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722A -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722A
KR20240016722A KR1020220094837A KR20220094837A KR20240016722A KR 20240016722 A KR20240016722 A KR 20240016722A KR 1020220094837 A KR1020220094837 A KR 1020220094837A KR 20220094837 A KR20220094837 A KR 20220094837A KR 20240016722 A KR20240016722 A KR 20240016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mode
button
user
additio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훈
박보경
이정재
김창원
서경현
권성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722A/en
Priority to PCT/KR2023/004797 priority patent/WO2024025072A1/en
Publication of KR2024001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7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은, 디스펜서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추가 모드가 개발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디스펜서에 새로운 기능의 추가 모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기능 업그레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upgrade the additional mode of the new function to the dispenser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an additional mode that can implement a new function of the dispenser is developed,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 upgrad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Figure P1020220094837
Figure P1020220094837

Description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ors.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저장실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관 대상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실에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supplies cold air generat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refrigerant to a storage room, thereby keeping various types of objects fresh in the storage room for a long period of time.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room and a doo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room.

냉장고의 도어에는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가 배치되어 물과 얼음을 취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 dispenser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and/or ice is plac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o increase convenience for users who wish to dispense water and ice.

한편 냉장고는 냉장고와 디스펜서와 같은 전자 기기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refrigerato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dispensers.

제어부는 제품을 구동하기 위한 제품 구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해당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로직에 따라서 제품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product driving software for driving the product, and can drive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rogram logic of the software.

한편 전자 기기의 경우 일단 판매가 된 이후에도 새로운 기능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자 기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이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electronic devices, new functions can be continuously upgraded even after they are sold, so there is a need to upgrade the software of existing electronic devices.

또한 새롭게 업그레이드되는 기능의 경우 기존의 전자 기기의 기능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만으로는 구현 또는 설명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newly upgraded functions,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or explain them using only a display showing the functions of existing electronic devices.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자체도 구 버전(Version)일 수 있는 바, 기존의 전자 기기의 하드웨어 수준에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필요성이 있다.For example, not only the software of an electronic device but also the hardware itself may be out of date, so there is a need to upgrade and execute new functions without being affect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hardware level of the exist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추가 모드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that can be upgraded to additional modes that can provide new functions to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업그레이드를 하고자 하는 제품의 버전에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that can provide new functions without being influenc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version of the product to be upgrad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에 의해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cludes a dispenser that can be upgraded to an additional mode by a user terminal or a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has a device for the additional mode. A technical feature is that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information is provided.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에 의해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디스펜서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으로도 기존의 디스펜서에 새로운 기능의 추가 모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Specifically, by including a dispenser that can be upgraded to additional modes by a user terminal or server, a user can upgrade an existing dispenser to an additional mode with new functions by simply operating the user terminal.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구 버전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갖는 디스펜서의 상태에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새로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s equipped with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de, so that information about new functions can be acquired through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out being affect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status of the dispenser with various old versions of software and hardware. and you can run it.

상기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서버에 의해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 모드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추가 모드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a user terminal, a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dispenser that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and is capable of being upgraded to an additional mode by the user terminal or the server. a refrigerator, a user interfac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de,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to receive a user's comman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mode, and the user's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xecution of the additional mode according t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제1 설정 시간의 시작점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이후에 다시 닫힌 후부터 시작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first set time may begin after the door is opened and then closed agai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추가 모드는 미리 설정된 정량의 물이 취출되도록 제어되는 정량 급수 모드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mode may be a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in which a preset fixed amount of water is controlled to be dispen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취출되는 물의 용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may provide an option for the user to arbitrarily adjust and select the volume of water dispensed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입력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일정 시간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정량 급수 모드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nser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to be executed when any one of the buttons is pr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복수의 버튼은 제1 버튼, 제2 버튼, 및 제3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제1 버튼, 제2 버튼, 및 제3 버튼은 각각 서로 다른 용량의 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상기 입력부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uttons include a first button, a second button, and a third button, and i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the first button, the second button, and the third button are It may be the input unit that allows different volumes of water to be dispen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디스펜서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레버를 누르는 경우 선택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용량으로 물이 취출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nser further includes a lever, and when the lever is pressed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water can be dispensed in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용량으로 물이 취출되도록 일정 시간동안 유량 센서를 통해 펄스값을 이용하여 급수 유량을 감지하고, 수압을 판단하여 판단된 수압에 대응되는 타겟 펄스값에 도달하면 급수를 종료하여 정량 급수를 실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water flow rate using a pulse value through a flow sens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water is dispensed at a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and adjusts the water pressure. When the target pul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water pressure is reached, the water supply can be terminated to perform a fixed amount of water supp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일정 시간동안 누르거나, 일정 시간동안 미동작시에는 상기 정량 급수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may be release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pr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is inacti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추가 모드는 상기 디스펜서의 얼음 생성이 완료되는 것을 안내하는 얼음 생성 알림 모드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mode may be an ice production notification mode that notifies that ice production by the dispenser is comple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얼음 생성 알림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펜서의 만빙을 감지하고 이빙을 하는 과정에서 알림음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at the dispenser is full and control a notification sound to sound during the ice removal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얼음 생성 알림 모드의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may provide an option for the user to select on or off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펜서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추가 모드가 개발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디스펜서에 새로운 기능의 추가 모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기능 업그레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ditional mode that can implement a new function of the dispenser is developed, the user can upgrade the additional mode of the new function to the dispenser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for function upgrades.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는 업그레이드되는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기 때문에, 다양한 구 버전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갖는 디스펜서의 상태에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새로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terminal is equipped with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des to be upgraded, the user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can be used without being affect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status of the dispenser having various old versions of software and hardware. You can acquire information about new functions and execute them with simple opera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용량만큼 물을 출수할 수 있는 정량 급수 모드를 디스펜서에 추가 모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기존의 디스펜서에 정량 급수 모드에 대한 기능을 새롭게 부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which can dispense water as desired, can be upgraded to an additional mode in the dispenser, so the user can add a new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function to the existing dispenser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can be given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펜서의 얼음 생성이 완료되는 것을 안내하는 얼음 생성 알림 모드를 디스펜서에 추가 모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기존의 디스펜서에 얼음 생성 알림 모드에 대한 기능을 새롭게 부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production notification mode that informs the dispenser that ice production is completed can be upgraded to an additional mode in the dispenser, and the user can add the ice production notification mode to the existing dispenser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New functions can be added, improving user convenienc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냉장고의 추가 모드에 대한 업그레이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정량 급수 모드가 업그레이드된 디스펜서에 부여되는 입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드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정량 급수 모드와 수압 존 선정에 따른 용량 취출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수압 존 선정에 따른 급수 로직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업그레이드 알람 표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업그레이드된 추가 모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정량 급수 모드의 출수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얼음 생성 알림음의 온 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얼음 생성 알림 모드가 추가 모드로 업그레이드된 이후의 제어부를 통한 이빙 동작과 알림음의 알림 구간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ispenser provided on a refrigerator door.
Figure 3 shows an upgrade flowchart for the additional mode of the refrigerator.
Figure 4 shows an input unit provided to a dispenser with an upgraded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Figure 5 shows a flowchart of a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capacity discharge flow according to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and water pressure zone selection.
Figure 7 shows a flowchart of the water supply logic according to water pressure zone selection.
Figure 8 shows a user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providing an upgrade alarm display.
Figure 9 shows a user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providing upgraded additional mode information.
Figure 10 shows a user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that allows the user to arbitrarily adjust the water discharge amount in the fixed water supply mode.
Figure 11 shows a user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that can turn on or off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sound.
Figure 12 shows a flowchart of the moving operation and notification sound notification se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after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is upgraded to the additional mode.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or the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Additionally,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absent, it means C or higher and D or low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도록 한다.Below, a refrigerato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도어(20)에 디스펜서(100)를 포함하는 냉장고(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refrigerator 1 including the dispenser 100 in the doo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cabinet 10 provid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공간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측의 제1 공간(11)과 하측의 제2 공간(1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어(20)도 제1 공간(11)을 개폐하는 제1 도어(21)와 제2 공간(12)을 개폐하는 제2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is not limited, but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first space 11 and a lower second space 12, and the door 20 is also a first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space 11 ( 21) and a second door 22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pace 12.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 중 하나 이상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또는 단일의 도어(20)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제1 도어(21)가 좌우로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may be a rotating type door. Alternatively, the single door 20 may be a rotating type door. In this embodiment, the two first doors 21 are arranged left and right as an example.

제1 도어(21)는, 힌지 장치에 의해서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oor 2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10 by a hinge device.

두 개의 제1 도어(21) 중 어느 하나는 디스펜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는,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One of the two first doors 21 may include the dispenser 100. The dispenser 100 may discharge water and/or ice.

디스펜서(100)는, 디스펜서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110)은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컵이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116)을 형성할 수 있다.The dispenser 100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110. A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may be recessed toward the rear to form a space 116 in which a cup or container can be placed.

디스펜서 하우징(110)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레버(190)가 위치될 수 있다. 레버(190)는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공간(116) 내에서 피봇 가능하도록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후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A lever 190 that the user operates to dispense water or ice may be located in the dispenser housing 110. The lever 190 may be coupled to the rear wall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to pivot within the space 116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디스펜서(100)는, 디스펜서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디스펜서 커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커버(120)는 디스펜서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디스펜서(10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dispenser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cover 120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110. The dispenser cover 1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110 to form part of the exterior of the dispenser 100.

디스펜서 커버(120)는, 공간(116)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는 바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30)는, 디스플레이부 역할을 할 수 있다.The dispenser cover 12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30 disposed in a protruding form in the space 116. The body portion 130 may serve as a display portion.

바디부(130)는 전면에 복수의 버튼(133, 134, 135)들이 구비된 라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복수의 버튼(133, 134, 135)들이 디스플레이부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30 may have a round shape with a plurality of buttons 133, 134, and 135 on the front. In practice, a plurality of buttons 133, 134, and 135 may serve as a display unit.

복수의 버튼(133, 134, 135)들은 바디부(130)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버튼(133, 134, 135)들은 제1 버튼 내지 제3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uttons 133, 134, and 135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body portion 130. The plurality of buttons 133, 134, and 135 may include first to third buttons.

제1 버튼(133)은, 물이 취출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물 선택 버튼이다. 제2 버튼(134) 및 제3 버튼(135)은 얼음이 취출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얼음 선택 버튼이다. 또한, 제2 버튼(134) 및 제3 버튼(135)은 얼음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The first button 133 is a water selection button that is selected to switch to a state in which water can be dispensed.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are ice selection buttons used to switch to a state in which ice can be dispensed. Additionally,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are buttons for selecting the type of ice.

제2 버튼(134)은, 일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버튼이고, 제3 버튼(135)은 조각 얼음(분쇄된 얼음)을 선택하는 버튼이다. 일반 얼음은 도시되지 않은 제빙 장치에서 생성된 얼음 그 자체를 의미하고, 조각 얼음은 일반 얼음이 블레이드에 의해서 분쇄된 상태의 얼음을 의미한다.The second button 134 is a button to select regular ice, and the third button 135 is a button to select crushed ice (crushed ice). Regular ice refers to the ice itself produced by an ice-making device (not shown), and piece ice refers to ice in a state in which regular ice has been crushed by a blade.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제2 버튼(134)과 제3 버튼(135) 사이에 제1 버튼(133)이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limited, the first button 1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디스펜서(100)는, 버튼(133, 134, 135)들의 버튼 조작을 감지하고, 조작된 버튼(133, 134, 135)에 대응하여 광을 조사하는 감지 어셈블리(미도시)(또는 발광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enser 100 includes a sensing assembly (not shown) (or a light emitting assembly) that detects operation of the buttons 133, 134, and 135 and emits light in response to the operated buttons 133, 134, and 135. More may be included.

감지 어셈블리(미도시)는, 버튼(133, 134, 135)의 기구적인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버튼(133, 134, 135)의 터치 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버튼(133, 134, 135)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The sensing assembly (not shown) includes a switch that detects mechanical manipulation of the buttons 133, 134, and 135, or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when the buttons 133, 134, and 135 are touched. can do.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of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s 133, 134, and 135.

이에 따라, 복수의 버튼(133, 134, 135)들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00)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uttons 133, 134, and 135 may be input units 200 that receive user commands.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200)인 복수의 버튼(133, 134, 135)들을 터치함으로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by touching the plurality of buttons 133, 134, and 135 that are the input unit 200.

이 경우 입력부(200)를 터치하는 시간에 따라서 입력되는 명령이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comman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 at which the input unit 200 is touched.

감지 어셈블리(미도시)는, 제1발광 소자 내지 제3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133)이 선택되면, 제1 발광 소자에서 제1 버튼(133) 또는 제1 버튼(133)의 주변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버튼(134)이 선택되면, 제2 발광 소자에서 제2 버튼(134) 또는 제2 버튼(134)의 주변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3 버튼(135)이 선택되면, 제3 발광 소자에서 제3 버튼(135) 또는 제3 버튼(135)의 주변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The sensing assembly (not shown) may includ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devices. When the first button 133 is selected,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may emit light to the first button 133 or the surrounding area of the first button 133. When the second button 134 is selecte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may emit light to the second button 134 or the surrounding area of the second button 134. When the third button 135 is selected, light may be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emitting device to the third button 135 or the surrounding area of the third button 135.

이 경우 발광 소자는 LED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n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디부(130)의 하단에는 보조 바디부(140)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보조 바디부(140)의 하단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배출 포트(150)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body 14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ody 130, and a discharge port 150 for discharging water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protrude downwar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은 디스펜서(100)를 포함하는 냉장고(1),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frigerator 1 including a dispenser 100, a server 300, and a user terminal 400.

냉장고(1)는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기(4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사용자 단말기(400)는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0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00.

냉장고(1)와 사용자 단말기(400)의 각각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모듈의 일 예는 와이파이 모듈일 수 있다.Each of the refrigerator 1 and the us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a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Wi-Fi module.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냉장고(1)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additional modes that can upgrade the functionality of the refrigerator 1.

이 경우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는, 업그레이드 설치에 대한 안내, 추가 모드의 동작에 대한 설명 제공, 추가 모드의 동작을 위한 입력 화면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de may b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guidance on installing an upgrade, providing an explan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mode, and an input screen for operating the additional mode.

유저 인터페이스는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can receive user commands through touch input, etc.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냉장고(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refrigerator 1.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는 냉장고(1)의 디스플레이인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냉장고(1)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may be the display of the refrigerator 1. In this case, the display of 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user commands through a touch method.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인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may be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400. In this case,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through a touch method.

이하, 편의를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설명하나,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인 것에 한하지 않고, 냉장고(1)에 제공된 디스플레이인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user interface will be described as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400. However, the user interface is not limited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of course, it can also be a display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1.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은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500.

제어부(500)의 예는 냉장고(1)의 컨트롤러이거나, 서버(300)의 컨트롤러이거나, 사용자 단말기(400)의 컨트롤러일 수 있고, 이러한 컨트롤러들의 조합인일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control unit 500 may be a controller of the refrigerator 1, a controller of the server 300, a controller of the user terminal 400, or a combination of these controllers.

제어부(500)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입력부(200)의 입력에 따라 냉장고(1)의 디스펜서(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dispenser 100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or the input unit 200.

한편, 냉장고(1)와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는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의해 냉장고(1)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frigerator 1, the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user can upgrade the refrigerator 1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사용자 단말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나 냉장고(1)에 데이터 처리를 요청하거나 수신해 해당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로, 이 같은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0 is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request or receive data processing from the server 300 or the refrigerator 1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 user terminal 400 is a smart phone, laptop computer, or notebook equipped with such a function. It may be a computer, smart TV, or wearable device.

사용자 단말기(400)는 근거리 네트워크, 일 예로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냉장고(1)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1 through a short-range network, for example, Wi-Fi or Bluetooth.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업그레이드 항목이 전송되면, 서버(300)에는 업그레이드 항목이 다운 로드될 수 있고, 냉장고(1)는 서버(300)로부터 업그레이드 항목을 다운받아 업드레이드될 수 있다.When the upgrade item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upgrade item can be downloaded to the server 300, and the refrigerator 1 can be upgraded by downloading the upgrade item from the server 300.

냉장고(1)는 제품 판매시 내장된 기능을 포함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계속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 is not limited to including built-in functions when it is sold, and new functions can be continuously added.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1)의 디스펜서(100)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추가 모드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upgrading an additional mode that can implement new functions of the dispenser 100 of the refrigerator 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냉장고(1)는 고유 버전(Version)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S1001)The refrigerator 1 may have its own version. (S1001)

냉장고(1)나 서버(300)는 냉장고(1)의 고유 버전(Version)를 감지할 수 있고, 고유 버전(Version)이 업그레이드 가능한 버전인지 확인할 수 있다. (S1002)The refrigerator 1 or the server 300 can detect the unique version of the refrigerator 1 and check whether the unique version is an upgradeable version. (S1002)

고유 버전이 업그레이드 가능한 버전이 아닌 경우, 냉장고(1)는 기존 고유 버전을 유지하고 업그레이드를 미실행하게 된다. (S1003)If the unique version is not an upgradeable version, the refrigerator 1 maintains the existing unique version and does not perform the upgrade. (S1003)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는 냉장고(1)를 제어, 관리할 수 있는 특정 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특정 앱을 통해 냉장고(1)를 업그레이드할 컨텐츠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업그레이드할 컨텐츠를 보유할 수 있다. (S1004)Meanwhile, the us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specific app that can control and manage the refrigerator 1, and the user can input content to upgrade the refrigerator 1 through the specific app. The user terminal 400 may hold content to be upgraded. (S1004)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업그레이드 항목(컨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고,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자동 다운로드할 수 있고, 예약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S1005)The server 300 can download upgrade items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400 and store them on the server. The server 300 can download automatically or by reservation. (S1005)

서버(300)는 냉장고(1)의 고유 버전이 업그레이드 가능한 버전일 경우, 업그레이드 항목(컨텐츠)를 냉장고(1)로 전송할 수 있고, 냉장고(1)는 업그레이드 항목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완료되었음을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할수 있다. (S1006)If the unique version of the refrigerator 1 is an upgradeable version, the server 300 can transmit the upgrade item (content) to the refrigerator 1, the refrigerator 1 can download the upgrade item, and the upgrade is completed. Once completed, completion can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1006)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400),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와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고, 사용자 단말기(400)나 서버(300)에 의해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디스펜서(100)를 포함하는 냉장고(1)를 포함한다.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400, the server 300, and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server 300, and includes the user terminal 400. It includes a refrigerator (1) including a dispenser (100) that can be upgraded to additional modes by the server (300).

사용자는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upgrade of the additional mode has been comple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400,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de.

냉장고(1)에 디스펜서(100)의 새로운 기능을 포함하는 추가 모드가 업그레이드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펜서(100)에 구비된 입력부(200)에 추가 모드 실행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refrigerator 1 is upgraded with an additional mode including a new function of the dispenser 100,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for executing the additional mode into the input unit 200 provided in the dispenser 100.

입력부(200)에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어부(500)는 추가 모드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When a user's command is input into the input unit 200, the control unit 500 can control execution of the additional mod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한편, 냉장고(1)와 사용자 단말기(400)는 상호 호환 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frigerator 1 and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냉장고(1)에서 추가 모드가 선택되면 냉장고(1)는 선택된 추가 모드를 사용자 단말기(400)와 호환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추가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선택된 추가 모드를 냉장고(1)와 호환할 수 있다. (S1007) (S1008)For example, if an additional mode is selected in the refrigerator 1, the refrigerator 1 may be compatible with the selected additional mode with the user terminal 400, and if an additional mode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400, the user terminal 400 The selected additional modes are compatible with the refrigerator (1). (S1007) (S1008)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펜서(100)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추가 모드가 개발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디스펜서(100)에 새로운 기능의 추가 모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기능 업그레이드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ditional mode that can implement a new function of the dispenser 100 is developed, the user can upgrade the additional mode of the new function to the dispenser 100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his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for function upgrades.

이하에서는, 업그레이드된 추가 모드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Below, the upgraded additional mod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예를 들어, 추가 모드는 미리 설정된 정량의 물이 취출되도록 제어되는 정량 급수 모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ditional mode may be a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in which a preset fixed amount of water is controlled to be dispensed.

디스펜서(100)에 정량 급수 모드가 추가 모드로 업그레이드가 되면, 디스펜서(100)의 바디부(130)에 구비된 제1 버튼(133), 제2 버튼(134), 및 제3 버튼(135)은 각각 서로 다른 정량의 물이 취출되도록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200)가 될 수 있다.When the fixed quantity water supply mode to the dispenser 100 is upgraded to an additional mode, the first button 133,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130 of the dispenser 100 may be an input unit 200 through which a user inputs a command to dispense a different quantity of water.

도 5를 참조하면 제2 버튼(134)은 제1 입력부(210)가 되고, 제1 버튼(133)은 제2 입력부(220)가 되며, 제3 버튼(135)은 제3 입력부(230)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second button 134 becomes the first input unit 210, the first button 133 becomes the second input unit 220, and the third button 135 becomes the third input unit 230. It can be.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제1 입력부(210)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250ml의 물이 출수되고, 제2 입력부(220)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500ml의 물이 출수되고, 제3 입력부(230)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1,000ml의 물이 출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into the first input unit 210, 250 ml of water is dispensed, and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into the second input unit 220, 500 ml of water is dispensed. 3 When a command is entered into the input unit 230, 1,000 ml of water can be controlled to be dispensed.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명령을 입력하고 나서 디스펜서(100)의 레버(190)를 누르는 경우 선택된 상기 버튼, 즉 입력부에 대응되는 용량으로 물이 출수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the input unit and then presses the lever 190 of the dispenser 100, water may be dispensed in a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that is, the input unit.

이 경우 출수되는 물의 양은 미리 설정된 양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 또는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s determined by a preset amount,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hang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user settings or upgrade of additional mod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펜서(100)에 새로운 추가 모드를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새롭게 추가된 추가 모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입력부에 대한 기능 설정을 업그레이드되기 전의 디스펜서(100)에 구비된 입력부에 임의로 부여할 수 있는 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기능의 제약없이 새로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pgrading the dispenser 100 to a new additional mode, the function settings for the input unit capable of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newly added additional mode are arbitrarily assigned to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100 before the upgrad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new functions without functional limitations simply by upgrading the software.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드의 흐름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FIG. 5, a flowchart of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디스펜서(100)에 새로운 추가 모드인 정량 급수 모드가 업그레이드된 이후에는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흐름도를 통해서 정량 급수를 실행할 수 있다.After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which is a new additional mode in the dispenser 100, is upgraded, the user can perform quantitative water supply through the following flow chart.

단계(S100)에서 사용자가 제1 설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디스펜서(100)의 복수의 버튼들인 제1 버튼(133), 제2 버튼(134), 및 제3 버튼(135) 중 하나를 누르는 경우, 눌린 버튼에 대응되는 각 용량 별 정량 급수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In step S100, when the user continuously presses one of the first button 133,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of the dispenser 100 during the first set time, A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for each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button may be started.

이 경우 제1 설정 시간은 3초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시간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setting time may be set to 3 seconds, but the time may be changed and is not limited to this.

디스펜서(100)에 정량 급수 모드가 업그레이드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정량 급수 모드를 시작하기 전에는, 정량 급수 모드가 시작되지 않고 기존의 디스펜서(100)가 갖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Even after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is upgraded to the dispenser 100,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does not start until the user starts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and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dispenser 100 can be implemented.

예를 들어, 디스펜서(100)의 제1 버튼(133), 제2 버튼(134), 및 제3 버튼(135)을 짧게 누르는 경우, 즉 제1 설정 시간 이내로 누르는 경우에는 정량 급수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button 133, second button 134, and third button 135 of the dispenser 100 are pressed briefly, that is, when pressed within the first set time,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is not executed. No.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 버튼(133), 제2 버튼(134), 및 제3 버튼(135)은 각각 물 선택 버튼, 일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버튼, 조각 얼음을 선택하는 버튼으로 기능하게 된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first button 133, the second button 134, and the third button 135 function as a water selection button, a button for selecting regular ice, and a button for selecting ice cubes, respectively. do.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 급수 모드의 실행 여부를 입력부인 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입력부 없이도 동일한 버튼으로 각 모드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cution of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is linked to the time of pressing the input button, making it possible to execute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each mode with the same button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input unit.

상기와 같은 단계(S100)에서 사용자가 제1 설정 시간동안 특정 버튼을 누르는 경우, 단계(S110)에서 선택된 해당 버튼의 LED는 깜빡이게 되고 부저음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a specific button during the first set time in step S100 as described above, the LED of the corresponding button selected in step S110 may blink and a buzzer sound may soun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버튼이 선택된 것인지 정확하고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accurately and conveniently recognize which button has been selected.

이 경우 사용자가 다시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에서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 단계(S120)로 진입하여 정량 급수 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user presses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gain during the first set time, step S120 may be entered and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may be released.

이와 함께 부저음이 발생하고, 단계(S110)에서 깜빡이던 버튼의 LED는 깜빡임을 멈추게 된다.At the same time, a buzzer sounds, and the LED of the button that was blinking in step S110 stops blinking.

정량 급수 모드가 해제되면 정량 급수 모드가 실행되기 이전의 정수 모드로 변경되게 된다.Whe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is released, the water purification mode changes to the previous water purification mode before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was executed.

이 경우, 단계(S120)에서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에서 하나를 제1 설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면, 다시 단계(S110)으로 진입하게 되어 선택된 해당 버튼에 대응되는 정량 급수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user continuously presses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for the first set time in step S120, step S110 is entered again, and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can be executed. .

즉 정수 모드는 정량 급수 모드로 변경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water purification mode is changed to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단계(S110)에서 제2 설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지 않는 것과 같이 미동작시에는, 단계(S130)로 진입하여 정량 급수 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계(S110)에서 깜빡이던 버튼의 LED는 깜빡임을 멈추게 된다.If there is no operation, such as if the user does not input a separate command during the second set time in step S110, the constant water supply mode may be released by entering step S130. At the same time, the LED of the button that was blinking in step S110 stops blinking.

이 경우 제2 설정 시간은 30초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시간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second setting time may be set to 30 seconds, but the time may be changed and is not limited to this.

단계(110)에서 사용자가 레버(190)를 누르거나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140)과 같이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물의 양으로 해당 정량 급수가 진행될 수 있다.If the user presses or continues to press the lever 190 in step 110, the water supply may proceed with the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as in step S140.

단계(S140)에서 해당 정량 급수가 완료되면, 단계(S160)로 진입하여 정량 급수 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계(S140)에서 깜빡이던 버튼의 LED는 깜빡임을 멈추게 된다.Whe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is completed in step S140, step S160 is entered and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can be released. At the same time, the LED of the button that was blinking in step S140 stops blinking.

또한 단계(S140)에서 사용자가 레버(190)를 추가로 누르는 경우에는, 단계(S150)로 진입하여 정량 급수 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계(S140)에서 깜빡이던 버튼의 LED는 깜빡임을 멈추게 된다.Additionally, if the user additionally presses the lever 190 in step S140, step S150 may be entered and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may be released. At the same time, the LED of the button that was blinking in step S140 stops blinking.

한편 정량 급수 모드에서 선택되는 용량의 경우 수압 존 환경에 따라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추가 로직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apacity selected in the fixed water supply mode, errors may occur depending on the water pressure zone environment, and additional logic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errors.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단계(S200)에서 정량 급수 모드가 시작되고 용량이 선택되면, 단계(S210)에서 수압 존을 선정하고, 단계(S220)에서 각 수압 존에 해당하는 수식에 따른 용량의 물을 취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fixed water supply mode is started in step S200 and the capacity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500 selects a water pressure zone in step S210, and calculates the formula corresponding to each water pressure zone in step S220. It can be controlled to dispense water according to the capacity.

구체적으로, 정량 급수 모드에서 제어부(500)는, 선택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용량으로 물이 취출되도록 일정 시간동안 유량 센서(미도시)를 통해 펄스값을 이용하여 급수 유량을 감지하고, 수압을 판단하여 판단된 수압에 대응되는 타겟 펄스값에 도달하면 급수를 종료하여 정량 급수를 실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the control unit 500 detects the water flow rate using a pulse value through a flow rate sensor (not show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water is dispensed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and determines the water pressure. When the target pul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water pressure is reached, the water supply is terminated and a fixed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이 경우 유량 센서(미도시)는 일반적으로 플로미터가 사용되며, 플로미터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펄스 값에 따라 급수 유량이 계산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low sensor (not shown) is generally used, and the water flow rate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ul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low meter.

플로미터는 급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펄스가 발생할 수 있다.The flow meter is a means of detecting the water flow rate and can generate pulses as the impeller rotates due to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water.

이에 따라 제어부(500)에서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펄스 값을 미리 설정된 수식에 따라서 적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0 can integrate the pulse valu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ccording to a preset formula.

도 7을 참조하여, 수압 존 선택에 대한 흐름도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더 설명하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FIG. 7, the flowchart for selecting a water pressure zone will be further described.

제어부(500)는 단계(S300)에서 정량 급수 모드가 시작되고 용량이 선택되면, 단계(S310)에서 계산된 펄스 값과 비교할 수 있다.Whe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is started and the capacity is selected in step S300, the control unit 500 may compare the calculated pulse value in step S310.

예를 들어, 펄스(Pulse) 값 < a인 경우에는 초저수압이고, a ≤ 펄스(Pulse) 값< b이 경우에는 저수압이며, b ≤ 펄스(Pulse) 값 인 경우에는 일반수압으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ulse value < a, it is ultra-low water pressure, if a ≤ pulse value < b, it is low water pressure, and if b ≤ pulse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general water pressure. .

이 경우, a와 b는 자연수이고, 미리 설정된 수치로 설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a and b are natural numbers and are preset values tha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settings.

단계(S310)에서 초저수압인 경우(S320)에는 초저수압 급수별 타겟값을 확인하는 단계(S321)를 거쳐, 각 수압존에 해당하는 수식에 따른 타겟 펄스 값을 계산한 급수 로직을 적용하는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ltra-low water pressure in step S310 (S320), checking the target value for each ultra-low water pressure water supply (S321), and applying water supply logic that calculates the target pulse value according to the formula corresponding to each water pressure zone. (S350) may be performed.

단계(S310)에서 일반수압인 경우(S330)에는 일반수압 급수별 타겟값을 확인하는 단계(S331)를 거쳐, 각 수압존에 해당하는 수식에 따른 타겟 펄스 값을 계산한 급수 로직을 적용하는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water pressure in step S310 (S330), checking the target value for each general water pressure supply (S331), and applying the water supply logic that calculates the target pulse value according to the formula corresponding to each water pressure zone. (S350) may be performed.

단계(S310)에서 저수압인 경우(S340)에는 저수압 급수별 타겟값을 확인하는 단계(S341)를 거쳐, 각 수압존에 해당하는 수식에 따른 타겟 펄스 값을 계산한 급수 로직을 적용하는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low water pressure in step S310 (S340), checking the target value for each low water pressure water supply (S341), and applying water supply logic that calculates the target pulse value according to the formula corresponding to each water pressure zone. (S350) may be performed.

단계(S350) 이후에 타겟 펄스값에 도달하게 되면 취출이 종료(S360)될 수 있다.If the target pulse value is reached after step S350, extraction may be terminated (S360).

도 8은 업그레이드 알람 표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that provides an upgrade alarm display.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주제 또는 제품을 보여주는 타이틀 영역(412)과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보여주는 메인 영역(4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410 may include a title area 412 that shows the subject or product of the currently displayed screen and a main area 411 that shows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메인 영역(411)에는 업그레이드 알람 표시(413)와 업그레이드 하기 버튼(414)이 표시될 수 있다.An upgrade alarm display 413 and an upgrade button 414 may be displayed in the main area 411.

사용자는 업그레이드 알람 표시(413)를 통해서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additional mode can be upgraded through the upgrade alarm display 413.

이렇게 확인된 추가 모드를 기존의 냉장고(1)에 업그레이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업그레이드 하기 버튼(414)을 누르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서 기존의 냉장고(1)는 추가 모드가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If the user wishes to upgrade the confirmed additional mode to the existing refrigerator 1, the user presses the upgrade button 414, and the existing refrigerator 1 can be upgraded to the additional m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

도 9는 업그레이드된 정량 급수 모드에 대한 추가 모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9 shows 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that provides additional mode information for the upgraded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다운로드된 앱에 의해서 구현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hinQ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410 may be a screen implemented by an app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400. For example, it may be a ThinQ app,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업그레이드된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추가 모드 정보(415)를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추가 모드의 기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기존의 냉장고(1)의 디스플레이부에 제약받지 않고 상세히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displays additional mode information 415 showing information about the upgraded additional mode, thereby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s of the new additional mode on the display unit of the existing refrigerator 1. It can be provided in detail without restrictions.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가 정량 급수 모드에서 취출되는 물의 용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는 옵션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may additionally provide an option that allows the user to arbitrarily adjust and select the volume of water dispensed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디스펜서(100)의 특정 버튼에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당 버튼을 선택하도록 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may provide an option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specific button on the dispenser 100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dispensed.

이 경우 해당 옵션은 텍스트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op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being provided in text or graphic form.

사용자가 출수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출수량 조절 항목을 표시하는 타이틀 영역(422)과 출수량 조절 방법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423)을 포함하도록 팝업 영역(420)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button to adjust the water extraction amount, referring to FIG. 10, 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displays a title area 422 that displays the water extraction quantity adjustment items and a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ter extraction quantity. The pop-up area 420 may be displayed to include the description area 423 to be displayed.

또한 출수량 조절부(424)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출수량으로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discharge amount control unit 424 is included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water discharge amount to the desired amount.

도 10에서는 바를 조절하는 형태로 출수량이 조절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직접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In Figure 10,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s adjusted in the form of adjusting the bar as an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 number.

사용자가 출수량 조절부(424)를 통해서 출수량을 조절하면 출수량 표시부(425)에서는 설정된 출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adjusts the water discharge amount through the water discharge amount control unit 424, the set water discharge amount may be displayed on the water discharge amount display unit 425.

이 경우 사용자가 설정 저장부(426)를 클릭하면 변경된 출수량은 저장되고, 설정 취소부(427)를 클릭하면 변경된 출수량은 저장되지 않고 취소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clicks the settings storage unit 426, the changed water extraction amount is saved, and when the user clicks the setting cancellation unit 427, the changed water extraction quantity is not saved and can be canceled.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되기 때문에, 기본 설정으로 제공되는 250ml, 500ml, 1000ml 이외에도 중간 수치의 다양한 출수량으로 취출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Since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option to arbitrarily adjust the water discharge amoun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water to be dispensed at a variety of medium values in addition to the default settings of 250ml, 500ml, and 1000ml.

한편, 추가 모드는 디스펜서(100)의 얼음 생성이 완료되는 것을 멜로디와 같은 알림음으로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얼음 생성 알림 모드일 수 있다.Meanwhile, the additional mode may be an ice production notification mode that informs the user that ice production by the dispenser 100 is completed with a notification sound such as a melod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가 얼음 생성 알림 모드의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may provide the user with an option to select on or off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400)의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타이틀 영역(432)과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트리(433)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user interface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may display a title area 432 and a menu tree 433 from which various menus can be select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뉴 트리(433)에 있는 메뉴 중에서 제품 알림음을 선택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410)는 알림음 종류 선택부(434)와 얼음 생성 알림음 온오프 선택부(435)를 표시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product notification sound from the menus in the menu tree 433, the user interface 410 includes a notification sound type selection unit 434 and an ice creation notification sound on/off selection unit 435. Can be switched to display.

사용자는 알림음 종류 선택부(434)에서 다양한 종류의 멜로디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얼음 생성 알림음 온오프 선택부(435)의 클릭을 통해서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400)의 조작만으로도 냉장고(1)의 제어부(500)는 선택된 기능이 냉장고(1)에 구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one of various types of melodies from the notification sound type selection unit 434, and select on or off by clicking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sound on/off selection unit 435, and this user terminal (400 ), the control unit 500 of the refrigerator 1 can control the selected function to be implemented in the refrigerator 1.

도 12는 얼음 생성 알림 모드가 추가 모드로 업그레이드된 이후의 제어부를 통한 이빙 동작과 알림음의 알림 구간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2 shows a flowchart of the moving operation and notification sound notification se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after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is upgraded to the additional mode.

얼음 생성 알림 모드에서, 제어부(500)는 디스펜서(100)의 만빙을 감지하고 이빙을 하는 과정에서 알림음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the control unit 500 can detect that the dispenser 100 is full of ice and control a notification sound to sound while the ice is moving.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디스펜서(100)의 아이스 트레이(미도시)에서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만빙이 감지되는 경우 만빙 감지 구간이 지나면, 아이스 트레이(미도시)에 있는 얼음을 이동시키는 이빙 제어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can detect whether the ice tray (not shown) of the dispenser 100 is full of ice, and when full ice is detected, moves the ice in the ice tray (not shown) after the full ice detection section. The moving control step can be executed.

이 과정에서 제어부(500)는 4.5초 동안의 만빙 감지 구간이 지난 후 4초 동안의 딜레이 구간이 지난 후에 알림음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500 can control a notification sound to sound after a full ice detection period of 4.5 seconds and a delay period of 4 seconds.

알림음은 4초 동안 울릴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만빙 감지 구간과 딜레이 구간의 시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alarm sound may sound for 4 seconds,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ime of the full ice detection section and delay se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 경우 알림음이 울리는 알림음 구간은 제어부(500)의 이빙 제어 과정에서 얼음이 떨어지는 시점과 중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larm sound section in which the alarm sound is sounded may overlap with the point at which ice falls during the moving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ler 500.

이와 같이 알림음 구간이 얼음이 떨어지는 시점과 중첩됨으로써 이빙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대한 알림음으로 가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notification sound section overlaps with the point when the ice falls, which has the effect of masking nois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moving process with the notification sound as much as possible.

또한 만빙 감지 구간 이후에 바로 알림음 구간이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딜레이 구간을 포함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알림음이 길게 지속되는 것을 줄이고,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얼음이 떨어지는 시점과 알림음 구간이 최대한 가깝게 중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ound section does not start immediately after the full ice detection section, but includes a delay section to reduce the alarm sound from continuing unnecessarily long, and overlap the notification sound section as closely as possible with the point when ice falls, which generates a lot of noise. You can do 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whil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냉장고
10: 캐비닛
11: 제1 공간
12: 제2 공간
20: 도어
21: 제1 도어
22: 제2 도어
100: 디스펜서
110: 하우징
116: 공간
120: 디스펜서 커버
130: 바디부
133: 제1 버튼
134: 제2 버튼
135: 제3 버튼
140: 보조 바디부
150: 배출 포트
190: 레버
200: 입력부
210: 제1 입력부
220: 제2 입력부
230: 제3 입력부
300: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410: 유저 인터페이스
411: 메인 영역
412: 타이틀 영역
413: 업그레이드 알람 표시
414: 업그레이드 하기 버튼
415: 추가 모드 정보
420: 팝업 영역
422: 타이틀 영역
423: 설명 영역
424: 출수량 조절부
425: 출수량 표시부
426: 설정 저장부
427: 설정 취소부
432: 타이틀 영역
433: 메뉴 트리
434: 알림음 종류 선택부
435: 얼음 생성 알림음 온오프 선택부
500: 제어부
1: refrigerator
10: cabinet
11: First space
12: Second space
20: door
21: first door
22: Second door
100: Dispenser
110: housing
116: space
120: Dispenser cover
130: body part
133: first button
134: second button
135: Third button
140: Auxiliary body part
150: discharge port
190: lever
200: input unit
210: first input unit
220: second input unit
230: Third input unit
300: server
400: User terminal
410: User interface
411: Main area
412: Title area
413: Display upgrade alarm
414: Upgrade button
415: Additional mode information
420: Pop-up area
422: Title area
423: Description area
424: Water discharge volume control unit
425: Water discharge amount display unit
426: Setting storage unit
427: Setting cancellation section
432: Title area
433: Menu tree
434: Notification sound type selection unit
435: Ice creation sound on/off selection unit
500: Control unit

Claims (11)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서버에 의해 추가 모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 모드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추가 모드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user terminal;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 refrigerator that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and includes a dispenser capable of being upgraded to an additional mode by the user terminal or the server;
a user interfac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mode;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to receive a user's comman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mod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xecution of the additional mod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o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모드는 미리 설정된 정량의 물이 취출되도록 제어되는 정량 급수 모드인,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dditional mode is a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in which a preset amount of water is controlled to be dispen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취출되는 물의 용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user interface is,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that provides an option for a user to arbitrarily adjust and select the volume of water dispensed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입력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일정 시간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정량 급수 모드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ispenser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input unit,
The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xed amount water supply mode to be executed when any one of the buttons is pr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은 제1 버튼, 제2 버튼, 및 제3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제1 버튼, 제2 버튼, 및 제3 버튼은 각각 서로 다른 용량의 물이 취출되도록 하는 상기 입력부인,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lurality of buttons include a first button, a second button, and a third button,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the first button, the second button, and the third button are input units that respectively allow different volumes of water to be dispens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레버를 누르는 경우 선택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용량으로 물이 취출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dispenser further includes a lever,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wherein when the lever is pressed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water is dispensed in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용량으로 물이 취출되도록 일정 시간동안 유량 센서를 통해 펄스값을 이용하여 급수 유량을 감지하고,
수압을 판단하여 판단된 수압에 대응되는 타겟 펄스값에 도달하면 급수를 종료하여 정량 급수를 실행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I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e, the control unit,
Detecting the water flow rate using a pulse value through a flow sens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water is dispensed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that determines the water pressure and stops water supply when it reaches the target puls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water pressure to supply a fixed amount of wa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급수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일정 시간동안 누르거나, 일정 시간동안 미동작시에는 상기 정량 급수 모드가 해제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where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is cancele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pr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fixed-quantity water supply mode or is inacti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모드는 상기 디스펜서의 얼음 생성이 완료되는 것을 안내하는 얼음 생성 알림 모드인,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dditional mode is an ice production notification mode that notifies the completion of ice production in the dispens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 알림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펜서의 만빙을 감지하고 이빙을 하는 과정에서 알림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In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dispenser is full and controls a notification sound to sound during the moving proces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얼음 생성 알림 모드의 온 또는 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 냉장고의 추가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user interface is,
A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providing a user with the option to select the ice creation notification mode on or off.
KR1020220094837A 2022-07-29 2022-07-29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KR2024001672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37A KR20240016722A (en) 2022-07-29 2022-07-29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PCT/KR2023/004797 WO2024025072A1 (en) 2022-07-29 2023-04-10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37A KR20240016722A (en) 2022-07-29 2022-07-29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722A true KR20240016722A (en) 2024-02-06

Family

ID=8970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837A KR20240016722A (en) 2022-07-29 2022-07-29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6722A (en)
WO (1) WO2024025072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398B1 (en) * 2000-03-30 2002-06-01 구자홍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159093B1 (en) * 2004-12-17 2012-07-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in the refrigerator
KR20080047491A (en) * 2006-11-25 200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Upgrad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1760177B1 (en) * 2015-05-20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JP7124149B2 (en) * 2019-08-06 2022-08-2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072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7556B2 (en) Select fill sensor system for refrigerator dispensers
EP2639676B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80312387A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11634B1 (en) Refrigerator with display device
JP6676556B2 (en) Gaming machine
US20090183796A1 (en) Select fill sensor system for refrigerator dispensers
US8140190B2 (en) Universal controller for a domestic appliance
KR20060104357A (en) Avatar refrigerator
US20190180601A1 (en) Alarm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845353A2 (en) Can bus commerci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JP2018057944A (en) Game machine
JP2017185150A (en) Game machine
KR20240016722A (en) Additional mode control system of the refrigerator
JP6317289B2 (en) Game machine
JP6669438B2 (en) Gaming machine
WO2007142446A1 (en) Refrigerator
JP2002224489A (en) Washing machine
JP6674189B2 (en) Gaming machine
JP6985070B2 (en) Pachinko machine
JP6886348B2 (en) Pachinko machine
JP2017185149A (en) Game machine
JP6674190B2 (en) Gaming machine
JP6996912B2 (en) Pachinko machine
US11560299B2 (en) Auto-water shut-off for an external door water dispenser
US20200220932A1 (en) Method of remotely initiating a routine event of an ap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