로, 조명 구성요소(14)의 일부일 수 있거나 그 일부가 아닐 수 있는 재충전 가능한 또는 일회용의 배터리(22)로부터 전달된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개인에 대해서 광 생체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10), 제2 제어기, 및 하나 이상의 생체 피드백 장치를 포함한다.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의 드라이버 모듈(20)은 제2 제어기(예를 들어, 모바일 폰)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제어기는 생체 피드백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심박수 모니터, 웨어러블 호르몬 센서, 및 기타)와 전자적으로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10)를 이용한 목표 조직의 조명을 증강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형태에서, 조명은 동일 광 파장을 이용하여 동일 파워 레벨에서 연속적일 것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모드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인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조직 가열 및/또는 자극에 대한 적응을 줄이기 위해서, 조명이 불연속적일(규칙적으로 간헐적일 또는 무작위적으로 간헐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파장에 의해서 달성되는 생물학적 효과를 최대화 또는 '누적'시키기 위해서, 파장이 (적색으로부터 적외선으로) 전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특정 생리적 공명으로 '튜닝(tune into)'하기 위해서, 세기를 희망 주파수로(예를 들어, 사인파(sine wave) 패턴으로) 변경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파장이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파장으로부터 다른 파장으로의 변경이 점진적으로 또는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조명은 특정 시간 및/또는 누적 에너지 선량으로 제한될 것이고, 당업자는 해당 효과를 위해 드라이브 모듈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웨어러블 장치(10)는 목표 조직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예를 들어, 환기 또는 가열 요소), 목표 조직에 근접한 수분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예를 들어, 수증기 공급원, 건조제, 또는 환기), 그리고 목표 조직에 대한 조명의 노출을 조절하기 위한(예를 들어, 광학 필터,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투명한 필름)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스케줄을 또한 이용하여, 일주기 또는 월간 리듬, 특히 생식 호르몬과 관련된 이러한 리듬을 향상시키거나 연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DHEA 또는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조명은 저녁, 야간, 수면 시간 부근 등에, 또는 심지어 아침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에스트로겐, LH, 또는 FSH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조명은 월경 주기에 걸쳐 적절한 시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조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의약품 및/또는 건강 기능 식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테스토스테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 다양한 허브 및 비타민 제제를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이어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프로토콜에 따라 전혈 또는 타액에서 테스토스테론을 검사한다.
생식 호르몬의 증가에 기초하여, 본원에 제시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한 조명이 호르몬 수치(예를 들어, FSH, LH, 에스트로겐, DHEA, 테스토스테론) 자체뿐만 아니라, ED, 자신감, 근육량 증가, 에너지, 정액 품질, 사정 속도, 지방 감소, 생식 능력, 식욕, 탄수화물/육류 갈망, 모발 성장/밀도, 수면, 불안, 기분, 꿈, 요통 등을 포함하는, 육체적/심리적 마커와 같은, 호르몬 관련 주관적 및 객관적 마커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투여 스케줄은 적어도 1주, 보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2주, 또는 적어도 3주, 또는 적어도 4주의 범위(span)에 걸쳐 적어도 10분, 또는 적어도 20분, 또는 적어도 30분, 또는 적어도 45분 동안 지속되는, 매일, 또는 주 2회, 주 3회, 주 4회의 세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호르몬(그리고 특히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조명이 없는 동일한 테스트 체제와 비교할 때) 적어도 2%, 또는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10%, 또는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17%, 또는 적어도 20% 증가할 수 있고, 그보다 더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
실험의 세트에서,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되는 광으로 피험자를 치료하였다. 특히, 남성 피험자의 사타구니 영역을 660 나노미터 파장의 광에 노출시켜 광이 피험자의 육체적, 생리적, 및 정서적 특성 그리고 성과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피험자의 만족도 레벨의 평가
피험자의 프로파일 및 피험자가 광에 노출된 빈도수를 이하의 표 I에 제공하였다.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광 치료에 대한 피험자의 전체적인 만족도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만족도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I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I]
상기 표 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모든 피험자에서 10점 만점 중 9.4 점의 평균 등급을 받았다. 특히, 피험자는, 적어도 사용 빈도수 및 지속 시간과 관련하여,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에 압도적으로 만족하였다. 또한, 피험자는, 이하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9에서 설명된 육체적, 생리적, 및 정서적 특성 그리고 성과 지표의 개선과 관련하여,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의 효능에 압도적으로 만족하였다.
실시예 2: 피험자의 에너지 레벨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에너지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에너지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그 에너지 레벨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II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II]
상기 표 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2.4 점 또는 44%의 모든 피험자의 에너지 레벨의 평균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3: 피험자의 수면 중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에 앞서서, 제1 수면 기간 동안 수면하고 제1 수면 기간의 수면 지속시간(시)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제2 수면 기간 동안 다시 한번 수면하고 제2 수면 기간의 수면 지속시간(시)을 나타내하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III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III]
상기 표 I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30 분 또는 7%의 모든 피험자의 수면 지속 시간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4: 피험자의 수면 시작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에 앞서서, 제1 수면 기간 동안 수면을 시도하고 제1 수면 기간 동안 수면("수면 시작")하는 데 몇 분이 필요했는지를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제2 수면 기간 동안 수면하려고 다시 시도하고 제2 수면 기간의 수면 시작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IV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IV]
상기 표 IV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5 분 또는 7%의 모든 피험자의 수면 개시의 평균적인 감소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5: 피험자의 리비도 레벨(Libido Level)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리비도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리비도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그 리비도 레벨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V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V]
상기 표 V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9 점 또는 37%의 모든 피험자의 리비도 레벨의 평균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6: 피험자의 성교 지속시간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에 앞서서, 제1 성교 기간 동안 성교를 하고 제1 성교 기간 동안 성교한 분의 수(number of minute)를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제2 성교 기간 동안 성교하고 제2 성교 기간의 성교 지속 시간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VI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VI]
상기 표 V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6.7 분 또는 61%의 모든 피험자의 성교 지속 시간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7: 피험자의 경직도 레벨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음경의 경직도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경직도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경직도 레벨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VII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VII]
상기 표 V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6 점 또는 25%의 모든 피험자의 경직도 레벨의 평균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8: 피험자의 오르가즘 지속 시간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에 앞서서, 제1 성교 기간 동안 성교를 하고 제1 성교 기간 동안 피험자의 오르가즘이 유지된 초의 수("오르가즘 지속 시간")를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제2 성교 기간 동안 성교하고 제2 성교 기간의 오르가즘 지속 시간을 나타하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VIII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VIII]
상기 표 VI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9 분 또는 34%의 모든 피험자의 오르가즘 지속 시간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9: 피험자의 성교 만족도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상대방과의 성적 만족도를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만족도)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성적 만족도를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IX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IX]
상기 표 IX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5 점 또는 24%의 모든 피험자의 성교 만족도의 평균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0: 피험자의 성교 빈도수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1주일 동안 피험자의 상대방과 성교 행위를 하는 평균 횟수를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주일 동안의 성교 빈도수를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
상기 표 X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7 분 또는 61%의 모든 피험자의 성교 빈도수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1: 피험자의 기분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기분을 1 내지 10(10은 가장 좋은 기분)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기분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I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I]
상기 표 X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6 점 또는 26%의 모든 피험자의 기분의 평균적인 개선을 초래하였다.
실시예 12: 피험자의 자신감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자신감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자신감)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자신감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II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II]
상기 표 X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1 점 또는 16%의 모든 피험자의 자신감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3: 피험자의 동기 부여 레벨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동기 부여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동기 부여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동기 부여 레벨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III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III]
상기 표 XI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2 점 또는 19%의 모든 피험자의 동기 부여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4: 피험자의 공격성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공격성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공격성)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공격성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IV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IV]
상기 표 XIV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0.7 점 또는 15%의 모든 피험자의 공격성의 평균적인 감소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5: 피험자의 활동 레벨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활동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활동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그 활동 레벨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V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V]
상기 표 XV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0.9 점 또는 16%의 모든 피험자의 활동 레벨의 평균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6: 피험자의 지구력 레벨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지구력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지구력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그 지구력 레벨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VI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VI]
상기 표 XV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2 점 또는 21%의 모든 피험자의 지구력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7: 피험자의 힘 레벨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힘 레벨을 1 내지 10(10은 가장 높은 힘 레벨)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힘 레벨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VII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VII]
상기 표 XV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1 점 또는 21%의 모든 피험자의 힘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8: 피험자의 식욕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 전에, 피험자의 식욕을 1 내지 10(10은 가장 좋은 식욕)의 스케일로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1 내지 10의 스케일로 피험자의 식욕을 나타내도록 피험자에게 다시 한번 요청하였다. 이하의 표 XVIII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VIII]
상기 표 XVI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1.4 점 또는 10%의 모든 피험자의 식욕의 평균적인 감소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9: 피험자의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평가
광에 대한 노출에 앞서서, 피험자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데시리터(deciliter)당 나노그램(ng/dL)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노출 기간의 완료 후에, 피험자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다시 한번 평가하였다. 이하의 표 XIX에 제공된 바와 같은 결과가 기록되었다.
[표 XIX]
상기 표 XIX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에 대한 노출은 71.4 ng/dL 또는 16%의 모든 피험자의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평균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의 요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피험자의 몇몇 육체적, 생리적, 및 감정적 특성 및 성과 지표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모든 개선이 본 발명자에게 놀라웠지만, 공격성, 기분, 수면, 및 성적 기능과 관련된 개선은 거의 예상하지 못하였다.
공격성과 관련하여, 통상적인 테스토스테론 치료(예를 들어, 테스토스테론 또는 관련 대사산물을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로 보충하는 것)는 많은 사용자들의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여전히 높이면서도(예를 들어, 실시예 19 참조), 피험자의 공격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실시예 14 참조). 사실상, 일부 피험자는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 후에 공격성 감소를 체험하였다(실시예 14 참조).
기분과 관련하여, 통상적인 테스토스테론 치료(예를 들어, 테스토스테론 또는 관련 대사산물을 아나볼릭(anabolic) 스테로이드로 또는 안드로겐 스테로이드로 보충하는 것)는 피험자의 인지 기능 또는 기분을 개선하는 것으로 결정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예를 들어,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Petering RC, Brooks NA. Testosterone Therapy: Review of Clinical Applications. Am Fam Physician. 2017 Oct 1;96(7):441-449. Erratum in: Am Fam Physician. 2019 Oct 1;100(7):393] 참조). 그러나,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피험자의 인지 기능 및 기분을 상승시켰다(실시예 1,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및 실시예 14 참조).
수면과 관련하여, 통상적인 테스토스테론 치료(예를 들어, 테스토스테론 또는 관련 대사산물을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로 또는 안드로겐 스테로이드로 보충하는 것)는 수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Liu PY, Yee B, Wishart SM, Jimenez M, Jung DG, Grunstein RR, Handelsman DJ. The short-term effects of high-dose testosterone on sleep, breathing, and function in older 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Aug;88(8):3605-13. doi: 10.1210/jc.2003-030236] 참조). 그러나,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피험자의 수면 지속 시간을 증가시켰고 수면 시작을 감소시켰다(실시예 2 및 실시예 3 참조).
성적 기능과 관련하여, 통상적인 테스토스테론 치료(예를 들어, 테스토스테론 또는 관련 대사산물을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로 또는 안드로겐 스테로이드로 보충하는 것)는 피험자의 성적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결정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예를 들어, [Petering RC, Brooks NA. Testosterone Therapy: Review of Clinical Applications. Am Fam Physician. 2017 Oct 1;96(7):441-449. Erratum in: Am Fam Physician. 2019 Oct 1;100(7):393)] 참조). 그러나,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피험자의 리비도, 성교 지속 시간, 경직도, 오르가즘 지속 시간, 성교 만족도, 및 성교 빈도수를 증가시켰다(실시예 4 내지 실시예 9 참조).
이론에 의해서 구속되지 않으면서, 본 발명자는, 예시적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촉진된 생체 내 테스토스테론 생성에 따른 내인성 테스토스테론의 증가가, (예를 들어,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로 또는 안드로겐 스테로이드로서의) 테스토스테론 보충으로부터 초래되는 테스토스테론 역학보다 우수한, 테스토스테론 역학을 피험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을 고려한다. 또한, 광 응답성 조직의 조명에 의한 테스토스테론 생성은 1차 간 대사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대사 산물의 존재 또는 결여로 인해) 경구 투여 테스토스테론 및/또는 주사 가능한 형태의 테스토스테론과 구분되는 활동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성분의 양, 농도와 같은 특성,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숫자는 일부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수치 파라미터는 특정 실시형태에 의해 얻고자 하는 희망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개략적인 값이다. 본원의 값들의 범위에 관한 언급은 단지 해당 범위에 포함되는 각각의 별개의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기 위한 단순한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원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개별적인 값은,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되는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의약 조성물 또는 약물의 "투여"라는 용어는 의약 조성물 또는 약물의 직접 투여 및 간접 투여를 모두 지칭하며, 여기서 의약 조성물 또는 약물의 직접적인 투여는 일반적으로 의료 전문가(예를 들어, 의사, 간호사 등)에 의해 수행되고, 간접적인 투여는 직접적인 투여(예를 들어, 주사, 주입, 경구 전달, 국소 전달 등)를 위해서 의약 조성물 또는 약물을 의료 전문가에게 제공하거나 의료 전문가가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태, 질병의 발병에 대한 민감성, 또는 의도된 치료에 대한 응답을 "예후 예측" 또는 "예측"한다는 용어는, 피험자의 상태의 진행 속도, 개선 및/또는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상태, 민감성 및/또는 응답을 예측하는 행위 또는 예측(그러나 치료 또는 진단은 아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또는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에서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공된 임의의 그리고 모든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보다 양호하게 묘사하기 위한 것이고, 달리 청구되지 않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내의 어떠한 언어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가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의 설명에서 그리고 이하의 청구범위 전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복수의 언급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설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내에서"의 의미는,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내에서" 및 "~상에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에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인 커플링(서로 커플링되는 2개의 요소가 서로 접촉함) 및 간접적인 커플링(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요소가 2개의 요소들 사이에 위치됨) 모두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에 커플링된" 및 "~와 커플링된"이라는 용어는 동의어로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이미 설명된 것 이외에 많은 추가적인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 모두의 해석에 있어서, 모든 용어는 문맥과 일치되는 가능한 한 넓은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비-배타적 방식으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지칭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명백하게 기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와 함께 존재할 수 있거나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A, B, C …, 및 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언급하는 경우에, 상기 텍스트는 A + N 또는 B + N 등이 아닌, 상기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요소만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9)

  1.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로서,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외피; 및
    상기 외피에 커플링되고 상기 장치를 착용한 개인의 신체의 일부에 광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구성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신체의 일부의 윤곽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조명 구성요소는 상기 내측 표면 또는 상기 외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장치를 상기 개인의 신체 상에서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몰딩된 중합체 외피(polymeric shell) 부분인,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구성요소는 적색 광 또는 적외선 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광 또는 적외선 광 중 적어도 하나는 660 nm 또는 880 nm의 파장을 가지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구성요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구성요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볼록 렌즈(convex lens)를 더 포함하고, 그에 따라 적어도 120도의 각도로 조사할 수 있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 5 cm 이하의 거리에 걸쳐 상기 신체의 일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조명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 커플링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 100 내지 200 cm2의 목표 조명 면적에 전달되도록 상기 조명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 커플링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 5 내지 50 mJ/cm2의 선량(dose)을 갖도록 상기 조명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 커플링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구성요소가 상기 외피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구성요소는 재충전 가능 또는 일회용 전원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모듈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윤곽화된 상기 신체 부분이 생식기 영역, 팔뚝 영역 또는 팔꿈치 영역인,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가 스포츠 컵(sports cup)으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16. 조명 모듈로서,
    드라이버 모듈 및 전원에 전자적으로 커플링되는(electronically coupled) 발광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장치 및 상기 드라이버 모듈은 캐리어(carrier)에 커플링되고, 상기 캐리어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wearable photobiomodulation device)에 부착되어 유지(retention)되도록 구성되는,
    조명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660 nm 또는 880 nm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조명 모듈.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0.1 내지 10 mW의 파워 레벨의 광을 방출하는,
    조명 모듈.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5 내지 50 mJ/cm2의 선량으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 모듈.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적어도 120도의 각도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 모듈.
  23.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발광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조명의 지속 시간, 세기, 또는 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명 모듈.
  24.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캐리어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전원은 재충전 가능한 또는 일회용의 전원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25.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가요성(flexible)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26.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냅-록 또는 압입 부분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27.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5 cm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2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부착될 때 100 내지 200 cm2의 목표 조명 면적을 조명하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2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에 부착될 때 5 cm 이하의 거리에서 목표 조명 면적을 조명하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30. 웨어러블 장치로서,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외피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장치를 착용한 개인의 신체의 일부의 윤곽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조명 모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영역을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부분은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는,
    웨어러블 장치.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윤곽화된 상기 신체 부분은 생식기 영역, 팔뚝 영역 또는 팔꿈치 영역인,
    웨어러블 장치.
  33.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부분은 스포츠 컵으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34.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영역은 상기 조명 모듈의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부(indentation)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35. 개인에 대해서 광 생체 조절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광의 선량을 상기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전달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상기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상기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광의 선량을 상기 개인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는, 상기 광의 선량을 전달하면서, 10 내지 60분의 시간 동안 상기 개인에 부착되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는 상기 개인의 생식기 영역, 팔뚝 영역 또는 팔꿈치 영역에 부착되는,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은 100 내지 200 cm2의 목표 조명 면적에 전달되는,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적색 광 또는 적외선 광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광 또는 적외선 광은 660 nm 또는 880 nm의 파장을 가지는,
    방법.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은 5 내지 50 mJ/cm2인,
    방법.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이 상기 개인의 수면 시간 전 3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방법.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이 연속적인 방식으로 투여되는,
    방법.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은, 상기 개인의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개인의 생식 능력을 개선하고, 또는 상기 개인의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방법.
  45. 개인의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광의 선량을 상기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전달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상기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의 선량은 상기 개인의 상기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응답성 조직은 음낭 조직(scrotal tissue)인,
    방법.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적색 광 또는 적외선 광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48.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선량은 5 내지 50 mJ/cm2인,
    방법.
  49.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이 연속적인 방식(continuous fashion)으로 전달되는,
    방법.
  50.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이 상기 개인의 수면 시간 전 3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방법.
  51.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 호르몬은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난포 자극 호르몬(FSH), 황체 형성 호르몬(LH), 또는 디하이드록시 에피안드로스테론(DHEA)인,
    방법.
  52.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은 성선 기능 저하증 진단을 받거나 또는 적어도 40세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53.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가 적어도 10%만큼 증가되는,
    방법.
  54. 개인에 대해서 생식 능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광의 선량을 상기 개인의 광 응답성(photoresponsive) 조직에 전달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상기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의 선량이 상기 개인의 생식 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은 에스트로겐, FSH, 또는 LH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생식 능력을 높이는,
    방법.
  56. 개인의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가 광의 선량을 상기 개인의 광 응답성 조직에 전달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를 상기 개인에게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개인이 부착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의 선량이 상기 개인의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선량이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58. 의료 용도를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59. 개인의 근육량 증가, 개인의 생식 능력 향상, 또는 개인의 생식 호르몬의 혈중 농도의 증가에 사용되는 웨어러블 광 생체 조절 장치.
KR1020237038251A 2021-04-06 2022-04-05 웨어러블 광 요법 장치(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KR20240016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71455P 2021-04-06 2021-04-06
US63/171,455 2021-04-06
US202163214557P 2021-06-24 2021-06-24
US63/214,557 2021-06-24
PCT/US2022/023466 WO2022216697A1 (en) 2021-04-06 2022-04-05 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949A true KR20240016949A (ko) 2024-02-06

Family

ID=8351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251A KR20240016949A (ko) 2021-04-06 2022-04-05 웨어러블 광 요법 장치(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01397B2 (ko)
EP (1) EP4319869A1 (ko)
KR (1) KR20240016949A (ko)
AU (1) AU2022254047A1 (ko)
WO (1) WO20222166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45247C1 (ru) * 1998-04-10 2000-02-10 Жаров Владимир Павлович Фотоматрично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ротяженных патологий
US10683494B2 (en) * 2001-11-01 2020-06-16 Pthera LLC Enhanced stem cell therapy and stem cell production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low level light energy
US7914523B2 (en) * 2004-02-06 2011-03-29 Clinique Dr Daniel Barolet Inc. Method for the treatment of mammalian tissues
US8926959B2 (en) * 2005-07-22 2015-01-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 for optical stimulation of target cells
KR100889296B1 (ko) * 2007-10-16 2009-03-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성호르몬증진 및 정자활성화 장치
US7955366B2 (en) * 2007-10-26 2011-06-07 Kai-Shu Sung Biostimulative illumination apparatus
US20090287076A1 (en) * 2007-12-18 2009-11-19 Boyden Edward S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occlusions in a biological subject
WO2013067367A1 (en) * 2011-11-04 2013-05-10 Ohmera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treatments of various conditions of a female person
US9687669B2 (en) * 2011-11-09 2017-06-27 John Stephan Wearable light therapy apparatus
US10039933B2 (en) * 2013-04-09 2018-08-07 Michael E. Haarlander Phototherapy device
US10668305B2 (en) * 2014-08-26 2020-06-02 Elwha Llc Gar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therapeutic stimulation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0190224495A1 (en) * 2017-08-28 2019-07-25 Capillus, Llc Laser therapy apparatus with diffuser
BR102018071305B1 (pt) * 2018-10-16 2022-10-25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 A. Dispositivo eletrônico flexível descartável de fototerapia
US20210299464A1 (en) * 2020-03-30 2021-09-30 Vivienne Reign Phototherapeutic device for a penis and a using method thereof
US11110295B1 (en) 2020-04-30 2021-09-07 Kemeny Healthcare Inc. Wearable light st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01397B2 (en) 2023-10-31
AU2022254047A1 (en) 2023-11-02
EP4319869A1 (en) 2024-02-14
US20220323782A1 (en) 2022-10-13
WO2022216697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4224B2 (en) Modularized light processing of body components
US78507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ight therapy
US7559945B2 (en) Multi-spectral photon therapy device and methods of use
US7101384B2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KR102495335B1 (ko) 뇌의 비-침입성 신경자극 치료요법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8535361B2 (en) Method and portable system for non-invasive, in-vivo blood irradiation light therapy
US20220126113A1 (en) Portable rechargeable led red light cavity healing devices
US6669627B1 (en) REM sleep augmentation with extra-ocular light
US20080269849A1 (en) Temporal control in phototherapy
US20080058905A1 (e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light as therapy for fungal infection
CN109789313A (zh) 用于光疗递送的部件和装置及其相关的方法
WO2015058131A1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compositions
EP2383017A1 (en) Phototherapy device
WO2006028461A2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US11801397B2 (en) 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RU71888U1 (ru) Массажная вибрационная щетка-расческа с монохроматическими излучателями видимого спектра света "аверс-рэйбраш"
JP2007159684A (ja) 指先刺激装置
BR202017017637U2 (pt) Calha ortopédica fotobiomoduladora de imobilização com leds guiados por aplicativo de smartphone para tratamento de traumas epitelia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