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942A -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Google Patents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942A
KR20240016942A KR1020237035466A KR20237035466A KR20240016942A KR 20240016942 A KR20240016942 A KR 20240016942A KR 1020237035466 A KR1020237035466 A KR 1020237035466A KR 20237035466 A KR20237035466 A KR 20237035466A KR 20240016942 A KR20240016942 A KR 2024001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ead
liquid
brushes
cleaned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페 베르나르두스 브라다
프랑코 페르민 에스핀
Original Assignee
베르수니 홀딩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수니 홀딩 비.브이. filed Critical 베르수니 홀딩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4001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9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2Arrangement of casto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09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with means mounted on the nozzle;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overy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Details of suction cleaner tools for addition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와 관련하여, 진공 청소기의 공기 흡입 공급원에 결합가능한 하우징(30), 및 하우징(30) 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의 2개의 브러시(20)를 포함하는 흡입 헤드(101)가 제공되며, 여기서 브러시들(20) 각각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청소될 표면(10)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흡입 헤드(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표면(1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습윤 배열체(42)가 추가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브러시들(20) 사이의 영역(24) 내에 그리고 브러시들(20)의 회전축들(21)의 레벨에 있거나 표면 레벨에 더 가까이 있다.In relation to vacuum cleaning, there is provided a suction head (101) comprising a housing (30) coupleable to an air suction source of a vacuum cleaner, and two brushes (20)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in the housing (30), Here each of the brushes 20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21 and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The suction head 101 is further provided with a wetting arrangement 42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comprising at least one The liquid supply location of is within the area 24 between the brushes 20 and at the level of the rotation axes 21 of the brushes 20 or closer to the surface level.

Description

청소될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의 액체 공급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적용되고 표면 상에 세정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흡입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 헤드는 진공 청소기의 공기 흡입 공급원에 대한 하우징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의 2개의 브러시를 포함하고, 여기서 브러시들 각각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청소될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head applied to a vacuum cleaner and configured to perform a cleaning action on a surface, the suction head comprising a housing comprising a coupling area configured to enable coupling of the housing to an air suction source of the vacuum cleaner, and It includes two brushes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in the housing, where each of the brushes is rotatable about an axis of rotation and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또한, 본 발명은 언급된 바와 같은 흡입 헤드를 포함하는 무선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rdless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head as mentioned.

진공 청소기는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오물"은, 표면 상에 존재할 수 있고 아마도 걸레질(mopping)과 같은 다른 세정 작용과 조합되는 진공 세정 작용의 영향 하에서 제거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오염물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실제적 예는 먼지 및 임의의 종류의 작은 입자, 그리고 또한 흘린 음료와 같은 습식 유형의 오염물을 포함한다. 청소될 표면의 실제적 예는 바닥이며, 여기서 바닥은 목재 바닥, 카펫 바닥, 타일 바닥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것일 수 있다.Vacuum cleaners are known to remove dirt from the surface being cleaned. As used herein, the term "dirt" covers any contaminants that may be present on a surface and that may be removed under the influence of a vacuum cleaning action, possibly in combination with other cleaning actions such as mopping. It must be understood that Practical examples in this respect include dust and small particles of any kind, and also wet types of contaminants such as spilled drinks. A practical example of a surface to be cleaned is a floor, where the floor can be of any kind such as wood floor, carpet floor, tile floor, etc.

대체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진공 청소기 헤드 또는 흡입 헤드를 갖는데, 이는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픽업하는 실제 과정이 일어나는 진공 청소기의 일부이고 따라서 표면 상에 또는 적어도 이에 가깝게 놓여야 한다. 또한, 진공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오물 축적 영역을 포함하는 몸체 부분, 및 흡입 헤드 상에 작용하여 진공 청소기의 작동 동안 흡입력이 흡입 헤드 내에 우세하도록 구성된 배열체를 포함한다. 흡입력은 오물 축적 영역을 향하여 진공 청소기의 작동 동안 표면으로부터 픽업되는 오물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오물은 흡입 헤드의 하우징 내의 출구 개구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흡입력은 또한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픽업하는 실제 과정에서 일정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흡입 헤드에는 오물을 픽업하기 위해 표면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구성요소, 예컨대 오물의 교반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특히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돕고 오물을 출구 개구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다.Typically, a vacuum cleaner has a vacuum cleaner head or suction head, which is the part of the vacuum cleaner where the actual process of picking up dir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akes place and must therefore be placed on or at least close to the surface. Additionally, a vacuum cleaner typically includes a body portion containing a dirt accumulation area and an arrangement configured to act on the suction head so that suction forces prevail within the suction head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The suction force serves to facilitate the transport of dirt picked up from the surface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towards the dirt accumulation area, where the dirt is made to pass through an outlet opening 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The suction force may also have a function in the actual process of picking up dirt from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head includes at least one movable component for interacting with the surface to pick up dirt, for example, which may act as a dirt agitator and in particular assist in removing dirt from the surface and direct the dirt towards the outlet opening. At least one rotatable brush may be provided that may be configured to direct.

국제특허 공개 WO 2011/083373 A1호는, 작업 유체의 액적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 수단, 가요성 브러시 요소를 갖는 회전가능 브러시, 입자가 포함된 공기와 같은 더러운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및 클렌징 유닛을 포함하는, 표면으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세정 장치를 개시한다. 클렌징 유닛은 공기로부터 작업 유체의 액적의 적어도 일부분을 분리하는 데 적합하다. 작동 동안, 회전가능 브러시는 작업 유체에 의해 습윤된다. 브러시는, 작업 유체의 액적이 가요성 브러시 요소로부터 장치의 유착 공간 내로 액적의 미스트로서 배출되도록 하는 그러한 치수의 것이고, 그러한 회전 속도에서 회전된다. 입구에 의해 수용되는 더러운 공기는 유착 공간에 의해 수용가능하여, 브러시 요소로부터 배출된 액적 및 더러운 공기 내의 입자의 유착된 입자를 형성하며, 유착된 입자는 유착 공간으로부터 클렌징 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다.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2011/083373 A1 discloses an atomizing means for atomizing droplets of a working fluid, a rotatable brush with flexible brush elements, an inlet for receiving dirty air, such as air containing particles, and a cleansing unit. Disclosed is a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particles from a surface, comprising: The cleansing unit is suitable for separating at least a part of the droplets of the working fluid from the air. During operation, the rotatable brush is wetted by the working fluid. The brush is of such dimensions and rotated at such a rotational speed that the droplets of the working fluid are discharged as a mist of droplets from the flexible brush element into the coalescence space of the device. The dirty air received by the inlet is accommodated by the coalescing space, forming coalesced particles of the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brush element and the particles in the dirty air, and the coalesced particles can be transferred from the coalescing space to the cleansing unit.

국제특허 공개 WO 2012/107876 A1호는 청소될 표면을 향하기 위한 개방면을 갖는 헤드, 및 헤드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청소될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를 포함하는 세정 장치를 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에는 복수의 브러시 모발이 제공되며, 여기서 이러한 브러시 모발은 극히 연질이고 가요성인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 표면의 세정 작용은 표면을 스크러빙(scrubbing)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지 않고 브러시의 회전 동안 브러시 모발이 표면과 교대로 접촉하고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특히, 브러시의 일 회전 동안, 브러시 모발은 오염된 표면으로부터 입자 및/또는 액적을 제거하고, 브러시 모발이 표면과의 접촉이 없고 완전히 펴질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 입자 및/또는 액적을 튕겨낸다. 브러시가 배열되는 청소 장치의 헤드에서, 입자 및/또는 액적을 수용하기 위한 그리고 가능하게는 입자 및/또는 액적을 수집하는 공간을 향해 입자 및/또는 액적을 수송하기 위한 수단이 존재한다. 세정 장치에는 일단 입자 및/또는 액적이 브러시 모발로부터 해제되면, 입자 및/또는 액적을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헤드에서 흡입력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는 브러시 모발에 대한 입자의 접착을 촉진하고/하거나 청소될 표면 상에서 추가적인 세정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세정 액체를 회전 브러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2012/107876 A1 discloses a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head having an open surface for fac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t least one brush rotatably arranged within the head for contact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 At least one brus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 hairs, where it is possible for these brush hairs to be extremely soft and flexible. In such cases, the cleaning action of the surface is not performed by scrubbing the surface, but by alternately bringing the brush hairs into and out of contact with the surface during rotation of the brush. In particular, during one rotation of the brush, the brush hairs remove particles and/or droplets from the contaminated surface and bounce off the particles and/or droplets when the brush hairs reach a position where they have no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can be fully extended. . In the head of the cleaning device, where the brush is arranged, means are present for receiving particles and/or droplets and possibly for transporting the particles and/or droplets towards a space where they are collected. The cleaning device may be equipped with means for effecting a suction force at the head to direct the particles and/or droplets in a desired direction once they are released from the brush hai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leaning device is configured to supply cleaning liquid to the rotating brush in order to promote adhesion of the particles to the brush hairs and/or to realize an additional cleaning effec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국제특허 공개 WO 2017/071727 A1호는 진공 추출 구역을 갖는 하우징 및 청소될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헤드를 개시하며, 여기서 제1 및 제2 롤러들 각각은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픽업하고, 작동 동안 표면 위에서 회전되고 이동될 때 진공 청소기 헤드의 하우징 내의 진공 추출 구역으로 오물을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진공 추출 구역은 출구 개구와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사이에 한정된다. 진공 청소기 헤드가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고 진공 청소기가 작동될 때, 진공 추출 구역을 통해 출구 개구로 공기 유동이 생성된다. 진공 청소기 헤드는 청소될 표면 상에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진공 청소기 헤드는 액체를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에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으로부터 폐기물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청소될 표면을 적시는 것이 가능하다.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2017/071727 A1 discloses a vacuum cleaner head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vacuum extraction zone and a first roller and a second roller configured to be positioned relativ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Each is configured to pick up dirt from a surface and transport the dirt to a vacuum extraction zone within the housing of the vacuum cleaner head when rotated and moved over the surface during operation. A vacuum extraction zone is defined between the outlet opening 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When the vacuum cleaner head is used in the vacuum cleaner and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an air flow is created through the vacuum extraction zone to the outlet opening. The vacuum cleaner head may further include a liquid distributor for dispensing liqui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vacuum cleaner head may further include a liquid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liqui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wet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facilitate removal of waste from the surface.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상에 수행되는 진공 세정 작용의 양호한 세정 결과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헤드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eans aimed at achieving good cleaning results of vacuum cleaning operations carried out on surfaces. 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invention to provide means aimed at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uction head.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적용되고 표면 상에 세정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흡입 헤드로서, 흡입 헤드는, 진공 청소기의 공기 흡입 공급원에 대한 하우징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의 2개의 브러시 - 브러시들 각각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청소될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됨 -,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습윤 배열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브러시들 사이의 영역 내에 그리고 브러시들의 회전축들의 레벨에 있거나 표면 레벨에 더 가까이 있는, 흡입 헤드를 제공한다.In view of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uction head adapted to a vacuum cleaner and configured to perform a cleaning action on a surface, the suction head having an engagement area configured to enable engagement of a housing to an air suction source of the vacuum cleaner. A housing comprising, two brushes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in the housing, each of the brushes being rotatable about an axis of rotation and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 por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a wetting arrangement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wherein the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is within the area between the brushes and at the level of the axes of rotation of the brushes or closer to the surface level. , provides a suction head.

본 발명에 따른 흡입 헤드의 전술한 정의로부터, 본 발명은 흡입 헤드에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습윤 배열체가 구비되게 하는 것을 수반하고,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브러시들 사이의 영역 내에 그리고 브러시들의 회전축들의 레벨에 있거나 표면 레벨에 더 가까이 있도록 선택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소될 표면은 제어된 방식으로 습윤되는 것이 달성되며, 여기서 브러시는 표면으로의 접촉을 통해 간접 방식으로 습윤되어, 브러시에 대한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배제되지는 않는다. 흡입 헤드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청소될 표면 상에서 앞뒤로 이동됨에 따라, 브러시들 사이에 있는 위치에서 액체의 공급을 갖는 것이 브러시들 둘 모두의 습윤 상태를 실현하기에 충분하고 효과적이다.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가 브러시의 회전축의 레벨에 있거나 표면 레벨에 더 가까이 있게 함으로써, 흡입 헤드의 하부 면이 깨끗한 액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세정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청소될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의 액체의 직접 공급이 흡입 헤드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향해 지향되는, 액체의 연속 또는 간헐적 유동, 또는 액체의 분무를 수반하는 경우 실용적이다. 습윤 배열체는 흡입 헤드의 기존의 설계에 추가물(add-on)로서 더 많거나 더 적게 제공될 수 있지만, 습윤 배열체는 더 통합된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액체의 실제적인 예는 물 또는 물과 세정제의 혼합물이다.From the above definition of the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invention provides that the suction head is provided with a wetting arrangement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rein the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is selected to be within the area between the brushes and at the level of the rotational axes of the brushes or closer to the surface level. In this way, it is achieved that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wetted in a controlled manner, wherein the brush is wetted in an indirect way through contact with the surface, making it unnecessary to have a direct supply of liquid to the brush, although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cluded from the context of As the suction head is normally moved back and forth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user, having a supply of liquid at a location between the brushes is sufficient and effective to achieve a wet state of both brushes. By having at least one liquid supply position at the level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brush or closer to the surface level, it is achieved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head can be effectively cleaned by clean liquid. Practical if the direct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involves a continuous or intermittent flow of liquid, or a spray of liquid, directed towards the at least one area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on the suction head. am. The wetting arrangement may be provided more or less as an add-on to the existing design of the suction head, bu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wetting arrangement to be provided in a more integrated manner. A practical example of a liquid is water or a mixture of water and detergent.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표면에 대해 적어도 2 mm 및 최대 6 mm의 거리로 청소될 표면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흡입 헤드의 하부 표면 부분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방식으로, 하부 표면 부분이 브러시(20)에 의해 튕겨내는 오물(11)에 노출되지 않고 액체가 표면 장력에 의해 거리를 브리징할 가능성을 동반하며, 하부 표면 부분에 대한 세정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하부 표면 부분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흡입 헤드의 오염을 방지하는 방식이며, 이에 의해 표면 상에 흡입 헤드의 깨끗한 표면 부분이 오염 효과를 일으킬 수 없기 때문에 청소될 표면의 세정 결과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In the context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e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be in a lower surface part of the suction head arranged and configured to face the surface to be cleaned at a distance of at least 2 mm and at most 6 mm relative to the surface. In that way, a cleaning effect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can be obtained without the lower surface portion being exposed to the dirt 11 repelled by the brush 20 and with the possibility of the liquid bridging the distance by surface tension. there is. Keeping the lower surface area clean is a way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uction head, thereby helping to optimize the cleaning results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since the clean surface area of the suction head cannot cause contamination effects on the surface. This happens.

본 발명에 따른 흡입 헤드의 실제 실시예에서, 습윤 배열체는 흡입 헤드 위에 분포된 적어도 2개의 액체 공급 위치들로부터 브러시들의 회전축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액체 공급 위치의 분포를 갖는 것은 세정 작용의 효과를 떨어뜨리게 하는 임의의 건조하거나 거의 건조한 영역 없이 브러시가 충분히 습윤되는 것을 달성하게 하는 요인이다.In a practical embodiment of the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wetting arrangement is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a direct supply of liqui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axes of the brushes extend from at least two liquid supply positions distributed over the suction head. As mentioned having a distribution of liquid supply locations is a factor in achieving sufficient wetting of the brush without any dry or nearly dry areas which would make the cleaning action less effective.

유리한 옵션에 따르면, 흡입 헤드는 브러시들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되고 브러시들의 부분들을 덮도록 구성된 2개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긴 중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의 상부면의 위치에서, 긴 중간 구성요소가 흡입 헤드의 하우징의 일부분으로부터 현수되는 경우 실용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매우 근접한 범위에서 브러시를 가능한 많이 덮는 것은 흡입 헤드에서 흡입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는 경우 유리하다. 긴 중간 구성요소는 하우징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수선 또는 세정을 허용하도록 하우징의 다른 구성요소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흡입 헤드 내의 긴 중간 구성요소의 존재는 작동 동안 하나의 브러시가 다른 브러시를 습윤시키는 공지의 옵션을 가능하지 않게 하지만, 다른 한편, 긴 중간 구성요소는 액체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흡입 헤드의 내부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청소될 표면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긴 중간 구성요소의 하부 표면 부분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 긴 중간 구성요소의 이러한 하부 표면 부분이 청소될 표면에 가까이 있도록 배열되는 경우, 즉 이러한 하부 표면 부분이 앞서 제안된 바와 같이 표면에 대해 적어도 2 mm 및 최대 6 mm의 거리로 청소될 표면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되는 경우, 전술한 세정 효과가 이러한 하부 표면 부분에서 실현된다.According to an advantageous option, the suction head comprises a long intermediate component positioned within the area between the brushes and optionally comprising two parts configured to cover parts of the brushes. It is practical if, in the position of its upper surface,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is suspended from part of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Covering as much of the brush as possible, preferably at very close range, is advantageous when it comes to effectively generating suction force at the suction head.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may be an integral part of the housing,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that can be removably coupl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housing to allow repairs or cleaning, for example. On the one hand, the presence of a long intermediate component in the suction head does not make possible the known option of one brush wetting the other during oper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facilitates the liquid supply and also ensures the absorption of the suction head. It may have the function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internal surfa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for the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be in a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arranged and configured to face the surface to be cleaned. If these lower surface parts of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are arranged so that they are clos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e. such that these lower surface parts are oriented towards the surface to be cleaned at a distance of at least 2 mm and at most 6 mm relative to the surface as previously suggested. When arranged and configured, the cleaning effect described above is realized in this lower surface portion.

습윤 배열체가 액체를 수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에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도관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실용적이다. 흡입 헤드가 전술한 긴 중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도관 시스템이 긴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습윤 배열체가 2개 이상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표면의 2개 이상의 영역으로의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되는 경우, 상기 언급된 도관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 및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를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을 포함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주 도관은 액체의 일종의 버퍼 및/또는 분배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으로의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한된 액체 통로가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 및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의 계면에 존재하는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 흡입 헤드가 긴 중간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도관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도관이 긴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연장되는 옵션이 도관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 및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을 포함하는 옵션과 조합되는 흡입 헤드의 일 실시예에서,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이 긴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이도록 할 수 있다.It is practical if the wetting arrangement includes a conduit system configured to transport the liquid and discharge the liquid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If the suction head includes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described above, the conduit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conduit extending through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In particular, if the wetting arrangement is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from two or more liquid supply locations to two or more areas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above-mentioned conduit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main conduit and at least one It may be advantageous to include at least one branch conduit coupled to the main conduit and extending from the at least one main conduit towards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In such cases, the main conduit may act as a kind of buffer and/or distributor of the liquid. To control the flow of liquid from the at least one main conduit to the at least one branch conduit, it may be helpful if a restricted liquid passage exists at the interface of the at least one main conduit and the at least one branch conduit. Suction wherein the option of the suction head comprising a long intermediate component and at least one conduit of the conduit system extending through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is combined with the option of the conduit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main conduit and at least one branch conduit. In one embodiment of the head, typically there may be at least one branch conduit with at least one conduit extending through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유리한 실시예에서, 흡입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 및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과 유체 연통하는 제한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한 요소에는 액체가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한 개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 요소 또는 제한 요소가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조립체가 흡입 헤드 내에 제거가능하게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제한 개구의 막힘을 피하기 위해 제한 요소의 용이한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In an advantageous embodiment, the suction head comprises a confinement elemen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main conduit and the at least one branch conduit, wherein the confinement element directs liquid from the at least one main conduit towards the at least one branch conduit. At least one confinement opening configured to allow passage is provided. In such embodiments, the restricting element or assembly of components comprising the restricting element can be arranged to be removably arranged within the suction head. This enables easy cleaning of the confinement element to avoid clogging of at least one confinement opening of the confinement element.

습윤 배열체는 청소될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액체를 공급하는 것 외에도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헤드가 흡입 헤드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청소될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습윤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휠에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추가로 배열 및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옵션의 주목할 만한 이점은, 적어도 하나의 휠의 세정이 사용자 측으로부터 액션을 취할 필요 없이 그리고 외부 세정 도구 또는 흡입 헤드의 구성요소를 분해하기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함이 없이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 헤드의 적어도 하나의 휠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휠이 세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을 피하게 한다. 특히, 습윤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휠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휠의 트레드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휠에 액체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휠은 단순히 종래의 설계의 것일 수 있고 플라스틱 및 고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종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휠은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방식으로 흡입 헤드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휠의 회전 이동은 휠의 전체 트레드 위에 액체를 확산시키게 될 때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휠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추가적인 수단은 회전 브러시가 흡입 헤드의 작동 동안 휠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휠을 배열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수단의 추가 효과는 휠 근처에 있는 브러시의 부분이 휠에 의해 어느 정도 습윤되는 것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적어도 하나의 휠이 브러시들 사이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wetting arrangement may be used for other purposes in addition to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uction head includes at least one wheel rotatably arranged on the suction head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wetting arrangement is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to the at least one wheel. Additional arrangements and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 notable advantage of this option is that cleaning of at least one wheel can occur automatically without the need for any action on the part of the user and without the need for external cleaning tools or tools for disassembling the components of the suction head. . Thus, a very reliable way is provided to keep at least one wheel of the suction head clean, thereby avoiding situations in which the at least one wheel can influence the cleaning result. In particular, the wetting arrangement can be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to the at least one wheel from the outside of the at least one wheel, at the location of the tread of the at least one wheel. In such a case, the at least one wheel may simply be of conventional design and constructed of one or more conventional materials such as plastic and rubber, and the at least one wheel may be mounted within the suction head in any suitable known manner. You ca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wheel can be used to advantage to spread the liquid over the entire tread of the wheel. A further means aimed at keeping the at least one wheel in a clean condition involves arranging the at least one wheel such that it is possible for a rotating brush to interact with the wheel during operation of the suction head. A further effect of these means may be that the part of the brush near the wheel is to some extent wetted by the wheel. In either case, at least one wheel can be positioned in the area between the brushes.

본 발명의 맥락에서, 브러시들은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픽업하는 데 사용되기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브러시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브러시는, 예를 들어, 표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오물 입자를 교반하는 교반기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특별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 헤드의 실제 실시예에서, 브러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코어 요소 및 코어 요소 상에 배열된 가요성 마이크로섬유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브러시에서, 10 km당 150 g 미만의 선형 질량 밀도가 마이크로섬유 요소, 또는 그의 적어도 팁 부분에 적용가능할 수 있어서, 마이크로섬유 요소는 실제로 매우 가요성일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은 선형 질량 밀도는 심지어 10 km당 10 g 미만, 10 km 당 5 g 미만, 또는 10 km당 1 g 미만일 수 있다. 그러한 마이크로섬유 요소는 흡입 헤드의 작동 동안 청소될 표면과 매우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조밀한 배열로 코어 요소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마이크로섬유 요소가 터프트(tuft)에서 코어 요소 상에 배열되는 경우 실용적일 수 있다.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es can be of any type suitable for use in picking up dir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re the brushes can be selected to be the same or different. Each brush may be specifically designed to act as an agitator, for example, to agitate dirt particles as they may be present on the surface. In a practical embodiment of the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brushes comprises a core element and flexible microfiber elements arranged on the core element. In such brushes, a linear mass density of less than 150 g per 10 km may be applicable to the microfiber elements, or at least the tip portion thereof, so that the microfiber elements may be very flexible in practice. The linear mass density as stated may even be less than 10 g per 10 km, less than 5 g per 10 km, or less than 1 g per 10 km. Such microfiber elements can be arranged on the core element in a dense arrangement so that they interact very effectively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during operation of the suction head. It may also be practical if such microfiber elements are arranged on the core elements in tufts.

브러시들 둘 모두의 작동 형상이 대체로 원형 주변부를 갖는 실린더의 형상인 경우, 다시 말해, 브러시의 작동 형상이 대체로 긴 롤러일 수 있는 롤러의 형상인 경우 실용적이다.This is practical if the working shape of both brushes is that of a cylinder with a generally circular periphery, that is, if the working shape of the brushes is that of a roller, which may be a generally long roller.

본 발명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액체의 직접 공급이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습윤 배열체를 구비하는, 전술한 것에 정의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흡입 헤드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특히 무선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진공 청소기가 액체를 수용하고 액체를 함유하고 흡입 헤드의 습윤 배열체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저장소를 포함하는 경우 실용적이다. 유리하게는, 저장소는 진공 청소기 상에 제거가능하게 배열되어, 사용자가, 저장소가 액체로 충전될 수 있는 장소로 저장소를 가져가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The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suction device as defined and described above, comprising a wetting arrangement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I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head, especially a cordless vacuum cleaner. It is practical if such a vacuum cleaner includes a reservoir configured to receive a liquid, contain the liquid, and discharge the liquid into a wetting arrangement of the suction head. Advantageously, the reservoir is removably arranged on the vacuum cleaner, making it easy for the user to take the reservoir to a location where it can be filled with liquid.

본 발명의 전술한 및 다른 태양은,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배열된 2개의 브러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액체의 직접 공급이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습윤 배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흡입 헤드의 실용적인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The above-mentioned and other aspects of the invention include a housing and two brushes arranged within the housing,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Practical embodiments of a suction head further comprising a wetting arrangement will be apparent from,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진공 청소기의 구성요소 및 청소될 표면을 갖는 바닥의 일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흡입 헤드 내에 포함되는 2개의 브러시들 사이의 위치에서 취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헤드의 종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확대된 상세사항을 도시한다.
도 4는 흡입 헤드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흡입 헤드 상의 상이한 종방향 위치들에서 취해진, 흡입 헤드의 단면도들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확대된 상세사항을 도시한다.
도 8은 흡입 헤드에 포함된 습윤 배열체의 도관 시스템의 선택적인 셋업을 예시한다.
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indic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part of the floor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components of a we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he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aken at a position between two brushes comprised within the suction head.
Figure 3 shows enlarged details of Figure 2;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uction head.
Figures 5 and 6 schematically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uction head, taken at different longitudinal positions on the suction head.
Figure 7 shows enlarged details of Figure 6;
Figure 8 illustrates an alternative set-up of the conduit system of a wetting arrangement included in the suction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진공 청소기(100)의 설계를 예시한다. 도 1에 나타내어지고 하기에 기술되는 특정 진공 청소기는 본 발명의 틀에서 실현가능한 많은 유형의 진공 청소기들 중 단지 일례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습식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습식 세정 기능 외에 건식 세정 기능을 갖는 습식/건식 진공 청소기와 같은 다른 유형의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임에 유의한다.1 illustrates the design of a wet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ular vacuum cleaner shown in Figure 1 and described below is just one example of the many types of vacuum cleaners feasible in the frame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nly relate to wet vacuum cleaners, but also to other types of vacuum cleaners, such as wet/dry vacuum cleaners, which have a dry clean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wet cleaning function.

습식 진공 청소기(100)는 바닥 표면과 같은 표면(10)이 습식 세정 작용을 받게 하는 목적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청소될 표면(10)에 대해 정상 작동 배향의 진공 청소기(100)를 도시한다. 배향 태양을 갖는 용어를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것은 청소될 표면(10)에 대한 진공 청소기(100)의 이러한 정상 작동 배향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표면(10)은 하부 위치에 있고 진공 청소기(100)는 표면(10) 상에 배치된다고 가정된다.The wet vacuum cleaner 100 is designed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subjecting a surface 10, such as a floor surface, to a wet cleaning action. 1 shows the vacuum cleaner 100 in normal operating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The use of the term having an orientation aspect herein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is normal operating orient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where the surface 10 is in a lower position and the vacuum cleaner ( 100) is assumed to be disposed on the surface 10.

진공 청소기(100)의 작동 동안 표면(10)을 향하도록 여겨지는 측부에서, 진공 청소기(100)는 진공 청소기(100)의 작동 동안 표면(10)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2개의 브러시(20)를 수용하는 흡입 헤드(101)를 포함한다. 하기에서, 브러시들(20) 각각은 롤러의 중심 종축에 의해 한정되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 형태로 제공되며, 브러시들(20) 각각은 코어 요소(22) 및 코어 요소(22) 상에 배열된 가요성 마이크로섬유 요소(23)를 포함하고, 이는 브러시(20)의 다른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는 사실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정된다. 브러시들(20)은 동일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브러시들(20)의 위치에 도시된 곡선 화살표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들(20)은 그들 각각의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된다. 흡입 헤드(101)는 브러시(20)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 하우징(30)을 포함한다. 하우징(3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On the side that is considered to face the surface 10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the vacuum cleaner 100 has two brushes 20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surface 10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It includes a suction head 101 that accommodates. In the following, each of the brushes 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21 defined by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oller, and each of the brushes 20 includes a core element 22 and a core element 22. ), and this does not change the fact that other embodiments of the brush 20 are also possible. The brushes 20 may be identical, but this is not essential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by the curved arrows shown at the positions of the brushes 20, the brushes 20 are arranged to be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relative to each other about their respective rotation axes 21. The suction head 101 includes a housing 30 configured to partially cover the brush 20 . Housing 30 may be made of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흡입 헤드(101) 외에, 진공 청소기(100)는 진공 청소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 몸체 부분(10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헤드(101) 및 몸체 부분(102)은 서로 제거가능하게 결합가능하다. 몸체 부분(102)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 부분(102)의 윤곽은 단지 도식적인 특성이다. 몸체 부분(102)은 사용자가 몸체 부분(102)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원하는 대로 청소될 표면(10)을 가로질러 진공 청소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경우 실용적이다.In addition to the suction head 101 , the vacuum cleaner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02 configured to be held by a user of the vacuum cleaner 100 . Preferably, the suction head 101 and body portion 102 are removably connectable to each other. Body portion 102 may be shaped in any suitable way. The outline of body portion 102 as shown in Figure 1 is of a schematic nature only. It would be practical if the body portion 102 included a handle that would allow a user to easily grasp the body portion 102 and move the vacuum cleaner 100 across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as desired.

진공 청소기(100)의 작동 동안 브러시(20)를 구동시키는 목적을 위해, 진공 청소기(100)는 적합한 전기 구동 기구(미도시)를 구비한다. 구동 기구 및 아마도 또한 진공 청소기(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진공 청소기(100)는 주전원에 연결가능할 수 있고/있거나 적합한 배터리 배열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공 청소기(100)는 재충전가능 배터리 배열체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이며, 이 경우에, 진공 청소기(100)가 진공 청소기(100) 외에 충전 도크를 포함하는 세트의 일부인 경우 추가로 실용적일 수 있다. 그러한 세트는 또한, 브러시(20)를 청소하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플러싱 트레이(flushing tray)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0)가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충전 능력이 없는 간단한 도크가, 진공 청소기(100)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 진공 청소기(100)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For the purpose of driving the brush 20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the vacuum cleaner 100 is equipped with a suitable electric drive mechanism (not shown). For the purpose of powering the drive mechanism and possibly also other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100, the vacuum cleaner 100 may be connectable to a mains power source and/or may be equipped with a suitable battery arrangement. Preferably, the vacuum cleaner 100 is a cordless device comprising a rechargeable battery arrangement, in which case it is additionally practical if the vacuum cleaner 100 is part of a set that, in addition to the vacuum cleaner 100, includes a charging dock. It can be. Such a set may also include a flushing tray tha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leaning the brushes 20. If the vacuum cleaner 100 is not equipped with a battery, a simple dock without charging capability may be provided to receive and hold the vacuum cleaner 100 while the vacuum cleaner 100 is not in operation.

진공 청소기(100)의 몸체 부분(102)은 물 또는 물과 세정제의 혼합물과 같은 액체를 함유하는 역할을 하는 액체 저장소(40), 및 진공 청소기(100)의 작동 동안 액체를 흡입 헤드(101)의 습윤 배열체(4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액체 공급 기구(41)를 포함한다. 액체 공급 기구(41)는 예를 들어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펌프 배열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중력의 영향 하에서 원하는 대로 액체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흡입 헤드(101)의 습윤 배열체(42)는,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청소될 표면(10)의 영역으로의 액체의 직접 공급 및 흡입 헤드(101)의 2개의 휠(90)로의 액체의 직접 공급(도 2, 도 3, 도 5 및 도 6 참조) 둘 모두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흡입 헤드(101)는 브러시들(20) 사이의 영역(24) 내에 위치되고 브러시(20)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2개의 오목하게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긴 중간 구성요소(25)를 포함하고, 습윤 배열체(42)는 긴 중간 구성요소(25) 내에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액체를 수송하며 표면(10)의 영역 및 2개의 휠(90)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도관 시스템(43)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액체 저장소(40), 액체 공급 기구(41), 및 흡입 헤드(101)의 습윤 배열체(42)는 점선에 의해 표시된다. 액체 저장소(40)가 액체로 충전되어야 하는 장소로 액체 저장소(40)를 옮기는 것이 요구될 때, 사용자가 액체 저장소(40)를 몸체 부분(10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액체 저장소(40)가 몸체 부분(1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실용적이다.The body portion 102 of the vacuum cleaner 100 has a liquid reservoir 40 that serves to contain a liquid such as water or a mixture of water and a detergent, and a suction head 101 that sucks the liquid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It includes a liquid supply mechanism (41) that serves to supply to the wetting arrangement (42) of. The liquid supply mechanism 41 may comprise, for example, any suitable type of pump arrangement, or may be configured to enable displacement of liquid as desired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In the example shown, the wetting arrangement 42 of the suction head 101 is comprised of a direct supply of liquid to the area of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and the two It is configured to enable both direct supply of liquid to the wheel 90 (see FIGS. 2, 3, 5 and 6). Additionally, in the example shown, the suction head 101 is located within the area 24 between the brushes 20 and has an elongated middle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concavely curved portions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brushes 20. Comprising an element (25), the wetting arrangement (42) is partially arranged within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25) and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liquid and discharge it to the area of the surface (10) and the two wheels (90). It includes a configured conduit system (43). In Figure 1, the wet arrangement 42 of liquid reservoir 40, liquid supply mechanism 41, and suction head 101 is indicated by dashed lines. When it is desired to move the liquid reservoir 40 to a location where the liquid reservoir 40 is to be filled with liquid, the liquid reservoir 40 is positioned in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 the liquid reservoir 40 from the body portion 102. It is practical if it is removably coupled to portion 102.

진공 청소기(100)의 몸체 부분(102)은 진공 청소기(100)의 작동 동안 브러시(20)에 의해 표면(10)으로부터 픽업되는 습윤 오물(11)을 수용 및 축적하는 역할을 하는 오물 저장소(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오물 저장소(50)는, 예를 들어 사이클론 배열 또는 튜브-인-컵(tube-in-cup) 배열과 같이 표면(10)으로부터 픽업되는 유입 오물(11)로부터 습윤 오물을 축적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바와 같은 다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 부분(102)은, 브러시(20)를 향하는 하우징(30)의 표면(32) 내의 출구 개구(31) 및 출구 개구(31)로부터 오물 저장소(50)로 연장되는 흡입 채널(51)을 통해, 브러시(20)가 몸체 부분(102) 내의 오물 저장소(50)에 위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오물(11)의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하는 언더압력(underpressure)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진공 기구(60)를 포함한다. 도 4의 흡입 헤드(101)의 일부분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진공 청소기(100)의 몸체 부분(102)에서 흡입 채널(51), 오물 저장소(50) 및 진공 기구(60)의 조립체에 대한 하우징(3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결합 영역(33)을 포함한다. 출구 개구(31)는 이러한 결합 영역(33)과 유체 연통한다.The body portion 102 of the vacuum cleaner 100 has a dirt reservoir 50 that serves to receive and accumulate wet dirt 11 that is picked up from the surface 10 by the brush 20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 is additionally included. The dirt reservoir 50 is typically used to accumulate wet dirt from the incoming dirt 11 picked up from the surface 10, for example in a cyclone arrangement or a tube-in-cup arrangement. It can be configured in as many ways as possible. The body portion 102 passes through an outlet opening 31 in the surface 32 of the housing 30 facing the brush 20 and a suction channel 51 extending from the outlet opening 31 to the dirt reservoir 50 . , a vacuum mechanism (60) configured to create an underpressure that serves to enable transport of dirt (11) from the area where the brush (20) is located in the dirt reservoir (50) within the body portion (102). Includes. As can be seen in the view of a portion of the suction head 101 in FIG. 4, the housing 30 includes a suction channel 51, a dirt reservoir 50 and a vacuum mechanism in the body portion 102 of the vacuum cleaner 100. and a coupling area 33 configured to enable coupling of the housing 30 to the assembly of 60 . The outlet opening 31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is joining area 33.

습식 진공 청소기(100)가 작동되는 방식의 기본적인 태양은 다음과 같다. 작동 동안, 브러시(20)는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액체 공급 기구(41)는 액체를 흡입 헤드(101)의 습윤 배열체(42)로 공급하도록 활성화되어, 액체가 청소될 표면(10)으로 그리고 2개의 휠(90)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브러시(20)의 도달 범위 내에 있는 표면(10)의 영역 상에 존재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얼룩은 액체 및 브러시(20)에 의한 교반의 영향 하에서 분리되고, 표면(10)의 영역 상에 존재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오물 입자 및 먼지는 액체와 함께 제거되고, 과정 중에 출구 개구(31) 및 흡입 채널(51)을 통과하여 오물 저장소(50)로 이송된다. 오물(11)은 브러시(20)의 마이크로섬유 요소(23)의 팁 부분에 의해 표면(10)으로부터 픽업되고, 팁 부분이 표면(10)에 접촉하지 않게 이동되는 위치에서 브러시(20)가 회전됨에 따라 팁 부분으로부터 튕겨내진다.The basic aspects of how the wet vacuum cleaner 100 operates are as follows. During operation, the brush 20 is driven to rotate and the liquid supply mechanism 41 is activated to supply liquid to the wetting arrangement 42 of the suction head 101, so that the liquid is directed to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and Allows discharge through two wheels (90). Any stains as may be present on the area of the surface 10 within the reach of the brush 20 will be separ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liquid and agitation by the brush 20 and may be present on the area of the surface 10. Any dirt particles and dust that may be present are removed together with the liquid and are conveyed in the process through the outlet opening 31 and the suction channel 51 to the dirt reservoir 50. Dirt 11 is picked up from the surface 10 by the tip portion of the microfiber element 23 of the brush 20, and the brush 20 is rotated to a position such that the tip portion is moved out of contact with the surface 10. As it does so, it bounces off the tip.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예를 들어, 온/오프 버튼(71)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0)는, 브러시(20)를 움직이게 하도록 그리고 그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액체 공급 기구(41) 및 진공 기구(60) 둘 모두를 활성화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8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 the vacuum clean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70 , which may include, for example, an on/off button 71 . The vacuum cleaner 100 activates both the liquid supply mechanism 41 and the vacuum mechanism 60 to move the brush 20 and for that purpose in response to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via the user interface 70.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system 80 including a microcontroller programmed to do so.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헤드(101)의 태양들, 특히 흡입 헤드(101)의 습윤 배열체(42)의 태양들을 예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4에서, 습윤 배열체(42)의 도관 시스템(43)은 브러시(20)의 회전축(21)이 연장되는 방향인 종방향(l)에서 보았을 때 흡입 헤드(101)의 상이한 반부들에 위치되고 액체 공급 기구(41)에 결합가능한 2개의 주 도관(44, 45)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관 시스템(43)은 4개의 분기 도관들(46, 47, 48, 49), 즉 도 2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보았을 때, i) 주 도관(44, 45)의 제1 도관(44)에 결합되고, 액체를 휠들(90) 중 하나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주 도관(44, 45)의 제1 도관(44)으로부터 휠(90)로 연장되는 분기 도관(46), ii) 휠(90)과 출구 개구(31) 사이의 다소 종방향 위치에서 주 도관(44, 45)의 제1 도관(44)에 또한 결합되고, 액체를 청소될 표면(10)의 제1 영역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주 도관(44, 45)의 제1 도관(44)으로부터 표면(10)으로 연장되는 분기 도관(47), iii) 휠(90)과 출구 개구(31) 사이의 다소 종방향 위치에서 주 도관(44, 45)의 제2 도관(45)에 결합되고, 액체를 청소될 표면(10)의 제2 영역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주 도관(44, 45)의 제2 도관(45)으로부터 표면(10)으로 연장되는 분기 도관(48), 및 iv) 주 도관(44, 45)의 제2 도관(45)에 또한 결합되고, 액체를 다른 휠(90)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주 도관(44, 45)의 제2 도관(45)으로부터 휠(90)로 연장되는 분기 도관(49)을 포함한다.2-8 serve to illustrate aspects of the suction head 101, particularly aspects of the wetting arrangement 42 of the 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 and 4 , the conduit system 43 of the wetting arrangement 42 is shown in different halves of the suction head 101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xis of rotation 21 of the brush 20 extends. It can be seen that it comprises two main conduits (44, 45) located in the field and coupleable to the liquid supply mechanism (41). Additionally, the conduit system 43 is comprised of four branch conduits 46, 47, 48, 49, i) a first conduit 44 of the main conduits 44, 45 when viewed from left to right in FIG. a branch conduit (46) coupled to and configured to discharge liquid to one of the wheels (90), the branch conduit (46) extending from the first conduit (44) of the main conduits (44, 45) to the wheel (90), ii) the wheel (90) ) and the outlet opening 31 is also coupled to the first conduit 44 of the main conduits 44, 45,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liquid into a first area of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 a branch conduit (47) extending from the first conduit (44) of the main conduits (44, 45) to the surface (10), iii) the main conduit at a more or less longitudinal position between the wheel (90) and the outlet opening (31). coupled to the second conduit (45) of the main conduits (44, 45) and configured to discharge liquid to a second region of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from the second conduit (45) of the main conduits (44, 45) to the surface. a branch conduit (48) extending to (10), and iv) also coupled to the second conduit (45) of the main conduit (44, 45)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liquid to another wheel (90), the main conduit ( and a branch conduit 49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duit 45 of 44, 45 to the wheel 90.

액체를 청소될 표면(10)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분기 도관(47, 48)은 긴 중간 구성요소(25)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고, 액체가 표면(10)으로 배출되게 하는 액체 공급 위치는 긴 중간 구성요소(25)의 하부 면, 즉 청소될 표면(10)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긴 중간 구성요소(25)의 하부 표면 부분(26)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액체가 표면(10)으로 배출되게 하는 액체 공급 위치는 브러시(20)의 회전축(21)의 레벨에 또는 표면 레벨에 더 가까이, 즉 브러시(20)의 회전축(21)의 레벨에 또는 더 하부 레벨에 있는 것에 유의한다.Branch conduits (47, 48) configured to discharge liquid to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are arranged to extend partially through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25), the liquid supply positions allowing liquid to discharge to the surface (10) It is located on the lower face of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25 , i.e.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26 of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25 arranged and configured to face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In this regard, generally,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supply position, which causes the liquid to be discharged onto the surface 10 , is at the level of the rotation axis 21 of the brush 20 or closer to the surface level, i.e. the brush 20 Note that it is at the level of the rotation axis 21 or at a lower level.

종방향(l)으로 브러시(20)를 따라 분포된 액체 공급 위치에서 액체를 표면(10)으로 배출하는 것은, 세정 작용을 덜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임의의 건조한 또는 거의 건조한 영역 없이 브러시(20)가 충분히 습윤됨을 달성하게 하는 요인이다. 흡입 헤드(101)의 작동 동안 액체를 휠(90)로 배출하는 것은 휠(90)을 습윤 및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여, 표면(10)이 휠(90)에 의해 접촉된다는 사실로부터 이어지는 표면(10)의 세정 작용의 결과에 대한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피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액체가 휠(90)로 배출되는 위치는 액체가 휠(90)에 의해 그의 트레드(91)의 위치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휠 바로 위의 위치인 것을 알 수 있다.Discharging the liquid onto the surface 10 from the liquid supply locations distributed along the brush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ensures that the brush 20 is free from any dry or nearly dry areas that could make the cleaning action less effective. This is a factor in achieving sufficient wetting. Discharging liquid into the wheel 90 during operation of the suction head 101 keeps the wheel 90 wet and clean, so that the surface ( 10 ) resulting from the fact that it is contacted by the wheel 90 ( Any negative influence on the results of the cleaning action of 10) is avoided. 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wheel 90 is a position directly above the wheel such that the liquid can be received by the wheel 90 at the position of its tread 9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 헤드(101)의 설계의 다른 유리한 태양을 도시하며, 이는 2개의 휠(90) 각각이 브러시(20)와 접촉하도록, 특히 브러시(20)의 마이크로섬유 요소(23)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는 사실에 있다. 첫 번째로, 이는 휠(90)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두 번째로, 이는 브러시(20)가 그의 길이를 따라, 즉 종방향(l)에서의 그의 치수를 따라 습윤되는 것을 실현하는 데 기여한다.Figure 5 shows another advantageous aspect of the design of the 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ich allows each of the two wheels 90 to contact the brush 20, in particular the microfibers of the brush 20. It lies in the fact that it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element 23. Firstly, this contributes to keeping the wheel 90 clean. Secondly, this serves to realize that the brush 20 is wetted along its length, ie along its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도 6은, 액체를 청소될 표면(10)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가 표면(10)에 대해 적어도 2 mm 및 최대 6 mm의 거리로 표면(10)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흡입 헤드(101)의 하부 표면 부분에 있는 유리한 옵션을 예시한다. 표면(10)과 흡입 헤드(101)의 하부 표면 부분 사이에만 작은 공간을 가짐으로써, 흡입 헤드(101)의 하부 표면 부분이 효과적으로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달성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표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에서 표면(10)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흡입 헤드(101)의 하부 표면 부분이 긴 중간 구성요소(25)의 하부 표면 부분(26)을 포함하는 경우 실용적이다.6 shows a suction device arranged and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liquid supply position for discharging liquid onto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is directed towards the surface 10 at a distance of at least 2 mm and at most 6 mm relative to the surface 10. An advantageous option is illustrated i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head 101. By having only a small space between the surface 1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ction head 101, it is achieved that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ction head 101 is kept effectively clean. As mentioned,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ction head 101 is arranged and configured to face the surface 10 at a relatively small distance relative to the surface 1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26 of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25 It is practical if included.

전술한 것에 기초하여, 청소될 표면(10)과 흡입 헤드(101)의 하부 표면 부분 사이의 작은 공간의 유리한 태양의 개요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Based on the foregoing, an overview of advantageous aspects of the small space between the surface to be cleaned 1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ction head 101 is provided as follows:

- 하부 표면 부분 아래의 액체는 표면(10)과 브리징하고 표면 장력에 의해 하부 표면 부분을 세정하여, 하부 표면 부분에 부착될 수 있는 작은 오물 입자를 포획한다.- The liquid beneath the lower surface portion bridges with the surface 10 and cleans the lower surface portion by surface tension, capturing small dirt particles that may adhere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 액체가 배출되는 상이한 위치로부터의 깨끗한 액체의 유동은 하부 표면 부분에 대해, 특히 긴 중간 구성요소(25)의 하부 면에 대해 직접 세정 효과를 갖는다.- The flow of clean liquid from the different positions from which the liquid is discharged has a direct cleaning effect on the lower surface parts, especially on the lower face of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25.

- 흡입 헤드(101)의 이동은 하부 표면 부분 아래의 영역이 브러시(20)와 일정한 상호작용을 일으키게 한다.- The movement of the suction head 101 causes the area under the lower surface part to be in constant interaction with the brush 20.

또한, 브러시(20)를 향하는 하우징(30)의 표면(32)이 단지 최소 거리에서만 브러시(20)를 덮도록 배열되는 경우 유리한데, 이는 그러한 경우에, 흡입력이 흡입 헤드(101) 내에서 효과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이고, 그 결과 표면(32)을 따른 공기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실제로 오물이 구축될 수 있는 공간이 없다는 사실 외에 표면(32)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에 유의한다.It is also advantageous if the surface 32 of the housing 30 facing the brush 20 is arranged so as to cover the brush 20 only at a minimum distance, since in such case the suction force is effectively This is because the air velocity along the surface 32 can be relatively high as a result, which also contributes to keeping the surface 32 in a clean condition apart from the fact that there is virtually no space for dirt to build up. Be careful.

각각의 분기 도관(46, 47, 48, 49)에 대해 액체의 동일한 분포를 촉진하기 위해, 도 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한된 액체 통로(27)가 주 도관(44, 45) 및 각각의 분기 도관(46, 47, 48, 49)의 계면에 존재하는 경우 실용적이다. 사실은, 제한된 액체 통로(27)는 하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먼저 나타나는 분기 도관(47, 48)의 위치에서 주 도관(44, 45)의 배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는 다른 분기 도관(46, 49)으로의 유체의 공급을 방해할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제한된 액체 통로(27)의 존재에 기초하여, 분기 도관(46, 47, 48, 49)이 주 도관(44, 45)에 결합된 위치에서 주 도관(44, 45)으로부터의 액체의 제어된 회수가 실현된다.To promote equal distribution of liquid to each of the branch conduits 46, 47, 48, 49, as best seen in FIG. 7, a limited liquid passage 27 is formed in the main conduits 44, 45 and It is practical if present at the interface of each branch conduit (46, 47, 48, 49). In fact, the restricted liquid passage 27 serves to prevent drainage of the main conduits 44, 45 at the location of the branch conduits 47, 48 that appear first when viewed from the downstream direction, which in turn are connected to the other branch conduits 46, 49), which will interfere with the supply of fluid. Accordingly, based on the presence of a restricted liquid passageway 27, control of liquid from the main conduits 44, 45 at the location where the branch conduits 46, 47, 48, 49 are coupled to the main conduits 44, 45. The requested recovery is realized.

도 8은, 주 도관(44)이 액체(15)의 버퍼로서 역할을 하도록 대략 치수설정되고, 각각의 분기 도관(46, 47)이 주 도관(44)에 결합되는 위치에 제한 요소(28)가 적용되는 옵션을 예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한 요소(28)는 2개의 제한 개구가 제공된 스트립을 포함한다. 제한 개구는 연속적인 유동보다는 액체(15)의 액적의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한된 액체 통로(27)를 실현하도록 치수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한 요소(28) 또는 제한 요소(28)가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조립체는 제한 요소(28) 또는 전체 조립체가 세정 목적을 위해 이따금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흡입 헤드(101) 내에 제거가능하게 배열된다. 제한 요소(28) 및 가능하게는 또한 인접한 구성요소를 정기적으로 세정하는 것은, 특히, 제한 개구가 막히고 이에 의해 휠(90) 및 청소될 표면(10)에 대한 액체(15)의 공급이 방해가 되는 것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8 shows that the main conduit 44 is approximately dimensioned to act as a buffer for liquid 15, and that each branch conduit 46, 47 has a restraining element 28 at the position where it joins the main conduit 44. Illustrates the applicable options. In the example shown, the confinement element 28 comprises a strip provided with two confinement openings. The confinement opening is dimensioned to realize a confined liquid passageway 27 configured to produce a flow of droplets of liquid 15 rather than a continuous flow. Preferably, the restriction element 28 or an assembly of components comprising the restriction element 28 is positioned within the suction head 101 such that the restriction element 28 or the entire assembly can be removed by the user from time to time for cleaning purposes. Arranged to be removable. Regular cleaning of the confinement element 28 and possibly also the adjacent components is necessary,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confinement openings from becoming clogged and thereby impeding the supply of liquid 15 to the wheel 90 and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It can help you avoid this.

청소될 표면(1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액체(15)를 직접 공급하는 옵션 및 액체(15)를 적어도 하나의 휠(90)에 직접 공급하는 옵션 둘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헤드(101)의 단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옵션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액체(15)를 적어도 하나의 휠(90)에 직접 공급하는 옵션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브러시들(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의 위치와 같은, 흡입 헤드(101) 내의 위치에 액체(15)를 직접 공급하는 옵션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습윤 배열체(42)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렇게 원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휠(90)에 대한 액체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습윤 배열체(42)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청소될 표면(10)의 유형이 액체의 평균 양을 초과하여 필요로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유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이따금 적어도 하나의 휠(90)의 세정 작용을 수동으로 개시하는 것 등을 할 수 있게 한다.Both the option of supplying liquid 15 directly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and the option of supplying liquid 15 directly to at least one wheel 90 are provided with the 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ption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o the option of supplying liquid 15 directly to at least one wheel 90, liquid may be placed at a location within the suction head 101, such as a location on one or both of the brushes 20. Note that the option of supplying (15) directly is feasible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speaking, the wetting arrangement 42 can be realized in any suitable wa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wetting arrangement 42 with the function of temporarily stopping the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wheel 90 if so desired. This may be useful considering situations where the type of surface 10 to be cleaned requires more than an average amount of liquid, such as requiring the user to manually initiate the cleaning action of at least one wheel 90 from time to time, etc. allows you to do

흡입 헤드(101)의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흡입 헤드(101)가 흡입 헤드(101)의 하부 면으로부터 브러시(20)의 일부분을 덮는 긴 중간 요소(25)를 포함하는 경우, 긴 중간 요소(25)를 사용하여 습윤 배열체(42)의 도관 시스템(43)의 하나 이상의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If, as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suction head 101, the suction head 101 comprises an elongated intermediate element 25 covering a portion of the brush 2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head 101, the elongated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an intermediate element 25 to accommodate at least part of one or more conduits of the conduit system 43 of the wet arrangement 42, but this is not essential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범주가 전술한 것에서 논의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의 몇몇 개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이 청구범위 또는 그의 등가물의 범주 내에 속하는 한 모든 그러한 개정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해석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설명에서 상세히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예시 및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증이거나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은 개략적인데, 여기서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는 상세 사항은 생략되었을 수 있고,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ussed in the foregoing, but that several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be construed to include all such amendments and modifications as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r their equivalents.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such illustrations and description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or illustrative only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drawings are schematic, in which details not required for understanding the invention may be omitted and may not necessarily be drawn to scale.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들이 도면,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달성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다른 단계들 또는 요소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 형태(부정 관사 "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Modifications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understood and eff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practicing the claimed invention from a study of the drawings, description, and appended claims. In the claims, the word "comprising" does not exclude other steps or elements, and the singular form (the indefinite article "a" or "an") does not exclude the plural. Any reference signs in the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특정 실시예에 대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논의된 요소 및 태양은, 달리 명백하게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의 요소 및 태양과 적합하게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수단들이 상호 상이한 종속항에서 언급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지 않는다.Elements and aspects discussed for or in connection with a particular embodiment may be suitably combined with elements and aspects of other embodi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Accordingly, the mere fact that certain means are mentioned in mutually different dependent claims does not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these means cannot be used to advantage.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포함하다" 및 "구비하다"는 용어 "~로 이루어지다"를 망라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는 일 실시예에 관하여 "~로 이루어지다"를 의미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한정된 종(species)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종을 함유하다/갖는다/갖춘다"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 “comprising”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ncompass the terms “consisting of.” Accordingly, the terms “comprise” or “comprising” may mean “consisting of”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but may mean “consisting of at least a defined species and optionally one or more other species” in another embodiment. It can mean “to do/have/have.”

본 발명의 주목할 만한 태양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진공 청소와 관련하여, 진공 청소기(100)의 공기 흡입 공급원(60)에 결합가능한 하우징(30), 및 하우징(30) 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의 2개의 브러시(20)를 포함하는 유형의 것인 흡입 헤드(101)가 제공되며, 여기서 브러시들(20) 각각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청소될 표면(10)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흡입 헤드(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표면(1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액체(15)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습윤 배열체(42)가 추가로 구비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브러시들(20) 사이의 영역(24) 내에 그리고 브러시(20)의 회전축(21)의 레벨에 있거나 표면 레벨에 더 가까이 있다.Notable aspects of the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lation to vacuum cleaning, a type comprising a housing (30) coupleable to an air suction source (60) of a vacuum cleaner (100), and two brushes (20)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in the housing (30). A suction head 101 is provided, where each of the brushes 20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21 and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The suction head (101) is further provided with a wetting arrangement (42)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15)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 where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is within the area 24 between the brushes 20 and at the level of the rotation axis 21 of the brushes 20 or closer to the surface level.

Claims (15)

진공 청소기(100)에 적용되고 표면(10) 상에 세정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흡입 헤드(101)로서, 상기 흡입 헤드(101)는,
상기 진공 청소기(100)의 공기 흡입 공급원(60)에 대한 하우징(3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결합 영역(33)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의 2개의 브러시들(20) - 상기 브러시들(20) 각각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청소될 상기 표면(10)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됨 -,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로부터 청소될 상기 표면(1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액체(15)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습윤 배열체(42)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상기 브러시들(20) 사이의 영역(24) 내에 그리고 상기 브러시들(20)의 회전축들(21)의 레벨에 있거나 표면 레벨에 더 가까이 있는, 흡입 헤드(101).
A suction head (101) applied to a vacuum cleaner (100) and configured to perform a cleaning action on a surface (10), the suction head (101) comprising:
the housing (30) comprising a coupling area (33) configured to enable coupling of the housing (30) to an air intake source (60) of the vacuum cleaner (100);
Two brushes (20) in a substantially parallel arrangement within the housing (30), each of the brushes (20) rotatable about an axis of rotation (21) and adapted to interact with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configured -, and
a wetting arrangement (42)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15) from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o at least one area of said surface (10) to be cleaned, said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The position of the suction head 101 is within the area 24 between the brushes 20 and at the level of the axes of rotation 21 of the brushes 20 or closer to the surfac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상기 표면(10)에 대해 적어도 2 mm 및 최대 6 mm의 거리로 청소될 상기 표면(10)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상기 흡입 헤드(101)의 하부 표면 부분에 있는, 흡입 헤드(101).The 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liquid supply position is arranged and configured to face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at a distance of at least 2 mm and at most 6 mm relative to the surface (10). At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ction head 10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배열체(42)는 상기 흡입 헤드(101) 위에 분포된 적어도 2개의 액체 공급 위치들로부터 상기 브러시들(20)의 회전축들(21)이 연장되는 방향(l)으로 액체(15)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되는, 흡입 헤드(101).3. The wetting arrangement (4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otational axes (21) of the brushes (20) extend from at least two liquid supply positions distributed over the suction head (101). Suction head (101),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15) in direction ( l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들(20) 사이의 영역(24) 내에 위치되고 상기 브러시들(20)의 부분들을 덮도록 구성된 2개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긴 중간 구성요소(25)를 포함하는, 흡입 헤드(101).4. A long 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optionally comprising two parts positioned within the area (24) between the brushes (20) and configured to cover parts of the brushes (20). A suction head (101) comprising an intermediate component (2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긴 중간 구성요소(25)는 그의 상부면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일부분으로부터 현수되는, 흡입 헤드(101).5. 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25) is suspended from a part of the housing (30) at a position of its upper surfac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는 청소될 상기 표면(10)을 향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상기 긴 중간 구성요소(25)의 하부 표면 부분(26)에 있는, 흡입 헤드(101).6. Suction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is in a lower surface portion (26) of the long intermediate component (25) arranged and configured to face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Head (10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배열체(42)는 액체(15)를 수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에서 액체(15)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도관 시스템(43)을 포함하는, 흡입 헤드(101).7. A conduit system (43)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wetting arrangement (42) is configured to transport liquid (15) and discharge the liquid (15) at said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Including a suction head (101). 제6항을 인용하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시스템(43)은 상기 긴 중간 구성요소(25)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47, 48)을 포함하는, 흡입 헤드(101).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claim 7, referr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duit system (43) comprises at least one conduit (47, 48) extending through the elongated intermediate component (25).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시스템(43)은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44, 4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44, 45)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44, 45)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 위치를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47, 48)을 포함하는, 흡입 헤드(101).9.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conduit system (43) is coupled to at least one main conduit (44, 45) and said at least one main conduit (44). , suction head (101), comprising at least one branch conduit (47, 48) extending from 45) towards said at least one liquid supply loc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44, 4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47, 48)과 유체 연통하는 제한 요소(28)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 요소(28)에는 액체(15)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도관(44, 45)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도관(47, 48)을 향하는 방향으로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한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한 요소(28) 또는 상기 제한 요소(28)가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조립체는 상기 흡입 헤드(101) 내에 제거가능하게 배열되는, 흡입 헤드(101).10. The method of claim 9, comprising a confinement element (28) in fluid communication with said at least one main conduit (44, 45) and said at least one branch conduit (47, 48), said confinement element (28) containing a liquid. A confinement opening is provided configured to allow passage (15) in a direction from said at least one main conduit (44, 45) towards said at least one branch conduit (47, 48), said confinement element (28) or said conduit (47, 48) Suction head (101), wherein an assembly of components comprising element (28) is removably arranged within said suction head (10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헤드(101)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청소될 상기 표면(1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휠(90)을 포함하고, 상기 습윤 배열체(4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90)에 액체(15)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추가로 배열 및 구성되는, 흡입 헤드(101).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comprising at least one wheel (90) rotatably arranged on the suction head (101) and adapted to contact the surface (10) to be cleaned, The wetting arrangement (42) is further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15) to said at least one wheel (9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 배열체(4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9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90)의 트레드(91)의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90)에 액체(15)의 직접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 및 구성되는, 흡입 헤드(101).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wetting arrangement (42) is applied to the at least one wheel (90) from the outside of the at least one wheel (90) at a location of the tread (91) of the at least one wheel (90). Suction head (101), arranged and configured to enable direct supply of liquid (15) to the suction head (101).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90)은 상기 회전 브러시들(20)이 상기 흡입 헤드(101)의 작동 동안 상기 휠(90)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흡입 헤드(101).13. Suction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at least one wheel (90) is arranged such that the rotating brushes (20) can interact with the wheel (90) during operation of the suction head (101). Head (101).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90)은 상기 브러시들(20) 사이의 영역(24) 내에 위치되는, 흡입 헤드(101).14. 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at least one wheel (90) is located within the area (24) between the brushes (20).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입 헤드(101)를 포함하는, 무선 진공 청소기(100).A cordless vacuum cleaner (100) comprising a suction head (10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KR1020237035466A 2021-03-17 2022-03-11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KR202400169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3065.2A EP4059399A1 (en) 2021-03-17 2021-03-17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a surface to be cleaned
EP21163065.2 2021-03-17
PCT/EP2022/056362 WO2022194706A1 (en) 2021-03-17 2022-03-11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a surface to be clean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942A true KR20240016942A (en) 2024-02-06

Family

ID=7494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466A KR20240016942A (en) 2021-03-17 2022-03-11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32763A1 (en)
EP (2) EP4059399A1 (en)
JP (1) JP2024518870A (en)
KR (1) KR20240016942A (en)
CN (2) CN115104951A (en)
AU (1) AU2022240904A1 (en)
WO (1) WO2022194706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55728C (en) * 1996-06-26 2004-03-30 Matsushita Home Appliance Corporation Of America Extractor with twin, counterrotating agitators
EP2343003A1 (en) 2010-01-07 2011-07-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eaning device with spraying means and rotatable brush
EP2484261A1 (en) 2011-02-08 2012-08-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cleaning a head of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surfaces
US9414733B2 (en) * 2013-07-16 2016-08-16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Floor cleaning machine
PL3367865T3 (en) 2015-10-26 2019-11-29 Koninklijke Philips Nv A vacuum cleaner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8870A (en) 2024-05-08
US20240032763A1 (en) 2024-02-01
AU2022240904A1 (en) 2023-11-02
EP4307975A1 (en) 2024-01-24
CN115104951A (en) 2022-09-27
CN218852563U (en) 2023-04-14
EP4059399A1 (en) 2022-09-21
WO2022194706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7790B2 (en) Floor cleaning machine
JP3230037U (en) Surface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two-stage collection
CN100586357C (en) Suction wet jet mop
US20230218134A1 (en) Surface cleaning machine
KR20240016942A (en) Supply of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US20240148205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wheel of a suction head
KR102659063B1 (en) Suction head for applications in vacuum cleaners
US11998148B2 (en) Floor cleaning machine
EP4059397A1 (en) Transport of dirt in a suction head for use in a vacuum cleaner
WO2024116233A1 (en) Cleaning roller and clean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