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31A - 전주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전주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31A
KR20240016631A KR1020220094630A KR20220094630A KR20240016631A KR 20240016631 A KR20240016631 A KR 20240016631A KR 1020220094630 A KR1020220094630 A KR 1020220094630A KR 20220094630 A KR20220094630 A KR 20220094630A KR 20240016631 A KR20240016631 A KR 2024001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lectric pole
curved portion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31A/ko
Publication of KR2024001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파손지점 상방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밴드부와, 전주의 파손지점 하방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밴드부와, 상부밴드부와 하부밴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철근부를 포함하여, 전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주 보강장치{REINFORCEMENT DEVICE FOR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의 파손지점 상하방에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고, 전주 파손으로 인한 전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전주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전주는 과도한 전선의 텐션이나 통신케이블의 중량 및 조가선의 과도한 텐션 및 변압기, 개폐기 등 중량물의 주상 설치, 차량 등의 외부 충격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전주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산화 및 콘크리트 속에 배근된 철근의 부식으로 전주의 강도가 급속도로 저하되고 있다.
한편, 강도가 저하된 전주가 장시간 방치되면 예상치 못했던 전주의 절손으로 통신 및 정전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주변 통행차량이나 인명의 피해를 촉발하는 등의 사회적 안전성이 크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00890호(2011.09.15. 공개, 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전주의 강도 보강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주의 파손지점 상하방에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고, 전주 파손으로 인한 전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전주 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는: 전주의 파손지점 상방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밴드부; 상기 전주의 파손지점 하방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밴드부; 및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철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는 상기 전주를 감싸는 제1밴드곡선부; 상기 전주를 감싸고, 상기 제1밴드곡선부와 마주보는 제2밴드곡선부; 상기 제1밴드곡선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밴드연장부; 상기 제2밴드곡선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밴드연장부와 마주보는 제2밴드연장부; 및 마주보는 상기 제1밴드연장부와 상기 제2밴드연장부를 서로 결합하는 밴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제1밴드곡선부와 상기 제2밴드곡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는 상기 제1밴드곡선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밴드내측돌기부; 및 상기 제2밴드곡선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밴드내측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제1밴드내측돌기부와 상기 제2밴드내측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는 상기 제1밴드곡선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밴드외측돌기부; 및 상기 제2밴드곡선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밴드외측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제1밴드외측돌기부와 상기 제2밴드외측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는: 상기 상부밴드부 및 상기 하부밴드부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결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는: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커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는 전주의 손상지점 상방에 상부밴드부가 장착되고, 전주의 손상지점 하방에 하부밴드부가 장착되며, 보강철근부에 의해 상부밴드부와 하부밴드부가 연결되어 전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가 전주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밴드부와 하부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부가 제1밴드곡선부와 제2밴드곡선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부가 제1밴드내측돌기부와 제2밴드내측돌기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부가 제1밴드외측돌기부와 제2밴드외측돌기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가 전주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1)는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와, 보강철근부(3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상부밴드부(10)는 전주(100)의 파손지점(110) 상방에 장착된다. 일예로, 전주(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파손지점(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최상단에 배치되는 파손지점(110)의 상방에 하나 이상의 상부밴드부(10)가 장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하부밴드부(20)는 전주(100)의 파손지점(110) 하방에 장착된다. 일예로, 전주(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파손지점(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최하단에 배치되는 파손지점(110)의 하방에 하나 이상의 하부밴드부(2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는 형상이 동일하고, 위치에 따라 명칭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 중 일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파손지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보강철근부(30)는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를 연결한다. 일예로,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는 전주(100)를 감싸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보강철근부(30)는 전주(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철근부(30)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밴드부와 하부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는 동일한 형상을 하며,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와, 제1밴드연장부(93)와, 제2밴드연장부(94)와, 밴드결합부(99)를 포함한다.
제1밴드곡선부(91)는 전주(100)를 감싼다. 일예로, 제1밴드곡선부(91)는 전주(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밴드곡선부(92)는 전주(100)를 감싸고, 제1밴드곡선부(91)와 마주본다. 일예로, 제2밴드곡선부(92)는 전주(100)와 동일한 곡률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밴드연장부(93)는 제1밴드곡선부(9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일예로, 제1밴드연장부(93)는 제1밴드곡선부(91)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제2밴드연장부(94)는 제2밴드곡선부(9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밴드연장부(93)와 마주본다. 일예로, 제2밴드연장부(93)는 제2밴드곡선부(92)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밴드결합부(99)는 마주보는 제1밴드연장부(93)와 제2밴드연장부(94)를 서로 결합한다. 일예로, 밴드결합부(99)는 겹쳐진 한 쌍의 제1밴드연장부(93)와 제2밴드연장부(94)를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겹쳐진 한 쌍의 제1밴드연장부(93)와 제2밴드연장부(94) 중 어느 하나는 힌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부가 제1밴드곡선부와 제2밴드곡선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부(30)는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한다.
일예로, 전주(100)의 길이방향으로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가 상하로 장착되고,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에 구비되는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에는 곡선홀부(81)가 형성되어 보강철근부(30)가 통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부가 제1밴드내측돌기부와 제2밴드내측돌기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는 제1밴드내측돌기부(95)와 제2밴드내측돌기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밴드내측돌기부(95)는 제1밴드곡선부(91)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일예로, 제1밴드내측돌기부(95)는 제1밴드곡선부(9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주(100)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밴드내측돌기부(96)는 제2밴드곡선부(9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일예로, 제2밴드내측돌기부(96)는 제2밴드곡선부(9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주(100)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밴드내측돌기부(95)와 제2밴드내측돌기부(96)는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에 각각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보강철근부(30)는 제1밴드내측돌기부(95)와 제2밴드내측돌기부(96)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한다.
일예로, 전주(100)의 길이방향으로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가 상하로 장착되고,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에 구비되는 제1밴드내측돌기부(95)와 제2밴드내측돌기부(96)에는 내측홀부(82)가 형성되어 보강철근부(30)가 통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부가 제1밴드외측돌기부와 제2밴드외측돌기부를 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는 제1밴드외측돌기부(97)과 제2밴드외측돌기부(9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밴드외측돌기부(97)는 제1밴드곡선부(9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일예로, 제1밴드외측돌기부(97)는 제1밴드곡선부(9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밴드곡선부(91)는 전주(100)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밴드외측돌기부(98)는 제2밴드곡선부(9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일예로, 제2밴드외측돌기부(98)는 제2밴드곡선부(9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2밴드곡선부(92)는 전주(100)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밴드외측돌기부(97)과 제2밴드외측돌기부(98)는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에 각각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보강철근부(30)는 제1밴드외측돌기부(97)와 제2밴드외측돌기부(98)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한다.
일예로, 전주(100)의 길이방향으로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가 상하로 장착되고,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에 구비되는 제1밴드외측돌기부(97)와 제2밴드외측돌기부(98)에는 외측홀부(83)가 형성되어 보강철근부(30)가 통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1)는 고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는 상부밴드부(10)와 보강철근부(30)를 결합한다. 또한, 고정부(40)는 하부밴드부(20)와 보강철근부(30)를 결합한다.
일예로, 고정부(40)는 곡선홀부(81)와, 내측홀부(82)와, 외측홀부(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진되어 곡선홀부(81), 내측홀부(82), 외측홀부(83)를 관통하는 보강철근부(30)를 고정할 수 있다(도 6a). 그 외, 고정부(40)는 볼트 결합에 의해 보강철근부(30)를 고정할 수 있다(도 6b). 즉, 고정부(40)는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에 결합되어 보강철근부(3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0)는 제1밴드내측돌기부(95)와 제2밴드내측돌기부(96)에 결합되어 보강철근부(3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40)는 제1밴드외측돌기부(97)와 제2밴드외측돌기부(98)에 결합되어 보강철근부(3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1)는 덮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50)는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와, 보강철근부(30)를 커버한다. 일예로, 덮개부(50)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부밴드부(10)에 걸쳐져 상부밴드부(20)와, 하부밴드부(20)와, 보강철근부(30)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덮개부(50)는 한 쌍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덮개부(50)의 겹쳐지는 부분은 상부밴드부(10) 또는 하부밴드부(2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50)의 외측에는 표시부(60)가 부착될 수 있다. 표시부(60)는 공공안내물이나 광고 등이 부착되어 심미감을 주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전주(100)에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를 장착한다. 이때, 상부밴드부(10)는 손상지점(110)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밴드부(20)는 손상지점(110)의 하방에 배치된다.
전주(100)에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가 장착되면, 보강철근부(30)를 이용하여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를 연결한다.
이때, 보강철근부(30)는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에 형성되는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를 연결하고, 고정부(40)에 의해 이들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철근부(30)는 제1밴드내측돌기부(95)와 제2밴드내측돌기부(96)를 연결하고, 고정부(40)에 의해 이들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철근부(30)는 제1밴드외측돌기부(97)와 제2밴드외측돌기부(98)를 연결하고, 고정부(40)에 의해 이들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보강철근부(30)는 제1밴드곡선부(91)와 제2밴드곡선부(92), 제1밴드내측돌기부(95)와 제2밴드내측돌기부(96), 제1밴드외측돌기부(97)와 제2밴드외측돌기부(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하여 이들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강철근부(30)가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를 연결하면, 전주(100)의 최대응력 지점이 파손지점(110)에서 분산되므로, 전주(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를 감싸는 덮개부(50)를 통해 보강철근부(30) 사이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50)에 표시부(60)가 부착되어 공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장치(1)는 전주(100)의 손상지점(110) 상방에 상부밴드부(10)가 장착되고, 전주(100)의 손상지점(110) 하방에 하부밴드부(20)가 장착되며, 보강철근부(30)에 의해 상부밴드부(10)와 하부밴드부(20)가 연결되어 전주(100)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밴드부 20 : 하부밴드부
30 : 보강철근부 40 : 고정부
50 : 덮개부 60 : 표시부
91 : 제1밴드곡선부 92 : 제2밴드곡선부
93 : 제1밴드연장부 94 : 제2밴드연장부
95 : 제1밴드내측돌기부 96 : 제2밴드내측돌기부
97 : 제1밴드외측돌기부 98 : 제2밴드외측돌기부
99 : 밴드결합부 100 : 전주

Claims (7)

  1. 전주의 파손지점 상방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밴드부;
    상기 전주의 파손지점 하방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밴드부; 및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철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는
    상기 전주를 감싸는 제1밴드곡선부;
    상기 전주를 감싸고, 상기 제1밴드곡선부와 마주보는 제2밴드곡선부;
    상기 제1밴드곡선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밴드연장부;
    상기 제2밴드곡선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밴드연장부와 마주보는 제2밴드연장부; 및
    마주보는 상기 제1밴드연장부와 상기 제2밴드연장부를 서로 결합하는 밴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제1밴드곡선부와 상기 제2밴드곡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는
    상기 제1밴드곡선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밴드내측돌기부; 및
    상기 제2밴드곡선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밴드내측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제1밴드내측돌기부와 상기 제2밴드내측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는
    상기 제1밴드곡선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밴드외측돌기부; 및
    상기 제2밴드곡선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밴드외측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제1밴드외측돌기부와 상기 제2밴드외측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밴드부 및 상기 하부밴드부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결합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밴드부와, 상기 하부밴드부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커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장치.
KR1020220094630A 2022-07-29 2022-07-29 전주 보강장치 KR20240016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30A KR20240016631A (ko) 2022-07-29 2022-07-29 전주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30A KR20240016631A (ko) 2022-07-29 2022-07-29 전주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31A true KR20240016631A (ko) 2024-02-06

Family

ID=8985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30A KR20240016631A (ko) 2022-07-29 2022-07-29 전주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828B1 (ko) 전주용 보강구조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100694805B1 (ko) 다공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분절형 다공성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0977061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KR20240016631A (ko) 전주 보강장치
CN214740336U (zh) 一种用于新型水泥电杆的杆身加固装置
KR100792660B1 (ko) 합성케이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00005531U (ko) 일반장주 및 편창출장주 겸용 내장완철
KR101600240B1 (ko) 공작물 방호용 y형 지지물
CN207960120U (zh) 一种高强度水泥杆
KR102324711B1 (ko) 압축 완철밴드
KR200147606Y1 (ko) 수직 장주용 금구의 설치구조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101145549B1 (ko)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18119B1 (ko)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KR200334645Y1 (ko) 전기배선박스용 보강구조물
KR0118336Y1 (ko) 연결철물매립구조
CN214958485U (zh) 一种便于安装且不易变形的电缆保护管
KR102305530B1 (ko) 전후 조립형 전주용 상부 지지대
KR102704289B1 (ko) 편출장주의 완철 지지선 설치 구조
CN217892743U (zh) 线束支架和具有其的车辆
CN109972631B (zh) 一种立面内支撑应用于基坑的支护结构
CN210658425U (zh) 一种用于光伏系统的混凝土地桩
KR102184362B1 (ko)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CN211395310U (zh) 用于旧拱桥拱脚处的加固结构
KR200280043Y1 (ko) 골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